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3523A - 섬유호스여과기의 여과 및 역세 효율 증대 장치 - Google Patents

섬유호스여과기의 여과 및 역세 효율 증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3523A
KR20030093523A KR1020020031102A KR20020031102A KR20030093523A KR 20030093523 A KR20030093523 A KR 20030093523A KR 1020020031102 A KR1020020031102 A KR 1020020031102A KR 20020031102 A KR20020031102 A KR 20020031102A KR 20030093523 A KR20030093523 A KR 20030093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housing
filter
fib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1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9627B1 (ko
Inventor
이석우
이창소
Original Assignee
한국정수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정수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정수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1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627B1/ko
Publication of KR20030093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3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6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3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밀여과호스의 유연성을 이용하여 유입수를 역세 및 여과하는 섬유호스여과기에 관한 것으로, 몸체(110)를 경사각을 갖도록 위치하여 몸체내부의 아래부분에 침전물이 적층되는 농축부(10)를 형성하되, 몸체(110)의 내부공간에 유입수의 수위에 따라 호스모듈(130)을 부유시키는 부유기(20)가 장착되며, 유체흡입구(141)에 원수를 분사하여 호스모듈(130)을 세척하는 원수분사구(30)가 장착되고, 몸체 (110)의 상면에 유입수 중 일부를 배출하여 몸체내벽을 따라 하향하는 유입수를 와류시키는 순환출구(50)가 형성되어져, 섬유호스여과기의 몸체를 경사지게 배치하여 호스모듈의 전체 길이를 길게 형성하므로써, 섬유호스여과기의 설치면적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절감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섬유호스여과기의 여과 및 역세 효율 증대 장치 {Device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filter using fiber hose}
본 발명은 정밀여과호스의 유연성을 이용하여 유입수를 역세 및 여과하는 섬유호스여과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섬유호스여과기의 호스모듈이 장착되는 몸체부를 경사지게 배치하여 여과 및 역세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된 섬유호스여과기의 여과 및 역세 효율 증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호스여과기는, 섬유사를 직조한 정밀여과호스(이하, 호스모듈이라 통칭함)의 유연성을 이용하여 유입수에 함유되는 이물질을 여과 및 여과하는 장치로서, 이러한 섬유호스여과기는 호스모듈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여과함은 물론 호스모듈을 팽창하여 역세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예컨대, 본원인에 의해 출원된 "섬유호스여과기"(등록번호: 10-274759호)에 의하면, 도 1에서와 같이, 몸체(110)에 지지판(120)을 통해 호스모듈(130)이 내장됨과 더불어 덮개(140)를 통해 밀폐되며, 몸체/덮개(110.140)에 유체유입구(141)와 처리수출구(142)와 슬러지배출구(143)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섬유호스여과기(100)의 밸브(미도시)를 작동하여 유체흡입구(141)를 개방하면, 유체저장조(미도시)내에 담겨져 있던 유입수가 몸체(110)에 안내된 다음, 호스모듈(130)의 스페이서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상태에서, 처리수출구(142)를 통해 배출되어 처리장소로 유도되는 것이다.
그리고, 섬유호스여과기(100)의 밸브(미도시)를 작동하여 공기공급구(144)를 개방하면, 공기탱크(미도시)내에 충진되어 있던 공기가 몸체(110)내로 안내되어 호스모듈(130)을 팽창시키므로, 호스모듈(130)에 부착된 이물질 또는 공극에 삽입되어 있던 이물질이 이탈되어 분리되는 것이다.
