KR20030094259A - 스윙 연습 기구 - Google Patents

스윙 연습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4259A
KR20030094259A KR10-2003-7011007A KR20037011007A KR20030094259A KR 20030094259 A KR20030094259 A KR 20030094259A KR 20037011007 A KR20037011007 A KR 20037011007A KR 20030094259 A KR20030094259 A KR 20030094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nner
trolley
cord
handle
s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1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1130B1 (ko
Inventor
김용우
Original Assignee
켈라이언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켈라이언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켈라이언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30094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4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1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11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with springs acting at different parts of the stro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4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using special pulley-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4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using special pulley-assemblies
    • A63B21/156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using special pulley-assemblies the position of the pulleys being variable, e.g. for different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1Contacting or non-contacting mechanical means for guiding the sw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5/00Clubs for gymnastics or the like, e.g. for swing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 A63B21/0428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the ends moving relatively by linear recipro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04Standing on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8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골프 연습에 특히 적합한 스윙 연습 기구는 골퍼의 백스윙쪽 상에 위치된 트랙을 저항 트롤리가 하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열된 핸들 및 코드를 사용한다. 스프링 및 풀리 배열은 트롤리가 트랙을 하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항하고, 골퍼가 핸들을 골프 스윙 커버를 따라 이동시킬 때 트롤리가 강제로 트랙으로 하강됨으로써 골프 연습 기구는 저항을 극복해야 하는 한편, 골프공을 강하게 타격하는데 필요한 근력이 강화되도록 핸들을 스윙한다.

Description

스윙 연습 기구 {SWING EXERCISER}
종래 기술은 스포츠 용구의 스윙에 필요한 근력, 특히 골프 클럽 스윙 근력을 강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일반적으로 인식하고, 여기에는 여러 가지 제안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제안은 갖가지 이유로 문제가 있고 어는 제안 하나도 널리 사용되지 않고 있다.
골프 스윙 연습 기구를 제안하는 특허 중 대부분은 스윙하는 도중에 고정 위치에 남아 있는 스윙 저항을 응용한다. 이는 미합중국 특허 제4,229,002호, 제4,135,714호, 제4,253,663호, 제3,462,156호, 및 제3,966,203호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윙하는 동안 이러한 저항을 효과적인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없다.
미합중국 특허 제5,050,874호 및 제5,284,464호를 포함하여 몇 가지 다른 특허에서는 스윙이 진행됨에 따라 저항이 원형 아크를 따라 가도록 중앙 피벗 상에 장착된 스윙 저항을 제안하고 있다. 이것 또한 골프 스윙이 원형 아크와는 현저하게 차이가 나기 때문에 그렇게 바람직하지 않다.
다른 미합중국 특허 제5,242,344호에서는 스윙 저항의 보다 복잡한 이동에 대하여 제안하고 있지만, 이는 번거롭고 복잡한 기계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스포츠의 스윙 동작에 사용되는 근력 강화 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하나의 저항 코드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스윙 연습 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골프 운동 기구의 부분개략도로서, 도 1은 백스윙 위치의 도면이고 도 2는 타격 영역의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한 쌍의 저항 코드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스윙 연습 기구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부분개략도로서, 도 3은 백스윙 위치의 도면이고 도 4는 타격 영역의 도면이다.
도 5는 오른손잡이 골프 연습자의 좌측에서 바라 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스윙 연습 기구의 부분개략도이다.
도 6 및 도 7은 골프 핸들로부터 저항이 이동가능한 트랙까지 연장되는 저항 코드 라인으로 표시된 본 발명의 연습 기구에 관련된 대략적인 힘 및 방향의 개략도로서, 도 6은 하나의 저항 코드를 사용하는 도면이고 도 7은 이중 저항 코드를 사용하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코드에 저항을 제공하는 블록, 태클 및 스프링 배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도로서, 도 8A는 하나의 트롤리 풀리에 꿰어진 하나의 코드를 사용하는 경우의 도면이고 도 8B는 한 쌍의 트롤리 풀리에 꿰어진 한 쌍의 저항 코드를 사용하는 경우의 도면이다.
도 9는 트랙을 따라 이동가능한 트롤리가 도시된 트랙의 바람직한 실시예의개략적인 말단도(末端圖)이다.
도 10A는 도 8B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트랙 트롤리의 개략적인 부분 측면도이다.
도 10B는 도 8A 및 도 9에 도시된 하단 트랙 트롤리의 개략적인 부분 측면도이다.
도 11은 저항 코드용의 신축 자재의 신장가능한 연결부, 및 클럽 샤프트 방향으로 돌출하는 광원을 갖는 연습 기구 핸들의 부분개략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러너, 및 트롤리 및 트랙 형태가 아닌 런에 본 발명을 응용한 두 가지 다른 예의 일부 즉 부분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윙의 힘 및 방향에 대한 요구 조건에 효과적으로 부합되는 양 및 방향으로 저항을 가하여 골프 스윙에 사용되는 근력을 운동시키기에 특히 적합한 스포츠 용구에 응용가능한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윙 연습이 과다한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특히 효과적인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필요한 기구가 간단하다.
본 발명의 스윙 연습 기구는 골프 스윙이 백스윙 영역으로부터 타격 영역으로 진행할 때 수 피트의 복잡한 커브를 그리기 때문에 골프 스윙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은 골프 연습자가 스윙 연습 시 편안하고 자연스럽게 느낄 수 있도록 골프 스윙의 상이한 영역을 통하여 골프 핸들이 전진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도록 저항을 적절하게 배향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스윙 연습 기구는 골프 클럽 이외의 스포츠 용구를 스윙하는데도 동일한 장점을 제공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골프공의 타격 시 가해진 근력의 대부분은 타격 영역으로 스윙이 접근할 때 집중되기 때문에, 본 발명은 이 스윙 영역에 상당히 증가된 저항이 가해진다. 이로써 골프 핸들이 타격 영역으로 접근할 때 근력 작용이 특히 힘들게 되어, 골프 스윙에 파워를 가하는데 필요한 근력 강도를 효과적으로 발달시킨다.
