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1102A -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포함하는 면역활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포함하는 면역활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1102A
KR20030091102A KR1020020028515A KR20020028515A KR20030091102A KR 20030091102 A KR20030091102 A KR 20030091102A KR 1020020028515 A KR1020020028515 A KR 1020020028515A KR 20020028515 A KR20020028515 A KR 20020028515A KR 20030091102 A KR20030091102 A KR 20030091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gestible dextrin
composition
dextrin
group
indigest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8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5154B1 (ko
Inventor
우동호
우종림
박태선
송영주
김하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박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박태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Priority to KR10-2002-0028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5154B1/ko
Publication of KR20030091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1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1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23L33/21Addition of substantially indigestible substances, e.g. dietary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30Dietetic or nutritional methods, e.g. for losing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A61K31/718Starch or degraded starch, e.g. amylose, amylopect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포함하는 면역활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비특이적, 특이적 면역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포함하는 면역활성 조성물{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E REACTION CONTAINING INDIGESTIBLE DEXTRIN}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포함하는 면역활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만 및 동맥경화를 억제하고, 면역시스템을 활성화시키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식이섬유(dietary fiber)는 인체에 존재하는 소화효소로 소화되지 않는 식물 중의 난소화성 성분으로, 검(gum) 및 점액질(mucilage) 이외에도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즈, 리그닌, 및 팩틴과 같은 세포벽 물질을 포함한다.
식이섬유는 수용성과 불용성으로 구분된다. 식품원료로 많이 이용되는 수용성 식이섬유로는 사과, 당근, 콩, 보리, 귀리 등에 존재하는 펙틴, 검류, β-글루칸 등이 있으며, 불용성 식이섬유로는 주로 곡물, 갑각류 등에 존재하는 셀룰로스, 헤미셀룰로즈, 리그닌, 키틴 등이 있다.
수용성 식이섬유는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식후 혈당치 상승 억제 등의 생리활성을 가지고, 불용성 식이섬유는 저작시간 및 장내체류시간지연, 변량증가 등의 효과와 대장암 예방, 다이옥신류 등 환경오염물질의 체외 배설작용을 가진다.
최근에 수용성 식이섬유가 면역기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수용성 식이섬유인 펙틴 및 불융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스를 각각 흰쥐에 2주간 섭취시켰을 때, 펙틴을 섭취한 쥐의 장관막 임파절 중의 IgA, IgG 및 IgM 농도가 셀룰로스를 섭취한 쥐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고, 장관막의 CD4+ T-세포, CD4+/CD8+ 비율 역시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감마-인터페론도 유의하게 증가되는 것으로 확인되어, 수용성 식이섬유가 위장관의 면역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수용성 식이섬유의 종류에 따라 면역활성 효과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글루코만난의 경우 펙틴에 비해 면역기능 향상 효과가 훨씬 미약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활성은 수용성 식이섬유가 장관내에서 단쇄지방산을 형성하고, 형성된 단쇄지방산이 위장관내에서 T-세포의 수를 증가시키는 기작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한편, 전분에서 유래된 난소화성 덱스트린은 인슐린 분지를 억제하고(일본특허 평7-28693), 정장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일본특허 평7-28694). 