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00Y1 - 다판식 진동 급송장치 - Google Patents

다판식 진동 급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00Y1
KR200300900Y1 KR20-2002-0028581U KR20020028581U KR200300900Y1 KR 200300900 Y1 KR200300900 Y1 KR 200300900Y1 KR 20020028581 U KR20020028581 U KR 20020028581U KR 200300900 Y1 KR200300900 Y1 KR 2003009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gap
diaphragm
vibration
foreign mat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5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평
박진희
Original Assignee
홍성평
박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평, 박진희 filed Critical 홍성평
Priority to KR20-2002-00285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9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건설폐기물로부터 재활용 골재를 생산하는 초기과정에서 건설폐기물을 파쇄하기 전에 건설폐기물의 내부에 혼재되어 있던 쓰레기나 토분 등과 같은 이물질을 사전에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다판식 진동 급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엔 통상적인 진동스크린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분리하고 있으나, 이러한 진동스크린의 경우 와이어 메쉬 형태이어서 건설폐기물의 내부에 혼재되어 있는 철근 등의 이물질이 쉽게 끼워져 막히고 함수비가 큰 토분은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하고 막히는 등 작업상 지장을 초래하며, 종래의 그리즐리 피더(Grizzly Feeder)의 경우에도 내부에 가로대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문제점을 해소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켜 어떠한 형태의 이물질도 중간에 걸리거나 막힘이 없이 흐르면서 다단식으로 이루어져 흐르는 물체를 낙하 전도되게 하여 덩어리 형태의 건설폐기물과 이와 혼재된 토분 등을 분리시켜 재생골재나 기타 골재의 생산과정에서 유효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다판식 진동 급송장치{Multi-Plate and Steps Grizzly Feeder}
본 고안은 각종 건설폐기물로부터 재활용 골재를 생산하는 초기과정에서 건설폐기물을 파쇄하기 전에 건설폐기물의 내부에 혼재되어 있는 쓰레기나 토분 등과 같은 이물질을 사전에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다판식 진동 급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엔 통상적인 진동스크린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분리하고 있으나, 이러한 진동스크린의 경우 와이어 메쉬 형태이어서 건설폐기물의 내부에 혼재되어있는 철근 등의 이물질이 쉽게 끼워져 막히고, 함수비가 큰 토분은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하고 막히는 등 작업상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통상적인 그리즐리 피더(Grizzly feeder)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부에 위치한 간극부재의 하부엔 보강 및 지지 역할을 수행하는 가로대가 다수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이들 간극부재와 가로대에 의하여 형성되는 폐곡선 형태의 간극사이에 건설폐기물의 내부에 혼재되어 있던 철근 등의 이물질이 쉽게 끼워져 막히고 함수비가 큰 토분은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하고 막히는 등 작업상 지장을 초래하여 생산서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 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본 고안을 이루는 기술 구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어떠한 형태의 이물질도 중간에 걸리거나 막힘이 없이 흐르면서 다단식으로 구성된 진동스크린은 흐르는 물체를 낙하 전도되게 하여 덩어리 형태의 건설폐기물과 혼재된 토분 등을 효과적으로 분리시켜 재생골재의 품질이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풍력에 의하여 건설폐기물로부터 비중이 낮은 쓰레기나 이물질을 별도로 분리가 가능하도록 풍력분리기구를 별도로 인접되게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다판식 진동급송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2는 도1의 평면도,
도3은 도1의 일부 종단면도,
도4는 도2의 요부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체, 11:가대, 12:편심축, 13:스프링 시트, 14:상부 호퍼,
15:하부 호퍼, 16:격판, 17:상부 부재, 18:간극
