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1078A - 면 실장형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면 실장형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1078A
KR20030081078A KR10-2003-0021975A KR20030021975A KR20030081078A KR 20030081078 A KR20030081078 A KR 20030081078A KR 20030021975 A KR20030021975 A KR 20030021975A KR 20030081078 A KR20030081078 A KR 20030081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drum
coil
partial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1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8708B1 (ko
Inventor
신도마사토시
기무라쓰카사
이케다도모키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1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1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8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87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45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of cylindric geometry and coil wound along its longitudinal axis, i.e. rod or drum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43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two, usually identical or nearly identical parts enclosing completely the coil (pot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화를 달성함과 함께 제품마다의 코일 특성의 격차를 억제할 수 있는 면 실장형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면 실장형 코일 부품(10)은 코일이 감긴 드럼형 코어(12)와, 상기 드럼형 코어(12)를 그의 축 주위로 포위하는 외장 코어(14)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외장 코어(14)는 한 쌍의 부분 코어들(15, 16)로 분할되어 있고, 각각의 부분 코어들(15, 16)은 드럼형 코어(12)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인 코어 갭(18)을 갖고 배치되어 있다. 코어 갭(18)은 접착제(S)에 입자 직경이 일치된 대략 구형 입자(G)를 혼합한 접착 재료(M)에 의해 드럼형 코어(12)와 각각의 부분 코어들(15, 16)을 접착함으로써, 칼라(collar)부(12b)의 원주 방향을 따라 거의 일정한 간격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코어 갭(18)은 대략 구형 입자(G)의 입자 직경에 의해 규정된다.

Description

면 실장형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Surface-mounting-type coil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회로 기판에 면 실장하는 면 실장형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일 부품은 휴대전화, 하드 디스크 장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전자기기의 전원 회로에 필수인 전자 부품이다. 그 중에서도,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은 프린트 배선판에 낮은 높이로 실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각종 전자기기의 소형화가 진행되는 요즘, 그 필요도가 향상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참조).
이와 같은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은 실장되어야 할 프린트 배선판에 거의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하 양단에 칼라부를 가지고, 바디부에 코일(권선)이 감긴 기둥 형상의 드럼형 코어와, 상기 드럼형 코어 주위에 배치되는 링형 외장 코어와, 상기 외장 코어의 상면에 서로 떨어져 배치된 한 쌍의 단자 전극부를 구비하고 있다. 코일의 양 단말은 용접이나 납땜 등에 의해 단자 전극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1-332425호 공보
그렇지만, 종래의 면 실장형 코일 부품에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링형 외장 코어에 의하면, 제품마다에 있어서 외장 코어와 드럼형 코어와의 간격을 원하는 값으로 하는 것은 곤란하여, 간과할 수 없는 범위의 코일 특성(예를 들면, L특성이나 직류 중첩 특성 등)의 격차가 생겼었다. 또한, 종래의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은 외장 코어를 드럼형 코어에 삽입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외장 코어의 직경은 여유를 가지고 설계하여야만 하여, 여유분만큼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이 대형화하는 것, 외장 코어와 드럼형 코어와의 간격이 과대해지는 것, 외장 코어에 대하여 드럼형 코어가 기울어 배치될 우려가 있는 것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소형화를 달성함과 함께제품마다의 코일 특성의 격차를 억제할 수 있는 면 실장형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의 제 1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a는 제 1 실시형태의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의 평면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한 코일 부품의 정면도, 도 2c는 도 2a에 도시한 코일 부품의 측면도.
도 3a는 드럼형 코어에 코일을 감기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b 및 도 3c는 코일의 권선을 끝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을 제조하는 한 공정을 도시하며, 드럼형 코어와 부분 코어들을 접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a 및 5b는 드럼형 코어와 부분 코어들을 접착하는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4의 연속 공정으로서, 전극의 돌출 부재에 의해 코일을 임시 고정(temporal tacking)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6의 연속 공정으로서, 코일의 선단부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도 7의 연속 공정으로서, 전극의 돌출 부재 부근에 용접을 실시하여 계선(繼線)을 끝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상술한 면 실장형 코일의 직류 중첩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의 제 2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a는 제 2 실시형태의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의 평면도, 도 11b는 도 11a에 도시한 코일 부품의 XIb-XIb를 취한 단면도.
도 12a는 접착 재료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2b는 드럼형 코어와 부분 코어들과의 접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3a는 제 3 실시형태의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의 평면도, 도 13b는 도 13a에 도시한 코일 부품의 XIIIb-XIIIb를 취한 단면도.
도 14a는 제 4 실시형태의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의 평면도, 도 14b는 도 14a에 도시한 코일 부품의 XIVb-XIVb를 취한 단면도.
도 15a는 제 5 실시형태의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의 평면도, 도 15b는 도 15a에 도시한 코일 부품의 XVb-XVb를 취한 단면도.
도 16은 제 6 실시형태의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의 평면도.
도 17은 제 7 실시형태의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의 평면도.
도 18은 제 8 실시형태의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의 사시도.
도 19는 제 8 실시형태의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의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종래예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표.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종래예에 있어서의 특성 비교를 도시하는 도표.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면 실장형 코일 부품 11: 코일
11a, 11b: 코일의 단말 12: 드럼형 코어
12a: 바디부 12b, 12c: 칼라부
14: 외장 코어 15, 16: 부분 코어
18: 코어 갭 21, 22: 갭부
25, 26: 전극 G: 입자
M: 접착 재료 S: 접착제
본 발명과 관련된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은 코일이 감긴 드럼형 코어와, 상기 드럼형 코어를 그의 축 주위로 포위하는 외장 코어를 구비하는 면 실장형 코일 부품에 있어서, 외장 코어는 복수의 부분 코어들로 분할되어 있고, 각각의 부분 코어들은 드럼형 코어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면 실장형 코일 부품에서는, 외장 코어는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부분 코어들은 독립적으로 드럼형 코어에 배치시킬 수 있고, 따라서, 드럼형 코어와 외장 코어 사이의 갭을 상기 소정의 간격으로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여유분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면 실장형 코일 부품 자체의 면적이 작아지고, 또한, 상기 갭이 부품마다 거의 일정해져 부품마다의 코일 특성의 격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면 실장형 코일 부품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간격은 입자 직경이 일치된 대략 구형 입자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각각의 부분 코어들과 드럼형 코어 사이의 갭을 상기 소정의 간격으로 할 수 있는 구성을 간단하고 또한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대략 구형 입자는 드럼형 코어와 각각의 부분 코어들을 접착하는 접착제에 다수 혼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각각의 부분 코어들과 드럼형 코어 사이의 갭에 대략 구형 입자를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은 코일이 감긴 드럼형 코어와, 상기 드럼형 코어를 포위하도록 설치된 외장 코어를 구비하는 면 실장형 코일 부품에 있어서, 외장 코어는 복수의 부분 코어들로 분할되어 있고, 드럼형 코어와 각각의 부분 코어들은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입자 직경이 일치된 대략 구형 입자를 다수 혼합한 접착제를 개재시켜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면 실장형 코일 부품에서는, 외장 코어는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부분 코어들은 독립적으로 드럼형 코어에 배치시킬 수 있고, 또한, 대략 구형 입자에 의해 드럼형 코어와 외장 코어 사이의 갭을 규제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여유분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면 실장형 코일 부품 자체의 면적이 작아지고, 또한, 대략 구형 입자가 드럼형 코어 및 외장 코어에 접촉하기 때문에, 상기 갭이 부품마다 거의 일정해져 부품마다의 코일 특성의 격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면 실장형 코일 부품에 있어서, 대략 구형 입자는 비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대략 구형 입자 자체가 코일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부품마다의 코일 특성의 격차를 더욱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면 실장형 코일 부품에 있어서, 드럼형 코어는 코일이 감긴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칼라부를 구비하며, 각각의 부분 코어들은 칼라부의 외주면과 대향하고, 상기 칼라부의 외주면과 동등한 곡률 반경을 갖는 내주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드럼형 코어와 외장 코어 사이의 갭을 드럼형 코어의 둘레 방향을 따라 거의 일정한 간격으로 할 수 있으므로, 부품마다의 코일 특성의 격차를 더욱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면 실장형 코일 부품에 있어서, 각각의 부분 코어들 사이에는, 서로 접합하지 않도록 갭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외장 코어를 드럼형 코어에 충분히 근접하여 배치할 수 있어, 면 실장형 코일 부품 자체의 면적을 보다 한 층 더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외장 코어에 설치된 한 쌍의 전극을 구비하며, 코일의 단말은 상기 갭부에서, 또는 상기 갭부로부터 인출되어 전극과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코일의 단말은 외장 코어를 구성하는 부분 코어들 간의 갭부에서, 또는 갭부로부터 인출되어 전극과 접속된다. 즉, 코일은 외장 코어의 상측을 우회하지 않기 때문에, 코일이 외장 코어에 놓인 부분만큼 코일 부품의 높이가 높아진다는 문제가 생기지 않아, 거의 코일의 두께분은 높이 저감화를 실현할 수 있다. 더욱이, 코일과 전극을 계선함에 있어서는, 권선을 외장 코어의 숄더 부분에서 굴곡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코일의 단말은 드럼형 코어의 높이 방향으로 굴곡되지 않고 상기 갭부로 통해 있는 것이 적합하다.
