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70Y1 - 데크메카니즘의모드전환구조 - Google Patents

데크메카니즘의모드전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70Y1
KR200300870Y1 KR2019970018915U KR19970018915U KR200300870Y1 KR 200300870 Y1 KR200300870 Y1 KR 200300870Y1 KR 2019970018915 U KR2019970018915 U KR 2019970018915U KR 19970018915 U KR19970018915 U KR 19970018915U KR 200300870 Y1 KR200300870 Y1 KR 2003008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ead
plate head
mode
deck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89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5567U (ko
Inventor
이진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700189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70Y1/ko
Publication of KR199900055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5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8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08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정보를 읽기위한 헤드가 부착되고 일측에는 돌기가 형성된 플레이트헤드와, 모드 변환 시 상기 플레이트 헤드를 상하 유동시키는 상하유동부재와, 상기 플레이트헤드와 결합하고 이동을 저지하는 걸림턱을 구비한 플레이트락으로 구성되는 데크메카니즘에 있어서, 모드 변환으로 상기 플레이트헤드의 돌기가 상기 플레이트락과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기 플레이트락의 걸림턱을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플레이모드 시 메카니즘의 도어가 열리면서 기어캠의 회전불능으로 순차적인 다음모드의 전환이 불가하게 되어 데크메카니즘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데크메카니즘의 모드전환구조
본 고안은 데크메카니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미니카세트 등에 적용되는 메카니즘에 있어서 모드전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위한 데크메카니즘의 모드전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데크 메카니즘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4)가 부착된 플레이트헤드(2)와 상기 플레이트헤드(2)를 상하 유동시키는 기어캠(1)과, 스프링(5)의 탄성력을 받으며 플레이트헤드(2)에 지지되는 플레이트락(PLATE LOCK;3)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데크메카니즘은 정지상태에서는 플레이트락(3)이 플레이트헤드(2)의 지지부(2')에 지지되다가, 기어캠(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3의 (가)와 같이 플레이트헤드(2)가 상측으로 이동하고, 이 때, 지지부(2')에 의해 지지되던 플레이트락(3)이 스프링(5)의 탄성력에 의해 도면상의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플레이트락(3)과 연결된 도어 이젝트(Door Eject)가 움직이지 않게 되어 플레이 시에는 도어가 오픈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구동방식에서는 플레이트락(3)을 유동시키는 스프링(5)이 동작하지 않게 될 경우, 플레이트락(3)이 완전한 탄성력을 받지 못하게 되어 도3의 (나)와 같이 플레이트헤드(2)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플레이트락(3)에 형성된 돌출부(3')의 끼임현상이 발생되고 기어캠(1)의 회전을 방해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결국 모드전환이 불가하게 되고 플레이 동작 중 도어가 오픈되는 등 제품의 신뢰성을 저감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플레이트헤드와 플레이트락 간의 연동을 위한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플레이트락의 걸림턱을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구비함으로써, 플레이트헤드와 플레이트락 간의 끼임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플레이모드 중 도어가 오픈되는 등의 비정상적인 제어로 제품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데크메카니즘의 정지모드시 상태도.
도 2는 종래 메카니즘 부품을 나타낸 것으로서,
(가)는 플레이트락의 구조도
(나)는 플레이트헤드의 구조도
도 3은 종래 메카니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는 플레이트헤드 상승시 상태도.
(나)는 플레이트락과 플레이트헤드의 끼임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데크메카니즘의 정지모드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메카니즘 부품을 나타낸 것으로서,
(가)는 플레이트락의 구조도.
(나)는 플레이트헤드의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 메카니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는 플레이트헤드의 상승시 상태도.
(나)는 플레이트락의 경사부에 의한 플레이트헤드의 상승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기어캠 104 : 헤드
102 : 플레이트헤드 105 : 탄성체
103 : 플레이트락
정보를 읽기위한 헤드가 부착되고 일측에는 돌기가 형성된 플레이트헤드와, 모드 변환 시 상기 플레이트 헤드를 상하 유동시키는 상하유동부재와, 상기 플레이트헤드와 결합하고 이동을 저지하는 걸림턱을 구비한 플레이트락으로 구성되는 데크메카니즘에 있어서, 모드 변환으로 상기 플레이트헤드의 돌기가 상기 플레이트락과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기 플레이트락의 걸림턱을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데크메카니즘의 각각의 구성요소를 개별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요소로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데크메카니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스프링이 정상적으로 제 기능을 하는 경우는, 카세트플레이어가 정지된 상태에서 기어캠(101)이 회전하면 이 회전력이 상기 기어캠(101)에 형성된 가이드슬롯을 통해 상기 플레이트헤드(102)의 중앙부 가이드롤러를 유도하고 플레이드헤드(102)를 상승시키고, 동시에, 상기 플레이트헤드(102)의 우측 하단(도5의 (나) 기준)의 돌기(102')와 상기 플레이트락(103)의 일단측면의 접촉이 슬라이딩 되면서 상호 이탈하여 스프링(10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락(103)은 도6의 (가)와 같은 상태로 도면상의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도시된 도6의 (가)와 같은 상태는 도어가 오픈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스프링이 정상적으로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카세트플레이어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기어캠(101)이 회전하면 이 회전력이 상기 기어캠(101)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슬롯을 통해 상기 플레이트헤드(102)의 중앙부 가이드롤러를 유도하여 플레이트헤드(102)를 상승시키고, 동시에, 상기 플레이트헤드(102)의 우측 하단(도5의 (나) 기준)의 돌기와 상기 플레이트락(103)의 일단 측면의 접촉이 슬라이딩 되면서 상호 이탈하는데, 이 때, 상기 플레이트락(103)이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지 못해 도면(도6의 (가))상의 좌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제 자리에 머물러 있거나 하더라도, 상승하는 상기 플레이트헤드의 돌기(102')가 상기 플레이트락(103)의 걸림턱(103')의 사면을 타고 계속 상승하면서 결국 상기 플레이트락(103)을 도면상의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서 원활한 모드전환이 가능하게되고, 또한 도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데크메카니즘의 모드전환구조는 탄성체의 기능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플레이모드 시 메카니즘의 도어가 열리면서 기어캠의 회전불능으로 순차적인 다음모드의 전환이 불가하게 되어 데크메카니즘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정보를 읽기위한 헤드가 부착되고 일측에는 돌기가 형성된 플레이트헤드와, 모드 변환 시 상기 플레이트 헤드를 상하 유동시키는 상하유동부재와, 상기 플레이트헤드와 결합하고 이동을 저지하는 걸림턱을 구비한 플레이트락으로 구성되는 데크메카니즘에 있어서,
    모드 변환으로 상기 플레이트헤드의 돌기가 상기 플레이트락과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기 플레이트락의 걸림턱을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메카니즘의 모드전환구조.
KR2019970018915U 1997-07-18 1997-07-18 데크메카니즘의모드전환구조 KR2003008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915U KR200300870Y1 (ko) 1997-07-18 1997-07-18 데크메카니즘의모드전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915U KR200300870Y1 (ko) 1997-07-18 1997-07-18 데크메카니즘의모드전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567U KR19990005567U (ko) 1999-02-18
KR200300870Y1 true KR200300870Y1 (ko) 2003-03-29

