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1067A - 포스포늄 페놀레이트 촉매의 저장 및 에스테르교환반응촉매로서의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포스포늄 페놀레이트 촉매의 저장 및 에스테르교환반응촉매로서의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1067A
KR20030081067A KR10-2003-0021886A KR20030021886A KR20030081067A KR 20030081067 A KR20030081067 A KR 20030081067A KR 20030021886 A KR20030021886 A KR 20030021886A KR 20030081067 A KR20030081067 A KR 20030081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enolate
phosphonium phenolate
catalyst
phosphonium
catalys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1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멜라니 뭬트라트
우베 후크스
질케 크라취머
요한 레히너
Original Assignee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30081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106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1/00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 B01J31/02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 B01J31/0234Nitrogen-, phosphorus-, arsenic- or antimony-containing compounds
    • B01J31/0255Phosphorus containing compounds
    • B01J31/0267Phosphines or phosphonium compounds, i.e. phosphorus bonded to at least one carbon atom, including e.g. sp2-hybridised phosphorus compounds such as phosphabenzene, the other atoms bonded to phosphorus being either carbon or hydrogen
    • B01J31/0268Phosphonium compounds, i.e. phosphine with an additional hydrogen or carbon atom bonded to phosphorous so as to result in a formal positive charge on phosphorou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28Phosphorus compounds with one or more P—C bonds
    • C07F9/54Quaternary phosph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2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 C08G64/3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carbonates
    • C08G64/307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carbonates and phen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31/00Catalytic reactions performed with catalysts classified in B01J31/00
    • B01J2231/10Polymerisation reactions involving at least dual use catalysts, e.g. for both oligomerisation and polymerisation
    • B01J2231/14Other (co) polymerisation, e.g. of lactides, ep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31/00Catalytic reactions performed with catalysts classified in B01J31/00
    • B01J2231/40Substitution reactions at carbon centres, e.g. C-C or C-X, i.e. carbon-hetero atom, cross-coupling, C-H activation or ring-opening rea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31/00Catalytic reactions performed with catalysts classified in B01J31/00
    • B01J2231/40Substitution reactions at carbon centres, e.g. C-C or C-X, i.e. carbon-hetero atom, cross-coupling, C-H activation or ring-opening reactions
    • B01J2231/49Esterification or transesterific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용융 에스테르교환 촉매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방법은 (ⅰ) 페놀 어닥트인 포스포늄 페놀레이트를 결정성 고체 형태로 얻고, (ⅱ) 고체 페놀 어닥트를 30 내지 70%의 상대습도 및 -30 내지 50℃의 온도에서 밀폐 용기에서 저장하는 것을 수반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촉매는 용융 에스테르교환반응으로 폴리카르보네이트를 제조하는데 적합하다.

Description

포스포늄 페놀레이트 촉매의 저장 및 에스테르교환반응 촉매로서의 그의 용도{STORAGE OF PHOSPHONIUM PHENOLATE CATALYSTS AND THEIR USE AS INTERESTERIFICATION CATALYSTS}
본 발명은 에스테르교환반응 촉매, 더욱 구체적으로는 포스포늄 페놀레이트 촉매에 관한 것이다.
포스포늄 페놀레이트의 제조법은 DE 197 27 351 C1 및 WO 01 46100 A로부터 공지되었다. 결정형 페놀 어닥트(adduct)로서 얻어지는 고순도 포스포늄 페놀레이트의 합성법은 거기에 기술되어 있다. 이와 같이 얻어진 페놀 어닥트인 포스포늄 페놀레이트는 그 중에서도 폴리카르보네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용융 에스테르교환반응에 에스테르교환 촉매로서 사용된다. 용융 에스테르교환반응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촉매의 순도가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데, 이는 에스테르교환반응에 있어 불순물이 활성 변동, 변색 또는 2차 반응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개 페놀 어닥트인 포스포늄 페놀레이트의 제조는 물리적으로나 기기적인 측면에서 에스테르교환반응과 연계성이 없다. 이는 촉매를 사용하기 전까지 저장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저장 조건에 따라서 촉매의 순도 및 결과적으로는 얻어진 최종생성물의 질이 뒤떨어질 수 있다. 이는 대개 소듐 페놀레이트와 같은 알카리 조촉매를 첨가함으로써 상쇄된다. 그러나 선행 기술은 이러한 문제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에 대해 아무런 언급이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선행기술을 기초로 변함없는 촉매 품질을 보장하는 포스포늄 페놀레이트의 저장법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금 놀랍게도 본 발명자들은 특정 매개변수들이 유지된다면 저장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결정형 고체로서의 페놀 어닥트인 포스포늄 페놀레이트를 특정 상대습도, 온도 및 밀폐 용기에서 유지시킴으로써 그것을 저장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로서 실질적인 질적 변화 없이 5년까지 저장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예를 들어 소듐 페놀레이트와 같은 알카리 조촉매의 부가적인 사용 없이도, 폴리카르보네이트 제조를 위한 용융 에스테르교환반응에 있어 상기 방법으로 저장된 화합물의 촉매로서의 용도를 제공한다.
