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5387A - 관로조사용 자주차 - Google Patents

관로조사용 자주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5387A
KR20030085387A KR1020020023795A KR20020023795A KR20030085387A KR 20030085387 A KR20030085387 A KR 20030085387A KR 1020020023795 A KR1020020023795 A KR 1020020023795A KR 20020023795 A KR20020023795 A KR 20020023795A KR 20030085387 A KR20030085387 A KR 20030085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unit
motor
shaft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3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9721B1 (ko
Inventor
전민수
Original Assignee
(주)동화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화이엔지 filed Critical (주)동화이엔지
Priority to KR10-2002-0023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9721B1/ko
Publication of KR20030085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5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9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97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25J19/023Optical sensing devices including video camera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F16L55/28Constructional aspects
    • F16L55/30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opulsion means, e.g. towed by cables
    • F16L55/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opulsion means, e.g. towed by cables being self-contain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로조사용 자주차에 관한 것으로, 하수관(1)과 덕트 등이 협소한 장소의 내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원격 조정되면서 카메라를 탑재한 자주차(100)에 있어서, 상기 자주차(100)의 전면의 상부에 중앙에는 카메라(111)를 형성하고 카메라(111)의 양측에 주램프(112)를 형성하며 카메라(111)의 중앙 하부에는 회전축(113)을 형성하되 회전축(113)을 모터(114)와 벨트(116)로 연결하여 종방향으로 360도 회전하는 촬영부(110)와, 상기 촬영부(110)의 하부에 형성된 회전체(121)를 지지브라켓(125)에 연결하여 모터(126))의 회전으로 촬영부(110)와 회전체(121)를 횡방향으로 360도 회전하는 회전부(120)와, 상기 지지브라켓(125)에 좌우측에 이송링크(131)를 형성하되 이송링크(131)에 연결한 회전축(133)을 회전하여 회전부(120)와 촬영부(110)를 상하로 이송하는 상하이송부(130)와, 상기 촬영부(110)와 회전부(120)를 전면에 장착하고 상하이송부(130)의 이송기어(135) 및 이송 모터(134)를 전면부에 설치하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구동몸체(141) 양측면에 다수의 바퀴(147)를 설치하여 구동모터(142)의 구동으로 주행하는 구동부(140)로 구성한다. 따라서, 카메라를 종 방향 및 횡 방향으로 360도 회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하작동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배면 및 측면에 생기는 사각지대를 없애고 관로의 전 둘레를 조사할 수 있어 조사의 신뢰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관로조사용 자주차 {independent car for detecting pipe route}
본 발명은 관체로 이루어지고 사람이 들어가기 곤란한 협소한 관로 또는 유독가스의 존재가 의심스러운 위험한 지역의 하수관이나 공기조화장치의 덕트 등의 내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카메라를 탑재하여 원격으로 조정되는 관로조사용 자주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탑재되는 카메라가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모터와 벨트로 결합하여 회전함과 동시에 상하로 이송됨으로써 상하 방향 뿐만 아니라 전후 좌후를 모두 카메라로 촬영하여 관내를 완전하게 조사함과 동시에 이동시에 장애물을 미리 인지하여 장애물에 의한 파손 및 조사중단 사태를 방지하는 관로조사용 지주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 공사를 실시할 때는 각 가정이나 상가 및 빌딩 등의 하수관과 연결되는 바, 이때 지면에 매설되는 모체관과 각 가정이나 상가 등에 연결되는 연결관의 연결부에서 연결관이 돌출되거나 암석 및 마감되는 콘크리트가 돌출되어 관내에 형성되게 되는데 이를 시공자의 부주의로 인한 실수나 공사기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돌출물을 둔 채로 공사를 마감하는 사례도 있었다.
