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9161A - 유아용 접이식 간이침대 - Google Patents

유아용 접이식 간이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9161A
KR20030089161A KR1020020027234A KR20020027234A KR20030089161A KR 20030089161 A KR20030089161 A KR 20030089161A KR 1020020027234 A KR1020020027234 A KR 1020020027234A KR 20020027234 A KR20020027234 A KR 20020027234A KR 20030089161 A KR20030089161 A KR 20030089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plate
bed
infant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7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수
Original Assignee
재이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이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재이손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7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9161A/ko
Publication of KR20030089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916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05Cradles ; Bassinets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기, 파리 등의 날벌레와 각종 접지성 해충과 햇빛으로부터 유아보호에 만전을 기할 수 있고 휴대편의 및 간편한 보관이 가능한 유아용 접이식 간이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쿠션제로 된 바닥재가 깔리는 직사각형 바닥판의 네 변에 망지가 부착된 앞판과 뒷판 및 비망지로 된 좌우 측판을 부착하여 앞판과 측판을 세워 고정하면 간이침대가 되고, 간이침대에 차양을 씌워서 햇빛과 자외선 으로부터 유아의 안전을 지킬 수 있다. 또, 상하 세로재를 해체하면 앞,뒷판과 바닥판 사이에 측판이 포개지게 접혀서 앞판 또는 뒷판만판 크기로 납작하게 축소되어 휴대하기도 편하고 보관도 또한 간편하다.

Description

유아용 접이식 간이침대{Folding type small bed for infant}
본 발명은 모기, 파리 등의 날벌레와 각종 접지성 해충과 햇빛으로부터 유아보호에 만전을 기할 수 있고 휴대편의 및 간편하게 보관이 가능한 유아용 접이식 간이침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늦봄부터 늦가을까지는 파리, 모기, 불나방, 각다귀 등의 날벌레와 바닥을 기어 다니며 사는 해충의 극성 때문에 집안에서나 야외 나들이터에서 젖먹이를 돌볼때는 해충으로부터 유아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노력이 더해지므로 육아에 따른 고충이 배가된다.
유아용 모기장은 날벌레로부터는 안전할지 모르나 바닥을 기어다니며 활동하는 벌레에게는 취약하다. 그럼에도 모기장 외에는 특별한 유아보호용 장비가 제안된 게 없다. 이 점이 우선 불편하다.
또, 모기장은 바람에 약해 도래하는 약간 센바람만 불어와도 하단이 들떠서 날벌레, 바닥 벌레가 기어들어 가 해칠 것이 염려된다.
한편, 유아용 침대는 무게도 상당하고 부피도 큰 편인데다 접을 수 없게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실내에 보관할 때는 물론 실외로 장소를 옮기기 불편하다. 그리고 대체로 고가품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날벌레와 바닥 벌레로부터 유아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고, 작게 접어서 휴대하기도 편하고 보관도 간편한 유아용 접이식 간이침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과제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쿠션제의 바닥재가 깔리는 직사각형 바닥판의 네 변에 망지가 부착된 앞판과 뒷판 및 비망지로 된 좌우 측판을 부착하여 앞판과 측판을 세워 고정하면 간이침대가 되고, 간이침대에 차양을 씌워서 햇빛과 자외선으로부터 유아의 안전을 지킬 수 있다. 또, 상하 세로재를 해체하면 앞,뒷판과 바닥판 사이에 측판이 포개지게 접혀서 앞,뒷판만한 크기로 납작하게 축소돼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접이식 간이침대에서 앞판을 열어 제낀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3방향 접속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간이침대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조립하여 차양을 씌운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간이침대를 접은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간이침대의 바닥판에 까는 쿠션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골재 11 : 앞골재
12 : 뒷골재 13 : 세로재
14 : 가로재 15 : 접속구
16 : 기둥 20 : 침대피
21 : 바닥판 22 : 앞판
23 : 뒷판 24 : 측판
25,26 : 뀀고리 27 : 접속구
28 : 차양고리 30 : 차양
31 : 망 32 : 탄성간
40 : 쿠션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유아용 접이식 간이침대는 골재(10)와 침대피(20) 및 차양(30)으로 대별된다.
골재(10)는 앞골재(11)와 뒷골재(12) 및 세로재(13)로 이루어진다. 앞골재(11)와 뒷골재(12)는 길이가 같은 상하 한쌍으로 된 가로재(14)의 양단을 수직꽂이가 아래위로 대칭되게 배치한 좌우측 접속구(15)의 가로꽂이에 끼워서 리벳팅하고 위아래쪽 접속구(15)의 수직꽂이간에는 기둥(16)을 꽂아 리벳팅한 미음자형 틀이다.