화학식 1을 갖는 페놀 어닥트인 포스포늄 페놀레이트가 저장하는데 바람직하다.
(여기서, R1내지 R4는 같거나 또는 다르며, 각각 C1-C12알킬, C5-C6시클로 알킬, C7-C12아릴알킬 또는 C6-C14아릴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C6-C14아릴 라디칼, 특히 바람직하게는 C6아릴 라디칼, 특히 페닐 라디칼이고,
R5내지 R7은서로 독립적으로 H, C1-C12알킬, C5-C6시클로알킬, C7-C12아릴 알킬 및 C6-C14아릴을 나타내고, R5내지 R7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수소를 나타내고,
n은 1 또는 2, 특히 바람직하게는 1을 나타내며,
n=2인 경우에는 R4는 C2-C12알킬렌 라디칼을 나타낸다.)
화학식 1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페닐 포스포늄 페놀레이트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페놀 어닥트인 포스포늄 페놀레이트, 바람직하게는 페놀 어닥트인 테트라페닐 포스포늄 페놀레이트는 결정성 고체, 바람직하게는 자유유동성 결정성 고체로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페놀 어닥트인 포스포늄 페놀레이트, 바람직하게는 페놀 어닥트인 테트라페닐 포스포늄 페놀레이트는 밀폐된 금속, 플라스틱 또는 판지 용기에 저장된다. 그것은 바람직하게는 PE 라이너가 있는 강철 또는 플라스틱 용기에 저장되는데, 공기 중에서 넣어 밀폐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밀봉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PE 라이너가 있는 강철 또는 플라스틱 용기에 저장되는데 대기 조건하에서 넣어 밀폐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밀봉하며, 분할할 필요없이 계량용액 (metering solution)을 제조하기 위해 한 단위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크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페놀 어닥트인 포스포늄 페놀레이트, 바람직하게는 페놀 어닥트인 테트라페닐 포스포늄 페놀레이트는 -30 내지 50℃에서,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5℃에서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페놀 어닥트인 포스포늄 페놀레이트, 바람직하게는 페놀 어닥트인 테트라페닐 포스포늄 페놀레이트는 3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5%의 상대습도에서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페놀 어닥트인 포스포늄 페놀레이트, 바람직하게는 페놀 어닥트인 테트라페닐 포스포늄 페놀레이트는 0 내지 5년간,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년간, 특히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5년간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저장되는 페놀 어닥트인 포스포늄 페놀레이트, 바람직하게는 페놀 어닥트인 테트라페닐 포스포늄 페놀레이트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제조반응의 촉매로서 공지의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US-A 3,442,854 참조). 거기에 개시된 용융 에스테르교환반응에 따르면,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는 예를 들면 방향족 디페놀, 탄산 디아릴 에스테르 및 임의로, 분지제 및(또는) 모노페놀로부터 제조된다.본 발명에 따라 저장되는 페놀 어닥트인 포스포늄 페놀레이트, 바람직하게는 페놀 어닥트인 테트라페닐 포스포늄 페놀레이트는 DE-A 10 114 804 및 DE-A 10 119 851에 기술된 방법에서 촉매로서 사용되는데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저장되는 페놀 어닥트인 포스포늄 페놀레이트, 바람직하게는페놀 어닥트인 테트라페닐 포스포늄 페놀레이트는 디페놀 mol당 10-1mol 내지 10-8mol, 바람직하게는 10-3mol 내지 10-7mol의 양으로 에스테르교환반응의 촉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좀더 상세한 용융 에스테르교환반응은 문헌[예를 들면 Hermann Schnell, Chemistry and Physics of Polycarbonates, Polymer Reviews, Vol.9, 1964, pages 44 내지 51, DE-B 1 031 512, US-A 3,002,272, US-A 3,022,272, US-A 5,340,905 및 US-A 5,399,659, DE-A 10 119 851 및 DE-A 10 114 804 참조]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저장되는 페놀 어닥트인 포스포늄 페놀레이트, 바람직하게는 페놀 어닥트인 테트라페닐 포스포늄 페놀레이트로 제조된 열가소성 폴리카르보네이트는 용매 없이 존재하고 밝은 고유색을 띤다.
