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9478A - 주입량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주입량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9478A
KR20030089478A KR1020030030931A KR20030030931A KR20030089478A KR 20030089478 A KR20030089478 A KR 20030089478A KR 1020030030931 A KR1020030030931 A KR 1020030030931A KR 20030030931 A KR20030030931 A KR 20030030931A KR 20030089478 A KR20030089478 A KR 20030089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capillary
storage bag
liquid
in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0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6446B1 (ko
Inventor
김용년
Original Assignee
김용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년 filed Critical 김용년
Publication of KR20030089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9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4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61M5/16881Regulating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flexible, e.g. independent bags
    • A61M5/1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flexible, e.g. independent bags pressurised by contraction of elastic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입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약물 등의 액체가 공급되는 경로 상에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주입량을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통로와, 액체가 배출되는 유출통로와, 상기 유입통로로부터 각각 분기되어 상기 유출통로로 통하도록 연결되며 각각 일부구간에 모세관을 구비하는 제1, 제2, 제3 통로와, 상기 제2 통로와 유출통로 사이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제3 통로와 유출통로 사이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밸브유닛과, 상기 제1 통로에 연결되며 내부에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주머니와, 상기 저장주머니를 눌러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저장주머니로부터 액체의 유출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부를 누른 상태에서는 상기 차단부가 액체의 유출 차단을 해제하는 가압장치를 포함하는 주입량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주입량 조절장치 {ADJUSTER FOR QUANTITY OF INFUSION}
본 발명은 주입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약물 등의 액체가 공급되는 경로 상에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주입량을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해진 시간 동안 진통제 등의 약물을 신체 내로 주입해주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주입되는 양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정해지는데, 정해진 양의 약물이 약물 주입장치로부터 튜브를 거쳐 일정하게 환자에게 공급된다. 이때 튜브 중간에 설치되어 시간당 주입량을 일정하게 해주는 장치의 하나가 주입량 조절장치이다. 주입량 조절장치는 유입되는 약물을 신체 내로 시간당 일정한 양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며, 때에 따라서는 일시적으로 약물의 공급량을 늘려 주기도 한다. 예를 들면, 한국특허 출원번호 제10-200100062793호의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도 주입량 조절장치가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장치는 끊임없는 개선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제작시 조립이 용이하지 않아 조립성의 개선이 필요하다든가, 약물의 주입량 조절 기능이 단순하여 다양한 조절기능이 필요하다든가, 약물의 손실을 줄인다든가 하는 등의 개선이 필요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구조와 기능을 갖는 주입량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목적은 주입량을 선택할 수 있는 구조의 주입량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약물과 같은 액체를 채울 때 경로의 차이에 의해 생기는 손실양을 줄이거나 경로 상에 존재하게 되는 공기의 양을 최소화하는 주입량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을 쉽게 하여 제조를 용이하게 하는 구조의 주입량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입량 조절장치의 사시도로서, 내부가 보이도록 덮개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2는 도1의 주입량 조절장치의 유입유출유닛과 저장주머니의 연결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3 부재의 두 통로가 모두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도1의 주입량 조절장치의 유입유출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도3의 제3 부재의 횡단면 사시도
도5는 도2의 제3 부재의 제2 연결관의 통로만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도2의 제3 부재의 제1 연결관의 통로만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도1의 주입량 조절장치의 케이스본체와 케이스덮개가 결합된 상태에서 버튼장치와 저장주머니가 보이도록 케이스를 절개하여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a)는 버튼장치를 누르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b)는 버튼장치를 누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입량 조절장치의 사시도로서, 일부분을 절개한 덮개를 케이스 본체에서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9는 도8의 주입량 조절장치의 덮개와 본체가 결합된 상태에서 조절버튼장치 조작부가 보이도록 덮개와 본체를 절개하여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10은 도8의 주입량 조절장치의 유입유출유닛의 사시도로서, 모세관 부재를 제외하고 도시한 도면
도11은 도10의 주입량 조절장치의 유입유출유닛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주입량 조절장치 20 : 유입유출유닛
22 : 제1 부재 24 : 제2 부재
26 : 제3 부재 27 : 중간부재
29 : 결합부재 30 : 저장주머니
40 : 버튼장치 55 : 모세관
59 : 고리 60 : 제1 연결튜브
70 : 제2 연결튜브 262 : 통로형성부재
263 : 회전조절노브 281 : 밸브유닛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액체가 유동하는 경로 상에 설치되는 주입량 조절장치로서,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통로와,
액체가 배출되는 유출통로와,
상기 유입통로로부터 각각 분기되어 상기 유출통로로 통하도록 연결되며 각각 일부구간에 모세관을 구비하는 제1, 제2, 제3 통로와,
상기 제2 통로와 유출통로 사이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제3 통로와 유출통로 사이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밸브유닛과,
상기 제1 통로에 연결되며 내부에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주머니와,
상기 저장주머니를 눌러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저장주머니로부터 액체의 유출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부를 누른 상태에서는 상기 차단부가 액체의 유출 차단을 해제하는 가압장치를 포함하는 주입량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2 통로의 모세관과 제3 통로의 모세관의 허용유량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밸브유닛은 상기 제2, 제3 통로 및 유출통로를 연결하는 원통형의 밸브하우징과, 상기 밸브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며 외주면의 일부구간에 상기 제2, 제3 통로 및 유출통로를 연결하는 통로홈이 마련된 원통형의 통로형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입통로와 상기 유출통로와 상기 제1, 제2, 제3 통로는 유입유출유닛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유입유출유닛은
