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399U - 화분 이물질 분리기 - Google Patents

화분 이물질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399U
KR20190002399U KR2020190003786U KR20190003786U KR20190002399U KR 20190002399 U KR20190002399 U KR 20190002399U KR 2020190003786 U KR2020190003786 U KR 2020190003786U KR 20190003786 U KR20190003786 U KR 20190003786U KR 20190002399 U KR20190002399 U KR 201900023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pollen
roller
driven roller
dri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7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선
Original Assignee
이홍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홍선 filed Critical 이홍선
Priority to KR20201900037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2399U/ko
Publication of KR201900023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39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A01H1/025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2Methods or apparatus for hybridisation; Artificial pollination ; Fertility
    • A01H1/027Apparatus for poll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벌 또는 인공적으로 채취한 이물질이 포함된 화분이 무한괘도의 컨베이어를 거치면서 이물질과 화분이 분리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분리기에 있어서의 컨베이어가 이물질들이 흘러내릴 수 있는 일정한 경사를 유지하며, 또한 컨베이어의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받아 구동하는 구동로울이 컨베이어의 경사를 이루는 높은 위치에 장착되고, 종동로울은 낮은 위치에 장착되도록 하면서, 구동로울에 폭방향으로 둘레면에 보다 튀어나온 돌기들을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이 돌기가 종동로울와 연결되어 있는 직물 재질의 컨베이어를 간격을 두고 간헐적으로 타격함에 따라서, 컨베이어에 얹혀져 이동하는 화분 이외의 이물질은 튕겨져 차츰 종동로울쪽으로 이동하여 추출되고, 화분은 컨베이어의 표면에 얹혀져 추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분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는 화분 이물질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벌 또는 인공적으로 채취한 이물질이 포함된 화분이 무한괘도의 컨베이어를 거치면서 이물질과 화분이 분리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분리기에 있어서, 컨베이어(11)이 이물질들이 흘러내릴 수 있는 일정한 경사를 유지하며, 또한 컨베이어(11)의 구동원(10)부터 동력을 받아 구동하는 구동로울(100)이 컨베이어(11)의 경사를 이루는 높은 위치에 장착되고, 종동로울(200)은 낮은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로울(100)의 간헐적인 타격구동으로 화분(30)에 포함된 이물질이 종동로울(200)쪽으로 추출될 수 있고,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구동로울(100)에 폭방향으로 둘레면에 보다 튀어나온 돌기(110)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이 튀어나온 돌기(110)이 종동로울(200)과 연결되어 있는 직물 재질의 컨베이어(11)을 간격을 두고 간헐적으로 타격 구동있으며,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컨베이어(11)에 얹혀져 이동하는 화분(30) 이외의 이물질은 튕겨져 차츰 종동로울(200)쪽으로 이동하여 추출되고, 화분(30)은 컨베이어의 표면에 얹혀져 추출될 수 있고,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컨베이어(11)의 위면은 투명한 투명판(20)이 형성되어 컨베이어(11)에 화분(30)의 이동을 볼 수 있고, 투명판(20)의 위에 자외선램프(22)가 온,오프될 수 있다.

