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5584B1 - 유아침구 겸용 가방 - Google Patents

유아침구 겸용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5584B1
KR102435584B1 KR1020210133567A KR20210133567A KR102435584B1 KR 102435584 B1 KR102435584 B1 KR 102435584B1 KR 1020210133567 A KR1020210133567 A KR 1020210133567A KR 20210133567 A KR20210133567 A KR 20210133567A KR 102435584 B1 KR102435584 B1 KR 102435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body
bag
side wall
wall surface
bed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3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경민
Original Assignee
유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경민 filed Critical 유경민
Priority to KR1020210133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5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동반 외출시 가방으로 사용하다가 필요에 따라 유아를 눕힐 수 있는 침구로 변환이 가능한 유아침구 겸용 가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침구 겸용 가방(100)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가방본체(110)와, 상기 가방본체로부터 전개되어 유아가 누울 수 있는 격리공간을 제공하는 침구부(120)와, 상기 격리공간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침구부에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폴(13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아침구 겸용 가방{Bag usable as baby bedding}
본 발명은 유아동반 외출시 가방으로 사용하다가 필요에 따라 유아를 눕힐 수 있는 침구로 변환이 가능한 유아침구 겸용 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는 대소변과 같은 생리적인 반응에 대한 대응능력이 현저히 떨어지고 성인에 비해 빈번한 영양섭취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유아를 동반한 외출시에는 대소변을 처리할 수 있는 기저귀와 손수건, 각종 살균약품과, 젖병, 이유식 등 다양한 유아물품을 휴대하여야 한다. 아울러, 외부로부터 쉽게 영향을 받는 유아를 보호하기 위해 이불이나 포대기와 같은 침구 등도 함께 휴대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유아물품들을 일일이 휴대하는 것은 부피 면에서나 무게 면에서 다소 무리가 있을 뿐만 아니라 여성 보호자의 경우에는 육체적으로 매우 힘든일이 된다.
최근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침구기능을 겸한 가방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침구기능을 겸한 가방은 가방본체를 평면상태로 전개하여 단순히 유아를 눕힐 수 있는 매트를 제공하는 정도에 그침으로써 유아가 편안함을 느낄 수 없고 야외에서 사용할 경우 바람, 벌레, 이물질 등으로부터 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도록 되어 있거나, 개인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가방 본연의 기능을 갖고 있지 못하여 실용성이 크게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558055호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225110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유아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가방으로 활용이 가능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유아를 안전하게 눕힐 수 있는 격리공간을 제공하는 유아침구 겸용 가방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유아침구 겸용 가방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가방본체와, 상기 가방본체로부터 전개되어 유아가 누울 수 있는 격리공간을 제공하는 침구부와, 상기 격리공간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침구부에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침구부는 가방본체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측벽면과, 상기 가방본체와 측벽면의 하단을 연결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과 가방본체와 측벽면의 좌측단을 일정높이로 연결하는 좌측가림면과, 상기 바닥면과 가방본체와 측벽면의 우측단을 일정높이로 연결하는 우측가림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좌측가림면과 우측가림면의 상단을 따라 슬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폴은 상기 슬리브의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폴은 접어서 보관이 가능하도록 탄성부재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단위폴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측벽면의 상단에는 가방본체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침구부의 상부 일부를 가려주는 상부가림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방본체로부터 전개되어 유아가 누울 수 있는 격리공간을 제공하는 침구부와, 상기 격리공간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침구부에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폴을 구비하기 때문에 가방본체에 다양한 유아물품 및 보호자 물품을 넣어 보관이 가능한 동시에 유아가 독립된 격리공간에서 편안하게 쉴 수 있고 야외에서 사용할 경우 바람, 벌레, 이물질 등으로부터 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침구 겸용 가방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침구 겸용 가방의 사용상태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침구 겸용 가방의 사용상태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침구 겸용 가방의 전개상태평면도로서, 좌측가림면과 우측가림면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컨대,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아울러, "포함한다" 또는 "구비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침구 겸용 가방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침구 겸용 가방의 사용상태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침구 겸용 가방의 사용상태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침구 겸용 가방의 전개상태평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침구 겸용 가방(100)은 가방본체(110)와 침구부(120)와 지지폴(130)을 포함한다.
