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1858B1 - 차량의 트윈스윙도어 충돌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트윈스윙도어 충돌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1858B1
KR100401858B1 KR10-2001-0025799A KR20010025799A KR100401858B1 KR 100401858 B1 KR100401858 B1 KR 100401858B1 KR 20010025799 A KR20010025799 A KR 20010025799A KR 100401858 B1 KR100401858 B1 KR 100401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door
vehicle
twin
releas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5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6088A (ko
Inventor
문권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5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1858B1/ko
Publication of KR20020086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6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8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swing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는 트윈스윙도어의 두 도어를 닫는 순서에 따라서 도어가 서로 충돌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충돌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체에 고정 설치된 바디와, 상기 바디 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된 제1로드와, 상기 제1로드의 직선이동 중에 이동경로가 쉬프트되도록 하는 쉬프팅수단과, 상기 바디내의 상기 제1로드의 반대쪽에서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된 제2로드와, 상기 제2로드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과, 상기 제1로드를 도어1에 연결하여 도어1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1로드가 슬라이딩하도록 연결하는 제1릴리즈케이블과, 상기 제2로드를 도어2에 연결하여 도어2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2로드가 슬라이딩하도록 연결하는 제2릴리즈케이블로 구성된 차량의 트윈스윙도어 충돌방지장치를 제공하여,
트윈도어를 닫는 동작이 정상적이지 못한 경우에는 도어의 닫힘 동작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두 도어간의 충돌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고, 아울러 도어의 닫힘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 메커니즘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트윈스윙도어 충돌방지장치{A COLLAPSE PREVENTING DEVICE OF TWIN SWING DOOR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는 트윈스윙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도어의 닫는 순서에 따라서 도어가 서로 충돌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충돌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트윈스윙도어가 차체에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바, 차체에 힌지(100)로 도어1(101)과 도어2(102)가 각각 결합되어, 두 도어의 겹치는 부분에서는 도어1(101)이 차체(104)의 내측으로 위치되고 도어2(102)가 그 외측에 위치되어 도어가 닫힌 상태를 구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도어구조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101)이 먼저 닫힌 상태에서 도어2(102)가 닫혀야 정상적인 도어의 닫힘이 구현되며, 만약 그 순서가 반대가 되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어2(102)가 먼저 닫힌 상태에서 도어1(101)을 닫으면 그 겹쳐지는 부분에서 충돌이 발생되어 정상적인 도어 닫힘상태가 이루어지지 못함은 물론 두 도어의 충돌로 파손 및 도어의 변형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대비책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차량의 사용자가 주의를 기울이도록 하는 방법 이외에는 단순한 범퍼를 부착하는 수준 이상의 대책이 없는 실정이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트윈도어를 닫는 동작이 정상적이지 못한 경우에는 도어의 닫힘 동작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두 도어간의 충돌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는 차량의 트윈도어 충돌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차량의 트윈스윙도어를 상측에서 관측한 단면 구조도,
도 2는 도 1의 트윈스윙도어가 정상적으로 닫히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도 1의 트윈스윙도어가 비정상적으로 닫히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윈스윙도어 충돌방지장치를 도시한 구조도,
도 5는 도 4의 주요부를 도시한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윈스윙도어가 잘못된 순서로 닫히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7은 도 6의 상태가 진행되어 도어들의 충돌이 방지되는 상태가 도시된 상태도,
도 8은 도 7의 주요부를 도시한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트윈스윙도어가 정상적인 순서로 닫히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0은 도 9의 주요부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바디 3: 쉬프트홈부
