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2347A -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 - Google Patents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2347A
KR20030092347A KR1020020029986A KR20020029986A KR20030092347A KR 20030092347 A KR20030092347 A KR 20030092347A KR 1020020029986 A KR1020020029986 A KR 1020020029986A KR 20020029986 A KR20020029986 A KR 20020029986A KR 20030092347 A KR20030092347 A KR 20030092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mobile terminal
rotary
rotating
degr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9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6747B1 (ko
Inventor
김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9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6747B1/ko
Priority to US10/338,239 priority patent/US7064745B2/en
Priority to AT03000430T priority patent/ATE416562T1/de
Priority to DE60324984T priority patent/DE60324984D1/de
Priority to EP03000430A priority patent/EP1367804B1/en
Priority to CNB031032001A priority patent/CN1207652C/zh
Publication of KR20030092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2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7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1Including a rotatable keypad body p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는 본체의 일면에 표시장치와 조작부로 구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일부가 대야 형태로 함몰 되어 형성된 키패드 장착 베이와 상기 키패드 장착 베이에 대응하는 디스크 형태를 갖고 상기 키패드 장착 베이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 설치되는 회전키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장치는 상하로 긴 초상화 이미지 형태로 좌우로 긴 풍경화 이미지 형태의 정보를 표시할 경우 상기 정보를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표시한다. 이 경우, 상기 회전키패드를 상기 정보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표시장치를 좌우로 길게 배치한 상태에서 키패드 조작이 용이해 진다.

Description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 {Rotary-Keypad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 가능한 키패드가 장착되어 요구되는 기능에 따라 키패드의 배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이동단말기 보급이 확산되고 그 기능이 향상됨에 따라 이동단말기는 기존의 음성 통화 기능은 물론 여러 가지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발전해 가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멀티미디어 기능이 이동단말기에 통합되면서 처리하는 정보량의 증가는 이동단말기 표시장치의 대형화를 요하게 되었고, 이동단말기, 특히, 폴더형 이동단말기의 액정 표시장치는 이동단말기의 크기에 제한을 받기 때문에 좌우 방향 보다는 상하 방향으로 긴 형태로 발전하였다.
도1은 종래의 폴더형 이동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폴더형 이동 단말기를 펼쳤을 때 정보 표시창(30)이 커버(20) 상에 상하로 길게 배치되어 있고, 이동단말기의 본체(10) 하측에 주키패드(40)와 그 상측에 보조 키패드(50)가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하로 긴 형태의 액정 표시장치를 탑재한 이동단말기에서는 초상화 (portrait) 이미지나 문자를 표시하는 데는 적합하나 좌우가 긴 풍경화(landscape) 이미지나 보통 4:3 비율로 가로 축이 긴 비디오 클립을 표현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물론, 풍경화 이미지를 가로축 크기에 맞추어 표시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이미지의 크기가 줄어들어 전체화면을 활용하지 못하게 되며 전체화면에 표시한다 하더라도 원본 이미지가 상하로 길게 늘어져 가독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초상화 이미지를 90도 회전시켜 표시할 수도 있겠지만, 이 경우 정상적인 이미지를 보기 위해서는 이동단말기 자체를 90도 회전시켜서 보아야 하고, 이동단말기를 90도 회전시키게 되면 키패드의 배열이 익숙하지 않아 조작에 혼돈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동단말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로 긴 표시장치를 탑재한 이동단말기에서 좌우로 긴 풍경화 이미지 형태의 정보를 표시해야 할 경우 상기 정보를 90도 회전시켜 표시장치 전체를 활용할 수 있는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풍경화 이미지의 정보가 표시장치에 90도 회전되어 표시될 경우 이동단말기 상의 키패드도 정보의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킴으로써 키패드의 가독성을 유지하고 키패드 조작에 혼돈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이동단말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의 정면도.
도 3은 풍경화 이미지 모드에서 도2의 이동단말기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도면.
