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8954A - 버스 안전 벨트 감김 구조 - Google Patents

버스 안전 벨트 감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8954A
KR20030088954A KR1020020026777A KR20020026777A KR20030088954A KR 20030088954 A KR20030088954 A KR 20030088954A KR 1020020026777 A KR1020020026777 A KR 1020020026777A KR 20020026777 A KR20020026777 A KR 20020026777A KR 20030088954 A KR20030088954 A KR 20030088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belt
winding structure
seat bel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6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성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6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8954A/ko
Publication of KR20030088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895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7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permanently locking the retractor during the wearing of the belt
    • B60R2022/3475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permanently locking the retractor during the wearing of the belt having means for acting directly upon the belt, e.g. by clamping or friction

Landscapes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 안전 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버스 안전 벨트가 사용하지 않을 때는 버스 승객과 부딪히고 착용시 당기는 방향에 따라 숫체결부를 당기는 과정에서 숫체결부와 연결된 벨트가 잠겨져 벨트가 당겨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전 벨트 숫체결부의 벨트 감김 구조에 있어서, 벨트가 감겨있어 사용자가 숫체결부를 당길 경우 벨트가 풀려지도록 하는 제 1 풀리(110), 감김 구조의 일측에 회전측에 의해 단부가 고정되는 로드(130), 상기 로드(130)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풀리(110)에 감겨있는 벨트가 풀릴 때 벨트의 풀림 방향을 감김 구조의 입구측으로 변화시키는 제 2 풀리(120), 상기 로드(130)가 고정되는 중심축상에 설치되어 로드(130)에 인가되는 힘을 제거될 때 로드(130)가 원위치되도록 하는 스프링(140)으로 구성되는 하는 버스 안전 벨트 감김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버스 안전 벨트 감김 구조{Bus safety belt winding structure}
본 발명은 버스의 안전 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버스의 승객 좌석에 장착되는 안전 벨트에 있어 기존의 안전 벨트에 비하여 적은 구성 요소를 사용하고탑승자가 착용하기 위해 당길 경우 안전 벨트의 당김 방향에 따라 벨트의 풀림이 록킹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버스의 안전 벨트 감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버스의 승객 좌석에는 사고 발생시 승객이 차량 외부로 이탈되는 등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안전 벨트가 장착된다.
도 1은 버스 좌석의 안전 벨트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승객 좌석(1)의 하단 후측에 숫체결부(2)와 암체결부(3)가 각각 장착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승객이 좌석에 착석한 후 숫체결부(2)와 암체결부(3)를 서로 연결하게 되면 버스 사고시 승객이 좌석을 이탈하여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2a는 종래 기술에 의한 버스 안전 벨트의 숫체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벨트가 감겨있어 사용자가 숫체결부(2)를 당길 경우 벨트가 풀려지도록 하는 제 1 풀리(4), 상기 제 1 풀리(4)에 감겨있는 벨트가 풀릴 때 풀림 방향을 변화시키는 제 2 풀리(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구조의 버스 안전 벨트를 사용할 경우, 숫체결부의 중량과 크기가 비대하여 버스에서 장시간 착용시 불편함을 느끼고, 안전 벨트를 착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숫체결부가 좌석의 옆으로 늘어져 있는 경우가 많아 승객이 통로를 이용하여 통행할 때 숫체결부가 승객의 신체와 부딪히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전 벨트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숫체결부에 연결되어 있는 벨트가 감겨지도록 하는 기술이 특허출원 2001-67903 호에 개시되었다.
도 2b는 종래 기술에 의한 버스 안전 벨트의 숫체결부의 감김 구조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벨트가 감겨있어 사용자가 숫체결부(10)를 당길 경우 벨트가 풀려지도록 하는 제 1 풀리(12), 상기 제 1 풀리(12)에 감겨있는 벨트가 풀릴 때 풀림 방향을 변화시키는 제 2 풀리(16), 외력에 의해 벨트가 급격히 풀려질 때 벨트의 풀림을 제한하는 제 3 풀리(1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풀리(16)와 제 3 풀리(18)의 중심축은 스프링에 의해 감김 구조(10)의 내측에 연결된다.
상기한 구조의 숫체결부를 채용한 버스 안전 벨트를 사용할 경우, 차량 사고 등에 의한 급정거시, 관성에 의해 승객의 신체가 앞쪽으로 급격히 이동하면서 제 1 풀리(12)에 감겨있는 벨트가 풀리게 되고, 제 1 풀리(12)에서 풀려지는 벨트는 제 2 풀리(16)에 의해 풀려지는 방향이 감김 구조의 입구측으로 변화되지만, 벨트를 급격히 당길때는 제 2 풀리(16) 자체를 당겨 제 2 풀리(16)가 제 1 풀리(12)와 제 3 풀리(18)에 동시에 맞닿게된다.