본 발명에 따라 저장되는 페놀 어닥트인 포스포늄 페놀레이트, 바람직하게는 페놀 어닥트인 테트라페닐 포스포늄 페놀레이트로 제조된 열가소성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바람직하게는 하기의 화학식 2와 같다.
(여기서,
M은 Ar 또는 결손 구조 A, B, C 및(또는) D를 나타내고,
결손 구조 A는
이며, 800ppm, 바람직하게는 750ppm,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ppm의 함량을 넘지 않고,
결손 구조 B는
이며, 350ppm, 바람직하게는 250ppm, 특히 바람직하게는 70ppm의 함량을 넘지 않고,
결손 구조 C는
이며, 200ppm, 바람직하게는 150ppm, 특히 바람직하게는 60ppm의 함량을 넘지 않고,
결손 구조 D는
이며, 750ppm, 바람직하게는 300ppm,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ppm의 함량을 넘지 않고,
Y는 H 또는
을 나타내며, 여기서 R은 같거나 또는 다를 수 있고, H, C1-C20알킬, C6H5및 C(CH3)2C6H5이며, n은 0, 1 또는 2를 나타내고,
X는 Y 또는 -(MOCOO)Y를 나타내고, M 및 Y는 상기 기술된 의미를 가지고,
Ar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방향족 핵을 포함할 수 있고 치환될 수 있으며 지방족 또는 고리지방족 라디칼, 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원자를 결합링크로서 포함할 수 있는 6 내지 30개의 C 원자를 가진 방향족 라디칼을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3에 나타낸 화합물 또는 화학식 4에 나타낸 화합물을 나타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Ar은 하기 화학식 4에 따른 화합물을 나타낸다.)
(여기서, E는 C1-C8알킬리덴 또는 C5-C12시클로알킬리덴, S, SO2또는 단일결합이고, R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페닐, 메틸, 프로필, 에틸, 부틸, Cl 또는 Br이며, n 은 0, 1 또는 2를 나타낸다.)
A 내지 D의 모든 결손 구조들의 합은 1000ppm, 바람직하게는 700ppm, 특히 바람직하게는 550ppm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ppm이라는 용어는 중량 ppm을 의미하며,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총중량에 대한 결손 구조의 중량을 말한다. 이 변수는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완전 가수분해 및 HPLC에 의한 "결손" 화합물의 분리에 의해 측정된다.
실시예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을 이에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테트라페닐 포스포늄 페놀레이트를 동정하기 위해31P-NMR 스펙트럼을 기록하였다. 이를 위해 물질을 듀테로클로로포름에 용해시켜 측정하였다.
테트라페닐 포스포늄 양이온 및 페놀/페놀레이트의 함량은13C-NMR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이를 위해 스펙트럼을 기록하고, 테트라페닐 포스포늄 양이온 및페놀/페놀레이트로부터의 신호들을 적분하고, 100%로 정규화해서 몰백분율로 나타냈다.
물 함량은 ISO 760 (Determination of Water-Karl Fischer Method, 1sted., 1978-12-01)으로 결정하였다.
색지수는 디클로로메탄중의 2.4 g/50 ml의 농도 및 10 cm 필름두께로 420 nm 및 700 nm에서의 흡광도 차로 정하였다.
상대습도는 모발습도계를 통해 결정하였다.
용액상 상대점도는 25℃에서 디클로로메탄중의 5g/l의 농도에서 결정하였다.
