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5871A -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 - Google Patents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5871A
KR20030085871A KR1020020024159A KR20020024159A KR20030085871A KR 20030085871 A KR20030085871 A KR 20030085871A KR 1020020024159 A KR1020020024159 A KR 1020020024159A KR 20020024159 A KR20020024159 A KR 20020024159A KR 20030085871 A KR20030085871 A KR 20030085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oder
polynomial
turbo
error correction
interlea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4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환용
정대호
Original Assignee
김환용
정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환용, 정대호 filed Critical 김환용
Priority to KR1020020024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5871A/ko
Publication of KR20030085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587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9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combining two or more codes or code structures, e.g. product codes, generalised product codes, concatenated codes, inner and outer codes
    • H03M13/2957Turbo codes and decoding
    • H03M13/296Particular turbo code structure
    • H03M13/2972Serial concatenation using convolutional component c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9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combining two or more codes or code structures, e.g. product codes, generalised product codes, concatenated codes, inner and outer codes
    • H03M13/2939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combining two or more codes or code structures, e.g. product codes, generalised product codes, concatenated codes, inner and outer codes using convolutional c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터보 부호기의 구성 요소인 길쌈 부호기를 서로 다른 형태로 구성하여 낮은 비트오율을 갖도록 하는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는 선택적으로 구속장을 변화시켜 입력 프레임 데이터 열을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제1 부호화수단; 및 선택적으로 구속장을 변화시켜 인터리빙된 상기 입력 프레임 데이터 열을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제2 부호화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호화수단 및 제2 부호화수단은 서로 다른 개수의 구속장 및 서로 다른 생성 다항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길쌈 부호기의 구속장 및 생성 다항식을 서로 다르게 구성하여 터보 부호기를 구현함으로써 Flattening Effect의 발생을 감소하여 오류 정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한다.

Description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Apparatus for error correction encoding}
본 발명은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터보 부호기(Turbo Coder)의 구성 요소인 길쌈 부호기(Convolution Coder)를 서로 다른 형태로 구성하여 낮은 비트오율을 갖도록 하는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3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는 다양하다. 또한 입력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길이도 수십 비트에서 수천 비트에 이르기까지 매우 광범위하다.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신호처리기에서 사용하는 부호화 방식은 이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터보 부호화 방식을 사용한다.
도 1은 종래의 터보 부호기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로서, 제1 부호화기(100)와 제2 부호화기(102)가 정보어를 임의의 순서로 인터리빙 하는 인터리버(101)를 통해 병렬로 연접되는 구조를 갖는다. 터보 부호의 부호화는 제1 부호화기(100)와 인터리버(101)를 통해 인터리빙된 후 제2 부호화기(102)에서 각각 부호화하여 원래 정보 비트(x1)와 제1 부호화기(100) 및 제2 부호화기(102)를 통해 생성된 각각의 패리티 비트(y1,y2)를 출력한다. 도 2에는 제1 및 제2 부호화기(100, 102)의 상세도를 보이는 일 실시 예로서, 이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RSC(Recursive Systematic Convolution) 부호기를 사용한다. 이 부호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3 지연기(200, 201, 202) 및 제1 및 제2 EX-OR(203, 204)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도 1의 터보 부호기에서 사용되는 인터리버(101)는 부호기에 입력되는 정보어의 어드레스를 랜덤화 하고 코드워드(Codeword)의 거리(Distance) 특성을 개선시키고자 사용된다. 종래에는 터보 부호기를 위한 내부 인터리버로서 PN 랜덤 인터리버, 랜덤 인터리버, 블록 인터리버, 헤리컬 인터리버, S-랜덤 인터리버 등등 다양한 방식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인터리버들은 아직까지 구현의 관점보다는 학문적인 연구 분야로서 성능 개선에 주안점을 두고 설계된 알고리즘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실제 시스템의 구현을 고려할 때 하드웨어 구현의 복잡도 라는 면에서 재고가 필요한 방식들이다.
