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611Y1 - 유아용 절첩식 간이침대 - Google Patents

유아용 절첩식 간이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611Y1
KR200268611Y1 KR2020010036302U KR20010036302U KR200268611Y1 KR 200268611 Y1 KR200268611 Y1 KR 200268611Y1 KR 2020010036302 U KR2020010036302 U KR 2020010036302U KR 20010036302 U KR20010036302 U KR 20010036302U KR 200268611 Y1 KR200268611 Y1 KR 2002686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eet
folding
infant
cover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3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제희
Original Assignee
박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제희 filed Critical 박제희
Priority to KR20200100363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6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6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611Y1/ko

Links

Landscapes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절첩식 간이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야외 등에서 간편하고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절첩식 간이침대에 있어서, 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시트의 전, 후단과 측면보호시트가 일정높이 기립 형성된 침칸부를 형성하고, 상기 침칸부의 일측에 햇빛과 해충으로부터 유아를 보호할 수 있도록 덮개천이 구비된 유아용 절첩식 간이침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유아용 절첩식 간이침대는, 엑스(X)자 형태로 교차 접속되는 다수 개의 받침간과 각 받침간의 상, 하단을 회전 가능하게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 및 보조받침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간 중 전, 후 양측으로 펼쳐지는 받침간과 보조받침간의 끝단에 일정높이 기립 형성된 지지단으로 형성되는 골조부;와, 시트의 전, 후방이 기립된 상태에서 외면 양측에 끼움주머니가 형성되고 상기 시트의 좌, 우측에는 측면보호시트가 형성되며 상기 측면보호시트의 중앙 상단에는 끼움부재가, 하단에는 걸고리가 각각 형성된 침칸부;와, 상기 기립 형성되는 시트의 전, 후단의 일측에 침칸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일측이 봉제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침칸부의 타측과 접착 고정될 수 있도록 상호 매직테이프가 형성되고 외주연에 신축성의 신축밴드가 삽입 또는 봉제 형성된 덮개천;으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며, 또한, 시트의 전, 후 외면에 상기 덮개천 및 물건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주머니;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측면보호시트 및 덮개천은 햇빛과 해충으로부터 유아를 보호하면서 통풍이 잘되는 망사천으로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한편, 상기 보조받침간에 기립 형성된 지지단 상단에 삽입 형성되어 상기 덮개천을 커버시 침칸부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일정길이 출입 가능한 활대;와 상기 각각의 활대를 연결하여 지지하기 위한 연결부재;가 형성되었다.