드럼형 코어의 높이 방향이란 드럼형 코어에 있어서의 코일이 감기는 바디부의 축 방향에 상당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한 경우,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을측방향, 즉 드럼형 코어의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면, 코일의 단말이 직선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에서는 코일 부품 내에 있어서 코일의 배선 패턴이 극히 간결하여 계선 작업도 용이하다.
또한, 코일의 단말은 갭부에서 전극에 접속됨과 함께, 하나의 부분 코어의 제 1 면과 상기 부분 코어와 이웃하는 코어의 제 2 면에 의해 갭부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면과 제 2 면은 서로의 간격이 드럼형 코어로부터 순차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확대화되고 있는 것이 적합하다. 즉, 제 1 면과 제 2 면은 서로의 간격이 드럼형 코어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갭부에서 코일과 전극을 계선하면, 외장 코어의 바깥 측에서 계선을 하는 경우에 비하여, 코일 부품을 소형화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면 및 제 2 면을 드럼형 코어의 중심에서 바깥 측을 향하여 확대함으로써, 계선 작업을 위한 스페이스가 확보됨으로써, 상기 작업을 매끄럽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과의 위치 관계를 대략 수직으로 하면, 계선 작업의 스페이스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전극은 부분 코어에 부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이어서 설치된 돌출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 부재를 본체부 측으로 굴곡함으로써, 본체부와 돌출 부재 사이에 코일의 단말이 끼워져 있는 것이 적합하다.
이러한 돌출 부재를 설치하면, 돌출 부재로 코일의 단말을 임시 고정하고 나서 용접이나 납땜 등으로 접속을 견고하게 한다는 수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을 프린트 배선판 등으로 실장할 때, 납땜 등의 열로 코일의 단말에 실시된 땜납이 용융해도, 코일은 돌출 부재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전극으로부터 떨어져 단선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에 있어서, 더욱이, 하나의 부분 코어에 부착된 전극의 돌출 부재는 드럼형 코어의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신장시켰을 때, 그의 부분 코어와 이웃하는 부분 코어에 접촉하지 않는 것이 적합하다.
전극의 본체부와 돌출 부재 사이에 코일을 통과시킬 때, 돌출 부재의 선단을 전극 본체부로부터 이격시켜 갭을 크게 해 두면, 그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갭을 크게 함으로써, 작업 용이성 효과는 외장 코어의 외주부에서 코일과 전극을 계선하는 구성일 때보다도, 갭부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계선하는 구성일 때에 현저해진다. 그리고, 돌출 부재의 선단과 전극 본체부와의 갭을 크게 하기 위해 돌출 부재를 신장시킨 경우에, 옆의 부분 코어와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부분 코어의 존재가 계선 작업이 방해받지 않아 상기 작업을 매끄럽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 부재를 구비한 구성을 채용함에 있어서, 드럼형 코어는 코일이 감긴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칼라부를 구비하며, 전극의 돌출 부재에 있어서의 근원 부분은 드럼형 코어의 높이 방향에 대해서, 칼라부 주위에 위치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와 같이, 바디부 주위가 아니라 칼라부 주위에 돌출 부재의 근원 부분을 위치시킴으로써, 코일이나 갭부로 통과할 때 돌출 부재의 존재가 방해받는 일이 없어 계선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돌출 부재를 구비한 구성을 채용함에 있어서, 드럼형 코어는 코일이 감긴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칼라부를 구비하며, 전극의 돌출 부재는 한 쌍의 칼라부의 간격 이상의 길이를 갖는 것이 적합하다.
돌출 부재를 이와 같은 길이로 형성하면, 코일의 양 단말이 바디부의 어떠한 높이 위치로부터 인출되어도 돌출 부재에 의해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코일을 예를 들면 크로스와이즈(crosswise) 등의 방법으로 권선함으로써 한쪽 끝이 바디부 하측으로부터 인출되고, 다른쪽 끝이 바디부의 바깥 측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라도, 돌출 부재는 양 단말을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코일의 양 단말 각각을 위해 전극을 준비할 필요가 없어, 생산 효율이 높아짐과 함께 코스트 삭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은 드럼형 코어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후크부를 가지고, 상측 및 하측의 후크부에 의해 부분 코어들에 부착되어 있도록 하여도 된다. 전극을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부분 코어들로의 전극 설치가 용이하고, 또한, 불의의 탈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면 실장형 코일 부품에 있어서, 드럼형 코어는 코일이 감긴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한측에 설치된 제 1 칼라부와, 바디부의 다른 측에 설치되고, 제 1 칼라부보다도 큰 직경을 갖는 제 2 칼라부를 포함하여, 각각의 부분 코어들은 제 1 칼라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가짐과 함께, 제 2 칼라부에 있어서의 제 1 칼라부에 대향하는 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갖고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 2 칼라부에 있어서 제 1 칼라부에 대향하는 면의 이면 측으로 누설하는 자속을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은 코일이 감긴 드럼형 코어와, 그의 축 주위로 포위하는 외장 코어를 구비하며, 외장 코어가 복수의 부분 코어들로 분할되어 있는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입자 직경이 일치된 대략 구형 입자를 다수 혼합한 접착제를 드럼형 코어의 외주면 또는 복수의 부분 코어들의 내주면 또는 이들 쌍방에 도포한 후, 드럼형 코어의 외주면과 복수의 부분 코어들의 내주면을 대향시켜 배치하고, 접착제를 경화시켜 드럼형 코어와 복수의 부분 코어들을 접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에서는, 외장 코어는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부분 코어들은 독립하여 드럼형 코어에 배치시킬 수 있고, 또한, 대략 구형 입자에 의해 드럼형 코어와 외장 코어 사이의 갭을 규제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여유분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면 실장형 코일 부품 자체의 면적이 작아지고, 또한, 대략 구형 입자가 드럼형 코어 및 외장 코어에 접촉하기 때문에, 상기 갭이 부품마다 거의 일정해져 부품마다의 코일 특성의 격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드럼형 코어 및 부분 코어들을 자장 내에 배치한 상태에서, 드럼형 코어의 외주면과 부분 코어들의 내주면을 대향시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드럼형 코어와 부분 코어들을 자장 내에 배치하면, 쌍방간에 흡인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부분 코어들과 드럼형 코어가 서로 끌어당겨, 대략 구형 입자가 부분 코어들의 내주면 및 드럼형 코어의 외주면에 확실하게 접촉하게 된다.
