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8583A - 유무선 및 온/오프라인 통합 디지털이미지의 서비스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유무선 및 온/오프라인 통합 디지털이미지의 서비스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8583A
KR20030088583A KR1020020026243A KR20020026243A KR20030088583A KR 20030088583 A KR20030088583 A KR 20030088583A KR 1020020026243 A KR1020020026243 A KR 1020020026243A KR 20020026243 A KR20020026243 A KR 20020026243A KR 20030088583 A KR20030088583 A KR 20030088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image
photo
service
offline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6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우
방두종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6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8583A/ko
Publication of KR20030088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858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및 온/오프라인 통합 디지털이미지의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디지털 이미지 및 사진 관련 서비스 방식에서는 예컨대, 휴대폰에 장착된 내외장 모바일 카메라로 생성한 디지털 이미지 소스를 무선을 통하여 온라인 상이나 타 휴대폰으로 전송하거나 오프라인 사진출력을 할 수 없었다. 즉, 휴대폰에 장착된 내외장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는 해상도가 낮아 사진 인화시의 품질이 사진으로서의 가치를 갖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무선/유선/온라인/오프라인 간의 연계성이 적어 플랫폼 및 유무선 통합서비스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사진 및 이미지와 관련된 가치(Raw contents)를 다양하게 변형시켜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하는 유무선 및 온/오프라인 통합서비스 제공한다. 특히, 다양한 포토 전송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디지털이미지 데이터를 유무선 및 온/오프라인의 유기적인 연계 모델을 도입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유무선 및 온/오프라인의 통합 디지털이미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무선 및 온/오프라인 통합 디지털이미지의 서비스 제공방법{Method of offering service for digital image of wire/wireless and on/off line}
본 발명은 유무선 및 온/오프라인 통합 디지털이미지의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진 및 이미지와 관련된 가치(Raw contents)를 다양하게 변형시켜 다양한 방법(Multi device, Place)으로 제공하는 유무선 및 온/오프라인 통합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는 촬영한 사진의 보관이 용이할 뿐 아니라, 편집이 자유로워 전문적인 지식과 장비가 없어도 PC와 편집 프로그램만 있으면 누구나 기존의 앨범과 유사한 전자앨범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한 보관 및 편집의 편리함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사진을 출력해야 하는 경우에는 디지털 이미지로 저장된 사진을 일반 프린터로 출력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은 디지털 이미지를 일반 프린터를 이용하여 출력하려면 화면에 출력하는 것보다 화질이 많이 떨어진다는 점과, 출력된 사진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장비를 구입하는데 필요한 비용이 매우 비싸다는데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 들어, 인터넷 상에서 디지털 이미지를 업로드하면 이를 출력하여 택배서비스를 제공하는 출력서비스 사이트가 등장하였다. 일반 카메라는 촬영한 필름을 현상소에 맡긴 뒤, 다시 사진을 찾으러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인터넷 출력서비스를 이용하면 디지털카메라로 찍은 디지털 이미지를 인터넷을 통하여 업로드하고, 이 가운데 마음에 드는 사진을 선택하여 주문하면, 인터넷 출력서비스 사이트에서 선택된 이미지를 사진으로 인화해 집으로배달해 준다. 디지털 이미지 뿐만 아니라, 고품질의 인쇄가 필요한 서류의 경우에도 이러한 출력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이미 등장하였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서 [특허출원번호: 10-2000-0023882, 발명의 명칭: 디지털 이미지 온라인 인화방법]와 [특허출원번호: 10-2000-0040038, 발명의 명칭: 디지털 이미지 작업 시스템]이 각각 공지되어 있다.
