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6449A - 기어드모터용 감속기, 기어드모터 및 그 제품그룹 - Google Patents

기어드모터용 감속기, 기어드모터 및 그 제품그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6449A
KR20030076449A KR10-2003-0017916A KR20030017916A KR20030076449A KR 20030076449 A KR20030076449 A KR 20030076449A KR 20030017916 A KR20030017916 A KR 20030017916A KR 20030076449 A KR20030076449 A KR 20030076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orthogonal
motor
parallel
gea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7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가다카시
다무라미츠히로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81739A external-priority patent/JP388930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88678A external-priority patent/JP3806842B2/ja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6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644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3Series gearboxes, e.g. gearboxes based on the same design being available in different sizes or gearboxes using a combination of several standardised un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H02K7/1163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where at least two gears have non-parallel axes without having orbital motion
    • H02K7/11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where at least two gears have non-parallel axes without having orbital motion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conical gear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3Series gearboxes, e.g. gearboxes based on the same design being available in different sizes or gearboxes using a combination of several standardised units
    • F16H2057/0335Series transmissions of modular design, e.g. providing for different transmission ratios or power ran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642Directly cooperating gears
    • Y10T74/19647Parallel axes or shaf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642Directly cooperating gears
    • Y10T74/1966Intersecting ax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642Directly cooperating gears
    • Y10T74/19679Spur
    • Y10T74/19684Motor and gea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1Elements
    • Y10T74/2186Gear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모터와 감속기를 가지는 기어드모터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어드모터용 감속기에 있어서, 모터 측으로부터 입력되는 동력의 회전방향을 직교방향으로 변환하는 직교변환기구를 가지고, 또한, 이 직교변환기구를 단독의 중간케이싱에 수납한 중간 직교 기어헤드와, 기어드모터가 형성되었을 때에, 그 최종출력축이 되는 출력축을 포함하는 평행축 감속기구를 가지고, 또한, 이 평행축 감속기구를 단독의 후단케이싱에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중간 직교 기어헤드의 후단(後段) 측에 직결가능하게 된 후단평행 기어헤드를 구비하였다.

Description

기어드 모터용 감속기, 기어드 모터 및 그 제품그룹{A reducer for geared motor, a geared motor, and product group thereof}
본 발명은, 산업기계, 수송기계 등에 사용되는 감속기와 기어드모터 및 그 제품그룹에 관한 것이다.
종래, 모터 등의 전동기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을 감속하거나, 그 회전방향을 변경하는 장치로서, 직교축타입의 감속기나 평행축타입의 감속기가 알려져 있다. 이 경우, 모터 동력의 회전방향의 변경 등이 필요한 경우에는 직교축타입의 감속기, 감속만이 필요한 경우에는 평행축타입의 감속기가 각각 모터와 조합되어 소정의 기어드모터를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회전방향의 변환과 감속의 쌍방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직교변환기구와, 평행축 감속기구의 쌍방을 하나의 케이싱에 수용한 감속기와 모터를 조합하여 기어드모터를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감속기의 감속수단 등으로서는, 기어전동기구, 마찰전동기구 등이 생각되지만, 장치의 소형화나 저(抵)코스트화가 가능한 기어전동기구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종래의 감속기를 사용하여 기어드모터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모터에 대하여, 단독의 감속기가 조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모터의 크기나 종류, 혹은 용도 등에 맞춰 매우 다종다양(多種多樣)한 감속기를 준비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그 때문에, 감속기 제조회사 등에서는, 재고코스트의 증가나 개발코스트의 증대와 같은 문제가 생기는 한편, 감속기의 유저에게도, 코스트상승이 되거나, 혹은 약간의 사용태양을 변경할 때마다 신규로 기어드모터를 구입하지 않으면 안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감속기의 기어배치 형편상, 그 입력축 및 출력축의 위치가 어느 정도 제약되어 버리기 때문에, 감속기의 장착위치(혹은 방향)가 제한되고, 반드시 유저니즈에 적합한(사용하기에 편한) 감속기가 제공되어 있다고는 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감속기와 모터의 조합ㆍ선택을 용이화하고, 또한 사용용도에 유연하게 대응한 합리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기어드모터의 측단면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후단(後段)평행 기어헤드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기어드모터의 조합예를 나타낸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기어드모터의 측단면도,