페놀성 OH의 양은 IR 측정으로부터 결정하였다. 이를 위해 순수 디클로로메탄과 비교한 50ml의 디클로로메탄에 2g의 폴리카르보네이트를 용해시킨 용액의 흡광도 차를 측정하였고, 흡광도 차는 3582cm-1에서 결정하였다.
폴리카르보네이트에서 결손 구조 A 내지 D의 함량은 완전 비누화반응 후에 HPLC로 결정하였다. 이를 위해 폴리카르보네이트를 소듐 메틸레이트와 함께 가열하여 비누화시키고, 그 다음 산성화시키고 여과하고 증발건조시켰다. 잔류물은 아세토니트릴에 용해시켜 HPLC로 측정하였다.
A. 포스포늄 페놀레이트의 제조:
WO 01 46100 A에 따라 테트라페닐 포스포늄 페놀레이트를 페놀 어닥트로서 제조했고 합성 직후 분석하였다.
376 g(4.0 mol)의 페놀, 800 ml의 탈이온수, 335.44 g(0.8 mol)의 테트라페닐 포스포늄 브로미드 및 640 g의 이소부탄올을 교반기, 온도계 및 적가깔대기가 구비된 2 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넣고 20℃ 내지 25℃에서 교반하였다. 79 g(0.9 7 mol)의 49 %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약 5분내에 적가하고, pH를 9.5 내지 11.0으로 조정하였다. 그 다음, 45℃에서 0.5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교반하였다. 상분리 후, 하부의 수상을 배출시키고, 유기상을 탈이온수로 3회 세척하였고 무거운 상인 세척수는 매회 바닥으로부터 배출시켰다. 그 다음, 유기상을 교반하면서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이 과정동안 생성물이 결정화되었다. 4시간이상의 결정화시간 후에 생성물을 사이펀으로 빨아들였다. 페놀, 이소부탄올 및 테트라페닐 포스포늄 페놀레이트 함량에 대한 NMR 분석 후에, 여과액을 반응에 되돌려보냈다. 결정형 잔류물을 2-프로판올로 재세척한 다음 100℃ 워터젯(water-jet) 진공실에서 건조시켰 다.
분석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생성물 A
매개변수 분석치
TPP 페놀레이트 함량 66.3 중량%
페놀 함량 33.6 중량%
물 함량 < 0.06%
색지수 6.6
B. 실시예:
A에 따라 제조된 촉매를 공기중에서 PE 라이너가 있는 강철 용기에 넣어 질소류하에서 밀봉하고 55%의 상대습도, 20 내지 25℃의 온도에서 1년간 저장한 다음분석하였다.
그 분석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매개변수 분석치
TPP 페놀레이트 함량 66.3 중량%
페놀 함량 33.6 중량%
물 함량 < 0.06%
색지수 6.5
C. 비교예:
비교예 1
A에 따라 제조된 촉매를 PE 용기에 넣어 25℃, 90%의 상대습도, 공기중에서 3주간 밀폐된 PE 용기에서 저장한 다음 분석하였다.
그 분석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매개변수 분석치
TPP 페놀레이트 함량 66.2 중량%
페놀 함량 33.6 중량%
물 함량 0.18%
색지수 6.9
비교예 2
A에 따라 제조된 촉매를 공기중에서 개방된 PE 용기에 넣어 개방된 상태로 25℃, 공기 접촉하에서 3주간 저장한 다음 분석하였다.
그 분석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매개변수 분석치
TPP 페놀레이트 함량 66.1 중량%
페놀 함량 33.7 중량%
물 함량 0.07%
색지수 7.5
31P-NMR에서 포스핀 옥시드를 대표하는 하나의 피크를 변위영역에서 검출할 수 있었다.
비교예 3
A에 따라 제조된 촉매를 개방된 유리 용기에 넣어 밀폐하고 90℃, 공기 접촉하에 3주간 저장한 다음 분석하였다.
그 분석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매개변수 분석치
TPP 페놀레이트 함량 66.3 중량%
페놀 함량 33.6 중량%
물 함량 0.03%
색지수 20.0
D. 적용예:
적용예 B1 내지 B5
상기 실시예로부터의 페놀 어닥트인 테트라페닐 포스포늄 페놀레이트를 다음과 같이 폴리카르보네이트 축합반응에 사용하였다.
