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2398A - 보조 의자 - Google Patents

보조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2398A
KR20030092398A KR1020020030042A KR20020030042A KR20030092398A KR 20030092398 A KR20030092398 A KR 20030092398A KR 1020020030042 A KR1020020030042 A KR 1020020030042A KR 20020030042 A KR20020030042 A KR 20020030042A KR 20030092398 A KR20030092398 A KR 20030092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rod
worker
chai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0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응보
백승렬
김철홍
Original Assignee
심응보
백승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응보, 백승렬 filed Critical 심응보
Priority to KR1020020030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2398A/ko
Publication of KR20030092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239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A47C9/025Stools for standing or leaning against, e.g. in a semi-standing or half-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40Telescopic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9Seat parts of non-adjustable shape adapted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피로를 줄여주는 보조 의자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지면에 지탱되는 안착부재와, 상기 안착부재에 결합하여 수직으로 상하조절이 가능한 실린더부재와, 상기 실린더부재 및 작업자의 엉덩이를 받쳐주는 상판을 연결시켜 주는 연결부재와 상기 실린더부재의 가스를 조절하여 상하이동을 제어하는 상하조절수단으로 구성된 보조 의자를 통해 작업자의 체중을 분산시켜 작업자의 피로를 줄여주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조 의자{STOOL FOR AN ASSISTANT STANDING MAN}
본 발명은 서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피로를 줄여주는 보조 의자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지면에 지탱되는 안착부재와, 상기 안착부재에 결합하여 수직으로 상하조절이 가능한 실린더부재와, 상기 실린더부재 및 작업자의 엉덩이를 받쳐주는 상판을 연결시켜 주는 연결부재와 상기 실린더부재의 가스를 조절하여 상하이동을 제어하는 상하조절수단으로 구성된 보조 의자를 통해 작업자의 체중을 분산시켜 작업자의 피로를 줄여주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의자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발달해감에 따라 다양한 직업이 새로이 등장하는데, 근래에는 서서 일하는 직업이 증가하는 추세다.
이렇게 서서 일하는 직업은 공장의 생산라인이나 규모가 큰 회사의 프론트 데스크 등등 많은 영역에 걸쳐 있고, 장시간 서서 일하는 것이 힘들기 때문에 수시로 다른 근무자와 교대를 하여 휴식을 취하고 다시 업무에 복귀하게 된다.
한편, 장시간 서서 일하는 부담을 해소하고자 일반적인 의자에 앉아서 작업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장기간 서서 일하게 되면 신체적 부담이 가중되어 쉽게 피로해지고, 근골격계의 질환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의자에 앉아서 작업하는 경우, 의자의 구조상 형성된 다리가 작업자의 작업동선에 지장을 주어 작업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써, 본발명의 목적은 장시간 서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엉덩이를 걸칠수 있게 하는 의자를 통해 장시간 서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체중을 분산시켜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고 작업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보조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의자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의자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 및 상하조절수단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일실시예의 모멘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상판 21 : 연결부재
31 : 실린더부재 41 : 안착부재
51 : 상하조절수단 61 : 보조 안착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에 엉덩이를 받쳐주는 굴곡진 형상의 받침부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의 배면에 돌출 형성되며 후방 양측면에 삽입홀을 구비한 면홈이 형성된 돌출부로 이루어진 상판과; 상기 상판의 면홈 외측면과 결합하도록 양측 전면에 결합홀이 형성된 측면부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부 사이에는 상측에 상부홀이 형성되며 측면부의 내주면과 결합하는 몸체부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는 내부에 하부홀이 형성된 삽입부가 돌출 형성된 연결부재와; 상기 하부홀에 일단이 삽입되고 크기가 다른 봉이 서로 수직으로 결합하되 크기가 작은 제1봉이 상부에 위치하고 제1봉을 삽입시키는 제2봉이 하부에 위치하는 실린더부재와; 상기 실린더부재의 제2봉이 결합하도록 내부에 고정홀이 형성된 고정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저면에는 지지부가 사방으로 다수 형성되는 안착부재와; 상기 제1봉의 상단에 가스개폐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스개폐기의 상단에는 내부에 탄성체가 구비되어 탄성복원력을 갖는 누름부가 상부홀을 관통하여 위치하고, 상기 누름부의 상단부는 버튼과 결합하는 상하조절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안착부재의 전방에는 보조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이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의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의자의 결합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 및 상하조절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의자는 상판, 연결부재, 실린더부재, 안착부재, 상하조절수단으로 구성되어, 서서 장시간 일하는 작업자가 엉덩이를 상기 상판에 걸침으로써,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판(11)의 전면에는 서서 작업하는 사람이 엉덩이를 기댈 때, 엉덩이를 받쳐주도록 굴곡진 형상을 하는 받침부(12)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부(12)의 배면에는 돌출부(13)가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돌출부(13)의 후방 양측면에는 삽입홀(15)을 구비한 면홈(14)이 형성된 다.
