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3793A - 약제 지속 주입 및 추가 투여 가능한 환자 제어 진통(pca) 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지속 주입 및 추가 투여 가능한 환자 제어 진통(pca)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3793A
KR20060043793A KR1020050019759A KR20050019759A KR20060043793A KR 20060043793 A KR20060043793 A KR 20060043793A KR 1020050019759 A KR1020050019759 A KR 1020050019759A KR 20050019759 A KR20050019759 A KR 20050019759A KR 20060043793 A KR20060043793 A KR 20060043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liquid
reservoir
tube
flow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9651B1 (ko
Inventor
가츠히로 히에지마
유키노리 에바라
다케시 모리
사토키 히노
요시노리 야나기소노
Original Assignee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3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flexible, e.g. independent bags
    • A61M5/1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flexible, e.g. independent bags pressurised by contraction of elastic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2005/1401Functional features
    • A61M2005/1405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with capillaries for restricting fluid f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량 제어관에 의해 약액을 미량 지속 주입하면서, 릴리스 밸브에 의해 약액을 추가 투여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유량 제어관의 길이를 변경시킴으로써 약액 충전 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환자 제어 진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가압 상태에서 약액을 저장하고, 또한, 약액 유출부로부터 약액을 유입 및 유출시키는 리저버; 상기 약액 유출부로부터 연장된 지속 주입용 약액 유통 튜브; 해당 지속 주입용 약액 유통 튜브에 배치되어 일정한 압력에 의해 개방되어 약액의 유출을 가능하게 하는 릴리스 밸브와, 관로 저항에 의해 상기 리저버로부터 유출되는 약액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제어관으로 이루어지는 유량 제어 장치 A; 상기 리저버와 상기 유량 제어 장치 사이의 상기 약액 유통 튜브로부터 분기된 추가 투여용 약액 유통 튜브; 해당 추가 투여용 약액 유통 튜브에 배치되어 일정한 압력에 의해 개방되어 약액의 유출을 가능하게 하는 릴리스 밸브와, 관로 저항에 의해 상기 리저버로부터 유출되는 약액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제어관 으로 이루어지는 유량 제어 장치 B; 및 상기 추가 투여용 약액 유통 튜브의 말단에 설치된 가압 변형 자유로운 서브리저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지속 주입 및 추가 투여 가능한 환자 제어 진통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약제 지속 주입 및 추가 투여 가능한 환자 제어 진통(PCA) 장치{PCA DEVICE WHICH IS CAPABLE OF PERSISTENTLY INFUSING AND ADDITIONALLY ADMINISTRATING DRUG}
도 1은 본 발명의 약액 지속 주입 및 추가 투여 가능한 PCA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약액 지속 주입 및 추가 투여 가능한 PCA 장치의 지속주입용 및 추가 투여용 약액 유통 튜브에 설치된 유량 제어 장치의 일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약액 지속 주입 및 추가 투여 가능한 PCA 장치의 지속주입용과 추가 투여용 약액 유통 튜브에 설치된 유량 제어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유량 제어 장치를 이용한 약액 지속 주입 및 추가 투여 가능한 PCA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지속 주입용 및 추가 투여용 약액 유통 튜브에 설치된 양 제어 장치의 지속 주입시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지속 주입용 및 추가 투여용 약액 유통 튜브에 설치된 양 제어 장치의 지속 주입 + 추가 투여시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한 유량 제어 장치를 이용한 약액 지속 주입 및 추가 투여 가능한 PCA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지속 주입용 및 추가 투여용 약액 유통 튜브에 설치된 양 제어 장치의 지속 주입시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한 지속 주입용 및 추가 투여용 약액 유통 튜브에 설치된 양 제어 장치의 지속 주입 + 추가 투여시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리저버
2: 약액 유출부
3: 지속 주입용 약액 유통 튜브
4: 유량 제어 장치
5: 추가 투여용 약액 유통 튜브
6: 유량 제어 장치
7: 서브리저버