Description

화분 이물질 분리기{Separator for substance of flower pot}
본 고안은 화초 등의 꽃의 수술에서 나오는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벌 또는 인공적으로 채취한 이물질이 포함된 화분이 무한괘도의 컨베이어를 거치면서 이물질과 화분이 분리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분리기에 있어서의 컨베이어가 이물질들이 흘러내릴 수 있는 일정한 경사를 유지하며, 또한 컨베이어의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받아 구동하는 구동로울이 컨베이어의 경사를 이루는 높은 위치에 장착되고, 종동로울은 낮은 위치에 장착되도록 하면서, 구동로울에 폭방향으로 둘레면에 보다 튀어나온 돌기들을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이 돌기가 종동로울와 연결되어 있는 직물 재질의 컨베이어를 간격을 두고 간헐적으로 타격함에 따라서, 컨베이어에 얹혀져 이동하는 화분 이외의 이물질은 튕겨져 차츰 종동로울쪽으로 이동하여 추출되고, 화분은 컨베이어의 표면에 얹혀져 추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분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는 화분 이물질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벌 또는 인공적으로 채취한 화분에서, 꽃가루, 벌의 타액, 꿀이 뭉쳐진 천연 건강식품으로 이용하고 있다. 이 화분은 로얄제리를 만드는 원료이자 다양한 효능을 주는 건강식품이며, 꿀벌 화분속에는 생리활성물질이 무려 50여가지이고, 나이를 먹으면 피해갈수 없는 몸속 노화를 방지에 도움을 주고, 또한 면역력, 피로회복, 소염작용, 항산화작용, 간기능 개선효과 등 벌꿀화분 속에 들어있는 성분이 많아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채취한 화분에서 이물을 제거하지 않으면, 화분을 진공 포장하여도 이물질에 의하여 화분이 부패되게 되고, 또한 그대로 음용하는 경우 소화 흡수는 물론 이물질로 인하여 다른 질병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화분에 섞여있는 이물질의 제거하기 위하여 수확한 화분 등의 이물질 처리공정들이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축되지 않고 독립된 별도의 장치로 구성되어 있거나, 혹은 수작업에 의존하는 관계로 일목요연한 작업 진행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부분별 작업이나 수작업에 의한 인력 선별이 대부분이라 저장과 유통과정에서의 신속한 출하에 어려움이 많았고, 상품성 저하로 소득향상에 저해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예를 들어, 농산물 등과 이물질의 분리기로서는 이물질 제거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편심축의 작동에 의하여 복수개의 스프링시트 상부에 얹혀진 상태에서 진동작동이 이루어지며 상,하부 호퍼를 갖추고 있어 상부호퍼에 투입된 대상물이 진동분리 및 급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진동식 분리기가 있다.
또한, 재배농가에서는 이송 컨베이어의 하부로 이물의 분리 및 구근의 표면에 달라붙어 이송 컨베이어를 이동하는 이물의 분리를 보다 원활하게 수행함으로써 수확상태에서 작물의 훼손을 방지하고, 수확 후에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후처리 과정을 줄이며, 수확된 상태에서 상품성이 보다 향상되어 포장 출하가 바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작물 수확장치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에 의한 분리장치나 또한 컨베이어에 의하여 화분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으나, 화분은 매우 가벼워서 진동 또는 컨베이어에 의한 이물질의 분리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나 분리 소요시간이 길고, 이로 인하여 작업효율에서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090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8942호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화분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가 무한괘도에 의하여 구동되는 컨베이어서 이루어지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컨베이어가 이물질을 포함한 화분이 얹혀져 이동할 수 있는 동시에, 이물질들이 흘러내릴 수 있는 일정한 경사를 유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컨베이어에 구동원으부터 구동력이 전달되는 구동로울과 종동로울 형성하되, 상기 구동로울은 컨베이어의 경사진 높은 위치에 장착되고, 또한 종동로울은 낮은 위치에 장착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컨베이어의 구동로울에 폭방향으로 둘레면에 보다 튀어나온 돌기들을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컨베이어의 구동시에 구동로울의 돌기가 감는 방향으로 팽팽하게 컨베이어의 표면을 타격하는 효과로 인하여 종동로울로 연결된 컨베이어의 표면에 상,하방향으로 운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컨베이어의 상,하운동은 가벼운 이물질은 튕겨져 컨베이어의 경사를 따라서 차츰 종동로울쪽의 추출구로 배출되고, 또한 화분은 컨베이어의 표면에 붙은 상태에서 구동로울을 빠져나와 배출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벌 또는 인공적으로 채취한 이물질이 포함된 화분이 무한괘도의 컨베이어를 거치면서 이물질과 화분이 분리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분리기에서, 컨베이어가 이물질들이 흘러내릴 수 있는 일정한 경사를 유지하며, 또한 컨베이어의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받아 구동하는 구동로울이 컨베이어의 경사를 이루는 높은 위치에 장착되고, 종동로울은 낮은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로울의 간헐적인 타격구동으로 화분에 포함된 이물질이 종동로울쪽으로 추출될 수 있는 화분 이물질 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위면은 투명한 투명판이 형성되어 컨베이어에 화분의 이동을 볼 수 있고, 투명판의 위에 자외선램프가 온,오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벌 또는 인공적으로 채취한 이물질이 포함된 화분이 무한괘도의 컨베이어를 거치면서 이물질과 화분이 분리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분리기에 있어서의 컨베이어가 이물질들이 흘러내릴 수 있는 일정한 경사를 유지하며, 또한 컨베이어의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받아 구동하는 구동로울이 컨베이어의 경사를 이루는 높은 위치에 장착되고, 종동로울은 낮은 위치에 장착되도록 하면서, 구동로울에 폭방향으로 둘레면에 보다 튀어나온 돌기들을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이 돌기가 종동로울와 연결되어 있는 직물 재질의 컨베이어를 간격을 두고 간헐적으로 타격함에 따라서, 컨베이어에 얹혀져 이동하는 화분 이외의 이물질은 튕겨져 차츰 종동로울쪽으로 이동하여 추출되고, 화분은 컨베이어의 표면에 얹혀져 추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분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화분 이물질 분리기의 전체 개략도,
