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767Y1 - 책상용 상체 지지대 - Google Patents

책상용 상체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767Y1
KR200259767Y1 KR2020010031969U KR20010031969U KR200259767Y1 KR 200259767 Y1 KR200259767 Y1 KR 200259767Y1 KR 2020010031969 U KR2020010031969 U KR 2020010031969U KR 20010031969 U KR20010031969 U KR 20010031969U KR 200259767 Y1 KR200259767 Y1 KR 2002597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desk
hinge
support plate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9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기택
Original Assignee
손기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기택 filed Critical 손기택
Priority to KR20200100319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7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7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767Y1/ko

Link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상의 상판 전방측에 부착하여 책상에서 작업 및 학습하는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해줌으로써 사용자와 상판 사이에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시력 감퇴를 예방하고, 부하가 둔부와 요부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피로감을 경감시킬수 있도록 한 책상용 상체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책상용 상체 지지대{Device for supporting upper body for desk}
본 고안은 책상의 상판 전방측에 부착하여 책상에서 작업 및 학습하는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해줌으로써 사용자와 상판 사이에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시각적 피로도를 저감시키고, 부하가 둔부와 요부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신체에 가해지는 무리를 경감시킬수 있도록 한 책상용 상체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사회 ·문화적인 요인 등으로 인하여 실내에서 지적, 정신적 작업이나 학습을 해야 하는 경우가 늘어남에 따라서 작업 효율성의 증대와 신체의 편의성과 안정성 보장을 위한 많은 시도가 있었다.
이는 장시간 책상 앞에 앉아서 학습이나 작업을 할 때 책상이나 의자의 형상 및 사용자의 자세와 관련되어 작업의 효율성과 사용자의 건강상 문제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사용자의 부하를 직접 부담하는의자의 개선에 치우쳐 왔을 뿐, 책상 자체 또는 책상에 부가적으로 장착되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은 뒤쳐져있는 상태였다.
그러나, 사용자의 부하를 직접 부담하는 의자를 개선한다고 하더라도, 책 등의 대상물과 지나치게 짧은 거리를 이격한 채 응시하는 것이 습관화된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눈의 부담이 가중됨은 물론 종국적으로 시력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장시간 동안 책상 앞에 앉아 있게 되는 경우, 둔부와 요부에 부하가 집중되기 때문에 쉽게 피로해지고 허리에 통증을 느끼게 되며, 이를 개선하고자 하는 요구는 의자의 개선과 함께 요구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와 대상물과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사용자에 의해 각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상기 대상물과의 거리를 설정 가능하도록 하며, 사용자의 신체 부하를 둔부와 요부에 집중시키지 아니하고 분산시킴으로써 허리에 가해지는 무리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책상용 상체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책상용 상체 지지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책상용 상체 지지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책상용 상체 지지대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책상용 상체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지지판, 2...통기공,
3...지지간, 4...힌지부,
5...제1볼트, 6...제1너트,
7...제1힌지편, 8...승강봉,
9...걸림나사, 10...통공,
11...지지체, 12...제2힌지편,
13...제2볼트, 14...제2너트,
15...스프링, 16...레버,
17...제3힌지편, 18...제3볼트,
19...제3너트, 20...장착구,
21...고정편, 22...걸림돌기,
23...누름편, 24...힌지삽입공,
25...슬리이딩홈, 26...슬라이딩가이드,
27...제1결합공, 28...제2결합공,
29...연결부, 30...슬라이딩웨이,
31...절개부, 32...책상의 상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책상용 상체 지지대에 있어서,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며, 뒷면에 힌지부가 구비되는 지지판과; 상단에는 내외부로 승강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지지판과 연결되는 승강봉이 구비되고, 그 일측면에는 제2 힌지편과 통공이 마련되며, 상기 제2 힌지편에 탄성적으로 장착되는 레버가 구비되는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와 연결되며, 상기 상방 돌출된 제3힌지편과 측면에 외향돌출하는 슬라이딩웨이를 구비하는 연결부와; ㄱ자로 절곡된 판상체로서, 상단면의 좌우측 및 후측 종단에 내부로 슬라이딩홈을 구비하는 슬라이딩가이드가 형성된 장착구; 를 구비하는 책상용 상체 지지대로서, 상기 승강봉은, 일측면에 다수의 걸림나사가 형성되며, 상단에 제1 힌지편이 구비되어 제1 볼트와 제1 너트를 통해 상기 지지판의 힌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레버는, 하단의 누름편과 상기 통공을 통해 지지체의 내부에서 상기 승강봉의 걸림나사에 걸려지는 상단의 걸림돌기로 구성되고, 제2 볼트 및 제2 너트와 스프링을 통하여 상기 제2 힌지편에 탄력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지지체의 하단은, 제3 볼트 및 제3 너트를 통하여, 상기 장착구에 탈부착 가능한 연결부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장착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책상용 상체 지지대는 지지판(1)과 지지체(11)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체(11)가 장착구(20)와 결합되면서 책상의 상판(32)에 장착된다.
