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6213B1 - 약액투여기 - Google Patents

약액투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6213B1
KR101126213B1 KR1020100007319A KR20100007319A KR101126213B1 KR 101126213 B1 KR101126213 B1 KR 101126213B1 KR 1020100007319 A KR1020100007319 A KR 1020100007319A KR 20100007319 A KR20100007319 A KR 20100007319A KR 101126213 B1 KR101126213 B1 KR 101126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liquid
outflow
pressing
line
chem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7747A (ko
Inventor
이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Priority to KR1020100007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213B1/ko
Priority to CN201080005828.6A priority patent/CN102300598B/zh
Priority to EP10736007.5A priority patent/EP2392371A4/en
Priority to PCT/KR2010/000498 priority patent/WO2010087616A2/ko
Priority to CA2750800A priority patent/CA2750800C/en
Priority to US13/146,302 priority patent/US8512284B2/en
Priority to JP2011547789A priority patent/JP5442032B2/ja
Publication of KR20110087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flexible, e.g. independent bags
    • A61M5/1483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flexible, e.g. independent bags using flexible bags externally pressurised by flui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8Clamping means for squeezing flexible tubes, e.g. roller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61M5/16813Flow controllers by controll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flow l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ulmon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튼을 조작하면 환자 등 투여대상에게 추가적으로 투여할 약액이 벌룬으로 유입되고, 약액이 유입됨에 따라 이 벌룬이 팽창되면서 벌룬에 약액이 저장되며, 이 팽창된 벌룬이 자체의 복원력으로 수축되면서 벌룬에 저장된 약액이 배출되며, 이 때의 배출이 역류방지기구에 의하여 역류됨이 없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약액의 추가 투여를 안정적으로 계속되는 버튼 조작 없이 일정한 시간 동안 지속할 수 있는 약액투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약액투여기{Medicine Administ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진통제, 항생제 등 약액의 투여를 요하는 투여대상(예를 들어, 환자)에게 약액을 투여하는 데 사용되는 약액투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 환자에게는 특수항생제를 투여하여 암을 치료하고, 통증관리가 요구되는 환자에게는 통증을 완화시킬 목적으로 진통제를 투여하는데, 특수항생제나 진통제와 같은 약액은 다른 일반적인 약제와 달리, 과다하게 투여할 경우에는 환자가 혼수상태나 쇼크사에 이를 수 있고, 반대의 경우로서 투여량이 적을 시에는 약액에 의한 목적 달성을 정확히 이룰 수 없기 때문에, 허용범위 안에서 일정한 양을 투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안출된 것이 바로 약액투여기인데, 기존 약액투여기는 환자 등 투여대상에게 일정한 양의 약액이 투여되도록 약액을 배출하고 버튼을 누르면 순간적으로 투여량이 증가되도록 약액을 추가적으로 배출한다. 배출된 약액은 주사바늘이나 카테터(catheter)와 같은 주입유닛을 통하여 투여대상에게 주입된다. 이 때, 약액의 추가배출은 약액이 저장된, 고무나 연질플라스틱과 같은 탄성물질로 이루어진 백(bag)을 버튼의 조작력에 의하여 압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약액투여기는 버튼의 누름조작을 해제하면 약액의 추가 배출이 중단되므로 원하는 양이 배출될 때까지 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조작하기가 힘들다는 문제점(특히, 카테터와 같이 미세관로를 가지는 주입유닛을 이용하여 약액을 주입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양을 배출하려면 버튼을 여러 회 누르거나 오랜 시간 누르고 있어야 하므로 조작이 더욱 힘들다)이 있었는바, 이에 대한 개선책 마련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환자 등 약액의 투여를 요하는 투여대상에게 약액을 1회 조작만으로 소정의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안정감 있게 투여할 수 있는 약액투여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약액공급원으로부터의 약액이 유입되는 약액유입라인과; 투여대상에게 투여할 약액을 유출하는 약액유출라인과; 상기 약액유입라인에서 분기되어 상기 약액유출라인에 각각 연결된 제1, 제2분기라인과; 상기 제1분기라인 상에 마련되어 이 제1분기라인을 따라 흐르는 약액이 저장되며 외력이 가해지면 변형되면서 저장 약액을 상기 약액유출라인 측으로 압송하는 약액압송 백과; 상기 약액압송 백으로부터 압송되는 약액이 유입되도록 상기 약액유출라인의 일부를 구성하고 내부를 상기 약액압송 백으로부터의 압송 약액 유입 측과 유출 측으로 구획하는 칸막이를 가지며 둘레에 상기 유입 측과 통하는 유출구멍과 상기 유출 측과 통하는 유입구멍이 각각 형성된 약액유출관과; 상기 약액유출관의 외측에 상기 유출구멍과 유입구멍을 덮을 수 있게 결합되어 상기 유출구멍으로 유출되는 압송 약액에 의하여 팽창되면서 이 압송 약액을 임시 저장하고 원상으로 복원되려는 수축력에 의하여 이 임시 저장된 약액을 상기 유입구멍으로 유입시키는 약액저장벌룬과; 상기 약액저장벌룬으로부터 유출되는 임시 저장 약액이 상기 제1분기라인 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역류방지기구는 상기 약액유출관의 외측에서 상기 유출구멍에 밀착되어 이 유출구멍을 폐쇄하며 상기 유출구멍으로 유출되려는 압송 약액에 의하여 상기 유출구멍으로부터 이격되어 이 유출구멍을 개방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약액투여기가 제공된다.
