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5347A - 정량 약액 주입장치 - Google Patents

정량 약액 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5347A
KR20210025347A KR1020190105267A KR20190105267A KR20210025347A KR 20210025347 A KR20210025347 A KR 20210025347A KR 1020190105267 A KR1020190105267 A KR 1020190105267A KR 20190105267 A KR20190105267 A KR 20190105267A KR 20210025347 A KR20210025347 A KR 20210025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solution
check
roller member
medicinal liquid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수
최홍선
박억원
Original Assignee
(주)이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노테크 filed Critical (주)이노테크
Priority to KR1020190105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5347A/ko
Publication of KR20210025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3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61M5/16813Flow controllers by controll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flow 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2005/1401Functional features
    • A61M2005/1405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68Liquids non-physiological
    • A61M2202/048Anaesthe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정량 약액 주입장치는 약액이 저장되는 약액 저장유닛과, 상기 약액 저장유닛과 제1공급튜브로 연결되어 약액 주입량을 다단으로 조절하는 약액 주입량 조절유닛과, 상기 약액 주입량 조절유닛과 제2공급튜브로 연결되어 약액을 주입하는 약액 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약액 주입량 조절유닛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전방에 배치되고 제1공급튜브가 연결되는 분배부재와, 상기 분배부재에 복수로 연결되고 약액 통과량이 서로 다르도록 직경이 각각 다르게 형성되는 복수의 관 부재와, 상기 복수의 관 부재가 각각 연결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누름 동작에 의해 약액의 흐름이 차단되는 복수의 체크튜브와,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외주면에 복수의 체크튜브를 누름 동작하는 복수의 누름돌기가 형성되는 롤러부재와, 상기 롤러 부재에 삽입되어 롤러 부재를 회전시키는 키 부재로 구성되어, 약액 주입량을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Description

정량 약액 주입장치{DEVICE FOR FEEDING LIQUID MEDICINE}
본 발명은 수술 후 통증을 조절하기 위해 진통제를 환자에게 정밀하게 주입하는 정량 약액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이나 백혈병 등의 중증 환자에게 투여되는 항생제는 일반적인 약액과는 달리 약의 특성상 미세한 양이 항상 일정하게 투여되어야 한다.
그리고 수술 후 지속적으로 통증이 따르는 환자에게 통증을 가라앉히기 위해 투여되는 진통제도 적절한 양으로 일정한 시간주기로 투여되어야 한다.
이러한 항생제나 진통제를 환자에게 설정 시간동안 정량 주입하기 위해 약액 주입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약액 주입장치는 시간 대비 약액 주입량이 설정되어 있거나 약액 주입량을 조절하는 단계가 최대 3단계 정도로 한정되어 있어 다양한 조건에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환자마다 통증을 느끼는 정도가 다르고, 수술 부위에 따라 약액 주입량이 다르기 때문에 약액 주입량이 환자 및 수술 정도에 따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약액 주입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특허문헌1: 공개특허공보 10-2019-0010976(2019년02월01일) 특허문헌2: 등록특허공보 10-1638969(2016년07월06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약액 주입량을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어 하나의 약액 주입 시스템으로 다양한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정량 약액 주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키 부재를 회전시키면 약액 주입량이 다단으로 조절되므로 사용이 편리한 정량 약액 주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정량 약액 주입장치는 약액이 저장되는 약액 저장유닛과, 상기 약액 저장유닛과 제1공급튜브로 연결되어 약액 주입량을 다단으로 조절하는 약액 주입량 조절유닛과, 상기 약액 주입량 조절유닛과 제2공급튜브로 연결되어 약액을 주입하는 약액 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약액 주입량 조절유닛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전방에 배치되고 제1공급튜브가 연결되는 분배부재와, 상기 분배부재에 복수로 연결되고 약액 통과량이 서로 다르도록 직경이 각각 다르게 형성되는 복수의 관 부재와, 상기 복수의 관 부재가 각각 연결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누름 동작에 의해 약액의 흐름이 차단되는 복수의 체크튜브와,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외주면에 복수의 체크튜브를 누름 동작하는 복수의 누름돌기가 형성되는 롤러부재와, 상기 롤러 부재에 삽입되어 롤러 부재를 회전시키는 키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관 부재는 직경이 서로 다른 유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 부재와 체크 튜브 사이에는 연결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그 일면에 복수의 관 