Description

유아용 절첩식 간이침대{COLLAPSIBLE TYPE SIMPLICITY BED FOR A BABY}
본 고안은 유아용 절첩식 간이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야외 등에서 간편하고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절첩식 간이침대에 있어서, 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시트의 전, 후단과 측면보호시트가 일정높이 기립 형성된 침칸부를 형성하고, 상기 침칸부의 일 측에 햇빛과 해충으로부터 유아를 보호할 수 있도록 덮개천이 구비된 유아용 절첩식 간이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 안정되고 생활이 윤택해짐에 따라 가족과 함께 하는 교외 나들이가 늘어나고 있는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와 같이 가족이 단체로 산이나 바다 등의 교외에서 여가를 보냄에 있어서 가장 중요시되고 있는 것은 유아들의 건강과 안전에 관한 문제일 것이다. 특히 여름피서 등에 있어서 야외에서는 유아들을 편안하게 누일 수 있는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할 뿐만 아니라 유아를 뉘었다 하더라도 주위에 사람들의 왕래가 잦다보니 무심코 유아를 밟을 수 있는 위험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유아를 바닥에 뉘인 상태에서는 각종 해충이 유아를 공격할 수도 있으며, 유아는 각종 오염된 물질이나 병원균을 입으로 물거나 빨게되어 건강상 커다란 문제점을 야기 시킬 수 있었던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의 해소를 위하여 대개는 유아를 종래의 절첩식 간이침대에 누인 상태로 보호하였던 바, 이와 같은 종래의 절첩식 간이침대에의하면 야외에서 유아들을 편안한 상태로 누워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람들이나 해충들로부터 보호할 수는 있겠으나, 여름에 뜨거운 햇빛으로부터 유아의 피부를 보호할 수는 없는 것이고, 특히, 밤에 모기 등의 해충으로부터 유아를 보호할 수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햇빛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유아용 절첩식 간이침대의 상단에 파라솔이나 수건 등을 올려놓았는바, 이는 파라솔 등을 따로 구비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 및 수건 등이 바람에 의해 유아의 얼굴로 떨어지게 되어 호흡곤란을 겪는 등의 위험이 내재되었던 것뿐만 아니라, 모기 등의 해충에 의하여 온갖 질병이 전염될 위험성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공안의 주된 목적으로는 절첩식 간이침대에 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시트의 전, 후단과 측면보호시트가 일정높이 기립 형성된 침칸부를 형성하고, 상기 침칸부의 일측에 햇빛과 해충으로부터 유아를 보호할 수 있도록 덮개천이 구비된 유아용 절첩식 간이침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보조받침간에 형성된 지지단의 상단에 일정길이 연장 출입되는 활대를 삽입 형성하고, 상기 활대를 연결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연결부재를 결합 형성함으로서, 상기 침칸부에 덮개천을 커버할 경우 침칸부의 상방향으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아용 절첩식 간이침대를 제공하려는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유아용 절첩식 간이침대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유아용 절첩식 간이침대의 덮개천을 커버한 상태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유아용 절첩식 간이침대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10 ; 골조부 111 ; 받침간
112 ; 보조받침간 111', 112' ; 지지단
113 ; 연결구 120 ; 침칸부
121 ; 시트 122 ; 끼움주머니
123 ; 측면보호시트 124 ; 끼움부재
125 ; 걸고리 126 ; 결합부재
130 ; 덮개천 131 ; 매직테이프
132 ; 신축밴드 133 ; 수납주머니
140 ; 활대 141 ; 연결부재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유아용 절첩식 간이침대는, 엑스(X)자 형태로 교차 접속되는 다수 개의 받침간과 각 받침간의 상, 하단을 회전 가능하게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 및 보조받침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간 중 전, 후 양측으로 펼쳐지는 받침간과 보조받침간의 끝단에 일정높이 기립 형성된 지지단으로 형성되는 골조부;와 시트의 전, 후방이 기립된 상태에서 외면 양측에 끼움주머니가 형성되고 상기 시트의 좌, 우측에는 측면보호시트가 형성되며 상기 측면보호시트의 중앙 상단에는 끼움부재가, 하단에는 걸고리가 각각 형성된 침칸부;와 상기 기립 형성되는 시트의 전, 후단의 일측에 침칸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일측이 봉제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침칸부의 타측과 접착 고정될 수 있도록 상호 매직테이프가 형성되고 외주연에 신축성의 신축밴드가 삽입 또는 봉제 형성된 덮개천;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시트의 전, 후 외면에 상기 덮개천 및 물건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주머니;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측면보호시트 및 덮개천은 햇빛과 해충으로부터 유아를 보호하면서 통풍이 잘되는 망사천으로 형성되었다.
또한, 상기 보조받침간에 기립 형성된 지지단 상단에 삽입 형성되어 상기 덮개천을 커버시 침칸부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일정길이 출입 가능한 활대;와상기 각각의 활대를 연결하여 지지하기 위한 연결부재;가 형성되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유아용 절첩식 간이침대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유아용 절첩식 간이침대의 덮개천을 커버한 상태를 보인 결합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유아용 절첩식 간이침대는 도 1내지 도 2에 표현된 바와 같이, 먼저 다수의 받침간(111)과 다수의 연결구(113)로 이루어진 골조부(110)와 상기 골조부(110)에 설치되는 시트(121) 및 측면보호시트(123)로 이루어진 침칸부(120) 및 상기 침칸부(120) 구조를 커버하기 위한 덮개천(130)으로 구성되었다.
이에, 상기 골조부(110)는 엑스(X)자 형태로 교차 접속되는 다수 개의 받침간(111)과 각 받침간(111)의 상, 하단을 회전 가능하게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113) 및 보조받침간(112)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간(111) 중 전, 후 양측으로 펼쳐지는 받침간(111)과 보조받침간(112)의 끝단에는 일정높이 기립 형성된 지지단(111', 112')이 연장 형성되었는데, 이때 상기 보조받침간(112)은 상기 받침간(111) 중 중앙에 형성되어 간이침대를 횡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받침간(111)의 경량골조 상에 결합부재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보조받침간(112)에 는 일정길이 기립되는 지지단(112')이 연장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침칸부(120)는 시트(121)의 전, 후방이 기립된 상태에서 외면 양측에 끼움주머니(122)가 형성되고 상기 시트의 좌, 우측에는 측면보호시트(123)가 형성되며, 상기 측면보호시트(123)의 중앙 상단에는 끼움부재(124)가, 하단에는걸고리(125)가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측면보호시트(123)는 유아의 추락을 방지함과 동시에 햇빛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유아를 관찰할 수 있음과 동시에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망사천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측면보호시트(123)의 상단과 중앙에 형성되는 끼움부재(124) 및 걸고리(125)가 부착되는 부분에는 두꺼운 시트를 봉제 형성함으로서 내구성을 튼튼하게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유아용 절첩식 간이침대의 침칸부(120)에는 햇빛으로부터 유아의 피부를 보호하며 해충으로부터 유아를 보호할 수 있도록 덮개천(130)을 형성하는데, 이때, 상기 덮개천(130)은 측면보호시트(123)와 같이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햇빛으로부터 유아의 피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망사천을 사용한 것으로서 이는, 상기 기립 형성된 시트(121)의 전, 후 외면 일측에 상기 덮개천(130)의 일측을 봉제 형성하고 상기 시트(121)의 타측과 덮개천(130)의 타측에는 상호 접착 고정될 수 있도록 매직테이프(131)를 봉제 형성한다.