상기의 특허 10-2000-0023882는 고객이 인화를 주문한 디지털 이미지를 온라인상에서 업로드 하면, 이미지 프로세싱부에서 최적의 인화품질을 얻을 수 있도록 처리하고, 고객이 원하는 배송방식으로 인화된 사진을 배송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특허 10-2000-0040038은 인터넷에 디지털이미지 작업시스템(DIWS)을 이용하여 디지털카메라로 찍은 사진을 언제 어디서든 출력할 수 있고 영구히 인터넷 서버 상에 보관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공지된 종래의 특허들은 디지털 카메라, PC 또는 디지털 포토 시스템을 이용하여 온라인 상에서만 한정하여 전자앨범을 만들 수 있었다. 즉, 핸드폰, 개인휴대정보단말(PDA) 등의 다양한 포토 전송기기를 이용할 수 없었고, 온라인 외 다른 유무선 네트워크 망을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디지털 이미지 및 사진 관련 서비스는 오프라인(카메라, 사진관 등)에서 생성된 이미지 소스를 오프라인에서 가공 및 인화(현상)하거나, 온라인에서 생성된 이미지 소스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인화 및 출력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예컨대, 휴대폰에 장착된 내외장 모바일 카메라로 생성한 디지털 이미지 소스를 무선을 통하여 온라인 상이나 타 휴대폰으로 전송하거나 오프라인 사진출력을 할 수 없었다. 즉, 휴대폰에 장착된 내외장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는 해상도가 낮아 사진 인화시의 품질이 사진으로서의 가치를 갖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무선/유선/온라인/오프라인 간의 연계성이 적어 플랫폼 및 유무선 통합서비스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포토 전송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디지털이미지 데이터를 유무선 및 온/오프라인의 유기적인 연계 모델을 도입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유무선 및 온/오프라인의 통합 디지털이미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본 발명은
고객의 사진 및 이미지와 관련된 가치(raw contents)를 다양하게 변형시켜 유/무선 및 온/오프라인의 통합 망을 이용하여 디지털 이미지의 모바일(Mobile)/온라인(On-line)/오프라인(Off-line)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모바일 상에서 포토전송기기를 이용하여 디지털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디지털 이미지를 온라인 상의 포토 포털사이트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를 보정하여 보관하는 단계와;
상기 포털 포털사이트에 저장된 디지털 이미지를 포토 툴(tool)을 이용하여 가공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가공된 디지털 이미지를 오프라인 상에서 인화/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원래의 디지털 이미지를 응용하여 관련 파생상품으로 재 가공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관련된 커뮤니티 및 컨텐츠를 활성화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온/오프라인 상에서 유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및 온/오프라인 통합 디지털이미지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이미지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의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의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이동 단말기15 : 고객단말 PC
20 : 네트워크25 : 컨텐츠 공급업체
30 : 정지영상 릴레이서버35 : 정지영상 트랜스서버
40 : 동영상 릴레이서버45 : 동영상 DB
50 : 웹서버55 : DB서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그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및 온/오프라인 통합 디지털이미지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도이다.
도 1을 살펴보면, 기기의 내장 또는 외장 형태의 모바일 카메라가 장착되어 디지털 이미지의 포토메일을 온라인의 포토포털 사이트로 전송하기 위한 이동단말기(10)와; 상기 온라인의 포토포털 사이트를 통하여 포토메일을 실시간으로 제공받기 위한 고객단말 PC(15)와; 유무선 또는 온라인을 통해 모바일 서비스,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웹(web) 또는 왑(wap) 통신 전송망인 네트워크(20)와; 상기온라인의 포토토털 사이트로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공급업체(25)와; 상기 이동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는 포토메일의 정지영상 데이터를 저장,관리하여 수신 및 재송신하기 위한 정지영상 릴레이서버(30)와; 상기 정지영상 릴레이서버(30)와 연동되어 포토메일의 정지영상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여 코딩하기 위한 정지영상 트랜스코더(35)와; 상기 이동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는 포토메일의 동영상을 저장,관리하여 수신 및 재송신하기 위한 동영상 릴레이서버(40)와; 상기 동영상 릴레이서버(40)와 연동되어 동영상에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동영상 DB서버(45)와; 상기 포토토털 사이트와 연동되어 모바일 서비스, 온라인 서비스, 오프라인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업로드하기 위한 웹서버(50)와; 상기 웹서버(50)와 연동되어 각종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DB서버(55)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단말기(10)와 네트워크(20) 간의 통신 과정은 공지된 바와 같이 기지국(BTS)과, 기지국제어기(BSC), 교환기(MSC) 및 게이트웨이(Gate way)를 거쳐 인터페이싱 된다. 또한, 상기 게이트웨이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 기반(IWF)과 전송제어 프로토콜/인터넷 프로토콜(TCP/IP) 정합을 수행하고, 인터넷 망 및 무선데이터센터(DNS) 서버와도 TCP/IP 정합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이미지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의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의 서비스는 고객의 포토와 관련된 가치를 다양하게 변형시켜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함과 더불어 관련 고객집단을 또 다른 가치(contents)의 생산자로 활용하기 위해 유/무선, 온/오프라인 통합하는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고객의 포토와 관련된 가치(raw contents)로서의 포토 전송기기는 이동단말기의 내외장에 장착된 카메라폰, 개인휴대정보단말(PDA), 웹 카메라, 웹 이미지, 디지털카메라, 아날로그 포토, 포토 머쉰(photo machine) 등이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포토 전송기기를 이용한 디지털 이미지의 서비스 제공방법은 모바일 서비스, 온라인 서비스, 오프라인 서비스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된다.