도 4는 도2의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의 측면도.
도 5A는 도2의 이동단말기의 회전키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투시도.
도 5B는 도 5A의 회전키패드의 측면도.
도 6은 도2의 이동단말기의 키패드 장착 베이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의 정면도.
도 8은 풍경화 이미지 모드에서 도7의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도면.
도 9은 도7의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0,600...본체20,200...커버
30,210,650...표시장치40...키패드
50,120,620...네비게이션 키패드 110,610...회전키패드
111...톱니112a, 112b... 고정홈
113...회전축115...단층부
117...스토퍼119...제1접점부
121,122,123,124...상하좌우 키 130...마이크로폰
150,630...키패드장착베이 153...개공
155...함몰부156a...제2젖점부
156b...제3접점부157...홀더 장착홈
157a...홀더 고정홈158...안내 구르브
159...키패드 홀더159a...헤드
159b...노브160,640...개구부
230...스피커폰300...힌지
700...플립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는 본체의 일면에 표시장치와 조작부로 구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일부가 대야 형태로 함몰 되어 형성된 키패드 장착 베이와 상기 키패드 장착 베이에 대응하는 디스크 형태를 갖고 상기 키패드 장착 베이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 설치되는 회전키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장치는 상하로 긴 초상화 이미지 형태로 좌우로 긴 풍경화 이미지 형태의 정보를 표시할 경우 상기 정보를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표시하며 이 경우 상기 회전키패드를 동일한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킴으로써 풍경화 이미지 형태의 정보를 보면서 혼돈 없이 키패드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가 초상화 이미지 운용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는 힌지 메카니즘(300)으로 일단이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본체(100)와 커버(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0)의 하단부에는 마이크로폰(130)이 그리고 전면 상단부에는 기능 조작을 위한 네비게이션 키패드(120)가 고정 배치되어 있고 상기 마이크로폰(130)과 네비게이션 키패드(120) 사이에 디스크 형상의 회전키패드(11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커버(200)의 내면 상단부에 스피커폰(230)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스피커폰(230) 하측에 하방향으로 긴 정보표시창(210)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초상화 이미지 운용모드에서, 상기 회전키패드(110)는 일반 전화기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정보표시창(210)에 표시되는 정보도 일반 전화기에서와 동일한 방향으로 표시된다.
도3은 도2의 폴더형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가 풍경화 이미지 운용 모드로 전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에서 상기 회전키패드(110)는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정보 표시창(210)에 표시된 이미지도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되어 있다. 이 경우, 고정 배치되어 있는 상기 네비게이션 키패드(120)의 상하좌우 방향키들(121, 122, 123, 124)은 각각 좌우하상 ??향키로 기능이 바뀌게 된다.
도4는 도3에 도시된 폴더형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의 측면도이다.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는 상기 회전키패드(110)와 대응하는 형태로 함몰 형성된 키패드 장착 베이(150)를 갖추고 있어서 상기 회전키패드(110)가 상기 키패드 장착 베이(15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된다.
상기 키패드 장착 베이(150)는 본체의 좌우 방향으로 소정 너비 만큼 터져 형성된 개구부(160)를 갖추고 있어서 상기 회전키패드(110)의 원주면 일부가 상기 개구부(160)를 통해 노출된다.