상기 가방본체(110)는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가방본체(110)는 통상의 가방과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다양한 수납공간을 구비한다.
따라서, 보호자는 유아와 동반 외출시 상기 수납공간에 보호자의 개인물품 뿐만 아니라, 대소변을 처리할 수 있는 기저귀, 속옷, 손수건, 각종 살균약품, 젖병, 이유식, 이불, 베개 등 다양한 유아물품들을 함께 넣고 다닐 수 있게 된다.
상기 침구부(120)는 상기 가방본체(110)로부터 전개되어 유아가 누울 수 있는 격리공간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침구부(120)는 가방본체(11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측벽면(121)와, 상기 가방본체(110)와 측벽면(121)의 하단을 연결하는 바닥면(124)과, 상기 바닥면(124)과 가방본체(110)와 측벽면(121)의 좌측단을 일정높이로 연결하는 좌측가림면(122)과, 상기 바닥면(124)과 가방본체(110)와 측벽면(121)의 우측단을 일정높이로 연결하는 우측가림면(12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측벽면(121)은 지퍼를 이용하여 가방본체(110)와 쉽고 간편하게 착탈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측벽면(121)은 지퍼를 닫게 되면 가방본체(110)와 일체를 이루게 되며, 지퍼를 열게 되면 가방본체(110)와 분리되면서 유아가 누울 수 있는 격리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측벽면(121)에는 어깨끈(A)이 부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보호자는 상기 어깨끈(A)을 이용하여 가방본체(110)를 배낭이나 백팩 등의 형태로 어깨에 메고 다닐 수 있게 되므로 편의성이 증대된다.
상기 바닥면(124)과 좌측가림면(122)과 우측가림면(123)과 바닥면(124)은 유아에게 상해를 가하지 않도록 부드러운 동시에 측벽면(121)을 가방본체(110)에 결합시킬 때 쉽게 접혀질 수 있도록 유연한 직물이나 방수용 비닐과 같은 소재로 제작된다.
상기 좌측가림면(122)과 우측가림면(123)은 외부에서 유아를 쉽게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소재나 메쉬소재로 제작될 수도 있다. 특히, 메쉬소재로 제작되면 통풍성을 확보할 수 있고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상기 바닥면(124)과 좌측가림면(122)과 우측가림면(123)은 측벽면(121)이 가방본체(11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가방본체(110)와 측벽면(121) 사이에 접혀진 상태로 보관되며, 상기 측벽면(121)이 가방본체(11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측벽면(121)을 가방본체(110)로부터 이격시키면 측벽면(121)을 따라 전개되면서 유아가 누울 수 있는 격리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지지폴(130)은 상기 격리공간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침구부(120)에 지지력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좌측가림면(122)과 우측가림면(123)의 상단을 따라 슬리브(125)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폴(130)은 상기 슬리브(125)의 내측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양단부가 마주하는 가방본체(110)의 후단 또는 측벽면(121)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사용시마다 상기 지지폴(130)을 슬리브(125)의 내측으로 끼우고 가방본체(110)의 후단과 측벽면(121)에 고정하게 되면 사용상의 불편함이 크고 지지폴(130)의 분실위험도 높아지는 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상기 지지폴(130)은 좌측가림면(122)과 우측가림면(123)과 함께 접혀져 보관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지지폴(130)은 탄성부재(133)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단위폴(131)들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133)는 단위폴(131)들을 차례로 관통한 상태에서 양단이 지지폴(130)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단위폴(131)에 고정되고, 각 단위폴(131)들은 마주하는 단위폴(131)들에 대하여 암수 결합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단위폴(131)의 단부에는 마주하는 단위폴(131)의 단부가 일정깊이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내향단턱이 형성된 끼움연결부(132)가 형성된다.