필요 시, 상기 약액유출라인은 상기 약액저장벌룬의 효과적인 팽창을 위하여 상기 약액저장벌룬으로부터의 임시 저장 약액이 유입되는 관로 중 적어도 일부분이 미세한 미세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개폐부재는 튜브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약액유출관에 끼워지고 탄성물질로 이루어져 상기 유출구멍에 밀착되며 상기 유출구멍으로 유출되려는 압송 약액에 의하여 상기 유출구멍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약액유출관의 둘레 중 상기 개폐부재가 끼워지는 부분에는 상기 개폐부재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약액공급원으로부터의 약액이 유입되는 약액유입라인과; 투여대상에게 투여할 약액을 유출하는 약액유출라인과; 상기 약액유입라인에서 분기되어 상기 약액유출라인에 각각 연결된 제1, 제2분기라인과; 상기 제1분기라인 상에 마련되어 이 제1분기라인을 따라 흐르는 약액이 저장되며 외력이 가해지면 변형되면서 저장 약액을 상기 약액유출라인 측으로 압송하는 약액압송 백과; 상기 약액압송 백으로부터 압송되는 약액이 유입되도록 상기 약액유출라인의 일부를 구성하고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유출입구멍이 형성된 약액유출관과; 상기 약액유출관의 외측에 상기 유출입구멍을 덮을 수 있도록 결합되어 상기 유출입구멍으로 유출되는 압송 약액에 의하여 팽창되면서 이 압송 약액을 임시 저장하고 원상으로 복원되려는 수축력에 의하여 이 임시 저장된 약액을 상기 유출입구멍으로 유입시키는 약액저장벌룬과; 상기 약액저장벌룬으로부터 유출되는 임시 저장 약액이 상기 제1분기라인 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역류방지기구는 상기 약액압송 백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때는 이 약액압송 백의 저장 약액이 상기 약액유출라인 측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약액압송 백에 외력이 가해진 때는 이 약액압송 백으로부터의 압송 약액이 상기 약액유출라인 측으로 흐르도록 상기 제1분기라인의 관로를 개폐하는 관로개폐유닛을 포함하는 약액투여기가 제공된다.
이 역시 필요 시, 상기 약액유출라인은 상기 약액저장벌룬의 효과적인 팽창을 위하여 상기 약액저장벌룬으로부터의 임시 저장 약액이 유입되는 관로 중 적어도 일부분이 미세한 미세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약액투여기는 상기 약액압송 백이 내장되는 케이스 및 이 케이스에 외부에서 상기 약액압송 백을 향한 누름조작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누름조작 시 상기 약액압송 백에 외력을 가하는 가압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로개폐유닛은 상기 가압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분기라인의 관로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분기라인 중 상기 약액압송 백으로부터의 약액이 흐르는 부분은 적어도 일부가 압착 가능한 연질튜브로 구성되고, 상기 관로개폐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상기 연질튜브에 대하여 이격 및 접근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접근된 때 상기 연질튜브를 압착하여 이 연질튜브의 관로를 폐쇄하는 압착부재와; 상기 연질튜브가 상기 압착부재에 의하여 압착되도록 이 압착부재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가압버튼의 누름조작 시 이 조작력을 상기 압착부재에 전달하여 상기 연질튜브로부터 상기 압착부재를 이격시키는 연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부재는 가압부를 가지며 각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연질튜브에 대하여 이 가압부가 이격되거나 접근되는 압착레버이고, 상기 관로개폐유닛은 상기 압착레버와의 사이에 상기 연질튜브를 두도록 상기 가압부의 회전반경 상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부에 의한 연질튜브의 압착을 보조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압착레버는 상기 가압버튼의 누름조작 방향과 나란한 축선을 중심으로 각운동을 하고,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압착레버에 마련된 피조작부와; 상기 가압버튼에 상기 피조작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된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피조작부와 조작부의 서로 접촉하는 접촉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가압버튼의 누름조작 시 상기 가압부에 의한 상기 연질튜브의 압착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압착레버가 회전되도록 경사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약액공급원으로부터의 약액이 유입되는 약액유입라인과; 투여대상에게 투여할 약액을 유출하는 약액유출라인과; 상기 약액유입라인에서 분기되어 상기 약액유출라인에 각각 연결된 제1분기라인 및 제2분기라인과; 상기 제1분기라인 상에 마련되어 이 제1분기라인을 따라 흐르는 약액이 저장되고 외력이 가해지면 변형되면서 저장 약액을 상기 약액유출라인 측으로 압송하는 약액압송 백과; 상기 약액압송 백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때는 이 약액압송 백의 저장 약액이 상기 약액유출라인 측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약액압송 백에 외력이 가해진 때는 이 약액압송 백으로부터의 압송 약액이 상기 약액유출라인 측으로 흐르도록 상기 제1분기라인의 관로를 개폐하는 관로개폐유닛을 포함하는 약액투여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1회의 조작만으로 환자에게 추가 약액이 일정한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투여되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 추가 약액의 역류가 방지되므로 투여가 안정적이라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약액투여기의 약액공급장치가 도시된 부분단면도이다.