상기와 같이 모체관의 내부에 돌출물이 형성되어 있으면 관의 내부에 흐르는 물을 차단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물과 함께 흘러오는 이물질이 돌출물에 걸려서 모체관의 내부에 퇴적되어 퇴적물이 쌓이게 됨으로서 물의 흐름을 차단하고 폐수가 넘치거나 역류시켜 홍수나 집중호우와 같은 대량의 물의 유동시 커다란 재앙을 불어 왔었다.
이렇게, 차단된 모체관을 교환 하거나 청소하기 위하여 지면을 파고 모체관을 돌출시켜 청소나 교체 작업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런 방식의 작업은 시간이 지체되어 도로를 막고 관이 있는 부분을 공사할 때는 교통체증을 유발하고 장시간 오수의 방지를 위해 단수를 실시하여 생활에 불편을 주고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내에 형성된 돌출물이나 기타 물질에 대한 위치확보 및 보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내부에 카메라가 탑재되어 원격 조정되는 자주차를 이용하여 이를 조사하여왔다.
이렇게, 이용되는 자주차의 특징을 살펴보면 사람이 육안으로 살피어 관찰하기 불가한 주로 하수관로와 같이 협소한 환경에 적합하도록 몸체를 비교적 가늘고 작게 제작하여 협소한 관로의 주행이 수월하도록 하였고 주행성을 갖도록 측면에 구동바퀴를 다수 부착하였으며 주된 목적인 탐색을 위한 카메라를 부착하여서 조정자가 모니터를 통하여 조정하도록 하며 관찰되는 화면 데이터를 녹화하여 자료로 보존하고 관찰에 의하여 보수여부를 결정하고 그 위치를 측정하여 보수하도록 하는것이다.
위와 같은 카메라가 탑재된 원격조정 자주차는 샘플채취 또는 현장 감시, 관찰의 목적으로 그 현장의 환경이나 목적에 따라 다양한 장비나 장치를 부착시켜 투입되기도 하며, 붕괴지역에 투입되는 경우에는 구난장비에 탑재하여 투입되는 대형 원격 자주차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카메라를 탑재시켜 주위의 현황을 참고하고 상황판단 조정의 목적으로 설치되어 카메라로부터 전달되는 화상 정보를 보면서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주차는 전면을 카메라로 촬영하면서 모니터링 되어 관내를 조사하는 것으로 카메라가 측면이나 배면으로 회전이 불가능 하여 측면 및 배면에 형성된 돌출물이나 이물질을 조사할 수 없으므로 조사된 결과물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관측이 끝나고 지주차의 후진시에 배면을 관측할 수 없으므로 자주차가 장애물에 걸리거나 천공된 구멍에 빠진 상태에서 이를 관측하지 못하여 무리하게 주행하면 동력발생장치에 과부하가 발생하여 고장이 나는 경우에는 주행장치의 작동이 불가능하여 고장난 자주차를 자력으로 회수할 수 없으므로 하수관이 설치된 지역으로 지반을 굴착하여 회수 하여야 함으로 회수에 드는 비용과 시간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하수관내를 조사하기 위하여 원격 조정되면서 카메라가 탑재된 자주차에서 카메라를 상하 뿐만 아니라 종, 횡방향으로 360도 회전하여 상하, 전후방 및 좌우측방을 관찰하여 모니터링 함으로써 장애물의 위치 판단을 정확하게 하여 조사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자주차의 진행 시에 상하, 전후 및 좌우방향인 전방향을 모니터링 하면서 주행됨으로 전진이나 후진 시에 장애물의 유무를 판단하면서 정확하게 주행하여 무리한 주행을 사전에 방지하여 자주차의 고장을 최소화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다른 목적은 상하 이송부에 모터에 의해 회전 및 역회전되어 카메라와 연결된 이송링크와 연동하여 상하 이송하는 기어를 일측은 스토퍼로 타측을 스프링으로 지지하여 카메라를 상부로 이송하다가 장애물이 걸리어 무리한 하중으로 과부하가 기어에 걸리면 스프링으로 지지된 측으로 기어가 이송되면서 모터가 헛돌아 기어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하중이 제거되면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복귀하여 구동함으로 장애물에 의한 고장을 방지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조사용 자주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조사용 