8: 역지 밸브
9: 밸룬
10: 삼방향 커넥터
21: 엄브렐러 밸브
22: 유량 제어관
31: 고무형 탄성막
32: 유량 제어관
본 발명은 약액 지속 주입 및 추가 투여 가능한 환자 제어 진통(PCA)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량 제어관에 의해 약액을 미량 지속 주입하면서, 릴리스 밸브에 의해 약액을 추가 투여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유량 제어관의 길이를 변경시킴으로써 약액 충전 시간을 제어하고, 또한, 서브리저버의 크기를 변경시킴으로써 투여량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고, 게다가 라인이 간략하며, 또한, 조작이 용이하고, 누설 등의 고장이 발생하는 일이 없는 제조 비용이 저렴한 지속 주입을 하면서 추가 투여할 수 있는 PCA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마취과 영역에 있어서, 수술 후 통증, 암성 통증 등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약액을 미량 지속 주입할 수 있는 기구를 사용한 경막외 카테터 삽입법이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치료법에 있어서, 환자의 증상은 여러 가지이며, 소 정량의 진통제를 미량 지속 주입하고 있는 도중에도 환자가 갑작스러운 고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긴급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서 환자 자신이 한번(one shot)에 진통제를 투여하여 고통을 완화시킬 수 있는 용구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와 같은 용구로서, 약액을 투여량 저장조로부터 선택적으로 압출하기 위해 환자에 의해서 작동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약액 자기 주입 용구(일본 특허 공표 소63-501195호 공보) 또는 휴대 진통 장치(WO95/27521)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약액 자기 주입 용구(특허 공표 소63-501195호 공보)에 있어서, 환자가 누름 버튼으로부터 손을 떼어도 가요성 시트가 자력으로는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기 어렵기 때문에 챔버로의 약액의 재충전은 약액 용기(밸룬(balloon)내에 밀봉된 약액을 밸룬의 복원력에 의해서 토출하도록 되어 있음)로부터의 약액을 압출하는 힘에 의해서만 행해진다. 그런데 약액 용기는 원래, 약액의 미량 투여를 목적으로 한 것이며 따라서, 그 토출량은 아주 적기 때문에 재충전에는 긴 시간이 필요하였다. 즉, 종래의 약액 자기 주입 용구는 재충전이 느리고 바로 다음 약액 주입을 할 수 없다고 하는 결점을 갖고 있다. 또한, 재충전이 느리다고 하는 전술한 결점에 덧붙여 종래의 약액 자기 주입 용구는 투여량이 한정되어 있으며 투여량을 임의로 선택할 수 없기 때문에 환자가 요구하는 양의 약액 주입을 할 수 없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약액 자기 주입 용구는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제조 가격이 비싸며, 특히 가요성 시트 주위로부터 누설이 발생하기 쉽다고 하는 근본적인 결함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휴대 진통 장치(WO95/27521)는 약액 지속 주입기, 개폐 밸브, 삼방향 커넥터, 압력 일방향 밸브가 일직선상으로 접속되어 리저버가 직렬의 한선에 수직으로 삼방향 커넥터를 통하여 접속된 장치이며, 미리 소정의 용량 및 지속 시간의 약액 지속 주입기를 준비하여 환자의 증상에 따라서 소정의 약액을 소정량, 주입량을 주입한다. 그 후, 개폐 밸브를 개방하여 유량 제어부에 의해 소정의 시간에 걸쳐 리저버내로 약액을 옮겨 담는다. 환자가 통증을 느꼈을 때 리저버를 환자 자신이 압축하여 압력 일방향 밸브를 통하여 리저버내의 약액을 환자의 신체내에 주입한다. 이와 같이 상기 휴대 진통 장치에는 라인 중에 개폐 밸브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약액 지속 주입기로부터 흘러나온 약액을 환자가 쉽게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여 정확한 투여를 할 수 없다고 하는 위험성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약액 자기 주입용구로도 말할 수 있지만, 이들의 장치는 환자에게 약액을 보러스 투여하는 것이 목적이며 환자에게 약액을 지속 투여할 수 없다고 하는 결점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유량 제어관에 의해 약액을 미량 지속 주입하면서 릴리스 밸브에 의해 약액을 추가 투여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유량 제어관의 길이를 변경시킴으로써 약액 충전 시간을 제어하고, 또한 서브리저버의 크기를 변경시킴으로써 투여량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고, 또한 라인이 간략하며, 또한, 조작이 용이하고 누설 등의 고장이 발생하는 일이 없는, 제조 비용이 저렴한 지속 주입을 하면서 추가 투여할 수 있는 PCA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들이 예의, 검토한 결과 일정한 압력에 의해 개방되어 약액의 유출을 가능하게 하는 릴리스 밸브와 관로 저항에 의해 리저버로부터 유출되는 약액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제어관으로 이루어지는 유량 제어 장치를 지속 주입하기 위한 약액 유통 튜브뿐만 아니라 추가 투여하기 위한 약액 유통 튜브에도 설치함으로써, 약액을 지속 주입 하면서 추가 투여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유량 제어관의 길이를 변경시킴으로써 서브리저버로의 약 액 충전 시간을 