상기 지지판(1)에는 내외를 관통하는 통기공(2)이 다수개 형성되며, 후면의 중앙에는 힌지부(4)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힌지부(4)는 상기 지지판(1)의 각 모서리부분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간(3)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체(11)는 상방이 개구된 통상체로서, 하단부에는 힌지삽입공(24)이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통공(1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통공(10)의 하방향으로 외향 돌출하는 제2힌지편(12)이 형성 설치되며, 상기 제2힌지편(12)에 형성된 구멍에 제2볼트(13)과 제2너트(14)에 의하여 레버(16)가 설치된다.
상기 레버(16)는 상측에 삼각형상으로 외향돌출하는 걸림돌기(22)가 형성되고, 하방에는 완만한 만곡면으로 구성되는 누름편(23)이 형성되며, 중앙 적소에는 상기 제2힌지편(12)과의 결합을 위한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체(11)는 그 내부에 승강봉(8)을 구비하며, 상기 승강봉(8)은 각봉상체로서 일측면에 다수의 걸림나사(9)가 형성되며, 상부 종단에는 상기 지지판(1)에 형성된 힌지부(4)와의 결합을 위한 제1힌지편(7)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구(20)는 ㄱ자로 절곡된 판상체로서, 상단면의 좌우측 및 후측 종단에는 내부로 슬라이딩홈(25)를 구비하는 슬라이딩가이드(26)가 형성되며, 중앙 적소에는 제1결합공(2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장착구(20)의 상단면과 90°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고정편(21)의 중앙 적소에는 제2결합공(28)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구(20)와 지지체(11)의 연결을 위해 연결부(29)를 구성하되, 하단면이 판상체이며 양측면에 슬라이딩웨이(30)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딩웨이(30) 내측으로 상방향으로 돌출하며 중앙 적소에 구멍이 형성되는 제3힌지편(17)이 형성 설치된다. 상기 제3힌지편(17)의 결합을 위하여 제3볼트(18)와 제3너트(19)가 구비된다.
상기 구성 요소 중에서 스프링(15), 제1·2·3볼트(5,13,18)와 제1·2·3너트(6,14,19)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합성수지재로 함이 바람직하며, 제1·2·3볼트(5,13,18)의 머리부와 제1·2·3너트(6,14,19)는 합성수지재로 피복 성형되도록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책상용 상체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판(1)의 좌우 양측에 반원상의 절개부(31)를 형성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절개부(31)는 사용자가 여성일 경우, 남성에 비해 외향 돌출된 가슴이 상기 지지판(1)에 의하여 눌려짐으로써 가슴에 압박을 가하게 되고, 이에 의해 불편함과 불쾌감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한 책상용 상체 지지대의 각 구성요소의 연결관계와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상기 지지판(1)에 형성된 힌지부(4)에 상기 승강봉(8) 상단에 형성된 제1힌지편(4)을 상기 제1볼트(5)와 제1너트(6)을 이용하여 나사결합시킨 후, 상기 승강봉(8)을 상기 지지체(11)의 내측으로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지지체(11)에는 레버(16)가 제2힌지편(12)과 제2볼트(13)과 제2너트(14)를 이용하여 나사결합되어, 상부의 걸림돌기(22)는 지지체(11)에 형성된 통공(10)을 통하여 내측으로 삽입되며, 하부의 누름편(23)은 지지체(11) 외주면과 접촉된다. 또한 상기한 상태에서 스프링(15)이 상기 레버(16)와 상기 지지체(11)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레버(16)는 항상 스프링(15)에 의한 탄성력을 부여받게 된다.