또한, 부분 코어들을 내주면이 상방을 향한 상태에서 자장 내에 배치하고, 부분 코어들의 내주면 상에 드럼형 코어를 장착함으로써 드럼형 코어의 외주면과 부분 코어들의 내주면을 대향시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흡인력 외에 중력이 작용하게 되어, 대략 구형 입자가 부분 코어들의 내주면 및 드럼형 코어의 외주면에 의해 한 층 더 확실하게 접촉하게 된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면 실장형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동일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여,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면 실장형 코일 부품(1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각각 동일 코일 부품(10)의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이다. 면 실장형 코일 부품(10)은 프린트 배선판 등에 리플로우(reflow) 납땜 등으로 면 실장된 상태로, 휴대 전화, 하드 디스크 장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전자기기의 전원 회로에 적용되어, 예를 들면 250kHz 내지 1MHz의 스위칭 주파수로 적합하게 사용되는 것이다.
면 실장형 코일 부품(10)은 바디부에 코일(11)이 감긴 드럼형 코어(12)와,상기 드럼형 코어(12)를 그의 축 주위로 포위하도록 설치된 외장 코어(14)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드럼형 코어(12)와 외장 코어(14)는 후술하는 접착 재료(M)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본 예에 있어서, 코일(11)은 평각 형상인 것(단면이 직사각형)을 사용하고 있다. 코일(11)로서 둥근 선 타입인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외장 코어(14)는 동일 형상인 2개의 부분 코어들{제 1 부분 코어(15), 제 2 부분 코어(16)}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부분 코어들(15, 16)은 드럼형 코어(12)와의 사이에 코어 갭(18)을 개재시켜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부분 코어들(15, 16)에는 한 쌍의 전극(25, 26)이 설치되어 있고, 코일(11)의 양 단말(11a, 11b)은 각각 전극(25, 26)에 계선된다.
또한,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도 2a에 있어서, 전극(25) 측은 코일과 전극의 계선 작업을 실시한 상태를 도시하며, 전극(26) 측은 계선 작업을 실시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드럼형 코어(12)는 예를 들면 Ni-Cu-Zn계 자성 재료로 형성되며, 코일(11)이 감긴 원주형 바디부(12a)와, 상기 바디부(12a)의 축 방향 양단에 설치된 원판형의 한 쌍의 칼라부(12b, 12c)로 구성되어 있다. 원주형 바디부(12a)의 축 중심과 원판형 칼라부(12b, 12c)의 축 중심은 일치하고 있다.
코일(11)은 구리선에 절연용 우레탄 피막을 실시한 것으로, 양 선단부에 있어서는 전극(25, 26)과의 전도를 도모하기 위해 우레탄 피막이 제거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일(11)은 소위 크로스와이즈법으로 바디부(12a)에 감겨 있다(후술하는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
외장 코어(14)는 드럼형 코어(12)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Ni-Cu-Zn계 자성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부분 코어들(15, 16)은 횡단면이 대략 V자형이고, 그의 내주면은 코어 갭(18)을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하기 위해, 드럼형 코어(12)의 외주면에 대응시켜 오목 곡면을 구성하고 있고, 칼라부(12b, 12c)의 외주면과 동등한 곡률 반경을 갖고 있다.
드럼형 코어(12) 및 외장 코어(14) 사이의 갭인 코어 갭(18)은 코일 특성을 좌우하는 것이다. 코어 갭(18)은 접착제(S)에 입자 직경이 일치된 대략 구형 입자(G)를 혼합한 접착 재료(M)에 의해 드럼형 코어(12)와 각각의 부분 코어들(15, 16)을 접착함으로써, 칼라부(12b, 12c)의 원주 방향을 따라 거의 일정한 간격(소정의 간격)으로 되어 있다. 즉, 코어 갭(18)은 드럼형 코어(12) 및 외장 코어(14) 사이에 존재하는 입자(G)의 입자 직경에 의해 규정된다.
입자(G)는 거의 동등한 입자 직경을 갖는 대략 구형으로 형성된 비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절연물이면 좋고, 유리 비즈나 합성 수지제 비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입자(G)의 입자 직경은 면 실장형 코일 부품(10)에 요구되는 코일 특성(L특성, 직류 중첩 특성 등)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된다. 또한, 입자(G)의 입자 직경은 시판하는 유리 비즈를 체로 걸르거나, 평행도가 높은 2장의 철판을 대략 평행하게 배치한 슬릿 기구 등에 의해 선별하거나 하여, 더욱 입자 직경을 일정한 값에 가깝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접착제(S)는 경화 시에 부피 수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에폭시계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접착제(S)가 경화할 때에 부피 팽창을 동반하면, 코어 갭(18)이 입자(G)의 입자 직경에 의해 규정되는 치수보다도 커져버릴 우려가 있다는 이유에 근거하는 것이다.
도 2b, 도 2c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부분 코어들(15, 16)의 높이는 드럼형 코어(12)보다도 약간 낮게 되어 있다. 더욱이, 각각의 부분 코어들(15, 16)은 평면에서 보아 서로 2개의 선단부가 대향하도록 드럼형 코어(12) 주위에 배치되어 있고, 각 선단부 사이에는 갭부(21, 22)(도 2a에 파선으로 도시된 영역)가 형성되어 있다.
부분 코어들(15, 16)은 평면에서 보아 외형이 구형 형상인 외장 코어를 단지 대각선을 따라 구분한 것이 아니라, 다른쪽의 부분 코어에 대향하는 각각의 선단부를 절단 혹은 모떼기한 것과 같은 형상으로 소결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부분 코어(15)의 면(제 1 면; SA1)과 부분 코어(16)의 면(제 2 면; SB1)으로 갭부(21)가 구성되며, 부분 코어(15)의 면(제 1 면; SA2)과 부분 코어(16)의 면(제 2 면; SB2)으로 갭부(22)가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부분 코어(15)에 있어서의 갭부(21)를 구성하는 면(SA1)과, 부분 코어(15)와 이웃하는 부분 코어(16)에 있어서의 상기 갭부(21)를 구성하는 면(SB1)은 서로의 간격이 드럼형 코어(12)의 중심에서 멀어짐에 따라서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갭부(22) 측에 있어서도, 면(SA2)과 면(SB2)은 동일하게 바깥 측을 향하여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각각의 갭부들(21, 22)은 바깥 측을 향함에 따라서 넓어지는 공간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면(SA1)과 면(SB1)은 대략 수직인 위치관계에 있고, 마찬가지로 면(SA2)과 면(SB2)도 대략 수직인 위치 관계에 있다. 여기서, 대략 수직이란 양면이 이루는 각도가 반드시 90°일 필요는 없으며, 약간의 어긋남이 있어도 되는 것을 의미한다. 어긋남의 범위로서는 예를 들면 80°내지 100°로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전극(25, 26)은 부분 코어들(15, 16)에서 갭부들(21, 22) 근방에 부착된 본체부(25a, 26a)와, 상기 본체부에 이어서 설치되어 갭부들(21, 22)에 위치하는 띠형 돌출 부재(안내 부재; 25b, 26b)를 갖는다. 본체부(25a, 26a)는 부분 코어들의 외벽과 면 접촉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중심 부분을 가지고, 상기 중심 부분보다도 높이가 작은 부분이 도 2c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으로 이어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어서 설치된 동일 도면 우측 부분은 면(SA1)을 따르도록 굴곡되어 있고, 상기 굴곡 부분으로부터 상기 돌출 부재(25b, 26b)가 바깥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더욱이, 도 2b의 도면 중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들(25, 26)의 바닥부는 내측으로 굴곡되어 있고, 상기 바닥부는 부분 코어 바닥면에 형성된 단부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전극들(25, 26)은 예를 들면 일액성 에폭시 수지 등의 각종 접착제에 의해 부분 코어들에 접착된다. 이러한 전극의 바닥부에 리플로우 납땜 등을 실시함으로써, 프린트 배선판에 면 실장형 코일 부품(10)이 실장되게 된다.