제어하고, 또한 서브리저버의 크기를 변경시킴으로써 추가 투여량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라인이 간략하고, 또한, 조작이 용이하고 누설 등의 고장이 발생하는 일이 없는, 제조 비용이 저렴한 약액을 지속 주입하면서 추가 투여할 수 있는 PCA 장치를 발견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추가 투여시에 환자에 의해서 서브리저버로부터 압출된 약액이 리저버로 역류하지 않도록 역지 밸브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은 (i) 가압 상태에서 약액을 저장하고, 또한, 약액 유출부로부터 약액을 유입 및 유출시키는 리저버; (ii) 상기 약액 유출부로부터 연장된 지속 주입용 약액 유통 튜브; (iii) 해당 지속 주입용 약액 유통 튜브에 배치되어, 일정한 압력에 의해 개방되어 약액의 유출을 가능하게 하는 릴리스 밸브와, 관로 저항에 의해 상기 리저버로부터 유출되는 약액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제어관으로 이루어지는 유량 제어 장치 A; (iv) 상기 리저버와 상기 유량 제어 장치 A 사이의 상기 약액 유통 튜브로부터 분기된 추가 투여용 약액 유통 튜브; (v)해당 추가 투여용 약액 유통 튜브에 배치되어, 일정한 압력에 의해 개방되어 약액의 유출을 가능하게 하는 릴리스 밸브와, 관로 저항에 의해 상기 리저버로부터 유출되는 약액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제어관으로 이루어지는 유량 제어 장치 B; 및 (vi) 상기 추가 투여용 약액 유통 튜브의 말단에 설치된 가압 변형 자유로운 서브리저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지속 주입 및 추가 투여 가능한 환자 제어 진통(PCA)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추가 투여용 약액 유통 튜브와 상기 리저버 사이에 설치 한 지속 주입용 약액 유통 튜브에 더하여 추가 투여시에 상기 리저버로의 약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지 밸브를 설치하더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약액 유출부로부터 연장된 지속 주입용 약액튜브는 상기 리저버의 약액 유출부를 접속하는 부분과 유량 제어부에 접속하는 부분과의 2부분으로 이루어져, 추가 투여용 약액 유통 튜브와 함께 삼방향 커넥터로 접속된다.
본 발명의 PCA 장치는 특히 밸룬 부착 약액 지속 주입기(진통제, 마취제, 항생물질, 항암제 등의 약액을 혈관, 피하, 경막외 등에 미량 또는 지속하여 투여하는 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고무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밸룬에 약액을 충전하고, 이 밸룬의 수축하는 힘을 이용하여 약액을 주입함)에 접속하여 일정량의 약액을 지속 주입하면서, 환자의 고통에 따라서 일정량의 약액을 추가 투여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적합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리저버에 접속된 상태의 약액 지속 주입 및 추가 투여 가능한 본 발명의 PCA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유량 제어부(4 및 6)의 일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마찬가지로 도 1에 도시한 유량 제어부(4 및 6)의 별도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의 유량 제어부를 이용한 PCA 장치이며, 도 5와 도 6은 도 4의 유량 제어부(4 및 6)의 기능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3의 유량 제어부를 이용한 PCA 장치이며, 도 8과 도 9는 도 7의 유량 제어부의 기능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종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PCA 장치는 가압 상태에서 약액을 저장하고, 또한 약액 유출부(2)로부터 약액을 유입 및 유출시키는 리저버(1); 약액 유출부(2)로부터 연장된 지속 주입용 약액 유통 튜브(3); 해당 지속 주입용 약액 유통 튜브(3)에 배치되고, 일정한 압력에 의해 개방되어 약액의 유출을 가능하게 하는 릴리스 밸브와 관로 저항에 의해 리저버(1)로부터 유출되는 약액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제어관으로 이루어지는 유량 제어 장치(4); 리저버(1)와 유량제어 장치(4) 사이의 약액 유통 튜브(3)로부터 분기된 추가 투여용 약액 유통 튜브(5); 해당 추가 투여용 약액 유통 튜브(5)에 배치된 상기와 같은 유량 제어 장치(6); 및 추가 투여용 약액 유통 튜브(5)의 말단에 설치된 가압 변형 자유로운 서브리저버(7)를 포함하고, 또한, 추가 투여용 약액 유통 튜브(5)와 리저버(1) 사이에 추가 투여시에 리저버(1)로의 약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지 밸브(8)에 의해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부분인 유량 제어 장치(4 또는 6)의 일실시형태의 종단면도이며, 일정한 압력에 의해 개방되어 약액의 유출을 가능하게 하는 엄브렐러 밸브(21)와 관로 저항에 의해 리저버로부터 유출되는 약액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제어관(22)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부분인 유량 제어 장치(4 또는 6)의 다른 실시형태의 종단면도이며, 일정한 압력에 의해 개방되어 약액의 유출을 가능하게 하는 고무형 탄성막(31)과 관로 저항에 의해 리저버로부터 유출되는 약액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제어관(32)으로 이루어진다.