Family

ID=49398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8915U KR200300870Y1 (ko) 1997-07-18 1997-07-18 데크메카니즘의모드전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7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567U (ko) 199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870Y1 (ko) 데크메카니즘의모드전환구조
US5706147A (en) Cassette loading device for tape recorder
US4829393A (en) Automatic magnetic recording medium ejecting mechanism for use in a magnetic recording medium driving unit
KR200158384Y1 (ko)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도어 록킹장치
KR0133256B1 (ko) 자기 테이프 기록 및 재생 장치
KR0121256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도어 오프너장치
KR100207699B1 (ko) 휴대용 오디오 로직데크의 이젝트장치
KR100401858B1 (ko) 차량의 트윈스윙도어 충돌방지장치
JPH0668310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2818921B2 (ja) ミニディスクシャッター開閉機構
KR100424566B1 (ko) 좌우개폐도어용 개폐기구
KR200147771Y1 (ko) 테이프레코더의카세트하우징록킹장치
KR920003386Y1 (ko) 테이프레코더의 자동반전장치
KR940004784Y1 (ko) Vcr의 브레이크장치
KR200157328Y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용 데크 메카니즘의 자동반전구조
KR0117886Y1 (ko) 테이프 레코더의 가이드 장치
KR0118663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핀치암 및 이젝트 레버 연동장치
KR930008493Y1 (ko) Dat카세트 로딩장치의 트레이 후진방지장치
JPH0512474Y2 (ko)
KR200149311Y1 (ko) 비디오 테이프 리코더의 이물 삽입 방지 장치
JPS6217860Y2 (ko)
KR950006492Y1 (ko) 카세트 트레이 개폐시의 위치 검출장치
KR940001121Y1 (ko) 카세트 데크의 핀치로울러 장치
KR950004265Y1 (ko) 디에이티의 카세트 트레이 개폐위치 검출장치
KR930008503Y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도어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