이러한 상태의 지지체(11) 내부에 지지판(1)과 결합된 승강봉(8)을 삽입시키면, 상기 승강봉(8) 일측면에 형성된 걸림나사(9)가 상기 레버(16)의 걸림돌기(22)와 결합되면서 상하 이동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지지판(1), 승강봉(8) 및 지지체(11)가 결합된 구조물은 상기 지지체(11) 하단에 형성된 힌지삽입공(24)과 상기 연결부(29)에 형성된 제3힌지편(17)에 제3볼트(18)과 제3너트(19)를 통하여 나사결합된다.
상기 장착구(20)는 제1결합공(27)과 제2결합공(28)에 의하여 책상의 상판(32)과 결합된다. 책상의 상판(32)에 결합된 장착구(20)는 상기 연결부(29)와 결합되는 바, 상기 연결부(29)에 형성된 슬라이딩웨이(30)가 장착구(20)에 형성된 슬라이딩가이드(26)의 슬라이딩홈(25)에 삽입되면서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과 결합관계를 갖는 본 고안은 도 2와 같이 책상의 상판(32) 전방측 상면과 모서리에 장착구(20) 및 연결부(29)를 이용하여 지지판(1)의 전면이 사용자의 상체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상체 부분은 지지판(1)에 의해 지지되어 상체가 앞으로 굽는 것이 방지되고, 사용자와 대상물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부하가 가슴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판(1)을 포함하는 본 고안에 의한 상체 지지대에도 걸리므로 둔부나 요부에 부하가 집중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 의한 상체 지지대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지지판(1)이 승강봉(8)에 대해 힌지부(4)와 승강봉 상단의 제1힌지편(7)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각도 조절되므로 항상 사용자의 상체 특히, 가슴 부분에 밀착된다. 특히, 여성사용자의 사용에 적합하도록 하기 위해, 본 고안의 상체 지지대에 있어서, 지지판(1)의 양측에 형성된 절개부(31)로 인하여 가슴이 압박되지 않고 편안한 자세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의 신체 조건 특히, 앉은 키에 따라서 지지판(1)의 높이를 조절함에 있어서, 지지판(1)의 높이를 높이는 경우에는 지지판(1)을 상측으로 당기면 걸림돌기(22)는 그 경사면이 걸림나사(9)의 경사면에 대해 미끄러지면서 체결이 해제되며 사용자가 지지판(1)을 당기는 만큼 승강봉(8)이 지지체(11) 밖으로 드러나며 길이가 신장되어 전체적으로 지지판(1)의 높이가 높아진다.
반면에, 지지판(1)의 높이를 낮추는 경우에는 레버(16)의 누름편(23)을 눌러서 레버(16)가 스프링(15)에 대항하여 회동하면서 상단의 걸림돌기(22)와 승강봉(8)의 걸림나사(9)의 체결을 해제시키고 난 후, 승강봉(8)을 지지체(11) 안으로 밀어 넣어서 외관으로 드러나는 승강봉(8)의 길이를 단축시킴으로써 지지판(1)의 높이를 낮춘다. 그 다음 누름편(23)의 누름 동작을 해제하여 레버(16)가 스프링(15)에 의해 복귀되도록 하면서 다수개의 걸림나사(9) 중의 하나에 걸림돌기(22)가 선택적으로 끼워지게 함으로써 지지판(1)의 높이를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한 지지판(1)의 높이 조절은 승강봉(8)의 신축을 이용하는 방법 이외에 지지체(11)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제3볼트(18)와 제3너트(19)를 이완시키고 난 후, 지지체(11)를 장착구(20)에 대해 전후(前後)로 움직여 각도를 조절하고, 제3볼트(18)와 제3너트(19)를 원래의 상태로 고정시키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체(11)가 상판(24)의 연장선과 이루는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지지판(1)의 높이가 조절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지지판(1)과 책상의상판(32) 모서리 사이의 거리도 조정된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책상용 상체 지지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3볼트(18)와 제3너트(19)를 이완시키고 난 후에 지지체(11)를 책상의 상판(28)에 절첩하여 고정시킨다. 이로써 인체나 피복 등이 상체 지지대에 걸리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한 변경을 가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책상용 상체 지지대에 있어서, 상체 지지대의 각도 및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와 대상물과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시력을 보호할 수 있으며, 부하가 둔부와 요부에 집중되지 않고 상체에 분산되어 걸림으로써 피로를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거리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사용자는 신체 조건에 구애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으며, 지지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책상 상판에 절첩해 두는 것이 가능해 인체나 피복 등이 걸리지 않아 보관이 용이하다.