본 발명의 연습 기구는 스윙을 진행할 때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저항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장점이 달성된다. 이로써 핸들과 상기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저항 사이에 연장되는 저항 코드를 적절하게 배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가능한 저항은 스윙 핸들이 타격 영역 내로 구동될 때 보다 큰 근력 및 보다 효과적인 근력 운동이 필요하도록 핸들이 타격 영역에 접근할 때 핸들 움직임에 저항이 증가되도록 또한 배열된다.
도 1 내지 도 5는 골프 전용인 스윙 연습 기구의 두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상기 스윙 연습 기구는 핸들(10), 슬롯이 있는 트랙(20), 및 상기 핸들과 스윙할 때 트랙을 따라 이동가능한 트롤리 상의 풀리(35) 사이에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저항 코드(15)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3은 백스윙 위치의 시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4는 타격 위치의 도면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이중 풀리 및 이중 저항 코드를 가진 연습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하나의 저항 코드 및 트롤리를 가진 연습 기구의 측면도의 형상도 유사하다.
풀리(3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 연습을 시작할 때 트랙(20)의 상단에서 출발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 영역으로 접근할 때 트랙(20)의 하단으로 이동한다. 풀리(35)가 트랙(20)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항하여 연습자가 이 저항을 극복하기 위하여 핸들(10)에 힘을 가함으로써 스윙 연습에 사용되는 근육이 운동을 하게 되어 강화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풀리(35, 36)를 가진 연습 기구에 있어서, 풀리는 스윙을 시작할 때는 트랙(20)의 상단에 근접하여 출발하고 스윙할 때는 상이한 거리로 트랙(20) 하측으로 이동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이 타격 영역에 도달했을 때, 하측 저항 코드(15)는 트랙(20)의 하단에 근접한 하측 풀리(35)와의 수평선 아래로 연장되는 한편, 상측 저항 코드(16)는 트랙(20)의 하측으로 일부 이동한 상측 풀리(36)와의 수평선 위로 연장된다. 스윙 연습 기구는 풀리(35, 36) 양자 모두를 지지하는 트롤리에 가해진 저항을 반드시 극복해야 한다.
트랙(20)은, 도 1 내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오른손잡이 골퍼의 골퍼 우측 상인 골퍼의 백스윙쪽 상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랙(20)은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퍼의 히프 전방 및 하측으로 하향하는 골퍼의 어깨 상측 및 뒤쪽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열로 인하여 골퍼는 완전하게 백스윙하여 스윙할 때 끊임없이 가해지는 저항으로 백스윙 위치로부터 타격 영역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열로 인하여 골퍼는 저항 시스템의 방해없이 골프 스윙의 복잡한 커브 내내 자연스럽고 실질적인 방식으로 손 및 핸들(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실제로, 골퍼의 스윙 습관은 연습 기구를 수용하기 위하여 변경시킬 필요는 없다. 반대로, 연습 기구는 연습자가 자세 또는 스윙 습관을 변경시키지 않고 스윙 근육을 강화시키도록 도와주는데 필요한 스윙 저항을 가한다.
도 6 및 도 7은 골프 스트로크 커브 내내 핸들(10)의 스윙을 저항하는데 포함된 대략적인 힘을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6은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 해당하고 도 7은 도 3 및 도 4에 해당한다. 실시예 양자 모두에 있어서, 핸들(10)의 스윙은 저항받을 뿐만 아니라, 저항은 핸들이 통과하는 스윙 영역에 적절한 가변량으로 가해진다. 또한, 저항은 연습하는 골퍼를 방해하지 않고 골프 스윙 내내 핸들이 전진하지 않도록 적절한 방향으로 가해진다.
저항은 트랙(20)을 하측으로 수직 이동하는 하나 또는 두 개의 트롤리에 가해지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골프 스윙의 커브를 따라 전진하는 핸들(10)의 이동에 의하여 마주치는 저항은 핸들의 커브 이동을 야기하는 하측방향으로의 트롤리 이동 범위에 대략 비례한다. 이를 염두에 두고, 핸들(10)은 백스윙 영역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트랙(20)과 거의 평행으로 이동하기 시작한 다음, 핸들이 타격 영역으로 이동할 때 트랙(20)으로부터 잡아 당겨진다는 점을 도 6 및 도 7로부터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백스윙 영역으로부터 전진하는 핸들(10)의 초기 이동으로 인하여 핸들(10)이 타격 영역으로 접근할 때 트랙(20)으로부터 끌어 당겨지는 핸들(10)의 이동으로 인하여 야기된 이동보다 트랙(20)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더 적게 이동한다. 상기 효과는 핸들(10)을 백스윙 영역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보다 핸들(10)을 타격 영역을 통해 이동시키는데 더 많은 작업이 필요하므로 백스윙 영역보다 타격 영역에서 골퍼의 근육을 더욱 강화시키는 연습이 된다.
트랙(20)을 따르는 하측방향으로의 이동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에의하여 저항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고, 신장 스프링은 더 길어질 때 자신의 저항을 일반적으로 증가시키기 때문에, 트랙(20)을 따르는 하측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한 스프링 저항은 핸들(20)이 타격 영역을 향하여 진행할 때 또한 증가한다. 이로써 스프링 힘은핸들(10)이 타격 영역을 통해 이동할 때 요구되는 증가된 작업에 더 추가된다.
골퍼 연습자의 관점에서 보면, 핸들(10)은 백스윙 위치로부터 꽤 용이하게 하측방향으로 이동하고, 저항은 핸들이 타격 영역을 통과할 때 항상 최대로 증가한다. 도 6에 도시된 하나의 저항 코드 실시예에 있어서, 트랙(20)을 따르는 하측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한 저항은 완전한 골프 스윙 동안에 트랙의 거의 전체 길이에 연장된다. 도 7에 도시된 두 개의 저항 코드 실시예에 있어서, 하측 저항은 트랙의 거의 전체 길이를 이동하고 상측 저항은 트랙 길이의 DIR 절반을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바람직한 트랙(20)은 여러 가지 상이한 구성을 가질 수 있고, 이 중 한 가지가 도 9에 예시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트랙은 트롤리(30)의 이동을 수용하는 슬롯(22)을 가진 채널(21) 형상이 바람직하다. 트롤리(30)는 풀리(35, 36)를 트랙 슬롯(22)으로부터 연장되는 위치에 지지하도록 슬롯(22)의 반대쪽 상에 걸쳐 이동하는 휠(31)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방법으로는, 트롤리(30)는 저항 바이어스 및 저항 코드에 연결하는 하나 또는 두 개의 말단 커넥터(32)를 갖는다.