자주차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조사용 자주차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조사용 자주차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조사용 자주차의 주요부분을 절개한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조사용 자주차의 일부 절개 단면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조사용 자주차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조사용 자주차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실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관로 100 : 자주차
110 : 촬영부 111 : 카메라
112 : 주램프 113 : 회전축
114 : 모터 115 : 풀리
116 : 벨트 117 : 베어링
118 : 오링 120 : 회전부
121 : 회전체 122 : 보조램프
123 : 회전축 124 : 풀리
125 : 지지브라켓 126 : 모터
127 : 벨트 128 : 베어링
129 : 오링 130 : 상하이송부
131 : 이송링크 132 : 힌지축
133 : 회전축 134 : 이송모터
135 : 이송기어 136 : 스프링
137 : 지지구 138 : 스톱퍼
140 : 구동부 141 : 구동몸체
142 : 구동모터 143 : 구동기어
144 : 구동축 145 : 체인
146 : 스프라켓 147 : 바퀴
148 : 제어부 149 : 플랙시블 케이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관로조사용 자주차는 하수관과 덕트 등이 협소한 장소의 내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원격조정되면서 카메라를 탑재한 자주차에 있어서, 상기 자주차의 전면의 상부에 중앙에는 카메라를 형성하고 카메라의 양측에 주램프를 형성하며 카메라의 중앙 하부에는 하부로 연장 형성하여 오링으로 밀봉하고 베어링으로 지지되는 회전축을 형성하되 회전축의 끝단에는 풀리를 형성하여 모터와 벨트로 연결하여 모터의 구동으로 벨트로 연결된 회전축과 연동하여 카메라와 주램프를 종방향으로 360도 회전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촬영부의 회전축과 모터를 내부 상측에 형성한 회전체를 후방에 지지브라켓에 연결하여 모터의 회전으로 촬영부와 회전체를 횡방향으로 360도 회전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지지브라켓에 좌우측에 이송링크를 형성하되 이송링크에 연결한 회전축을 회전하여 회전부와 촬영부를 상하로 이송하는 상하이송부와, 상기 촬영부와 회전부를 전면에 장착하고 상하이송부의 이송기어및 이송 모터를 전면부에 설치하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구동몸체 양측면에 중앙에 구동축을 형성한 다수의 바퀴를 설치하고 하나의 구동축 중앙에는 구동기어를 형성하여 구동모터와 치차결합으로 연동하면서 타 구동축과 체인과 스프라켓으로 연결되어 함께 바퀴를 구동하면서 구동몸체를 주행하고 구동몸체의 상부에는 전원 및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제어부를 형성하여 플랙시블 케이블로 회전부의 지지브라켓에 연결하여 전원 및 제어신호를 이송하도록 형성한 구동부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에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촬영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촬영부의 회전축과 모터를 내부 상측에 형성하고 좌우에 보조램프가 설치된 회전체를 형성하되 회전체의 후방에 축형상으로 연장되어 후방에 형성된 지지브라켓에 오링으로 밀봉되고 베이링으로 지지되며 끝단에 풀리를 형성한 회전축을 벨트로 지지브라켓의 내부에 형성된 모터에 연결되어 연동하여 회전되면 촬영부를 상부에 설치한 회전체가 촬영부와 같이 횡방향으로 360도 회전하도록 형성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에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상하 