도 2,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약액투여기의 약액주입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6은 도 3에 도시된 약액유출 지속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7, 8은 도 6에 도시된 약액유출 지속수단의 작동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약액투여기의 주요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9, 10에 도시된 역류방지기구의 작동이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B 부분에 대한 작동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약액투여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약액투여기의 약액공급장치를 보인 부분단면도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약액투여기는 약액공급장치(5)를 포함하고, 약액공급장치(5)는 약액저장수단(6)을 포함한다. 약액저장수단(6)은 배출구를 통하여 내부에 저장된 약액을 배출한다.(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262930호 참조)
도 2,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약액투여기의 약액주입장치를 보인 사시도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약액투여기는 투여대상에게 약액공급장치(5)로부터의 약액을 주입하는 약액주입장치(10)를 더 포함하는데, 이 약액주입장치(10)는 약액저장수단(6)으로부터의 약액이 유입되는 약액유입라인, 투여대상에게 투여할 약액을 유출하며 끝 부분에 주사바늘이나 카테터와 같은 주입유닛이 연결된 약액유출라인, 약액유입라인에서 분기되어 약액유출라인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분기라인(34,32), 제1분기라인(34) 상에 장착된 약액압송 백(39)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약액유입라인은 약액저장수단(6)의 배출구에 연결된 약액유입호스(30)를 포함하고, 약액유출라인은 약액유출호스(36)를 포함한다. 두 분기라인(34,32)은 내부를 약액유입챔버로 하는 커넥터(38)에 의하여 약액유입호스(30)와 연결된다. 약액압송 백(39)은 내부에 제1분기라인(34)을 따라 약액유출라인 측으로 흐르는 약액이 유입되며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면 이 힘에 의하여 변형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르면, 약액저장수단(6)으로부터 제공되는 약액은 약액유입호스(30)를 따라 흘러 약액유입챔버(즉, 커넥터(38)의 내부)에 유입되고, 이 약액유입챔버에서 분기되어 두 분기라인(34,32)에 각각 유입된 후, 약액유출호스(36)를 통하여 투여대상에게 주입된다. 약액압송 백(39)에 압력을 가하면, 이 약액압송 백(39)은 변형되고, 제1분기라인(34)을 따라 흘러 약액압송 백(39)에 유입, 저장된 약액은 약액압송 백(39)이 변형됨에 따라 약액유출라인 측으로 압송되어, 투여대상에게는 순간적으로 많은 양의 약액이 투여된다.
약액주입장치(10)는 케이스(10A,10B)를 더 포함하는데, 케이스(10A,10B)에는 두 분기라인(34,32), 약액압송 백(39) 및 커넥터(38)가 내장된다. 케이스(10A,10B)는 서로 결합되는 상부케이스(10A)와 하부케이스(10B)를 포함하는데, 하부케이스(10B)는 바닥에 두 분기라인(34,32)과 약액압송 백(39)이 놓인다. 약액압송 백(39)의 상측에는 약액압송 백(39)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가압버튼(20)이 구비된다.
가압버튼(20)은 케이스(10A,10B)에 누름조작 가능하게 장착되어 누름조작 시 약액압송 백(39)에 압력을 가한다. 이 구조를 위하여, 하부케이스(10B)의 바닥에는 가압버튼(20)의 상하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14)가 마련되는데, 이 가이드(14)는 2개를 1조로 하며 가압버튼(20)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된다. 가이드(14)는 스프링 홈(14A)을 가지는데, 이 스프링 홈(14A)에는 누름조작이 된 가압버튼(2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로서 코일스프링(16)이 장착된다. 상부케이스(10A)는 가압버튼(20)의 중앙부가 케이스(10A,10B)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부(11)를 가진다. 개구부(11)를 통하여 노출된 가압버튼(20)을 누르면, 약액압송 백(39)은 가압버튼(20)의 가압력으로 변형되면서 약액을 압송하고, 코일스프링(16)은 압축된다. 가압버튼(20)을 누르고 있던 힘을 제거하면, 가압버튼(20)은 압축된 코일스프링(16)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되고, 약액압송 백(39)에는 약액이 채워진다.
제1실시예의 약액투여기는 가압버튼(20)의 누름 조작으로 제1분기라인(34)을 따라 압송되는 약액압송 백(39)으로부터의 약액을 임시 저장하고 이 저장된 약액을 약액유출라인으로 지속적으로 유출하는 약액유출 지속수단(600)을 더 포함한다.