본 고안은 이와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체가 가대의 상부에 설치되고 편심축의 작동에 의하여 복수개의 스프링시트 상부에 얹혀진 상태에서 진동작동이 이루어지며 상,하부 호퍼를 갖추고 있어 상부호퍼에 투입된 대상물이 진동 분리 및 급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진동급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가로대가 없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격판을 설치하되, 상기 격판의 상단은 다단으로 단차가 형성된 단차부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격판의 상부에는 열처리가 이루어진 고강도의 상부부재를 각각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다판식 진동공급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격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은 후방 간극보다 전방 간극이 더 넓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필요시 상기 본체의 전방 하부 끝단과 인접된 위치에 별도의 풍력분리기구를 설치하되 상기 풍력분리기구는 상기 본체의 전방 하부 끝단의 직하부에 설치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대향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덕트가 각각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다판식 진동공급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예를 근거로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가 가대(11)의 상부에 설치되고 편심축(12)의 작동에 의하여 복수개의 스프링 시트(13) 상부에 얹혀진 상태에서 진동작동이 이루어지며 상,하부 호퍼(14,15)를 갖추고 있어 상부 호퍼(14)에 투입된 대상물이 진동 분리 및 급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진동급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가로대가 없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격판(16)를 설치하되, 상기 격판(16)의 상단은 다단으로 단차가 형성된 단차부(16a,16b)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격판(16)의 상부에는 열처리가 이루어진 고강도의 상부부재(17)를 각각 설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도1 및 도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격판(16)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18)은 후방 간극(18a)보다 전방 간극(18b)이 더 넓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폐콘크리트, 토분, 잔골재, 각종 쓰레기 등의 혼합물 형태인 원석 상태로 낙하 투입이 이루어지게 되는 건설폐기물이 초기에 후방 간극(18a) 부위로부터 진동 급송이 이루어지면서 전방 간극(18b) 부위로 이동하는 경우에 격판(16) 사이로 들어가는 대상물은 전방 간극(18b)에 까지 이동하면서 결국 통과하여 하부로 낙하하게 되며, 설사 간극(18)에 끼이게 되더라도 간극(18)의 폭이 넓은 전방 간극(18b) 측으로 서서히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보다 용이하게 분리 통과 하강하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1 및 도2에 예시한 바와 같이, 필요시 상기 본체(10)의 전방 하부 끝단과 인접된 위치에 별도의 풍력분리기구(2)를 설치하되, 상기 풍력분리기구(2)는 상기 본체(10)의 전방 하부 끝단의 직하부에 설치되는 송풍기(20)와 상기 송풍기(20)의 대향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덕트(22)가 각각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미설명 부호로서 3 및 4는 급송기구를 각각 나타내고, 9는 본체(10)에 건축폐기물을 이동 공급하기 위한 운반장비의 진입데크를 나타낸다.
다음은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인 장치에 대하여 작동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예를 들면 본체(10)를 가동시킨 상태에서, 진입하기 위한 진입데크(9)위로 운반장비가 진입하여 파쇄된 건설폐기물을 본 고안인 장치의 상부 호퍼(14)에 투입시키면, 본체(10)의 내부로 낙하하면서 공급이 이루어지고, 이때 본체(10)는 스프링 시트(13)의 상부에서 편심축(12)의 회전 작동에 의하여 진동 작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관계로 경사면을 타고 건설폐기물이 서서히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격판(16)이나 상부부재(17)는 다단으로 단차가 형성된 상태로 이루어져 있어 건설폐기물이 낙하, 전도되면서 급송이 이루어지고, 이들 격판(16)사이 간극(18)을 통과한 건설폐기물은 하부호퍼(15)를 경유 인접 설치되어 있던 급송기구(4)로 낙하하여 급송되고 이들 격판(16) 사이를 통과하지 못하고 단차부(16a,16b)를 거치면서 굴러서 이동하는 건설폐기물은 별도의 급송기구(3)로 낙하하여 급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더우기, 풍력분리기구(2)를 채택하는 경우엔 상기 간극(18)의 사이를 통과하지 못하고 대기중이던 급송기구(3)로 떨어지게 되는 건설폐기물이 떨어지는 도중에 그 중에 혼재되어 있던 비중이 낮은 불순물이나 이물질들은 송풍기(20)의 풍력에 의하여 바람에 날려 대향측에서 설치되어 있던 가이드 덕트(22) 속으로 날려 들어가서 소정의 장소로 이송하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다판식 진동 급송장치에 의하면, 본 고안을 이루는 기술 구성중, 격판(16), 상부부재(17), 단차부(16a,16b), 간극(18)에 관련된 기술구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어떠한 형태의 이물질도 중간에 걸리거나 막힘이 없이 흐르면서 다단식 진동스크린은 흐르는 물체를 낙하 전도되게 하여 덩어리 형태의 건설폐기물과 혼재된 토분 등을 분리시켜 재생골재의 품질이나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되고, 풍력분리기구(2)에 의하여 건설폐기물로부터 비중이 낮은 쓰레기나 이물질, 불순물 등을 별도로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생산성과 품질향상을 더욱 높일 수 있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도록 하였다.