또한, 전극들(25, 26)은 인 청동으로 형성되어 있고, 부분 코어들과 대면하는 영역을 제외하고 도금이 되어 있다. 도금 처리는 예를 들면 두께 0.5㎛인 Ni에 의한 기초 도금을 실시한 상태에서, 두께 4㎛인 Sn 100%인 도금을 실시하는 수법을채용할 수 있다.
또한, 전극들(25, 26)의 돌출 부재(25b, 26b)는 코일(11)의 계선 작업을 하는 전단계에서는, 도 1에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 코어(15)의 면(SA1)의 대략 법선 방향(X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2c로부터도 알 수 있다. 그리고, 계선에 있어서는, 코일의 단말(11a, 11b)을 각각 갭부들(21, 22)에 통과시켜, 돌출 부재(25b, 26b)를 코킹(calking) 가공 등으로 전극의 본체부(25a, 26a) 측에 굴곡하여, 본체부와 돌출 부재 사이에 코일의 단말(11a, 11b)의 피막이 제거된 부분을 끼우는 형태가 된다.
또한, 돌출 부재에 의한 삽입은 임시 고정으로, 도 2a의 갭부(21) 측과 같이 그 위에서 아크 용접이나 레이저 빔 용접, 혹은 납땜 등을 실시함으로써 계선 작업이 완료한다. 이와 같이 돌출 부재(25b, 26b)에 의해 임시 고정하는 수법을 채용함으로써, 그 후의 납땜 등의 작업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더욱이, 면 실장형 코일 부품(10)을 프린트 배선판 등으로 실장할 때, 납땜 등의 열로 계선 장소에 실시된 용접 부분이나 땜납이 용융하여도 코일은 돌출 부재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전극들(25, 26)로부터 격리하는 단선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면 실장형 코일 부품으로부터 얻어지는 효과를 설명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코일의 단말(11a, 11b)은 부분 코어들(15, 16) 사이의 갭부들(21, 22)에서 각각 전극들(25, 26)과 접속된다. 즉, 코일(11)은 외장 코어(14)의 상측을 우회하지 않기 때문에, 코일(11)이 외장 코어(14)에 적재된 부분만큼 코일 부품의 높이가 높아진다는 문제는 생기지 않아, 거의 코일(11)의 두께 부분(나아가서는 용접 혹은 납땜의 융기분)은 높이 저감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코일(11)과 전극들(25, 26)과의 계선 작업에 있어서는, 코일(11)을 외장 코어(14)의 숄더 부분에서 굴곡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그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부분 코어(15)의 면(SA1)과 부분 코어(16)의 면(SB1)은 대략 수직이고, 서로의 간격이 바깥 측을 향하여 서서히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갭부(21)는 계선 작업을 하기 위해 충분한 스페이스로 되어 있다. 갭부(22)에 대해서도 같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갭부들(21, 22) 내에 있어서 계선하고 있지만, 계선은 코일의 단말(11a, 11b)을 갭부들(21, 22)로부터 인출하여 행하는 형태로 하여도 된다. 즉, 코일의 단말이 갭부들(21, 22)을 통과한 상태에서 전극에 접속되어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은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갭부들로부터 인출한 코일을 예를 들면 면 SA1의 바깥 측의 변 부분에서 굴곡시켜, 외장 코어(14)의 외주부의 영역에서 전극들에 접속한다.
이 경우도, 코일(11)을 외장 코어(14)의 숄더 부분에서 굴곡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계선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만, 외장 코어(14)의 외주부에서 계선을 하면, 계선에 요하는 전극의 돌출 부재나 용접의 융기분만큼 코일 부품(10)의 치수가 커지기 때문에, 소형화의 관점에서는 갭부들(21, 22)에서 코일과 전극을 계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b,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의 단말(11a, 11b)은 드럼형 코어(12)의 높이 방향(Z방향)으로 굴곡하지 않고갭부(21, 22)로 통해 있다. 즉, 면 실장형 코일 부품(10)을 측방향에서 본 경우에, 코일의 단말(11a, 11b)은 직선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코일의 바디부(12a)에서 외장 코어(14)를 향하는 선분이 굴곡된 경우에 비하여, 코일 부품(10) 내에 있어서의 코일의 배선 패턴이 극히 간결하여, 계선 작업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더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코일(11)은 크로스와이즈법으로 드럼형 코어(12)에 감겨져 있기 때문에, 그의 폭 방향이 드럼형 코어(12)의 높이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도 3c 참조). 그리고, 갭부(21, 22)도 드럼형 코어(12)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11)을 비틀지 않고 갭부를 통과시킬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관점에서도 계선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 코어(15)에 설치된 전극(25)의 돌출 부재(25b)는 드럼형 코어(12)의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X방향)으로 신장시켰을 때, 이웃하는 부분 코어(16)와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부분 코어(16)에 의해 돌출 부재(25b)를 X방향으로 신장시키는 것이 저해되지 않기 때문에, 전극의 본체부(25a)와 돌출 부재(25b)의 선단부와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코일을 전극 본체부(25a)와 돌출 부재(25b) 사이로 통과시키기 쉬워져 계선 작업이 용이해진다.
여기서, 도 2c를 참조하여, 전극들(25, 26)의 돌출 부재(25b, 26b)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의 돌출 부재(26b)에 있어서의 근원 부분(26c), 즉 본체부(26a)와의 경계 부근은 드럼형 코어의 높이 방향(Z방향)에 대해서 칼라부(12c) 주위에 위치하고 있다{도면 중, 칼라부(12c)가 은폐된 부분을 파선으로 도시한다}.