상기 제1 통로 상에 구비되는 모세관인 제1 모세관부재와, 상기 제2 통로 상에 구비되는 모세관인 제2 모세관부재와, 상기 제3 통로 상에 구비되는 모세관인 제3 모세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유입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모세관부재와 제2 모세관부재와 제3 모세관부재의 일측이 각각 삽입되는 연결단을 구비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모세관부재의 반대측이 삽입되는 연결단을 구비하는 제2 부재와,
상기 유출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제3 모세관부재의 반대측이 각각 삽입되는 두 연결단과 상기 밸브하우징을 구비하는 제3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제3 부재의 마주보는 연결단 사이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밸브유닛은 상기 통로형성부재와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며 일면에는 외부에서 회전력을 가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회전조절노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통로형성부재와 회전조절노브 중 어느 하나에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돌기가 마련되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동하는 경로 상에 설치되는 주입량 조절장치로서,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통로와,
액체가 배출되는 유출통로와,
상기 유입통로로부터 각각 분기되어 상기 유출통로로 통하도록 연결되며 각각 일부구간에 모세관을 구비하는 제1, 제2 통로와,
상기 제1 통로 상에 연결되며 내부에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주머니와,
상기 저장주머니를 눌러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저장주머니로부터 액체의 유출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부가 상기 저장주머니를 누른 상태에서는 상기 차단부가 액체의 유출 차단을 해제하는 가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장치의 가압부가 상기 저장주머니를 누른 상태에서도 상기 저장주머니에는 유체가 유동하는 통로가 형성되는 주입량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주입량 조절장치는 상기 가압부와 상기 저장주머니 사이에 상기 저장주머니를 가압하는 별도의 가압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저장주머니에 형성되는 통로는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액체가 유동하는 경로 상에 설치되는 주입량 조절장치로서,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통로와,
액체가 배출되는 유출통로와,
상기 유입통로로부터 각각 분기되어 상기 유출통로로 통하도록 연결되며 각각 일부구간에 모세관을 구비하는 제1, 제2 통로와,
상기 제1 통로 상에 연결되며 내부에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주머니와,
상기 저장주머니를 눌러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저장주머니로부터 액체의 유출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부를 누른 상태에서는 상기 차단부가 액체의 유출 차단을 해제하는 가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통로와 상기 유출통로와 상기 제1, 제2 통로는 유입유출유닛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유입유출유닛은
상기 제1 통로 상에 구비되는 모세관인 제1 모세관부재와,
상기 제2 통로 상에 구비되는 모세관인 제2 모세관부재와,
상기 유입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모세관부재와 제2 모세관부재의 일측이 각각 삽입되는 연결단을 구비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모세관부재의 반대측이 삽입되는 연결단을 구비하는 제2 부재와,
상기 유출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모세관부재의 반대측이 삽입되는 연결단을 구비하는 제3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제3 부재의 마주보는 연결단 사이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주입량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 제2, 제3 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연결단에는 플랜지가 마련되며,
상기 모세관부재가 끼워지며 양측이 상기 제1, 제2, 제3 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연결단의 플랜지와 접하는 탄성의 중간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마주보는 두 플랜지를 꼭 맞게 감싸며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중간부재는 중앙에서 양 끝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져 있고, 상기 중간부재와 접하는 각 연결단은 중간부재의 테이퍼진 경사면에 맞는 경사면이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을 참조하면, 주입량 조절장치(10)는 유입유출유닛(20)과, 저장주머니(30)와, 버튼장치로 이루어지는 차단가압유닛(40)과, 제1 연결튜브(60)와, 제2 연결튜브(70)와, 케이스부재(50)를 구비한다.
도1, 도2, 도3을 참조하면, 유입유출유닛(20)은 들어가는 쪽(유입측)의 다기관인 제1 부재(22)와, 저장주머니(30) 쪽으로 이어지는 연결튜브에 연결되는 제2 부재(24)와, 나가는 쪽(유출측)의 다기관으로서 기능하며 주입량선택 밸브유닛의 하우징으로도 사용되는 제3 부재(26)를 구비한다. 제1, 제2, 제3 부재(22, 24, 26)는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지며 사출 성형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제1 부재(22)는 직선으로 연장된 원형의 주통로관(221)과, 주통로관(221)의 중간에서 차례로 분기되어 나란하게 연장된 두 개의 분기관(222, 223)을 구비한다. 주통로관(221)은 약물이 유입되는 유입통로를 형성한다. 주통로관(221)의 양끝에는 각각 제1 연결단(224)과 제2 연결단(225)이 마련되고, 두 분기관(222, 223) 끝에는 각각 제3, 제4 연결단(226, 227)이 마련된다. 제1 연결단(224)으로 유입튜브(80)가 연결되는데, 제1 연결단(224)에는 유입튜브(8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삽입구(2241)가 형성된다. 제2 연결단(225)은 후술하는 모세관부재(57)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확장된 내경을 갖는데, 끝부분에는 그 내경이 끝단 쪽으로 가면서 커지는 경사면(228)이 형성된다. 이것은 후술하는 중간부재(27)의 경사진 외면에 맞추기 위한 것이다. 제2 연결단(225)의 외측에는 플랜지(228)가 형성된다. 후술하는 한 쌍의 결합부재(29)가 이 플랜지(228)를 꼭 맞게 감싸며 결합된다. 두 분기관(222, 223)의 제3 연결단(226)과 제4 연결단(227)은 제2 연결단(225)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연결단(224)을 통해 유입튜브(80)로부터 들어온 약물은 제3, 제4 연결단(226, 227)을 통해 제3 부재(26)로 들어가고, 제2 연결단(225)을 통해 제2 부재(24)로 들어간다.
도1, 도2, 도3을 참조하면, 제2 부재(24)는 직선으로 연장된 원형의 관모양으로서, 한쪽 끝에는 제1 연결단(241)이 마련되고 반대쪽 끝에는 작은 외경을 가지면서 연장된 제2 연결단(242)이 마련된다. 제1 연결단(241)은 상기 설명한 바 있는 제1 부재(22)의 제2, 제3, 제4 연결단(225, 226, 227)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연결단(242)의 끝에는 직경이 커져 단턱부를 형성하면서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완만하게 테이퍼진 관연결단부(243)가 마련된다. 제2 연결단(242)이 제1 연결튜브(60) 내부로 삽입되어 연결되는데, 관연결단부(243)의 이러한 형태에 의해 삽입이 잘 되고, 일단 삽입된 제1 연결튜브(60)는 잘 빠지지 않는다. 제2 부재(24)의 제1 연결단(241)은 제1 부재(22)의 제2 연결단(225)과 마주본다.