터보 부호기는 기본적으로 내부 인터리버(101)의 역할에 의해서 성능이 좌우된다. 일반적으로 주어진 설계 스팩 하에서 최적의 성능을 보장하는 인터리버(101)의 설계는 인터리버(101) 크기의 증가에 따라 요구되는 계산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실제로 구현이 불가능하며, 따라서 실제 구현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몇 가지 기준을 마련하고 그 기준을 최대한 만족시키는 방식으로 구현하게 된다. 상기 기준이 되는 특성들은 다음과 같다.
1. 거리 특성(Distance Property) : 인접한 코드워드 심볼들 간의 거리를 어느 정도 이상 유지해야 한다. 이것은 길쌈 부호기의 코드워드 거리 특성과 동일한 역할을 하며, 이를 나타내는 척도로 격자도(Trellis) 상에서 출력되는 부호 심볼 시퀀스(또는 부호어 경로) 중에서 가장 작은 헤밍 웨이트(Hamming Weight)를 가지는 부호 심볼 시퀀스의 값인 최소 자유거리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조건에서 가급적 자유거리가 크도록 설계하는 것이 보다 나은 성능을 보장한다.
2. 랜덤 특성(Random Property) : 인터리빙 이전의 원래 입력 정보어의 워드 심볼들 간의 상관율(Correlation Factor)에 비하여 인터리빙 이후의 출력 워드 심볼들 간의 상관율이 매우 낮아야 한다. 즉, 출력 워드 심볼들 간에 랜덤화가 충실히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반복 복호에서 발생되는 외부 정보의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이다.
상술한 두 가지 설계 기준은 일반적으로 생각되는 인터리버(101)의 역할이지만 이 또한 인터리버(101)의 크기가 커질수록 그 특성을 명확하게 분석하기는 쉽지 않다. 또한 터보 인터리버를 설계할 때 발생되는 다른 문제점의 하나는 입력 정보어의 형태에 따라 터보 부호기의 최소 자유거리가 변한다는 점이다. 즉, 입력 정보어가 특정 형태로 주어지는 경우를 임계 정보 시퀀스 패턴(CISP : Critical Information Sequence Pattern)이라고 정의하며, 입력 정보어가 CISP 형태로 주어지는 경우 터보 부호기에서 출력되는 부호 심볼의 자유거리는 매우 작은 값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CISP는 입력 정보어의 헤밍 웨이트가 2인 경우, 즉 입력 정보어의 비트들 중 '1'의 개수가 두 개인 경우부터 발생하며 3, 4, 5인 경우에도 발생 가능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정보 비트 '1'의 개수가 2인 경우가 최소 자유거리를 형성하며 오류 사건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터보 인터리버 설계시 입력 정보어의 헤밍 웨이트가 '2'인 경우를 분석한다.
이러한 CISP가 존재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터보 부호기가 도 1과 같이 두 개의 또는 그 이상의 부호화기(100, 102)에 길쌈 부호기를 반복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보통 터보 부호기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제1 및 제2 부호화기(100, 102)의 생성 다항식(Generate Polynomial) 중에서 궤환을 이루고 있는 궤환 다항식(Gfb(x))으로 원시 다항식(Primitive Polynomial)을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길쌈 부호기의 메모리 수가 m인 경우(도 2에서 m=3 제1, 제2 및 제3 지연기(200, 201, 202)), 궤한 다항식에 의해 발생되는 궤환 시퀀스는 2m-1의 주기를 가지고 계속해서 동일한 패턴을 반복한다. 따라서 만약 이 주기에 해당되는 순간에 입력 정보어 '1'이 입력된다면 이후로 모든 시간에서 길쌈 부호기의 상태는항상 동일한 정보 비트의 배타적 논리합이 되어 결국 All Zero 상태가 되며 출력 심볼은 모두 '0' 심볼이 발생된다. 이것은 길쌈 부호기에 의해서 생성되는 부호어의 헤밍 웨이트가 이 사건 이후로는 계속해서 변함 없이 항상 일정한 값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즉, 터보 부호기의 자유거리는 이 시점 이후로는 증가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CISP가 터보 부호기의 자유 거리를 감소시키는 가장 큰 원인이 된다.