유량 제어 장치(4 또는 6)는 각각 일정한 압력에 의해 개방되어 약액의 유출을 가능하게 하는 릴리스 밸브(21)와 관로 저항에 의해 리저버(1)로부터 유출되는 약액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제어관(22)으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일정한 압력에 의해 개방되어 약액의 유출을 가능하게 하는 릴리스 밸브(31)와 관로 저항에 의해 리저버(1)로부터 유출되는 약액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제어관(32)으로 이루어진다. 유량 제어 장치(4 또는 6)는 동일한 릴리스 밸브 및 유량 제어관을 갖더라도 좋고 또는 다른 릴리스 밸브 및 유량 제어관을 갖더라도 좋다.
리저버(1)내의 밸룬(9)의 압력에 의해 배출된 약액은 지속 주입용 약액 유통 튜브(3)를 흘러 지속 주입용 약액 유통 튜브(3)에 설치된 유량 제어 장치(4)중의 유량 제어관(22 또는 32)을 통과하여 환자에게 미량 지속 주입되는 동시에 약액이 추가 투여용 약액 유통 튜브(5)에도 흘러서 추가 투여용 유량 제어 장치(6)중의 유량 제어관(22 또는 32)을 통과하여 서브리저버(7)에 충전되어, 추가 투여시에 환자의 악력 의해 압출된 약액이 추가 투여용 약액 유통 튜브(5)에 설치된 유량 제어 장치(6)중의 릴리스 밸브(21 또는 31)를 통과하고, 이 때에 역지 밸브(8)가 약액의 밸룬(9)으로의 역류를 막고, 약액이 지속 주입용 약액 유통 튜브(3)에 설치된 유량 제어 장치(4)중의 릴리스 밸브(21 또는 32)를 통과하여 환자에게 추가 투여된다.
도 4는 도 1의 유량 제어 장치(4 및 6)에 도 2의 유량 제어 장치를 이용한 실시예이며, 도 5와 도 6은 도 4의 유량 제어 장치(4 및 6)의 기능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지속 주입시의 유량 제어 장치(4)에 있어서의 약액의 흐름(4a) 및 유량 제어 장치(6)에 있어서의 약액의 흐름(6a)을 도시한다. 도 6은 지속 주입 및 추가 투여시의 유량 제어 장치(4)에 있어서의 약액의 흐름(4b) 및 유량 제어 장치(6)에 있어서의 약액의 흐름(6b)을 도시한다.
유량 제어 장치(4 및 6)는 지속 주입시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저버(1)내의 밸룬(9)의 압력에 의해 배출된 약액이 지속 주입용 약액 유통 튜브(3)에 설치된 유량 제어 장치(4)중의 유량 제어관(22)을 화살표 방향으로 통과하여 환자에게 미량 지속 투여되는 동시에 추가 투여용 약액 유통 튜브(5)에 설치된 유량 제어 장치(6)중의 유량 제어관(22)을 화살표 방향으로 통과하여, 서브리저버(7)로 저축된다. 환자가 통증을 느껴 서브리저버(7)를 누르는 경우, 즉 약액을 지속 주입하면서 추가 투여하는 경우에 있어서, 서브리저버(7)가 가압 변형되어 약액이 서브리저버(7)로부터 압출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투여용 약액 유통 튜브(3)에 설치된 유량 제어 장치(6)내의 유량 제어관(22)과 엄브렐러 밸브(21)를 화살표가 도시하는 방향으로 약액을 통과시켜 지속 투여용 약액 유통 튜브(3)에 설치된 유량 제어 장치(4)중의 유량 제어관(22)과 엄브렐러 밸브(21)를 화살표가 도시하는 방향으로 통과함으로써 환자에게 약액이 흐르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7은 도 1의 유량 제어 장치(4 및 6)에 도 3의 유량 제어 장치를 이용한 실시예이며, 도 8과 도 9는 도 7의 유량 제어 장치(4 및 6)의 기능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8은 지속 주입시의 유량 제어 장치(4)에 있어서의 약액의 흐름(4a) 및 유량 제어 장치(6)에 있어서의 약액의 흐름(6a)을 도시한다. 도 9는 지속 주입 및 추가 투여시의 유량 제어 장치(4)에 있어서의 약액의 흐름(4b) 및 유량 제어 장치(6)에 있어서의 약액의 흐름(6b)을 도시한다.