그러나 상기한 선행 기술들은 곡류의 외피로부터 제조된 식이섬유의 혈중 지질대사개선 작용, 혈당조절 작용, 정장작용을 확인한 것으로 종래에 알려진 식이섬유의 적용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체중증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혈액내 고밀도 지질단백질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저밀도 지질단백질의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물의 면역시스템을 활성화시켜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포함하는 면역활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전분에서 유래된 난소화성 덱스트린이 비만, 동맥경화를 억제할 뿐만 아니라 체내 면역반응을 향상시킴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난소화성 덱스트린은 통상의 모든 종류의 난소화성 덱스트린으로, 일예로 기출원된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 243525호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난소화성 덱스트린 제조방법은 전분을 열풍으로 예비건조하는 단계, 염산을 첨가하여 염처리하는 단계, 중화제를 혼합하는 단계, 덱스트린을 온수에 용해시키고, 내열성 알파-아밀라제를 반응시키는 단계, 반응물에 활성탄을 가하고 가열시키는 단계, 여과하여 활성탄을 제거하는 단계, 음이온교환수지를 가하여 탈색된 덱스트린을 제조하는 단계, 당액에 음이온과 양이온이 혼합된 이온교환수지를 가하여덱스트린을 탈염하는 단계 및 탈염된 덱스트린을 농축시키고 분무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한 난소화성 덱스트린 제조방법은 (a) 원료전분을 열풍으로 예비건조시켜 가스상의 염산을 첨가하고 열처리하고, (b) 중화제를 건식상태로 혼합하여 제조된 열처리 덱스트린을 70 내지 90 ℃의 열수에 대해 30 내지 50중량% 농도로 용해시키고, (c) 내열성 알파-아밀라제를 열처리 덱스트린에 대하여 0.05 내지 0.5중량%를 첨가하여, 80 내지 100 ℃에서 100 내지 150분간 반응시키고, (d) 활성탄을 열처리 덱스트린에 대해 약 0.5 내지 1.0중량% 가한 후 가열하여 효소를 불활성화시키고, (e) 불활성액을 여과하여 활성탄을 제거하고, (f) 음이온교환수지를 효소처리액 고형분대비 부피로 2배 첨가하여 35 내지 45 ℃에서 20 내지 30시간동안 교반하여 탈색된 당액을 수득하고, (g) 당액에 양이온과 음이온이 혼합된 이온교환수지를 효소처리액에 고형분 대비 부피로 2배 첨가하고, 35 내지 45 ℃에서 20 내지 30시간동안 교반하여 탈염된 당액을 제조하고, (h) 탈염된 당액을 35 내지 45 %로 농축시킨 다음, 분무건조기로 건조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난소화성 덱스트린은 체중 증가를 억제하여 비만을 예방하고, 혈액내 고밀도 지질단백질-콜레스테롤 수치를 증가시키고 저밀도 지질단백질-콜레스테롤 수치를 감소시켜 동맥경화를 억제한다. 또한 난소화성 덱스트린은 비특이적 면역반응 뿐만 아니라 특이적 면역반응을 향상시켜 건강을 증진시킨다.
이에 본 발명은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포함하는 면역활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또한 비만억제용, 동맥경화억제용 또는 건강증진용으로 사용할 수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제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식품 조성물이라 함은 식품, 식품 첨가제, 음료 및 음료첨가제 등을 포함하는 의도이다.
본 발명의 난소화성 덱스트린은 식품 총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0 중량부로 첨가하여 과자류, 라면류, 음료수, 마요네즈, 드레싱, 아이스크림, 비타민 복합제 등의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난소화성 덱스트린은 총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0 중량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1종 이상의 담체에 첨가하여 약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담체로는 식염수, 완충 식염수, 물, 글리세롤 및 에탄올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적합한 제제(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는 모두 사용가능하다.
상기 조성물은 경고제, 과립제, 산제, 시럽제, 액제, 유동엑스제, 유제, 현탁제, 침제, 정제, 주사제, 캅셀제, 크림제, 트로키제, 파스타제 등의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구용이다. 상기 조성물의 투여량은 식이섬유의 통상적인 투여량으로, 일예로 1일 10 내지 50 g의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이에 한정되진 않으며, 환자의 연령, 성별, 상태, 체내에서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율 및 배설속도, 질병종류, 병용되는 약물에 따라 달리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재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제조
난소화성 덱스트린은 시판되는 열처리 덱스트린(C*Dry Set 08703, Cerestar, USA)을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공지된 방법(대한민국 특허공고 제 243525호)으로 제조하였다.