도2와 도3을 참조하면, 제1 부재(22)의 제2 연결단(225)과 제2 부재(24)의 제1 연결단(241)에는 모세관부재(57)와, 중간부재(27)와, 고리(59)가 삽입된다. 모세관부재(57)는 기다란 원통형으로서, 내부에는 양끝을 연결하는 가는 직경의 관통구멍 즉 모세관(55)이 형성된다. 모세관부재(57) 양쪽이 각각 제1 부재(22)의 제2 연결단(225)과 제2 부재(24)의 제1 연결단(241)에 꼭 맞게 삽입된다.
중간부재(27)는 양측 연결단(225, 241) 사이에 위치하며 그리고모세관부재(57) 외측에 꼭 맞게 끼워져 위치하는 부재로서 외측은 가운데에서 양끝으로 가면서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지는데, 내부에는 양끝을 관통하는 통로(271)가 마련된다. 중간부재(27)의 양쪽 경사진 외면이 제1 부재(22)의 제2 연결단(225)의 경사면(228)과 제2 부재(24)의 제1 연결단(241)의 경사면(2411)에 각각 접한다. 중간부재(27)는 실리콘 고무와 같은 탄성을 갖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부재(22)의 제2 연결단(225)과 제2 부재(24)의 제1 연결단(241)의 통로 가장 안쪽에는 밀봉링 역할의 탄성을 갖는 고리(59)가 삽입되어 모세관부재(57)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리(59)가 양쪽에 하나씩 삽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모세관부재(57)의 길이에 따라 고리가 더 많이 삽입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고리가 삽입되지 않을 수도 있다. 두 연결단 사이에 모세관부재(57), 중간부재(27)와 고리(59)가 끼워진 상태에서 한 쌍의 결합부재(29)가 제1 부재(22)와 제2 부재(24)를 결합시킨다.
결합부재(29)에 대해서는 제1 부재(22)의 제1 연결단(225)과 제2 부재(24)의 연결단(241) 사이를 연결하는 결합부재(29)로 설명하며 다른 연결단 사이의 결합부재 구성은 이와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도3을 참조하면, 동일한 형태인 두 개의 결합부재(29)가 한 쌍을 이루는데, 결합부재(29)는 반원통형의 형상으로서, 내부에 두 연결단(225, 241)의 플랜지(228, 2412)가 수용된다. 결합부재(29)는 측벽(291)과 두 단부벽(292)을 구비한다. 측벽(291)의 내경은 제1 부재(22)의 제2 연결단(225)의 플랜지(228) 및 제2 부재(24)의 제1 연결단(241)의 플랜지(2412)의외경과 동일하거나 커서 플랜지(228, 2412)가 내측에 수용된다. 두 단부벽(292)에는 주통로관(221)이 끼워지는 홈(293)이 형성된다. 두 단부벽(292) 사이의 거리는 조립시 양 연결단(225, 241)이 중간부재(27)를 약간 압축하는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 결합부재(25)는 두 연결단(225, 241)의 플랜지(228, 2412)를 꼭 맞게 감싸도록 서로 마주보며 접착제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결합부재(29)를 이용함으로써, 제1 부재(22)와 제2 부재(24)를 용이하게 그리고 확실하게 결합할 수 있다. 모세관부재(57)와 제2 부재(24)와 제1 연결튜브(60)와 저장주머니(30)와 제2 연결튜브(70)는 제1 통로를 형성한다.
도1, 도2, 도3, 도4를 참조하면, 제3 부재(26)는 밸브하우징(2611)과, 밸브하우징(2611)으로부터 연장된 제1, 제2 연결관(2612, 2613)과, 밸브하우징(2611)과 연결된 유출관(2614)을 구비한다. 밸브하우징(2611)은 중공형의 원통형으로서 상부가 개방된다. 밸브하우징(2611) 내에 후술하는 통로형성부재(262)와 회전조절노브(263)가 삽입되고 개방된 상부에 덮개(264)가 결합되어 밸브유닛(281)을 형성한다.
제1 연결관(2612)과 제2 연결관(2613)은 하우징(2611) 양측으로부터 접선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된다. 제1 연결관(2612)과 제2 연결관(2613)에는 각각 하우징(2611) 안으로 통하는 통로(2615, 2616)가 마련된다. 두 통로(2615, 2616)는 밸브하우징(2611)의 내측 벽면과 접하며 연결된다. 제1 연결관(2612)과 제2 연결관(2613)의 끝에는 각각 제1 연결단(271)과 제2 연결단(272)이 마련된다. 제3 부재(26)의 제1 연결단(271)과 제2 연결단(272)의 구성은 제1 부재(22)의 제2 연결단(225)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 부재(26)의 제1 연결관(271)과 제2 연결관(272)은 제1 부재(22)의 두 분기관(222, 223)과 각각 연결된다. 연결되는 방식은 상기 설명한 제1 부재(22)와 제2 부재(24)의 연결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연결관(271)과, 제1 연결관(271) 쪽에 삽입된 모세관부재(571)는 제2 통로를 형성한다. 제2 연결관(272)과, 제2 연결관(272) 쪽에 삽입된 모세관부재(572)는 제3 통로를 형성한다. 제3 부재(26)의 제1 연결관(271) 쪽에 삽입되는 모세관부재(571)와 제2 연결관(272) 쪽에 삽입되는 모세관부재(572)는 통과할 수 있는 유량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3 부재(26)의 제1 연결관(271) 쪽에 삽입되는 모세관부재(571)는 시간당 1cc의 약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멍이 뚫려 있고, 제2 연결관(272) 쪽에 삽입되는 모세관부재(572)는 시간당 2cc의 약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2, 도3, 도4를 참조하면, 약물이 유출되는 유출통로를 형성하는 유출관(2614)은 제1, 제2 연결관(2612, 2613)의 반대쪽에 구비되는데, 하우징(2611)으로부터 연장된 연장관(2617)과 연결된다. 유출관(2614)의 일측에는 제3 연결단(2618)이 마련되고, 반대측에는 제4 연결단(2619)이 마련된다. 제3 연결단(2618)에는 유출튜브(90)가 안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정도의 직경을 갖는 삽입구(2601)가 형성된다. 제4 연결단(2619)은 후술하는 제2 연결튜브(70) 안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제3 연결단(2618)에 비하여 작은 외경을 갖는다. 