먼저, 모바일 서비스는 포토메일(phone to phone, phone to Web, Web to phone), 사진올리기/찍기 등의 서비스가 이에 해당되고, 온라인 서비스는 포토메일, 포토앨범, 사진 올리기/찍기, 포토갤러리, 포토 컴뮤니티 등이 해당되며, 오프라인 서비스는 가맹점, 제휴점, 판매점, 수취점 등에서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디지털 이미지의 서비스 제공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또 다른 가치의 생산자로 활용되는데, 이는 예컨대 카메라 폰, 모든 휴대폰, 웹 하드, PC/하드디스크, 포토디스크/CD, 디지털 포토앨범, 인화사진, 스티커사진, 스타상품 등과 같은 포토기록매체로 이용된다.
좀 더 부연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서비스에서는 이동단말기에 장착된 내/외장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각종 포토메일은 온라인 서비스의 포토 포털사이트로 전송된다.
온라인 서비스에서는 디지털 이미지를 업 그레이드하는 서비스로서 예컨대, 픽셀 수, 칼라 수, 사이즈, 명도, 채도 등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보관 및 가공하게된다.
최종 오프라인 서비스에서는 온라인 서비스로부터 유무선의 웹 또는 왑 통신망을 통해 전송된 포토메일을 사진 인화/출력하게 된다. 이 때, 고객은 원하는 장소의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포토메일을 수취할 수 있다.
이 때, 인화/출력된 사진 또는 이미지는 고화질을 유지하며, 다른 응용상품(예컨대, 증명사진, 여권사진, 스티커사진, 브로마이드 등)에 적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의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사용자가 무선의 모바일 상에서 포토 전송기기를 사용하여 디지털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 때, 포토 전송기기로는 이동단말기(10)에 장착된 내외장 모바일 카메라, 디지털카메라, 웹 카메라, PDA 등을 이용하여 웹 또는 왑 상에서의 이미지 소스를 통해 디지털 이미지를 생성한다(S100).
상기 생성된 디지털 이미지는 유/무선을 이용하여 온라인 상의 포토 포털사이트로 집중된다.
특히, 이동단말기(10)에 장착된 내외장 모바일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는 포토메일 등의 모바일 서비스를 통해 직접 타 이동단말기 또는 온라인 상의 포토 포털사이트로 전송하거나, 오프라인 서비스의 인화/출력 단계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이동단말기(10)에 장착된 내외장 모바일 카메라의 낮은 해상도를 보정하여 사진 인화가 가능한 품질로 보정하게 된다(S110).
그 상태에서 온라인 상의 포토 포털사이트에서는 생성 및 전송단계를 거친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를 보관하게 된다(S120).
다음, 상기 포털 포털사이트에 저장된 디지털 이미지를 포토 툴(tool)을 이용하여 가공한다. 이 때, 기존의 오프라인 고객 및 집단에 웹 하드(Web hard) 등의 개인/컴뮤니티 툴(community tool)을 제공하여 온라인을 유도하게 된다. 즉, 온라인 상의 포토 포털사이트에 저장된 모든 디지털 이미지에 대하여 가공이 가능한 서비스와 툴이 제공된다.