또한, 상기 덮개천(130)의 외주연에는 덮개천(130)이 바람에 의하여 유동되거나 그 틈새로 해충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신축성 신축밴드(132)를 삽입 또는 봉제 형성한다.
한편, 상기 덮개천(130)을 비사용시에는 접어서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천(130)이 봉제된 시트의 일측면에 수납주머니(133)를 형성하되, 타측에도 상기와 동일한 수납주머니(133)를 형성하여 기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유아용 절첩식 간이침대의 일 실시예로는 상기 덮개천(130)을 받쳐서 침칸부(120)의 공간을 더욱 확보한 상태에서 유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는 도 3 내지 도 4에 표현된 바와 같이, 상기 골조부(110)를 이루는 보조받침간(112)의 지지단(112') 상단에 상기 끼움부재(124)가 결합된 상태로 일정길이 출입 가능한 활대(140)를 삽입 형성하고, 상기 활대(140)에는 활대(140) 상호간에 연결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141)를 결합 형성하는데, 이때 상기 연결부재(141)에는 상호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버클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매직테이프나 찍찍이 등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유아용 절첩식 간이 침대에 의하면 절첩하여 휴대가 가능하고 취급이 간편하고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그늘이 없거나 지형이 고르지 못한 곳에서도 편안하게 누운 상태로 햇빛과 해충으로부터 유아를 보호할 수 있는 것으로서, 우선 상기 절첩식 간이침대를 펼친 후 유아를 상기 침칸부(120)에 올바르게 눕게 한 상태에서 햇빛이나 해충에 대한 위험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납주머니(133)로부터 덮개천(130)을 빼낸 후, 덮개천(130)의 일 측에 형성된 매직테이프(131)를 상기 시트(121)에 형성된 매직테이프(131)와 상호 접착시키고, 상기 덮개천(130)의 외주연에 형성된 신축밴드(132)를 잡아당겨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고르게 침칸부(120)를 덮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활대(140)가 덮개천(130)을 일정높이 상방향으로 지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유아가 상기 절첩식 간이침대에 앉거나 몸을 움직이는데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유아용 절첩식 간이침대는, 시트의 전, 후단과 측면보호시트가 일정높이 기립 형성된 침칸부를 형성하며 기립형성된 전, 후방 시트의 일측에 침칸부를 커버할 수 있는 덮개천의 일측을 봉제 형성함으로서, 야외 등에서 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필요시 상기 덮개천을 사용하여 햇빛으로부터 유아의 피부를 보호함은 물론 외부의 해충으로부터 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아용 절첩식 간이침대의 보조받침간에 기립 형성된 지지단에 일정길이 출입 가능한 활대를 삽입 형성하고 상기 활대를 연결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연결부재를 각각 결합 형성함으로서, 상기 침칸부를 덮개천으로 커버할 경우 침칸부의 상방향으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유아가 앉거나 활동하는데 지장이 없이 유아를 햇빛이나 해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야외 등에서 간편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절첩식 간이침대에 있어서, 엑스(X)자 형태로 교차 접속되는 다수 개의 받침간(111)과 각 받침간(111)의 상, 하단을 회전 가능하게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113) 및 보조받침간(112)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간(111) 중 전, 후 양측으로 펼쳐지는 받침간(111)과 보조받침간(112)의 끝단에 일정높이 기립 형성되는 지지단(111', 112')이 형성된 골조부(110);와 시트(121)의 전, 후방이 기립된 상태에서 외면 양측에 끼움주머니(122)가 형성되고 상기 시트(121)의 좌, 우측에는 측면보호시트(123)가 형성되며, 상기 측면보호시트(123)의 중앙 상단에는 끼움부재(124)가, 하단에는 걸고리(125)가 각각 형성된 침칸부(120);와 상기 기립 형성되는 시트(121)의 전, 후단의 일측에 침칸부(120)를 커버할 수 있도록 일측이 봉제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침칸부(120)의 타측과 접착 고정될 수 있도록 상호 매직테이프(131)가 형성되고 외주연에 신축성의 신축밴드(132)가 삽입 또는 봉제 형성된 덮개천(1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절첩식 간이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121)의 전, 후 외면에 상기 덮개천(130) 및 물건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주머니(133);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절첩식 간이침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보호시트(123) 및 덮개천(130)은 햇빛과 해충으로부터 유아를 보호하면서 통풍이 잘되는 망사천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절첩식 간이침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받침간(111)에 연장 형성된 지지단(112') 상단에 삽입 형성되어 상기 덮개천(130)을 커버시 침칸부(120)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일정길이 출입 가능한 활대(140);와 상기 각각의 활대(140)를 연결하여 지지하기 위한 연결부재(14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절첩식 간이침대.
KR2020010036302U 2001-11-24 2001-11-24 유아용 절첩식 간이침대 KR2002686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302U KR200268611Y1 (ko) 2001-11-24 2001-11-24 유아용 절첩식 간이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302U KR200268611Y1 (ko) 2001-11-24 2001-11-24 유아용 절첩식 간이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8611Y1 true KR200268611Y1 (ko) 2002-03-16