부재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2삽입부가 형성되고, 그 타면에는 복수의 체크튜브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3삽입부가 형성되며, 제2삽입구와 제3삽입구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체크튜브는 동일한 직경을 갖고, 동일 평면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롤러부재의 누름돌기가 가압하면 탄성 변형되어 약액의 흐름을 차단하는 수지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부재는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외주면에는 둘레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누름돌기가 형성되고, 그 전면에는 키 부재가 삽입되는 다각형 형태의 키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키 부재는 일단에 롤러부재의 키홈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키홈부와 동일한 다각형 형태의 돌기부가 형성되고, 타단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돌릴 수 있는 손잡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름돌기는 상기 롤러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체크튜브 중 적어도 하나를 가압하여 약액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롤러부재와 체크튜브 사이에는 롤러부재의 누름돌기의 누름 동작을 체크튜브에 전달하여 체크튜브를 눌러주는 복수의 버튼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량 약액 주입장치는 직경이 각각 다른 복수의 관 부재가 구비되어 약액 주입량을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어 하나의 약액 주입 시스템으로 다양한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키 부재를 롤러부재에 삽입하고 키부재를 회전시키면 롤러부재가 회전되면서 약액 주입량이 다단으로 조절되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멸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량 조절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량 조절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량 조절유닛의 약액 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량 조절유닛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약액 주입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액이 저장되는 약액 저장유닛(100)과, 약액 저장유닛(100)과 제1공급튜브(110)로 연결되어 약액 주입량을 다단으로 조절하는 약액 주입량 조절유닛(120)과, 약액 주입량 조절유닛(120)과 제2공급튜브(130)로 연결되어 약액을 환자에게 주입하는 약액 주입부(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공급튜브(110)에는 약액을 약액 저장유닛으로 공급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일방향 흐름만 가능한 구조를 갖고 필터가 설치되는 필링포트(150)가 연결되고, 제2공급튜브(130)에는 약액을 필터링하는 필터(160)가 장착될 수 있다.
약액 주입량 조절유닛(12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약액 저장유닛(100)과 제1공급튜브(110)로 연결되고 타단은 약액 주입부(140)와 제2공급튜브(130)로 연결되는 하우징(10,12)과, 하우징(10,12)의 전방에 장착되고 제1공급튜브(110)가 연결되며 제1공급튜브(110)로 공급되는 약액을 복수로 분배하는 분배부재(14)와, 분배부재(14)에 연결되고 직경이 각각 다른 복수의 관 부재(16)와, 복수의 관 부재(16)가 일단에 연결되는 연결부재(18)와, 연결부재(18)의 타단에 연결되고 누르면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복수의 체크튜브(20)와, 복수의 체크튜브(20)의 상측에 배치되고 하우징(10,1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주면에 체크튜브(20)를 눌러주는 복수의 누름돌기(22)가 형성되는 롤러부재(22)와, 체크튜브(20)의 타단에 연결되고 복수의 체크튜브(20)를 통과한 약액이 모아지고 제2공급튜브(130)가 연결되는 배출부재(26)와, 롤러부재(24)의 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어 롤러부재(24)를 회전시키는 키 부재(28)를 포함한다.
하우징(10,12)은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12)이 상호 결합되고 그 전면에는 제1공급튜브(110)가 연결되고, 타단에는 제2공급튜브(130)가 삽입된다.
분배부재(14)는 전면에 제1공급튜브(110)가 끼움 결합되는 연결부(32)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연결부(32)와 연통되고 복수의 관 부재(16)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1삽입부(34)가 형성된다.
이때, 제1삽입부(34)는 복수의 관 부재(16)의 직경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관 부재(16)가 삽입될 수 있는 내경을 갖는다.
복수의 관 부재(16)는 약액의 통과량이 서로 다르도록 그 직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일 예로, 관 부재(16)는 제1관부재(40), 제2관부재(42), 제3관부재(44) 및 제4관부재(46)로 구성될 수 있고, 제1관부재(40)의 직경이 가장 작고, 제2관부재(42)의 직경은 제1관부재(40)의 직경보다 크고, 제3관부재(44)의 직경은 제2관부재(42)의 직경보다 크고, 제4관부재(46)의 직경은 제3관부재(4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복수의 관 부재(16)는 직경을 보다 정밀하게 제조할 수 있고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리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18)는 그 전면에 복수의 관 부재(16)가 연결되는 제2삽입부(50)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복수의 체크튜브(20)가 연결되는 제3삽입부(52)가 형성되며 제2삽입부(50)와 제3삽입부(52)는 서로 연통된다.