유량 제어 장치(4 및 6)는 지속 주입시에 있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저버(1)내의 밸룬(9)의 압력에 의해 배출된 약액이 지속 주입용 약액 유통 튜브(3)에 설치된 유량 제어 장치(4)중의 유량 제어관(32)을 화살표 방향으로 통과하여 환자에게 미량 지속 투여되는 동시에 추가 투여용 약액 유통 튜브(5)에 설치된 유량 제어 장치(6)중의 유량 제어관(32)을 화살표 방향으로 통과하여, 서브리저버(7)에 저축된다. 환자가 고통을 느껴 서브리저버(7)를 누르는 경우, 즉 약액을 지속 주입하면서 추가 투여하는 경우에 있어서, 서브리저버(7)가 가압 변형되고 약액이 서브리저버(7)로부터 압출되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투여용 약액 유통 튜브(3)에 설치된 유량 제어 장치(6)내의 유량 제어관(32)과 고무형 탄성막(31)을 화살표가 도시하는 방향으로 약액을 통과시키고 지속 투여용 약액 유통 튜브(3)에 설치된 유량 제어 장치(4)중의 유량 제어관(32)과 고무형 탄성막(31)을 화살표가 도시하는 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으로 환자에게 약액이 흐르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에,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하는 가압 상태에서 약액을 저장하고, 또한, 약액 유출부(2)로부터 약액을 유입 및 유출시키는 리저버(1)는 약액이 저류(貯留)되는 장소로써, 저류된 약액을 외부에 압출하기 위한 가압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약액이 저류되는 장소인 리저버(1) 외벽에는 리저버(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구멍이 적어도 1개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약액이 충전되고, 또한, 저류된 약액이 외부로 압출된다. 약액 리저버는 공지된 기술로서 미국 특허 제4386929호를 들 수 있지만, 특히, 자신의 수축력에 의해 내부의 약액 을 압출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밸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룬에 사용되는 재료는 신축성이 크고, 약액을 배출하기 위해 필요한 내부 압력을 부여할 수 있는 것으로 의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등이다. 밸룬의 내벽은 충전하는 약액에 의해 변질되지 않는 것과 같은 약제 내성 재료로 피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저버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압 상태에서 약액을 저장하는 것은 리저버(1)내의 밸룬(9)에 약액을 저류하는 것이며, 가압 상태에 있는 약액은 환자쪽으로 압출되어 약액의 흐름을 만드는 역할을 수행한다. 가압 상태인 약액은 50∼100 KPa 정도로 가압되어 환자쪽으로 압출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액 유출부(2)로부터 약액을 유입 및 유출하기 위해서는, 우선, 시리지 등에 의해 약액 유출부(2)를 통하여 리저버(1)내의 밸룬(9)에 약액이 충전된다. 밸룬(9)내에 충전된 약액은 지속 주입용 약액 유통 튜브(3)의 다른 단부에 설치된 특유의 커넥터와 리저버(1)의 약액 유출부(2)를 접속함으로써, 환자쪽으로 약액이 흐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하는 지속 주입용 약액 유통 튜브(3) 및 추가 투여용 약액 유통 튜브(5)는 리저버(1)내의 밸룬(9)에 의해 압출된 약액을 환자에게 보내기 위한 것이며, 연질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지속 주입용 약액 유통 튜브(3)는 다른 단부에 리저버(1)의 약액 유출부(2)와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 또 한쪽의 다른 단부에는 경막외 카테터 등에 접속하 기 위한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추가 투여용 약액 유통 튜브(5)의 다른 단부는 지속 주입용 약액 유통 튜브와 삼방향 커넥터 등을 통해 접속되고, 또 한쪽의 다른 단부에는 추가 투여하기 위한 약액을 저장하는 서브리저버(7)와 접속된다.