세로재(13)중 위쪽 세로재는 침대피(20)의 좌우 측판(24)의 상단을 지지하는 것이고, 아래쪽 세로재는 침대피(20)의 바닥판(21)과 좌우 측판(24)의 하단을 동시에 지지하는 것이다. 이 같은 골재(10)는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제 각관이거나 원형관이다.
접속구(15)는 앞골재(11)와 뒷골재(12)의 가로재(14)와 기둥(16)을 그리고 동시에 세로재(13)를 3방향으로 접속할 수 있는 수직꽂이와 가로꽂이 및 세로꽂이를 가진 3방향 접속구이다.
세로재(13)는 기둥(16)에 꽂힌 앞뒤 접속구(15) 사이의 세로꽂이에 끼워서 바닥판(21)의 평탄도와 측판(24)의 수직도 및 앞판(22)과 뒷판(23)의 평행도를 유지하는 것이다.
침대피(20)는 바닥판(21)과 상단에 뀀고리(25)가 부착된 앞판(22)과 뒷판(23) 및 좌우 측판(24)으로 구성된다. 바닥판(21)은 침대의 평면적을 결정하는 인자이다.
바닥판(21)의 크기는 앞골재(11)와 뒷골재(12)의 접속구(15)에 세로재(13)를 조립했을 때의 그 평면적보다도 약간 작게 하여 골재(10)안에 바닥판(21)이 들어가게 한다. 바닥판(21)의 앞뒤 변에는 앞골재(11)와 뒷골재(12)의 아래쪽 가로재(14)를 끼우는 뀀고리(26)를 부착한다.
앞판(22)은 바닥판(21)의 앞변에 부착하고 뒷판(23)은 바닥판(21)의 뒷변에 부착하며, 좌우 측판(24)은 바닥판(21)의 좌우변에 부착한다. 이때, 뀀고리(26)는 앞판(22)과 뒷판(23) 밖으로 노출되게 하여 침대피(20)의 겉에서 앞판(22)과 뒷판(23)의 아래쪽 가로재(14)를 끼워 넣기 쉽게 한다.
앞판(22)과 뒷판(23)은 천 가운데에 구멍을 내고 그 자리를 망지(22a)(23a)로 대체한 것이다. 망지(22a)(23a)는 통풍성과 내부 투시성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측판(24)은 일반 직물이나 질긴 시트지로 하여 바람막이 역할을 하게 한다. 그리고 앞판(22)의 좌우단과 측판(24)의 선단에는 슬라이드 파스너나 벨크로 파스너 등의 결착구(27)를 부착하여 보호자가 누워서 침대 안의 유아상태를 살피거나 혹은 유아를 눕히거나 들어낼 때 편리하도록 앞판(22)을 열기 편하게 한다. 그러나 뒷판(23)과 측판(24)이 맞닿은 변은 재봉하여 일체감을 유지함으로서 접고 펴기 쉽게 한다.
그리고 각 측판(24)의 상부 뀀고리(25) 중간에는 외향 차양고리(28)를 부착하여 차양(30)의 뀀고리(31) 단부로 빠져나온 탄성간(32)의 끝을 꽂기 편케 한다.
양쪽 측판(24)에는 주머니(29)를 부착하여 기저귀, 수유기구 따위의 유아용품을 보관토록 한다.
차양(30)은 앞판(21)을 일으켜 세우고 결착구(27)로 측판(24)의 앞변에 잠그고 그 상태에서 간이침대 위에 씌워 강렬한 햇빛으로부터 유아를 보호하는 것으로, 가장자리에 고무줄을 끼워 간이침대의 상단에 씌웠을 때 그 고무줄의 탄력에 의해 씌움 상태가 안정되게 한다. 차양(30)의 전반부는 망(31)으로 하여 위에서 간이침대속의 아기 상태를 살필 수 있게 하고, 선단에는 활모양의 탄성간(32)을 부착하여 차양(30)이 개방 돔처럼 들리게 하여 간이침대의 천장을 통해 간이침대 내의 더운 공기가 빠져나가기 쉽게 하고 시원한 공기의 유입도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탄성간(32)의 양단부는 차양(30)의 양측으로 적당한 길이로 노출시켜 차양고리(28)에 꿰어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도 3의 사용가능한 조립상태에서 도 4와 같이 되도록 접으려면 우선 차양(30)을 벗기고 바닥판(21)에 깔린 쿠션제의 바닥재(40)를 들어 내어 양분된 바닥재(40)의 상면이 맞닿게 접어 포개고 앞뒤 기둥(16)의 위아래 접속구(15)에서 위아래 세로재(13)를 뽑은 다음에 앞판(22)의 위쪽 가로재(14)를 그 쪽 접속구(15)에서 뺀다. 이어서 양쪽 측판(24)을 안쪽으로 포개지도록 바닥판(21) 위로 뒷판(23)을 접는다. 그리고 바닥판(21)이 절반폭이 되도록 접어서 아래로 늘어지지 않게 하면서 앞판(22)을 뒷판(23)에 갖다 댄다.