이 경우에 제1 부호화기(100)에서 자유거리가 감소되었다 하더라도 입력 정보어를 터보 인터리버(101)를 통하여 랜덤하게 분산시켜서 제2 부호화기(102)에서 자유거리가 감소하는 현상을 억제시키면 된다. 그러나 이러한 최적의 인터리버(101)를 구현하는 것은 프레임 크기에 따라서 달라지므로 불가능하며 또한 인터리버(101)에 의해서 자유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은 한계가 있다. 또한 여기서 주목할 점은 제1 및 제2 부호화기(100, 102)로 사용되는 두 개의 길쌈부호기의 구속장(Constraint Length)와 생성 다항식(Generate Polynomial)이 동일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터보 부호기는 기존의 오류 정정 부호에 비해서 보다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지만 임의의 신호 대 잡음비에서는 더 이상 비트 오율(BER : Bit Error Rate) 성능의 향상이 없는 Flattening Effect가 발생한다.
Flattening Effect는 낮은 신호 대 잡음비에서 비트 오율 곡선이 급격한 경사도를 나타내는 Water Fall 현상과 높은 신호대 잡음비에서 비트 오율 곡선이 완만해 지는 Error Floor 현상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Water Fall 현상은 정보 비트가 충분히 클 경우 낮은 자유거리를 갖는 부호어가 존재하기 때문에 나타나는현상이라 할 수 있고, Error Floor 현상은 낮은 가중치의 부호어가 존재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즉, 터보 부호기가 기존의 오류 정정 부호에 비해 보다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지만 이러한 Flattening Effect 발생에 의해 오류 정정 능력의 한계에 도달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터보 부호기의 구성 요소인 길쌈 부호기의 구속장(Constraint Length) 및 생성 다항식(Generate Polynomial)을 서로 다르게 구성하여 Flattening Effect를 개선하는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병렬 연접 터보 부호기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보부호기의 구성 중 제1 및 제2 부호화기의 일 실시 예를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4는 서로 다른 구속장 및 서로 다른 생성 다항식을 사용한 터보 부호의 조합을 보이는 테이블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는 선택적으로 구속장을 변화시켜 입력 프레임 데이터 열을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제1 부호화수단; 및 선택적으로 구속장을 변화시켜 인터리빙된 상기 입력 프레임 데이터 열을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제2 부호화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호화수단 및 제2 부호화수단은 서로 다른 개수의 구속장 및 서로 다른 생성 다항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호화기의 생성 다항식 중 각각의 궤환 다항식을 (원시 다항식, 소수 다항식) 또는 (소수 다항식, 원시 다항식) 또는 (원시 다항식, 원시 다항식) 또는 (소수 다항식, 소수 다항식)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보이는 블록도로서, 구속장이 (4, 3)인 경우의 터보 부호기의 부호화 장치를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3은 길쌈 부호기로 구성된 제1 부호화기(300) 및 제2 부호화기(302)와 인터리버(301)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제1 부호화기(300)는 메모리로 구성된 제1, 제2 및 제3 지연기(300-1, 300-2, 300-3), 제1 및 제2 EX-OR(300-4, 300-5)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제2 부호화기(302)는 메모리로 구성된 제1 및 제2 지연기(302-1, 302-2), 제1 EX-OR(302-3)로 구성된다.
도 4는 서로 다른 구속장 및 서로 다른 생성 다항식을 사용한 터보 부호의 조합을 보이는 테이블이다.
이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터보 부호기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 부호화기(300, 302)의 생성 다항식 중에서 궤환을 이루고 있는 궤환 다항식(Gfb(x))으로 원시 다항식을 사용해야 한다. 제1 부호화기(300)에서의 궤환 다항식은 G_fb (x)~=~1 ~+~x^1 ~+~x^3으로 정의되며, 제2 부호화기(302)에서의 궤환 다항식은 G_fb (x)~=~1 ~+~x^1 ~+~x^2으로 정의된다. 설명의 편의상 이후부터는 제1 부호화기(300)에서의 궤환 다항식으로 설명한다. 궤환 다항식의 최고차수는 메모리(지연기)의 깊이(Depth)를 나타내며 가장 우측의 접속 여부가 궤환 다항식에서 x3의 계수가 '0'인지 '1'인지를 결정한다.