서브리저버(7)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가요성 수지나 폴리이소프렌, 실리콘 고무 등의 고무 탄성 재료로 형성된 가압 변형 및 형상 복원력을 갖는 것이다. 서브리저버(7)는 추가 투여용 약액 유통 튜브(5)의 다른 단부와 접속되어 리저버(1)내의 밸룬(9)으로부터 압출된 약액을 일시적으로 저류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형상으로서는 환자에 의한 조작이 용이한 누름 버튼식 또는 상기 고무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주머니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하는 유량 제어 장치(4 또는 6)는 일정한 압력에 의해 개방되어 약액의 유출을 가능하게 하는 릴리스 밸브(21 또는 31)와 관로 저항에 의해 리저버로부터 유출되는 약액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제어관(22 또는 32)으로 이루어진다.
릴리스 밸브란, 일정한 압력에 의해 개방되어 서브리저버내의 약액을 유출시키기 위한 밸브이며, 통상은 폐색되어 있으며 서브리저버의 내압이 결정된 값 보다 커지면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릴리스 밸브로서는 일반적으로 엄브렐러 타입인 것(일본 특허 공개 평9-308687호 공보)이나 고무형 탄성막, 덕 빌 타입이 채용된다. 단,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유량 제어관과 릴리스 밸브를 동축상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엄브렐러 타입(엄브렐러 밸브(21))이나 고무형 탄성막인 것(고무형 탄성막(31))이 바람직하다.
엄브렐러 밸브(21)는 고인성으로 신축성이 풍부하고, 약액 등의 작용에 의해서도 쉽게 손상되지 않는 내약품성 재료인 실리콘 고무나 라텍스 고무가 바람직하다. 또한, 리저버(1)내의 밸룬(9)의 내압에 의해 개방되지 않도록 개방하는 압력을 높게 설정하고, 또한 상한을 환자가 용이하게 약액을 압출할 수 있는 압력으로 설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형 탄성막(31)은 고인성이며 신축성이 풍부하고, 약액 등의 작용에 의해서도 쉽게 손상되지 않는 내약품성 재료인 실리콘 고무나 라텍스 고무가 바람직하다. 또한, 리저버(1)내의 밸룬(9)의 내압에 의해 개방되지 않도록 개방하는 압력을 높게 설정하고, 또한 상한을 환자가 용이하게 약액을 압출할 수 있는 압력으로 설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량 제어관(22 또는 32)은 극세 지름의 관체로 이루어져, 관로 저항에 의해 리저버로부터 유출되는 약액의 유량을 조정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폴리올레핀,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레트,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합성 수지나 금속 등으로 형성된다. 유량 제어관의 크기는 내경이 10∼500 μ, 바람직하게는 50∼300 μ이며, 길이 1 cm 이상이 바람직하고, 외경이 내경의 5∼500 배인 것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유량 제어관의 내경이 10 μ미만이면 약액 중의 공기가 관내벽에 부착되어 약액의 흐름이 정지되는 경향이 있으며, 내부 지름이 500 μ를 넘으면, 약액 유량의 제어가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역지 밸브(8)는 밸브의 폐쇄 단부가 오리너구리의 부리와 같은 뾰족한 형상을 한 덕 빌 타입인 것이며, 리저버(1)내의 밸룬(9)으로부터 압출된 약액의 유통은 허용하지만, 그 역 방향의 흐름은 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는 환자에 의해 압출된 서브리저버(7)내에 저축된 약액이 밸룬(9)으로 역류하는 것을 막고, 규정량의 약액을 추가 투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역지 밸브로서는 상기 덕 빌 타입의 밸브 이외에도 엄브렐러 밸브, 플랩 밸브, 포핏 밸브, 볼 밸브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이들 밸브의 재료로서는 불소 수지, 나일론, 폴리올레핀, 폴리염화비닐, 폴리카보네이트, 실리콘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약액 유출부(2)로부터 연장된 지속 주입용 약액 튜브(3)는 상기 리저버(1)의 약액 유출부(2)를 접속하는 부분(3a)과 유량 제어부(4)에 접속하는 부분(3b)의 2부분으로부터 이루어지며, 추가 투여용 약액 유통 튜브(5)와 함께 삼방향 커넥터(10)로 접속된다.