도 6은 출력축에 중공축을 채용한 후단평행 기어헤드의 측단면도,
도 7은 장착체를 구비하는 기어드모터의 평면도,
도 8은 도 7에 있어서의 기어드모터의 정면도,
도 9는 도 7에 있어서의 기어드모터의 우측면도,
도 10은 도 7에 있어서의 기어드모터의 하면도,
도 11은 평행축 감속기구를 가지는 기어드모터의 평면도,
도 12는 도 11에 있어서의 기어드모터의 정면도,
도 13은 도 7에 있어서의 기어드모터의 설치예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기어드모터 시리즈의 모식도,
도 15는 최종출력축의 축심위치를 복수 준비한 기어드모터 시리즈의 모식도,
도 16은 중간 직교 기어헤드의 직교변환기구를 복수 준비한 기어드모터 시리즈의 모식도,
도 17은 전단(前段)평행 감속기구를 개재가능하게 한 기어드모터 시리즈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모터와 감속기를 가지는 기어드모터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어드모터용 감속기에 있어서, 상기 모터 측으로부터 입력되는 동력의 회전방향을 직교방향으로 변환하는 직교변환기구를 가지고, 또한, 이 직교변환기구를 단독의 중간케이싱에 수납한 중간 직교 기어헤드와, 상기 기어드모터가 형성되었을 때에,그 최종출력축이 되는 출력축을 포함하는 평행축 감속기구를 가지며, 또한, 이 평행축 감속기구를 단독의 후단케이싱에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중간 직교 기어헤드의 후단 측에 직결가능하게 된 후단 평행 기어헤드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즉, 직교변환기구를 가지는 중간 직교 기어헤드와, 평행축 감속기구를 가지는 후단 평행 기어헤드를 연결가능하게 함으로써, 모터 측으로부터 입력되는 동력의 회전방향을 직교방향으로 변환함과 동시에, 회전의 감속을 실현한 것이지만, 각각의 기어헤드는 단독의 케이싱으로 이루어지므로, 중간 직교 기어헤드 단독으로도 직교변환을 행하는 감속기로서, 또한, 후단 평행 기어헤드 단독으로도 평행축감속을 행하는 감속기로서 각각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화로서는 다양한 태양을 생각할 수 있다. 상세한 것을 후술한다.
그리고, 이들 감속기와 모터를 결합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상술한 효과를 가지는 기어드모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은 기어드모터는, 모터와 감속기의 중간 직교 기어헤드 및 후단 평행 기어헤드 중 3자(者)를 구비함과 동시에, 그 중 적어도 하나를 복수 종류 구비하고, 그 중 적어도 한 종류를 선택ㆍ교환 가능하게 하여 제품그룹화화 했을 때에, 더욱 큰 메리트가 얻어진다.
본 기어드모터를 제품그룹화하면, 모터, 중간 직교 기어헤드, 후단 평행 기어헤드를 상호 공용화하면서, 필요한 부분만을 교환하면 되므로, 납기의 단축, 재고의 감소 등을 실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개발코스트의 저감에 의해 감속기의 저가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모터와 후단 평행 기어헤드만, 혹은 모터와 중간 직교 기어헤드만으로, 기어드모터를 구성가능하게 한 기어드모터의 제품그룹으로서도, 유저니즈에 대응한 다양한 평행축 기어드모터 및 직교축 기어드모터를 각각 제공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기어드모터용 감속기를 적용한 기어드모터(500)의 단면도이다. 기어드모터(500)는,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와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로 이루어지는 감속기(300)와, 모터(400)를 구비하고 있다.
모터(400)와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의 장착면(F1)에 있어서,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는, 모터(400)에 대하여, 모터(400)의 출력축(이하, 단순히 모터축이라고 한다)(402)을 중심으로 하여, 이 모터축(402)의 원주방향(R1)으로 90°씩 회전하여 장착가능하다. 그리고, 모터(400)와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는 도시하지 않은 볼트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와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의 장착면(F2)에 있어서도,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는,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에 대하여,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의 출력축(이하, 단순히 중간출력축이라고 한다)(108)을 중심으로 하여, 이 중간출력축(108)의 원주방향(R2)으로 90°씩 회전하여 장착가능하다. 그리고,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와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는 도시하지 않은 볼트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의 입출력축선(L1, L2)을 포함하는 중간케이싱(102)의 단면형상은 L자형으로 되어 있고,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의 후단케이싱(204)은, 중간케이싱(102)에 있어서의 L자형의 양 변(邊)(102x, 102y)을 포함하는 케이싱면(102X, 102Y)으로 규정되는 공간에 그 본체(일정 돌기 등을 제외한 주요부분)가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 공간에, 후단케이싱(204)의 일부가 수납되어 있는 상태이어도 좋다(후술).
또한, 장착면(F1)에 있어서의 모터(400) 및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의 각각의 결합치수와, 장착면(F2)에 있어서의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 및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의 각각의 결합치수가 각각 동일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와 모터(400)의 각도치수는 대략 동일하고, 도시하지 않은 장착볼트구멍의 위치는 각각 동일 위치(장착면(F1)의 정점(頂点) 부근에 있어서의 정방형 정점 상당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와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의 도시하지 않은 장착볼트구멍의 위치도, 각각 동일 위치(장착면(F2)의 정점 부근에 있어서의 정방형 정점 상당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모터(400)와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는 상호 맞물림가능한 결합치수를 가지고,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는, 직접 모터(400)에 연결이 가능하다.
