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3790A - 전계 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 페이스트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계 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나노튜브 에미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계 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 페이스트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계 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나노튜브 에미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3790A
KR20030083790A KR1020020021963A KR20020021963A KR20030083790A KR 20030083790 A KR20030083790 A KR 20030083790A KR 1020020021963 A KR1020020021963 A KR 1020020021963A KR 20020021963 A KR20020021963 A KR 20020021963A KR 20030083790 A KR20030083790 A KR 20030083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nanotube
weight
paste composition
resin
e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1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2690B1 (ko
Inventor
조성희
윤민재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1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2690B1/ko
Priority to US10/421,407 priority patent/US6858981B2/en
Priority to JP2003117564A priority patent/JP4288095B2/ja
Priority to CNB031368018A priority patent/CN100423161C/zh
Publication of KR20030083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3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6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02Main electrodes
    • H01J1/30Cold cathodes, e.g. field-emissive cathode
    • H01J1/304Field-emissive cath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05Preparation or purification of carbon not covered by groups C01B32/15, C01B32/20, C01B32/25, C01B32/3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02Main electrodes
    • H01J1/30Cold cathodes, e.g. field-emissive cathode
    • H01J1/304Field-emissive cathodes
    • H01J1/3048Distributed particle emit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1/00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 H01J31/08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having a screen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31/10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 H01J31/12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with luminescent screen
    • H01J31/123Flat display tubes
    • H01J31/125Flat display tubes provided with control means permitting the electron beam to reach selected parts of the screen, e.g. digital selection
    • H01J31/127Flat display tubes provided with control means permitting the electron beam to reach selected parts of the screen, e.g. digital selection using large area or array sources, i.e. essentially a source for each pixel grou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1/00Electrodes common to discharge tubes
    • H01J2201/30Cold cathodes
    • H01J2201/304Field emission cathodes
    • H01J2201/30446Field emission cathodes characterised by the emitter material
    • H01J2201/30453Carbon types
    • H01J2201/30469Carbon nanotubes (C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ld Cathode And The Manufacture (AREA)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계 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계 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캐소드 전극의 미세 패터닝이 가능하고, 진공도 저하 및 전류밀도의 감소를 최소화함으로써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의 방출전류 특성을 향상시킨 전계 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 페이스트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전계 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계 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계 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의 제조방법{CARBON NANOTUBE EMITTER PASTE COMPOSITION FOR FIELD EMISSION DEVICE AND METHOD OF PREPARING CARBON NANOTUBE EMITTER USING SAME}
본 발명은 전계 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에미터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계 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에미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캐소드 전극의 미세 패터닝이 가능하고, 진공도 저하 및 전류밀도의 감소를 최소화함으로써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의 방출전류 특성을 향상시킨 전계 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에미터 페이스트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전계 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에미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계 방출형 표시소자(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는 전자 방출원인 에미터(emitter)에 강한 전계를 형성하여 터널링 효과에 의하여 전자를 방출시키고, 방출된 전자가 진공 속을 이동하여 애노드 전극에 형성된 형광막에 충돌함으로써 형광막을 발광시켜 화상을 표현하는 대표적인 표시소자이다.
이러한 전계 방출형 표시소자의 전자 방출원으로 최근에는 탄소 나노튜브(Carbon Nano Tube: CNT)가 각광을 받고 있는데, 탄소 나노 튜브는 전계 집중 효과가 우수하고, 일함수가 낮아 전자 방출 특성이 우수하여 저전압 구동이 용이하고, 대면적화가 가능한 전계 방출 표시 장치의 이상적인 전자 방출원으로 기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탄소 나노 튜브를 전자 방출원으로 구비한 전계 방출 표시 장치는 전자방출을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삼극관(triode) 구조로 제작되며, 이 때 탄소 나노튜브 전자 방출층은 진공 증착을 이용한 박막 공정이나 페이스트를 인쇄하는 후막 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이 가운데 후막 형성 방법은 탄소 나노 튜브를 주성분으로 하는 페이스트를 제작하여, 이를 캐소드 전극에 인쇄하여 전자 방출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박막 공정에 비하여 제조 설비가 단순하여 공정이 간단하므로 대량 생산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탄소 나노튜브 에미터는 카본 나노튜브 분말, 바인더 및 용매를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제조하고, 이 페이스트를 전극 위에 스크린 프린트하여 형성한 후 공기 분위기 하에서 400℃ 이상의 고온에서 소성하여 제조된다.