제2삽입부(50)는 관 부재(16)가 삽입될 수 있는 내경으로 형성되고, 제3삽입부(52)는 체크튜브(20)가 삽입될 수 있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복수의 체크튜브(20)는 관 부재(16)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고, 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되며, 누름돌기(22)가 누르면 탄성 변형되면서 통로가 밀폐되도록 플랙시블한 수지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체크튜브(20)는 제1관부재(40)와 연통되는 제1체크튜브(60)와, 제2관부재(42)와 연통되는 제2체크튜브(62)와, 제3관부재(44)와 연통되는 제3체크튜브(64)와, 제4관부재(46)와 연결되는 제4체크튜브(66)를 포함할 수 있다.
체크튜브(20)와 롤러부재(24) 사이에는 롤러부재(24)에 형성된 누름돌기(22)가 누름 동작에 따라 체크튜브(20)를 눌러주는 버튼유닛(70)이 설치된다. 버튼유닛(70)은 체크튜브(20)의 상면에 배치되는 지지판(72)과, 지지판(72)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고 복수의 체크튜브(2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누름돌기(22)의 누름동작을 체크튜브에 전달하여 체크튜브(20)를 가압하여 체크튜브(20)를 개폐하는 버튼부(74)를 포함한다.
롤러부재(24)는 하우징(10,12)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그 외면에는 버튼부(74)를 눌러주는 복수의 누름돌기(22)가 형성되고, 그 측면에는 키 부재(28)가 삽입되는 키홈부(30)가 형성된다.
누름돌기(22)는 롤러부재를 회전시키면 복수의 버튼부를 순차적으로 누름 동작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롤러부재가 일정 각도의 제1각도만큼 회전되면 제1체크튜브가 밀폐되고, 롤러부재가 제2각도로 회전되면 제2체크튜브가 밀폐되고, 롤러부재가 제3각도로 회전되면 회전되면 제3체크튜브가 밀폐되고, 롤러부재가 제4각도로 회전되면 제3체크튜브가 밀폐된다.
즉, 4개의 체크밸브 중 어느 하나를 밀폐하고 나머지 3개는 개방된 상태로 하거나 4개의 체크밸브 중 선택된 2개를 밀폐하고, 나머지 2개는 개방된 상태로 하거나, 4 개의 체크밸브 중 선택된 3개를 밀폐하고, 나머지 1만 개방하는 등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여, 약액의 주입량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키 부재(28)는 롤러부재(24)의 키홈부(30)에 삽입되는 다각형 바 형태의 키 돌기부(82)와,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는 손잡이부(8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키 부재(28)는 약액의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전문가가 보관하고 약액의 주입량을 조절하고자 할 경우 키 부재(28)를 롤러부재(24)에 삽입하여 롤러부재(24)를 회전시켜 약액 주입량을 조절한다. 따라서, 임의의 비전문가가 임의로 약액을 조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롤러부재(24)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에는 표시부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표시부를 확인할 수 있어 약액의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장치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량 조절유닛의 작동 상태도이다.
약액 저장유닛(100)에 저장된 약액이 약액 저장유닛(100)의 내부 압력에 의해 제1공급튜브(110)로 공급되고 분배부재(14)로 유입된다. 그러면 분배부재(14)에서 복수의 관 부재(16)로 분배되어 복수의 관 부재(16)를 통과한다.
이때, 복수의 관 부재(16)는 그 직경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약액의 통과량이 서로 다르다. 따라서, 복수의 관 부재(16)와 연결되는 복수의 체크튜브(20)를 통과하는 약액량이 서로 다르게 된다.
롤러부재(24)의 누름돌기(22)가 버튼부(74)를 누르지 않으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튜브(20)는 원상태를 유지하면서 체크튜브(20)를 약액이 통과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부재(24)에 키 부재(28)를 삽입한 후 키 부재(28)를 돌리면 롤러부재(24)가 회전되면서 선택된 누름돌기(22)가 버튼부(74)를 눌러주고 버튼부에 해당되는 체크튜브(20)가 눌러지면서 통로가 막히면서 해당 체크튜브(20)로의 약액 공급이 차단된다.