Family

ID=73055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302U KR200268611Y1 (ko) 2001-11-24 2001-11-24 유아용 절첩식 간이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6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161A (ko) * 2002-05-16 2003-11-21 재이손산업주식회사 유아용 접이식 간이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161A (ko) * 2002-05-16 2003-11-21 재이손산업주식회사 유아용 접이식 간이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4219B2 (en) Portable infant bed with side wall ventilation
US6954955B2 (en) Infant sleep positioner
US5845349A (en) Multiple purpose convertible playpen
US7500278B2 (en) Infant pad assembly with multiple configurations
US5987665A (en) Collapsible and convertible combination baby bed and baby carrier system with rocker unit
US6687928B1 (en) Portable child&#39;s bed
US7509694B2 (en) Combined crib and playpen assembly
AU2007202772B2 (en) A portable furniture combination and carrier
US20040261174A1 (en) Child containment structure with ventilation panel
US20030177575A1 (en) Infant playyard
US20130009434A1 (en) Versatile seat liner
US20230389731A1 (en) Reconfigurable pillow enclosure
US20080052821A1 (en) Infant bed for co-sleeping
KR200268611Y1 (ko) 유아용 절첩식 간이침대
KR101334101B1 (ko) 접이식 매트와 베개가 구비된 다용도 낚시조끼
CN211748355U (zh) 便携式折叠婴儿床
KR20120006078U (ko) 아기 쿠션 침대
KR20100006061U (ko) 낮잠매트
US11793327B2 (en) Co-sleeper bassinet with collapsible wall panels
KR102435584B1 (ko) 유아침구 겸용 가방
CN210842412U (zh) 婴幼儿坐卧椅
KR101331534B1 (ko) 다기능 아기 침구
KR920003105Y1 (ko) 낚시용 텐트
JP2000279301A (ja)
KR200481157Y1 (ko) 접이식 암막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