이송부는 회전부의 지지브라켓에 좌우측에 이송링크를 형성하고 이송링크의 하부에는 힌지축을 형성하고 좌우의 이송링크를 결합하는 회전축을 이송링크의 단부에 형성하되 회전축에는 중앙에 연결하여 일측부는 스토퍼로 고정하고 타측부는 스프링을 탄성을 가지도록 지지구에 지지하면서 과부하가 걸리면 이탈되고 해제되면 복귀되는 이송기어를 이송모터와 치차 결합으로 연동하여 회전축을 회전하면 회전축에 결합된 이송링크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부와 촬영부를 상하로 이송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조사용 자주차.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에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조사용 자주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조사용 자주차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조사용 자주차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조사용 자주차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조사용 자주차의 주요부분을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조사용 자주차의 일부 절개 단면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조사용 자주차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조사용 자주차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실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로조사용 자주차(100)는 전면의 상부에 카메라(111)와 주램프(112)를 형성하여 회전축(113)과 모터(114)의 연동으로 종방향으로 360도 회전하는 촬영부(110)와, 상기 촬영부(110)의 하부에 결합 형성된 회전체(121)를 지지브라켓(125)에 연결하여 회전체(121)의 회전축(123)과 지지브라켓(125)의 모터(126)가 결합 연동되어 회전체(121)를 횡방향으로 360도 회전하는 회전부(120)와, 상기 회전부(120)의 지지브라켓(125)의 측면에 이송링크(131)와 힌지축(132)을 형성하여 이송링크(131)와 결합된 이송기어(135)와 이송 모터(134)의 구동으로 촬영부(110)와 회전부(120)를 상하로 이송하는 상하 이송부(130)와, 상기 촬영부(110), 회전부(120) 및 상하이송부(130)를 전면에 장착하여 제어부(148)에서 전원 및 제어신호를 이송하면서 좌우에 형성된 바퀴(147)를 구동하여 전 후방향으로 주행하는 구동부(140)로 구성한다.
상기 촬영부(110)는 회전부(120)의 회전체(121) 상부 중앙에는 카메라(111)를 형성하고 좌우측에는 주램프(112)를 형성하며 하부에는 회전체(121)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도록 하부 측으로 연장시킨 회전축(113)을 형성하여 오링(118)으로 밀봉하고 베어링(117)으로 회전체(121)의 상부에 지지되며 회전축(113)의 끝단에는 풀리(115)를 형성하여 회전체(121)의 상부에 고정된 모터(114)와 벨트(116)로 결합하여 모터(114)의 구동으로 회전축(113)이 연동하여 카메라(111)와 주램프(112)가 종방향으로 360도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회전부(120)는 촬영부(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촬영부(110)의 회전축(113)과 모터(114)를 내부 상측에 형성하고 좌우에 보조램프(122)가 설치된 회전체(121)를 형성하되 회전체(121)의 후방에 축형상으로 연장되어 후방에 형성된 지지브라켓(125)에 오링(129)으로 밀봉되고 베이링(128)으로 지지되며 끝단에 풀리(124)를 형성한 회전축(123)을 벨트(127)로 지지브라켓(125)의 내부에 형성된 모터(126)에 연결되어 연동하여 회전되면 촬영부(110)를 상부에 설치한 회전체(121)가 촬영부(110)와 같이 횡방향으로 360도 회전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상하 