이 때, 탄소 나노튜브 페이스트의 성분으로 열분해성 수지인 아크릴레이트,아크릴, 또는 에틸 셀룰로오스(EC) 수지를 사용한다. 열분해성 수지로서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탄소 나노 튜브 페이스트의 패턴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삼극관 탄소 에미터에 적용시 전류밀도가 7.5 V/㎛에서 20 ㎂/㎠로 낮게 나타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 편, 아크릴 또는 에틸 셀룰로오스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전류밀도가 100 ㎂/㎠ 이상으로 높게 나타나는 장점이 있으나, 소성 후 열분해가 일어나 수축되고, 패턴과 기판간의 부착력이 약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외선 노광후 패턴시 페이스트 조성물과의 포토레지스트와의 접촉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페이스트 조성물과 포토레지스트 간의 반응으로 말미암아 게이트와 캐소드 전극 간의 쇼트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페이스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삼극관 탄소 에미터를 제조하는 경우, 패턴 후의 막두께가 얇고 게이트와의 거리가 멀어 동작전압이 높아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아크릴 수지, 및 에틸 셀룰로오스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의 수지만을 포함하여 삼극관 탄소 나노 튜브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패턴성과 전류밀도가 동시에 우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노광성, 현상성 및 방출전류의 특성이 향상된 전계 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에미터 페이스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공도 저하 및 전류밀도 감소를 최소화하는전계 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에미터 페이스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탄소 에미터 페이스트 조성물을 이용한 탄소 에미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의 영상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에 전기장을 인가한 경우의 영상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의 단면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에서 방출된 전자의 전류밀도를 전기장의 세기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에서 방출된 전자의 전류밀도를 숙성시간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a는 비교예 3의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에 대한 전기장의 세기에 따른 전류밀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b는 비교예 1의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를 제조하는 과정에 있어, 패턴 후 찍은 조성물막의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사진이다.
도 7은 비교예 2의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탄소나노 튜브 에미터를 제조하는 과정에 있어, 패턴 후 찍은 조성물막의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사진이다.
도 8은 실시예 3 및 4, 및 비교예 3의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에서 방출된 전자의 전류밀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실시예 1의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를 제조하는 과정 중에서, 소성 후 찍은 조성물막의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사진이다.
도 10은 실시예 2의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를 제조하는 과정 중에서, 소성 후 찍은 조성물막의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사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탄소 나노튜브 분말 1 내지 20 중량%, 글라스 프리트,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또는 아크릴 수지, 및 에틸셀룰로오스의 혼합물 40 내지 80 중량%, 광개시제 0.1 내지 20 중량%, 및 유기 용매 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전계 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에미터 페이스트 조성물로서, 상기 글라스 프리트를 상기 탄소 나노 튜브 분말의 1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00 중량비로 포함하는 탄소 에미터 페이스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계 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에미터 페이스트 조성물을 인쇄하고, 인쇄한 페이스트 조성물을 90 내지 110 ℃에서 10 분 내지 1 시간 동안 건조하고, 건조시킨 상기 조성물을 노광 및 현상하고, 상기 현상된 조성물을 400 내지 500 ℃에서 10 내지 30 분 동안 소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전계 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에미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계 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에미터 페이스트 조성물은 탄소 나노튜브 분말 1 내지 20 중량%, 글라스 프리트,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또는 아크릴 수지, 및 에틸 셀룰로오스의 혼합물 40 내지 80 중량%, 광개시제 0.1 내지 20 중량%, 및 유기 용매 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글라스 프리트는 상기 탄소 나노 튜브 분말의 1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00 중량비의 양으로 사용된다.