또한, 제 2 풀리(16)는 제 3 풀리(18)를 감김 구조의 내측벽으로 밀어 제 3 풀리(18)가 내측벽과 맞닿도록 하여 제 3 풀리(18)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한다.
제 3 풀리(18)의 회전 정지는 제 3 풀리(18)와 맞닿아 있는 벨트의 풀림도 멈춰지도록 하여, 안전 벨트의 풀림은 멈춰지게 되고 승객의 신체가 좌석에서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상기한 구성의 감김 구조를 채택한 숫체결부를 사용할 경우, 버스 사고시에 승객의 신체가 좌석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 숫체결부를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으나, 안전 벨트의 체결시 숫체결부를 당기는 방향에 대한 제한이 있어 이에 대한 사전 인식이 없을 경우 안전벨트의 체결을 위해 숫체결부를 당기는 과정에서 숫체결부와 연결된 벨트가 잠겨져 벨트가 당겨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통로를 이용하는 승객의 신체와 부딪히지 않도록 원위치로 감겨지고 숫체결부를 당기는 방향에 대한 제약을 없애 사용의 편리성을 배가시킨 버스 안전 벨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버스 좌석의 안전 벨트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는 종래 기술에 의한 버스 안전 벨트의 숫체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b는 종래 기술에 의한 버스 안전 벨트의 숫체결부의 감김 구조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버스의 안전 벨트 감김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감김 구조 110 : 제 1 풀리
120 : 제 2 풀리 130 : 로드
140 : 스프링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버스의 안전 벨트 감김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안전 벨트 숫체결부의 벨트 감김 구조에 있어서, 벨트가 감겨있어 사용자가 숫체결부를 당길 경우 벨트가 풀려지도록 하는 제 1 풀리(110), 감김 구조의 일측에 회전측에 의해 단부가 고정되는 로드(130), 상기 로드(130)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풀리(110)에 감겨있는 벨트가 풀릴 때 벨트의 풀림 방향을 감김 구조의 입구측으로 변화시키는 제 2 풀리(120), 상기 로드(130)가 고정되는 중심축상에 설치되어 로드(130)에 인가되는 힘을 제거될 때 로드(130)가 원위치되도록 하는 스프링(140)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1 풀리(110)는 감김 구조(100)의 입구측에 밀착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 2 풀리(120)의 지름은 입구측과 제 1 풀리(110)의 사이의 간격보다크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안전 벨트의 숫체결부에 연결되어 있는 벨트는 승객용 좌석의 측면으로 연결되는데, 벨트의 대부분은 제 1 풀리(110)에 감겨있어 필요한 경우 승객이 숫체결부를 당기면 제 1 풀리(110)에서 풀리게 된다.
안전 벨트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 1 풀리(110)에 의해 벨트가 감겨져 숫체결부가 버스 통로를 이동하는 승객의 신체와 부딪히지 않게하는 것은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다.
벨트가 감겨져 있는 상태에서 안전 벨트를 사용하기 위해 숫체결부를 당기면 벨트가 풀리게 된다. 종래의 기술의 경우 숫체결부를 당기는 방향을 고려해야 하지만, 본 기술에서는 스프링(140)의 탄성력보다 큰 힘으로 숫체결부를 당기는 경우외에는 제 2 풀리(120)가 벨트와 맞닿지 않아, 숫체결부의 당김 방향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아진다.
승객이 안전 벨트를 체결한 후, 주행중 급정거 또는 교통 사고를 당하는 경우 관성에 의해 승객의 신체가 앞쪽으로 쏠리게 된다. 이때 인가되는 힘이 스프링(140)의 탄성보다 크지 않을 때는 로드(130)는 원위치에 있지만, 인가되는 힘이 스프링(140)의 탄성보다 클 경우에는 로드(130)는 앞쪽으로 회전하면서, 제 2 풀리(120)가 감김 구조(100)의 입구 부위로 이동하게 된다.
제 1 풀리(110)는 감김 구조의 입구측에 밀착되어 형성되어 있고, 입구와제 1 풀리(110)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 2 풀리(120)의 지름은 입구와 제 1 풀리(110)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풀리(120)의 일측은 제 1 풀리(110)의 표면에 밀착되고, 제 2 풀리(120)의 다른 일측은 입구에 밀착되어, 벨트가 입구를 통해 풀리는 것을 멈추도록 한다.