본 발명의 PCA 장치는 상기 제어 장치(4 및 6)를 보유하고, 지속 주입하면서 지속 투여할 수 있는 한 상기 도면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리저버로서 자주 이용되고 있는 밸룬의 압력에 의해 배출된 약액이 지속 주입용 약액 유통 튜브를 흘러 지속 주입용 약액 유통 튜브에 설치된 유량 제어 장치중의 유량 제어관을 통과하여 환자에게 미량 지속 주입되는 동시에 약액이 추가 투여용 약액 유통 튜브에도 흘러서 추가 투여용 약액 유통 튜브에 설치된 유량 제어 장치중의 유량 제어관을 통과하여 서브리저버에 충전된다. 그리고, 추가 투여시에 환자의 악력 의해 서브리저버가 압박 변형되어 압출된 약액이 추가 투여용 약액 유통 튜브에 설치된 유량 제어 장치중의 릴리스 밸브를 통과하고, 이 때에 역지 밸브가 약액의 밸룬으로의 역류를 막고 약액이 지속 주입용 약액 유통 튜브에 설치된 유량 제어 장치중의 릴리스 밸브를 통과하여, 환자에게 추가 투여되는 유량 제어 장치 부분에 특징이 있어 약액을 지속 주입하면서 추가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PCA 장치를 채용함으로써, 약액을 지속 주입하면서 추가 투여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유량 제어관의 길이를 변경시킴으로써 서브리저버로의 약액 충전 시간을 제어하고, 서브리저버의 크기를 변경시킴으로써 추가 투여량도 임의로 선택할 수 있고, 또한, 라인이 간략해지며 조작이 용이하고, 누설 등의 고장이 발생하는 일도 없기 때문에 약액의 추가 투여에 적합하며, 나아가서는 제조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환자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Claims (3)

  1. (i) 가압 상태에서 약액을 저장하고, 또한 약액 유출부로부터 약액을 유입 및 유출시키는 리저버; (ⅱ) 상기 약액 유출부로부터 연장된 지속 주입용 약액 유통 튜브; (ⅲ) 해당 지속 주입용 약액 유통 튜브에 배치되어, 일정한 압력에 의해 개방되어 약액의 유출을 가능하게 하는 릴리스 밸브와, 관로 저항에 의해 상기 리저버로부터 유출되는 약액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제어관으로 이루어지는 유량 제어 장치 A; (iv) 상기 리저버와 상기 유량 제어 장치 A 사이의 상기 약액 유통 튜브로부터 분기된 추가 투여용 약액 유통 튜브; (v) 해당 추가 투여용 약액 유통 튜브에 배치되어, 일정한 압력에 의해 개방되어 약액의 유출을 가능하게 하는 릴리스 밸브와, 관로 저항에 의해 상기 리저버로부터 유출되는 약액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제어관으로 이루어지는 유량 제어 장치 B; 및 (vi) 상기 추가 투여용 약액 유통 튜브의 말단에 설치된 가압 변형이 자유로운 서브리저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지속 주입 및 추가 투여 가능한 환자 제어 진통(PCA)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투여용 약액 유통 튜브와 상기 리저버 사이에 설치한 지속 주입용 약액 유통 튜브에 추가 투여할 때, 상기 리저버로의 약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지 밸브를 추가로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약제 지속 주입 및 추가 투여 가능한 환자 제어 진통(PCA) 장치.
  3. 상기 약액 유출부로부터 연장된 지속 주입용 약액 튜브는 상기 리저버의 약액 유출부를 접속하는 부분과 유량 제어부에 접속하는 부분의 2부분으로 이루어져, 추가 투여용 약액 유통 튜브와 함께 삼방향 커넥터로 접속되는 것인 약제 지속 주입 및 추가 투여 가능한 환자 제어 진통(PCA) 장치.