상기 탄소 나노튜브 분말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전계 방출 소자의 방출 전류 밀도가 낮아질 수 있으며,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성물로 후막을 인쇄하고 노광하는 과정에서 후막을 투과하는 자외선의 양이 적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한 두께의 노광막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글라스 프리트는 상기 탄소 나노 튜브 분말의 1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00 중량비, 즉 글라스 프리트 사용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00 배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글라스 프리트의 함량이 탄소 나노 튜브 분말에 대하여 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전계 방출 소자의 방출 전류 밀도가 낮아질 수 있으며, 5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조성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인쇄하기 어려우며, 방출전류 밀도가 낮아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로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레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메타메틸아크릴레이트(MMA: Methamethylacrylate)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아크릴 수지로는 아크릴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또는 아크릴 수지, 및 에틸셀룰로오스의 혼합물의 함량은 40 내지 8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아크릴 수지, 및 에틸 셀룰로오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혼합수지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탄소 나노튜브 에미터 조성물은 게이트 전극과 캐소드 전극간의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수지 혼합물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방출 전류 밀도가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 및 에틸셀룰로오스 수지의 혼합 중량비는 1:1 내지 1:2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아크릴 수지, 및 에틸셀룰로오스 수지를 각각 1:1:1 내지 0.5: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광개시제로는 열분해성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모노머, 벤조페논계 모노머, 아세트페논계 모노머, 또는 티오키산톤계 모노머 등을 용매와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2,4-디에틸옥산톤(2,4-diethyloxanthone), 또는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용매로는 터피네올(terpineol), 부틸 카르비톨 아세테이트(butyl carbitol acetate: BCA), 톨루엔(toluene), 또는 텍사놀(texanol)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은 0.1 내지 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후막 노광시 노광이 일어나기 어려우며,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후막 표면에서의 광반응이 지나치게 급격히 일어나 후막두께가 감소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터피네올, 부틸 카르비톨 아세테이트, 톨루엔, 또는 텍사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기용매의 함량은 1 내지 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유기용매의 함량이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광개시제와 모노머 간의 반응성을 약화시켜 노광 특성이 안 좋아지는 문제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 조성물은 광반응성 모노머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반응성 모노머는 패턴의 분해 향상제로 첨가되며, 상기한 광개시제와 같은 열분해성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모노머, 벤조페논계 모노머, 아세트페논계 모노머, 또는 티오키산톤계 모노머를 최대 10 중량% 첨가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2,4-디에틸옥산톤(2,4-diethyloxanthone), 또는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탄소 에미터 페이스트 조성물은 분산제 및 소포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 및 소포제의 함량은 각각 0 중량% 보다 크고 10 중량%인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제로는 상용의 계면활성제와 소포제를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의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 형성용 조성물은, 탄소 나노 튜브분말 및 글라스 프리트의 혼합물과 수지혼합물을 혼합하여 제조된다. 이 때, 글라스 프리트를 상기 탄소 나노 튜브 분말의 1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00 중량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 나노 튜브분말과 글라스 프리트의 혼합시에 볼 밀(ball mill)을 사용하여 5 내지 100 rmp의 속도로 1 내지 24 시간 동안 회전시켜혼합할 수도 있다.
상기 수지혼합물로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또는 아크릴 수지, 및 에틸셀룰로오스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상기 수지 혼합물은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아크릴 수지, 및 에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를 유기용매에 희석시킨 다음 혼합하여 제조한다. 이 때, 상기 수지 혼합물에 분산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로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크레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메타메틸아크릴레이트(MMA: Methamethylacrylate)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아크릴 수지로는 아크릴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 및 에틸셀룰로오스 수지의 혼합 중량비는 1:1 내지 2:1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아크릴 수지, 및 에틸셀룰로오스 수지를 각각 1:1:1 내지 0.5: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유기용매로는 터피네올(terpineol), 부틸 카르비톨 아세테이트(butyl carbitol acetate: BCA), 톨루엔(toluene), 또는 텍사놀(texanol)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제로는 상용제품인 테고(Tego) 사의 포멕스(Foamex) 810, BYK-164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분산제의 함량은 0 중량% 보다 크고 10 중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탄소 나노 튜브 분말 및 글라스 프리트의 혼합물과 수지혼합물을 혼합한다. 