트랙(20)은, 트롤리(30)를 채널(21) 및 슬롯(22) 내에 수용하는 대신, 저항스프링 팩, 풀리, 및 블록 및 태클 저항 시스템용 코드 라인을 수용하는 다른 채널(23 내지 25)을 갖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들은 도 8A 및 도 8B에 예시되어 있다.
저항, 및 트랙(20)을 따라 이동가능한 트롤리용 풀리 시스템을 간단하고 명료하게 예시하기 위하여, 도 8A 및 도 8B는 단지 트랙(20)의 하단 영역(26)만 개략적으로 예시되어 있고, 또한 트랙(20) 내 임의로 실제 설치하는데 필요할 수 있는 것보다 횡방향으로 더 넓게 확대시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이들 도면에서는 상기 풀리를 지지하는 트롤리(30)를 나타내는 풀리(35, 36)를 사용한다.
도 8A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하나의 저항 코드 실시예를 위한 바람직한 저항 시스템의 도면이다. 핸들(10)로부터 트롤리 풀리(35)를 거쳐 연장되는 저항 코드(15)는 트랙 하단 영역(26)의 고정 지점으로 하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이것은 도 1,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0)을 하측방향으로 트랙(2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당기면 트롤리 풀리(35)가 트랙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는 점을 나타낸다.
이러한 이동을 저항하는 것은 풀리(38)에 꿰어지고 블록 및 태클(40)의 이중 풀리(41, 42)를 통과하는 코드(37)에 의하여 연결 지점(60)의 트롤리 풀리(35)에 연결된 블록 및 태클이다. 코드(37)는 상단 이중 풀리(41)에 근접한 말단 단말부(39)로 연장된다.
하나 이상의 신장 스프링(50)이 바람직하기로는 스냅 훅(52)에 의하여 하단 이중 풀리(42)에 연결된다. 저항력에 대한 연습자의 선호도에 따라 임의의 적합한개수의 스프링(50)이 하단 풀리(42)에 연결될 수 있다. 하단 풀리(42)에 연결되지 않은 스프링(51)은 트랙(20)의 측면 영역에 간편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핸들(10)이 골프 스윙의 커브를 통과할 때, 트롤리 풀리(35)에 하측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또한 저항 코드(37)를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하단 이중 풀리(42)가 상단 이중 풀리(41)를 향하여 상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것은 트롤리 풀리(35)가 하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항하는 스프링(50)으로 연장된다. 실제로, 블록 및 태클(40)은 스프링(50)이 트롤리 풀리(35)의 매 이동 거리마다 수 인치 신장될 수 있도록 스프링(50)으로부터 멀리 힘이 미친다. 상기 효과가 달성되도록 상이한 개수의 풀리 및 상이한 기계적 장점이 블록 및 태클(40)에 사용될 수 있다. 스프링 외의 저항 바이어스, 예를 들면 웨이트 또는 탄성 코드 또는 튜브를 또한 사용할 수 있고, 블록 및 태클 시스템은 선택된 저항에 따라 변형시키거나 또는 제거시킬 수 있다.
스프링(50)이 신장될 때 하단 풀리(42)에 연결된 스프링(50)의 저항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핸들(10)의 이동에 대한 저항은 골프 스윙 도중에 트롤리 풀리(35)가 하측방향으로 더 이동할 때 증가한다. 이것은 핸들(10)이 타격 영역에 접근할 때 핸들(10)을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적절하게 증가시킨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0)을 타격 영역으로 이동시키는데는 핸들(10)을 백스윙 영역으로 동등하게 이동시키는 것보다 풀리(35)를 하측방향으로 더 이동시키는 것이 필요하고, 이것은 또한 핸들 이동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킨다. 실제로, 골프 연습자는 최종 부분의 동작을 통해 타격 영역으로 핸들(10)을 이동시킬 때 실질적으로 증가된 저항과 마주치게 되고, 이것은 타격 파워를 가하는데 필요한 근육에 더 양호한 연습을 효과적으로 제공한다.
도 8B는 도 3 내지 도 5에 예시된 두 개의 저항 코드 시스템의 바람직한 저항 배열의 도면으로서, 도 8A와 동일한 방식으로 배열되지는 않는다. 하단 저항 코드(15)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트롤리 풀리(35)를 통과하여 하단 트랙 영역(26)의 고정 연결부로 하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들(10)이 전진할 때 트롤리 풀리(35)가 하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하측방향으로의 이동은 저항 바이어스(50)에 연결된 블록 및 태클(40)에 꿰어진 코드(37)에 의하여 저항을 받는다.
상단 저항 코드(16)는 상단 트롤리 풀리(36)에 꿰어지고, 트랙 하단 영역(26)에 연결된 풀리(34)로 하측으로 연장되어 트롤리 풀리(36)와의 연결부(33)로 다시 상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배열로 인하여 핸들(10)이 이동하여 트롤리 풀리(35) 속도의 단지 절반 속도로 트롤리 풀리(36)를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트롤리 풀리(36)의 하측방향으로의 이동은 하나 이상의 바이어스 저항 스프링(50)에 연결된 풀리(56, 57)를 사용하는 블록 및 태클(55)에 의하여 저항을 받는다. 풀리 트롤리(36)로부터 빠져 나와 블록 및 태클(55)을 통과하는 코드(58)는 상단 말단부(59)에서 종료된다. 블록 및 태클(55)은 블록 및 태클(40)보다 기계적 장점이 더 적기 때문에, 풀리(57)에 연결된 스프링(50)의 신장 이동은 긴 거리에 걸쳐서는 늘어나지 않는다. 한편, 저항 코드(16)에 가해진 기계적 장점은 트롤리 풀리(35)까지 단지 절반 정도만 트롤리 풀리(36)가 이동하도록 배열된다는 점이다.