제4 연결단(2619)의 끝에는 관연결단부(273)가 마련되는데 상기 설명한 제2 부재(24)의제2 연결단(242)에 마련된 관연결단부(243)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3을 참조하면, 제3 부재(26)에 조립되는 밸브유닛(281)은 밸브하우징(2611)과, 밸브하우징(2611)에 삽입되는 통로형성부재(262) 및 회전조절노브(263)와, 밸브하우징(2611)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264)를 구비한다. 통로형성부재(262)는 원통형으로서, 외주면이 밸브하우징(2611) 안의 내측 벽면과 꼭 끼이도록 삽입이 되지만 밸브하우징(2611) 안에서 외부의 힘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다. 통로형성부재(262)의 외주면에는 일부에 걸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홈(2621)이 파여진다. 이 홈(2621)은 도2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례로 제1 연결관(2612) 쪽 통로(2615)와 연장관(2617)의 내부 통로(279)와 제2 연결관(2613) 쪽 통로(2616)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180도 이상의 구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홈(279)은 제1, 제2 연결관(2612, 2613)과 유출관(2614)을 연결시키는 통로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통로형성부재(262)는 밸브하우징(2611) 내에서 회전하여 제1 연결관(2612)과 유출관(2614) 사이, 제2 연결관(2613)과 유출관(2614) 사이의 연결을 조절할 수 있다. 통로형성부재(262)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시키면 제1 연결관(2612) 쪽은 막히게 되고 제2 연결관(2613)만 유출관(2614)과 연결되게 된다. 반대로 통로형성부재(262)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시키면 제2 연결관(2613) 쪽은 막히게 되고 제1 연결관(2612)만 유출관(2614)과 연결되게 된다. 도2와 같은 상태에서는 연결관(2612, 2613) 모두가 유출관(2614)과 연결된다.
다시 도3을 참조하면, 통로형성부재(262)의 윗면에는 직선의 홈(2622)이 파여 있다. 이 홈(2622)에 회전조절노브(263)의 돌기(2631)가 삽입된다. 통로형성부재(262)는 밸브하우징(2611) 안에서 하우징(2611)의 벽과 잘 밀착되도록 탄성이 있는 재질(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3을 참조하면, 회전조절노브(263)는 밸브하우징(2611) 안에 수용되어 회전가능하며 통로형성부재(262) 위에 위치한다. 회전조절노브(263)는 원통형으로서 윗면에는 십자모양의 홈(2632)이 형성되고, 바닥에는 통로형성부재(262)의 윗면에 형성된 직선의 홈(2622)에 꼭 맞게 삽입되도록 점선으로 도시된 돌기(2631)가 마련된다. 십자모양의 홈(2632)을 이용하여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로 돌릴 수 있다. 덮개(264)는 밸브하우징(2611)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어 통로형성부재(262)와 회전조절노브(263)의 이탈을 막는다. 덮개(264)에는 통로(2641)가 마련되어 회전조절노브(263)의 십자모양의 홈(2632)이 외부로 노출된다. 케이스부재(52)의 후술하는 케이스덮개(54)에는 회전조절노브(263)의 십자모양의 홈(2632)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멍(545)이 마련된다.
도1과 도7의 (a), (b)를 참조하면, 저장주머니(30)는 내부에 약물을 저장할 수 있는 주머니이다. 저장주머니(30)는 원형의 두 시트를 겹쳐서 가장자리에 열을 가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결합하여 만들 수 있다. 저장주머니(30)에는 입구(303)와 출구(304)가 마련된다. 저장주머니(30)의 입구에는 제1 연결튜브(60)가 연결되어 유입유출유닛(20)의 제2 부재(24)로부터 약물이 유입되고, 출구(304)에는 제2 연결튜브(70)가 연결되어 유입유출유닛(20)의 제3 부재(26)로 약물이 유입된다.
도1과 도7의 (a), (b)를 참조하면, 케이스부재(50)는 케이스본체(52)와, 케이스본체(52)를 위에서 덮는 케이스덮개(54)를 구비한다. 케이스본체(52)는바닥(521)과, 바닥(521)으로부터 위로 연장된 측벽(522)을 구비한다. 바닥(521)에는 유입유출유닛(20)을 고정하거나 저장주머니(30)의 자리를 안내하기 위하여 돌출된 다수의 리브(525)가 구비된다. 측벽(522)에는 유입튜브(80)와 유출튜브(90)가 각각 통과할 수 있도록 두 개의 입출구(524)가 마련된다. 케이스덮개(54)에는 후술하는 버튼장치(40)가 결합되는데, 버튼장치(40)의 가압버튼(42)의 상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구멍(541)과 유입유출유닛(20)의 회전조절노브(2263)의 십자형 홈(2633)이 노출되도록 하는 구멍(545)이 마련된다. 또한, 케이스덮개(54)에는 후술하는 버튼장치(40)의 회전샤프트(444)가 지지되는 지지대(546)가 아래로 연장되며 구비되는데, 지지대(546) 하단에는 후술하는 탄성부재(442)의 일측이 걸리는 걸림부(547)가 마련된다. 케이스부재(50) 내부에는 유입유출유닛(20)과, 저장주머니(30)와 버튼장치(40)이 고정 설치된다. 케이스부재(40) 내부로 유입튜브(80)와 유출튜브(90)가 들어가 유입유출유닛(20)과 연결된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버튼장치(40)는 가압버튼(42)과 차단부(441)를 구비한다. 차단부(441)는 가압버튼(42)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막대(44) 끝에 구비된다. 가압버튼(42)은 저장주머니(30) 바로 위에 놓인다. 저장주머니(30)와 직접 접하는 가압버튼(42)의 하단부 직경은 저장주머니(30)보다 작다. 이것은 가압버튼(42)가 저장주머니(30)를 눌렀을 때 저장주머니(30)의 외곽부 일부를 누르지 않게 하여 바깥쪽으로 원형의 외곽통로(도2 및 도7(b)의 도면부호 301 참조)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가압버튼(42)의 밑면이 뒤쪽으로 갈수록 위로 올라가도록 완만하게 경사지는데, 이것은 가압버튼(42)이 후술하는 회전샤프트(444)를 축으로 회전하면서 아래로 내려가 저장주머니(30)를 완전히 눌렀을 때(도8의 (b)참조) 저장주머니(30)의 중간부분 전체를 확실히 밀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버튼(42) 밑에 별도의 가압부재를 둘 수도 있다.