45.66 g(0.2 mol)의 비스페놀 A, 46.27 g(0.216 mol)의 디페닐 카르보네이트및 0.0055 g(8 ×10-4mol%, 비스페놀 A 기준)의 상기 실시예로부터의 페놀 어닥트인 테트라페닐 포스포늄 페놀레이트를 중량을 재어 교반기, 내부온도계, 및 브릿지 (bridge)가 있는 비그룩스(Vigreux)컬럼(30 cm, 거울이 장착된(mirrored))이 구비된 500-ml 삼구플라스크에 넣었다. 진공 적용 및 질소로 세정(3회)하여 장치의 대기 산소를 제거하고, 혼합물을 150℃ 및 100 mbar에서 용융시켰다. 온도를 190℃로 올리고 30분간 증류를 통해 생성된 페놀을 제거하였다. 그 다음, 온도를 235℃로 올리고 10분간 증류를 통해 생성된 페놀을 제거하였다. 그 다음에는 10분 이내에 진공을 60 mbar로 조정하고 동시에 온도를 300℃로 조정하였다. 추후 10분이 지난 후 진공을 0.5 mbar로 감소시켰고 추후 30분간 연속적으로 교반하였다.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적용예 촉매 용액상 상대점도 % 페놀성 OH기 색지수
B1 A(초기촉매) 1.215 0.033 0.23
B2 C.비교예 1 1.214 0.049 0.33
B3 C.비교예 2 1.232 0.046 0.36
B4 C.비교예 3 1.228 0.048 0.31
B5 B.실시예 1.220 0.031 0.21
적용예 B7
또한, A에 따라 제조되고 B.실시예에 따라 저장된 페놀 어닥트인 테트라페닐 포스포늄 페놀레이트의 질을 공장 규모로 시험하였다.
A 에 따라 제조되고 B.실시예에 따라 저장된 페놀 어닥트인 테트라페닐 포스포늄 페놀레이트 0.2628 kg(0.771mol/h)을 1.87 kg 페놀/h에 용해시켜 첨가하면서 4600 kg 디페닐 카르보네이트/h(21473 mol/h) 및 4400 kg 비스페놀 A/h (19273mol/h)로 이루어진 9000 kg/h의 용융 혼합물을 용기로부터 열교환기를 통해서 펌핑하고, 190 ℃로 가열하고 12000 mbar 및 190℃에서 지연컬럼(detention column)을 통과시켰다. 평균체류시간은 45분이었다.
그 다음, 용융물을 팽창 벨브를 통해 200 mbar하의 분리기에 주입시켰다. 배출되는 용융물을 마찬가지로 200 mbar하인 강하 경막 증발기에서 190℃로 재가열하고 용기에 모았다. 20분의 체류시간이 지난 후 용융물을 동일하게 설계된 다음 세 스테이지로 펌핑시켰다. 스테이지 2/3/4에서의 조건은 100/75/60 mbar; 220/ 255/270 ℃ 및 20/10/10 분이었다. 생성된 올리고머의 상대점도는 1.068이었다. 모든 증기를 압력제어기를 통해 진공하인 컬럼에 주입하고 응축물로 빼냈다. 올리고머를 바스켓 반응기에서 280℃ 및 7.0 mbar에서 45분간의 체류시간동안 더 중축합시켜서 더 높은 분자량의 올리고머를 형성시켰다. 상대점도는 1.134였다. 증기를 응축시켰다.
올리고머를 다시 다른 바스켓 반응기에서 295℃ 및 1.3 mbar에서 상대점도가 1.278이 되도록 더 중축합시켰다. 평균체류시간은 산정 결과 130분이었다. 증기를 진공 플랜트 후 또는 진공 플랜트에서 응축시켰다.
총 체류시간은 274분이었다.
폴리카르보네이트에서 측정한 분지제의 함량은 다음과 같았다:
구조 A: 378 ppm; 구조 B: 7 ppm; 구조 C: 23 ppm; 구조 D: 99 ppm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색지수는 0.19였다.
적용예 B8
A 에 따라 제조되고 C. 비교예 1에 따라 저장된 페놀 어닥트인 테트라페닐 포스포늄 페놀레이트의 질을 마찬가지로 공장 규모로 시험하였다. 이러한 큰 규모에서의 촉매의 활성 변동을 피하기 위해 소량의 소듐 페놀레이트를 조촉매로 첨가해야 했다.