이송부(130)는 회전부(120)의 지지브라켓(125)에 좌우측에 긴 바 형상의 이송링크(131)와 힌지축(132)을 형성하고 이송링크(131)의 끝단을 좌우로 결합하고 구동부(140)의 내부에 회전축(133)을 형성하되 회전축(133)의 중앙에는이송기어(135)를 일측은 스토퍼(138)로 고정하고 타측은 스프링(136)을 회전축(133)에 고정된 지지구(137)로 탄성 고정된 상태에서 이송기어(135)를 지지하며 이송기어(135)는 이송모터(134)와 치차 결합되어 연동하면서 이송기어(135)와 결합된 회전축(133)을 회전하면 고정된 이송링크(131)가 상하로 구동되어 결합된 회전부(120)와 촬영부(110)를 힌지축(132)을 중심으로 상하로 이송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이송기어(135)는 이송모터(134)의 구동으로 이송링크(131)를 상하 작동하다가 장애물에 걸리어 작동이 중지되는 과부하가 발생하면 타측에 형성된 스프링(136)의 탄성으로 이송모터(134)와 치차 결합이 해제되어 파손을 방지하고 부하가 감소되면 스프링(136)의 탄성으로 복귀하여 이송링크(131)를 상하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부(140)는 촬영부(110)와 회전부(120)를 전면에 장착하고 상하이송부(130)의 이송기어(135) 및 이송 모터(134)를 전면부에 설치하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구동몸체(141)를 형성하되 구동몸체(141)의 양측면에 중앙에 구동축(144)을 형성한 다수의 바퀴(147)를 설치하고 하나의 구동축(144) 중앙에는 구동기어(143)를 형성하여 구동모터(142)와 치차 결합으로 연동하면서 타 구동축(144)과 체인(145)과 스프라켓(146)으로 연결되어 바퀴(147)를 구동하면서 주행하고 구동몸체(141)의 상부에는 전원 및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제어부(148)를 형성하여 플랙시블 케이블(149)로 회전부(120)의 지지브라켓(125)에 연결하여 전원 및 제어신호를 이송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구성으로 형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148)에 전원 및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미도시됨)을 연결한 상태로 자주차(100)를 조사하고자 하는 관로(1)의 입구로 이송한다.
이송된 자주차(100)는 제어부(148)에서 플랙서블 케이블(149)로 전송되는 원격 신호에 따라 촬영부(110)의 카메라(111)와 주램프(112) 및 회전부(120) 보조램프(122)를 켠 상태로 카메라(111)에서 촬영되어 이송되는 화상으로 모니터링 해가면서 구동부(140)의 구동모터(142)를 회전하여 치차 결합된 구동기어(143)가 연동되면서 구동축(144)이 회전함과 동시에 체인(145)과 스프라켓(146)으로 연결된 타 구동축(144)도 회전하여 구동축(144)에 결합된 다수개의 바퀴(147)가 각기 회전하여 전진하게 되고 후진 시에는 구동모터(142)를 역회전하여 바퀴(147)의 역회전으로 후진하는 주행을 실시한다.
이렇게, 주행하면서 촬영부(110)의 모터(114)를 제어부(148)의 제어신호에 따라 지정량을 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벨트(116)로 연결된 회전축(113)을 회전 또는 역회전하면 회전축(113)의 상부에 형성된 카메라(111)와 주램프(112)를 종방향으로 제어신호에 따라 지정된 각도로 회전하게 되는데 카메라(111)와 주램프(112)의 하부에 형성된 회전축(113)은 360도 회전이 가능하여 관로(1)의 전면과 측면 및 배면을 조사한다.
또한, 상기 촬영부(110)의 회전 및 역회전으로 관로(1)를 조사하다가 보이지 않는 부분 즉, 사각을 없애기 위해서 회전부(120)의 모터(126)를 구동하여 벨트(127) 결합된 촬영부(110) 하부에 형성된 회전체(121)의 회전축(123)을제어부(148)의 제어신호가 지정된 양만큼 회전 또는 역회전 시키면 촬영부(110)와 회전체(121)가 횡방향으로 제어신호가 지정한 각도 만큼 회전하게 되는데 촬영부(110)의 하부에 형성된 회전체(121)의 회전축(123)은 360도 회전이 가능하여 관로(1)의 조사시에 사각지역을 없애고 관로(1) 내부의 전지역을 조사할 수 있다.