상기 회전키패드(110)의 원주면에는 상기 개구부(160)를 통해 상기 회전키패드(110)의 회전 조작이 용이하도록 톱니(111)가 형성되어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도2의 이동단말기의 회전키패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투시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키패드(110)는 그 하측면 중앙에 회전축 (113)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회전축 (shaft) (113)을 축(axis)으로 상기 회전키패드(110)보다 작은 반지름을 갖는 단층부(11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층부(115)의 원주면 일측에는 스토퍼(117)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 하측면에는 상기 회전키패드(110)와 상기 본체(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접점부(119)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117)와 반시계방향으로 90도 및 180도 떨어진 단층부 원주면에는 제1 및 제2 고정 홈 (112a, 112b)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상기 회전키패드를 탈거한 상태의 키패드 장착 베이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에서, 상기 키패드 장착 베이 (150)의 하단면에는 상기 회전키패드 (110)의 회전축 (113)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개공(15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공(153)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키패드(110)의 단층부(115)를 수용하기 위한 함몰부(15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함몰부(155) 하측면 (bottom surface)에는 상기 제1접접부에 대응하는 제2 접점부(156a)와 상기 제2접점부에서 시계 방향으로 90도의 각도 떨어진 지점에 제3접점부(156b)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및 제3 접점부가 배치되어 있는 방향의 함몰부 원주면을 따라 90도 만큼 안내 구르브 (158) (groov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키패드 장착 베이 (150)에는 본체(100) 외부와 통하는 홀더 장착 홈(157)과 이 홀더 장착 홈을 상기 함몰부와 연결하는 홀더 고정홈 (157a)이 형성되어 있어서 키패드 홀더 (159)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키패드 홀더(159)는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바이어스(bias) 되어 상기 키패드 홀더의 헤드(159a)가 상기 홀더 고정홈 (157a)을 통해 상기 함몰부 내부로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키패드(110)가 상기 키패드 장착 베이(150)에 안착되면 상기 회전키패드(110)의 제1접점부 (119)는 상기 키패드 장착 베이 (150)의 제2접점부 (156a)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회전키패드(110)의 스토퍼(117)는 상기 키패드 장착 베이 (150)의 안내 구르브(158)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홀더 (159)의 헤드(159a)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함몰부에 내부에 안착되어 있는 단층부(115)의 제1고정홈(112a)에 삽입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회전키패드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가 일반 음성 통화 시와 같이 초상화 이미지 운용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정보 표시창(210)은 상하로 긴 초상화 이미지 형태로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초상화 이미지 운용 모드에서 상기 회전키패드(110) 상의 키 조작에 의해 풍경화 이미지 운용 모드로 전환을 요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상기 정보 표시창(210)은 표시 정보를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표시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본체 외부에 상기 홀더 (159)의 knob (159b)를 상방향으로 밀어 올리고 개구부(160)를 통해 노출된 상기 회전키패드(11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회전키패드(110)의 회전각은 스토퍼(117)와 상기 안내 구르브(158)에 의해 90도로 제한되어 상기 제2 고정홈(112b)이 홀더 고정홈(157a)과 마주보고 위치하게 된다. 이상태에서 상기 홀더(159)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바이어스(bias)되고, 따라서 상기 헤더 (159a)가 상기 홀더 고정홈(157a)을 통해 상기 제2고정홈(112b)과 맞물리게 되어 풍경화 이미지 운용 모드에서 조작이 용이한 구조로 키패드 전환이 완료된다.
풍경화 이미지 운용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키패드(110)의 제1접점부(119)는 초상화 이미지 운용 모드에서의 위치와 관련하여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위치하게 되어 상기 키패드 장착 베이 (150)의 제3접점부 (156b)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단말기의 운용모드가 초상화 이미지 운용 모드에서 풍경화 이미지 운용 모드 혹은 그 반대로 전환되더라도 회전키패드와 본체와의 전기적 연결은 동일하게 유지되어 키패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는 일정하게 단말기 본체에 전달된다.
이동단말기가 풍경화 이미지 운용 모드에서 초상화 이미지 운용 모드로 전환될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회전키패드(110)를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고정 배치할 수 있다.
상기 회전키패드(110)는 이동단말기의 이미지 운용 모드 전환에 의한 정보 표시창(210)의 방향 전환에 따라 소정 시간후 자동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이동단말기의 이미지 운용 모드 전환에 따라 상기 네비게이션 키패드(120) 상의 상하좌우 방향키들(121, 122, 123, 124)도 각각 좌우하상 방향키로 기능이 전환된다.