Claims (3)

  1. 본체(10)가 가대(11)의 상부에 설치되고 편심축(12)의 작동에 의하여 복수개의 스프링 시트(13) 상부에 얹혀진 상태에서 진동작동이 이루어지며 상,하부 호퍼(14,15)를 갖추고 있어 상부 호퍼(14)에 투입된 대상물이 진동 분리 및 급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진동급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가로대가 없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격판(16)을 설치하되, 상기 격판(16)의 상단에는 다단으로 단차가 형성된 격판(16a,16b)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격판(16)의 단차부에는 열처리가 이루어진 고강도의 상부부재(17)를 각각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판식 진동 급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16)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18)은 후방 간극(18a)보다 전방간극(18b)이 더 넓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판식 진동 급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전방 하부 끝단과 인접된 위치에 별도의 풍력분리기구(2)를 설치하되, 상기 풍력분리기구(2)는 상기 본체(10)의 전방 하부 끝단의 직하부에 설치되는 송풍기(20)와 상기 송풍기(20)의 대향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덕트(22)가 각각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판식 진동 급송장치.
KR20-2002-0028581U 2002-09-24 2002-09-24 다판식 진동 급송장치 KR2003009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581U KR200300900Y1 (ko) 2002-09-24 2002-09-24 다판식 진동 급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581U KR200300900Y1 (ko) 2002-09-24 2002-09-24 다판식 진동 급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0Y1 true KR200300900Y1 (ko) 2003-01-24

Family

ID=49398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581U KR200300900Y1 (ko) 2002-09-24 2002-09-24 다판식 진동 급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00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726B1 (ko) * 2002-11-26 2005-06-28 산양환경산업 주식회사 건설폐기물의 선별장치
KR100703028B1 (ko) * 2006-11-16 2007-04-03 (주)한동재생공사 골재 선별장치
KR100808548B1 (ko) 2006-06-14 2008-02-29 대흥에코 주식회사 완충장치를 포함하는 죠 크러셔
US8575572B2 (en) 2010-04-09 2013-11-05 Landauer, Inc. Power system for dosimeter reader
US8592782B2 (en) 2010-01-12 2013-11-26 Landauer, Inc. Data storage mechanism and communication mechanism for portable dosimeter
KR20190084375A (ko) 2018-01-08 2019-07-17 이홍선 화분 이물질 분리기
KR20190002399U (ko) 2019-09-16 2019-09-26 이홍선 화분 이물질 분리기
CN115384960A (zh) * 2022-08-10 2022-11-25 中核混凝土股份有限公司 一种混凝土骨料仓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726B1 (ko) * 2002-11-26 2005-06-28 산양환경산업 주식회사 건설폐기물의 선별장치
KR100808548B1 (ko) 2006-06-14 2008-02-29 대흥에코 주식회사 완충장치를 포함하는 죠 크러셔
KR100703028B1 (ko) * 2006-11-16 2007-04-03 (주)한동재생공사 골재 선별장치
US8592782B2 (en) 2010-01-12 2013-11-26 Landauer, Inc. Data storage mechanism and communication mechanism for portable dosimeter
US8575572B2 (en) 2010-04-09 2013-11-05 Landauer, Inc. Power system for dosimeter reader
KR20190084375A (ko) 2018-01-08 2019-07-17 이홍선 화분 이물질 분리기
KR20190002399U (ko) 2019-09-16 2019-09-26 이홍선 화분 이물질 분리기
CN115384960A (zh) * 2022-08-10 2022-11-25 中核混凝土股份有限公司 一种混凝土骨料仓
CN115384960B (zh) * 2022-08-10 2023-08-15 中核混凝土股份有限公司 一种混凝土骨料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6075B1 (ko) 폐기물 선별 시스템
KR100235319B1 (ko) 건설폐기물 처리와 재활용을 위한 중간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DE69816070T2 (de)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Schredderstaub
KR200300900Y1 (ko) 다판식 진동 급송장치
KR101685025B1 (ko)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
CN105728157A (zh) 环保型模块化高品质砂石工作站及其控制方法
KR200424354Y1 (ko) 진동과 상하완충 수단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분급 이송 장치
AU2013385726A1 (en) Dry separation apparatus and dry separation method
CN103264043A (zh) 建筑垃圾分拣机及其分类系统
KR100358899B1 (ko) 폐콘크리트 골재화장치
KR200383357Y1 (ko) 건설폐기물의 풍력선별장치
KR100881217B1 (ko) 건설폐기물을 혼합하여 순환골재를 제조하는 장치
CN113751163A (zh) 一种建筑用废水泥块固体垃圾处理系统
KR100570319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102390539B1 (ko) 자동 골재 파쇄 및 선별 시스템
KR20040104058A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양질의 골재 생산장치 및 방법
KR100698024B1 (ko) 진동과 상하완충 수단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분급 이송 방법
CN206033581U (zh) 一种建筑垃圾回收利用生产线
KR20040028023A (ko)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
KR100649953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골재 및 토분 생산장치
CN112108265B (zh) 除铁系统及方法
CN206981173U (zh) 一种建筑废料无尘筛分设备
KR100730877B1 (ko) 다수개의 빔이 설치된 휘다
KR100518918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100574882B1 (ko) 자유 상하완충 및 좌우회전 수단을 이용한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뭉침 방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