아울러, 촬영부(110)와 회전체(121)가 지지된 지지브라켓(125)에 좌우측에 이송링크(131)와 힌지축(132)을 형성하여 이송링크(131)의 끝단에 좌우측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회전축(133)의 중앙에 스토퍼(138)로 일측을 지지하고 스프링(136)과 지지구(137)로 타측을 지지한 이송기어(135)와 치차 결합된 이송모터(134)의 구동으로 회전축(134)을 제어부(148)의 제어신호에 따라 지정된 량으로 회전 또는 역회전 시키면 회전축(133)에 결합된 이송링크(131)가 힌지축(132)을 중심으로 상하로 작동하면서 촬영부(110)와 회전부(120)를 상하로 이송하므로 관내(1)의 장애물의 고저에 상관없이 모든 부분을 조사하는 조사작업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하 이송부(130)에서 촬영부(110)와 회전부(120)를 이송하다가 장애물 등에 걸려서 과부하가 발생하면 이송기어(135)가 타측에 형성된 스프링(136)으로 탄성 지지된 측으로 이탈되어 이송모터(134)가 헛돌아서 이송기어(135)의 파손을 방지하고 부하가 해제되면 스프링(136)의 탄성에 의해 이송기어(135)와 이송모터(134)가 다시 치차 결합된 상태로 복귀하여 촬영부(110)와 회전부(120)를 상하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조사작업을 마치면 촬영부(110)의 모터(113)를 구동하여 카메라(111)를 배면측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하 이송부(130)에서 상하 조작하면서배면을 모니터링 하는 상태로 후진하여 회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주차(100)는 촬영부(110)의 모터(113)의 구동으로 카메라(111)와 주램프(112)를 360도 종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촬영부(110)의 하부에 형성된 회전부(120)에서 횡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하 이송부(130)를 회전부(120)에 결합하여 이송모터(134)의 구동으로 상하로 이송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148)의 제어신호에 따라 관로(1)의 내부 전 둘레를 사각지대 없이 조사할 수 있으며 상하 이송부(130)의 이송기어(135)를 스프링(136)의 탄성으로 지지하여 과부하가 걸리면 이탈하고 해제되면 다시 이송모터(134)와 결합되도록 형성하여 과부하에 따른 파손을 방지하며 수거 시에도 촬영부(110)의 카메라(111)를 배면측으로 회전하고 상하 이송부(130)에서 상하 조정하면서 배면의 모니터링을 수행하면서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된 본 발명의 관로조사용 자주차는 원격으로 조정되면서 카메라를 탑재한 자주차에 있어 카메라를 종 방향 및 횡 방향으로 360도 회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하 이송부에서 상하작동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배면 및 측면에 생기는 사각지대를 없애고 관로의 전 둘레를 조사할 수 있어 조사의 신뢰성을 증대하고 기어를 스프링으로 지지하여 장애물에 의한 과부하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회수 시에도 배면으로 카메라를 회전하고 상하 이송부로 상하 조절하면서 모니터링 하면서 회수가 가능하므로 조사의 신뢰성이 증대되고 시계가확보되어 주행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하수관(1)과 덕트 등이 협소한 장소의 내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원격 조정되면서 카메라를 탑재한 자주차(100)에 있어서,
    상기 자주차(100)의 전면의 상부에 중앙에는 카메라(111)를 형성하고 카메라(111)의 양측에 주램프(112)를 형성하며 카메라(111)의 중앙 하부에는 하부로 연장 형성하여 오링(118)으로 밀봉하고 베어링(117)으로 지지되는 회전축(113)을 형성하되 회전축(113)의 끝단에는 풀리(115)를 형성하여 모터(114)와 벨트(116)로 연결하여 모터(114)의 구동으로 벨트(116)로 연결된 회전축(113)과 연동하여 카메라(111)와 주램프(112)를 종방향으로 360도 회전하는 촬영부(110)와,
    상기 촬영부(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촬영부(110)의 회전축(113)과 모터(114)를 내부 상측에 형성한 회전체(121)를 후방에 형성된 지지브라켓(125)에 연결하여 모터(126))의 회전으로 촬영부(110)와 회전체(121)를 횡방향으로 360도 회전하는 회전부(120)와,
    상기 회전부(120)의 지지브라켓(125)에 좌우측에 이송링크(131)를 형성하되 이송링크(131)에 연결한 회전축(133)을 회전하여 회전부(120)와 촬영부(110)를 상하로 이송하는 상하이송부(130)와,