수분 10 %의 옥수수전분(삼양제넥스, 대한민국)을 유동층건조기(Glatt GmbH, Germany)의 컨테이너에 넣고, 열풍으로 100 ℃에서 30분동안 전분을 유동화시키면서 예비건조하였다. 전분이 5 %의 수분함량을 가질 때, 투입되는 열풍과 함께, 증류수로 50 % 희석된 36 % 농도의 염산(송야원제약사, 1급, 일본국)을 탑 스프레이방식으로 균일하게 전분 건물량의 0.5 %만큼 약 10분간 균일하게 분무하였다. 이 염산과 전분의 혼합물을 열매오일보일러(Glatt GmbH, Germany)를 사용하여, 혼합물의 온도를 기준으로 140 ℃에서 150분간 열처리하였다. 이어서, 공정의 확인이 완료되면 반응물을 냉각시키고, 중화제로서 전분에 대해 0.5 중량% 암모니움 바이카보네이트를 증류수에 용해하여 염산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무하여 건식상태에서 혼합함으로써 pH를 6으로 유지시킨 후, 다시 30분 정도 냉각시켜 열처리한 덱스트린을 수득하였다.
이후 제조된 열처리 덱스트린을 80 ℃의 열수에 정속교반기(동경이화학사, Chemy Stirrer B-100, 일본국)로 교반하면서, 40 중량%의 농도가 되도록 서서히 첨가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1 N NaOH를 사용하여 pH 5.8로 조절하여, 전기 당액에 내열성 알파-아밀라제(Novo Nordisk Bioindustry Ltd., 터마밀 120엘에스,Denmark)를 열처리 덱스트린에 대해 0.2 중량% 첨가하고, 미리 온도가 조절된 항온수조를 이용하여 당액의 온도를 95 ℃로 유지하며 120분간 반응시켰다. 이렇게 해서 얻는 당액에 1 N 염산용액을 첨가하여 pH 3으로 감소시키고, 덱스트린의 0.7 중량%의 활성탄(삼양제넥스, 대한민국)을 첨가하고 90 ℃이상으로 30분간 가열함으로써 효소를 불활성화시켰다. 효소가 불활성화된 당액은 뷔히너 깔때기에서 여과지(Advantec Co., Toyo 5A, 일본국)를 이용하고, 진공 흡인펌프로 흡입함으로써 예비여과시켰다. 그 후, 활성탄을 제거하기 위하여 유리여과지(Whatman International Ltd., GF/B, GF/F, U.K.)로 여과하고, 막 여과지(Gelman Co., Supor-200, U.S.A.)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여과하였다. 이어, 진공 증발농축기(동경이화학사, NE-1V, 일본국)를 이용, 효소반응액의 농도를 40 %로 조절한 후, 4 % NaOH용액으로 활성화시킨 음이온교환수지(삼양사, WA 30, 대한민국)를 효소처리액 고형분대비 부피로 2배 첨가하고, 40 ℃로 조절된 항온수조에서 정속교반기로 24시간 교반하여 덱스트린을 탈색하였다. 사용된 수지는 유리여과지를 사용하여 여과함으로써 제거하였다. 상기 여과액을 다시 40 %로 농축하고, 양이온(삼양사, SK-1B,대한민국) 및 음이온 교환수지(삼양사, WA 30, 대한민국)를 부피비로 1:2로 혼합한 활성화 혼합수지를 효소반응액의 고형분대비 부피비로 2배 첨가한 후 탈색과 동일한 조건으로 탈염하였다. 탈염된 당액을 진공농축기를 사용하여 다시 40 %의농도 수준으로 농축하였다. 그런 다음, 분무건조기(Niro Atomizer Co., Denmark)로 건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험식이
실험동물 및 실험식이
실험에 사용된 동물은 스프라그-돌리(Sprague-Dawley)계 흰쥐로서 일주일간의 예비사육 후에 식이의 종류에 따라 셀룰로스 그룹(CD, n=8), 전분 유래 난소화성 덱스트린(Indigestible dextrin) 그룹(ID, n=8)으로 나누어 4주간 사육하였다.
