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6632A - 충돌 및 코너링시 밸런스가 가변되는 적재함을 갖는 차량 - Google Patents

충돌 및 코너링시 밸런스가 가변되는 적재함을 갖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6632A
KR20030086632A KR1020020024724A KR20020024724A KR20030086632A KR 20030086632 A KR20030086632 A KR 20030086632A KR 1020020024724 A KR1020020024724 A KR 1020020024724A KR 20020024724 A KR20020024724 A KR 20020024724A KR 20030086632 A KR20030086632 A KR 20030086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ydraulic
solenoid valve
loading box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4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상홍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4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6632A/ko
Publication of KR20030086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663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07Connections of movable or detachable racks or stanchions to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8Steering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트럭과 같은 대형 차량의 적재함에 적재된 짐의 무게와 차량의 속도 및 코너링 상태에 따라 적재함의 밸런스가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짐을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충돌 및 코너링시 밸런스가 가변되는 적재함을 갖는 차량이 개시되어 있다. 차량의 적재함에 짐을 적재한 상태에서 주행을 하게 되면 제어부에서 이를 감지하여 짐의 무게와 차량의 속도에 따라 적재함의 저면부 네 모서리에 설치되어 있는 유압피스톤의 높이를 조절한다.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적재함에 적재된 짐의 무게 및 차량의 속도에 비례하여 유압피스톤의 높이를 높여주고 코너링시에는 짐의 무게가 증가되는 측에 설치된 유압피스톤의 높이를 무게에 비례하여 높여줌으로써 적재함의 짐의 무게에 의해 코너링시 또는 차량의 급정거시에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충돌 및 코너링시 밸런스가 가변되는 적재함을 갖는 차량{Vehicles for having a deck changing a balance}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럭과 같은 대형차량의 적재함에 적재된 짐의 무게와 차량의 속도 및 코너링 상태에 따라 적재함의 밸런스가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짐을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충돌 및 코너링시 밸런스가 가변되는 적재함을 갖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럭과 같은 대형 차량의 적재함에는 차량의 크기에 따라 적재함에 적재되는 짐의 무게 및 부피가 정해져 있다. 상기 차량의 적재함에는 보통 많은 짐을 싣게 된다. 상기 적재함에 짐이 적재된 상태에서 과속을 하다가 급정거를 한다거나 또는 코너링을 급작스럽게 할 경우에는 적재함에 적재된 짐의 무게에 의해 적재함이 일측 방향으로 기울게 되면서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상기 차량의 적재함에 짐이 적재된 상태에서 주행을 하다가 급정거를 하게 되면 적재함에 적재된 짐이 전방으로 쏠리면서 차량에 무리한 무게가 인가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차량의 적재함에 짐이 적재된 상태에서 주행을 하다가 우측 또는 좌측으로 방향전환을 위해 코너링을 하게 되면 적재함에 적재된 짐이 코너링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쏠리게 된다. 상기 차량의 적재함에 적재된 짐이 코너링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쏠리게 되면 차량이 차량의 속도 및 적재된 짐의 무게에 의해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대형 차량의 적재함에 짐이 적재된 상태에서 차량이 주행을 하면서 급정거 또는 코너링을 시도할 경우에 적재함의 짐의 무게가 일측 방향으로 몰리지 않도록 적재함의 밸런스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충돌 및 코너링시 밸런스가 가변되는적재함을 갖는 차량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압피스톤 및 압력감지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압피스톤이 동작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밸브가 구성되는 상태를 블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적재함 20 : 유압공급부
30 : 압력감지부 40 : 유압피스톤
50 : 솔레노이드밸브 60 : 속도감지부
70 : 조향각감지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 차량의 조향각을 감지하는 조향각감지부; 차량의 적재함에 인가되는 압력을 네 측면에서 감지하는 압력감지부; 차량의 적재함의 저면부 네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유압피스톤; 상기 유압피스톤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부; 상기 유압공급부와 유압피스톤의 사이에 설치되며, 유압공급부로부터 유압피스톤에 공급되는 유압을 차단 및 공급되도록 개폐동작을 하는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에 접속되며, 속도감지부, 조향각감지부 및 압력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비교분석하여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충돌 및 코너링시 밸런스가 가변되는 적재함을 갖는 차량을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압력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적재함의 네 측면의 압력값 중에서 높은 측에 해당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압력값에 비례하여 오픈시키고, 차량의 속도가 상승할수록 적재함의 전면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를 속도에 비례하여 오픈시키며, 차량의 속도에 비례하여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속도를 빠르게 하며, 적재함에 짐이 적재되면 압력값을 초기화시켜 적재함의 압력값의 변화를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및 코너링시 밸런스가 가변되는 적재함을 갖는 차량을 제공한다.