이 때, 상기 컴뮤니티 툴에는 예컨대, 웹 하드, 포토앨범 기능, 디지털 카메라 부착 단말기의 사진 가공 및 전송 툴, 온라인 연계 인화 및 배송서비스, 다양하고 풍부한 사진 컨텐츠 등이 이에 해당된다(S130).
그 다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가공된 디지털 이미지를 오프라인 서비스의 가맹점, 제휴점, 판매점, 수취점 등에서 인화/출력한다. 이 때, 최종 오프라인 서비스에서는 온라인 서비스로부터 유무선의 웹 또는 왑 통신망을 통해 전송된 포토메일을 사진 인화/출력하게 된다. 이 때, 고객은 원하는 장소의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포토메일을 수취하게 된다(S140).
다음, 상기 전송된 원래의 디지털 이미지를 응용하여 관련 파생상품으로 재가공한다. 이 때,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서비스 제공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또 다른 가치의 생산자로 활용된다. 이는 예컨대 웹 하드, PC/하드디스크, 포토디스크/CD, 디지털 포토앨범, 인화사진, 스티커사진, 스타상품 등과 같은 포토기록매체로 이용된다(S150).
그 다음,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관련된 커뮤니티 및 컨텐츠를 활성화한다. 이 때, 컨텐츠의 테마로는 아기사진, 가족/친구/애인사진, 풍경사진(국,내외), 동물사진(애완동물), 스타사진, 스포츠 사진 등이 해당된다.
또한, 관련 컴뮤니티에는 육아, 가족/친지/동창, 여행, 콜럭션, 애완동물기르기, 스포츠/레져 컴뮤니티 등이 이에 해당된다(S160).
그리고 나서, 최종적으로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온/오프라인 상에서 유통시키게 된다(S170).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이미지 서비스방법에 따르면, 1) 디지털 이미지의 생성 후 2차 플랫폼으로의 이동이 용이하며; 2) 이용자 개인의 디지털이미지 데이터를 보관/가공하는 방법과 툴(tool)을 제공하여 해당 데이터에 대해 부가 가치의 창출이 가능하며; 3) 축적된 데이터를 기본 소스로 하는 상품(인화/출력/파생상품)을 제공하여 수익 창출이 가능하며; 4) 관련 온/오프라인을 활성화하여 강력한 커뮤니티 및 컨텐츠 사이트를 구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고객의 사진 및 이미지와 관련된 가치(raw contents)를 다양하게 변형시켜 유/무선 및 온/오프라인의 통합 망을 이용하여 디지털 이미지의 모바일(Mobile)/온라인(On-line)/오프라인(Off-line)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모바일 상에서 포토전송기기를 이용하여 디지털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디지털 이미지를 온라인 상의 포토 포털사이트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를 보정하여 보관하는 단계와;
    상기 포털 포털사이트에 저장된 디지털 이미지를 포토 툴(tool)을 이용하여 가공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가공된 디지털 이미지를 오프라인 상에서 인화/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원래의 디지털 이미지를 응용하여 관련 파생상품으로 재 가공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이미지에 관련된 커뮤니티 및 컨텐츠를 활성화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온/오프라인 상에서 유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서비스 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토 전송기기는 이동단말기에 장착된 내외장 모바일 카메라, 디지털카메라, 웹 카메라, 개인휴대정보단말(PDA)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서비스 제공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에 장착된 내외장 모바일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는 포토 메일의 모바일 서비스를 통해 직접 타 이동단말기 또는 오프라인 서비스의 인화/출력 단계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서비스 제공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에 장착된 내외장 모바일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이미지의 낮은 해상도는 픽셀 수, 칼라 수, 사이즈, 명도, 채도 등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오프라인 서비스에서의 사진 인화/출력이 가능한 품질로 보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서비스 제공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련 파생상품으로 재 가공하는 단계에서는 웹 하드, PC/하드디스크, 포토디스크/CD, 디지털 포토앨범, 인화사진, 스티커사진, 스타상품 등의 포토 기록매체로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서비스 제공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서비스에는 포토메일(phone to phone,phone to Web, Web to phone), 사진올리기/찍기 등이 해당되고, 온라인 서비스에는 포토메일, 포토앨범, 사진 올리기/찍기, 포토갤러리, 포토 컴뮤니티 등이 해당되며, 오프라인 서비스의 가맹점, 제휴점, 판매점, 수취점 등에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020026243A 2002-05-13 2002-05-13 유무선 및 온/오프라인 통합 디지털이미지의 서비스제공방법 KR200300885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243A KR20030088583A (ko) 2002-05-13 2002-05-13 유무선 및 온/오프라인 통합 디지털이미지의 서비스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243A KR20030088583A (ko) 2002-05-13 2002-05-13 유무선 및 온/오프라인 통합 디지털이미지의 서비스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583A true KR20030088583A (ko) 2003-11-20