그런데, 본원 출원인의 특허공개공보에 의하면, 섬유호스여과기(100)를 수직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여과작용을 수행하는 상태로서, 호스모듈(130)에 의해 여과되는 유입수에 다량의 부유물질을 함유하는 경우, 호스모듈(130)의 공극이 막혀서 손쉽게 여과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섬유호스여과기(100)의 여과 효율을 증대하기 위한 수단으로, 호스모듈(130)의 전체길이를 길게 형성하는 방법이 있지만, 몸체(110)의 수압이 작용하는 하부부분으로는 압송공기가 공급되지 못하므로, 호스모듈(130)의 이물질의 역세에 따른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섬유호스여과기의 호스모듈이 내장되는 몸체를 경사지게 장착하여 여과 및 역세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된 섬유호스여과기의 여과 및 역세 효율 증대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를 경사각을 갖도록 위치하여 몸체내부의 아래부분에 침전물이 적층되는 농축부를 형성하되, 몸체의 내부공간에 유입수의 수위에 따라 호스모듈을 부유시키는 부유기가 장착되며, 유체흡입구에 원수를 분사하여 호스모듈을 세척하는 원수분사구가 형성되고, 몸체의 상면에 유입수 중 일부를 배출하여 몸체 내벽을 따라 하향하는 유입수를 와류시키는 순환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섬유호스여과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호스여과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전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호스여과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섬유호스여과기 110 : 몸체
120 : 지지판 130 : 호스모듈
140 : 덮개 10 : 농축부
20 : 부유기 30 : 원수분사구
40 : 슬러지배출구 50 : 순환출구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호스여과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전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호스여과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횡단면도로서,몸체(110)의 내부공간에 지지판(120)을 통해 복수개의 호스모듈(130)가 내장됨과 더불어 몸체(110)의 상부측에 덮개(140)가 체결되어 밀폐되며, 몸체(110)와 덮개 (140)에 유체흡입구(141)와 처리수출구(142)와 공기공급구(144)가 각각 장착된 섬유호스여과기(100)에 있어서, 몸체(110)를 경사각을 갖도록 위치하여 몸체내부의 아래부분에 침전물이 적층되는 농축부(10)를 형성하되, 몸체(110)의 내부공간에 유입수의 수위에 따라 호스모듈(130)을 부유시키는 부유기(20)가 장착되며, 유체흡입구(141)에 원수를 분사하여 호스모듈(130)을 세척하는 원수분사구(30)가 형성되고, 몸체(110)의 바닥면에 농축부(10)의 침전물을 배출하는 슬러지배출구(40)가 형성되며, 몸체(110)의 상면에 유입수를 일부 배출하여 몸체내벽을 따라 하향하는 유입수를 와류시키는 순환출구(50)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 중 섬유호스여과기(100)의 몸체(110)와 지지판(120)과 호스모듈(130)과 덮개(140)와 유체흡입구(141)와 처리수출구(142)와 공기공급구(144)는 종래 기술과 기능상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다만 몸체(110)를 경사지게 장착한 상태에서 호스모듈(130)의 전체길이를 길게 형성한 것에 차이점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섬유호스여과기(100)는, 유체저장조(미도시)의 유입수가 흡인되는 몸체(110)와, 몸체(110내에 지지판(120)을 통해 경사지게 내장된 호스모듈(130) 및, 몸체(110)의 상부측에 보울팅되는 덮개(140)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몸체(110)는, 그 기울기를 수평선을 기준점으로 하여 5∼10도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섬유호스여과기의 전체높이를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농축부(10)는, 몸체(110)의 내부공간 하부측, 즉 몸체(110)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경우 유입수가 자연스럽게 고이는 부분으로서, 이 농축부(10)에 유입수에 함유되는 부유물질이 부유되거나 침전된 상태로 머물러 있게 된다.
그리고, 부유기(20)는, 몸체(110)에 내장된 상태에서 유입수를 통해 부유되어 호스모듈(130)의 처짐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호스모듈(130)의 둘레면을 감싸는 연결끈(21)과, 연결끈(21)의 양선단부에 연결된 부레(22)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원수분사구(30)는, 유체흡입구(141)의 내부공간에 장착되는 호스모듈(130)을 향해 원수를 분사하는 것으로서, 호스모듈(130)의 표면을 향해 원수를 분사할 수 있는 곳이면 어느 곳이든지 설치가 가능하다.
그리고, 슬러지배출구(40)는, 농축부(10)에 침전 또는 부유되는 이물질을 배출하는 것으로서, 몸체(110)의 경사각에 따라 가장 낮은 위치에 형성하여 슬러지(침전물)의 배출효율을 증대시킴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순환출구(50)는, 몸체(110)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공기가 배출되거나 또는 유입수의 일부가 배출되는 곳으로서, 공기의 압송과정에서 발생하는 빈공간을 이용하여 몸체내벽을 따라 하향하는 유입수를 와류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섬유호스여과기(100)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일단 몸체(110)의 내부공간에 지지판(120)을 통해 호스모듈(130)을 경사지게 삽입함은 물론 호스모듈(130)의 둘레면에 부유기(20)를 설치한다.
그런 다음, 몸체(110)의 상부 즉, 지지판(120)의 상부측에 덮개(140)를 보울팅하여 고정시킨 다음, 섬유호스여과기(100)의 원하는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하면, 섬유호스여과기(100)의 설치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몸체(110)내에 유입수가 공급되는 경우, 부유기(20)의 부력에 의해 호스모듈(130)이 떠받쳐진 상태이므로, 호스모듈(130)의 처짐이 방지되어 몸체바닥면과의 접촉이 근본적으로 차단되는 것이다.