사육실의 사육환경은 온도 23 ± 1 ℃, 습도 50% 전후를 유지하였다.
사육기간 중 각 실험동물은 식이와 음료를 자유로이 섭취토록 하였으며, 체중은 매주 1회, 식이섭취량은 매일 오전중에 측정하였다.
실험식이는 AIN-93G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셀룰로스 또는 덱스트린의 함량은 순수 섬유소의 중량으로 환산하여 식이 총무게의 5 %로 첨가하였다(표 1).
성분 셀룰로스 그룹(g/kg diet) 난소화성 덱스트린그룹(g/kg diet)
전분(삼양제넥스) 496 296
124 124
카세인(삼익유가공 주식회사) 180 180
미네랄 혼합물(AIN-76, Oriental 효모공업국) 40 40
비타민 혼합물(AIN-76 pattern) 10 10
옥수수 오일(유니레버, 해표) 100 100
셀룰로스 50 -
난소화성 덱스트린 - 250*
모든 실험 데이터는 평균치 ± 표준편차로 처리하였고, 실험식이에 따른 유의성은 아노바(ANOVA)법으로 분석하여 각 군의 평균치 차이를 포스트-혹(Post-hoc)테스트로 P<0.05수준에서 검증하였다.
실시예 3: 식이에 따른 체중증가량 측정
실시예 2의 실험동물의 체중을 측정하여 체중증가정도를 확인하였다.식이 1주 후부터 난소화성 덱스트린 그룹의 체중이 셀룰로스 그룹에 비해 낮게 측정되었고, 이러한 현상은 식이 2주째에 더욱 현저하였다.
또한 4주간의 실험식이기간 중 평균 1일 식이섭취량은 난소화성 덱스트린 그룹이 셀룰로스 그룹에 비하여 낮게 측정되었다. 이를 하기 계산식으로 환산하여 식이효율을 계산한 결과 난소화성 덱스트린 그룹이 셀룰로스 그룹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진 않았다(표 2). 혈청 중성지방의 경우 셀룰로스 그룹은 평균 28.0 mg/dl, 덱스트린 그룹은 30.8 mg/dl으로 측정되었다.
(계산식)
2주간의 체중증가량/총 식이섭취량 = 식이효율
셀룰로스 그룹(평균±표준편차, n = 8) 난소화성 덱스트린 그룹(평균 ±표준편차, n = 8)
2주간 식이후 체중증가량(g) 327.8 ±3.7a 310.0 ± 3.5a
1일 식이섭취량(g) 19.6 ±0.12a 17.6 ±0.60a
식이효율 0.19 ±0.008b 0.18 ±0.005b
(a: 유의적 차이있음(p<0.05),b: 유의적 차이 없음)
실시예 4 : 식이에 따른 콜레스테롤 수치 변화 측정
4주간의 식이 후 각 실험동물을 18시간 이상 절식시키고, 디에틸 에테르로 마취한 다음 복부대정맥으로부터 채혈하였다. 혈액은 30분간 4 ℃에서 보관 후 2000 x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고, 이를 분석전까지 -80 ℃에 보관하였다.