    상기 촬영부(110)와 회전부(120)를 전면에 장착하고 상하이송부(130)의 이송기어(135) 및 이송 모터(134)를 전면부에 설치하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구동몸체(141) 양측면에 중앙에 구동축(144)을 형성한 다수의 바퀴(147)를 설치하고 하나의 구동축(144) 중앙에는 구동기어(143)를 형성하여 구동모터(142)와 치차결합으로 연동하면서 타 구동축(144)과 체인(145)과 스프라켓(146)으로 연결되어 바퀴(147)를 구동하면서 주행하고 구동몸체(141)의 상부에는 전원 및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제어부(148)를 형성하여 플랙시블 케이블(149)로 회전부(120)의 지지브라켓(125)에 연결하여 전원 및 제어신호를 이송하도록 형성한 구동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조사용 자주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120)는 촬영부(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촬영부(110)의 회전축(113)과 모터(114)를 내부 상측에 형성하고 좌우에 보조램프(122)가 설치된 회전체(121)를 형성하되 회전체(121)의 후방에 축형상으로 연장되어 후방에 형성된 지지브라켓(125)에 오링(129)으로 밀봉되고 베이링(128)으로 지지되며 끝단에 풀리(124)를 형성한 회전축(123)을 벨트(127)로 지지브라켓(125)의 내부에 형성된 모터(126)에 연결되어 연동하여 회전되면 촬영부(110)를 상부에 설치한 회전체(121)가 촬영부(110)와 같이 횡방향으로 360도 회전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조사용 자주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이송부(130)는 회전부(120)의 지지브라켓(125)에 좌우측에 이송링크(131)를 형성하고 이송링크(131)의 하부에는 힌지축(132)을 형성하고 좌우의 이송링크(131)를 결합하는 회전축(133)을 이송링크(131)의 단부에 형성하되 회전축(133)에는 중앙에 연결하여 일측부는 스토퍼(138)로 고정하고 타측부는 스프링(136)을 탄성을 가지도록 지지구(137)에 지지하면서 과부하가 걸리면 이탈되고 해제되면 복귀되는 이송기어(135)를 이송모터(134)와 치차 결합으로 연동하여 회전축(133)을 회전하면 회전축(133)에 결합된 이송링크(131)가 힌지축(132)을 중심으로 회전부(120)와 촬영부(110)를 상하로 이송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조사용 자주차.
KR10-2002-0023795A 2002-04-30 2002-04-30 관로조사용 자주차 KR100479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795A KR100479721B1 (ko) 2002-04-30 2002-04-30 관로조사용 자주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795A KR100479721B1 (ko) 2002-04-30 2002-04-30 관로조사용 자주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5387A true KR20030085387A (ko) 2003-11-05
KR100479721B1 KR100479721B1 (ko) 2005-03-30

Family

ID=32381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3795A KR100479721B1 (ko) 2002-04-30 2002-04-30 관로조사용 자주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972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231B1 (ko) * 2005-07-05 2007-05-29 김일환 연속회전형 관로 조사용 자주차
KR100838256B1 (ko) * 2006-09-25 2008-06-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선 포설용 윈치 케이블 이송장치
CN109080422A (zh) * 2018-08-30 2018-12-25 广东宏穗晶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机器人传动行走轮
FR3078498A1 (fr) * 2018-03-01 2019-09-06 La Garonne Appareil d'inspection de conduite souterraine d'assainissement visitable ou semi-visitable
CN114427635A (zh) * 2020-10-29 2022-05-03 国核宝钛锆业股份公司 一种便携式无损检测器