한편, 격리공간에 누워 있는 유아가 취침할 때 주변의 소음 유입과 눈부심을 막아주고 외부로부터 격리공간 내부로 바람, 벌레, 이물질 등의 유입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덮개를 씌워야 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덮개의 중앙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측벽면(121)의 상단에는 가방본체(110)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침구부(120)의 상부 일부를 가려주는 상부가림부재(14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상부가림부재(140)는 덮개를 지지하는 용도 이외에 그 자체만으로도 유아가 누워 있는 격리공간으로 낙하물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가림부재(140)를 가방본체(110)에 착탈가능하게 부착시켜 주는 착탈부재로서, 상기 상부가림부재(140)와 가방본체(110)의 상단에 부착된 벨크로(141)를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고 버클이나 단추 등 다양한 착탈부재의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아침구 겸용 가방(100)은 평상시 가방본체(110)에 유아물품과 보호자의 개인물품 들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다니다가, 유아를 눕혀야 할 경우, 가방본체(110)로부터 침구부(120)를 전개시키기만 하면 가방이 침대형태로 전환되면서 유아를 눕힐수 있는 안전한 격리공간이 마련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방본체(110)와 측벽면(121) 사이에 위치한 지퍼를 열어서 가방본체(110)와 측벽면(121)을 분리시킨다. 이 상태에서 측벽면(121)을 가방본체(110)의 반대쪽으로 잡아 당기면, 가방본체(110)와 측벽면(121) 사이에 접혀져 있던 바닥면(124)과 좌측가림면(122)과 우측가림면(123)이 펼쳐지게 된다. 그리고 좌측가림면(122)과 우측가림면(123)의 상단에 형성된 슬리브(125)에 접힌 상태로 거치된 지지폴(130)을 일자로 조립한다.
상기 지지폴(130)은 단위폴(131)들이 탄성부재(133)를 통해 연결된 상태이므로 일측의 단위폴(131) 단부를 마주하는 타측의 단위폴(131)의 단부에 형성된 끼움연결부(132)의 내측으로 끼우기만 하면 쉽고 빠르게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탄성부재(133)의 수축력에 의해 조립 상태가 쉽게 해제되지 않는다.
이때, 일측의 단위폴(131) 단부는 끼움연결부(132)의 내향단턱에 간섭되면서 더 이상 진입이 제한되므로 상기 지지폴(130)은 항상 일정한 길이로 정확하게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지지폴(130)이 일자로 조립되면, 지지폴(130)의 양단이 가방본체(110)의 후단과 측벽면(121)을 지지하면서 상기 바닥면(124)과 좌측가림면(122)과 우측가림면(123)의 펼침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유아가 누울 수 있는 사각형태의 안전하고 견고한 격리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에 상기 측벽면(121)의 상단에 고정된 상부가림부재(140)를 가방본체(110)의 상단에 부착시키면 침구부(120)의 설치가 완료된다.