한편, 유체흡입구(141)에 의해 공급되는 유입수가 몸체(110)의 내부공간으로 충만되는 경우, 몸체(110)내에서 생성되는 각종 기체(기포)가 유입수와 함께 순환출구(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물론, 몸체(110)내에서 생성되는 기체가 순환출구(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유체흡입구(141)로부터 공급되는 유입수 중의 일부도 역시 순환출구 (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몸체(110)내에 공급되어진 유입수의 부유물질 중 비중이 높은 물질은 자중에 의해 경사면을 따라 농축부(10)로 모이고, 비중이 낮은 물질은 유입수에 부유된 상태로 머물러 있는 것이다.
이어서, 몸체(110)내에 공급되는 유입수는 호스모듈(130)의 스페이서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정화되어, 처리수출구(142)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섬유모듈(130)의 여과효율이 저하되어 공기공급구(144)의 개폐밸브를 작동하면, 공기공급구(144)로부터 압송되는 공기가 호스모듈(130)의 부피를 팽창시키므로, 호스모듈(130)의 이물질들이 제거된다.
이때, 몸체(110)내에 공급되는 공기가 순환출구(50)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다수개의 빈공간(기포)이 발생되고, 이러한 빈공간의 공기가 비중차이로 인해 상향하면서 유입수의 일부를 순환출구(50)로 함께 배출시킨다.
따라서, 공기공급구(144)에 의해 압송되는 공기가 순환출구(50)를 통해 지속적으로 배출되면서 유입수를 동시 배출시키는 상태이므로, 몸체(110)내의 유입수와 공기와 혼합되어 와류현상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와류작용이 반복되면서, 몸체내부의 유입수가 공기에 의해 위아래로 반복적으로 오르내리게 되어 호스모듈(130)의 표층을 세척하며, 이러한 공정이 끝나면 슬러지배출구(40)를 개방하여 농축부(10)의 침전물이 배출시킨다.
이어서, 원수분사구(30)의 밸브를 작동하면, 원수탱크(미도시)내의 원수가 펌프압력에 의해 분수처럼 분사되면서 호스모듈(130)을 또다시 세척하므로, 호스모듈(130)의 표층에 묻어 있던 이물질이 제거되는 것이다.
물론, 호스모듈(13)에서 떨어져 나온 각종 이물질들이 다시 농축부(10)에 침적되어 적층되는 경우, 슬러지배출구(40)를 개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면, 섬유호스여과기(100)의 여과 및 역세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섬유호스여과기의 여과 및 역세 효율 증대 장치에 의하면, 섬유호스여과기의 몸체를 경사지게 배치하여 호스모듈의 전체 길이를 길게 형성하므로, 섬유호스여과기의 설치면적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섬유호스여과기의 몸체를 경사지게 배치하여 몸체하부측에 농축부를 형성하므로, 유입수의 여과시간이 지속되어 부유물질의 농도가 높은 경우에도 여과효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섬유호스여과기의 순환호스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유입수의 와류 현상을 발생시키므로, 호스모듈의 표층에 부착되는 이물질들의 역세효율이 증대됨은 물론 호스모듈의 작동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섬유호스여과기의 원수분사구로 분사되는 원수를 이용하여 호스모듈을 재세척하므로, 호스모듈의 수명이 연장되어 여과기의 유지보수에 따른 각종 부대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몸체(110)의 내부공간에 지지판(120)을 통해 복수개의 호스모듈(130)가 내장됨과 더불어 몸체(110)의 상부측에 덮개(140)가 체결되어 밀폐되며, 몸체(110)와 덮개(140)에 유체흡입구(141)와 처리수출구(142)와 공기공급구(144)가 각각 장착된 섬유호스여과기(100)에 있어서,
    몸체(110)를 경사각을 갖도록 위치하여 몸체내부의 아래부분에 침전물이 적층되는 농축부(10)를 형성하되, 몸체(110)의 내부공간에 유입수의 수위에 따라 호스모듈(130)을 부유시키는 부유기(20)가 장착되며, 유체흡입구(141)에 원수를 압송하여 호스모듈(130)을 세척하는 원수분사구(30)가 장착되고, 몸체(110)의 상면에 유입수 중 일부를 배출하여 몸체내벽을 따라 하향하는 유입수를 와류시키는 순환출구(50)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호스여과기의 여과 및 역세 효율 증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몸체(110)는, 그 기울기가 수평선을 기준으로 하여 5∼10도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호스여과기의 여과 및 역세 효율 증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부유기(20)는, 호스모듈(130)의 둘레면 하단부를 감싸는 연결끈(21)과, 연결끈(21)의 양선단부에 장착되어 호스모듈을 부유시키는 부레(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호스여과기의 여과 및 역세 효율 증대 장치.