접은 차양(30)과 바닥재(40)는 앞판(22)과 뒷판(23) 사이에 집어넣던가 혹은 접은 간이침대를 앞판(22)이나 뒷판(23)이 위로 가게 뉘어놓고 그 위에 올린다. 이와 같이 작게 접은 간이침대는 그것에 맞게 특별히 제작된 전용 백에 수납하여 휴대하거나 보관한다.
도 4에서 도 3과 같이 사용가능한 상태로 변경하려면 앞판(22)과 뒷판(23)을 최대한 벌리고 앞쪽 위 접속구(15)의 가로꽂이에 앞판(22)의 위쪽 가로재(14)의 끝을 끼우고, 각 측판(24)의 뀀고리(25)에 위쪽 세로재(13)를 끼우고 그 선단과 후단을 앞뒤의 위쪽 접속구(15)측 세로꽂이에 꽂는다. 그리고 앞뒤의 아래쪽 접속구(15)측 세로꽂이에는 아래쪽 세로재(13)의 선단과 후단을 꽂으면 간이침대가 된다.
이렇게 완성된 간이침대의 상단에 차양(30)을 치고 차양고리(28)에 탄성간(32)의 끝을 꽂으면 차양(30)을 구비한 안락한 유아용 간이침대가 된다.
도 1에서, 간이침대 안에 아기를 뉘어 놓고 그 옆에 보호자가 누워서 팔을뻗어 아기를 돌보거나 혹은 앞판(22) 쪽으로 아기를 들어 뉘고 들어내려고 작정한 경우에는 결착구(27)를 풀고 앞판(22)의 앞쪽 기둥(16)의 위쪽 접속구(15)에서 가로재(14)의 양단을 뽑아서 앞판(22)을 외측으로 벌려 바닥에 펼친 채로 내려놓는다. 즉, 앞문을 열어 놓는 것이다. 차양(30)을 쳤을 때도 마찬가지다.
간이침대로 사용하는 동안의 통풍은 망지로 된 앞판(22)과 뒷판(23)을 통하여 이뤄진다. 또, 기온이 높아서 아기가 더워할 경우에는 앞판(22)과 뒷판(23)을 바람이 도래하는 쪽에 놓이게 비치하고, 부는 바람이 아기에게 이롭지 못하다고 여길 시에는 바람이 도래하는 쪽에 측판(24)이 놓이도록 간이침대의 방향에 변화를 준다.
차양(30)의 망(31)을 통해서도 환기가 이뤄진다.
도 5는 바닥판(21)에 까는 쿠션제로 된 바닥재(40)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바닥재(40)는 방바닥이나 야외 나들이터에서 바닥의 딱딱한 느낌과 바닥 냉기로부터 유아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판(21)만한 크기의 스폰지판(41)을 양분하고, 두 장의 스폰지판(41)을 그 만한 용적으로 된 2개의 주머니를 가진 쿠션피(42)에 삽입하여 바닥판(21)에 깔 때는 펼치고 간이침대를 접을 시에는 절반크기로 접어서 휴대 및 보관하기 편하게 부피를 줄인다.
이상 설명한대로 본 발명의 유아용 접이식 간이침대는 실내외 어디서든 날벌레와 바닥 벌레로부터 유아를 보호할 수 있고, 접은 부피가 작아 휴대는 물론 보관하기도 아주 간편한 등의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Claims (4)

  1. 위아래 가로재와 좌우 기둥이 3방향 접속구에 의해 조립된 앞골재와 뒷골재, 및 앞골재와 뒷골재간 접속용 세로재로 이뤄진 골재와; 바닥재가 깔리고 앞뒤 변에 앞골재와 뒷골재의 하부 가로재용 뀀고리가 부착된 사각형 바닥판의 네 변에 상단에다 위쪽 가로재 또는 세로재용 뀀고리가 형성된 망지부착형 앞판과 뒷판 및 비망지제 측판이 연결된 침대피와; 분리형 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접이식 간이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앞판(22)의 양측단과 좌우 측판(24)의 선단에 결착구(27)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유아용 접이식 간이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앞판(22)과 뒷판(23)의 뀀고리(25) 중간부분에 차양꽂이(28)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접이식 간이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30)은 망(31)을 갖고, 그 경계에 양단이 앞뒤로 노출되어 차양꽂이(28)에 꽂을 수 있는 활 모양의 탄성간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접이식 간이침대.