혈청 총콜레스테롤, HDL(high-density lipoprotein)-콜레스테롤 및 LDL(low-density lipoprotein)-콜레스테롤 농도는 전자동 혈액분석기(Bayer Co., Chiron Diagnostic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셀룰로스 그룹(평균±표준편차, n = 8) 난소화성 덱스트린 그룹(평균±표준편차, n = 8)
총콜레스테롤(mg/dL) 103.9 ±3.76a 102.5 ±7.60a
HDL-콜레스테롤(mg/dL) 22.8 ±1.16a 28.8 ±1.02a
LDL-콜레스테롤(mg/dL) 10.5 ±1.09b 8.8 ±0.91b
(a: 유의적 차이있음(p<0.05),b: 유의적 차이 없음)
표 3에서, 총 콜레스테롤을 비교하였을 때 그룹간 유의한 차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HDL-콜레스테롤은 난소화성 덱스트린 그룹이 셀룰로스 그룹에 비하여 약 26 % 정도 증가하였다. LDL-콜레스테롤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난소화성 덱스트린 그룹이 셀룰로스 그룹에 비하여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난소화성 덱스트린은 혈관내 콜레스테롤 축적을 감소시키는 HDL-콜레스테롤 농도를 증가시키고, 혈관내 콜레스테롤 축적에 관여하는 LDL-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켜 동맥경화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5: Ig 농도 측정
난소화성 덱스트린 식이에 의한 면역반응 변화를 IgE 및 IgA를 측정하여 관찰하였다.
IgA는 위장관 및 호흡기 등의 점막면역에 관여하는 항체로서, 바이러스 또는 세균이 점막에 침입하면 숙주세포에 이들 이물질이 부착하는 것을 방해하는 작용을 한다. 이에 난소화성 덱스트린 식이성분의 면역활성 기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섭취 후 위장관에서 나타나는 면역기능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IgA의 농도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IgE는 네 종류의 과민면역반응(또는 알러지반응)중 제일형인 즉시형 과민면역반응(immediate type hypersensitivity)을 매개하는 항체이다. 즉, IgE가 비반세포(mast cell) 또는 호염구에 결합하여 표적세포를 감지하면 특이 항원(allergen)이 IgE와 교차결합하고 표적세포과립의 파괴(degranulation)가 유도되어 매개인자가 분비됨으로써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난다. 따라서 고초열(hay fever), 천식, 두드러기, 음식알러지, 습진 등에 관여하는 항체(IgE) 농도감소는 알레르기반응에 민감성이 저하됨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본 실험에서는 알레르기반응에 대한 민감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IgE를 측정하였다.
혈청의 Ig농도는 ELI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IgE는 쥐에서 정제한 IgE(Chemicon, USA)을 표준으로 하고, 정제된 마우스 항-쥐 IgE 모노클로날 항체(Beckton Dickinson, USA)로 반응시킨 다음 바이오틴이 접합된 마우스 항-쥐 IgE 모노클로날 항체를 검출용 항체로 반응시켜 405 nm에서 IgE 농도를 측정하였다. IgA 역시 IgE 농도 측정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항체는 IgA 모노클로날 항체를 사용하였다. 4주간의 실험식이한 각 그룹으로부터 채혈한 혈청에서 측정한 IgE 및 IgA의 농도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셀룰로스 그룹(평균±표준편차, n = 8) 난소화성 덱스트린 그룹(평균±표준편차, n = 8)
Ig E(g/mL) 48.51 ±15.14 40.02 ±5.53
Ig A((g/mL) 48.8 ±1.70 50.2 ±2.52
IgE 농도는 난소화성 덱스트린 그룹이 셀룰로스 그룹에 비해 낮은 경향을 나타내어, 헬퍼 T 세포에 의해 유도되는 면역반응이 향상된 것으로 판단되며, 항원의 침투를 억제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예방하는 IgA 농도는 난소화성 덱스트린 그룹에서 높게 나타났다.