상기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는, 모터(400)로부터 입력되는 동력의 회전방향을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환하는 직교변환기구(104)와, 이 직교변환기구(104)의출력회전을 감속하는 중간 평행축 감속기구(106)를 가지고, 또한, 이들 기구(104, 106)를 단독의 중간케이싱(102)에 수납하고 있다.
상기 직교변환기구(104)는, 베벨기어로 이루어지는, 중간 제1기어(110) 및 중간 제2기어(11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간 제1기어(110)는, 베어링(130, 131)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의 입력축선(L1)을 그 축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또한 중간 제2기어(112)는, 베어링(132, 133)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자신의 한쪽 끝(112a)에서 상기 중간 제1기어(110)와 직교ㆍ맞물림하고, 다른쪽 끝(112b)에서 상기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의 중간케이싱(102)에 편측 지지(cantilever)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이들 중간 제1기어(110) 및 중간 제2기어(112)의 한쪽 끝의 선단부(110a, 112a)는, 각각 중간케이싱(102)에 맞닿아 있다.
더욱이, 중간 제1기어(110)에는, 그 축심(L1)에 따라서 모터축(402)을 삽입하기 위한 구멍(110b)이 마련되어 있고, 이 구멍(110b)의 내측에는 모터축(402)과 중간 제1기어(110)를 연결하기 위한 헬리컬 암(雌)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 제1기어(110)와 중간 제2기어(112)는, 자기(自己)윤활성이 있는 플라스틱제이다.
한편,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 내의 중간 평행축 감속기구(106)는, 축선(L2)을 축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중간출력축(108)과, 중간 제3기어(114)를 구비하고 있다.
중간출력축(108)은, 베어링(134, 135)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중간출력축(108)의 축심(L2)은, 직교변환기구(104)의 중간 제1기어(110)의 축심(L1)과는 평면에서 볼 때 직교한 관계에 있음과 동시에, 중간 제2기어(112)의 축심(L3)과는 평면에서 볼 때 평행한 관계에 있다.
또, 중간출력축(108)에는, 모터축(402)과 동일 모듈의 헬리컬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간 제3기어(114)는, 그 외주에 있어서 직교변환기구(104)의 중간 제2기어(112)와 맞물림과 동시에, 중간출력축(108)에 장착되어, 이 중간출력축(108)과 동일한 축심(L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도 2는, 도 1 중의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2 중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는, 기어드모터(500)가 형성되었을 때에, 그 최종출력축이 되는 출력축(이하, 단순히 최종출력축이라고 한다)(202)을 포함하는 평행축 감속기구(206)를 가지고, 또한, 이 평행축 감속기구(206)를 단독의 후단케이싱(204)에 수납하고 있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단케이싱(204)의 단면형상은 정방형으로 되어 있다.
최종출력축(202)은, 베어링(230, 231)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축선(L4)을 축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이 축심(L4)은, 중간출력축(108)의 축선(L2)과는 평면에서 볼 때 평행한 관계에 있다.
또한,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 내의 평행축 감속기구(206)는,최종출력축(202)과, 제1축(206)과, 제2축(208)을 구비하고 있다.
제1축(206)은, 그 양 끝에 있어서, 베어링(232, 233)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제1축(206)에는, 그 축심(L5)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지름이 큰 후단 제1기어(210)와, 보다 지름이 작은 후단 제2기어(2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축(208)은, 지면 안쪽에 도면 중 L6 상당위치를 그 축심으로 하여, 제1축(206)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제2축(208)에는, 상기 후단 제2기어(212)와 맞물리고, 이 후단 제2기어(212)보다 지름이 큰 후단 제3기어(214)와, 이 후단 제3기어(214)보다 지름이 작은 후단 제4기어(21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축(208)은, 그 양 끝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의 최종출력축(202)에는, 상기 후단 제4기어(216)와 맞물리는 후단 제5기어(21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중간출력축(108)은, 그 선단부가 직접 기어커팅되어 있고,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의 후단케이싱(204) 내에 삽입되고, 제1축(206)에 설치된 후단 제1기어(210)와 맞물려, 평행축 감속기구(206)의 초단(初段) 기어세트를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기어드모터(500)는, 모터축(402)이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 내의 직교변환기구(104)의 중간 제1기어(110)에 마련되 구멍(110b)에 삽입ㆍ연결되고, 또한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의 중간출력축(108)이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의 후단케이싱(204) 내에 삽입되어, 후단 제1기어(210)와 맞물림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기어드모터(5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터(400)에 통전하면, 모터축(402)과 연결한 중간 제1기어(110)가 그 축심(L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그리고, 중간 제1기어(110)의 회전에 의하여, 이 중간 제1기어(110)와 직교ㆍ맞물림하는 중간 제2기어(112)가 축선(L1)과 직교하는 방향(L3)을 축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그 결과, 모터축(402)으로부터 입력된 동력의 회전방향이 90°전환된다.