6: 해제케이블 7: 방향전환레버
8,14,24: 푸시로드기구 11: 제1로드
12: 제1릴리즈케이블 13: 쉬프트돌출부
15: 제1래크 21: 제2로드
22: 제2릴리즈케이블 25: 제2래크
101: 도어1 102: 도어2
104: 차체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에 고정 설치된 바디와, 상기 바디 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된 제1로드와, 상기 제1로드의 직선이동 중에 이동경로가 쉬프트되도록 하는 쉬프팅수단과, 상기 바디내의 상기 제1로드의 반대쪽에서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된 제2로드와, 상기 제2로드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과, 상기 제1로드를 도어1에 연결하여 도어1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1로드가 슬라이딩하도록 연결하는 제1릴리즈케이블과, 상기 제2로드를 도어2에 연결하여 도어2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2로드가 슬라이딩하도록 연결하는 제2릴리즈케이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종래기술의 설명에서 사용되었던 구성 부품과 동일한 부품의 명칭 및 기호는 동일하게 사용하기로 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차체(104)에 고정 설치된 바디(1)와, 상기 바디(1) 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된 제1로드(11)와, 상기 제1로드(11)의 직선이동 중에 이동경로가 쉬프트되도록 하는 쉬프팅수단과, 상기 바디(1)내의 상기 제1로드(11)의 반대쪽에서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된 제2로드(21)와, 상기 제2로드(21)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과, 상기 제1로드(11)를 도어1(101)에 연결하여 도어1(101)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1로드(11)가 슬라이딩하도록 연결하는 제1릴리즈케이블(12)과, 상기 제2로드(21)를 도어2(102)에 연결하여 도어2(102)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2로드(21)가 슬라이딩하도록 연결하는 제2릴리즈케이블(22)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바디(1)는 도어1(101)과 도어2(102)가 닫히는 중앙부 차체(104)측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쉬프팅수단은 도 5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로드(11)의 일측으로 돌출된 쉬프트돌출부(13)와, 상기 쉬프트돌출부(13)가 안착되도록 상기 바디(1)에 형성된 쉬프트홈부(3)와, 상기 제1로드(11)의 쉬프트돌출부(13)가 상기 쉬프트홈부(3)에 안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로드(11)를 밀착시키는 편향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된 푸시로드기구(14)로 구성되어 제1로드(11)가 섭동하면서 바디(1)의 우측 구간에서는 상기 푸시로드기구(14)의 푸시로드를 다소 하측으로 쉬프트한 상태에서 섭동되고, 바디(1)의 중앙부로 이동됨에 따라서, 상기 쉬프트돌출부(13)가 쉬프트홈부(3)에 삽입되어 상측으로 쉬프트된 상태로 섭동되도록 되어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바디(1)내에서 섭동하여 상기 제2로드(21)의 측면을 탄지하는 푸시로드기구(24)로 구성하였는바, 상기 쉬프팅수단에서 사용하고 있는 푸시로드기구(14)와 동일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푸시로드의 선단에 볼 또는 롤러를 구비하고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어 일정한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되고, 바디에 나사결합되는 조정스크류로 푸시로드의 조립 및 그 탄지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사용되었다.
또한, 제1로드(11)와 제2로드(21)가 서로 겹쳐지는 방향으로는 이동될 수 있으나 그 반대방향으로는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제1로드(11) 및 제2로드(21)에 다수의 경사톱니로 각각 형성된 제1래크(15)와 제2래크(25)를 마련하였고, 이 제1래크(15)와 제2래크(25)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키는 잠금해제수단을 구비하고 있는바,
상기 잠금해제수단은 도어2(102)의 외측에 마련된 손잡이(5)와, 상기 손잡이(5)에 일단이 연결된 해제케이블(6)과, 상기 해제케이블(6)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바디(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방향전환레버(7)와, 상기 방향전환레버(7)의 회동상태에 따라서 상기 제2로드(21)의 제2래크(25)를 제1로드(11)의 제1래크(15)로부터 이탈시키도록 상기 바디(1) 내에서 섭동하는 푸시로드기구(8)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여기에 사용되는 푸시로드기구(8)도 상기 가이드수단 및 쉬프팅수단에서 사용하고 있는 일반적인 형식의 것이 사용되며, 다만, 상기 조정스크류 대신에 설치된 방향전환레버(7)에 의해서 섭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 제1릴리즈케이블(12)과 제2릴리즈케이블(22)은 그 형상이 외측에 튜브를 구비하고 그 내측에 와이어가 섭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도어1 (101)및 도어2(102)의 여닫힘 동작에 따라 상기 바디(1)내의 제1로드(11) 및 제2로드(21)를 섭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어1(101)을 먼저 닫아야 하는데 순서를 지키지 않고 도어2(102)를 먼저 닫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는바, 이 경우 도 7과 같은 상태가 되지만, 도어1(101)이 도어2(102)에 충돌하기 전에 도어1(101)의 닫힘 동작은 자동적으로 멈춰지게 된다.