Family

ID=32382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6243A KR20030088583A (ko) 2002-05-13 2002-05-13 유무선 및 온/오프라인 통합 디지털이미지의 서비스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85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588B1 (ko) 2014-10-29 2015-12-22 이춘락 클라이언트와의 sns통신 등에 의한 원격제어 프린팅 서비스 시스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4968A (ko) * 2000-05-04 2001-05-07 송정진 디지털 이미지 온라인 인화시스템 및 방법
KR20010083203A (ko) * 2000-02-22 2001-08-31 나오야 하라노 화상 데이터의 송신방법 및 화상처리단말과 휴대단말
KR20010110510A (ko) * 2000-06-07 2001-12-13 이기붕 인터넷을 통한 사진 처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020028515A (ko) * 2000-10-10 2002-04-17 유경민 사진 편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3203A (ko) * 2000-02-22 2001-08-31 나오야 하라노 화상 데이터의 송신방법 및 화상처리단말과 휴대단말
KR20010034968A (ko) * 2000-05-04 2001-05-07 송정진 디지털 이미지 온라인 인화시스템 및 방법
KR20010110510A (ko) * 2000-06-07 2001-12-13 이기붕 인터넷을 통한 사진 처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020028515A (ko) * 2000-10-10 2002-04-17 유경민 사진 편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588B1 (ko) 2014-10-29 2015-12-22 이춘락 클라이언트와의 sns통신 등에 의한 원격제어 프린팅 서비스 시스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15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age sharing
AU2001277080B2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images using a digital media frame
JP2005520255A (ja) 装置から遠隔地にあるネットワーク所在地にコンテンツをアップロード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AU2001277080A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images using a digital media frame
US20030065665A1 (en) Devic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information distribution
CN1725798B (zh) 图像形成装置以及图像形成方法
CN1490975A (zh) 信息处理系统、信息处理装置、预定信息文件的使用方法
JP2003052032A (ja) 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情報配信方法、情報供給装置及び情報供給方法
JP4251794B2 (ja) 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情報配信方法、並びに情報供給装置及び情報供給方法
JP4337139B2 (ja) サービスサーバ、プリント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プリントサービス方法
JP4104055B2 (ja) 画像データ管理装置
JP2007193609A (ja) プリントデータ作成方法、プリントデータ作成装置およびプリントサービスシステム
KR20030088583A (ko) 유무선 및 온/오프라인 통합 디지털이미지의 서비스제공방법
JP5099647B2 (ja) 動画画像処理システム、サーバ、動画画像の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3050767A (ja) 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情報配信方法、並びに情報供給装置及び情報供給方法
JP2010282616A (ja) 画像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情報処理方法
JP2009105591A (ja) 動画配信システム
KR20000054449A (ko) 인터넷 온라인을 통한 이미지의 처리 방법 및 시스템
CN101385016A (zh) 多媒体传输系统和方法
JP2004165939A (ja) 携帯型端末装置、画像通信プログラム、画像印刷装置、画像印刷プログラム、画像通信管理サーバ、および画像通信管理プログラム
KR20010107004A (ko) 네트워크 기반의 이미지 합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JPH1127412A (ja) オーダーメイド電報処理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10110510A (ko) 인터넷을 통한 사진 처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010077794A (ko) 포토샵 가맹점시스템과 이를 관리하는 포토샵운영시스템
JP2009020915A (ja)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配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