상기 탄소 나노 튜브 분말과 글라스 프리트의 혼합물이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아크릴 수지, 및 에틸셀룰로오스 수지에 고르게 섞이도록 분산시킨다. 상기 수지에 대한 탄소 나노 튜브 분말과 글라스 프리트 혼합물의 혼합 중량비는 1:0.1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 나노 튜브 분말과 글라스 프리트의 혼합물과 수지 혼합물의 혼합물에 소포제를 0 중량% 보다 크고 10 중량% 이하의 함량으로 첨가하고, 광개시제 0.1 내지 20 중량%를 첨가하여 1 내지 10 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 때, 패턴의 분해 향상제로 광반응성 모노머를 첨가 및 교반하여 혼합시킬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로는 열분해성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모노머, 벤조페논계 모노머, 아세트페논계 모노머, 또는 티오키산톤계 모노머 등을 용매와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2,4-디에틸옥산톤(2,4-diethyloxanthone), 또는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용매로는 터피네올(terpineol), 부틸 카르비톨 아세테이트(butyl carbitol acetate: BCA), 톨루엔(toluene), 또는 텍사놀(texanol)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반응성 모노머로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각각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반응성 모노머의 함량은 최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광반응성 모노머의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조성물이 건조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 유기 용매를 첨가하여 점도가 10,000 cP 내지 50,000 cP인 본 발명의 탄소 나노튜브 에미터 페이스트 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유기용매로는 터피네올(terpineol), 부틸 카르비톨 아세테이트(butyl carbitol acetate: BCA), 톨루엔(toluene), 또는 텍사놀(texanol)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용매의 함량은 1 내지 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용매의 함량이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광개시제와 모노머 간의 반응성을 약화시켜 노광 특성이 안 좋아지는 문제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 본 발명의 전계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계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나노튜브 에미터는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먼저, 상기한 방법과 같이 제조된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 페이스트 조성물을 캐소드 전극에 인쇄하여 후막을 형성하고, 이를 90 내지 110 ℃의 온도에서 10 분 내지 1 시간 동안 건조시킨다.
다음, 마스크를 사용하여 상기 후막을 노광한다. 이 때, 노광에너지는 100 내지 20,000 mJ/㎠인 것이 바람직하며, 원하는 막 두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노광된 막을 0.4 내지 5%의 탄산나트륨 수용액과 아세톤의 혼합용액, 또는 에탄올에서 현상하고, 초음파 클리너를 이용하여 잔사를 제거한다.
상기 현상막을 공기 및 질소 분위기 하에서 400 내지 500℃의 온도로 10 내지 30 분간 소성하여 탄소 나노튜브 에미터를 제조한다. 상기 소성 온도가 400 ℃미만인 경우에는 유기물 성분이 제거되지 않고 글라스 프리트가 녹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50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탄소 나노 튜브 분말이 산소와 반응하여 제거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명확히 표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재될 뿐 본 발명의 내용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1)
탄소 나노 튜브 분말 8 중량% 및 800 L 프리트 글라스 2 중량%를 혼합한 다음, 이 혼합물을 삼분의 일 가량을 볼로 채운 볼 밀 포트(ball mill pot)에 넣고 5 내지 100 rpm의 속도로 회전시키고, 50 메쉬(mesh)의 체로 걸러서 정량하였다.
60% 터피네올에 용해시킨 아크릴 수지로 상용하는 엘바사이트(Elvasite) 25 중량%와 60% 터피네올 용매에 용해시킨 에틸셀룰로오스 고형분 25 중량%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50% 부틸 카비톨 아세테이트(Butyl carbitol acetate:BCA)에 용해시킨 크레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crezol epoxy acrylate oligomer) 25 중량%와 혼합하였다. 여기에 분산제로 BYK-164를 1.5 중량%를 첨가하였다.
상기 탄소 나노 튜브 분말과 프리트글라스의 혼합물 10 중량%와 아크릴, 에틸셀룰로오스, 및 크레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혼합물 75 중량%를 혼합하여 교반시켰다. 여기에 광개시제로서 HSP-188(SK-UCB사 제조) 7 중량% 및 소포제(Tegp 사 제품) 1 중량%를 첨가하여 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다음, 광반응성 모노머로 펜타에리트리톨-트리-테트라-아크릴레이트(pentaerytritol-tri-tetra-acrylate)를 5.5 중량%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3-롤-밀로 10 회 이상 회전시켜 분말이 수지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한 다음, 점도조절제로 유기 용매 터피네올을 12 중량% 첨가하여 페이스트형 탄소 나노튜브 에미터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조성물의 점도는 25,000 cP였다.
(실시예 2)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크레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0 중량% 및 에틸셀룰로오스 고형분 50 중량%의 혼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행하였다.
(비교예 1)
상기한 아크릴, 에틸셀룰로오스 고형분, 및 크레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혼합물 대신,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50 중량%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행하였다.