상기 압력감지부는 적재함의 전면과 후면 및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및 코너링시 밸런스가 가변되는 적재함을 갖는 차량을제공한다.
상기 유압피스톤은 적재함의 전방 좌측 및 우측 모서리와, 후방 좌측 및 우측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및 코너링시 밸런스가 가변되는 적재함을 갖는 차량을 제공한다.
상기 유압피스톤에는 각각 솔레노이드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및 코너링시 밸런스가 가변되는 적재함을 갖는 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적재함에 짐을 적재한 상태에서 주행을 하게 되면 제어부에서 이를 감지하여 짐의 무게와 차량의 속도에 따라 적재함의 저면부 네 모서리에 설치되어 있는 유압피스톤의 높이를 조절한다.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적재함에 적재된 짐의 무게 및 차량의 속도에 비례하여 유압피스톤의 높이를 높여주고 코너링시에는 짐의 무게가 증가되는 측에 설치된 유압피스톤의 높이를 무게에 비례하여 높여줌으로써 적재함의 짐의 무게에 의해 코너링시 또는 차량의 급정거시에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압피스톤 및 압력감지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되는 유압피스톤이 동작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밸브가 구성되는 상태를 블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먼저, 차량(도시안됨)에는 차량의 주행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60)와 차량이 주행을 하면서 주행방향을바꾸는 조향각을 감지하는 조향각감지부(7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차량의 적재함(10)에는 적재된 짐으로부터 발생되는 하중에 따른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30)가 장착된다. 상기 압력감지부(30)는 적재함(10)의 네 측면에서 압력을 감지하게 되며, 상기 적재함(10)의 전면부, 후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에 각각 전면압력감지단(32), 후면압력감지단(34), 좌측면압력감지단(36) 및 우측면압력감지단(38)이 설치된다. 차량의 적재함(10)의 저면부 네 모서리에는 각각 유압피스톤(40)이 설치된다. 상기 유압피스톤(40)은 전방좌측유압피스톤(42), 전방우측유압피스톤(44), 후방좌측유압피스톤(46) 및 후방우측유압피스톤(48)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압피스톤(40)에는 모터(도시 안됨)에 의해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부(20)가 유압공급파이프를 통해 접속되고, 상기 유압피스톤(40)과 유압공급부(20)의 사이에는 솔레노이드밸브(50)가 착설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50)는 유압공급부(20)로부터 유압피스톤(40)에 공급되는 유압을 차단 및 공급되도록 개폐동작을 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50)는 전방좌측솔레노이드밸브(52), 전방우측솔레노이드밸브(54), 후방좌측솔레노이드밸브(56) 및 후방우측솔레노이드밸브(58)로 구성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50)에는 제어부(80)가 접속되며, 상기 제어부(80)는 속도감지부(60), 조향각감지부(70) 및 압력감지부(3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비교분석하여 솔레노이드밸브(50)의 개폐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80)는 압력감지부(30)를 구성하는 전면압력감지단(32), 후면압력감지단(34), 좌측면압력감지단(36) 및 우측면압력감지단(38)로부터 인가되는 적재함(10)의 네 측면의 압력값 중에서 높은 측에 해당하는 솔레노이드밸브(50)를 압력값에 비례하여 오픈시키고, 차량의 속도가 상승할수록 적재함(10)의 전면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50)를 속도에 비례하여 오픈시키며, 차량의 속도에 비례하여 솔레노이드밸브(50)의 작동속도를 빠르게 하며, 적재함(10)에 짐이 적재되면 압력값을 초기화시켜 적재함(10)의 압력값의 변화를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면, 차량의 적재함(10)에 짐을 적재하게 되면 압력감지부(30)에서 적재함(10)에 인가되는 압력을 감지한다. 