연장막대(44) 끝에 구비된 차단부(441)는 유연한 제2 연결튜브(70)를 눌러 막는다. 연장막대(44) 중간에는 회전샤프트(444)가 연결된다. 회전샤프트(444)는 케이스덮개(54)의 지지대(54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샤프트(444)에는 탄성부재(442)가 끼워지는데, 탄성부재(442)는 토션스프링이다. 탄성부재(442)의 일측은 버튼장치(40)에 걸리고, 반대측은 지지대(546) 하단에 마련된 걸림부(547)에 걸린다. 가압버튼(42)에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탄성부재(442)는 차단부(441)가 제2 연결튜브(70)를 눌러 막는 쪽으로 힘을 가한다. 이때 저장주머니에는 약물이 차게 된다. 가압버튼(42)을 위에서 누르면 차단부(441)가 위로 올라가면서 막혀있던 제2 연결튜브(70)가 열리고 저장부에 저장된 약물이 유입유출유닛(20)의 제3 부재(26)의 유출관(2614)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제 도2, 도5, 도6, 도7을 참조하여 상기 제1 실시예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2를 참조하면, 약물이 투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유입유출유닛(20)의 제3 부재(26)는 제1 부재(22)와 연결된 두 통로(2615, 2616)가 모두 유출관(2614)과 연결된 상태이다. 즉, 통로형성부재(262)는 홈(2621)의 양끝이 두 통로(2615, 2616)와 연결되도록 위치한다. 약물을 최초 투입할 때에는 버튼장치(40)의 가압버튼(42)을 눌러 저장주머니(30)를 가압한다(도7의 (b) 상태). 이때 제2 연결튜브(70)가 개방되고 저장주머니(30)의 중앙 대부분은 눌리고 외곽을 통하여형성된 원형(경우에 따라서는 반원형도 가능)의 통로(301, 도2에서 점선 바깥쪽)가 입구(303)와 출구(304) 사이에 마련된다.
약물은 유입튜브(80)를 통해 유입유출유닛(20)의 제1 부재(22)로 유입된다. 이때 제1 부재(22)로 유입된 약물은 일부는 제3 부재(26) 쪽과 연결된 두 모세관부재(571, 572)를 통해 제3 부재(26)로 유입되고, 일부는 제2 부재(24) 쪽으로 연결된 모세관부재(57)를 거쳐 제2 부재(24)로 유입된다. 제3 부재(26)로 유입된 약물은 유출관(2614)을 거쳐 유출튜브(90)를 통해 밖으로 유출된다. 제2 부재(24)로 유입된 약물은 제1 연결튜브(60)를 통해 저장주머니(30)로 유입된다. 저장주머니(30)로 유입된 약물은 외곽통로(301)를 거쳐 제2 연결튜브(70)로 흘러들어가고 제2 연결튜브(70)를 거쳐 유출관(2614)으로 들어간 약물은 유출튜브(90)를 통해 밖으로 유출된다.
한편 저장주머니(30)를 거치는 경로가 제3 부재(26)를 거치는 경로보다 길기 때문에 저장주머니(30)를 거친 약물이 유출관(2614)에 더 늦게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제3 부재(26)를 거치는 약물과 이 유출튜브(90)로 나가는 동안에도 저장주머니(30)에 연결된 연결튜브에 있던 공기가 유출관으로 나간다. 이 공기를 모두 빠져 나간 후에는 주입량 조절장치 내에는 공기가 없는 상태가 된다. 내부의 공기를 유출튜브 쪽으로 모두 제거한 후에는 누르고 있던 버튼장치(40)의 가압버튼(40)을 놓으면 탄성부재(442)의 힘에 의해 버튼장치(40)가 회전 샤프트(444)를 축으로 회전하면서 가압버튼(40)은 위로 올라가고 차단부(441)가 아래로 내려가서 제2 연결튜브(70)를 막게 된다(도7의 (a) 참조). 이 상태에서는 저장주머니(30)에 약물이 채워지고, 제2 연결튜브(70)는 버튼장치(도7의 40)의 차단부(441)에 의해 눌려 막혀있으므로 저장주머니(30)의 약물이 유입유출유닛(20)의 제3 부재(26)의 유출관(2614)으로 들어가지 못한다. 본 발명의 주입량 조절장치에서는 버튼장치(40)의 가압버튼(42)이 저장주머니(30)의 중앙 대부분을 누른 상태에서 약물이 주입되기 시작하므로 제3 부재(26)를 통과한 약물과 저장주머니(30)를 통과한 약물이 각각 유출튜브에 도달하는 시간의 시간차를 줄일 수 있다. 즉, 저장주머니를 모두 채우고 난 후에 유출튜브에 도달하는 구성에 비해 시간차를 줄일 수 있고 그만큼 약물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약물주입준비가 끝나고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약물을 주입하면 유입유출유닛(20)의 제3 부재(26)는 제1 부재(22)로부터 두 모세관부재(571, 572)를 통해 유입되는 시간당 3cc의 약물을 유출관(2614)으로 보낸다(두 모세관부재(571, 572)를 통해 각각 시간당 1cc와 2cc의 약물이 통과할 수 있으므로). 유출관(2614)으로 유입된 약물은 유출튜브(90)를 통해 외부로 나가 일정한 양의 약물이 신체로 유입된다. 이때 버튼장치(도7의 40)의 가압버튼(42)을 위에서 누르면 가압버튼(42)이 저장주머니(30)를 누르게 되고 차단부(441)가 올라가면서 막혀있던 제2 연결튜브(70)가 열리게 된다. 따라서 저장주머니(30) 내의 약물이 제2 연결튜브(70)를 거쳐 유입유출유닛(20)의 제3 부재(26)의 유출관(2614)으로 들어가 유출튜브(90)를 통해 나가는 약물의 양을 그 만큼 증가시키게 된다. 버튼장치(도7의 40)의 가압버튼(42)을 누르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여 제2 연결튜브(70)가 개방되고 약물은 외곽통로(301)를 통해 지속적으로 제2 연결튜브(70)를 거쳐 배출되게 할 수도 있다.