(비교예 2)
상기한 아크릴, 에틸셀룰로오스 고형분, 및 크레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혼합물 대신, 에틸셀룰로오스 고형분 50 중량%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행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캐소드 전극 위에 인쇄하고, 90 ℃의 온도의 건조기에서 1 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이 다음, 패턴 마스크를 사용하여 2,000 mJ/㎠의노광에너지로 노광하고, 0.4% 탄산나트륨(Na2CO3)수용액에서 현상한 다음, 초음파 클리너를 이용하여 잔사를 제거하여 후막을 형성하였다. 상기 후막을 공기 및 질소 분위기 하에서 450 ℃의 온도로 10 분 동안 소성하여 삼극관 구조의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의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 형성용 조성물 대신에, 상기 실시예 2의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삼극관 구조의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및 4)
실시예 1의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 형성용 조성물 대신에, 각각 비교예 1 및 2의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비교예 3 및 4에 따른 삼극관 구조의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를 제조하였다.
도 1은 상기 실시예 3의 전계 방출형 표시소자의 영상사진이고, 도 2는 애노드 전압을 600 V, 게이트 전압을 60 V로 하여, 상기 실시예 3의 전계 방출형 표시소자에 전기장을 인가하여 3극관을 전면구동한 경우의 영상사진이며, 도 3은 상기 실시예 3의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의 단면사진이다. 상기 도 1 및 3에서와 같이, 캐소드 전극에 입경 20 ㎛ 이하의 미세한 홀을 선택적으로 패터닝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시소자의 발광의 균일도 및 방출 특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게이트와 캐소드 간의 쇼트가 발생되지 않은 상태로 3극관 구조 안에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를 형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는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의 전기장의 세기에 따른 전류밀도 변화, 및 숙성시간에 따른 전류밀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방출 전압이 7.5 V/㎛일 때 전류밀도 300 ㎂/㎠까지 얻을 수 있어, 기준으로 잡고 있는 10 ㎂/㎠를 상회하는 값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간이 흘러도 전류밀도가 감소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도 6a는 비교예 3의 탄소 나노튜브 에미터의 전기장의 세기에 따른 전류 밀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b는 비교예 1의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를 제조하는 과정에 있어, 패턴 후 찍은 조성물막의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사진을 나타낸다.
또한, 도 7은 비교예 2의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탄소나노 튜브 에미터를 제조하는 과정에 있어, 패턴 후 찍은 조성물막의 SEM 사진이다.
도 6a에서와 같이, 각각 비교예 3의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가 나타내는 전류밀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비하여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6b 및 7에서와 같이, 비교예 1 및 2의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 형성용 조성물의 패턴 후 막두께는 각각 3 내지 4㎛이므로 삼극관에 적용하는 경우 게이트 전극과의 거리를 멀게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8은 실시예 3 및 4, 및 비교예 3의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에서 방출된 전자의 전류밀도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비교예 3의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만을 이용하였을 때에 비하여 혼합수지를 이용한 실시예 1 및 2의 전류밀도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 내지 10은 실시예 1 및 2의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를 제조하는 과정 중에서, 소성 후 찍은 조성물막의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사진이다. 도 9 내지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내지 2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조성물막은 삼극관 구조에 적용하기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 형성용 조성물은 미세패턴이 필요한 구조나 에미터의 형상조절이 필요한 3극관 구조에서,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를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방출전류 특성 향상 및 전류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 형성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은 노광성 및 현상성이 우수하고, 진공도 저하 및 전류밀도의 감소를 최소화함으로써 캐소드 전극의 미세 패터닝이 가능하여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의 방출전류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7)

  1. 탄소 나노튜브 분말 1 내지 20 중량%;
    글라스 프리트;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또는 아크릴 수지, 및 에틸 셀룰로오스의 혼합물 40 내지 80 중량%;
    광개시제 0.1 내지 20 중량%; 및
    유기 용매 1 내지 20 중량%
    를 포함하는 전계 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 페이스트 조성물로서, 상기 글라스 프리트를 상기 탄소 나노 튜브 분말의 1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00 중량비로 포함하는 탄소 에미터 페이스트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아크릴 수지, 및 에틸 셀룰로오스 수지의 혼합중량비가 1:1:1 내지 0.5:1:1인 전계 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 페이스트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 및 에틸 셀룰로오스 수지의 혼합중량비가 1:1 내지 1:2인 전계 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 페이스트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인 전계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 페이스트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 공중합체인 전계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 페이스트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터피네올, 부틸 카르비톨 아세테이트, 또는 텍사놀인 전계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 페이스트 조성물.