즉, 이 경우 상기 바디(1)내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작동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는 도어2(102)가 먼저 닫힘에 의해 도어2(102)에 연결되어 있는 제2릴리즈케이블(22)이 제2로드(21)를 밀어 바디(1)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도어1(101)이 닫히면서 제1릴리즈케이블(12)이 제1로드(11)를 바디(1)의 중앙부로 슬라이딩하게 하는데, 이때 원으로 표시된 부분에서 제1로드(11)는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고 제2로드(21)의 선단에 의해 멈춰지게 되며, 이는 상기 제1릴리즈케이블(12)을 통해 도어1(11)의 닫힘 동작이 멈춰지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의 폐쇄순서를 무시하고 도어2(102)부터 먼저 닫는 경우에 도어1(101)과 도어2(102)는 충돌이 방지되어 도어의 파손 및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반면, 도어를 정상적인 순서, 즉 도 9와 같이 도어1(101)을 먼저 닫고도어2(102)를 닫는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 내에서는 도어1(101)에 제1릴리즈케이블(12)로 연결된 제1로드(11)가 먼저 바디(1)의 중앙부에 위치하는데, 이때에는 상기 제1로드(11)의 쉬프트돌출부(13)가 상기 바디(1)의 쉬프트홈부(3)에 안착되면서 제1로드(11)의 이동경로가 상측으로 쉬프트된 상태여서 좌측에서 도어2(102)의 닫힘에 따른 제2로드(21)의 이동시 그 이동경로가 겹쳐지지 않게 되어 제2로드(21)는 바디(1)의 중앙부까지 이동될 수 있게 됨에 의해 도어2(102)의 닫힘 동작이 순조롭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물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제1로드(11)와 제2로드(21)에는 경사톱니로 이루어진 제1래크(15)와 제2래크(2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닫힘 동작 후에는 상기 제1래크(15)와 제2래크(25)는 서로 치합된 상태를 이루고 그 반대방향으로의 단순직선운동은 제한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어의 잠금상태가 자연스럽게 구현되는 것이며, 이때, 이러한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2(102)에 설치된 손잡이(5)를 당기면, 이 동작이 상기 해제케이블(6)을 통해 방향전환레버(7)를 회동시켜 푸시로드기구(8)의 푸시로드가 상기 제2로드(21)를 하측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상기 제1래크(15)와 제2래크(25)의 치합상태가 해제되어 도어2(102)의 개방에 따른 제2로드(21)의 이동이 순조롭게 이루어져 뒤이은 도어1(101)의 개방까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트윈도어를 닫는 동작이 정상적이지 못한 경우에는 도어의 닫힘 동작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두 도어간의 충돌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고, 아울러 도어의 닫힘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 메커니즘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Claims (5)

  1. 차체에 고정 설치된 바디와, 상기 바디 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된 제1로드와, 상기 제1로드의 직선이동 중에 이동경로가 쉬프트되도록 하는 쉬프팅수단과, 상기 바디내의 상기 제1로드의 반대쪽에서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된 제2로드와, 상기 제2로드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과, 상기 제1로드를 도어1에 연결하여 도어1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1로드가 슬라이딩하도록 연결하는 제1릴리즈케이블과, 상기 제2로드를 도어2에 연결하여 도어2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2로드가 슬라이딩하도록 연결하는 제2릴리즈케이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윈스윙도어 충돌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쉬프팅수단은 상기 제1로드의 일측으로 돌출된 쉬프트돌출부와, 상기 쉬프트돌출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바디에 형성된 쉬프트홈부와, 상기 제1로드의 쉬프트돌출부가 상기 쉬프트홈부에 안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로드를 밀착시키는 편향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된 푸시로드기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윈스윙도어 충돌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로드와 제2로드가 서로 겹쳐지는 방향으로는 이동될 수 있으나 그반대방향으로는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제1로드 및 제2로드에 다수의 경사톱니로 각각 형성된 제1래크 및 제2래크와, 상기 제1래크와 제2래크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키는 잠금해제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윈스윙도어 충돌방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해제수단은 도어의 외측에 마련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일단이 연결된 해제케이블과, 상기 해제케이블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방향전환레버와, 상기 방향전환레버의 회동상태에 따라서 상기 제2로드의 제2래크를 제1로드의 제1래크로부터 이탈시키도록 상기 바디 내에서 섭동하는 푸시로드기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윈스윙도어 충돌방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바디 내에서 섭동하여 상기 제2로드의 측면을 탄지하는 푸시로드기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윈스윙도어 충돌방지장치.