예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는 트랙(20) 및 트롤리(30)를 사용하지만, 이들의 대안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이프 또는 튜브 형태의 런을 직선 또는 곡선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연장시키는 한편, 핸들이 골프 스윙할 때 런을 따라 이동하도록 런을 둘러싸거나 또는 결합되는 러너를 지지한다. 탄성 밴드 또는 코드가 저항 스프링용으로 대체될 수 있고, 저항 바이어스를 어떻게 배열하느냐에 따라 풀리와 블록 및 태클 시스템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저항 바이어스는 중력식, 공압식, 또는 전자기식으로 또한 형성될 수 있다. 이들의 대안으로서, 트랙을 따라 이동할 수 있거나 또는 핸들이 스윙 커버를 이동할 때 핸들에 가해진 저항의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이동할 수 있는 트롤리 또는 러너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저항 바이어스 시스템은 핸들이 타격 영역으로 접근할 때 증가된 저항을 제공한다.
트랙 및 트롤리 배열의 바람직한 실시예 또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나란히 배열된 한 쌍의 슬롯을 가진 트랙은 두 개의 트롤리를 하나의 트랫 슬롯 내에 배열하기 보다 각각의 슬롯 내에 하나의 트롤리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각기 다른 트롤리용의 각기 다른 슬롯 또는 런은 스윙 도중에 핸들에 가해진 저항력의 방향을 변경시키는 상이한 경로를 따라가도록 이격 또는 배열될 수 있다.
도 11은 다른 다양성을 추가할 수 있는 핸들(10)의 신축 자재식 변형예의 도면이다. 로킹 칼라(61)는, 양 끝이 닮은 화살표로 표기된 바와 같이, 핸들 그립(10)으로부터 여러 가지로 변형되어 신장될 수 있는 신장 바(60)의 조정을 제어한다. 신장 로드(60) 상의 커넥터 링(62)은 하나 이상의 저항 코드에 연결되고, 로드(60)의 신장을 변경시키면 저항 코드가 연결되어 있는 그립(10)으로부터의 거리가 변한다. 로드(60)를 그립(10)으로부터 외측으로 더 신장시키려면, 링(62)에 가해진 저항이 그립(10)으로부터 더 긴 모멘트 암을 갖기 때문에, 골프 연습자가 타격 영역으로 핸들을 구동할 때 더 많은 힘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반대로, 로드(60)의 신장을 단축시키려면 저항의 모멘트 암을 감소시키고 골프 연습자가 타격 영역으로 핸들을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감소시킨다.
핸들 (10) 상에 배열된 라이트(65)는 골프 샤프트가 핸들(10)로부터 연장될 수 있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광빔(66)이 향하도록 한다. 광빔(66)을 관찰함으로써, 골프 연습자는 골퍼가 스윙 연습 내내 핸들을 이동시킬 때 골프 클럽의 가상 헤드의 경로를 눈으로 추적할 수 있다. 이로써 골프 스윙의 원하는 코스를 통해 핸들(10)을 효과적으로 이동시키는데 성공하였음을 피드백해 줄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너(75)는 런(70)을 둘러싸고 상하로 슬라이드하는 슬리브로서 형성될 수 있다. 매끄러운 슬라이딩 동작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베어링 시스템을 러너(75) 내에 결합시킬 수 있다. 러너(75)를 런(70)의 외측에서 슬라이딩하게 함으로써, 코드, 풀리, 및 저항 바이어스는 트랙(20)의 채널 내에 숨겨지지 않고 노출된다.
핸들 (10) 및 코드(15)는 트랙 및 트롤리 시스템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풀리에 대하여 동작한다. 신장 스프링(71) 형태의 저항 시스템은 러너(75)의 하측방향으로의 이동을 저항하고, 상기 저항은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시된 스프링(71) 대신에, 러너(75)용 저항 시스템은 탄성 코드, 공압 기구, 및 다른 형태의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 개략적으로 예시된 변형예는 러너(75)용 저항 시스템을 길게 늘인 것이 도 12의 실시예와 상이하다. 저항 바이어스(73)는 러너(75)의 저항 경로를 확장 또는 길게 늘이는 방식으로서 풀리(74)에 꿰어진 코드(72)에 연결된다. 코드(72)에 부착된 스프링(73) 대신에, 도 13의 변형예는 풀리(74)에 꿰어진 탄성 코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저항 시스템을 길게 늘이는데는 도 8A 및 도 8B에 예시된 바와 같은 블록 및 태클 배열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의 런 및 러너 시스템은 도 8B에 예시된 바와 유사한 이중 러너 및 이중 코드 배열에 또한 응용될 수 있다. 한 쌍의 러너(75)가 하나의 런(70) 상에 배열될 수 있고, 또는 한 쌍의 인접하는 런(70)이 이중 코드 및 이중 저항 시스템의 러너(75)를 각각 지지할 수 있다. 어느 방식이건, 러너(75) 중 하나는 런(70)을 단지 약간만 이동시키는 한편, 다른 하나는 런(70)을 더 멀리 이동시킨다.
여러 가지 다른 형태의 런 및 러너 또한 사용가능하다. 최적의 선택은 사용될 저항 시스템의 형상 및 기능에 좌우된다.