  7. 전계 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에미터 페이스트 조성물을 인쇄하고;
    인쇄한 페이스트 조성물을 90 내지 110 ℃에서 10 분 내지 1 시간 동안 건조하고;
    건조시킨 상기 조성물을 노광 및 현상하고;
    상기 현상된 조성물을 400 내지 500 ℃에서 10 내지 30 분 동안 소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전계 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에미터의 제조방법.
KR1020020021963A 2002-04-22 2002-04-22 전계 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 페이스트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계 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나노튜브 에미터의 제조방법 KR100852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963A KR100852690B1 (ko) 2002-04-22 2002-04-22 전계 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 페이스트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계 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나노튜브 에미터의 제조방법
US10/421,407 US6858981B2 (en) 2002-04-22 2003-04-22 Electron emission source composition for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and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abricated using same
JP2003117564A JP4288095B2 (ja) 2002-04-22 2003-04-22 電子放出源組成物,電子放出源組成物を利用して製造された電界放出表示装置,および電界放出表示素子
CNB031368018A CN100423161C (zh) 2002-04-22 2003-04-22 用于场发射显示装置的电子发射源组合物及用其制造的场发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963A KR100852690B1 (ko) 2002-04-22 2002-04-22 전계 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 페이스트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계 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나노튜브 에미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3790A true KR20030083790A (ko) 2003-11-01
KR100852690B1 KR100852690B1 (ko) 2008-08-19

Family

ID=29707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1963A KR100852690B1 (ko) 2002-04-22 2002-04-22 전계 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 페이스트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계 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나노튜브 에미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858981B2 (ko)
JP (1) JP4288095B2 (ko)
KR (1) KR100852690B1 (ko)
CN (1) CN100423161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4840A (ko) * 2004-04-29 2005-11-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카본나노튜브, 이를 포함한 전자 방출원 및 이를 구비한전자 방출 소자
US7541390B2 (en) 2005-02-28 2009-06-02 Samsung Sdi Co., Ltd. Composition for preparing electron emitter, electron emitter produced by using the composition, and electron emission device comprising the electron emitter
KR101065394B1 (ko) * 2004-01-09 2011-09-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소자의 전자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제조되는 전자방출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8889B2 (ja) * 2002-01-31 2006-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
US7327080B2 (en) * 2002-03-20 2008-02-05 Disanto Frank J Hybrid active matrix thin-film transistor display
KR20060013379A (ko) * 2003-04-28 2006-02-0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전계 방출 전극의 제조방법
KR20050014430A (ko) * 2003-07-31 2005-02-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소자의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제조되는 전자 방출원
JP4170172B2 (ja) * 2003-08-21 2008-10-22 ダイヤライトジャパン株式会社 照明装置
US20050093424A1 (en) * 2003-11-03 2005-05-05 Lg Electronics Inc.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KR20050049842A (ko) * 2003-11-24 2005-05-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계 방출 표시장치
KR100943192B1 (ko) * 2003-11-25 2010-02-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계방출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965543B1 (ko) * 2003-11-29 2010-06-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계 방출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50060287A (ko) * 2003-12-16 2005-06-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카본나노튜브 에미터의 형성방법
JP4468126B2 (ja) * 2003-12-26 2010-05-26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ダミー電極を備えた電子放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89419B1 (ko) * 2003-12-26 2010-10-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더미 전극을 구비한 전계 방출 표시장치
KR101009978B1 (ko) 2004-01-30 2011-0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계 방출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50066758A (ko) * 2003-12-27 2005-06-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그리드 기판을 구비한 전계 방출 표시장치
KR101018344B1 (ko) * 2004-01-08 2011-03-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계방출형 백라이트 유니트 및 그 구동 방법과 하부패널의 제조 방법
KR20050078327A (ko) * 2004-01-29 2005-08-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계 방출 표시 소자와 이의 제조 방법
KR101013438B1 (ko) * 2004-02-09 2011-02-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계방출소자 및 그를 구비한 백라이트 장치