도 2 는 본 고안의 화분 이물질 분리기의 평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A-A선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자외선램프가 형성된 부분의 종단면도.
본 고안의 구체적인 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화분 이물질 분리기는, 구동원(10)에 의하여 구동되는 컨베이어(11)와, 이 컨베이어(11)을 일정각도로 유지할 수 있는 낮은다리(13)과 높은다리(14)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컨베이어(11)의 위에는 이물질을 분리하고자 하는 화분(30) 등을 넣을 수 있는 호퍼(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컨베이어(11)은 화분(30)에 포함되어 있는 후술하는 구동로울(100)의 구동에 의하여 이물질들이 흘러내릴 수 있는 일정한 경사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또한 컨베이어(11)은 구동원(10)부터 벨트 및 체인(23)에 의하여 동력을 받아 구동하는 구동로울(100)과, 또한 상기 구동로울(100)과의 직물재질의 일정폭을 가지는 벨트컨베이어(12)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종동로울(200)로 이루어져 있다.
도 1과 같이 상기 구동로울(100)은 컨베이어(11)의 경사를 이루는 높은 위치에 장착되고, 종동로울(200)은 낮은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로울(100)의 간헐적인 타격구동으로 화분에 포함된 이물질이 종동로울(200)쪽으로 추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구동로울(100)에 폭방향으로 둘레면에 보다 튀어나온 돌기(110)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이 튀어나온 돌기(110)이 종동로울(200)과 연결되어 있는 직물 재질의 컨베이어(11)을 간격을 두고 간헐적으로 타격 구동하는 역할을 행한다. 상기 튀어나온 돌기(110)은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 등의 다각형상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로울(100)의 튀어나온 돌기(110)은 구동로울의 원주방향의 사방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벨트컨베이어(12)의 접촉면이 첫번째 튀어나온 돌기(110)과 접촉된 후, 튀어나온 돌기(110)가 없는 부분에서 그 다음의 튀어나온 돌기(110)와 접촉되면서 돌기와 벨트컨베이어(12)와 편차에 의하여 튀어나온 돌기(110)가 벨트컨베이어(12)를 잡아 당기는 방향으로 접촉되면서 종동로울(200)쪽에서 오는 벨트컨베이어(12)를 타격하는 힘으로 변환하여, 마치 컨베이어(11)의 표면을 진동을 주는 역할을 하여 컨베이어(11)위의 화분 보다 가벼운 이물질이 위쪽으로 튕켜서 화분(30)부터 분리되어 컨베이어(11)의 경사면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위와 같은 구동로울(100)의 반복적인 구동에 의하여 이물질은 종동로울(200)쪽의 낙하구(210)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구동로울(100)을 통과한 화분(30)은 일부는 구동로울(100)을 지나면서 배출구(120)로 배출되고, 또 일부는 컨베이어(11)의 저면에 형성된 박스형상체(16)의 스크래퍼(130)에 의하여 컨베이어(11)로부터 분리되어 역시 배출구(120)로 배출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높은 쪽은 높은다리(14)가 형성되고, 낮은 쪽은 낮은다리(13)이 절첩가능하게 형성되어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경사각도를 임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벨트컨베이어(12)는 너무 매끄러운 형상 보다는 요철부들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화분이 밀착되어 주행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베이어(11)은 박스형상체(16)로 커버되어 있으며, 컨베이어(11)의 양쪽에는 고무격판(17)들이 형성되어 컨베이어(11)의 벨트컨베이어(12)의 위에 주행하는 화분(30) 등이 컨베이어(11)의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고무격판(17)은 볼트너트 등의 고정수단(18)에 의하여 고정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11)의 박스형상체(16)의 위에는 투명판(20)이 볼트너트 등의 고정수단(21)에 의하여 분리 고정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투명판(20)을 벗겨서 컨베이어(11)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11)의 위에는 자외선램프(22)가 장착되어 벨트컨베이어(12)의 위에 주행되는 화분(30)에 소독을 행하여 위생적인 화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11)의 중간쯤에는 호퍼(15)가 형성되어, 이물질을 분리하고자 하는 화분(30)을 호퍼(15)을 통하여 주행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호퍼(15)에는 화분의 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판(15-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호퍼(15)의 아래쪽에는 구동원(10)과 벨트 또는 체인(23)으로 연결된 공급로울(19)이 형성되어 호퍼(15)내의 화분(30)이 덩이져서 공급되는 일이없이 분쇄하여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컨베이어(11)의 구동로울(100)에 폭방향으로 둘레면에 보다 튀어나온 돌기(110)들을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컨베이어(11)의 구동시에 구동로울(100)의 튀어나온 돌기(110)이 감는 방향으로 팽팽하게 컨베이어(11)의 표면을 타격하는 효과로 인하여 종동로울(200)로 연결된 컨베이어(11)의 표면에 상,하방향으로 운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컨베이어(11)의 상,하운동은 가벼운 이물질은 튕겨져 컨베이어(11)의 경사를 따라서 차츰 종동로울(200)쪽의 낙하구(210)로 배출되고, 또한 화분(30)은 컨베이어(11)의 표면에 붙은 상태에서 구동로울(100)을 빠져나와 배출구(120)로 베출될 수 있다.
10 : 구동원 11 : 컨베이어
13 : 낮은다리 14 : 높은다리
15 : 호퍼 16 : 박스형상체
17 : 고무격판 18 : 고정수단
19 : 공급로울 20 : 투명판
21 : 고정수단 22 : 자외램프
23 : 체인 30 : 화분
100 : 구동로울 110 : 튀어나온 돌기
120 : 배출구 130 : 스크래퍼
200 : 종동로울 210 : 낙하구