또한, 중간 제2기어(11)의 회전에 의하여, 이 중간 제2기어(112)와 맞물리는 중간 제3기어(114) 및 이 중간 제3기어(114)가 장착된 중간출력축(108)은, 축선(L3)과 평행관계에 있는 L2를 축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그리고, 중간 제2기어(112)로부터 전달된 회전이 감속되어, 중간출력축(108)에 출력된다.
더욱이, 중간출력축(108)이 그 축심(L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면, 이 중간출력축의 선단부와 맞물린 후단 제1기어(210)와, 이 후단 제1기어(210)와 같은 제1축(206)에 설치된 후단 제2기어(212)가, 제1축(206)의 축심(L5)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이때, 중간출력축(108)의 회전이, 이 중간출력축(108)과 후단 제1기어(210)의 톱니수의 비(比)만큼 감속되어, 후단 제2기어(212)에 전달된다.
그런 다음, 후단 제2기어(212)의 회전과 동시에, 이 후단 제2기어(212)와 맞물리는 후단 제3기어(214)와, 이 후단 제3기어(214)와 같은 제2축(208)에 설치된 후단 제4기어(216)가 제2축(208)의 축심(L6)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후단 제2기어(212)로부터 전달된 회전이 더욱 감속된다.
최종적으로, 후단 제4기어(216)의 회전에 의하여, 이 후단 제4기어(216)와맞물리는 후단 제5기어(218)가 회전함과 동시에, 최종출력축(202)이 회전하여, 동력이 출력된다.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는, 도 4의 모식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400)에 대하여, 모터축(402)을 중심으로 하여, 이 모터축(402)의 원주방향(R1)으로 90°씩 회전하여 장착가능함과 동시에,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도,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에 대하여, 중간출력축(108)을 중심으로 하여, 이 중간출력축(108)의 원주방향(R2)으로 90°씩 회전하여 장착가능하므로, 기어드모터(500)의 최종출력축(202) 방향이 16가지로 변경가능하고, 기어드모터의 사용용도에 따른 장착이 가능하고, 그 변경도 용이하다. 그리고, 도 4의 좌단(左端)의 조합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모터(400)와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의 장착면(F1)에 있어서의 결합과,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와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의 장착면(F2)에 있어서의 결합을 동일하게 하였기 때문에,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는,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를 개재하지 않고서, 모터(400)에 직접 장착이 가능하고, 평행감속기능을 가지는 평행축 기어드모터를 용이하게 구성가능하다(도 14 참조: 후술).
게다가,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해서, 중간출력축(108)과, 모터축(402)에 동일 모듈의 헬리컬 스플라인을 형성함과 동시에, 제1기어(110)에는, 그 축심(L1)에 따라서, 모터축(402)의 헬리컬 스플라인과 등속(等速) 외접맞물림이 가능한 암(雌)스플라인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즉, 중간출력축(108)과, 모터축(402)에 동일 모듈의 헬리컬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의 후단 제1기어(210)는, 중간출력축(108)뿐만 아니라, 모터축(402)과도 직접 맞물림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모터축(402)에 헬리컬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있어도, 중간 제1기어(110)에, 그 축심(L1)에 따라서 모터축(402)의 헬리컬 스플라인과 등속 외접맞물림 가능한 암스플라인을 형성함으로써, 이 모터축(402)에 중간 제1기어(110)를 씌우도록 하여 나사를 박아 넣는 것만으로, 양자(402, 110)를 일체화할 수 있다.
이 결과, 결합의 호환성과 더불어, 모터(400)와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의 연결, 및 모터(400)와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의 연결 모두 용이하게, 또한 지장없이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모터축(402)과 중간 제1기어(110)와의 연결에 있어서는, 모터축(402)의 회전에 의하여, 중간 제1기어(110)가 모터축(402)에 의해 나사가 박아 넣어지는(조여지는) 방향으로 하중이 걸리도록 하여 두면, 모터축(402)과 중간 제1기어(110)와의 연결이 느슨하게 되지는 않는다.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는, 직교변환기구(104)와 중간 평행축 감속기구(106)를 가지며, 단독의 중간케이싱(102)으로 이루어지므로,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 단독으로도 직교변환 및 감속을 행하는 감속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도, 평행축 감속기구(206)를 가지며, 단독의 후단케이싱(204)으로 이루어지므로,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 단독으로도 평행축감속을 행하는 감속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의 입출력축선(L1, L2)을 포함하는 중간케이싱(102)의 단면형상을 L자형으로 하여, 이 L자형의 양 변(102x, 102y)을 포함하는 케이싱면(102X, 102Y)으로 규정되는 공간에,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의 후단케이싱(204) 본체(일체의 돌기 등을 제외한 주요부분)가 수납가능하기 때문에, 장치 전체가 돌출이 적은 직육면체형상이 되어, 설치가 용이하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 공간에, 후단케이싱(204)의 일부가 수납되어 있는 상태이더라도 좋다.