이와 같이, 바디부(12a) 주위가 아니라 칼라부(12c) 주위에 돌출 부재의 근원 부분(26c)을 위치시킴으로써, 코일(11)의 단말(11b)을 갭부(22)에 통과시킬 때, 돌출 부재(26b)의 존재가 방해받는 일이 없어 계선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부재(25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그 근원 부분은 바디부(12a)가 아니라 칼라부(12c) 주위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돌출 부재(25b, 26b)의 긴 변 방향의 길이(X)는 칼라부(12b)와 칼라부(12c)의 간격 이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코일의 양 단말(11a, 11b)이 바디부(12a)의 어떠한 높이 위치로부터 인출되어도 돌출 부재(25b, 26b)에 의해 가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크로스와이즈법으로 코일이 감겨, 바디부(12a)에 있어서 코일은 2단으로 적층되어 있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의 한쪽 단말(11a)은 상측으로부터 인출되고,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의 다른쪽 단말(11b)은 하측으로부터 인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인출되는 코일의 높이 위치가 양단 측에서 다른 경우라도, 돌출 부재의 길이(X)를 상술된 바와 같이 함으로써, 양 단말(11a, 11b)을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단말(11a, 11b)용 전극을 준비할 필요 없이, 한 종류의 전극이면 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 효율이 높아짐과 함께 코스트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한 종류의 전극으로 코일의 각 단말에 대해서 공통으로 사용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서, 전극의 상하 양쪽에 돌출 부재를 설치하여, 각 돌출 부재의 길이 합계를 칼라부들(12b, 12c) 사이의 길이 이상으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면 실장형 코일 부품(10)은 코일이 감긴 드럼형 코어(12)와, 상기 드럼형 코어(12)를 그의 축 주위로 포위하는 외장 코어(14)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외장 코어(14)는 한 쌍의 부분 코어들(15, 16)로 분할되어 있고, 각각의 부분 코어들(15, 16)은 드럼형 코어(12) 사이에 소정의 간격인 코어 갭(18)을 가지고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장 코어(14)는 한 쌍의 부분 코어들(15, 16)로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부분 코어들(15, 16)은 독립적으로 드럼형 코어(12)에 근접 배치시킬 수 있고, 따라서, 드럼형 코어(12)와 외장 코어(14)(부분 코어; 15, 16) 사이의 갭인 코어 갭(18)을 소정의 간격으로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즉, 드럼형 코어 삽입을 위한 외장 코어 직경의 여유분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면 실장형 코일 부품(10) 자체의 평면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입자(G)가 드럼형 코어(12) 및 외장 코어(14)(부분 코어; 15, 16)에 접촉하기 때문에, 코어 갭(18)이 부품마다 거의 일정해져 부품마다의 코일 특성의 격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면 실장형 코일 부품(10)에 있어서, 코어 갭(18)은 입자 직경이 일치된 대략 구형 입자(G)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코어 갭(18)을 소정의 간격으로 할 수 있는 구성을 간단하고 또한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면 실장형 코일 부품(10)에 있어서, 입자(G)는 드럼형 코어(12)와 각각의 부분 코어들(15, 16)을 접착하는 접착제(S)에 다수 혼합되어 있다. 따라서, 코어 갭(18)에 입자(G)를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면 실장형 코일 부품(10)에 있어서, 입자(G)는 비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입자(G) 자체가 코일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부품마다의 코일 특성의 격차를 더욱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면 실장형 코일 부품(10)에 있어서, 각각의 부분 코어들(15, 16)의 내주면은 드럼형 코어(12)의 칼라부(12b, 12c)의 외주면과 동등한 곡률 반경을 갖고 있다. 따라서, 코어 갭(18)을 드럼형 코어(12)의 둘레 방향을 따라 거의 일정한 간격으로 할 수 있어, 부품마다의 코일 특성의 격차를 더욱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면 실장형 코일 부품(10)에 있어서, 각각의 부분 코어들(15, 16) 사이에는 서로 접합하지 않도록 갭부들(21, 2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장 코어(14)(부분 코어; 15, 16)를 드럼형 코어(12)에 충분히 근접하여 배치할 수 있어, 면 실장형 코일 부품(10) 자체의 평면 면적을 보다 한 층 더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면 실장형 코일 부품(1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형 코어(12)의 바디부(12a)에 크로스와이즈법에 의해 코일(11)을 감기 시작한다. 크로스와이즈법이란 1개의 코일을 드럼형 코어의 하측 및 상측에 각각 반대 둘레로 감는 것이다. 또한, 동일 도면에서는상측 칼라부(12b)를 생략하고 있다. 도 3b 및 도 3c는 코일(11)의 권선을 끝낸 상태를 도시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선을 끝낸 후에, 코일(11)의 양 단말(11a, 11b)의 선단부의 절연 피복을 제거한다. 또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와이즈법에서는 코일(11)은 2단으로 적층된 형태가 되며, 코일의 폭 방향은 드럼형 코어(12)의 높이 방향을 따르고 있다. 이와 같이 적층수를 2단으로 가압함으로써, 코일 부품(10)을 낮은 높이로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형 코어(12)에 각각의 부분 코어들(15, 16)을 접착한다. 접착에 있어서는 우선, 전극이 설치된 부분 코어(15)의 내주면에 접착 재료(M)를 도포한 상태에서, 드럼형 코어(12)의 외주면과 부분 코어(15)의 내주면을 대향시켜 배치하고, 드럼형 코어(12)를 접착 재료(M)가 도포된 부분에 접촉시킨다. 그 후, 히트 프레스(150℃에서 약 5 내지 10초)로 접착제(S)를 가경화시킨다. 이어서, 드럼형 코어(12)와 부분 코어(15)를 가압하지 않은 압력 프리 상태에서, 150℃에서 약 30 내지 60분간 가열하여 접착제(S)를 본경화시킨다. 이 때, 도 5a 혹은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 코어(15)를 자석(MG) 상에 배치한 후, 드럼형 코어(12)를 부분 코어(15) 상에 놓도록 하여도 된다. 이로써, 자석(MG)에 의한 흡인력(B)에 의해, 드럼형 코어(12)가 부분 코어(15) 상에 흡착하게 된다. 도 5b에서는, 부분 코어(15)를 내주면이 상방을 향한 상태에서 자석(MG) 상에 배치하고, 부분 코어(15)의 내주면 상에 드럼형 코어(12)를 장착하고 있다. 또한, 도 5에 있어서는 코일(11)의 도시를 생략하고있다.
계속해서, 부분 코어(16)를 같은 수법으로 드럼형 코어(12)에 접착한다. 이 때, 코일의 단말(11a, 11b)이 각각의 갭부들(21, 22)을 지나도록 한다.
또한, 접착 재료(M)는 드럼형 코어(12)(칼라부; 12b, 12c)의 외주면에 도포하여도 되고, 또한, 부분 코어(15)의 내주면 및 드럼형 코어(12)의 외주면에 도포하여도 된다. 상기 접착 재료(M)는 평판 상에 얇게 도포된 접착 재료(M)를 실리콘 스폰지 혹은 실리콘 고무 등을 사용하여, 부분 코어(15)의 내주면 등에 전사함으로써 도포하도록 하여도 된다.
다음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포밍(wire forming)에 의해 코일의 단말(11a, 11b)을 전극의 본체부(25a, 26a) 측으로 근접시킨 후에, 돌출 부재(25b, 26b)를 코킹하여 코일을 임시 고정한다. 이 때, 상술된 바와 같이 갭부들(21, 22)은 계선하는 데 충분한 스페이스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돌출 부재(25b, 26b)를 코킹하고, 돌출 부재로 가압함으로써 코일의 단말(11a, 11b)이 자연스럽게 본체부(25a, 26a) 측으로 안내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돌출 부재(25b, 26b)를 안내 부재로서 이용하면, 와이어 포밍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에, 돌출 부재(25b, 26b)에 삽입된 코일의 선단 부분을 커터 등으로 절단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후, 돌출 부재(25b, 26b)를 덮도록 아크 용접이나 레이저 빔 용접 혹은 납땜 등을 실시하여, 코일(11)과 전극들(25, 26)의 계선작업이 종료한다. 이상으로, 본 실시형태의 면 실장형 코일 부품(10)이 완성된다.
상술한 면 실장형 코일 부품(10)의 제조 방법은 접착 재료(M)를 드럼형 코어(12)의 외주면 또는 부분 코어들(15, 16)의 내주면 또는 이들 쌍방에 도포한 후, 드럼형 코어(12)의 외주면과 부분 코어들(15, 16)의 내주면을 대향시켜 배치하고, 접착제(S)를 경화시켜 드럼형 코어(12)와 부분 코어들(15, 16)을 접착하는 공정을 포함하게 된다.
외장 코어(14)는 한 쌍의 부분 코어들(15, 16)로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부분 코어들(15, 16)은 독립적으로 드럼형 코어(12)에 배치시킬 수 있고, 또한, 입자(G)에 의해 코어 갭(18)을 규제할 수 있다. 즉, 드럼형 코어 삽입을 위한 외장 코어 직경의 여유분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면 실장형 코일 부품(10) 자체의 평면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입자(G)가 드럼형 코어(12) 및 외장 코어(14){부분 코어들(15, 16)}에 접촉하기 때문에, 코어 갭(18)이 부품마다 거의 일정해져 부품마다의 코일 특성의 격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면 실장형 코일 부품(10)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드럼형 코어(12) 및 부분 코어들(15, 16)을 자장 내에 배치한 상태에서, 드럼형 코어(12)의 외주면과 부분 코어들(15, 16)의 내주면을 대향시켜 배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드럼형 코어(12)와 부분 코어들(15, 16)을 자장 내에 배치하면, 쌍방간에 흡인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부분 코어들(15, 16)과 드럼형 코어(12)가 서로 끌어당겨, 입자(G)가 부분 코어들(15, 16)의 내주면 및 드럼형 코어(12)의 외주면에 확실하게 접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면 실장형 코일 부품(10)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부분 코어들(15, 16)을 내주면이 상방을 향한 상태에서 자장 내에 배치하고, 부분 코어들(15, 16)의 내주면 상에 드럼형 코어(12)를 장착함으로써 드럼형 코어(12)의 외주면과 부분 코어들(15, 16)의 내주면을 대향시켜 배치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흡인력 외에 중력이 작용하게 되어, 입자(G)가 부분 코어들(15, 16)의 내주면 및 드럼형 코어(12)의 외주면에 의해 한 층 더 확실하게 접촉하게 된다.