Claims (1)

  1. 벌 또는 인공적으로 채취한 이물질이 포함된 화분이 무한괘도의 컨베이어를 거치면서 이물질과 화분이 분리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분리기에서, 컨베이어(11)이 이물질들이 흘러내릴 수 있는 일정한 경사를 유지하며, 또한 컨베이어(11)의 구동원(10)부터 동력을 받아 구동하는 구동로울(100)이 컨베이어(11)의 경사를 이루는 높은 위치에 장착되고, 종동로울(200)은 낮은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로울(100)의 간헐적인 타격구동으로 화분(30)에 포함된 이물질이 종동로울(200)쪽으로 추출될 수 있도록 된 화분 이물질 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11)의 위면은 투명한 투명판(20)이 형성되어 컨베이어(11)에 화분(30)의 이동을 볼 수 있고, 투명판(20)의 위에 자외선램프(22)가 온,오프될 수 있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이물질 분리기.
KR2020190003786U 2019-09-16 2019-09-16 화분 이물질 분리기 KR2019000239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786U KR20190002399U (ko) 2019-09-16 2019-09-16 화분 이물질 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786U KR20190002399U (ko) 2019-09-16 2019-09-16 화분 이물질 분리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041A Division KR20190084375A (ko) 2018-01-08 2018-01-08 화분 이물질 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399U true KR20190002399U (ko) 2019-09-26

Family

ID=68066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786U KR20190002399U (ko) 2019-09-16 2019-09-16 화분 이물질 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239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4901A (ko) 2020-12-29 2022-07-06 진성욱 애완동물 손잡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00Y1 (ko) 2002-09-24 2003-01-24 홍성평 다판식 진동 급송장치
KR101738942B1 (ko) 2016-11-15 2017-05-29 정다운 구근류 수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00Y1 (ko) 2002-09-24 2003-01-24 홍성평 다판식 진동 급송장치
KR101738942B1 (ko) 2016-11-15 2017-05-29 정다운 구근류 수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4901A (ko) 2020-12-29 2022-07-06 진성욱 애완동물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57468B1 (ja) パイプライン式のアブラムシマミー分離洗浄装置
KR101462410B1 (ko) 마늘 선별장치
US2763114A (en) Method of harvesting and separating pod type vegetables
US3985233A (en) Vibratory seedling cleaner
KR20190002399U (ko) 화분 이물질 분리기
CN107411108A (zh) 一种园林用板栗去壳装置
ES2826698B2 (es) Máquina integrada para procesado de frutos de cáscara dura o blanda
KR20190084375A (ko) 화분 이물질 분리기
US20080096621A1 (en) Method For Removing Straw From Agricultural Products And A Straw Removing Devic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RU2421971C1 (ru) Высевающий аппарат для гнездового высева набухших и проросших семян
CN109907005A (zh) 工厂化生产蚜茧蜂产品的方法
CN104644073B (zh) 高效地肤分离加工处理机
KR102408939B1 (ko) 착탈식 소초가 구비된 소비
AU2012255601B2 (en) Method of treating honey
KR100453570B1 (ko) 마늘 줄기 및 뿌리 제거장치
WO2007043854A1 (es) Maquina cosechadora de hortalizas con deposito y sistema de descarga
CN209030861U (zh) 一种喂料桶
CN203851473U (zh) 花生收获机中的带式升运装置
CN209435840U (zh) 一种葵花脱粒筛选机
SU1212352A1 (ru) Машина дл скашивани и уборки водной растительности
CN107371631A (zh) 一种用于向日葵种子简易脱粒清选装置
CN218389329U (zh) 一种高度可调节的凤头鸭养殖用喂食槽
RU2011142689A (ru) Метатель стержней початков кукурузы
ES2879651B2 (es) Maquina automatica para el procesado en seco de gavillas de ajos
CN211298353U (zh) 一种农副产品表面打磨清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