이때, 상기 상판(11)의 소재는 작업자의 신체가 직접 접촉하는 부위이며, 굴곡진 형상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프라스틱 소재를 이용한 사출품이나 다이캐스팅, 혹은 프레스가공에 의한 금속류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금속류인 경우 받침부(12)에 고무나 가죽과 같은 외피를 씌우는 것이 효과적이다.
연결부재(21)는 측면부(22), 몸체부(24) 및 삽입부(26)로 구성되는데, 측면부(22)는 연결부재(21)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양측 전면에는 상기 면홈(14)의 외측면과 고정핀(미도시)에 의해 결합하도록 삽입홀(15)과 일치되게 결합홀(2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판(11)이 연결부재(21)에 결합되어 회동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조절나사(미도시)가 삽입홀(15)에 나사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몸체부(24)는 상기 한쌍의 측면부(22) 내부 테두리를 따라 결합하는데, 상기 연결부재(21)에 결합하는 상판(11)의 회동을 원활히 하도록 상기 돌출부(13)의 면홈(14)이 삽입되는 공간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24)의 상부면에는 후술할 누름부(53)가 관통하도록 상부홀(25)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24)의 저면에는 내부에 하부홀(27)이 형성된 삽입부(27)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서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보조 의자에 앉을때의 하중은 지면에 수직한 하중과 지면에 수평한 하중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판(11)이 작업자의 부하를 받는 부분과 실린더부재(31)의 축방향에서 부하를 받는 부분이 실린더부재(31)의 축방향에서 작업자 방향으로 편중되도록 장치의 무게중심을 이동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는 상기 연결부재(21)가 실린더부재(31)의 축방향에 대해 90도로 꺾여 있으나, 90도에서 180도 사이로 꺾이더라도 무방하다.
실린더부재(31)는 크기가 다른 두봉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본 발명 보조 의자의 높낮이 조절을 가능케 하는 것으로써, 외부형상은 상부에 형성되고 상단이 하부홀(27)에 삽입 결합하는 제1봉(32)과, 상기 제1봉(32)을 삽입시키며 하단이 후술할 고정부(42)에 삽입 결합하는 제2봉(33)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한 실린더부재(31)는 일반적으로 가스방식에 의해 의자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조와 유사하다고 보아 그 내부의 구체적인 구성은 생략하기로 한다.
안착부재(41)는 본 발명 보조 의자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봉(33)이 삽입 결합하도록 내부에 고정홀(43)이 형성된 고정부(4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42)의 저면에는 지지부(44)가 사방으로 다수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44)는 고정부(42)를 기준으로 했을 때, 작업자 방향으로 작업자의 동선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짧게 형성되고, 양측으로 일정길이 만큼 형성되며, 작업자의 후방으로는 일정거리 이어지다가 대각선으로 대칭 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부재(41)의 소재는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한 사출, 다이캐스팅이나 프레스가공에 의한 금속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무게중심을 낮추어 안정적인 구조를 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착부재(412)는 본 발명을 지지함과 동시에 움직임을 예방하고 작업자의 작업에 방해됨을 최소화하도록 형성하는데, 그 저면에는 잘 미끄러지지 않는 소재를 사용하거나 다른 고정수단을 통해 지면에 고정할 수 있다.
상하조절수단(51)은 가스개폐기(52), 누름부(53), 버튼(54), 오링(55), 커버(59), 스프링(60)으로 구성되는데, 가스개폐기(52)는 가압에 의해 가스를 유입하거나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제1봉(32)의 상단에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는 가스개폐기(52)의 지속적인 가압 방지 및 후술할 버튼(54)이 가압이 소멸한 후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스프링(60)이 구비된다.