실시예 6: 난소화성 덱스트린에 의한 NK세포의 분포
식이가 끝난 실험동물로부터 장관막 임파절(mesenteric lymph node; MLN)을 채취하여 RPMI1640 배양액(FCS 10%)에 넣고, 균질화시킨 다음 세포수를 4 x 106/mL으로 조정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각 세포용액 100 ㎕에 PBS 완충용액 500 ㎕(HEPES 1.191 g, 10 % FCS 5 ㎖, Na-Az 0.1 g, 10 PBS 50 ㎖, 증류수를 이용하여 500 ㎖ 조정)를 첨가하여 2000 xg에서 1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침전물에 200배 희석한 PE(phycoerythrin) 항-쥐 CD4(PharMingen, USA) 및 바이오틴 항-쥐 CD8(PharMingen, USA)를, 다른 튜브에는 FITC(fluorescein isothiocyanate) 항-쥐 CD45RA(PharMingen, USA) 및 바이오틴 항-쥐 NKRPIA(PharMingen, USA)를 20 ㎕씩 첨가하였다. 20분간 얼음상에 방치하고, PBS 완충용액 700 ㎕를 첨가한 다음 2000 xg에서 1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침전물에 100배 희석한 스트렙타비틴-FITC(Beckton Dickinson, USA) 또는 스타렙타비딘-PE를 10 ㎕씩 첨가하고, 얼음위에서 다시 20분간 방치한 후 PBS 700 ㎕를 첨가하여 2000 xg에서 1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침전물은 PBS 500 ㎕로 현탁시키고, 플루우 사이토메트리(flow cytometry)상에서 NK세포의 분포를 분석하여 표 5에 나타내었다. NK(Natural Killer)세포는 선천적인 면역시스템에 속한다. 즉, NK세포는 표적세포에 직접 작용하여 표적세포를 파괴시키는 비특이적인 면역기능을 가진다.
셀룰로스 그룹(평균±표준편차, n = 8) 난소화성 덱스트린 그룹(평균±표준편차, n = 8)
NK 세포(%) 1.84 ±0.09a 2.90 ±0.272b
(a: 유의적 차이있음(p<0.05),b: 유의적 차이 없음)
표 5에서, 난소화성 덱스트린 그룹은 셀룰로스 그룹에 비하여 NK 세포의 분포비가 높게 관찰되었다. 따라서 난소화성 덱스트린은 동물의 비특이적 면역조절기능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7: 감마-인터페론 및 인터루킨-4의 농도
실시예 2의 실험동물의 비장 및 장관막 임파절을 추출하여 감마-인터페론 및 인터루킨-4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식이가 끝난 실험동물로부터 장관막 임파절(mesenteric lymph node; MLN)을 채취하여 RPMI1640 배양액(FCS 10%)에 넣고, 균질화시킨 다음 세포수를 4 x 106/mL으로 조정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12 웰 플레이트에 각 세포용액을 300 ㎕씩 넣고, 100 ㎕의 Con A(25 g/㎖) 및 LPS(50 g/㎖)를 넣거나 넣지 않은 상태로 72시간 동안 CO25 %, 37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인터루킨-4 농도는 OptEIATM쥐 인터루킨-4 세트(PharMingen, USA)를 이용하여, 그리고 감마-인터페론의 농도는 쥐 감마-인터페론 ELISA(Endogen, USA) 상업용 키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한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다.
Con A 유무 셀룰로스 그룹(평균±표준편차, n = 8) 난소화성 덱스트린 그룹(평균±표준편차, n = 8)
감마-인터페론(pg/mL) - - -
+ 9.2 ±3.53b 12.7 ±3.60b
인터루킨-4(pg/mL) - -
+ 13.2 ±2.72a 19.7 ±4.13a
(a: 유의적 차이있음(p<0.05),b: 유의적 차이 없음)
Con A로 장관막 임파절세포를 자극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두 그룹 모두에서 인터루킨-4 및 감마-인터페론이 발현되지 않았다. 그러나 Con A로 자극한 후 장관막 임파절에서 감마-인터페론을 측정한 결과, 두 그룹간 유의할 만한 차는 없었지만 난소화성 덱스트린 그룹이 셀룰로스 그룹에 비하여 높은 농도의 감마-인터페론을 발현하였다.
인터루킨-4는 ConA 자극시 난소화성 덱스트린 그룹이 셀룰로스 그룹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많이 발현되었다.