이와 같이, 롤러부재(24)를 회전시키면 약액 통과량이 서로 다른 체크튜브 (20)중 선택된 개수의 체크밸브가 약액 공급이 차단되어 약액 주입량이 조절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12: 하우징 14: 분배부재
16: 관 부재 18: 연결부재
20: 체크튜브 22: 누름돌기
24: 롤러부재 26: 배출부재
28: 키 부재 100: 약액 저장유닛
110: 제1공급튜브 120: 약액 주입량 조절유닛
130: 제2공급튜브

Claims (8)

  1. 약액이 저장되는 약액 저장유닛과, 상기 약액 저장유닛과 제1공급튜브로 연결되어 약액 주입량을 다단으로 조절하는 약액 주입량 조절유닛과, 상기 약액 주입량 조절유닛과 제2공급튜브로 연결되어 약액을 주입하는 약액 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약액 주입량 조절유닛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전방에 배치되고 제1공급튜브가 연결되는 분배부재;
    상기 분배부재에 복수로 연결되고 약액 통과량이 서로 다르도록 직경이 각각 다르게 형성되는 복수의 관 부재;
    상기 복수의 관 부재가 각각 연결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누름 동작에 의해 약액의 흐름이 차단되는 복수의 체크튜브;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외주면에 복수의 체크튜브를 누름 동작하는 복수의 누름돌기가 형성되는 롤러부재; 및
    상기 롤러 부재에 삽입되어 롤러 부재를 회전시키는 키 부재;를 포함하는 정량 약액 주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 부재는 직경이 서로 다른 유리 재질로 형성되는 정량 약액 주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 부재와 체크 튜브 사이에는 연결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그 일면에 복수의 관 부재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2삽입부가 형성되고, 그 타면에는 복수의 체크튜브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3삽입부가 형성되며, 제2삽입구와 제3삽입구는 서로 연통되는 정량 약액 주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체크튜브는 동일한 직경을 갖고, 동일 평면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롤러부재의 누름돌기가 가압하면 탄성 변형되어 약액의 흐름을 차단하는 수지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정량 약액 주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는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외주면에는 둘레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누름돌기가 형성되고, 그 전면에는 키 부재가 삽입되는 다각형 형태의 키홈부가 형성되는 정량 약액 주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키 부재는 일단에 롤러부재의 키홈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키홈부와 동일한 다각형 형태의 돌기부가 형성되고, 타단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돌릴 수 있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정량 약액 주입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돌기는 상기 롤러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체크튜브 중 적어도 하나를 가압하여 약액의 흐름을 차단하는 정량 약액 주입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와 체크튜브 사이에는 롤러부재의 누름돌기의 누름 동작을 체크튜브에 전달하여 체크튜브를 눌러주는 복수의 버튼부가 설치되는 정량 약액 주입장치.
KR1020190105267A 2019-08-27 2019-08-27 정량 약액 주입장치 KR202100253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267A KR20210025347A (ko) 2019-08-27 2019-08-27 정량 약액 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267A KR20210025347A (ko) 2019-08-27 2019-08-27 정량 약액 주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347A true KR20210025347A (ko) 2021-03-09

Family

ID=75179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267A KR20210025347A (ko) 2019-08-27 2019-08-27 정량 약액 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53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477B1 (ko) * 2021-12-02 2022-07-21 (주)이노테크 정량 약액 주입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969B1 (ko) 2014-09-30 2016-07-12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멀티형 약액 유량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기
KR20190010976A (ko) 2017-07-24 2019-02-01 김기운 약액 주입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969B1 (ko) 2014-09-30 2016-07-12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멀티형 약액 유량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기
KR20190010976A (ko) 2017-07-24 2019-02-01 김기운 약액 주입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477B1 (ko) * 2021-12-02 2022-07-21 (주)이노테크 정량 약액 주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92307B1 (en) Drug solution dose controller
US7128727B2 (en) Components and methods for patient infusion device
EP3012600B1 (de) Dosiervorrichtung für ein infusionssystem
JP3009468B2 (ja) 医薬液用注入ポンプ
CN103260673B (zh) 改进的大单次给药剂量的患者自控的给药装置
KR101638969B1 (ko) 멀티형 약액 유량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기
US6974446B2 (en) Storage container comprising a dosing means for dispensing an injectable product to an injection device in doses
CN205031650U (zh) 低成本流体输送设备
KR20130056898A (ko) 주입 제어 장치
WO1994012227A1 (en) Syringe
US20020020408A1 (en) Inhalation medicament delivery device
CN109310818B (zh) 分配流体的装置
KR101739368B1 (ko) 멀티형 유량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기
KR20210025347A (ko) 정량 약액 주입장치
EP2392371A2 (en) Medical fluid dispenser
US20060100581A1 (en) Reservoir for front end loaded infusion device
ITMI962495A1 (it) Apparecchio per la somministrazione di fluido
KR102423477B1 (ko) 정량 약액 주입장치
ES2766256T3 (es) Dispositivo de infusión desechable con bloqueo de reutilización
KR20210010135A (ko) 계수기를 구비하는 자가약물주입 조절장치
KR102190535B1 (ko) 다기능 볼러스
JP2018118043A (ja) 流体制御装置
EP3721920B1 (en) Liquid medicine injector comprising bolus counter
KR20140111245A (ko) 약액 유량 제어장치
JPH10192395A (ja) 薬液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