도 4 내지 6은 각각 약액유출 지속수단(600)을 나타내는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액유출 지속수단(600)은 제1분기라인(34)과 약액유출호스(36) 사이에 제1분기라인(34)을 따라 압송되는 약액압송 백(39)으로부터의 약액이 약액유출호스(36)로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한편, 이 상태로 케이스(10A,10B)에 내장된다. 또, 약액유출 지속수단(600)은 구성요소로서 약액유출관(602), 약액저장벌룬(620) 및 역류방지기구를 포함한다.
약액유출관(602)은 약액유출호스(36)와 함께 약액유출라인을 구성한다. 약액유출관(602)의 양단 중 한쪽(입구(606))에는 제1분기라인(34)이 연결되고, 이와 반대쪽인 약액유출관(602)의 양단 중 다른 쪽(출구(608))에는 약액유출호스(36)가 연결된다. 약액유출관(602)의 출구(608) 측 둘레에는 커넥터(610)가 일체로 마련되는데, 이 일체형의 커넥터(610)에는 제2분기라인(32)이 연결된다.
약액유출관(602)의 둘레에는 제1분기라인(34)으로부터의 약액을 약액유출관(602)의 둘레방향 측으로 내보내기 위한 유출구멍(616) 및 약액을 약액유출관(602)의 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멍(618)이 각각 형성된다. 유출구멍(616)과 유입구멍(618)은 약액유출관(602)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약액유출관(602)은 그 내부(즉, 관로)를 유출구멍(616)과 통하는 입구(606) 측(압송 약액의 유입 측) 및 유입구멍(618)과 통하는 출구(608) 측(압송 약액의 유출 측), 이렇게 두 공간으로 구획하는 칸막이(630)가 마련되어, 약액유출관(602)으로 유입된 약액은 유입구멍(618)으로 유출되지 않고 유출구멍(616)을 통하여 유출된다.
약액저장벌룬(620)은 약액유출관(602)의 둘레에 끼워져 유출구멍(616)과 유입구멍(618)을 덮는 튜브인바, 탄력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결속밴드(622)에 의하여 약액유출관(602)에 양단 부분이 각각 결속된다. 이러한 약액저장벌룬(620)은 제1분기라인(34)으로부터의 압송 약액이 유출구멍(616)으로 유출됨에 따라 팽창되면서 이 압송 약액을 임시 저장하고, 원상으로 복원되려는 자체의 수축력에 의하여 저장된 약액을 유입구멍(618)을 통하여 약액유출관(602)으로 유입시킨다.
여기에서는 약액저장벌룬(620)이 결속밴드(622)에 의하여 약액유출관(602)에 결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약액저장벌룬(620)은 약액유출관(602)에 그 양단 부분이 접착될 수도 있다.
약액유출관(602)의 둘레 중 약액저장벌룬(620)이 결속되는 부분에는 결속밴드(622)가 끼워지는 결합 홈(612)이 형성되어, 결속밴드(622)는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약액유출관(602)의 둘레 중 유출구멍(616) 형성 부분(도면부호 614 참조)은 그 외경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작도록 형성되어 원상으로 복원된 약액저장벌룬(620)과 이격되고, 유입구멍(618)이 형성된 부분은 그 외경이 원상 복원된 약액저장벌룬(620)과 긴밀히 밀착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유출구멍(616)은 항상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나, 유입구멍(618)은 원상으로 복원된 약액저장벌룬(620)에 의하여 폐쇄된다. 이 구조는, 약액유출 지속수단(600)은 투여대상이 약액의 추가적인 투여를 원하여 가압버튼(20)을 누름조작 하였을 시 약액압송 백(39)으로부터 압송되는 약액을 지속적으로 배출하는 것인바, 원상 복원된 약액압송 백(39)에 의하여 유출구멍(616)이 폐쇄됨에 따라, 제2분기관(32)으로부터의 약액이 약액압송 백(39)의 탄성력을 극복하지 못하여 배출되지 못함을 방지할 수 있다.
역류방지기구는 약액저장벌룬(620)에 임시 저장되었다가 유출되는 약액이 제1분기라인(34)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인바, 개폐부재(524)를 포함한다.
개폐부재(524)는 튜브형으로 형성되고, 실리콘과 같이 탄력이 우수한 탄성물질로 이루어진다. 이 개폐부재(524)는 약액유출관(602)의 둘레 중 유출구멍(616)이 형성된 부분에 둘레방향을 따라 마련된 수용홈(614)에 타이트하게 끼워져 자체적인 탄력으로 유출구멍(616)을 폐쇄하고, 이 유출구멍(616)을 통하여 유출되려는 제1분기라인(34)으로부터의 압송 약액에 의하여 유출구멍(616)으로부터 이격되어 유출구멍(616)을 개방한다. 이 같은 개폐부재(524)는 또, 약액유출관(602)의 수용홈(614)에 그 일부분이 밀착과 이격작용 및 약액저장벌룬(620)으로의 압송 약액 유입을 방해함이 없도록 접착될 수 있다.
도 7, 도 8은 약액유출 지속수단(600)의 작동을 나타낸다.