Claims (2)

  1.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며, 뒷면에 힌지부가 구비되는 지지판과;
    상단에는 내외부로 승강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지지판과 연결되는 승강봉이 구비되고, 그 일측면에는 제2 힌지편과 통공이 마련되며, 상기 제2 힌지편에 탄성적으로 장착되는 레버가 구비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와 연결되며, 상기 상방 돌출된 제3힌지편과 측면에 외향돌출하는 슬라이딩웨이를 구비하는 연결부와;
    ㄱ자로 절곡된 판상체로서, 상단면의 좌우측 및 후측 종단에 내부로 슬라이딩홈을 구비하는 슬라이딩가이드가 형성된 장착구; 를 구비하는 책상용 상체 지지대로서,
    상기 승강봉은, 일측면에 다수의 걸림나사가 형성되며, 상단에 제1 힌지편이 구비되어 제1 볼트와 제1 너트를 통해 상기 지지판의 힌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레버는, 하단의 누름편과 상기 통공을 통해 지지체의 내부에서 상기 승강봉의 걸림나사에 걸려지는 상단의 걸림돌기로 구성되고, 제2 볼트 및 제2 너트와 스프링을 통하여 상기 제2 힌지편에 탄력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지지체의 하단은, 제3 볼트 및 제3 너트를 통하여, 상기 장착구에 탈부착 가능한 연결부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장착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상체 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좌우 양측에 반원형의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상체 지지대.
KR2020010031969U 2001-10-19 2001-10-19 책상용 상체 지지대 KR2002597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969U KR200259767Y1 (ko) 2001-10-19 2001-10-19 책상용 상체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969U KR200259767Y1 (ko) 2001-10-19 2001-10-19 책상용 상체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767Y1 true KR200259767Y1 (ko) 2002-01-09

Family

ID=73110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969U KR200259767Y1 (ko) 2001-10-19 2001-10-19 책상용 상체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76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223B1 (ko) 2004-07-20 2007-01-16 선진산업 주식회사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1263344B1 (ko) * 2011-11-21 2013-05-16 조규홍 책상용 쿠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223B1 (ko) 2004-07-20 2007-01-16 선진산업 주식회사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1263344B1 (ko) * 2011-11-21 2013-05-16 조규홍 책상용 쿠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6312B1 (en) Armrest assembly
US5839786A (en) Adjustable armrest
KR102314380B1 (ko) 의자용 요추받침대
US6311939B1 (en) Integrated mouse pad and wrist and arm support
US20020158501A1 (en) Chair
KR200259767Y1 (ko) 책상용 상체 지지대
KR200298215Y1 (ko) 책상용 상체 지지대
KR102210396B1 (ko)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KR20210152918A (ko) 의자의 탄성력 있는 굴곡조절모듈
EP4306006A1 (en) Two-stage foot support device
KR200191797Y1 (ko) 등받이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
KR100512607B1 (ko) 상판 일체형 교구 의자
KR200298198Y1 (ko) 허리 받침대를 갖는 의자
KR200375592Y1 (ko) 책상 배받이
KR20020081641A (ko) 책,걸상높이 조절장치
KR200298191Y1 (ko) 의자에 부착된 마우스 팔걸이 보조책상
KR101449665B1 (ko) 책상용 자세 교정장치
KR200276876Y1 (ko) 컴퓨터 의자에 가설되는 다기능의 키이보드판과 마우스보드판
CN219629155U (zh) 一种座椅的靠背气杆调节结构
KR102182578B1 (ko) 탈부착형 가슴받이
KR890002966Y1 (ko) 책상용 가슴 받침대
KR200302824Y1 (ko) 상판 일체형 교구 의자
KR200329547Y1 (ko) 의자
KR200302692Y1 (ko) 의자의 등받이
KR200246464Y1 (ko) 데스크 높이의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