KR10-2001-0025799A 2001-05-11 2001-05-11 차량의 트윈스윙도어 충돌방지장치 KR100401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5799A KR100401858B1 (ko) 2001-05-11 2001-05-11 차량의 트윈스윙도어 충돌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5799A KR100401858B1 (ko) 2001-05-11 2001-05-11 차량의 트윈스윙도어 충돌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6088A KR20020086088A (ko) 2002-11-18
KR100401858B1 true KR100401858B1 (ko) 2003-10-17

Family

ID=27704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5799A KR100401858B1 (ko) 2001-05-11 2001-05-11 차량의 트윈스윙도어 충돌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18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277A (ko) * 2014-10-17 2016-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더블 스윙 테일게이트의 오조작 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113B1 (ko) * 2019-01-16 2019-09-11 김중기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023U (ko) * 1986-07-01 1988-01-18
KR19990043466A (ko) * 1997-11-29 1999-06-15 정몽규 차량의 트윈스윙 테일게이트 오동작방지 장치
KR19990026609U (ko) * 1997-12-19 1999-07-15 정몽규 트윈스윙 테일 게이트 충돌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023U (ko) * 1986-07-01 1988-01-18
KR19990043466A (ko) * 1997-11-29 1999-06-15 정몽규 차량의 트윈스윙 테일게이트 오동작방지 장치
KR19990026609U (ko) * 1997-12-19 1999-07-15 정몽규 트윈스윙 테일 게이트 충돌 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277A (ko) * 2014-10-17 2016-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더블 스윙 테일게이트의 오조작 방지장치
KR102105839B1 (ko) 2014-10-17 2020-04-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더블 스윙 테일게이트의 오조작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6088A (ko) 200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2222B1 (en) Slide door
KR100373242B1 (ko) 슬라이딩 도어의 록킹콘트롤러
US7059654B2 (en) Door system
US11781367B2 (en)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US6065797A (en) Locking mechanism of door locking apparatus for motor vehicle
US11578518B2 (en) Hold-open lock apparatus of sliding door
US4858973A (en) Inside door handle assembly with means to prevent inadvertent separation of door handle
GB2325271A (en) Automotive door latch
US4491344A (en) Safety belt system for motor vehicles
US4750758A (en) Latch device for movable anchor in passive seat belt system
KR100401858B1 (ko) 차량의 트윈스윙도어 충돌방지장치
GB2325270A (en) Automotive door latch
KR20050047984A (ko) 도어 열림 방지장치
JPH03125771A (ja) 窓ステー
US11078689B2 (en) Motor vehicle lock
KR100506922B1 (ko) 슬라이드 도어의 홀드 오픈 록장치
JPH0355374A (ja) 車両の閉鎖部材用鎖錠装置
KR102634391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일체형 도어 래치 어셈블리
JP2004346542A (ja) フューエルリッド装置
JPH08232528A (ja) スライド扉用ラッチ装置
KR100328985B1 (ko) 차량용 쿼터 글래스 개폐 장치
EP1911915B1 (en) Friction stay
KR0147161B1 (ko) 복합 기록 재생장치의 도어개폐장치
KR970003633Y1 (ko) 카셋트 데크 도어의 열림 및 닫힘장치
JPH04357365A (ja) 自動変速装置付き自動車用の駐車ロック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