Claims (38)

  1. 골퍼가 코드를 거쳐 골프 핸들에 가해진 저항에 대해 가상 골프 스윙 커브를 따라 상기 핸들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핸들에 부착된 저항 코드를 사용하는 골프 스윙 연습 기구에 있어서,
    a) 상기 코드는 상측방향으로 바이어스되는 이동가능한 트롤리 상에 배열된 풀리에 꿰어지고,
    b) 상기 코드는 상기 풀리로부터 소정의 상기 트롤리 이동 범위 하측의 고정 영역까지 연장되며,
    c) 상기 풀리, 코드, 및 트롤리는 가상 골프 스윙이 진행될 때 상기 핸들이 상기 트롤리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가상 골프 스윙 도중에 상기 핸들이 따라가는 상기 커브에 대하여 상대적인 관계로 배열됨으로써, 스윙이 진행될 때 상기 핸들이 상기 코드를 상기 트롤리에 배열된 풀리 상으로 끌어 당기고,
    d) 가상 골프 스윙 도중에 상기 풀리 상으로의 상기 코드의 이동은 연습을 위한 상기 코드 및 상기 핸들의 이동에 저항하기 위한 상기 바이어스에 대해 상기 트롤리에 하측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배열되며,
    e) 상기 트롤리는 상기 스윙이 타격 영역을 향하여 진행될 때 상기 커브가 상기 트롤리 및 상기 트랙으로부터 더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골프 스윙의 커브에 대하여 상대적인 관계로 위치된 트랙을 따라 이동하도록 배열되어, 스윙이 타격 영역으로 접근할 때 상기 트롤리의 이동이 증가되어 코드 저항이 증가되는
    골프 스윙 연습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는 선택가능한 복수의 스프링에 의하여 바이어스되는 골프 연습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블록(block) 및 태클(tackle)이 상기 스프링을 상기 트롤리에 연결시키는 골프 연습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과 상기 트롤리 사이의 코드 라인은 스윙이 상기 타격 영역으로 접근할 때 대략 수평으로 되는 골프 연습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는 상단 트롤리이고, 상측방향으로 바이어스된 하단 트롤리는 상기 트랙을 따라 활주하도록 상기 상단 트롤리 하측에 배열되며, 하단 코드는 상기 하단 트롤리 상의 상기 풀리에 걸쳐 연장되도록 상기 핸들에 부착되고, 상기 하단 트롤리는 가상 골프 스윙 도중에 상기 상단 트롤리보다 상기 트랙을 따라 더 멀리 이동하도록 배열되는 골프 연습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트롤리까지의 상기 코드는 상기 상단 코드의 고정 말단과 상기 상단 트롤리 상의 상기 풀리 사이에 끼워진 풀리 블록에 꿰어지는 동안, 상기 하단 코드는 상기 하단 트롤리 상의 상기 풀리에 걸쳐 고정 말단으로부터 직접 활주하는 골프 연습 기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및 하단 트롤리까지의 상기 코드는 스윙이 상기 타격 영역에 도달할 때 각각 수평보다 위 및 수평보다 아래에 있는 골프 연습 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은 런(run)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트롤리는 스윙이 상기 타격 영역을 향하여 진행될 때 상기 런을 따라 이동하도록 배열된 러너(runner)로서 형성되는 골프 연습 기구.
  9. a) 골퍼의 어깨 상측 및 후방으로부터 상기 골퍼의 히프 전방 및 하측까지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골프 스탠스 시 상기 골퍼의 스윙쪽 상에 배열된 런,
    b) 상기 런의 상단 영역으로부터 상기 런의 하단 영역까지 상기 런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러너,
    c) 상기 러너가 상기 런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고, 상기 러너를 임의의 하측방향 위치로부터 상기 런을 따라 상측방향으로 복귀시키도록 배열된 바이어스,
    d) 상기 러너 상에 배열된 풀리, 및
    e) 상기 골프 핸들의 연습 말단으로부터 상기 러너 상의 상기 풀리를 거쳐 상기 런의 고정 영역까지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코드
    를 포함하고,
    f) 상기 런, 러너, 바이어스, 풀리, 코드, 및 핸들은 상기 골퍼가 상기 핸들을 가상 골프 스윙을 통해 이동시킬 때, 상기 핸들이 상기 코드를 상기 풀리 상으로 끌어 당겨서 상기 러너를 상기 바이어스의 저항에 대해 상기 런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끌어 당기는
    골프 연습 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로부터의 상기 핸들의 연습 말단의 거리는 스윙이 타격 영역을 향하여 진행됨에 따라 증가되고, 상기 바이어스의 저항은 스윙이 타격 영역에 접근하면서 증가되는 골프 연습 기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에 의하여 전달된 상기 핸들의 연습 말단의 이동에 대한 저항은 스윙이 타격 영역에 접근하면서 대략 수평으로 되는 골프 연습 기구.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는 상기 러너에 연결될 수 있는 선택가능한 복수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골프 연습 기구.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와 상기 핸들 사이의 연결부는 상기 핸들의 그립 영역으로부터 가변 거리에 존재하는 골프 연습 기구.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빔을 상기 핸들로부터 샤프트 방향으로 투사되도록 지향시키는 광원을 포함하는 골프 연습 기구.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러너는 상단 러너이며 상기 상단 러너 하측의 상기 런에 배열된 하단 러너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 러너는 상기 하단 러너에 연결된 하단 바이어스를 가지며, 상기 하단 러너는 스윙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상단 러너보다 더 멀리 이동하도록 배열되는 골프 연습 기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러너 풀리의 코드 및 상기 하단 러너 풀리의 코드는 스윙이 타격 영역에 도달할 때 각각 수평보다 위 및 수평보다 아래로 각각 경사지는 골프 연습 기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및 하단 바이어스 각각은 상기 상단 및 하단 러너에 각각 연결될 수 있는 선택가능한 복수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골프 연습 기구.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런은 슬롯을 가진 런을 포함하고, 상기 러너는 상기 핸들로부터 상기 러너로 연장되는 코드가 상기 슬롯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리 런 내에 배열된 러너를 포함하는 골프 연습 기구.
  19. a) 라인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런 및 상기 런을 따라 이동하도록 배열된 러너,
    b) 상기 러너를 상기 런의 개시 말단 영역을 향하여 바이어스하도록 배열되어 상기 러너가 상기 런의 마무리 말단 영역으로 상기 런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스프링,
    c) 상기 러너와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러너 상에 배열된 풀리, 및
    d) 상기 러너 상의 상기 풀리에 걸친 상기 런의 마무리 말단 영역으로부터 상기 런의 개시 말단 영역의 상기 러너 부근에서 시작하고 상기 런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곡선을 이루는 곡선 스윙 경로 내에서 이동하도록 배열된 스윙 핸들까지 연장되는 코드
    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이 이동함으로써 상기 코드를 상기 런으로부터 끌어 당겨서, 상기 러너를 상기 스프링의 바이어스에 대해 상기 개시 위치로부터 상기 마무리 위치까지 상기 런을 따라 끌어 당기며,
    상기 핸들의 스윙 도중에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러너에 가해진 상기 바이어스는 상기 러너 상의 상기 풀리에 걸쳐 있는 상기 코드로부터 상기 핸들에 전달되어, 상기 코드에 의하여 상기 핸들에 가해진 저항 라인이 스윙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런의 개시 말단 영역으로부터 상기 런의 마무리 말단 영역까지 이동하는
    스윙 연습 기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블록 및 태클을 거쳐 상기 러너에 연결되는 스윙 연습 기구.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연습 기구가 상기 블록 및 태클을 거쳐 상기 러너에 연결될 수 있는 선택가능한 복수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스윙 연습 기구.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에 의하여 상기 핸들에 가해진 상기 저항 라인은 상기 러너가 상기 런의 마무리 말단 영역에 도달했을 때 대략 수평으로 되는 스윙 연습 기구.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에 가해진 상기 저항은 상기 러너가 상기 런의 마무리 말단 영역에 근접함에 따라 증가하는 스윙 연습 기구.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러너는 상단 러너이고, 상기 상단 러너 전방의 상기 런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런의 개시 말단 영역을 향하여 바이어스되는 하단 러너, 및 상기 핸들에 가해진 상기 저항에 추가되도록 상기 핸들로부터 상기 하단 러너 상의 풀리에 걸쳐 연장되는 하단 코드를 포함하는 스윙 연습 기구.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러너의 상기 코드 및 상기 하단 러너의 상기 코드는 상기 러너가 상기 런의 마무리 말단 영역에 도달할 때 각각 수평보다 위 및 수평보다 아래로 경사지는 스윙 연습 기구.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런은 슬롯을 가진 트랙이고, 상기 러너는 상기 트랙 내의 상기 슬롯에 걸치는 트롤리인 스윙 연습 기구.