도 9는 상술한 면 실장형 코일 부품(10)의 직류 중첩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가로 축은 전류 Idc(A), 세로 축은 인덕턴스 Ls(μH)를 나타낸다. 외장 코어의 치수는 3.6mm 각이고, 높이는 1.8mm, 내측의 직경은 1.9mm, 권취수(평각선)는 14.5회이다. No.1로써 사용한 유리 비즈(beads)의 직경은 0.05mm(50㎛)이다.
No. 1: 유리 비즈를 사용하여 코어 갭을 형성한 것.
No. 2: 유리 비즈를 사용하지 않고, 코어 갭의 최단 거리가 10 내지 20㎛인 것.
이상의 데이터로부터, 유리 비즈를 사용하여 코어 갭(18)을 형성한 것(No. 1)은 초기 인덕턴스를 향상시키면서도, 0.8A에 있어서의 인덕턴스를 비교적 높게 할 수 있고, 또한, 0 내지 0.8A에 있어서의 인덕턴스의 평탄성도 비교적 높게 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면 실장형 코일부품(30)의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의 코일 부품의 사시도이고, 도 11a는 코일 부품의 평면도이며, 도 11b는 도 11a의 XIb-XIb 방향의 단면도이다.
면 실장형 코일 부품(30)은 코일(11)이 감긴 드럼형 코어(12)와, 상기 드럼형 코어(12)와 거의 동일한 코어 갭(18)을 개재시켜 접착된 한 쌍의 대략 U자형 부분 코어들(35, 36)로 이루어지는 외장 코어(34)를 갖고 있다. 부분 코어(35)와 부분 코어(36)는 서로 접합하지 않도록 대면 위치에 갭부들(41, 42)을 개재시켜 드럼형 코어(12)를 측방향으로부터 포위하고 있다.
코어 갭(18)은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접착 재료(M)를 사용함으로써, 그 치수를 둘레 방향에 걸쳐 거의 일정하게 되어 있다. 즉, 드럼형 코어(12)와 부분 코어들(35, 36) 사이에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자(G)의 입자 직경분만큼의 폭의 코어 갭(18)이 형성하게 된다. 도 12a는 용기에 들어간 상태에서의 접착 재료(M)를 도시하고 있다.
부분 코어(35)에는 부분 코어(36) 측을 향하여 평행하게 돌출된 직방체 형상의 레그부(대향 돌출부; 35a, 35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그부(35a, 35b)에는 한 쌍의 캡형 전극(45, 46)이 설치되어 있다. 캡형 전극들(45, 46)은 부분 코어(35)에 결합되는 본체부(45a, 46a)와, 상기 본체부에 이어서 설치되어 갭부들(41, 42)에 위치하는 돌출 부재(안내 부재; 45b, 46b)를 구비한다.
전극 본체부(45a, 46a)는 각각의 부분 코어들의 레그부(35a, 35b)의 바깥 측에 위치하는 사변형 형상의 중심부와, 그의 상하 네 구석에 형성된 띠형 부재를 굴곡시켜 형성한 후크부(45h, 46h)를 구비한다. 캡형 전극들(45, 46)은 드럼형 코어(12)의 높이 방향의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된 후크부(45h, 46h)의 삽입에 의해, 레그부(35a, 35b)에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은 캡형 전극들(45, 46)을 사용함으로써, 부분 코어들로의 전극 부착이 용이하고, 또한, 불의의 탈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측 후크부(45h, 46h)를 통하여, 프린트 배선판과의 전도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의 면 실장형 코일 부품에 있어서, 이러한 캡형 전극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캡형 전극은 본체부의 사변형 영역을 부분 코어들의 내측에 배치하고, 각 후크부를 바깥 측으로 굴곡시켜 레그부(35a, 35b)에 설치하여도 된다.
돌출 부재(45b, 46b)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코일의 단말(11a, 11b)을 전극 본체부 사이에 삽입하여 고정을 보조하기 위한 것이다. 돌출 부재(45b)는 도면 중 하향으로 굴곡하여 코일을 임시 고정하도록 구성되며, 이와는 반대로, 돌출 부재(46b)는 상향으로 굴곡하여 코일을 임시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도 10은 돌출 부재로 코일을 누르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며, 도 11은 돌출 부재를 굴곡하여 코일을 임시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1의 상태에 아크 용접이나 납땜 등을 실시함으로써 계선이 완료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면 실장형 코일 부품(30) 자체의 평면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음과 함께, 부품마다의 코일 특성의 격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코일의 단말(11a, 11b)은 부분 코어들(45, 46) 간의 갭부(41, 42)에서각각 캡형 전극(45, 46)과 접속된다. 즉, 코일(11)은 외장 코어(34)의 상측을 우회하지 않기 때문에, 거의 코일(11)의 두께분(나아가서는 용접 혹은 납땜부의 융기분)은 높이 저감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코일(11)과 캡형 전극(45, 46)의 계선 작업에 있어서, 코일(11)을 외장 코어(34)의 숄더 부분에서 굴곡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그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더구나, 크로스와이즈법을 이용하여 코일(11)의 폭 방향이 드럼형 코어(12)의 높이 방향과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코일(11)을 비틀지 않고 갭부를 통과시킬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관점에서도 계선 작업이 극히 용이하게 되어 있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의 제 3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3a는 본 실시형태의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의 평면도이고, 도 13b는 도 13a의 XIIIb-XIIIb 방향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면 실장형 코일 부품(50)에서는, 외장 코어(54)를 구성하는 부분 코어들(55, 56)을 동일 형상인 U자형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부분 코어들(55, 56) 사이에 형성된 갭부(61)와 갭부(62)를 연결한 직선형으로 드럼형 코어(12)의 축 중심이 위치하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전극(65, 66)은 접착제에 의해 부분 코어(55)의 양 레그부에 접착되어 있다. 전극들(65, 66)은 부분 코어(55)에 접착되는 본체부(65a, 66a)와, 상기 본체부에 이어서 설치된 돌출 부재(65b, 66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코일의 단말(11a, 11b)은 갭부들(61, 62)로 통과시켜, 돌출 부재(65b, 66b)에 의해 갭부들(61, 62)에서 임시 고정되어 있다. 도 10의 상태로부터, 돌출 부재(65b, 66b) 부근을 덮도록 아크 용접이나 납땜 등을 실시함으로써 계선이 완료한다.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접착 재료(M)를 사용함으로써, 코어 갭(18)을 둘레 방향에 걸쳐 거의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면 실장형 코일 부품(50) 자체의 평면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음과 함께, 부품마다의 코일 특성의 격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코일을 갭부들(61, 62)로 통과시키기 위해, 거의 코일의 두께분의 높이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외장 코어의 숄더 부분에서의 굴곡 작업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코일과 전극의 계선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분 코어들(55, 56)을 동일 형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제 2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일종의 부분 코어들을 제작하면 된다는 이점이 있다.