상기 압력감지부(30)는 감지된 압력을 제어부(80)에 인가하고, 상기 제어부(80)는 압력감지부(30)로부터 인가되는 압력값을 분석하며, 상기 제어부(80)는 압력값이 전면압력감지단(32)으로부터 인가되었으면 적재함(10)의 전면부에 해당하는 전방좌측솔레노이드밸브(52), 전방우측솔레노이드밸브(54)를 압력값에 비례하여 미리 오픈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80)는 압력감지부(30)로부터 인가되는 압력값을 초기화시켜 적재함(10)에 짐이 적재된 후의 압력값의 변화를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80)는 속도감지부(60)와 조향각감지부(7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솔레노이드밸브(50)의 개폐동작을 제어한다. 즉, 상기 속도감지부(6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을 하면 적재함의 전면부에 위치하는 전방좌측솔레노이드밸브(52) 및 전방우측솔레노이드밸브(54)를 차량의 속도에 비례하여 오픈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차량의 주행중에 조향각이 변하게 되면 조향각감지부(70)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80)에 인가한다. 상기 제어부(80)는 조향각감지부(7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차량의 주행방향이 우측으로 변하게 되면 적재함(10)의 좌측면이 압력을 받게 되므로 전방좌측솔레노이드밸브(52) 및 후방좌측솔레노이드밸브(56)를 오픈시키게 된다. 상기 전방좌측솔레노이드밸브(52) 및 후방좌측솔레노이드밸브(56)가 오픈되면 전방좌측유압피스톤(42) 및 후방좌측유압피스톤(46)이 상승동작을 하여 적재함(10)이 좌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적재함에 짐을 적재한 상태에서 주행을 하게 되면 제어부에서 이를 감지하여 짐의 무게와 차량의 속도에 따라 적재함의 저면부 네 모서리에 설치되어 있는 유압피스톤의 높이를 조절한다.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적재함에 적재된 짐의 무게 및 차량의 속도에 비례하여 유압피스톤의 높이를 높여주고 코너링시에는 짐의 무게가 증가되는 측에 설치된 유압피스톤의 높이를 무게에 비례하여 높여줌으로써 적재함의 짐의 무게에 의해 코너링시 또는 차량의 급정거시에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Claims (5)

  1.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 차량의 조향각을 감지하는 조향각감지부; 차량의 적재함에 인가되는 압력을 네 측면에서 감지하는 압력감지부; 차량의 적재함의 저면부 네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유압피스톤; 상기 유압피스톤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부; 상기 유압공급부와 유압피스톤의 사이에 설치되며, 유압공급부로부터 유압피스톤에 공급되는 유압을 차단 및 공급되도록 개폐동작을 하는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에 접속되며, 속도감지부, 조향각감지부 및 압력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비교분석하여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충돌 및 코너링시 밸런스가 가변되는 적재함을 갖는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압력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적재함의 네 측면의 압력값 중에서 높은 측에 해당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압력값에 비례하여 오픈시키고, 차량의 속도가 상승할수록 적재함의 전면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를 속도에 비례하여 오픈시키며, 차량의 속도에 비례하여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속도를 빠르게 하며, 적재함에 짐이 적재되면 압력값을 초기화시켜 적재함의 압력값의 변화를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및 코너링시 밸런스가 가변되는 적재함을 갖는 차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부는 적재함의 전면과 후면 및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및 코너링시 밸런스가 가변되는 적재함을 갖는 차량.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피스톤은 적재함의 전방 좌측 및 우측 모서리와, 후방 좌측 및 우측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및 코너링시 밸런스가 가변되는 적재함을 갖는 차량.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피스톤에는 각각 솔레노이드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및 코너링시 밸런스가 가변되는 적재함을 갖는 차량.