후단케이싱(204)이 돌출한다고 하여도, 이 공간에 수납되는 부분이 전혀 없는 것에 비하면, 이 공간에 수납되는 스페이스만큼 공간 절약화 할 수 있다.
더욱이,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는, L자형의 양 변(102x, 102y)을 포함하는 케이싱면(102X, 102Y)으로 규정되는 상기 공간 내에 피동측 장치의 일부(예컨대 풀리나 스프로킷, 기어 등)을 수납할 수 있으며,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의 직교변환기구(104)에 설치된 중간 제2기어(112)는, 자신의 한쪽 끝(112a)에서 중간 제1기어(110)와 직교ㆍ맞물림하고, 다른쪽 끝(112b)에서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의 중간케이싱(102)에 편측 지지(cantilever)상태로 장착되어 있으므로, 중간 제1기어(110)로부터 가해지는 스러스트 힘을 중간케이싱(102)에서 막아낼 수 있다.
더욱이, 중간 제1기어(110) 및 중간 제2기어(112)를 베벨기어로 함으로써,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의 소형화, 고효율화, 저(低)코스트화를 도모할 수 있고, 게다가, 이 중간 제1기어(110) 및 중간 제2기어(112)를 자기(自己)윤활성이 있는플라스틱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윤활유가 불필요하다.
중간 제1기어(110) 및 중간 제2기어(112)의 한쪽 끝의 선단부(110a, 112a)는, 중간케이싱(102)에 각각 맞닿아 있기 때문에, 중간케이싱(102)은, 중간 제1기어(110) 및 중간 제2기어(112) 각각의 중심축선방향(L1, L3)의 이동을 규제하는 위치결정수단으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의 직교변환기구(104)에 설치된 중간 제1기어(110) 및 중간 제2기어(112)는 베벨기어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웜기어, 하이포이드기어 등이어도 좋다. 오히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용도에 따라서 이들을 선택가능하게 하여 두는 편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중간 제1기어(110) 및 중간 제2기어(112)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것이 아니어도 좋다. 따라서, 예컨대, 소결함(燒結含)유(油) 등의 자기윤활성이 있는 소재로 제작된 것이어도 좋다. 더 나아가서는, 반드시 자기윤활성이 있는 소재가 아니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중간 제1기어(110) 및 중간 제2기어(112)를, 각각 베어링(130∼133)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조로 하였지만,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150, 152)을 중간케이싱(102)에 밀어넣고, 이 핀(150, 152)에 의하여 중간 제1기어(110) 및 중간 제2기어(112)를 회전가능하게 하는 구조로 하여도 좋다. 또한, 중간 제1기어(110) 및 중간 제2기어(112)로 이루어지는 직교변환기구(104)를 양측 지지상태로 지지하는 구조로 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최종출력축(202)을 중실축(中實軸)으로 하였지만,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종출력축으로서 피구동축을 삽입하기 위한 중공부(250a)를 중공축(250: 호로 사프트)을 사용하면, 상대기계와의 연결부재가 불필요하므로, 동력전달부재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피동축을 중공부(250a) 내부에 삽입가능하고, 컨베이어 등의 피구동장치에 설치한 경우에도, 장치 전체의 소형화, 공간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부(250a)의 축선방향(L4)의 한쪽(도 6 중 아래쪽)을 바닥이 있는 것으로 한 경우에는, 중공축(25)의 한쪽 끝에 대해서는 케이싱(252) 내에 수납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케이싱(252)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중공축(250)을 지지가능하게 되므로, 중공부(250a)를 관통공으로 하여 형성한 경우에 비하여, 장치내부의 윤활유가 외부로 누출되기 어렵고, 또한, 오일실(oil seal; 256)을 중공축(250)의 한쪽에 설치하면 되므로, 중공축(250)에 가해지는 부하가 적고, 동력의 손실방지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부품개수의 삭감에 따른 코스트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 내의 중간 평행축 감속기구(106)에서는, 중간 제2기어(112)와 중간 제3기어(114)로 감속기구를 구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드시 감속기능을 갖게 할 필요는 없다. 또한, 기어기구가 아닌, 체인, 벨트 등의 무단(無端)전동기구이어도 좋다. 무단전동기구에 의하여 중간 평행축 감속기구를 구성한 경우에는, 중간 제2기어(112)의 축심(L3)과 중간출력축(108)의 축심(L2)의 거리를 거의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벨트를 사용한경우에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벨트의 미끄러짐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토크 리미터적인 기능을 갖게 할 수도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기어드모터의 구체적인 구현에 착안한 구성예를 도 7 내지 도 10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장착체(300)를 구비하는 기어드모터(600)의 평면도, 도 8은 정면도, 도 9는 우측면도, 도 10은 하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기어드모터(600)는, 상술한 모터(400)와,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와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로 구성되는 기어드모터(500)에, 더욱, 장착체(300)를 구비한 것이다.