약액주입장치(10)는 그 제2분기관(32)을 통하여 약액공급장치(5)로부터의 약액을 투여대상에게 지속적으로 공급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압버튼(20)을 누르면, 약액저장 백(39)에 저장된 약액은 제1분기관(34)을 통하여 약액유출 지속수단(600)으로 압송된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액저장 백(39)으로부터의 압송 약액은 약액유출관(602) 내부로 유입된 후, 유출구멍(616)을 통하여 유출되어 약액저장벌룬(620)에 유입된다. 이 때, 개폐부재(524)는 제1분기관(34)으로부터 약액유출관(602) 내부로 유입된 압송 약액이 유출구멍(616)을 통하여 유출되려는 작용력에 의하여 변형되면서 이 유출구멍(616)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유출구멍(616)은 개방되고, 이렇게 개방된 유출구멍(616)으로 유출되는 압송 약액은 개폐부재(524)와 수용홈(614) 사이의 이격 틈새를 통하여 약액저장벌룬(620)으로 유입되며, 이 액상저장벌룬(620)은 이렇게 압송 약액이 유입됨에 따라 팽창된다.
이후, 유출구멍(616)을 통한 압송 약액의 유출이 없을 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524)는 원상으로 복원되어, 유출구멍(616)은 폐쇄된다.
한편, 팽창된 약액저장벌룬(620)은 자체의 탄성력으로 복원되고, 약액저장벌룬(620)에 충전된 압송 약액은 이러한 약액저장벌룬(620)의 복원 시 수축력에 의하여 유입구멍(618)으로 유출, 약액유출관(602) 내부로 유입된 뒤, 약액유출호스(36)를 따라 흘러 투여대상에게 투여된다. 이 때, 약액저장벌룬(620)으로부터의 약액은 유출구멍(616)을 폐쇄하고 있는 개폐부재(524)에 의하여 유출구멍(616)으로의 유출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제1실시예의 약액투여기는 약액저장 백(39)에 저장된 약액을 투여대상에게 추가 투여하기 위하여 가압버튼(20)을 조작하면 약액저장 백(39)으로부터의 압송 약액이 약액저장벌룬(620)에 임시 저장되었다가 지속적으로 유출되므로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약액저장벌룬(620)으로부터의 약액이 개폐부재(524)에 의하여 역류되지 않으므로 약액을 안정적으로 유출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약액 주입과정에서, 주입유닛으로서 미세관로를 가지는 것을 적용하였다면, 약액저장벌룬(620)으로 유입되는 약액은 그 양이 통상 약액유출호스(36)를 통하여 유출되는 약액의 양보다 많으므로, 약액저장벌룬(620)은 주입유닛으로서 미세관로를 가지지 않는 것을 적용하는 경우보다 쉽게 팽창된다. 이에, 약액저장벌룬(620)의 팽창효율을 고려한다면, 주입유닛으로는 미세관로를 가지는 타입을 적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겠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약액투여기의 주요부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10은 이 도 9의 A 부분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이 도 9, 도 10에 도시된 역류방지기구의 작동이 도시된 정면도이며, 도 12는 도 9의 B 부분에 대한 작동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약액투여기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 및 그 작용은 모두 동일한 데 대하여, 역류방지기구와 약액유출 지속수단(600)의 구성 및 제1, 2분기라인(32,34)의 설치구조만이 다소 상이하다.
제2실시예의 역류방지기구는 가압버튼(20)의 조작에 따라 제1분기라인(34)의 관로를 개폐하는 관로개폐유닛(70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관로개폐유닛(700)은 가압버튼(20)에 대한 누름조작이 이루어지고 있는 때에만 약액압송 백(39)으로부터의 압송 약액이 약액유출 지속수단(600)으로 유입되도록 제1분기라인(34)의 관로를 개방하는바, 압착레버(710), 토션스프링(720), 스토퍼(730) 및 연동수단(740)을 구성요소로서 포함한다.
압착레버(710)의 양단부 중 한쪽에는 제1분기라인(34) 중 약액압송 백(39)으로부터의 압송 약액을 수송하는 부분 상에 이 부분을 압착하여 관로를 폐쇄하는 가압부(712)가 마련된다. 물론, 제1분기라인(34)은 가압부(712)의 가압작용에 의하여 압착되도록 적어도 해당 부분(이하, 제1분기라인(34)의 압착부라 한다)이 연질튜브로 구성된다. 압착레버(710)는 또, 제1분기라인(34)의 압착부 측에 위치하도록 제1분기라인(34)과 가압버튼(20) 사이에 배치되고, 이 상태로 하부케이스(10B)의 바닥에 가압버튼(20) 누름조작 방향과 나란한 축선을 중심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제1분기라인(34)의 압착부에 대하여 가압부(712)가 이격되거나 접근된다. 압착레버(710)의 가운데 부분에는 이러한 각운동을 위하여 가압버튼(20) 누름조작 방향으로 힌지 축(714)이 마련된다.