KR10-2002-0031102A 2002-06-03 2002-06-03 섬유호스여과기의 여과 및 역세 효율 증대 장치 KR100469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102A KR100469627B1 (ko) 2002-06-03 2002-06-03 섬유호스여과기의 여과 및 역세 효율 증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102A KR100469627B1 (ko) 2002-06-03 2002-06-03 섬유호스여과기의 여과 및 역세 효율 증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523A true KR20030093523A (ko) 2003-12-11
KR100469627B1 KR100469627B1 (ko) 2005-02-02

Family

ID=32385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1102A KR100469627B1 (ko) 2002-06-03 2002-06-03 섬유호스여과기의 여과 및 역세 효율 증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6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9864A (ko) * 2009-02-16 2011-12-02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여과 유닛 및 이것을 구비한 밸러스트수 제조 장치
KR101105343B1 (ko) * 2011-06-23 2012-01-16 신천희 투수성 식생블럭
CN108724818A (zh) * 2018-05-03 2018-11-02 南通市苏中纺织有限公司 一种纺织业新型etfe材料膜材料结构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0788A (ja) * 1987-11-17 1989-05-23 Nkk Corp マルチモジュール生物膜濾過装置
JP2722108B2 (ja) * 1989-05-08 1998-03-04 東急建設株式会社 中空糸膜束による汚水処理装置
JP2632455B2 (ja) * 1991-09-12 1997-07-23 ミウラエンジニヤリング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円形シックナー
JP3290561B2 (ja) * 1995-06-08 2002-06-10 株式会社クボタ 固液分離装置
JPH09253673A (ja) * 1996-03-27 1997-09-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汚水処理装置
JPH10128082A (ja) * 1996-09-09 1998-05-19 Hitachi Zosen Corp 膜分離装置
JP3918304B2 (ja) * 1998-06-02 2007-05-23 東レ株式会社 中空糸膜処理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9864A (ko) * 2009-02-16 2011-12-02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여과 유닛 및 이것을 구비한 밸러스트수 제조 장치
KR101105343B1 (ko) * 2011-06-23 2012-01-16 신천희 투수성 식생블럭
CN108724818A (zh) * 2018-05-03 2018-11-02 南通市苏中纺织有限公司 一种纺织业新型etfe材料膜材料结构
CN108724818B (zh) * 2018-05-03 2020-09-08 南通市苏中纺织有限公司 一种纺织业etfe材料膜材料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9627B1 (ko) 2005-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172B1 (ko) 수처리 시스템
KR101700931B1 (ko) 스크린과 섬유볼 여재의 역세척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1242378B1 (ko) 부유체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시설
KR200388784Y1 (ko) 상향류식 다단 여과장치
KR101769453B1 (ko) 슬러지배출을 위한 거대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장치
CN105813720A (zh) 浸渍式过滤装置
KR102348752B1 (ko)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된 여과공간을 갖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0525760B1 (ko) 회전식 상향류 수질 여과 장치
KR101129407B1 (ko) 비점오염원 정화 및 여과장치
US6039866A (en) Fluidized bed filtering apparatus
KR100469627B1 (ko) 섬유호스여과기의 여과 및 역세 효율 증대 장치
RU1836301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20060106069A (ko) 상향류식 다단 여과장치
KR101096864B1 (ko) 유수분리장치
KR101151908B1 (ko) 초기우수와 오염하천수를 동시에 처리 가능한 시설 및 그 처리방법
KR200207675Y1 (ko) 복수의 여과실을 구비한 침전여과장치
KR101038684B1 (ko) 다층 수평관 액체 침전장치
CN101163643A (zh) 采用净化水的净化水系统
KR100964784B1 (ko) 간이 상수도 여과장치
KR100668420B1 (ko) 수처리 장치
KR100453705B1 (ko) 침전 여과조를 이용한 오수처리장치 및 방법
KR100758875B1 (ko) 회전식 상향류 수질 여과 장치
KR100655483B1 (ko) 회전식 상향류 수질 여과 장치
CN108059234B (zh) 一种高效曝气池
KR100646309B1 (ko) 회전식 다층막 상향류 수질 여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