모터(400)와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는, 장착면(F1)에 있어서 볼트(504)에 의하여 연결ㆍ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평행 기어헤드(200)에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신을 마루바닥 등의 외부에 설치하기 위한 장착체(300)가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를 관통하는 볼트(306)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의 입출력축선을 포함하는 중간케이싱(102)의 단면형상은 상술한 바와 같이, L자형으로 되어 있고,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는, 장착체(300)를 부설한 채로의 상태로, 중간케이싱(102)에 있어서의 L자형의 양 변(102x, 102y)을 포함하는 케이싱면(102X, 102Y)으로 규정되는 공간에 수납되어 있다.
상기 장착체(300)는,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의 출력축(204)이 돌출되어 있는 케이싱면(이하, 출력축측 케이싱면이라고 한다)(202a)과, 이 케이싱면(202a)과 직각의 관계에 있는 케이싱면(202b)을 씌우도록 형성된 L자형의 판(板)형상부재이다. 이 L자형의 장착체(300)를 구성하는 두 개의 면(300a, 300b) 사이에는 보강용 리브(30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장착체(300)를 도시하지 않은 고정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장착볼트(302)는,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의 출력축측 케이싱면(202a)으로부터 보아, 이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본체 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의 입출력축선을 포함하는 평면과 평행의 관계에 있는 두 개의 L자형의 케이싱면(102a, 102b)에는, 장착볼트(302)가 2개분량 수납가능한 크기로 한 장착볼트용 리세스(105)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장착볼트(302)와의 간섭을 막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중간케이싱(102)에는, 상기 장착체(300)의 리브(304)와의 간섭을 막기 위한 리브용 리세스(107)도 설치되어 있다.
또한, 그밖의 구성은, 상술한 기어드모터(500)의 구성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다음으로, 이 장착체(300)를 가지는 기어드모터(6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터(500)에 통전했을 때의 각 기어 등의 움직임은 기어드모터(500)와 마찬가지이다.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의 입출력축선을 포함하는 중간케이싱(102)의 단면형상을 L자형으로 함과 동시에, 평행축 감속기구를 가지는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를 직교 기어헤드(100)와 연결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평행 기어헤드(200)는, 장착체(300)를 가진 채로의 상태에서, 중간케이싱(102)에 있어서의 L자형의 양 변(102x, 102y)를 포함하는 케이싱면(102X, 102Y)으로 규정되는 공간에 수납이 가능하고, 전체적으로 직교변환기구를 가지는 기어드모터(600)로서 기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이 공간에 평행 기어헤드(200)의 일부가 수납되도록 하여도, 이 공간에 수납되는 스페이스만큼 공간 절약화 할 수 있다.
따라서,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와 그 장착체(300)는, 직교변환기구를 가지는 기어드모터(600)의 구성부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1,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면(F1, F2)이 동일한 결합치수를 가지고 있는 것을 이용하여, 모터(400)를 직접 연결함(모터축(402)과 후단 제1기어(210)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평행축 감속기구를 가지는 기어드모터(700)의 구성부품으로서도 사용가능하고, 부품의 공용화에 의한 개발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은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 및 장착체(300)를 사용한 평행축 감속기구를 가지는 기어드모터(700)의 평면도, 도 8은 그 정면도이다.
또한, 이 장착체(300)를 고정하기 위한 장착볼트(302)는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의 출력축측 케이싱면(202a)으로부터 보아 이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 본체 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장착볼트(302)가 피구동장치 측에 돌출되지 않고, 기어드모터(600)를 피구동장치의 근처에 설치가능함과 동시에, 공간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의 중간케이싱(102)에는, 장착볼트용 리세스(105)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체(300)의 장착볼트(302)와의 간섭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장착체(300)는,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의 출력축측 케이싱면(202a)과, 이 케이싱면(202a)과 직각의 관계에 있는 케이싱면(202b)을 덮도록 형성된 L자형의 판형상부재로 하였기 때문에, 기어드모터(600)의 안정된 장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게다가, 장착체(300)를 구성하는 두 개의 면(300a, 300b) 사이에는 보강용 리브(304)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어드모터(600)의 장착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의 중간케이싱(102)에는 리브용 리세스(107)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리브(304)와 간섭하지 않는다.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의 입출력축선을 포함하는 평면과 평행의 관계에 있는 두 개의 L자형 케이싱면(102a, 102b)에는, 장착볼트용 리세스(105)를 각각 설치하고, 또한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를,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의 중간출력축(108)을 중심으로 하여, 이 중간출력축(108)의 원주방향(R2)으로 회전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도 13 중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교 기어헤드(100)의 케이싱면(102a)을 상면으로, 102b를 설치면(저면)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3 중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면(102b)를 상면으로, 102a를 설치면(저면)으로 할 수 있고, 기어드모터(600)의 사용용도에 따른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모터(400),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및 장착체(300)는, 그밖에도 이미 설명한 도 4의 모식도의 좌단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고, 기어드모터(600)(혹은 기어드모터(500))를 설치장소에 따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를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의 L자의 공간에 거의 가득히 수용되는 크기로 형성하고, 그리고 중간케이싱(102)에 장착볼트용 리세스(105)나 리브용 리세스(107), 즉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것은, 중간케이싱(102)의 직교감속기구(116)가 존재하는 부분은, 이 중간케이싱(102) 중앙부근의 일부뿐인 것에 착안하여 기어가 없는 공간을 이용하도록 한 것이다. 즉, 이 리세스(105, 107)의 존재에 의하여 기어드모터(600) 전체의 크기를 크게 하지 않고, 또한, 장착볼트(302)를 기어드모터(600)의 본체로부터 돌출시키지 않고, 기어드모터(600)를 마루바닥 등의 외부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장착체(300)를 L자형으로 하였지만, 예컨대, 장착체(300)를 판형상부재로 함과 동시에, 이 장착체(300)를 상기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의 출력축선(L2)과 평행의 관계에 있는 4개의 케이싱면(202b, 202c, 202d, 202e) 중 어느 하나에 장착하고, 이 장착체에 의하여 기어드모터(600)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장착볼트용 리세스(105)를 장착볼트(302)를 2개분량 수납가능한 크기로 하였지만, 이 크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술한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모터(400)를 포함하는 조합에 의하여 구성되는 기어드모터의 시리즈(제품그룹)에 대하여 설명한다. 장착체(300) 등을 가지는 기어드모터도 마찬가지의 시리즈를 전개할 수 있다.