대부분의 경우 신체에 주입전 통로형성부재9262)의 회전위치를 조정한다. 즉 도2의 상태에서 통로형성부재(262)를 일측으로 90도 회전시키면(회전조절노브(도3의 263)를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통로형성부재(262)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통로형성부재(262)의 홈(2621)이 제2 연결관(2613) 쪽으로 회전하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관(2612)의 통로(2615)는 막히고 제2 연결관(2613)의 통로(2616)는 유출관(2614)과 통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유출튜브(90)를 통해 시간당 2cc의 약물이 배출된다. 이러한 공급 상태에서도 버튼장치(도2의 40)의 가압버튼(42)을 누르면 저장주머니(도2의 30)에 저장된 약물이 한꺼번에 공급되면서 일시적으로 보다 많은 양의 약물이 공급하게 할 수 있다.
또 도2의 상태에서 통로형성부재(도4의 263)를 도5에서의 방향과 반대로 90도 회전시키면 통로형성부재(262)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통로형성부재(262)의 홈(2621)이 제1 연결관(2613) 쪽으로 회전하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관(2613)의 통로(2616)는 막히고 제1 연결관(2612)의 통로(2615)는 유출관(2614)과 통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유출튜브(90)를 통해 시간당 1cc의 약물이 배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도 버튼장치(도2의 40)의 가압버튼(42)을 누르면 저장주머니(도2의 30)에 저장된 약물이 한꺼번에 공급되면서 일시적으로 보다 많은 양의 약물이 공급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공급되는 약물의 양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밸브유닛(281)을 통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약물의 양을 3가지 경우로 조절할 수 있고 각 경우마다 버튼장치(40)를 누르면 일시적으로 다량의 약물이 공급된다. 또한, 버튼장치(40)을 계속 누르고 있는 동안은 약물이 더 추가되어 공급된다.
도8 내지 도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8을 참조하면, 주입량 조절장치(10a)는 약물이 유입되고 배출되는 유입유출유닛(20a)과, 저장주머니(30a)와, 버튼장치(40a)와, 제1 연결튜브(60a)와 제2 연결튜브(70a)와, 케이스부재(50a)를 구비한다.
도8, 도10 및 도11을 참조하면, 유입유출유닛(20a)은 모두 플라스틱 수지로 사출성형되는 제1 부재(22a)와, 제2 부재(24a)와, 제3 부재(26a)를 구비한다. 제1 부재(22a)는 세 방향으로 연장된 원형단면을 갖는 제1, 제2, 제3 연결관(221a, 222a, 223a)을 구비한다. 제1, 제2, 제3 연결관(221a, 222a, 223a)의 끝에는 각각 유입튜브(80a), 제2 연결부재(24a), 제3 연결부재(26a)와 연결되는 제1, 제2 제3 연결단(2211a, 2221a, 2231a)이 마련된다. 제2 연결관(222a)과 제3 연결관(223a)은 90도를 이루며 연결되고, 제1 연결관(221a)은 제2 연결관(222a)과 동일한 연장선상에 놓인다. 제1 연결관(221a)과 제2 연결관(222a)은 약물이 유입되는 유입통로를 형성한다. 제1 연결관(221a)은 유입튜브(80a) 안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비교적 가늘다. 제1 연결단(2211a)에는 삽입된 유입튜브(80a)가 잘 빠지지 않도록 돌출된 관연결단부(224a)가 마련된다. 이 관연결단부(224a)는 도3에 도시된 상기 제1 실시예의 제2 부재(24)의 관연결단부(243)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연결단(2221a)과 제3 연결단(2231a)의 형태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제1 부재(22)의 제2 연결단(225)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부재(24a)는 도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제2 부재(24)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부재(22a)와 제2 부재(24a)는 모세관부재(57a), 중간부재(27a), 고리(59a)에 의해 연결되는데, 이 구성과 결합구조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 역시 생략한다. 모세관부재(57a)와 제2 부재(24a)와 제1 연결튜브(60a)와 저장주머니(30a)와 제2 연결튜브(70a)는 제1 통로를 형성한다.
제3 부재(26a)는 제1 부재(22a)의 제3 연결관(223a)과 연결되는 연결관(261a)과, 연결관(261a)의 한쪽 끝에서 양쪽으로 연장된 유출관(2614a)을 구비한다. 연결관(261a)과 연결관(261a)에 일측이 삽입되는 모세관부재(571a)는 제2 통로를 형성한다. 약물이 유출되는 유출통로를 형성하는 유출관(2614a)은 양쪽이 각각 유출튜브(90a)와 제2 연결튜브(70a) 안으로 삽입된다. 유출관(2614a)의 양끝에는 관연결단부(2617a)가 각각 마련되는데, 제1 부재(22)의 제1 연결단(2211a)의 관연결단부(224a)와 동일한 형태이다.