한편, 침구부(120)의 사용을 마친 후에는 일자로 조립된 지지폴(130)을 잡아 당겨 조립상태를 해제시킨 상태에서 ">","<" 형태로 접게 되면, 좌측가림면(122)과 우측가림면(123)이 지지폴(130)을 따라 가방본체(110)와 측벽면(121)의 사이로 ">","<"자 형태로 접혀지게 되며, 이 상태에서 지퍼를 이용하여 가방본체(110)와 측벽면(121)을 결합시키면 원래의 가방형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0...유아침구 겸용 가방 110...가방본체
120...침구부 121...측벽면
122...좌측가림면 123...우측가림면
124...바닥면 125...슬리브
130...지지폴 131...단위폴
133...탄성부재 140...상부가림부재

Claims (5)

  1.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가방본체;를 포함하는 공지된 유아침구 겸용 가방에 있어서,
    상기 가방본체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측벽면와, 상기 가방본체와 측벽면의 하단을 연결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과 가방본체와 측벽면의 좌측단을 일정높이로 연결하는 좌측가림면과, 상기 바닥면과 가방본체와 측벽면의 우측단을 일정높이로 연결하는 우측가림면으로 구비되면서 상기 가방본체로부터 전개되어 유아가 누울 수 있는 격리공간을 제공하는 침구부와;
    접어서 보관이 가능하도록 탄성부재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단위폴로 구비되면서 상기 좌측가림면과 우측가림면의 상단을 따라 형성된 슬리브에 끼워져서 상기 격리공간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침구부에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폴과;
    일단이 상기 측벽면의 상단에 고정되면서 타단이 상기 가방본체의 상단에 벨크로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침구부의 상부 일부를 가려주는 상부가림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침구 겸용 가방.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33567A 2021-10-08 2021-10-08 유아침구 겸용 가방 KR102435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567A KR102435584B1 (ko) 2021-10-08 2021-10-08 유아침구 겸용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567A KR102435584B1 (ko) 2021-10-08 2021-10-08 유아침구 겸용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5584B1 true KR102435584B1 (ko) 2022-08-23

Family

ID=83093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567A KR102435584B1 (ko) 2021-10-08 2021-10-08 유아침구 겸용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558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56361A1 (en) * 1981-01-13 1982-07-21 Leonardo Barcaroli Rucksack with a rigid supporting frame
US6390260B1 (en) * 1999-11-03 2002-05-21 Roegner Deanna Baby carrying case and traveling bed
KR101558055B1 (ko) 2013-11-18 2015-10-07 오은영 아기 침대기능을 가지는 다기능 가방
KR101791925B1 (ko) * 2016-06-15 2017-10-31 주식회사 카라신 접이식 침대
KR102251103B1 (ko) 2019-11-25 2021-05-12 최성범 가방 형태로 전환될 수 있는 휴대용 아기침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56361A1 (en) * 1981-01-13 1982-07-21 Leonardo Barcaroli Rucksack with a rigid supporting frame
US6390260B1 (en) * 1999-11-03 2002-05-21 Roegner Deanna Baby carrying case and traveling bed
KR101558055B1 (ko) 2013-11-18 2015-10-07 오은영 아기 침대기능을 가지는 다기능 가방
KR101791925B1 (ko) * 2016-06-15 2017-10-31 주식회사 카라신 접이식 침대
KR102251103B1 (ko) 2019-11-25 2021-05-12 최성범 가방 형태로 전환될 수 있는 휴대용 아기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3986B2 (en) Convertible travel tote bag for use in a vehicle
US8042869B2 (en) Child seat liner
US8495775B2 (en) Travel nursing pillow
US20130264852A1 (en) Combination shopping cart and high chair cover with plush character
US6381785B1 (en) Dismountable and adjustable fastening device for laying down pediatric patients in an inclined position
US20020020021A1 (en) Infant prop
KR200453450Y1 (ko) 휴대용 기저귀 매트 겸용 가방
US11076706B2 (en) Configurable multipurpose mat assembly
US20090053432A1 (en) Apparatus for cushioning a child
US10786014B2 (en) Therapeutic infant swaddling wrap
KR102435584B1 (ko) 유아침구 겸용 가방
US20170208963A1 (en) Pillow
US11324338B2 (en) All-inclusive diaper changing and feeding support pillow
US20190320854A1 (en) Bathtub Insert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US11039698B2 (en) Portable and collapsible privacy shield
US11607058B2 (en) Changing table cover
KR200394831Y1 (ko) 요 겸용 가방
KR100872558B1 (ko) 유아침구용 가방
KR101318405B1 (ko) 유아용 가방을 겸한 의자 안전시트
US20160235216A1 (en) Multi-Function Infant Pillow and Mat
US10905251B2 (en) Baby seat and carrier system
US11793327B2 (en) Co-sleeper bassinet with collapsible wall panels
KR102343125B1 (ko) 유아침구 겸용 기저귀 가방
KR200492354Y1 (ko) 매트 겸용 가방
KR200268611Y1 (ko) 유아용 절첩식 간이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