그리고, 누름부(53)는 원통의 직경이 상이한 제1,제2,제3원통(56,57,58)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1원통(56)은 가스개폐기(52) 및 스프링(60)의 상단에 위치하고, 제2원통(57)은 상기 제1원통(56)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원통으로 상기 제1원통(56)의 상단에 위치하여 상부가 연결부재(21)의 상부홀(25)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원통(57)의 상단에는 상기 제2원통(57)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3원통(58)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3원통(58)에는 하부에 나사홈이 형성된 버튼(54)이 나사 결합하게 되고, 원활한 상하운동을 위해 제1봉(32)의 상측단에는 상기 가스개폐기(52), 제1원통(56) 및 제2원통(57)의 하단부, 그리고, 스프링(60)을 감싸는 커버(59)가 구비되며, 밀폐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원통(56)의 상단에는 제2원통(57)을 감싸는 오링(55)이 장착된다.
상기한 구성을 통해 작업자가 장시간 서서 작업시 자신의 엉덩이 높이에 맞게 상하조절수단(51)으로 상판(11)의 높이를 조절하여 받침부(12)에 엉덩이를 걸친다.
이때, 상하조절 방법은 일반적인 가스방식을 사용하는바, 버튼(54)을 살며시 누르면 높이가 올라가고 힘을 가하여 누르면 내려가는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5는 일실시예의 모멘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안착부재(41)의 전방에는 일단이 안착부재(41)와 고정되는 보조안착부(6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θ가 작업자의 엉덩이가 기대는 방향이면 이 값은 45도 이하가 되므로 Fsinθ< Fcosθ된다.
즉, 보조안착부(61)가 없는 경우 시계방향 모멘트 Mcw = Fcosθ* 750mm이고, 반시계방향 모멘트 Mccw = Fsinθ* 200mm가 되어 Mccw < Mcw가 되므로, 반시계방향의 힘인 작업자의 발로 밟는 힘이 부가되면 평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작업자의 반대방향에 여유공간이 협소하여 안착부재(41)의 후방에 형성되는 지지부(44)를 짧게 하여야 될 필요성이 있는 경우, 상기 보조안착부(61)를 나사나 못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통해 지면에 고정시키면 본 발명에 따른 보조의자가 안정적으로 설치되게 된다.
한편, 상기 보조안착부(61)는 두께를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작업환경 침해를 차단시키도록 하고, 부가적으로는 부드러운 소재를 사용하거나 지압을 위한 다수의 돌기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의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의자에 의하면 장시간 서서 일하는 작업자가 상판에 엉덩이를 걸침으로 해서, 작업자의 체중을 분산시켜 하지의 근골격 부하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체중 분산 효과는 하지의 근막통증증후군(MPS)을 예방할 수 있고, 장기간 근육이 경직된 상태로 인해 나타나는 혈행장애나 신경압박등으로 인한 피로의 누적을 예방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앉지 못하게 설계되어 작업자의 정상 작업역을 확장하는 효과를 볼 수 있고, 어깨에 걸리는 부하를 줄여주어 근막통 증후군이나 견봉하 점액낭염, 상완이두건막염, 극상근 건염등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판의 높이조절 및 회동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작업자와 작업물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경추주위근과 승모근의 막아주어 혈행장애, 신경압박으로 인한 피로의 누적을 예방하고, 근막통증후군과 경추판탈출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드러운 보조안착부의 사용으로 혈액의 순환을 자유롭게 하고, 다리 등의 혈관 수축을 예방하여 피로감과 불쾌감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면에 엉덩이를 받쳐주는 굴곡진 형상의 받침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12)의 배면에 돌출 형성되며 후방 양측면에 삽입홀(15)을 구비한 면홈(14)이 형성된 돌출부(13)로 이루어진 상판(11)과;
    상기 상판(11)의 면홈(14) 외측면과 결합하도록 양측 전면에 결합홀(23)이 형성된 측면부(22)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부(22) 사이에는 상측에 상부홀(25)이 형성되며 측면부(22)의 내주면과 결합하는 몸체부(24)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24)의 저면에는 내부에 하부홀(27)이 형성된 삽입부(27)가 돌출 형성된 연결부재(21)와;
    상기 하부홀(27)에 일단이 삽입되고 크기가 다른 봉이 서로 수직으로 결합하되 크기가 작은 제1봉(32)이 상부에 위치하고 제1봉(32)을 삽입시키는 제2봉(33)이 하부에 위치하는 실린더부재(31)와;
    상기 실린더부재(31)의 제2봉(33)이 결합하도록 내부에 고정홀(43)이 형성된 고정부(4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42)의 저면에는 지지부(44)가 사방으로 다수 형성되는 안착부재(41)와;
    상기 제1봉(32)의 상단에 가스개폐기(52)가 형성되고 상기 가스개폐기(52)의 상단에는 내부에 탄성체가 구비되어 탄성복원력을 갖는 누름부(53)가 상부홀(25)을 관통하여 위치하고, 상기 누름부(53)의 상단부는 버튼(54)과 결합하는 상하조절수단(5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41)의 전방에는 보조안착부(6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의자.