상기 이동단말기의 이미지 운용 모드 전환에 따른 정보 표시창(210)의 정보 표시 방향 전환은 상기 회전키패드(110)의 회전 동작과 연동하여 회전키패드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키패드(110)는 상기 정보 표시창(210)의 화면 밝기 혹은 화면 진하기 같은 조정 다이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의 정면도이고, 도8은 상기 도7의 플립형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를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도면이고, 도9은 도8의 플리형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의 측면도이다.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에서는 정보 표시창(650), 회전키패드(610), 그리고 네비게이션 키패드(620)가 모두 본체(600)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600) 하단에 힌지 결합된 플립(700)이 포함된다는 점 외에 구성요소들의 모든 작동은 상기 제1 실시예의 폴더형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에서와 동일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는 사용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좌우로 긴 풍경화 이미지의 정보를 표시해야 할 경우 상기 정보를 90도 회전시켜 표시함으로써 표시장치 전체를 활용 수 있다.
또한, 풍경화 이미지의 정보가 표시장치에 90도 회전되어 표시될 경우 이동단말기 상의 회전키패드도 표시정보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90도 회전되어 이동단말기를 90도 기울인 상태에서도 키패드 상의 문자 가독성을 유지할 수 있어풍경화 이미지의 정보를 보면서 혼돈 없이 키패드 조작이 가능하다.
더불어, 풍경화 이미지의 정보가 표시장치에 90도 회전되어 표시될 경우 고정 설치되어 있는 네비케이션 키패드 상의 상하좌우 방향키들(121, 122, 123, 124)도 각각 좌우하상 ??향키로 기능이 전환되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방향키를 조작할 수 있다.

Claims (21)

  1. 본체의 일면에 표시장치와 조작부로 구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일부가 대야 형태로 함몰 되어 형성된 키패드 장착 베이;와
    상기 키패드 장착 베이에 대응하는 디스크 형태를 갖고 상기 키패드 장착 베이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 설치되는 회전키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키패드는
    상기 키패드의 하측면 중앙에 연결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키패드 보다 작은 반지름을 갖도록 돌출 형성된 단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층부는 그 원주면 일측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층부는 그 하측면에 상기 회전키패드를 이동단말기 본체와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제1접점부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층부는 상기 스토퍼와 반시계방향으로 90도 및 180도 떨어진 원주면에 제1 및 제2 고정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장착 베이는 하단면에 상기 회전키패드의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개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장착 베이는 상기 개공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키패드의 단층부를 수용하기 위한 함몰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그 하측면에 상기 회전키패드의 제1접점부와 접촉하도록 대응 형성된 제2접점부와 상기 제2 접점부와 시계방향으로 90도의 각으로 형성된 제3접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제2 및 제3 접점부가 형성되어 있는 방향의 외주면을 따라 90도 만큼 안내 구루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회전키패드의 스토퍼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안내 구루부를 따라 슬라이딩 되어 상기 회전키패드의 회전 각도를 90도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장착 베이는 상기 함몰부를 외부와 연결하는 홀더 장착 통로를 갖추고 있어 상기 홀더 장착 통로에 키패드 홀더가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홀더는 일단에 외부로 노출되는 노브(knob)와 그 타단에 "L" 형태로 연장 형성된 헤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홀더는 탄성부재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바이어스 (bias)되어 상기 키패드 홀더의 헤드가 상기 함몰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장착 베이의 좌우측에 상하로 소정 너비만큼 절개되어 외부와 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키패드의 외륜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일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키패드의 외륜에는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키패드 조작에 의해 표시 정보를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가 표시정보를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표시할 경우 상기 회전키패드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90도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가 표시정보를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표시할 경우 상기 회전키패드도 자동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90도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하좌우 방향키들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고정 설치되는 네비게이션 키패드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가 표시정보를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표시할 경우 상기 상하좌우 방향키들은 좌우하상의 방향키로 기능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