KR101009983B1 (ko) * 2004-02-25 2011-0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 방출 표시 소자
DE602005000942T2 (de) * 2004-02-26 2008-02-14 Samsung SDI Co., Ltd., Suwon Elektronenemissionsvorrichtung
KR20050087376A (ko) 2004-02-26 2005-08-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소자의 전자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전자방출원
KR20050104643A (ko) * 2004-04-29 2005-11-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 방출 표시장치용 캐소드 기판, 전자 방출 표시장치및 이의 제조 방법
TWI244106B (en) * 2004-05-11 2005-11-21 Ind Tech Res Inst Triode CNT-FED structure gate runner and cathode manufactured method
CN1705059B (zh) * 2004-05-26 2012-08-29 清华大学 碳纳米管场发射装置及其制备方法
KR101041128B1 (ko) * 2004-05-31 2011-06-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 방출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50113900A (ko) * 2004-05-31 2005-12-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 방출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60019845A (ko) * 2004-08-30 2006-03-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 방출 소자
KR20060020017A (ko) * 2004-08-30 2006-03-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 방출 소자와 이의 제조 방법
US20080281014A1 (en) * 2004-09-09 2008-11-13 Mitsubishi Rayon Co., Ltd. Nanosubstance-Containing Composition,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Composite Made With the Same
JP4880606B2 (ja) * 2004-09-24 2012-02-22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シーリング組成物
KR101046976B1 (ko) * 2004-10-19 2011-07-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전자 방출원제조 방법 및 전자 방출원
US7701128B2 (en) * 2005-02-04 2010-04-2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Planar light unit using field emitter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2006278319A (ja) * 2005-03-25 2006-10-12 Ngk Insulators Ltd 光源
KR20060104658A (ko) * 2005-03-31 2006-10-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 방출 소자
KR20060104657A (ko) 2005-03-31 2006-10-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 방출 소자
KR20060104652A (ko) * 2005-03-31 2006-10-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 방출 소자
KR20070011807A (ko) * 2005-07-21 2007-01-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계 방출형 백라이트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한 평판디스플레이 장치
JP2007115675A (ja) * 2005-09-21 2007-05-10 Toray Ind Inc 電子放出源用ペースト
AT504807A1 (de) * 2005-11-18 2008-08-15 Electrovac Ag Leuchtschirm
JP2007207568A (ja) * 2006-02-01 2007-08-16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含有ペーストと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膜の製造方法及び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膜並びに電界電子放出素子
KR20070084918A (ko) * 2006-02-22 2007-08-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자방출원, 상기 전자 방출원을 포함하는 전자 방출 소자, 및상기 전자 방출원의 제조방법
KR101166016B1 (ko) 2006-04-26 2012-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전자 방출원및 상기 전자 방출원을 구비한 전자 방출 소자
CN101093764B (zh) * 2006-06-23 2012-03-28 清华大学 场发射元件及其制备方法
KR100752013B1 (ko) * 2006-06-28 2007-08-28 제일모직주식회사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전자 방출원의 제조방법,이로부터 제조되는 전자 방출원 및 이를 포함하는 평면표시 소자
US20080212261A1 (en) * 2006-07-05 2008-09-04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Energy storage devices and composite articles associated with the same
KR100785030B1 (ko) * 2006-11-13 2007-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계방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02817A (ko) * 2006-12-22 2009-09-30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유리 페이스트
US20080222404A1 (en) * 2007-02-21 2008-09-11 Inventec Corporation In-system programming system and method for motherboard
CN101308755B (zh) * 2007-05-17 2010-06-09 东元电机股份有限公司 场发射显示器的平面发射式阴极结构
US7990068B2 (en) * 2008-03-04 2011-08-02 Xerox Corporation Field emission light emitting device
KR101005115B1 (ko) 2008-03-25 2010-12-3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표면에 그라파이트 나노 구조층을 갖는 셀룰로오스 탄화물 구조체의 합성방법
US8007333B2 (en) 2008-06-06 2011-08-30 Xerox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field emission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formation of an emitter within a nanochannel in a dielectric matrix
KR20100036920A (ko) 2008-09-30 2010-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전자방출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전계 방출 소자
CN101894726A (zh) * 2010-08-12 2010-11-24 福州大学 新型无介质三极场发射器
US8519618B2 (en) * 2011-08-30 2013-08-27 Htc Corporation Display
CN106019653B (zh) * 2016-07-22 2019-04-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假压头组件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63462B1 (fr) 1990-06-13 1992-09-11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Source d'electrons a cathodes emissives a micropointes.