제1 부호화기(300)에서 메모리 수가 3(제1∼제3 지연기(300-1∼300-3)이므로, 궤환 다항식에 의해 발생되는 궤환 시퀀스는 2^m -1~=~2^3 -1~=~7의 주기를 가지고 계속해서 동일한 패턴을 반복한다. 따라서 만약 이 주기에 해당되는 순간에 입력 정보어 '1'이 입력된다면(m=3인 경우, 입력 정보어가 '10000001'이 입력되면), 이후로 모든 시간에서 제1 부호화기(300)의 상태는 항상 동일한 정보 비트가EX-OR 연산되어 결국 항상 All Zero 상태가 되며 출력 심볼은 모두 '0' 심볼이 발생된다. 이것은 제1 부호화기(300)에 의해서 생성되는 헤밍 웨이트가 이 사건 이후로는 계속해서 변함 없이 항상 일정한 값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즉, 터보 부호기의 자유거리는 이 시점 이후로는 증가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것이 터보 부호기의 자유 거리를 감소시키는 가장 큰 원인이 된다.
하기 표 1에서 궤환 다항식 G_fb (x)~=~1 ~+~x^1 ~+~x^3으로부터 발생되는 궤환 시퀀스를 보였다. 표 1에서 x(t)는 입력 정보어의 t 시간에서의 입력 정보 비트를 의미하며 Y(t)는 각각의 입력 정보어에 대응하는 출력 심볼을 나타낸다. 그리고 m(t), m(t-1), m(t-2)는 제1 부호화기(300)에서 제1∼제3 지연기(300-1∼300-3) 즉, 각각의 메모리의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각 지연기의 초기 상태는 '0'이라고 가정하며, 궤환 주기는 7인 것을 알 수 있다.
[표 1]
x(t) m(t) m(t-1) m(t-2) Y(t)
초기상태 0 0 0
x(1)=1 1 0 0 0
x(2)=0 1 1 0 1
x(3)=0 1 1 1 1
x(4)=0 0 1 1 1
x(5)=0 1 0 1 0
x(6)=0 0 1 0 1
x(7)=0 0 0 1 1
x(8)=1 0 0 0 0
x(9)=0 0 0 0 0
x(10)=0 0 0 0 0
x(11)=0 0 0 0 0
x(12)=0 0 0 0 0
x(13)=0 0 0 0 0
표 1에서, 만약 t=8인 시점에서 x(t)=1을 입력하면, 이후로 m(t), m(t-1), m(t-2)가 항상 '0'이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후로 출력되는 심볼의 헤밍 웨이트는 항상 '0'이 된다. 이 경우 인터리버(301)가 1000000100…이라는 입력 정보어 시퀀스를 그대로 제2 부호화기(302)로 전달한다면, 동일한 궤환 다항식이 사용되는 경우에 똑같은 이유로 이 시점(t=8) 이후부터 출력 심볼의 헤밍 웨이트가 더 이상 변화하지 않고 중단되게 된다. 이는 전체 터보 부호기의 출력 심볼의 자유거리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것을 막기 위해서 인터리버(301)는 원래의 입력 정보어 시퀀스(10000001…)의 주기를 7이 아닌 다른 형태의 입력 정보어 시퀀스로 변형하여 제2 부호화기(302)에 전달한다(예를 들어 110000000…와 같이 정보 비트 '1'의 위치 변경). 따라서 제1 부호화기(300)는 헤밍 웨이트의 증가가 중단되더라도 제2 부호화기(302)는 헤밍 웨이트가 계속해서 증가함으로써 전체 터보 부호기의 자유거리는 계속해서 증가한다. 왜냐하면, 궤환 다항식은 무한 임펄스 응답(IIR : Infinite Impulse Response) 필터 형태로 한 개의 정보 비트'1'에 의해서도 무한한 출력 심볼 '1'을 계속해서 생성하기 때문이다. 하기 수학식 1에서 터보부호기의 헤밍 웨이트 또는 자유거리에 관한 제1 부호화기(300)와 제2 부호화기(302)의 관계를 보이는 간략한 근사식을 보인다.