KR10-2002-0029986A 2002-05-29 2002-05-29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 KR100446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986A KR100446747B1 (ko) 2002-05-29 2002-05-29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
US10/338,239 US7064745B2 (en) 2002-05-29 2003-01-08 Rotary-keypad for a mobile handset
AT03000430T ATE416562T1 (de) 2002-05-29 2003-01-10 Drehbares tastenfeld für ein mobiltelefon
DE60324984T DE60324984D1 (de) 2002-05-29 2003-01-10 Drehbares Tastenfeld für ein Mobiltelefon
EP03000430A EP1367804B1 (en) 2002-05-29 2003-01-10 Rotary-keypad for a mobile handset
CNB031032001A CN1207652C (zh) 2002-05-29 2003-02-11 移动通信终端的旋转键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986A KR100446747B1 (ko) 2002-05-29 2002-05-29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2347A true KR20030092347A (ko) 2003-12-06
KR100446747B1 KR100446747B1 (ko) 2004-09-01

Family

ID=29417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9986A KR100446747B1 (ko) 2002-05-29 2002-05-29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64745B2 (ko)
EP (1) EP1367804B1 (ko)
KR (1) KR100446747B1 (ko)
CN (1) CN1207652C (ko)
AT (1) ATE416562T1 (ko)
DE (1) DE60324984D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089B1 (ko) * 2003-05-06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입력 확장성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662348B1 (ko) * 2004-08-19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세계시간 및 알람 설정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0838042B1 (ko) * 2007-06-12 2008-06-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말에서의 키패드 변환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0845564B1 (ko) * 2003-12-29 2008-07-10 노키아 코포레이션 휴대용 전자 기기용 키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18337C (zh) * 2003-05-06 2008-09-10 三星电子株式会社 具有改进的输入数据能力的便携式通信装置
JP2004333957A (ja) * 2003-05-09 2004-11-25 Hitachi Ltd 携帯端末
US7195169B2 (en) * 2003-07-23 2007-03-27 Symbol Technologies, Inc. Mobile terminal with ergonomic housing
US20050052419A1 (en) * 2003-08-22 2005-03-10 Kyocera Wireless Corp.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improved keyboard
US20050124387A1 (en) * 2003-12-09 2005-06-09 Ribeiro Claudio S. Portable apparatus user interface
US7185818B2 (en) * 2003-12-29 2007-03-06 Symbol Technologies, Inc. Rotatable/removeable keyboard
FI20045058A (fi) * 2004-02-26 2005-08-27 Nokia Corp Kannettavaan elektroniseen laitteeseen liitettävä siirtonäppäimistö
US20050239448A1 (en) * 2004-04-12 2005-10-27 Bayne Anthony J System and method for the distribution of advertising and associated coupons via mobile media platforms
US7375743B2 (en) * 2004-05-25 2008-05-20 Greg Max Millar Surveillance system controller
US7671845B2 (en) 2004-11-30 2010-03-02 Microsoft Corporation Directional input device and display orientation control
EP1708463A3 (en) 2005-03-31 2009-09-30 Lg Electronics Inc. Portable terminal
KR100616304B1 (ko) * 2005-03-31 2006-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US20070142101A1 (en) * 2005-08-23 2007-06-21 Sudhir Seshagiri Mobi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rotatable keypad
US7507044B2 (en) * 2005-09-19 2009-03-24 Nokia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977555B2 (en) * 2006-01-27 2011-07-12 University Of South Florida Method of modifying the frequency response of a wooden article
US8662245B1 (en) 2006-01-27 2014-03-04 University Of South Florida Frequency response treatment of wood paneling