KR1020020024724A 2002-05-06 2002-05-06 충돌 및 코너링시 밸런스가 가변되는 적재함을 갖는 차량 KR200300866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724A KR20030086632A (ko) 2002-05-06 2002-05-06 충돌 및 코너링시 밸런스가 가변되는 적재함을 갖는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724A KR20030086632A (ko) 2002-05-06 2002-05-06 충돌 및 코너링시 밸런스가 가변되는 적재함을 갖는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632A true KR20030086632A (ko) 2003-11-12

Family

ID=32381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4724A KR20030086632A (ko) 2002-05-06 2002-05-06 충돌 및 코너링시 밸런스가 가변되는 적재함을 갖는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663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7527A1 (ko) * 2017-12-13 2019-06-20 주식회사 뉴코애드윈드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화물차 적재함용 기울기 조절장치
KR102476753B1 (ko) 2021-11-11 2022-12-12 주식회사 삼보특장 트럭의 화물쏠림방지 윙바디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9239A (ja) * 1993-06-29 1995-03-14 Hino Motors Ltd 車体角度の制御装置
KR19980022495A (ko) * 1996-09-23 1998-07-06 김영귀 자동차의 속도 감응형 차고 제어장치와 그 방법
KR19980045228A (ko) * 1996-12-10 1998-09-15 박병재 화물차의 화물평형유지장치
KR19980056925A (ko) * 1996-12-30 1998-09-25 오상수 상용차의 케빈 제어장치
KR100376627B1 (ko) * 1997-11-13 2003-10-11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산업차량안정도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9239A (ja) * 1993-06-29 1995-03-14 Hino Motors Ltd 車体角度の制御装置
KR19980022495A (ko) * 1996-09-23 1998-07-06 김영귀 자동차의 속도 감응형 차고 제어장치와 그 방법
KR19980045228A (ko) * 1996-12-10 1998-09-15 박병재 화물차의 화물평형유지장치
KR19980056925A (ko) * 1996-12-30 1998-09-25 오상수 상용차의 케빈 제어장치
KR100376627B1 (ko) * 1997-11-13 2003-10-11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산업차량안정도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7527A1 (ko) * 2017-12-13 2019-06-20 주식회사 뉴코애드윈드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화물차 적재함용 기울기 조절장치
KR102476753B1 (ko) 2021-11-11 2022-12-12 주식회사 삼보특장 트럭의 화물쏠림방지 윙바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6488B2 (en) Height controlling apparatus
US6240353B1 (en) Industrial vehicle
KR100337583B1 (ko) 산업차량용차축의경사제어장치
JPH05209422A (ja) ライドコントロール装置
WO2007130216A1 (en) Vehicle stability control system with multiple sensitivities
CN101003271A (zh) 制动控制装置
CN202827257U (zh) 一种矿用自卸车的液压举升控制系统及一种矿用自卸车
KR20030086632A (ko) 충돌 및 코너링시 밸런스가 가변되는 적재함을 갖는 차량
US10501000B2 (en) Transportation vehicle
JP3659154B2 (ja) 産業車両の油圧制御装置
KR100225961B1 (ko) 전동지게차의 조향시스템
KR20120062266A (ko) 전동식 유압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JP6897546B2 (ja) 荷役制御装置
JP2970364B2 (ja) 荷役車両における流体圧回路
KR20070042780A (ko) 지게차의 조향시스템
KR100427336B1 (ko) 트럭의 로딩 시스템
JP2001335299A (ja) 産業車両における制動用油圧制御装置
JP2007055415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CN113677577B (zh) 自卸车
JP3797918B2 (ja) 前2軸車の駆動力減少防止装置
JPH01220700A (ja) フォークリフトの緩衝装置
CN214304670U (zh) 液压卸料系统
JPH065923Y2 (ja) フォ−クリフト車用液圧制御装置
JP3803848B2 (ja) 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の荷役用シリンダの制御装置
KR20020081944A (ko) 자동차의 주행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