[수학식 1]
수학식 1에서와 같이 제1 부호화기(300)와 제2 부호화기(302)의 헤밍 웨이트의 밸런스가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부호화기의 IIR 특성을 고려할 때 입력 정보어의 헤밍 웨이트가 최소인 것이 가장 작은 터보 부호기의 자유거리를 생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최소 자유거리를 제공하는 것은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입력 정보어의 헤밍 웨이트가 '2'인 경우가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최소 자유거리는 입력 정보어의 헤밍 웨이트가 '2'인 경우뿐만 아니라 '1' 이외에도 '3, 4, 5'에서도 발생한다. 이것은 입력 정보어가 프레임 단위로 입력되는 경우에 발생하는데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입력 정보어의 가장 마지막 위치, 즉 프레임의 가장 마지막 위치에 있는 정보 비트가 '1'이고 나머지는 모두 '0'인 경우를 가정하면, 입력 정보어의 헤밍 웨이트는 '1'이 된다. 이 경우 제1 부호화기(300)에 의해서 발생되는 출력 심볼 '1'의 수는 더 이상 진행할 입력 정보어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헤밍 웨이트가 매우 작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 수학식 1에 의해서 제2 부호화기(302)가 상당히 많은 양의 출력 심볼 '1'을 생성하여야 전체적인 자유거리가 증가한다.
이 경우에 제1 부호화기(300)에서 자유거리가 감소되었다 하더라도 입력 정보어를 인터리버(301)를 통하여 랜덤하게 분산시켜서 제2 부호화기(302)로 전달하면, 자유거리가 감소하는 현상을 억제시킬 수 있다.
종래의 터보 인터리버의 문제점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헤밍 웨이트가 '1'인 경우에 제1 부호화기(100)에 의해서 발생되는 출력 심볼 '1'의 수는 더 이상 진행할 입력 정보어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헤밍 웨이트가 매우 작게된다는 점이다. 이 경우에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다시 한 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터보 인터리버에 의해서 자유거리가 감소하는 현상을 억제시키려는 노력을 기울려 왔지만 이러한 최적의 인터리버를 구현하는 것은 프레임 크기에 따라서 달라지므로 인터리버에 의해서 자유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은 한계가 존재한다는 점이다. 두 번째로 수학식 1에 의해서 전체적인 자유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제2 부호화기(102)가 상당히 많은 양의 출력 심볼 '1'을 생성해야만 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상기에서 서술한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 발명에서의 가장 큰 특징은 터보 부호기의 제1 부호화기(300) 및 제2 부호화기(302)의 구속장과 생성 다항식을 서로 다른 형태로 구현함으로서 터보 부호기가 다양한 구조와 다양한 유효 자유거리를 갖도록 구성하였다는 점이다.
도 3에 도시된 터보 부호기는 입력 프레임 데이터 열(입력 정보어 K 비트)을 부호화하지 않고 그대로 출력(x1)하고, 입력 프레임 데이터 열을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제1 부호화기(300), 입력 프레임 데이터 열을 인터리빙 하는 인터리버(301), 인터리빙된 입력 프레임 데이터 열을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제2 부호화기(302)로 구성되며, 제1 및 제2 부호화기(300, 302)는 구속장을 서로 다른 형태로 구현하여 터보 부호기가 다양한 구조와 다양한 유효 자유거리(Effective free distance)를 갖도록 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부호화기(300, 302)는 길쌈 부호기로 구성된다. 