따라서, 난소화성 덱스트린은 장간막 임파절 면역세포가 외부자극을 받았을 때 면역반응을 활성화시키는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포함하는 면역활성 조성물은 비특이적, 특이적 면역기능을 향상시켜 건강 기능성 식품소재 및 약학적 용도로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4)

  1.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포함하는 면역활성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난소화성 덱스트린은 전분으로부터 유래된 것인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활성 조성물은 식품, 식품 첨가제 또는 약제인 것인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과자류, 라면류, 음료수, 마요네즈, 드레싱, 아이스크림 또는 비타민 복합제인 것인 조성물.
KR10-2002-0028515A 2002-05-22 2002-05-22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포함하는 면역활성 조성물 KR100485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515A KR100485154B1 (ko) 2002-05-22 2002-05-22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포함하는 면역활성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515A KR100485154B1 (ko) 2002-05-22 2002-05-22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포함하는 면역활성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1102A true KR20030091102A (ko) 2003-12-03
KR100485154B1 KR100485154B1 (ko) 2005-04-22

Family

ID=32384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515A KR100485154B1 (ko) 2002-05-22 2002-05-22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포함하는 면역활성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51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6728A (ko) * 2013-02-06 2019-05-07 마쓰다니가가꾸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면역 증진제 및 이를 포함하는 면역 개선용 음식품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695B2 (ja) * 1990-02-26 1995-04-05 松谷化学工業株式会社 血清脂質成分の改善作用を有する食品組成物
JP2862418B2 (ja) * 1990-09-20 1999-03-03 森永乳業株式会社 脂質代謝改善に有効な機能性食品
EP0538146A1 (en) * 1991-10-17 1993-04-21 Matsutani Chemical Industries Co. Ltd. Indigestible dextrin
KR100243525B1 (ko) * 1997-07-10 2000-02-01 박종헌 효소 저항성이 높은 난소화성 텍스트린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6728A (ko) * 2013-02-06 2019-05-07 마쓰다니가가꾸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면역 증진제 및 이를 포함하는 면역 개선용 음식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5154B1 (ko) 2005-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65505B1 (en) Stimulation of the immune system with polydextrose
JPH0587052B2 (ko)
EP2391229B1 (en) Functional food product comprising heat shock protein or a hydrolysate thereof from alfalfa
KR100485154B1 (ko)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포함하는 면역활성 조성물
CA2474620A1 (en) Helicobacter pylori adhesion inhibitor
KR101985644B1 (ko) 면역 증진제 및 이를 포함하는 면역 개선용 음식품 조성물
JPH03175951A (ja) 不溶性食物繊維および不溶性食物繊維含有食品
NZ305350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pectin and a phospholipid
KR100485155B1 (ko) 효소저항전분을 포함하는 면역활성 증강용 조성물
JP4698796B2 (ja) 免疫賦活剤
JP2005097133A (ja) ハナビラタケ由来IgA産生促進剤
WO2011077063A1 (fr) Utilisation de polysaccharides dans le traitement du stress et de l&#39;anxiete
JP2006001922A (ja) アレルギー抑制組成物
JPH0434527B2 (ko)
CN114521650B (zh) 一种枣杏糖蛋白包载枣杏色素纳米肠道益生菌促进剂及其制备和应用
JP5107545B2 (ja) パイエル板形成誘導組成物
JP2003155249A (ja) IgA産生促進剤
JPH10175997A (ja) 海苔から得られるペプチド混合物
JPH092963A (ja) マオウより得られる糖質分解酵素阻害物質及びそれを含有するダイエット食品
JP4869492B2 (ja) 抗腫瘍組成物
JP5717433B2 (ja) 胆汁酸吸着用組成物
JPH0678236B2 (ja) 肝機能活性化物質
JPH07121867B2 (ja) 肝機能活性化剤
JP2004059547A (ja) アレルギー抑制組成物
JP2004107281A (ja) 酵母細胞壁を有効成分とする消化管免疫賦活剤および飲食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