KR102551262B1 (ko) * 2022-12-28 2023-07-05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자기력 조절이 가능한 마그넷 휠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검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421B1 (ko) 2008-10-17 2011-06-22 (주)동화이엔지 수평 유지 기능이 구비된 관로용 자주차
KR101652684B1 (ko) 2015-04-30 2016-08-31 (주)동화이엔지 하수관의 관경에 대응이 용이한 cctv 탐사로봇
KR102384632B1 (ko) 2020-03-20 2022-04-11 (주)제이스코리아 관로 내부의 인베스티게이팅을 위한 전동 드라이빙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1143B1 (ko) * 1997-12-26 2000-04-01 김성년 협소공간 정밀 탐사용 이동 로보트
KR100283727B1 (ko) * 1998-08-01 2001-03-02 장인순 하수관 검사/보수용 로봇 감시카메라의 위치 절환장치
KR100383535B1 (ko) * 2000-03-31 2003-05-16 여희주 설비 배관내의 탐사 및 도장을 위한 로봇장치
KR100405641B1 (ko) * 2000-05-15 2003-11-22 (주)동화이엔지 하수관 내의 돌출관 제거를 위한 자주차와 그 제어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231B1 (ko) * 2005-07-05 2007-05-29 김일환 연속회전형 관로 조사용 자주차
KR100838256B1 (ko) * 2006-09-25 2008-06-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선 포설용 윈치 케이블 이송장치
FR3078498A1 (fr) * 2018-03-01 2019-09-06 La Garonne Appareil d'inspection de conduite souterraine d'assainissement visitable ou semi-visitable
CN109080422A (zh) * 2018-08-30 2018-12-25 广东宏穗晶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机器人传动行走轮
CN114427635A (zh) * 2020-10-29 2022-05-03 国核宝钛锆业股份公司 一种便携式无损检测器
KR102551262B1 (ko) * 2022-12-28 2023-07-05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자기력 조절이 가능한 마그넷 휠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검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9721B1 (ko) 2005-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73783B1 (en) Gas main robotic inspection system
US5248008A (en) Self-traveling robotic vehicle with inclinable propulsion units
JP6099759B2 (ja) フランジ乗り越え機構を備える外面検査ロボット
KR100479721B1 (ko) 관로조사용 자주차
KR100494675B1 (ko) 하수관 검사와 보수용 로봇
KR100784932B1 (ko) 배관 내부 검사용 이동 로봇
CN102239612B (zh) 推缆机引导系统、方法和装置
CN109611641B (zh) 一种管道检测无线机器人
US20050104600A1 (en) Vehicle for inspecting a pipe
KR20120103869A (ko) 조향 가능한 배관 탐사용 로봇
BRPI0807369B1 (pt) máquina transportadora tendo conector de pivô compreendendo trilha curva e trilha de acoplamento de rolamentos
KR101275117B1 (ko) 유체 이송관의 관로 탐사 원격 모니터링 장치
KR102358846B1 (ko) 파이프 조사용 로봇
KR101359559B1 (ko) 배관 내부 검사용 이동로봇
JP5693907B2 (ja) 管路の保繕方法及び保繕装置
KR100765861B1 (ko) 소구경 강관용 내면접합부 용접장치
WO2020058988A1 (en) Sludge cleaning remotely operable vehicle
KR101201255B1 (ko) 원형관로의 준설 및 보수장치
JP4641300B2 (ja) 自走式管内検査カメラ装置
CN102155627A (zh) 一种地下管道摄像检测装置
JPH0392490A (ja) 傾斜可能な無限軌道推進ユニットを備えた車両
WO2007037632A1 (en) Pipe examination apparatus and pipe examination method using the same
WO1998030758A2 (fr) Machine a ouvrir des conduites et organe de travail
WO2022071426A1 (ja) 建設機械
KR101043421B1 (ko) 수평 유지 기능이 구비된 관로용 자주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