길쌈 부호기로 구성된 제1 및 제2 부호화기(300, 302)는 단위 지연소자(제1∼제3 지연기(300-1, 300-2, 300-3) 및 제1, 제2 지연기(302-1, 302-2)) 및 가산기(제1 및 제2 EX-OR(300-4, 300-5), 제1 가산기(302-3))가 접속되어 구성된다. 인터리버(301)는 입력되는 최대 프레임 크기와 동일한 메모리 크기를 가지며 제2 부호화기(302)에 입력되는 정보 비트의 입력 순서를 바꿈으로써 정보 비트들 사이의 상관성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입력 정보어가 특정 형태로 주어지는 경우(CISP의 경우)에 터보 부호기에서 출력되는 부호 심볼의 자유거리가 매우 작은 값을 가지게 되며 특히 제2 부호화기(102)에 대한 구속장과 생성 다항식이 제1 부호화기(100)와 동일한 것을 사용한다면 제1 부호화기(100)에서 생성되는 매우 작은 자유거리 부호 심볼들이 제2 부호화기(102)에도 그대로 영향을 미치게 되어 임의의 SNR에서는 더 이상 BER 성능의 향상이 없는 Flattening effect가 발생하기 때문에 오류 정정 능력의 한계에 도달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1 부호화기(300) 및 제2 부호화기(302)의 구속장과 생성 다항식을 서로 다른 형태로 사용하게 되면 각각의 부호화기에서 출력되는 부호 심볼이 서로 다른 형태를 나타내게 되어 이러한 경우에 동일한 터보 인터리버를 가정한다면 종래 기술(구속장과 생성 다항식이 같은 경우)에 비하여 거리 특성 및 랜덤 특성을 더욱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인접한 출력 코드 워드 심볼들 간의 헤밍 웨이트를 증가시켜 자유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상관율을 더욱 낮추어 주는 효과가 있어서 오류 정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하기 표 2는 제1 부호화부(300) 및 제2 부호화부(301)가 구속장에 따라서 9가지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여기서 K1, K2는 제1 부호화부(300) 및 제2 부호화부(302)의 구속장을 의미하며 구속장은 3에서 5까지만 나타내었으나 6이상으로도 확장이 가능하다.
[표 2]
비대칭 터보 부호의 조합[(K1, K2)]
(3, 3) (3, 4) (3, 5)
(4, 3) (4, 4) (4, 5)
(5, 3) (5, 4) (5, 5)
서로 다른 구속장을 사용하는 제1 및 제2 부호화기(300, 302)가 표 2의 각 조합에 따라 생성 다항식을 조합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도 4에서와 같이 4가지의 경우로 다시 재구성할 수 있다. 터보 부호기의 제1 및 제2 부호화기(300, 302)에 대한 생성 다항식을 조합하는 방법은 제1 및 제2 부호화기(300, 302)의 궤환 다항식을 원시 다항식(Primitive Polynomial)과 소수 다항식(Prime Polynomial)을 각각 사용하여 구성이 가능하며, 조합 가능한 경우의 수는 총 4가지로서 (NP, P), (P, NP), (P, P), (NP, NP)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도 4의 생성 다항식 G=[,]에서 앞쪽은 궤환 다항식을, 뒤쪽은 비궤환 다항식을 나타내며, 본 발명에서는 궤환 다항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에서 P는 원시 다항식을 NP는 소수 다항식을 의미하며 제1 부호화기(300) 및 제2 부호화기(302)의 궤환 다항식에 대한 조합을 각각 표기한 것이다. 즉, (NP, P), (P, NP)는 제1 및 제2 부호화기(300, 302)의 궤환 다항식을 원시 다항식과 소수 다항식으로 조합하여 구성한 경우이고, (P, P)는 궤환 다항식을 모두 원시 다항식으로 구성한 경우이고, (NP, NP)는 궤환 다항식을 모두 소수 다항식으로 구성한 경우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길쌈 부호기의 구속장 및 생성 다항식을 서로 다르게 구성하여 터보 부호기를 구현함으로써 Flattening Effect의 발생을 감소하여 오류 정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한다.