도8과 도9를 참조하면, 저장주머니(30a)는 내부가 빈 주머니로서, 도1에 도시된 상기 제1 실시예의 저장주머니(3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측은 제1 연결튜브(60a)와 결합되어 유입유출유닛(20a)의 제2 부재(24)와 연결되고, 반대측은 제2 연결튜브(70a)와 결합되어 유입유출유닛(20a)의 제3 부재(26a)의 유출관(2614a)과 연결된다.
케이스부재(50a)는 케이스본체(52a)와, 케이스본체(52a)를 위에서 덮는 케이스덮개(54a)를 구비한다. 케이스본체(52a)에 후술하는 버튼장치(40a)의회전샤프트(444a)를 지지하는 지지대(546a)가 구비되고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케이스부재(5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케이스부재(50a) 내부에는 유입유출부(20a)와, 저장주머니(30a)와 버튼장치(40a)가 고정 설치된다. 케이스부재(50a) 내부로 유입튜브(80a)와 유출튜브(90a)가 들어가 유입유출부(20a)와 연결된다. 케이스덮개(54a) 외부로는 버튼장치(40a)의 가압버튼(42a)의 일부가 노출된다.
도9를 참조하면, 버튼장치(40a)는 가압버튼(42a)과 차단부(441a)를 구비한다. 차단부(441a)는 가압버튼(42a)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막대(44a)를 끝에 구비한다. 가압버튼(42a)은 저장주머니(30a) 위에 놓인다. 연장막대(44a) 끝에 구비된 차단부(441a)는 유연한 제2 연결튜브(70a)를 눌러 막는다. 차단부(441a) 위에는 차단부(441a)를 아래로 미는 탄성부재(442a)가 구비된다. 탄성부재(442a)는 압축코일스프링이다. 연장막대(44a)에는 회전샤프트(444a)가 구비되는데, 회전샤프트(444a)는 케이스본체(52a)의 지지대(546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평상시에는 약물이 유입튜브(80a)를 통해 제1 부재(22a)로 유입된다. 제1 부재(22a)로 유입된 약물은 제3 연결관(223a)을 통해 제3 부재(26a)로 유입되어 유출튜브(90a)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고 일부는 제2 부재(24a)로 유입된다. 제2 부재(24a)로 유입된 약물은 제1 연결튜브(60a)를 거쳐 저장주머니(30a)에 차 있게 되나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장치(40a)의 차단부(441a)에 의해 제2 연결튜브(70a)를 지나 유동하지는 않는다. 사용자가 버튼장치(40a)의 가압버튼(42a)을 누르면 저장주머니(30a)의 약물이 유출튜브(90a)로 나가 일시적으로 약물공급이 증가한다.
본 발명에 의한 주입량 조절장치를 사용하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약물의 양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환자의 상태에 따라 보다 적절하게 약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버튼장치를 눌러 일시적으로 다량의 약물을 신체 내로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버튼장치가 눌려진 상태에서도 약물이 저장되는 저장주머니 내에서 통로가 계속 유지되므로 버튼장치를 누르고 있으면 지속적으로 추가의 약물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주입량 조절장치를 사용하면, 버튼장치를 눌러 저장주머니를 가압한 상태에서 저장주머니에 작은 통로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초기 약물공급을 위해 공기 제거시 약물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을 따르는 주입량 조절장치의 유입유출유닛의 각 부재는 간단한 구조의 결합부재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연결되고 조립이 용이하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주입량 조절장치를 사용하면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에 기재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액체가 유동하는 경로 상에 설치되는 주입량 조절장치로서,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통로와,
    액체가 배출되는 유출통로와,
    상기 유입통로로부터 각각 분기되어 상기 유출통로로 통하도록 연결되며 각각 일부구간에 모세관을 구비하는 제1, 제2, 제3 통로와,
    상기 제2 통로와 유출통로 사이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제3 통로와 유출통로 사이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밸브유닛과,
    상기 제1 통로에 연결되며 내부에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주머니와,
    상기 저장주머니를 눌러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저장주머니로부터 액체의 유출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부를 누른 상태에서는 상기 차단부가 액체의 유출 차단을 해제하는 가압장치를 포함하는 주입량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로의 모세관과 제3 통로의 모세관의 허용유량은 서로 다른 주입량 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유닛은 상기 제2, 제3 통로 및 유출통로를 연결하는 원통형의 밸브하우징과, 상기 밸브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며 외주면의 일부구간에 상기 제2, 제3 통로 및 유출통로를 연결하는 통로홈이 마련된 원통형의통로형성부재를 구비하는 주입량 조절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통로와 상기 유출통로와 상기 제1, 제2, 제3 통로는 유입유출유닛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유입유출유닛은
    상기 제1 통로 상에 구비되는 모세관인 제1 모세관부재와, 상기 제2 통로 상에 구비되는 모세관인 제2 모세관부재와, 상기 제3 통로 상에 구비되는 모세관인 제3 모세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유입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모세관부재와 제2 모세관부재와 제3 모세관부재의 일측이 각각 삽입되는 연결단을 구비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모세관부재의 반대측이 삽입되는 연결단을 구비하는 제2 부재와,
    상기 유출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제3 모세관부재의 반대측이 각각 삽입되는 두 연결단과 상기 밸브하우징을 구비하는 제3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제3 부재의 마주보는 연결단 사이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주입량 조절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유닛은 상기 통로형성부재와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며 일면에는 외부에서 회전력을 가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회전조절노브를 더 구비하는 주입량 조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형성부재와 회전조절노브 중 어느 하나에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돌기가 마련되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마련되는 주입량 조절장치.
  7. 유동하는 경로 상에 설치되는 주입량 조절장치로서,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통로와,
    액체가 배출되는 유출통로와,
    상기 유입통로로부터 각각 분기되어 상기 유출통로로 통하도록 연결되며 각각 일부구간에 모세관을 구비하는 제1, 제2 통로와,
    상기 제1 통로 상에 연결되며 내부에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주머니와,
    상기 저장주머니를 눌러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저장주머니로부터 액체의 유출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부가 상기 저장주머니를 누른 상태에서는 상기 차단부가 액체의 유출 차단을 해제하는 가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장치의 가압부가 상기 저장주머니를 누른 상태에서도 상기 저장주머니에는 유체가 유동하는 통로가 형성되는 주입량 조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와 상기 저장주머니 사이에 상기 저장주머니를 가압하는 별도의 가압부재가 더 구비되는 주입량 조절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주입량 조절장치.