  27. 연습을 위한 가상 골프 스윙에 가변 저항을 인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골퍼가 핸들을 가상 골프 스윙을 통해 이동시킬 때 상기 핸들이 트롤리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트롤리 상의 풀리에 꿰어진 코드를 끌어 당겨 트랙을 따라 상기 트롤리를 하측방향으로 끌어 당기도록 상기 골프 핸들로부터 상기 트롤리 상의 풀리를 거쳐 고정 영역까지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코드를 배열하는 단계,
    b) 상기 트롤리를 상기 트랙을 따르는 하측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해 상측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단계, 및
    c) 백스윙 영역으로부터 타격 영역으로 스윙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핸들의 이동으로 인하여 상기 트롤리의 이동이 증가하도록 가상 골프 스윙 도중에 상기 핸들이 따라가는 커브에 대하여 상기 코드 및 트롤리를 상대적인 관계로 배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스윙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트롤리의 이동이 증가함으로써 상기 타격 영역으로 스윙이 접근할 때 스윙에 대한 저항이 증가되는
    가변 저항 인가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 인가 방법이 상기 트롤리를 블록 및 태클을 거쳐 상기 트롤리에 연결된 선택가능한 복수의 스프링으로 바이어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변 저항 인가 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 인가 방법이 스윙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트랙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상이한 거리를 이동하도록 배열된 각각의 트롤리 상의 각 쌍의 풀리에 걸쳐 상기 핸들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코드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변 저한 인가 방법.
  30. 골퍼가 상기 핸들을 상기 코드를 거쳐 상기 핸들에 인가된 저항에 대해 가상 골프 스윙 커브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골프 핸들에 부착된 상기 저항 코드를 사용하는 골프 스윙 연습 기구에 있어서,
    a) 상기 코드는 가상 골프 스윙 도중에 상기 코드의 이동으로 인하여 러너가 이동하도록 이동가능한 상기 러너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고,
    b) 상기 러너는 가상 골프 스윙 도중에 이동에 저항하도록 바이어스되어, 상기 코드가 상기 핸들의 이동에 저항하도록 상기 러너를 이동시키는 상기 코드에 저항을 인가하며,
    c) 상기 코드 및 러너는 백스윙 영역으로부터 타격 영역으로 가상 골프 스윙이 진행됨에 따라 가상 골프 스윙 도중에 상기 핸들에 인가된 상기 코드 저항의 힘이 증가되도록 배열되는
    골프 스윙 연습 기구.
  31. 제30항에 있어서,
    선택가능한 복수의 스프링이 상기 러너를 바이어스하도록 배열되는 골프 스윙 연습 기구.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 스윙 연습 기구는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을 상기 러너에 연결시키는 블록 및 태클 장치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 기구.
  33. 제30항에 있어서,
    제2 코드는 상기 골프 핸들에 부착되어 이동에 저항하도록 또한 바이어스되는 제2 러너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러너는 가상 골프 스윙 도중에 제1 러너가 이동한 거리의 절반까지 이동하는 골프 스윙 연습 기구.
  3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러너는 슬롯을 가진 트랙을 따라 이동하도록 배열된 트롤리를 포함하여, 상기 트롤리가 상기 트랙의 슬롯에 걸치고 상기 코드가 상기 트롤리로부터 상기 슬롯을 통하여 상기 핸들까지 연장되는 골프 스윙 연습 기구.
  35. 골퍼가 핸들을 저항에 대해 가상 골프 스윙 커브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골프 핸들에 저항을 인가하는 골프 스윙 연습 기구에 있어서,
    상기 골프 핸들에 부착되고 트랙을 따라 활주하도록 배열된 각각의 이동가능한 트롤리 상의 각 풀리까지 연장되는 한 쌍의 코드
    를 포함하고,
    상기 코드 중 하단 코드의 고정된 말단은 상기 트롤리 중 하단 트롤리 하측에 고정되고, 풀리 블록은 상기 코드 중 상단 코드의 고정된 말단과 상기 트롤리 중 상단 트롤리 상의 풀리 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핸들이 골프 스윙 커브를 따라가는 동안 상기 코드를 상기 트랙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끌어 당김에 따라 상기 코드는 상기 상단 트롤리가 하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보다 더 멀리 상기 하단 트롤리를 하측방향으로 당기며,
    상기 트롤리 각각은 하측방향 이동에 대하여 바이어스되고,
    상기 가상 골프 스윙 커브는 상기 가상 골프 스윙이 타격 영역으로 접근할 때 상기 핸들에 인가된 저항이 더 커지도록 상기 가상 골프 스윙이 상기 타격 영역으로 접근할 때 상기 코드가 상기 트랙으로부터 더 신속하게 멀어지는 방향으로 끌어 당겨지도록 상기 트롤리 트랙에 대하여 상대적인 관계로 배열되는
    골프 스윙 연습 기구.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 스윙 연습 기구가 상기 각각의 트롤리에 연결될 수 있는 선택가능한 복수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 기구.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을 상기 각 트롤리에 각각 연결시키도록 배열된 블록 및 태클을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 기구.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골프 스윙이 타격 영역에 도달할 때 수평면 위 및 수평면 아래로 연장되는 골프 스윙 연습 기구.