(제 4 실시형태)
다음에,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의 제 4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4a는 본 실시형태의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의 평면도이고, 도 14b는 도 14a의 XIVb-XIVb 방향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을 평면에서 보아 외장 코어(54)의 바깥 가장자리를 따라 사각형(도 11a에 있어서 파선으로 도시한다)을 가정한 경우에, 부분 코어들(55, 56) 사이의 갭부(61, 62)는 대향하는 2개의 정점 부근에 각각위치하고 있다. 또한, 부분 코어들(55, 56)에 있어서 갭부(61, 62)를 구성하는 면은 상기 가상 사각형의 대각선(ll)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즉, 갭부(61, 62)는 드럼형 코어(12)의 반경 방향에 걸쳐 일정한 폭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예의 경우도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접착 재료(M)를 사용함으로써, 코어 갭(18)을 둘레 방향에 걸쳐 거의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면 실장형 코일 부품(70) 자체의 평면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음과 함께, 부품마다의 코일 특성의 격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코일을 갭부들(61, 62)로 통과시키기 위해, 거의 코일의 두께분의 높이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외장 코어의 숄더 부분에서의 굴곡 작업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코일과 전극의 계선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단, 갭부들(61, 62)이 바깥 측을 향하여 넓어지는 구조를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계선 작업의 용이성이라는 관점에서는 본 실시형태보다도 제 1 실시형태 쪽이 뛰어난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다음에,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의 제 5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5a는 본 실시형태의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의 평면도이고, 도 15b는 도 15a의 XVb-XVb 방향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장 코어(74)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분 코어들(75, 76)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도, 다른쪽 코어를 향하는 레그부의 길이가 좌우(도 15a에서는 상하)에서 다르도록 하고 있다. 부분 코어(75)에서는 레그부(75r)가 다른쪽 레그부(75l)보다도 길고, 부분 코어(76)에서는 레그부(76r)가 다른쪽 레그부(76l)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또한, 부분 코어(75)와 부분 코어(76)는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더욱이, 부분 코어(75)의 양 레그부(75r, 75l)에는 한 쌍의 전극(65, 66)이 설치되어 있다. 전극들(65, 66)은 제 3 실시형태와 동종의 구조를 하고 있고, 부분 코어들에 접착되는 본체부(65a, 66a)와 이것에 이어서 설치되어 갭부(61, 62)에 위치하는 돌출 부재(65b, 66b)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각각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코일을 갭부들(61, 62)로 통과시키기 위해, 거의 권선의 두께분의 높이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외장 코어의 숄더 부분에서의 굴곡 작업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코일과 전극의 계선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경우도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접착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코어 갭(18)을 둘레 방향에 걸쳐 거의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면 실장형 코일 부품(80) 자체의 평면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음과 함께, 부품마다의 코일 특성의 격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6 실시형태)
다음에,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의 제 6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면 실장형 코일 부품(90)에서, 드럼형 코어(12)를 포위하는외장 코어(84)는 부분 코어(85)와 부분 코어(8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부분 코어(85)와 부분 코어(86) 사이에는 갭부(21)가 1 장소에만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하나의 갭부(21)에 코일의 양 단말(11a, 11b)을 통과시켜, 각각 전극들(25, 26)에 접속하고 있다. 전극으로서는 예를 들면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돌출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한 경우, 돌출 부재로 코일을 삽입하는 가고정이나, 그 후의 아크 용접이나 납땜 등의 계선 작업을 갭부(21)의 1 장소에서 집중하여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의 제조 작업이 원활하게 되어 생산성 향상으로도 연결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갭부가 하나만 형성되어 있지만,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갭부가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그 중의 하나에 코일의 양 단말을 통과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예의 경우도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접착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코어 갭(18)을 둘레 방향에 걸쳐 거의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면 실장형 코일 부품(90) 자체의 평면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음과 함께, 부품마다의 코일 특성의 격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7 실시형태)
다음에,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의 제 7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면 실장형 코일 부품(98)에서, 드럼형 코어(12)를 포위하는외장 코어(94)는 부분 코어(95), 부분 코어(96) 및 부분 코어(97)의 3개로 구성되어 있다. 견해를 바꾸면, 도 10에 도시한 면 실장형 코일 부품(50)에 있어서의 부분 코어(56)를 이등분한 것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외장 코어를 3등분한 구조 때문에, 각각의 부분 코어들 사이에는 3개의 갭부들(91, 92, 93)이 형성되어 있다. 갭부를 복수 설치하면, 직류 중첩 특성을 양호하게, 즉 전류 변화에 대한 인덕턴스 변화를 작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부분 코어(95)의 양 레그부에는 한 쌍의 전극(65, 66)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코일의 양 단말(11a, 11b)은 갭부들(91, 92)로 통과되어, 각각의 전극들(65, 66)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외장 코어를 3등분한 경우에도, 상기 각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더욱이, 도시는 생략하지만, 외장 코어를 4개 이상의 부분 코어들로 형성할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경우도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접착 재료(M)를 사용함으로써, 코어 갭(18)을 둘레 방향에 걸쳐 거의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면 실장형 코일 부품(98) 자체의 평면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음과 함께, 부품마다의 코일 특성의 격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8 실시형태)
다음에,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의 제 8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면 실장형 코일 부품(110)에서는, 드럼형 코어(12)의 한쪽 칼라부(12b; 제 2 칼라부)가 다른쪽 칼라부(12c; 제 1 칼라부)보다도 큰 직경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부분 코어들(15, 16)은 칼라부(12c)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코어 갭(18)을 가짐과 함께, 칼라부(12b)에 있어서의 칼라부(12c)에 대향하는 면과의 사이에 코어 갭(18)을 갖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예의 경우도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접착 재료(M)를 사용함으로써, 코어 갭(18)을 둘레 방향에 걸쳐 거의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면 실장형 코일 부품(110) 자체의 평면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음과 함께, 부품마다의 코일 특성의 격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칼라부(12b)에 있어서의 칼라부(12c)에 대향하는 면과 부분 코어들(15, 16) 사이의 코어 갭(18)이 드럼형 코어(12)의 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칼라부(12b)에 있어서의 칼라부(12c)에 대향하는 면의 이면 측으로 누설하는 자속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칼라부(12b)에 있어서의 칼라부(12c)에 대향하는 면과 부분 코어들(15, 16) 사이에 형성되는 코어 갭(18)의 폭과, 칼라부(12c)의 외주면과 부분 코어들(15, 16) 사이에 형성되는 코어 갭(18)의 폭은 면 실장형 코일 부품(110)에 요구되는 코일 특성(L특성, 직류 중첩 특성 등)에 따라서 적당히 설정되며, 반드시 같은 값일 필요는 없다.
(종래예와의 비교)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도 20에 도시된 조건에서 종래예와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각각의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은 종횡 4mm, 두께 1.8mm이고, 인덕턴스가 약 10μH가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이하, 본 코일 부품이라 칭한다)으로서는 제 3 실시형태(도 13)를 채용하고 있다. 코일은 와이어 사이즈 0.1mm×0.4mm의 평각선을 사용하며, 그 권취수는 17.5ts이다. 이 때의 직류 저항은 0.076Ω이다. 또한, 코어 갭은 50㎛이다.
제 1 비교예(이하, 비교예 1이라 칭한다)는 드럼형 코어와 링형 외장 코어로 이루어지며, 이들이 서로 접촉하지 않는 구성을 갖는다. 코일은 와이어 사이즈 ψ0.13mm의 둥근 선을 사용하며, 그 권취수는 19.5ts이다. 이 때의 직류 저항은 0.145Ω이다.
제 2 비교예(이하, 비교예 2라 칭한다)는 드럼형 코어와 링형 외장 코어로 이루어지며, 드럼형 코어의 칼라부가 외장 코어에 접합된 구성을 갖는다. 코일은 와이어 사이즈 ψ0.12mm인 둥근 선을 사용하여, 그 권취수는 17.5ts이다. 이 때의 직류 저항은 0.16Ω이다.
직류 중첩 특성에 대한 인덕턴스의 변화를 도시하는 것이 도 21이다. 이것에 의하면, 본 코일 부품은 비교예 1보다 적고, 비교예 2와 동등한 권취수로 동등한 인덕턴스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양 비교예 1, 2보다도 직류 중첩 특성에 우수하다.