도 14는, 모터(400),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 및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의 조합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모터(400),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 및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 중 적어도 1종류를, 교환가능하게 복수 종류 준비한 기어드모터의 시리즈예이다.
도 14 중 (A)는, 1종류의 모터(400) 및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에 대하여, 복수 종류의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a, 200b, 200c, …)를 준비한 기어드모터의 시리즈이다.
이와 같은 시리즈를 제공함으로써, 유저는, 1종류의 모터(400) 및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를 준비한 다음에, 사용용도에 따른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의 선택이 가능하다.
도 14 중 (B)는, 1종류의 모터(400) 및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에 대하여, 복수 종류의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a, 100b, 100c, …)를 준비한 기어드모터의 시리즈이고, 도 7 중 (C)는, 1종류의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 및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에 대하여, 복수 종류의 모터(400a, 400b, 400c, …)를 준비한 기어드모터의 시리즈이다.
이와 같은 시리즈에 의해서도, 유저는, 복수 종류의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a, 100b, 100c, …) 또는 복수 종류의 모터(400a, 400b, 400c, …)로부터 사용용도에 따른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시리즈화에 의하여, 감속기 제조회사 등은, 장치를 공용화할 수 있으므로, 납기의 단축, 재고의 감소 등을 실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개발코스트의 저감에 의하여, 감속기의 저(低)가격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4 중 (X)∼(Y)는, 기어드모터의 구성예에 상당한다.
즉, 모터(400),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를 연결ㆍ일체화함으로써, 모터(400)의 동력을 직교변환하여 출력하는 도 14 중 (X)에 나타낸 직교축타입의 기어드모터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모터(400)와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뿐이라도 기어드모터가 구성가능하므로, 모터(400)와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를 연결ㆍ일체화함으로써, 모터(400)의 동력을 직교변환하여 출력하는 도 14 중 (Y)에 나타낸 직교축타입의 기어드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터(400)와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의 장착면(F1)에 있어서의 결합과,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과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의 장착면(F2)에 있어서의 결합을 동일하게 하였으므로,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는,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를 개재하지 않고, 모터(400)에 직접 장착할 수 있고, 모터(400)와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뿐이라도 기어드모터가 구성가능하다. 따라서, 모터(400)의 회전을 감속하여 평행하게 출력하는 도 14 중 (Z)에 나타낸 평행축타입의 기어드모터도 제공이 가능하다.
도 15는,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의 최종출력축(202) 후단케이싱(204)에 대한 축심위치가 상호 다른 후단 평행 기어헤드(200)를 복수 준비한 기어드모터의 시리즈예를 나타내고 있다. 유저는 최종출력축(202)의 축심위치를 다양한 타입에서 선택가능하고, 사용용도에 따른 기어드모터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6은,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의 직교변환기구(104)의 구성으로서, 베벨기어, 웜기어, 하이포이드기어 중, 적어도 두 개(이 예에서는, 베벨기어와 하이포이드기어)를 선택가능하게 한 기어드모터의 시리즈예이며, 유저는, 코스트나 사용용도에 따라 기어구조를 선택가능하여, 유저 니즈에 폭넓게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7과 같이, 모터(400)의 출력축(402)과, 중간 직교 기어헤드(100)의 직교변환기구(104) 사이에, 더욱이, 전단(前段) 평행축 감속기구(600)를 개재가능하게 한 기어드모터의 시리즈로 하여도 좋다.