KR1020037011007A 2001-02-22 2002-02-14 스윙 연습 기구 KR1007911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792,225 2001-02-22
US09/792,225 US6537184B2 (en) 2001-02-22 2001-02-22 Swing exerciser
PCT/US2002/004351 WO2002068064A2 (en) 2001-02-22 2002-02-14 Swing exerci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4259A true KR20030094259A (ko) 2003-12-11
KR100791130B1 KR100791130B1 (ko) 2008-01-02

Family

ID=25156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1007A KR100791130B1 (ko) 2001-02-22 2002-02-14 스윙 연습 기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537184B2 (ko)
EP (1) EP1385581A4 (ko)
JP (1) JP4160829B2 (ko)
KR (1) KR100791130B1 (ko)
CN (1) CN1255199C (ko)
AU (1) AU2002242168A1 (ko)
CA (1) CA2437541A1 (ko)
HK (1) HK1065498A1 (ko)
TW (1) TW544324B (ko)
WO (1) WO2002068064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500B1 (ko) * 2007-11-15 2008-03-27 최영식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100841483B1 (ko) * 2007-04-25 2008-06-25 박정규 골프스윙연습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49815A1 (en) * 2001-12-07 2003-06-19 Novotny Milo R Constant force golf swing training device, method of swing plane training and internet operation thereof
US7931178B2 (en) * 2003-03-17 2011-04-26 Lighting Packs, LLC Suspended load ergonomic backpack
US7201712B2 (en) * 2003-07-14 2007-04-10 Leif Tiahrt Oscillatory resistance exercise device and method
US7695414B2 (en) * 2003-07-14 2010-04-13 Tiahrt Leif K Varying force vector exercise device for inducing musculature perturbations
US20050159232A1 (en) * 2003-08-26 2005-07-21 Mackay Peter F. Golf training device
US7056224B1 (en) 2003-12-17 2006-06-06 Robert M Keyes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US7223218B2 (en) * 2004-05-28 2007-05-29 Karafa Michael A Muscle strengthening device
US20070129224A1 (en) * 2004-05-28 2007-06-07 Karafa Michael A Muscle strengthening device
US20060030465A1 (en) * 2004-08-05 2006-02-09 Johnson Kenneth B Reconfigurable attachment for rehabilitation equipment
US20060100071A1 (en) * 2004-11-08 2006-05-11 John Elmhirst Golf swing training and exercise method
CA2605684C (en) * 2005-03-01 2016-05-03 Michael A. Wehrell Physical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US7695415B2 (en) 2005-08-09 2010-04-13 University Of Toledo Trunk rotation
US8360942B2 (en) 2005-08-09 2013-01-29 The University Of Toledo Core muscle strengthening
US7329211B2 (en) * 2005-09-21 2008-02-12 Kellion Corporation Backswing release handle
US7628738B2 (en) * 2005-09-21 2009-12-08 Kellion Corporation Bracket release handle
US7326155B2 (en) * 2005-09-21 2008-02-05 Kellion Corporation Exercise extension handle
US20070197353A1 (en) * 2006-02-23 2007-08-23 Hundley Kenneth W Sports specific movement emulators and cams
US7699724B1 (en) * 2006-12-22 2010-04-20 Roudy Derisse Ball throwing muscle training apparatus
US7677992B2 (en) * 2007-02-09 2010-03-16 Moos Michael R Apparatus and method for training a baseball batter to swing a baseball bat level
CN101848747A (zh) * 2007-06-07 2010-09-29 迈克尔·A·韦里尔 侧向训练器械和方法
RU2347599C1 (ru) * 2007-09-17 2009-02-27 Александр Леонидович Алексее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учения и 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я техники удара в теннисе
US7914390B2 (en) * 2008-02-26 2011-03-29 Vincent Seiter Portable sports sw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US8147357B1 (en) * 2008-07-23 2012-04-03 Nichols Gary S Baseball swing trainer device and method
US8282500B1 (en) * 2009-11-04 2012-10-09 Masching William J Golf performance aid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for helping a golfer achieve a desirable golf swing
US8556785B1 (en) * 2009-11-12 2013-10-15 Stephen P. Ihli Golf exercise methods and apparatus
JP5536952B2 (ja) * 2010-09-03 2014-07-02 ジェムテック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フィットネス器具
FR2968570A1 (fr) * 2010-12-10 2012-06-15 Federation Francaise De Ski Ergometre destine aux skieurs
US20120202611A1 (en) * 2011-02-07 2012-08-09 Terry Warren Sports training device
US9416959B2 (en) 2012-05-17 2016-08-16 Donald Spinner Illuminated golf
US9370702B1 (en) * 2012-09-14 2016-06-21 James O'Reilly Training aid for sports
EP2969058B1 (en) 2013-03-14 2020-05-13 Icon Health & Fitness, Inc. Strength training apparatus with flywheel and related methods
CN111481876A (zh) * 2013-10-17 2020-08-04 M·W·唐 产生相反肌肉阻力的健身装置和锻炼方法
EP3623020B1 (en) 2013-12-26 2024-05-01 iFIT Inc. Magnetic resistance mechanism in a cable machine
WO2015138339A1 (en) 2014-03-10 2015-09-17 Icon Health & Fitness, Inc. Pressure sensor to quantify work
CN103961844B (zh) * 2014-05-19 2016-02-10 丽水市人民医院 一种术后肩关节锻炼器
WO2015191445A1 (en) 2014-06-09 2015-12-17 Icon Health & Fitness, Inc. Cable system incorporated into a treadmill
US10258828B2 (en) 2015-01-16 2019-04-16 Icon Health & Fitness, Inc. Controls for an exercise device
US10953305B2 (en) 2015-08-26 2021-03-23 Icon Health & Fitness, Inc. Strength exercise mechanisms
US10293211B2 (en) 2016-03-18 2019-05-21 Icon Health & Fitness, Inc. Coordinated weight selection
US10272317B2 (en) 2016-03-18 2019-04-30 Icon Health & Fitness, Inc. Lighted pace feature in a treadmill
US10625137B2 (en) 2016-03-18 2020-04-21 Icon Health & Fitness, Inc. Coordinated displays in an exercise device