DE602007005600D1 (de) 2006-01-27 2010-05-12 Univ South Florida Beschleunigter alterungsprozess für akustische instrumente
KR100663467B1 (ko) * 2006-02-17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
CN101395561B (zh) * 2006-03-03 2011-05-18 日本电气株式会社 便携终端机以及输入接受方法
GB2438234A (en) * 2006-05-17 2007-11-21 Sean Stroud Portable translation device
US20090153371A1 (en) * 2007-12-14 2009-06-18 Griffin Jason T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Rotatable Keyboard
JP2010062684A (ja) * 2008-09-01 2010-03-18 Smk Corp 据え置き型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送信機
US20110148768A1 (en) * 2009-12-22 2011-06-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Customizable keyboard
CN101945153A (zh) * 2010-09-10 2011-01-1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折叠式手机
CN103246317A (zh) * 2012-02-07 2013-08-1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触屏电子设备
CN110307626B (zh) * 2019-06-26 2020-08-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线控器及线控器的控制方法及热水机组及空调机组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00835A1 (de) * 1986-01-14 1989-01-05 Porsche Design Gmbh Telefonapparat
DE19849888A1 (de) 1998-10-29 2000-05-04 Bosch Gmbh Robert Kommunikationsgerät
JP2001156893A (ja) * 1999-11-29 2001-06-08 Nec Saitama Ltd 通信機器の表示システム及び方法
US6373501B1 (en) * 2000-03-15 2002-04-16 Richard A. Fiero Portable device comprising keypad and screen
US6593914B1 (en) 2000-10-31 2003-07-15 Nokia Mobile Phones Ltd. Keypads for electrical devices
US6744427B2 (en) * 2001-03-01 2004-06-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haracter input interface for compact electronic devices
US20030044000A1 (en) * 2001-08-29 2003-03-06 Kfoury Tony N. Electronic device with rotatable keypad and displa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089B1 (ko) * 2003-05-06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입력 확장성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845564B1 (ko) * 2003-12-29 2008-07-10 노키아 코포레이션 휴대용 전자 기기용 키 장치
KR100662348B1 (ko) * 2004-08-19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세계시간 및 알람 설정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0838042B1 (ko) * 2007-06-12 2008-06-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말에서의 키패드 변환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6747B1 (ko) 2004-09-01
CN1462931A (zh) 2003-12-24
US20030222853A1 (en) 2003-12-04
CN1207652C (zh) 2005-06-22
DE60324984D1 (de) 2009-01-15
US7064745B2 (en) 2006-06-20
EP1367804B1 (en) 2008-12-03
ATE416562T1 (de) 2008-12-15
EP1367804A1 (en) 200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6747B1 (ko) 회전키패드 이동단말기
US7020495B2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with rotational LCD device
JP4261544B2 (ja) 本体回転型携帯端末機
JP2658928B2 (ja) 携帯通信機
CA2570509C (en)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electrical control buttons in an upper housing part
JP2004135360A (ja) 通信機器
JP2009153224A (ja) 電子装置及び情報表示方法
KR19990077513A (ko) 가변키보드를갖는전자장치
JP2004108581A (ja) 携帯用無線端末機のヒンジ装置
JP2005216158A (ja) 携帯端末
KR20070030566A (ko) 듀얼 화면 이동통신단말기
KR20060039750A (ko) 임의의 각도로 슬라이드 개폐되는 커버부를 갖는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JP4573024B2 (ja) 携帯端末
JP4658985B2 (ja) 携帯端末
KR20030068684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KR20040057314A (ko) 다중디스플레이 폴더형 단말기
KR100492001B1 (ko) 회전식 보조액정표시부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KR200174761Y1 (ko)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JP2003198685A (ja) 携帯端末
JP2002369252A (ja) 携帯電話端末およびその表示制御方法
KR10063167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회전 장치
JP2006019822A (ja) 折り畳み式電子機器
KR200291131Y1 (ko) 이동 단말기
KR100396265B1 (ko) 힌지 수단에 채용된 스크롤 키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폰
KR20030025437A (ko) 듀얼 키패드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