A에 따라 제조되고, C.비교예 1에 따라 저장된 페놀 어닥트인 테트라페닐 포스포늄 페놀레이트 0.2945 kg(0.864 mol/h) 및 소듐 페놀레이트로서 첨가된 17 ppb 나트륨/h를 2.10 kg 페놀/h에 용해시켜 첨가하면서 5700 kg의 디페닐 카르보네이트 /h(23667 mol/h) 및 4930 kg의 비스페놀 A/h(21595 mol/h)로 이루어진 10630 kg/h의 용융 혼합물을 용기로부터 열교환기를 통해 펌핑하고, 190 ℃로 가열하고 12000 mbar 및 190 ℃에서 지연컬럼을 통과시켰다. 평균체류시간은 45분이었다.
그 다음, 용융물을 팽창 벨브를 통해 200 mbar하의 분리기에 주입시켰다. 배출되는 용융물을 마찬가지로 200 mbar하인 강하 경막 증발기에서 190℃로 재가열하고 용기에 모았다. 20분의 체류시간이 지난 후 용융물을 동일하게 설계된 다음 세 스테이지로 펌핑시켰다. 스테이지 2/3/4에서의 조건은 100/75/60 mbar; 220 /255/270 ℃ 및 20/10/10 분이었다. 생성된 올리고머의 상대점도는 1.068이었다. 모든 증기를 압력제어기를 통해 진공하인 컬럼에 주입하고 응축물로 빼냈다.
올리고머를 연결된 바스켓 반응기에서 275℃ 및 7.2 mbar에서 45분간의 체류시간동안 더 중축합시켜서 더 높은 분자량의 올리고머를 형성시켰다. 상대점도는 1.134였다. 증기를 응축시켰다.
올리고머를 추가된 바스켓 반응기에서 297℃ 및 1.5 mbar에서 상대점도가1.293이 되도록 축합시켰다. 평균체류시간은 산정 결과 130분이었다. 증기를 진공 플랜트 후 또는 진공 플랜트에서 축합시켰다.
총 체류시간은 300분이었다.
폴리카르보네이트에서 측정한 분지제의 함량은 다음과 같았다:
구조 A: 509 ppm; 구조 B: 15 ppm; 구조 C: 35 ppm; 구조 D: 103 ppm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색지수는 0.24였다.
조촉매로서 소듐 페놀레이트를 필수적으로 첨가한 결과, 생성된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보다 많은 양의 분지제를 함유했다. 또한, 그것은 적용예 B7에 따라 제조된 폴리카르보네이트보다 열등한 고유색을 나타냈다.
실시예들은 페놀 어닥트인 포스포늄 페놀레이트, 바람직하게는 페놀 어닥트인 테트라페닐 포스포늄 페놀레이트의 본 발명에 따른 저장법이 현저하게 우수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보여주었고, 다른 특성은 동등하게 유지하면서 명백히 우수한 색지수를 나타내는 폴리카르보네이트를 생성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제조를 위한 그의 용도를 제공하였다.
공장 규모에서는, 페놀 어닥트인 포스포늄 페놀레이트, 바람직하게는 페놀 어닥트인 테트라페닐 포스포늄 페놀레이트의 본 발명에 따른 저장으로 인해, 용융 에스테르교환반응에 의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제조과정에 있어 놀랍게도 알카리 조촉매의 첨가를 생략할 수 있었다.
비록 본 발명은 예시의 목적으로 앞서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이러한 상세한 기술은 단지 그 목적을 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이 기술분야 숙련자들은 청구범위에 의한 한정은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그 안에서 변화를 줄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저장방법은 페놀 어닥트인 포스포늄 페놀레이트를 실질적인 질적 변화 없이 5년까지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저장된 페놀 어닥트인 포스포늄 페놀레이트를 촉매로 사용하면 다른 특성은 동등하게 유지하면서 명백히 우수한 색지수를 나타내는 폴리카르보네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페놀 어닥트인 포스포늄 페놀레이트는 알카리 조촉매의 첨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Claims (4)

  1. (ⅰ) 페놀 어닥트인 포스포늄 페놀레이트를 결정성 고체 형태로 얻고,
    (ⅱ) 상기 고체를 밀폐용기에서 30 내지 70%의 상대습도 및 -30 내지 50℃의 온도에서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제조를 위한 용융 에스테르교환반응에 이용되는 용융 에스테르교환반응 촉매의 제조방법.