US10561894B2 (en) 2016-03-18 2020-02-18 Icon Health & Fitness, Inc. Treadmill with removable supports
US10493349B2 (en) 2016-03-18 2019-12-03 Icon Health & Fitness, Inc. Display on exercise device
US10252109B2 (en) 2016-05-13 2019-04-09 Icon Health & Fitness, Inc. Weight platform treadmill
US10441844B2 (en) 2016-07-01 2019-10-15 Icon Health & Fitness, Inc. Cooling systems and methods for exercise equipment
US10471299B2 (en) 2016-07-01 2019-11-12 Icon Health & Fitnes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oling internal exercise equipment components
US10500473B2 (en) 2016-10-10 2019-12-10 Icon Health & Fitness, Inc. Console positioning
US10376736B2 (en) 2016-10-12 2019-08-13 Icon Health & Fitness, Inc. Cooling an exercise device during a dive motor runway condition
TWI646997B (zh) 2016-11-01 2019-01-11 美商愛康運動與健康公司 用於控制台定位的距離感測器
US10661114B2 (en) 2016-11-01 2020-05-26 Icon Health & Fitness, Inc. Body weight lift mechanism on treadmill
TWI680782B (zh) 2016-12-05 2020-01-01 美商愛康運動與健康公司 於操作期間抵銷跑步機的平台之重量
CN107007995B (zh) * 2017-04-28 2022-06-07 江苏经贸职业技术学院 一种高尔夫挥杆训练器
TWI722450B (zh) 2017-08-16 2021-03-21 美商愛康運動與健康公司 用於抗馬達中之軸向衝擊載荷的系統
US10729965B2 (en) 2017-12-22 2020-08-04 Icon Health & Fitness, Inc. Audible belt guide in a treadmill
WO2020146597A1 (en) 2019-01-10 2020-07-16 Mason Bradley R Swing training assembly for swing sports including golf, baseball, tennis or hockey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1506249A (en) * 1915-04-27 1915-09-09 Francis Engle Patterson An Improved Exercising Machine.
US3462156A (en) 1968-01-23 1969-08-19 Thurmond W Gentry Golf practice device
US3618942A (en) 1970-04-06 1971-11-09 Robert H Bates An elastic push-pull batting practice type exercise device
US3703294A (en) * 1971-09-20 1972-11-21 Robert E Fitch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US3966203A (en) 1975-03-10 1976-06-29 Bickford Richard A Resistance type golf swing practice and exercise device
US4135714A (en) 1976-02-03 1979-01-23 Hughes Ralph L Golf swing muscle developer
US4253663A (en) 1978-06-05 1981-03-03 Hughes Ralph L Golf swing muscle developer
US4243219A (en) 1978-08-11 1981-01-06 Price Paul J Portable lean-to exercising device
US4229002A (en) 1978-09-21 1980-10-21 Masters David H Golf swing exercise device
US4231568A (en) 1979-01-29 1980-11-04 Riley Robert Q Exercise machine with spring-cam arrangement for equalizing the force required through the exercise stroke
DE3618954C1 (de) * 1986-06-05 1987-09-17 Geza Abraham Trainingsgeraet
US5248464A (en) * 1987-04-23 1993-09-28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Article of ceramic material and production thereof
US5050874A (en) 1990-05-23 1991-09-24 Gruv-A-Swing, Inc. Swing training and exercising apparatus
US5242344A (en) 1990-10-31 1993-09-07 Hundley Kenneth W Limb movement exercising and training apparatus
US5284464A (en) 1992-06-30 1994-02-08 Lee Iii George P Swing training and exercising apparatus
US5269512A (en) 1992-10-05 1993-12-14 Joel L. Crowson Pitching and batting conditioning device
US5586962A (en) 1995-01-26 1996-12-24 Hallmark; Timothy M. Multiple sport training and exercise apparatus
US5816928A (en) 1996-01-25 1998-10-06 Colonna; John P. Golf putting practice apparatu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483B1 (ko) * 2007-04-25 2008-06-25 박정규 골프스윙연습기구
KR100817500B1 (ko) * 2007-11-15 2008-03-27 최영식 골프 스윙 연습장치
WO2009064123A1 (en) * 2007-11-15 2009-05-22 Young Sik Choi Apparatus for training a golf swing
US7896756B2 (en) 2007-11-15 2011-03-01 Young Sik Choi Apparatus for training a golf swing
CN101861189B (zh) * 2007-11-15 2012-03-07 崔荣植 用于训练高尔夫挥杆的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44324B (en) 2003-08-01
CN1255199C (zh) 2006-05-10
US6537184B2 (en) 2003-03-25
CA2437541A1 (en) 2002-09-06
WO2002068064A3 (en) 2003-04-03
EP1385581A2 (en) 2004-02-04
JP2004522542A (ja) 2004-07-29
EP1385581A4 (en) 2006-05-03
JP4160829B2 (ja) 2008-10-08
CN1492771A (zh) 2004-04-28
AU2002242168A1 (en) 2002-09-12
HK1065498A1 (en) 2005-02-25
KR100791130B1 (ko) 2008-01-02
US20020115540A1 (en) 2002-08-22
WO2002068064A2 (en) 200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1130B1 (ko) 스윙 연습 기구
US6558302B2 (en) Muscle training and development device
US7150682B2 (en) Exercise and golf, baseball and other sport training apparatus
US6579214B2 (en) Golfing exercise machine
US3595583A (en) Training device
US7056224B1 (en)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US6277056B1 (en) Multiple leg movement exercise apparatus
US6149554A (en) Exercise machine
US7530930B2 (en) Exercise apparatus
JP2006526456A (ja) 身体運動器械およびこの器械に使うための足載せ台プラットホーム
JP4146352B2 (ja) ゴルフ練習治具
US7914390B2 (en) Portable sports sw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US5257779A (en) Stroke training device
US5439214A (en) Stroke training device
US5624362A (en) Punching handle accessory
US5151070A (en) Resistance training device
EP0063131A1 (en) Swing training device
US5346220A (en) Golf club swing practice device
US5478079A (en) Golf training apparatus
WO1992007635A1 (en) Stroke training device
US7780580B2 (en) Arm exercise apparatus for run simulation
JP7165582B2 (ja) ボール打撃スイング練習補助具
WO2005016464A1 (en) Sports training apparatus
EP0346363B1 (en) A resistance trai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