  10. 액체가 유동하는 경로 상에 설치되는 주입량 조절장치로서,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통로와,
    액체가 배출되는 유출통로와,
    상기 유입통로로부터 각각 분기되어 상기 유출통로로 통하도록 연결되며 각각 일부구간에 모세관을 구비하는 제1, 제2 통로와,
    상기 제1 통로 상에 연결되며 내부에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주머니와,
    상기 저장주머니를 눌러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저장주머니로부터 액체의 유출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부를 누른 상태에서는 상기 차단부가 액체의 유출 차단을 해제하는 가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통로와 상기 유출통로와 상기 제1, 제2 통로는 유입유출유닛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유입유출유닛은
    상기 제1 통로 상에 구비되는 모세관인 제1 모세관부재와,
    상기 제2 통로 상에 구비되는 모세관인 제2 모세관부재와,
    상기 유입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모세관부재와 제2 모세관부재의 일측이 각각 삽입되는 연결단을 구비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모세관부재의 반대측이 삽입되는 연결단을 구비하는 제2 부재와,
    상기 유출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모세관부재의 반대측이 삽입되는 연결단을 구비하는 제3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제3 부재의 마주보는 연결단 사이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주입량 조절장치.
  11. 제4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연결단에는 플랜지가 마련되며,
    상기 모세관부재가 끼워지며 양측이 상기 제1, 제2, 제3 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연결단의 플랜지와 접하는 탄성의 중간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마주보는 두 플랜지를 꼭 맞게 감싸며 결합되는 주입량 조절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는 중앙에서 양 끝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져 있고, 상기 중간부재와 접하는 각 연결단은 중간부재의 테이퍼진 경사면에 맞는 경사면이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주입량 조절장치.
KR20030030931A 2002-05-15 2003-05-15 주입량 조절장치 KR1005164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711 2002-05-15
KR20020026711 2002-05-1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089U Division KR200322864Y1 (ko) 2002-05-15 2003-05-16 주입량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478A true KR20030089478A (ko) 2003-11-21
KR100516446B1 KR100516446B1 (ko) 2005-09-26

Family

ID=3238286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30931A KR100516446B1 (ko) 2002-05-15 2003-05-15 주입량 조절장치
KR20-2003-0015089U KR200322864Y1 (ko) 2002-05-15 2003-05-16 주입량 조절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089U KR200322864Y1 (ko) 2002-05-15 2003-05-16 주입량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51644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314B1 (ko) * 2007-02-13 2008-02-20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약액 정량주입 밸브
KR20190034922A (ko) * 2017-09-25 2019-04-03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의료용 캐필러리의 결합구조
KR20190041987A (ko) * 2019-04-12 2019-04-23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
WO2019168277A1 (ko) * 2018-02-27 2019-09-06 주식회사 이화메디텍 약액 공급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주사액 주입장치
KR20200032023A (ko) * 2019-12-06 2020-03-25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환자 제어식 약물 투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05865B2 (en) * 2008-09-03 2011-03-15 Ace Medical Co., Ltd. Medicinal liquid supply apparatus having fixed-type medicinal liquid supply volume controller and arbitrary medicinal liquid supply volume controller
JP5442032B2 (ja) * 2009-01-28 2014-03-12 ウー ヨン メディカ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薬液投与器
KR102203629B1 (ko) 2020-02-29 2021-01-15 주식회사 이화메디텍 약액 공급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주사액 주입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314B1 (ko) * 2007-02-13 2008-02-20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약액 정량주입 밸브
KR20190034922A (ko) * 2017-09-25 2019-04-03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의료용 캐필러리의 결합구조
WO2019168277A1 (ko) * 2018-02-27 2019-09-06 주식회사 이화메디텍 약액 공급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주사액 주입장치
TWI702063B (zh) * 2018-02-27 2020-08-21 韓國商以和洋行(股份)有限公司 藥液供給調節裝置及具備其的注射液注入裝置
KR20190041987A (ko) * 2019-04-12 2019-04-23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
KR20200032023A (ko) * 2019-12-06 2020-03-25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환자 제어식 약물 투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6446B1 (ko) 2005-09-26
KR200322864Y1 (ko) 200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0433B1 (ko) 유체의 유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장치
JP4295217B2 (ja) 液体注入用チューブのキャップ
US6269704B1 (en) Blood sampling device
CN101043910B (zh) 带阀门的流体控制装置和使用方法
US4666429A (en) Infusion device having improved valving apparatus
US5529214A (en) Infusion pump
KR100516446B1 (ko) 주입량 조절장치
US8070733B2 (en) Sealed device for regulating the flow rate of medical liquid directed towards a patient
KR20130056898A (ko) 주입 제어 장치
US20080067465A1 (en) Liquid coinfusion unit
CN102300598B (zh) 药液分配器
KR101126213B1 (ko) 약액투여기
JP2009502448A (ja) 機械的に作動せしめられる液体ポンプ
JP3759735B2 (ja) 医療用逆止弁
JP7050076B2 (ja) 輸液アセンブリ用のブラダ
KR20050033968A (ko) 납작한 원형의 약액공급기
KR102137999B1 (ko) 리필 구조를 가지는 휴대용 용기
JPH09225028A (ja) 薬液の流量切換器
KR102196122B1 (ko) 환자 제어식 약물 투여 장치
KR20210025347A (ko) 정량 약액 주입장치
JP7050077B2 (ja) 輸液アセンブリ用のマンドレル
US20220355027A1 (en) Medicinal liquid flow control apparatus
JP2002017854A (ja) 薬液注入装置の流量調節器
JPH0631752U (ja) 薬液持続注入器
JPH0775674A (ja) 薬液注入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