  2. 제 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촉매.
  3. 제 1항의 촉매의 존재하에서 디아릴 카르보네이트 및 디히드록시 화합물을 용융상태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 1항의 촉매의 사용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알카리 조촉매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3-0021886A 2002-04-09 2003-04-08 포스포늄 페놀레이트 촉매의 저장 및 에스테르교환반응촉매로서의 그의 용도 KR200300810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15498A DE10215498A1 (de) 2002-04-09 2002-04-09 Lagerung von Phosphoniumphenolat-Katalysatoren und deren Verwendung als Umesterungskatalysatoren
DE10215498.8 2002-04-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067A true KR20030081067A (ko) 2003-10-17

Family

ID=28051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1886A KR20030081067A (ko) 2002-04-09 2003-04-08 포스포늄 페놀레이트 촉매의 저장 및 에스테르교환반응촉매로서의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747118B2 (ko)
EP (1) EP1352909A1 (ko)
JP (1) JP2003301040A (ko)
KR (1) KR20030081067A (ko)
CN (1) CN1450072A (ko)
BR (1) BR0300639A (ko)
DE (1) DE10215498A1 (ko)
SG (1) SG107648A1 (ko)
TW (1) TW200404083A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74578B (de) * 1965-01-21 1968-08-08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ycloalkylaminverbindungen
DE19727351C1 (de) * 1997-06-27 1999-02-11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hosphoniumphenolaten
DE19933128A1 (de) * 1999-07-19 2001-01-25 Bayer Ag Polycarbonat und dessen Formkörper
DE19961520A1 (de) * 1999-12-20 2001-06-21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hosphoniumphenolaten
DE10114804A1 (de) * 2001-03-26 2002-10-10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carbonaten
DE10119851A1 (de) * 2001-04-24 2002-10-31 Bayer Ag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Polycarbonaten nach dem Schmelzumesterungsverfah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301040A (ja) 2003-10-21
EP1352909A1 (de) 2003-10-15
SG107648A1 (en) 2004-12-29
US6747118B2 (en) 2004-06-08
CN1450072A (zh) 2003-10-22
TW200404083A (en) 2004-03-16
DE10215498A1 (de) 2003-10-23
US20030191016A1 (en) 2003-10-09
BR0300639A (pt) 2004-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9111B1 (ko) 고분자량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RU2496801C2 (ru) Поликарбонаты с улучшенной текучестью, содержащие перегруппированные структуры, циклические и линейные олигомеры
US4440937A (en) Cyclic carbonic acid derivatives
US5340905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hermoplastic polycarbonates
US6410777B1 (en) Salicylic acid ester derivative and its production
US20020177684A1 (en) Process for producing polycarbonates
JPH01316346A (ja) エステルの製造法
US3549682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mixed carbonic acid esters
US3211774A (en) Process for preparing aromatic esters of chloroformic acid
US6316578B1 (en) Salts of non-volatile acids as polymerization catalysts
KR20030081067A (ko) 포스포늄 페놀레이트 촉매의 저장 및 에스테르교환반응촉매로서의 그의 용도
KR20020059820A (ko) 폴리카보네이트 중합 촉매로서 유용한 킬레이트제의 염
KR101591117B1 (ko) 고리형 올리고머를 포함하며, 개선된 유동 거동을 가지는 폴리카르보네이트
KR100707332B1 (ko)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ES2231294T3 (es) Procedimiento para la obtencion de fenolatos de fosfonio.
US5854374A (en) Phosphonium borohydride compound and process for producing polycarbonate using said compound
JP3508488B2 (ja)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の製造方法
EP1178033B1 (en) 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diaryl carbonate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lycarbonate
JP2003511499A (ja) ポリカーボネート合成触媒としてのイオウのオキソ酸のアルカリ金属塩
US6646099B2 (en) Production and use of polyester carbonates
KR20030085491A (ko) 포스포늄 페놀레이트의 제조방법
KR100227320B1 (ko) 용융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이용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JPH0269444A (ja) 芳香族ビスクロロホルメートの低ホスゲン製造法
KR100946632B1 (ko) 유기촉매를 이용한 디아릴카보네이트 유도체 및 그제조방법
JP3412475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