토션스프링(720)은 제1분기라인(34)의 압착부가 가압부(712)에 의하여 압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압착레버(710)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즉, 토션스프링(720)은 압착레버(710)에 가압부(712)가 제1분기라인(34)의 압착부에 대하여 접근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을 가하여 가압부(712)가 제1분기라인(34)의 압착부를 압착하고 있게 하는 것이다. 이 같은 토션스프링(720)은 힌지 축(714)에 장착될 수 있고, 토션스프링(720)의 양단 부분 중 한쪽은 가압부(712)에, 다른 쪽은 주변 구성에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참고로, 여기에서는 토션스프링(720)의 다른 쪽 단부를 주변 구성으로서 가이드(14)에 지지시켰다. 가이드(14)에는 이 같은 토션스프링(720)과의 지지구조를 위한 지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730)는 압착레버(710)와의 사이에 제1분기라인(34)의 압착부가 위치하도록 가압부(712)의 회전반경 상에 배치되어 이 가압부(712)에 의한 제1분기라인(34)의 압착부의 압착을 보조한다. 스토퍼(730)에 의하면, 연질튜브인 제1분기라인(34)의 압착부는 가압부(712)에 의하여 가압 시 이 가압작용 방향으로 밀리지 않고 정확하게 압착된다.
연동수단(740)은 가압버튼(20)이 누름 조작된 때 이 조작력을 압착레버(710)에 전달하여 제1분기라인(34)의 압착부로부터 가압부(712)를 이격시킨다. 연동수단(740)은 조작부(742) 및 피조작부(744)를 포함한다. 조작부(742)는 가압버튼(20)에 압착레버(710)의 양단 부분 중 다른 쪽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이 가압버튼(20)과 함께 작동하고, 피조작부(744)는 압착레버(710)의 다른 쪽 끝 부분에 이 조작부(742)의 하부와의 접촉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조작부(742)와 피조작부(744)는 각각 가압버튼(20), 압착레버(7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조작부(742)와 피조작부(744)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접촉하는 접촉면이 만곡하거나 평평한 경사면으로 구성되는데, 여기에서는 조작부(742)와 피조작부(744)의 접촉면, 이 둘 모두를 경사면으로 하였다. 조작부(742)의 경사면은 피조작부(744)를 향하여 오르막 경사지고, 이 반대로 피조작부(744)의 경사면은 조작부(742)를 향하여 내리막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이 같은 연동수단(740)에 의하면, 관로개폐유닛(700)을 구성하는 탄성부재인 토션스프링(720)에 의하여 제1분기라인(34)의 압착부를 압착하여 이 압착부의 관로를 폐쇄하고 있던 압착레버(710)는 가압버튼(20)을 누르면 서로 접촉하는 조작부(742)와 피조작부(744)의 경사면에 의하여 밀리면서 회전되고, 가압부(712)는 제1분기라인(34)의 압착부로부터 이격되므로, 이 제1분기라인(34)의 압착부는 압착이 해제되어 관로가 개방된다.(도 11 참조) 이 때, 약액압송 백(39)으로부터 압송되는 약액은 약액유출 지속수단(600)으로 유입된다. 한편, 가압버튼(20)의 누름을 해제하면, 압착레버(710)는 토션스프링(720)의 복원력에 따라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회전되어, 제1분기라인(34)의 압착부는 가압부(712)에 의하여 압착된다.
약액유출 지속수단(600)은 관로개폐유닛(700)이 제1분기라인(34) 상에 설치되기 때문에, 그 약액유출관(602)에 제1실시예에서와 같은 칸막이(630)가 마련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에 따라, 약액유출관(602)에는 그 둘레에 유출입구멍(603)이 적어도 한 개 마련된다. 이 때, 유출입구멍(603)을 통해서는 약액저장 백(39)으로부터 약액유출관(602)으로 유입된 압송 약액이 약액저장벌룬(620)으로 유출되기도 하고, 약액저장벌룬(620)에 저장된 약액이 다시 약액유출관(602)으로 유입되기도 한다.
도면부호 610A는 610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커넥터인데, 제2분기라인(32)은 이 도면부호 610A의 커넥터에 의하여 약액유출관(602)의 입구(606) 측에 연결된다.