Claims (2)

  1. 선택적으로 구속장을 변화시켜 입력 프레임 데이터 열을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제1 부호화수단; 및
    선택적으로 구속장을 변화시켜 인터리빙된 상기 입력 프레임 데이터 열을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제2 부호화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호화수단 및 제2 부호화수단은 서로 다른 개수의 구속장 및 서로다른 생성 다항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호화기의 생성 다항식 중 각각의 궤환 다항식을 (원시 다항식, 소수 다항식) 또는 (소수 다항식, 원시 다항식) 또는 (원시 다항식, 원시 다항식) 또는 (소수 다항식, 소수 다항식)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
KR1020020024159A 2002-05-02 2002-05-02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 KR200300858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159A KR20030085871A (ko) 2002-05-02 2002-05-02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159A KR20030085871A (ko) 2002-05-02 2002-05-02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5871A true KR20030085871A (ko) 2003-11-07

Family

ID=32381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4159A KR20030085871A (ko) 2002-05-02 2002-05-02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58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951B1 (ko) * 2007-08-02 2009-05-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터보 부호를 위한 최적 길쌈 부호 설계 방법과 이를 이용한구성 부호화기
US8028215B2 (en) 2007-05-04 2011-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rror control code apparatus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1837A (ja) * 1998-07-10 2000-01-28 Kokusai Electric Co Ltd 符号化方法
US6023783A (en) * 1996-05-15 2000-02-08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Hybrid concatenated codes and iterative decoding
JP2000156646A (ja) * 1998-11-09 2000-06-06 Canon Inc 符号化装置及び方法、復号装置及び方法、信号処理装置、デ―タ伝送装置、無線通信装置、ネットワ―クステ―ション、並びに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JP2001127648A (ja) * 1999-10-26 2001-05-11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2001285148A (ja) * 2000-03-30 2001-10-12 Fujitsu Ltd 遠端エコーキャンセラを有する通信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3783A (en) * 1996-05-15 2000-02-08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Hybrid concatenated codes and iterative decoding
JP2000031837A (ja) * 1998-07-10 2000-01-28 Kokusai Electric Co Ltd 符号化方法
JP2000156646A (ja) * 1998-11-09 2000-06-06 Canon Inc 符号化装置及び方法、復号装置及び方法、信号処理装置、デ―タ伝送装置、無線通信装置、ネットワ―クステ―ション、並びに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JP2001127648A (ja) * 1999-10-26 2001-05-11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2001285148A (ja) * 2000-03-30 2001-10-12 Fujitsu Ltd 遠端エコーキャンセラを有する通信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28215B2 (en) 2007-05-04 2011-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rror control code apparatus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0895951B1 (ko) * 2007-08-02 2009-05-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터보 부호를 위한 최적 길쌈 부호 설계 방법과 이를 이용한구성 부호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1372B2 (ja) 並列連接低密度パリティ検査符号を用いるチャンネル符号化/復号化装置及び方法
JP3359913B1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の直列鎖状コンボルーション符号化器に使用するためのインタリーバ及びそのインタリービング方法
US6289486B1 (en) Adaptive channel encoding method and device
EP1601109B1 (en) Adaptive channel encoding method and device
US2009018304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DPC coded modulation
US20080168324A1 (en) Basic Matrix Based on Irregular Ldpc, Codec and Generation Method Thereof
KR101009785B1 (ko) 불균일 반복 축적 부호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US6347385B1 (en) Interleavers for turbo code
KR20050118056A (ko) 다양한 부호율을 갖는 Block LDPC 부호를 이용한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090127878A (ko) 데이터를 인코딩 및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3232576A1 (en) Feed-forward staircase codes for channel coding i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s
KR20060106132A (ko) 연접 ldgm 부호 부호화/복호화 방법
US71001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catenated and interleaved turbo product code encoding and decoding
KR20090044178A (ko) 통신시스템에서 병렬구조 라틴방진 인터리빙 방법 및 장치
KR20020030170A (ko) 터보 디코딩 방법
KR20030085871A (ko)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
KR100297739B1 (ko) 다중테일을갖는터보코드및그의부호화/복호화방법및그를이용한부호기/복호기
KR100454952B1 (ko) 적응형채널부호화방법및장치
US7225392B2 (en) Error correction trellis coding with periodically inserted known symbols
KR100645730B1 (ko) 매직 매트릭스를 이용한 인터리빙 방법
KR100370780B1 (ko) 해밍 부호를 연접한 터보 부호화/복호화 방법 그리고 그의 부호기/복호기
Raje et al. Review paper on study of various Interleavers and their significance
CN115883012A (zh) 一种编码方法及装置
JP4507443B2 (ja) インターリーブ方法及びインターリーブ装置
KR100895951B1 (ko) 터보 부호를 위한 최적 길쌈 부호 설계 방법과 이를 이용한구성 부호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