KR1020020030042A 2002-05-29 2002-05-29 보조 의자 KR200300923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042A KR20030092398A (ko) 2002-05-29 2002-05-29 보조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042A KR20030092398A (ko) 2002-05-29 2002-05-29 보조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2398A true KR20030092398A (ko) 2003-12-06

Family

ID=32384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0042A KR20030092398A (ko) 2002-05-29 2002-05-29 보조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23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104B1 (ko) * 2009-12-04 2011-02-16 조덕용 고소 작업용 착용식 발 받침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2577A (en) * 1978-08-29 1980-03-07 Biedermann F Gmbh Co Kg Rising support device
JPH0576365U (ja) * 1992-03-27 1993-10-19 毅 西嶋 立ち仕事用椅子
JPH07241226A (ja) * 1994-03-05 1995-09-19 Kazuaki Okuda 作業用椅子
JP2000279271A (ja) * 1999-03-30 2000-10-10 Shigekatsu Nishiyama 立ち作業及び小休憩のための補助器具
JP2000333784A (ja) * 1999-05-27 2000-12-05 Takano Co Ltd 椅子の座部支持構造
KR200231406Y1 (ko) * 2001-02-23 2001-07-19 김강수 입좌식 의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2577A (en) * 1978-08-29 1980-03-07 Biedermann F Gmbh Co Kg Rising support device
JPH0576365U (ja) * 1992-03-27 1993-10-19 毅 西嶋 立ち仕事用椅子
JPH07241226A (ja) * 1994-03-05 1995-09-19 Kazuaki Okuda 作業用椅子
JP2000279271A (ja) * 1999-03-30 2000-10-10 Shigekatsu Nishiyama 立ち作業及び小休憩のための補助器具
JP2000333784A (ja) * 1999-05-27 2000-12-05 Takano Co Ltd 椅子の座部支持構造
KR200231406Y1 (ko) * 2001-02-23 2001-07-19 김강수 입좌식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104B1 (ko) * 2009-12-04 2011-02-16 조덕용 고소 작업용 착용식 발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2775B1 (en) Head and neck support for a seated person
US20060181136A1 (en) Torso supporting seating system
US8282171B1 (en) Seat assembly
KR101839782B1 (ko) 의자 등받이의 요추받이 틸팅장치
KR20030092398A (ko) 보조 의자
US20050096700A1 (en) Pelvis correction apparatus
KR200172039Y1 (ko) 자세교정용 의자
WO2009061125A1 (en) Chair for protecting pelvis enabling to set displacement angle of a seat
KR100354384B1 (ko) 의자
US20180134196A1 (en) Movable armrest assembly
KR20170029145A (ko) 책상 부착용 자세교정 장치
JP2021159732A (ja) 長時間良い姿勢で立つ為の補助具
KR101187635B1 (ko) 골반 고정식 착석물
KR200391516Y1 (ko) 작업 보조 장치
KR200298198Y1 (ko) 허리 받침대를 갖는 의자
CN214678287U (zh) 一种坐姿矫正器
KR20040042025A (ko) 상판 일체형 교구 의자
KR102095527B1 (ko) 골반 보호용 의자
KR200259767Y1 (ko) 책상용 상체 지지대
KR102292617B1 (ko) 학습용 의자
KR102574254B1 (ko) 탄력적인 입체 지지구조의 요추받침구가 구비된 의자용 등받이 프레임
CN210812290U (zh) 一种颈腰椎舒缓架
JP2005058349A (ja) 首部のマッサージ装置
KR102182578B1 (ko) 탈부착형 가슴받이
JP2006141859A (ja) 腰支持部を有する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1119

Effective date: 2006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