도 9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800은 약액 투여량 제어장치인데, 이 약액 투여량 제어장치(800)는 제2분기라인(32) 상에 장착되고, 이 제2분기라인(32)을 따라 흘러 유입되는 약액을 관로의 단면적이 서로 다른 복수의 분배관에 의하여 배분하고, 이 배분된 약액을 멀티밸브에 의하여 스위칭시킴으로써, 다양한 유속량을 선택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투여대상에게 정확한 유량의 약액을 투여할 수 있게 한 것이다.(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9-0008090호 참조)
이상,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5 : 약액공급장치 10 : 약액주입장치
10A, 10B : 케이스 20 : 가압버튼
30 : 약액유입호스 32 : 제2분기라인
34 : 제1분기라인 36 : 약액유출호스
39 : 약액압송 백 524 : 개폐부재
600 : 약액유출 지속수단 602 : 약액유출관
603 : 유출입구멍 614 : 수용홈
616 : 유출구멍 618 : 유입구멍
620 : 약액저장벌룬 630 : 칸막이
700 : 관로개폐유닛 710 : 압착레버
712 : 가압부 720 : 토션스프링
730 : 스토퍼 740 : 연동수단
742 : 조작부 744 : 피조작부

Claims (9)

  1. 약액공급원으로부터의 약액이 유입되는 약액유입라인과;
    투여대상에게 투여할 약액을 유출하는 약액유출라인과;
    상기 약액유입라인에서 분기되어 상기 약액유출라인에 각각 연결된 제1, 제2분기라인과;
    상기 제1분기라인 상에 마련되어 이 제1분기라인을 따라 흐르는 약액이 저장되며 외력이 가해지면 변형되면서 저장 약액을 상기 약액유출라인 측으로 압송하는 약액압송 백과;
    상기 약액압송 백으로부터 압송되는 약액이 유입되도록 상기 약액유출라인의 일부를 구성하고 내부를 상기 약액압송 백으로부터의 압송 약액 유입 측과 유출 측으로 구획하는 칸막이를 가지며 둘레에 상기 유입 측과 통하는 유출구멍과 상기 유출 측과 통하는 유입구멍이 각각 형성된 약액유출관과;
    상기 약액유출관의 외측에 상기 유출구멍과 유입구멍을 덮을 수 있게 결합되어 상기 유출구멍으로 유출되는 압송 약액에 의하여 팽창되면서 이 압송 약액을 임시 저장하고 원상으로 복원되려는 수축력에 의하여 이 임시 저장된 약액을 상기 유입구멍으로 유입시키는 약액저장벌룬과;
    상기 약액저장벌룬으로부터 유출되는 임시 저장 약액이 상기 제1분기라인 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역류방지기구는 상기 약액유출관의 외측에서 상기 유출구멍에 밀착되어 이 유출구멍을 폐쇄하며 상기 유출구멍으로 유출되려는 압송 약액에 의하여 상기 유출구멍으로부터 이격되어 이 유출구멍을 개방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약액투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튜브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약액유출관에 끼워지고 탄성물질로 이루어져 상기 유출구멍에 밀착되며 상기 유출구멍으로 유출되려는 압송 약액에 의하여 상기 유출구멍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변형되는 약액투여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약액유출관의 둘레 중 상기 개폐부재가 끼워지는 부분에는 상기 개폐부재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된 약액투여기.
  4. 약액공급원으로부터의 약액이 유입되는 약액유입라인과;
    투여대상에게 투여할 약액을 유출하는 약액유출라인과;
    상기 약액유입라인에서 분기되어 상기 약액유출라인에 각각 연결된 제1, 제2분기라인과;
    상기 제1분기라인 상에 마련되어 이 제1분기라인을 따라 흐르는 약액이 저장되며 외력이 가해지면 변형되면서 저장 약액을 상기 약액유출라인 측으로 압송하는 약액압송 백과;
    상기 약액압송 백으로부터 압송되는 약액이 유입되도록 상기 약액유출라인의 일부를 구성하고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유출입구멍이 형성된 약액유출관과;
    상기 약액유출관의 외측에 상기 유출입구멍을 덮을 수 있도록 결합되어 상기 유출입구멍으로 유출되는 압송 약액에 의하여 팽창되면서 이 압송 약액을 임시 저장하고 원상으로 복원되려는 수축력에 의하여 이 임시 저장된 약액을 상기 유출입구멍으로 유입시키는 약액저장벌룬과;
    상기 약액저장벌룬으로부터 유출되는 임시 저장 약액이 상기 제1분기라인 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역류방지기구는 상기 약액압송 백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때는 이 약액압송 백의 저장 약액이 상기 약액유출라인 측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약액압송 백에 외력이 가해진 때는 이 약액압송 백으로부터의 압송 약액이 상기 약액유출라인 측으로 흐르도록 상기 제1분기라인의 관로를 개폐하는 관로개폐유닛을 포함하는 약액투여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약액투여기는 상기 약액압송 백이 내장되는 케이스 및 이 케이스에 외부에서 상기 약액압송 백을 향한 누름조작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누름조작 시 상기 약액압송 백에 외력을 가하는 가압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로개폐유닛은 상기 가압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분기라인의 관로를 개폐하는 약액투여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분기라인 중 상기 약액압송 백으로부터의 약액이 흐르는 부분은 적어도 일부가 압착 가능한 연질튜브로 구성되고,
    상기 관로개폐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상기 연질튜브에 대하여 이격 및 접근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접근된 때 상기 연질튜브를 압착하여 이 연질튜브의 관로를 폐쇄하는 압착부재와; 상기 연질튜브가 상기 압착부재에 의하여 압착되도록 이 압착부재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가압버튼의 누름조작 시 이 조작력을 상기 압착부재에 전달하여 상기 연질튜브로부터 상기 압착부재를 이격시키는 연동수단을 포함하는 약액투여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재는 가압부를 가지며 각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연질튜브에 대하여 이 가압부가 이격되거나 접근되는 압착레버이고,
    상기 관로개폐유닛은 상기 압착레버와의 사이에 상기 연질튜브를 두도록 상기 가압부의 회전반경 상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부에 의한 연질튜브의 압착을 보조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약액투여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압착레버는 상기 가압버튼의 누름조작 방향과 나란한 축선을 중심으로 각운동을 하고,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압착레버에 마련된 피조작부와; 상기 가압버튼에 상기 피조작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된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피조작부와 조작부의 서로 접촉하는 접촉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가압버튼의 누름조작 시 상기 가압부에 의한 상기 연질튜브의 압착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압착레버가 회전되도록 경사면으로 구성된 약액투여기.