KR100195174B1 (ko) * 1996-07-08 1999-07-01 손욱 전계방출표시소자용 음극 구조체
JP3569135B2 (ja) * 1998-09-09 2004-09-22 株式会社東芝 電界放出陰極の製造方法
JP2000123712A (ja) 1998-10-12 2000-04-28 Nec Corp 電界放射型冷陰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33404B2 (ja) * 1998-12-17 2006-10-11 富士通株式会社 エミッ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3468723B2 (ja) * 1999-07-16 2003-11-17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電子放出源の製造方法、電子放出源及び蛍光発光型表示器
GB0006762D0 (en) * 2000-03-22 2000-05-10 Smiths Industries Plc Displays
KR100355389B1 (ko) * 2000-05-26 2002-10-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표면처리를 이용한 카본 나노튜브 필드 에미션 어레이의제조 방법
KR100354225B1 (ko) * 2000-07-27 2002-09-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계 방출 표시 소자의 에미터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394B1 (ko) * 2004-01-09 2011-09-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소자의 전자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제조되는 전자방출원
KR20050104840A (ko) * 2004-04-29 2005-11-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카본나노튜브, 이를 포함한 전자 방출원 및 이를 구비한전자 방출 소자
US7541390B2 (en) 2005-02-28 2009-06-02 Samsung Sdi Co., Ltd. Composition for preparing electron emitter, electron emitter produced by using the composition, and electron emission device comprising the electron emi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88095B2 (ja) 2009-07-01
CN100423161C (zh) 2008-10-01
JP2003331713A (ja) 2003-11-21
KR100852690B1 (ko) 2008-08-19
US6858981B2 (en) 2005-02-22
CN1467772A (zh) 2004-01-14
US20040066132A1 (en) 200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2690B1 (ko) 전계 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나노 튜브 에미터 페이스트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계 방출 표시소자용 탄소 나노튜브 에미터의 제조방법
KR100714325B1 (ko) 전자 필드 이미터의 에미션을 향상시키기 위한 공정
KR100777113B1 (ko) 미세패터닝이 가능한 고 신뢰성의 cnt 에미터 제조 방법
KR100911370B1 (ko) 고 신뢰성 cnt 페이스트의 제조 방법 및 cnt 에미터제조 방법
US20060237690A1 (en) Phosphor for low-voltage electron beam,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vacuum fluorescent display
JP2005183370A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エミッターの形成方法
KR100839418B1 (ko) 전계 방출 소자의 감광성 카본 나노튜브 페이스트 조성물및 전계 방출 소자
KR100814838B1 (ko) 전계 방출 소자의 카본 나노튜브 에미터 형성용 조성물 및그 제조 방법
US20060255297A1 (en) Electron emission source,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electron emission device using the electron emission source
KR20020010164A (ko) 전계 방출 표시 소자의 에미터 제조 방법
KR101166014B1 (ko)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자 방출원, 및 상기 전자 방출원을 포함하는 전자 방출 소자
CN100547713C (zh) 制造场发射器件的方法
KR101100820B1 (ko)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자방출원, 및 상기 전자 방출원을 포함하는 전자 방출 소자
KR100965545B1 (ko) 평판 표시 소자의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형성된 전자 방출원
KR20080045858A (ko) 카본 나노튜브가 포함된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전계방출소자의 제조공정
KR100274246B1 (ko) 진공 형광 디스플레이장치용 형광막 및 그 제조 방법
KR101100814B1 (ko)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자방출원, 및 상기 전자 방출원을 포함하는 전자 방출 소자
KR100614042B1 (ko) 평판 표시 소자의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는 전자 방출원의 제조 방법, 이로부터 형성된 전자 방출원 및 평판표시소자
KR20060029733A (ko) 엣지-컬 버퍼층을 적용한 에미터 구조 및 그 제작 방법.
KR20050104814A (ko)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그로부터 제조되는 전자방출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방출 소자
KR20060021745A (ko)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그로부터 제조되는 전자방출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방출 소자
KR20060054545A (ko)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자방출원, 및 상기 전자 방출원을 포함하는 전자 방출 소자
KR20060115101A (ko) 전자 방출원 제조 방법, 전자 방출원 및 상기 전자방출원을 구비한 전자 방출 소자
KR20050116430A (ko) 전자 방출 소자
KR20070105507A (ko) 전자 방출원 및 이를 구비한 전자 방출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