KR1020050019759A 2004-03-12 2005-03-09 약제 지속 주입 및 추가 투여 가능한 환자 제어 진통(pca) 장치 KR1009196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71102 2004-03-12
JPJP-P-2004-00071102 2004-03-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793A true KR20060043793A (ko) 2006-05-15
KR100919651B1 KR100919651B1 (ko) 2009-09-30

Family

ID=34836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759A KR100919651B1 (ko) 2004-03-12 2005-03-09 약제 지속 주입 및 추가 투여 가능한 환자 제어 진통(pca)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50234406A1 (ko)
EP (1) EP1576976B1 (ko)
KR (1) KR100919651B1 (ko)
CN (1) CN100548396C (ko)
AT (1) ATE416799T1 (ko)
DE (1) DE602005011511D1 (ko)
TW (1) TW20053990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046B1 (ko) * 2006-09-29 2008-10-16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토출량 제어 방법, 토출압 제어 방법, 주입 장치, 미소체의제조 방법, 토출량 제어 장치 및 토출량 제어 프로그램
WO2010087616A3 (ko) * 2009-01-28 2010-11-11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약액투여기
KR101126213B1 (ko) * 2010-01-27 2012-03-26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약액투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83006B1 (en) 2010-04-27 2013-03-20 Dentsply IH AB Flow control device for medical liquid
KR101715691B1 (ko) 2015-10-20 2017-03-27 에이스메디칼 주식회사 충전된 정량의 약액을 지속적으로 주입하는 약액주입장치
JP6724929B2 (ja) * 2015-12-10 2020-07-15 ニプロ株式会社 薬液投与装置
KR101715703B1 (ko) 2017-01-02 2017-03-27 에이스메디칼 주식회사 충전된 정량의 약액을 지속적으로 주입하는 약액주입장치
CN111068173B (zh) * 2020-01-03 2022-07-29 上海旭润医学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可抛弃的穿戴式微流量持续给药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7000758A1 (en) * 1985-08-06 1987-02-12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Patient-controlled delivery of beneficial agents
US5011477A (en) * 1989-04-21 1991-04-30 Baxter International Inc. Continuous/bolus infusor
US5356375A (en) * 1992-04-06 1994-10-18 Namic U.S.A. Corporation Positive pressure fluid delivery and waste removal system
WO1995027521A1 (fr) * 1994-04-11 1995-10-19 Tsukada Medical Research Co., Ltd. Appareil d'analgesie portable
CA2185346C (en) * 1995-06-06 2005-11-29 Osamu Tsukada Portable analgesic system
US5618268A (en) * 1995-06-06 1997-04-08 B. Braun Medical Inc. Medical infusion devices and medicine delivery systems employing the same
EP0900099B1 (en) * 1996-03-14 2003-06-04 O'NEIL, Christine Patient controllable drug delivery system flow regulating means
JP3152149B2 (ja) * 1996-05-23 2001-04-03 株式会社ニッショー プライミング機構を備えた流量制御装置
US5807312A (en) * 1997-05-23 1998-09-15 Dzwonkiewicz; Mark R. Bolus pump apparatus
PT1395315E (pt) * 2001-06-01 2007-08-21 I Flow Corp ''dispositivo de bolus de grande volu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046B1 (ko) * 2006-09-29 2008-10-16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토출량 제어 방법, 토출압 제어 방법, 주입 장치, 미소체의제조 방법, 토출량 제어 장치 및 토출량 제어 프로그램
WO2010087616A3 (ko) * 2009-01-28 2010-11-11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약액투여기
KR101126213B1 (ko) * 2010-01-27 2012-03-26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약액투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76976A2 (en) 2005-09-21
CN1666785A (zh) 2005-09-14
US20050234406A1 (en) 2005-10-20
KR100919651B1 (ko) 2009-09-30
DE602005011511D1 (de) 2009-01-22
TW200539908A (en) 2005-12-16
ATE416799T1 (de) 2008-12-15
EP1576976A3 (en) 2005-09-28
CN100548396C (zh) 2009-10-14
EP1576976B1 (en) 200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9651B1 (ko) 약제 지속 주입 및 추가 투여 가능한 환자 제어 진통(pca) 장치
JP4539382B2 (ja) 薬剤持続注入ならびに追加投与可能な患者制御鎮痛(pca)装置
US7935079B2 (en) Troubleshooting accelerator system for implantable drug delivery pumps
US4813937A (en) Ambulatory disposable infusion delivery system
AU657197B2 (en) Fluid control device including automatic valve
AU2021203345B2 (en) Medical liquid administration device
US5352201A (en) Compact uniform pressure infusion apparatus
US629392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and limiting access by hypodermic needles to septum of a human implantable medical treatment device
US6500156B1 (en) Thumb-powered flushing device for catheters
EP1467782B1 (de) Implantierbare infusionspumpe
WO1996039210A1 (fr) Dispositif analgesique portable
KR100805314B1 (ko) 약액 정량주입 밸브
US5135497A (en) Large volume pressurized fluid dispenser
JP6945661B2 (ja) 注入装置用のプライミングシステム
US11602595B2 (en) Medical fluid injector including bolus counter
JPH10113385A (ja) 薬液持続注入具
JPH09308687A (ja) プライミング機構を備えた流量制御装置
KR20030014825A (ko) 주사 수액 역류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