KR1020020027234A 2002-05-16 2002-05-16 유아용 접이식 간이침대 KR200300891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234A KR20030089161A (ko) 2002-05-16 2002-05-16 유아용 접이식 간이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234A KR20030089161A (ko) 2002-05-16 2002-05-16 유아용 접이식 간이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161A true KR20030089161A (ko) 2003-11-21

Family

ID=32383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234A KR20030089161A (ko) 2002-05-16 2002-05-16 유아용 접이식 간이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9161A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0957U (ko) * 1975-07-31 1977-02-15
JPS5234868A (en) * 1975-08-29 1977-03-17 Yunirando Soc Foldable frame forming infant stand
JPS53852U (ko) * 1976-06-23 1978-01-07
JPS5613224A (en) * 1979-07-09 1981-02-09 Takata Kk Infant fastening device for vehicle
EP0175816A2 (de) * 1984-09-27 1986-04-02 Exquisit Kurt Götz Zusammenlegbares Kinderbett
WO1992002161A1 (en) * 1990-08-09 1992-02-20 Baby Björn Aktiebolag A child's bed
EP0507192A1 (en) * 1991-03-28 1992-10-07 Brevi S.R.L. Framework, particularly for folding cots
KR940014429U (ko) * 1992-12-19 1994-07-16 조원재 요람기능을 겸한 유아용침대
KR19990022576U (ko) * 1999-03-23 1999-07-05 신원철 유아용침대
KR19990040775U (ko) * 1998-05-08 1999-12-06 원호일 접이식 유아용침대
KR200268611Y1 (ko) * 2001-11-24 2002-03-16 박제희 유아용 절첩식 간이침대
US6385800B1 (en) * 1999-10-13 2002-05-14 Link Treasure, Limited Collapsible playyard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0957U (ko) * 1975-07-31 1977-02-15
JPS5234868A (en) * 1975-08-29 1977-03-17 Yunirando Soc Foldable frame forming infant stand
JPS53852U (ko) * 1976-06-23 1978-01-07
JPS5613224A (en) * 1979-07-09 1981-02-09 Takata Kk Infant fastening device for vehicle
EP0175816A2 (de) * 1984-09-27 1986-04-02 Exquisit Kurt Götz Zusammenlegbares Kinderbett
WO1992002161A1 (en) * 1990-08-09 1992-02-20 Baby Björn Aktiebolag A child's bed
EP0507192A1 (en) * 1991-03-28 1992-10-07 Brevi S.R.L. Framework, particularly for folding cots
KR940014429U (ko) * 1992-12-19 1994-07-16 조원재 요람기능을 겸한 유아용침대
KR19990040775U (ko) * 1998-05-08 1999-12-06 원호일 접이식 유아용침대
KR19990022576U (ko) * 1999-03-23 1999-07-05 신원철 유아용침대
US6385800B1 (en) * 1999-10-13 2002-05-14 Link Treasure, Limited Collapsible playyard
KR200268611Y1 (ko) * 2001-11-24 2002-03-16 박제희 유아용 절첩식 간이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2598A (en) Bed tent
US4945584A (en) Crib cover
US4063318A (en) Folding frame assembly
US5881408A (en) Mesh crib liner
US7201177B2 (en) Portable baby tent
US2531501A (en) Portable shelter
US20100065094A1 (en) Self-Supporting, High-Profile, Insect Net Enclosure
US6925664B1 (en) Kot-to-trot
US5259408A (en) Apparatus for protecting against insects
US20060283493A1 (en) Portable dressing room assembly
US20080060691A1 (en) Relief package
US20080099060A1 (en) Play structure assembly
US5303434A (en) Bed tent
RU2770772C1 (ru) Складная самоустанавливающаяся рама для гамака с укороченным гамаком и способ подвешивания укороченного гамака на раме
US7562690B1 (en) Suspended bed tent
KR20030089161A (ko) 유아용 접이식 간이침대
US2881778A (en) Cover
US20070022530A1 (en) Screened cot enclosure
KR20120006078U (ko) 아기 쿠션 침대
JP3185097U (ja) 乳児用ベッド
JPH11266971A (ja) 乳幼児用ベッド兼知育玩具こびとんちとその折畳み分割構造
KR101889830B1 (ko)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
US20200054955A1 (en) Child play and toilet enclosure
CN219327381U (zh) 一种具有多形态的帐篷
KR101331534B1 (ko) 다기능 아기 침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