또한, 본 코일 부품에 있어서 코어 갭을 50㎛ 이하로 하는 경우는, 보다 적은 권취수로 동등한 인덕턴스를 얻는 것이 가능해지며, 따라서, 보다 저직류 저항의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이 얻어진다. 한편, 코어 갭을 50㎛ 이상으로 할 경우는동등한 인덕턴스를 가지면서 직류 중첩 특성 향상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코일 부품에 있어서는 평각선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저직류 저항화가 실현된다.
이상, 본 발명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각각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3b에 도시된 형태(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부분 코어들의 레그부를 단면이 내측(드럼형 코어 측)을 향하여 높이가 좁아지도록 테이퍼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전극 본체부에 있어서의 상하 부재를 서로 접근하도록 굴곡시키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전극을 부분 코어들에 결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면 실장형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소형화를 달성함과 함께 제품마다의 코일 특성의 격차를 억제할 수 있다.

Claims (20)

  1. 코일이 감긴 드럼형 코어와, 상기 드럼형 코어를 그의 축 주위로 포위하는 외장 코어를 구비하는 면 실장형 코일 부품에 있어서,
    상기 외장 코어는 복수의 부분 코어들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부분 코어들은 상기 드럼형 코어어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갖고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실장형 코일 부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간격은 입자 직경이 일치된 대략 구형 입자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실장형 코일 부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략 구형 입자는 상기 드럼형 코어와 상기 각각의 부분 코어들을 접착하는 접착제에 다수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실장형 코일 부품.
  4. 코일이 감긴 드럼형 코어와, 상기 드럼형 코어를 포위하도록 설치된 외장 코어를 구비하는 면 실장형 코일 부품에 있어서,
    상기 외장 코어는 복수의 부분 코어들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드럼형 코어와 상기 각각의 부분 코어들은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입자직경이 일치된 대략 구형 입자를 다수 혼합한 접착제를 개재시켜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실장형 코일 부품.
  5.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략 구형 입자는 비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실장형 코일 부품.
  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형 코어는 상기 코일이 감긴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칼라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부분 코어들은 상기 칼라부의 외주면과 대향하고, 상기 칼라부의 외주면과 동등한 곡률 반경을 갖는 내주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실장형 코일 부품.
  7.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부분 코어들 사이에는 서로 접합하지 않도록 갭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실장형 코일 부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코어에 설치된 한 쌍의 전극을 구비하며,
    상기 코일의 단말은 상기 갭부에서, 또는, 상기 갭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전극과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실장형 코일 부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단말은 상기 드럼형 코어의 높이 방향으로 굴곡되지 않고 상기 갭부로 통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실장형 코일 부품.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단말은 상기 갭부에서 상기 전극에 접속됨과 함께,
    하나의 상기 부분 코어의 제 1 면과, 상기 부분 코어와 이웃하는 부분 코어의 제 2 면에 의해 상기 갭부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은 서로의 간격이 상기 드럼형 코어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실장형 코일 부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은 대략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실장형 코일 부품.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부분 코어에 부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이어서 설치된 돌출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 부재를 상기 본체 측으로 굴곡시킴으로써, 상기 본체부와 상기 돌출 부재 사이에 상기 코일의 단말이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실장형 코일 부품.
  13. 제 12 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부분 코어에 부착된 상기 전극의 돌출 부재는, 상기 드럼형 코어의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신장시켰을 때, 상기 부분 코어와 이웃하는 부분 코어에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실장형 코일 부품.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형 코어는 상기 코일이 감긴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칼라부를 구비하며,
    상기 전극의 돌출 부재에 있어서의 근원 부분은 상기 드럼형 코어의 높이 방향에 대해서, 상기 칼라부 주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실장형 코일 부품.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형 코어는 상기 코일이 감긴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칼라부를 구비하며,
    상기 전극의 돌출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칼라부의 간격 이상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실장형 코일 부품.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드럼형 코어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후크부를 가지며, 상기 상측 및 하측의 후크부에 의해 상기 부분 코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실장형 코일 부품.
  17.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형 코어는 상기 코일이 감긴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한측에 설치된 제 1 칼라부와, 상기 바디부의 다른 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칼라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 2 칼라부를 포함하여,
    상기 각각의 부분 코어들은 상기 제 1 칼라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가짐과 함께, 상기 제 2 칼라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칼라부에 대향하는 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갖고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실장형 코일 부품.
  18. 코일이 감긴 드럼형 코어와, 그의 축 주위로 포위하는 외장 코어를 구비하며, 상기 외장 코어가 복수의 부분 코어들로 분할되어 있는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입자 직경이 일치된 대략 구형 입자를 다수 혼합한 접착제를 상기 드럼형 코어의 외주면 또는 상기 복수의 부분 코어들의 내주면 또는 이들 쌍방에 도포한 후, 상기 드럼형 코어의 외주면과 상기 복수의 부분 코어들의 내주면을 대향시켜 배치하고, 상기 접착제를 경화시켜 상기 드럼형 코어와 상기 복수의 부분 코어들을 접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형 코어 및 상기 부분 코어들을 자장 내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드럼형 코어의 외주면과 상기 부분 코어들의 내주면을 대향시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코어들을 상기 내주면이 상방을 향한 상태에서 상기 자장 내에 배치하고, 상기 부분 코어들의 내주면 상에 상기 드럼형 코어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드럼형 코어의 외주면과 상기 부분 코어의 내주면을 대향시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실장형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
KR1020030021975A 2002-04-08 2003-04-08 면 실장형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05787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05607 2002-04-08
JP2002105607 2002-04-08
JP2002380682A JP2004006629A (ja) 2002-04-08 2002-12-27 面実装型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2-00380682 2002-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078A true KR20030081078A (ko) 2003-10-17
KR100578708B1 KR100578708B1 (ko) 2006-05-12

Family

ID=28793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1975A KR100578708B1 (ko) 2002-04-08 2003-04-08 면 실장형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4006629A (ko)
KR (1) KR100578708B1 (ko)
CN (1) CN123887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27325B2 (ja) * 2004-10-04 2011-07-20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面実装型コイル
JP2006344683A (ja) * 2005-06-07 2006-12-21 Neomax Co Ltd ドラムコア及びインダクタ
JP2007053312A (ja) * 2005-08-19 2007-03-01 Taiyo Yuden Co Ltd 面実装型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実装方法
ITUA20163423A1 (it) * 2016-05-13 2017-11-13 Eltek Spa Dispositivo elettromagnetico e relativo procedimento di realizzazione
US11424070B2 (en) * 2018-06-19 2022-08-23 Tdk Corporation Coil compon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38870C (zh) 2006-01-25
JP2004006629A (ja) 2004-01-08
KR100578708B1 (ko) 2006-05-12
CN1450572A (zh) 2003-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04378B1 (en) Common mode choke
JP4781223B2 (ja) インダクタンス素子
CN101345121B (zh) 电感元件
JP4436794B2 (ja) プレート部材、このプレート部材を用いた磁性素子および磁性素子の製造方法
JP3624840B2 (ja) インダクタ
EP2058826A1 (en) Magnetic element
JP2002043136A (ja) リアクトル
EP2665070B1 (en) Surface mount inductor
JP2008198740A (ja) 巻線型コイル
JP4490698B2 (ja) チップコイル
JP4263471B2 (ja) 面実装型コイル部品
KR100578708B1 (ko) 면 실장형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JP2004214371A (ja) 面実装型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080107A (ja) コイル装置
KR101246526B1 (ko) 인덕터 및 그 제조 방법
JP3872420B2 (ja) 面実装型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5154960B2 (ja) 磁性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02601B2 (ja) コイル部品
JP4044566B2 (ja) 表面実装型インダ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8060913A (ja) パルストランス
JP4569532B2 (ja) コイル部品
JP3768955B2 (ja) 面実装型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30263B1 (ko) 칩 안테나 및 그 제조 방법
JP2005285901A (ja) 電子部品およ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5242462B2 (ja) インダ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