  9. 삭제
KR1020100007319A 2009-01-28 2010-01-27 약액투여기 KR101126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319A KR101126213B1 (ko) 2010-01-27 2010-01-27 약액투여기
CN201080005828.6A CN102300598B (zh) 2009-01-28 2010-01-28 药液分配器
EP10736007.5A EP2392371A4 (en) 2009-01-28 2010-01-28 MEDICAL FLUID DISPENSER
PCT/KR2010/000498 WO2010087616A2 (ko) 2009-01-28 2010-01-28 약액투여기
CA2750800A CA2750800C (en) 2009-01-28 2010-01-28 Medical fluid dispenser
US13/146,302 US8512284B2 (en) 2009-01-28 2010-01-28 Medical fluid dispenser
JP2011547789A JP5442032B2 (ja) 2009-01-28 2010-01-28 薬液投与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319A KR101126213B1 (ko) 2010-01-27 2010-01-27 약액투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747A KR20110087747A (ko) 2011-08-03
KR101126213B1 true KR101126213B1 (ko) 2012-03-26

Family

ID=44926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319A KR101126213B1 (ko) 2009-01-28 2010-01-27 약액투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21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2976A1 (ko) * 2014-09-30 2016-04-07 이우석 멀티형 약액 유량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기
KR20180094267A (ko) 2017-02-15 2018-08-23 이현우 자가통증 조절용 약물 투여장치
WO2020116778A1 (ko) 2018-12-05 2020-06-11 이우석 볼러스 카운터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기
KR20200068617A (ko) 2020-05-28 2020-06-15 이우석 약액 주입기
KR20200068616A (ko) 2018-12-05 2020-06-15 이우석 볼러스 카운터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기
KR20200001868U (ko) 2019-02-14 2020-08-24 이상운 자가통증 조절용 약물 투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1118B (zh) * 2018-08-27 2024-05-28 广州驭林医药科技有限公司 阴道冲洗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151B1 (ko) * 2001-10-12 2005-09-13 이영규 약액 공급량 조절기
KR20060043793A (ko) * 2004-03-12 2006-05-15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약제 지속 주입 및 추가 투여 가능한 환자 제어 진통(pca)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151B1 (ko) * 2001-10-12 2005-09-13 이영규 약액 공급량 조절기
KR20060043793A (ko) * 2004-03-12 2006-05-15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약제 지속 주입 및 추가 투여 가능한 환자 제어 진통(pca)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2976A1 (ko) * 2014-09-30 2016-04-07 이우석 멀티형 약액 유량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기
US10716894B2 (en) 2014-09-30 2020-07-21 Woo Suk Lee Multi-type medicinal fluid flow rate control apparatus and medicinal fluid injector comprising same
KR20180094267A (ko) 2017-02-15 2018-08-23 이현우 자가통증 조절용 약물 투여장치
WO2020116778A1 (ko) 2018-12-05 2020-06-11 이우석 볼러스 카운터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기
KR20200068219A (ko) 2018-12-05 2020-06-15 이우석 볼러스 카운터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기
KR20200068616A (ko) 2018-12-05 2020-06-15 이우석 볼러스 카운터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기
US11602595B2 (en) 2018-12-05 2023-03-14 Woo Suk Lee Medical fluid injector including bolus counter
KR20200001868U (ko) 2019-02-14 2020-08-24 이상운 자가통증 조절용 약물 투여장치
KR20200068617A (ko) 2020-05-28 2020-06-15 이우석 약액 주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747A (ko)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6213B1 (ko) 약액투여기
KR101638969B1 (ko) 멀티형 약액 유량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기
CN101124004B (zh) 体积受控的输注设备
JP5442032B2 (ja) 薬液投与器
US9132233B2 (en) Infusion control device
US5368570A (en) Apparatus for infusing medical solutions
KR101739368B1 (ko) 멀티형 유량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기
CN105517596B (zh) 用于药物输注的调节器及包括该调节器的药物输注装置
JP2020163204A (ja) 急速投与部
KR101028847B1 (ko) 보조 약액저장부가 구비된 약액량 조절장치
EP0865795B1 (en) Self-administration device for liquid drugs
US11602595B2 (en) Medical fluid injector including bolus counter
CN107206196A (zh) 小型分配泵中的剂量传送
KR102196122B1 (ko) 환자 제어식 약물 투여 장치
US9839746B2 (en) Elastic band powered fluid delivery apparatus
KR101798429B1 (ko) 약제 주입 장치
KR102268926B1 (ko) 볼러스 카운터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기
JPH08308925A (ja) 薬液自己注入用具
CA3078139C (en) Medical fluid injector including bolus counter
KR20200068617A (ko) 약액 주입기
JPH1099432A (ja) 薬液自己注入器及び薬液を自己注入するため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