벨트의 풀림이 멈추게 되어 안전 벨트를 착용하고 있는 승객의 신체가 앞쪽으로 급격히 쏠리는 현상이 방지된다.
벨트에 인가되는 힘이 제거되면 스프링(140)의 탄성력에 의해 로드(130)는 원위치로 복귀되고 이에 따라 벨트의 풀림과 감김이 자유롭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버스 승객 좌석에 설치된 안전 벨트가 사용하지 않을 때는 좌석에 밀착되어 있어 버스 통로를 통행하는 승객의 신체와 부딪히지 않으며, 사고시에는 안전 벨트가 급격히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승객이 좌석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작용을 종래의 기술보다 적은 갯수의 구성요소만으로 수행할 수 있어, 비용 절감과 작업 공수가 절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안전 벨트 숫체결부의 벨트 감김 구조에 있어서, 벨트가 감겨있어 사용자가 숫체결부를 당길 경우 벨트가 풀려지도록 하는 제 1 풀리(110), 감김 구조의 일측에 회전측에 의해 단부가 고정되는 로드(130), 상기 로드(130)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풀리(110)에 감겨있는 벨트가 풀릴 때 벨트의 풀림 방향을 감김 구조의 입구측으로 변화시키는 제 2 풀리(120), 상기 로드(130)가 고정되는 중심축상에 설치되어 로드(130)에 인가되는 힘을 제거될 때 로드(130)가 원위치되도록 하는 스프링(1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안전 벨트 감김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풀리(110)는 감김 구조(100)의 입구측에 밀착되어 설치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안전 벨트 감김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풀리(120)의 지름은 입구측과 제 1 풀리(110)의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안전 벨트 감김 구조.
KR1020020026777A 2002-05-15 2002-05-15 버스 안전 벨트 감김 구조 KR200300889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777A KR20030088954A (ko) 2002-05-15 2002-05-15 버스 안전 벨트 감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777A KR20030088954A (ko) 2002-05-15 2002-05-15 버스 안전 벨트 감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954A true KR20030088954A (ko) 2003-11-21

Family

ID=32382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6777A KR20030088954A (ko) 2002-05-15 2002-05-15 버스 안전 벨트 감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8954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8352A (ja) * 1992-02-26 1993-09-17 Nissan Motor Co Ltd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KR960007730U (ko) * 1994-08-19 1996-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안전 벨트의 슬라이딩 장치
KR19980014660A (ko) * 1996-08-14 1998-05-25 정몽규 차량의 시트벨트 웨빙 구속장치
KR19990027965A (ko) * 1997-09-30 1999-04-15 양재신 차량용 시트 벨트의 구속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8352A (ja) * 1992-02-26 1993-09-17 Nissan Motor Co Ltd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KR960007730U (ko) * 1994-08-19 1996-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안전 벨트의 슬라이딩 장치
KR19980014660A (ko) * 1996-08-14 1998-05-25 정몽규 차량의 시트벨트 웨빙 구속장치
KR19990027965A (ko) * 1997-09-30 1999-04-15 양재신 차량용 시트 벨트의 구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5257A (en) Adjustable breakaway seat belt shoulder harness comfort strap
EP0608860B1 (en) Restraint and protection seat for infant
US4223917A (en) Seatbelt system
JP3869857B2 (ja) セーフティベルト用構造
US10246049B2 (en) Intelligent retractor having mode changing lever
US10239486B2 (en) Intelligent retractor having noise removal unit
WO2004009411A1 (en) Vehicle seat belt system
US4585185A (en) Retractor
KR20030088954A (ko) 버스 안전 벨트 감김 구조
JP2008049939A (ja) エンドロック抑制・解除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ベルト装置
US6889930B2 (en) Seatbelt retractor of an automobile
JP2001010443A (ja) シートベルト装置のタングプレート
KR101459663B1 (ko) 시트벨트 잠금 장치
KR20030013962A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용 가변버클 구조
JPH10157564A (ja) 子供用保持装置
KR0132314Y1 (ko) 자동차의 이중 로킹해제형 시트 벨트
KR900007439B1 (ko) 안전벨트의 권취력 제어장치
JP2007253732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KR100461251B1 (ko) 차량용 안전벨트 체결장치
KR200272618Y1 (ko) 안전벨트
JP3163599B2 (ja) 自動車シートベルト構造
KR950007334Y1 (ko) 자동차용 안전밸트
KR100206434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
JPH0412840Y2 (ko)
KR200244479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안전벨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