더욱이, 상술한 감속기 및 모터의 선택ㆍ조합은, 기어드모터의 특정의 구체적인 시리즈에 속하는 모든 기종이 대응하는 것이 아니어도 좋다. 즉, 해당 특정 시리즈에 속하는 일부의 기종에 있어서, 감속기 및 모터의 선택ㆍ조합이 (혹은 조합의 가능성이) 본 발명에 관련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면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감속기와 모터의 조합ㆍ선택을 용이화하고, 또한 사용용도에 유연하게 대응한 합리적인 사용이 가능한 기어드모터용 감속기, 기어드모터 및 그 제품그룹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6)

  1. 모터와 감속기를 가지는 기어드모터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어드모터용 감속기에 있어서,
    상기 모터 측으로부터 입력되는 동력의 회전방향을 직교방향으로 변환하는 직교변환기구를 가지고, 또한, 이 직교변환기구를 단독의 중간케이싱에 수납한 중간 직교 기어헤드와,
    상기 기어드모터가 형성되었을 때에, 그 최종출력축이 되는 출력축을 포함하는 평행축 감속기구를 가지고, 또한, 이 평행감속기구를 단독의 후단케이싱에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중간 직교 기어헤드의 후단측에 직결가능하게 된 후단평행 기어헤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모터용 감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평행 기어헤드를, 상기 중간 직교 기어헤드의 출력축을 중심으로 하여, 이 출력축의 원주방향으로 회전하여 장착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모터용 감속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직교 기어헤드가,
    이 중간 직교 기어헤드의 입력축선 둘레에 회전하는 중간 제1기어와,
    이 중간 제1기어와 직교ㆍ맞물림하는 중간 제2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제1기어 또는 상기 중간 제2기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중간케이싱에 각각 맞닿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모터용 감속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제1기어 및 중간 제2기어가, 자기(自己)윤활성이 있는 소재로 제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모터용 감속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직교 기어헤드가, 이 중간 직교 기어헤드의 입력축선 둘레에 회전하는 중간 제1기어를 구비하고,
    이 중간 제1기어에, 이 중간 제1기어의 축심에 따라서 상기 모터의 출력축을 삽입하기 위한 구멍을 마련하여, 이 구멍의 내측에 상기 모터의 출력축과 이 중간 제1기어를 연결하기 위한 헬리컬 암(雌)스플라인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모터용 감속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後段) 평행 기어헤드의 출력축으로서 피구동축을 삽입하기 위한 중공부를 가지는 중공축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모터용 감속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직교 기어헤드가, 상기 직교변환기구의 출력회전을 전달하는 중간 평행축 감속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직교 기어헤드의 입출력축선을 포함하는 중간케이싱의 단면(斷面)형상이 L자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모터용 감속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직교 기어헤드의 상기 중간케이싱에 있어서의 L자형의 양 변(邊)을 포함하는 케이싱면으로 규정되는 공간에, 상기 후단 평행 기어헤드의 후단케이싱의 본체가 수납되도록, 이 중간 직교 기어헤드와 후단 평행 기어헤드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모터용 감속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직교 기어헤드의 상기 중간케이싱에 있어서의 L자형의 양 변을 포함하는 케이싱면으로 규정되는 공간에, 상기 후단 평행 기어헤드의 후단케이싱의 적어도 일부가 수납되도록, 이 중간 직교 기어헤드와 후단 평행 기어헤드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모터용 감속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직교 기어헤드와, 상기 후단 평행 기어헤드를, 상기 후단 평행 기어헤드의 후단케이싱에 해당 기어드모터를 외부에 설치하기 위한 장착체를 부설한 채로의 상태로, 연결ㆍ일체화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모터용 감속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체를 외부에 고정하기 위한 장착볼트를, 상기 후단 평행 기어헤드의 출력축이 돌출되어 있는 케이싱면으로부터 보아 이 후단 평행 기어헤드 본체 측에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중간 직교 기어헤드의 중간케이싱에 상기 장착볼트와의 간섭을 막기 위한 장착볼트용 리세스(recess)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모터용 감속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볼트용 리세스를, 상기 중간 직교 기어헤드의 입출력축선을 포함하는 평면과 평행의 관계에 있는 두 개의 L자형 케이싱면에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모터용 감속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체를, 상기 후단 평행 기어헤드의 출력축이 돌출되어 있는 케이싱면과, 이 케이싱면과 직각의 관계에 있는 4개의 케이싱면 중 어느 하나를 덮도록 형성된 L자형 판(板)형상부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모터용 감속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L자형의 장착체를 구성하는 두 개의 면 사이에 리브(rib)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직교 기어헤드의 케이싱에 상기 리브와의 간섭을 막기 위한 리브용 리세스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모터용 감속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체를 판형상부재로 함과 동시에, 이 장착체를, 상기 후단 평행 기어헤드의 출력축선과 평행의 관계에 있는 4개의 케이싱면 중 어느 하나에 장착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모터용 감속기.
  16. 모터와 감속기를 가지는 기어드모터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로서, 상기 모터 측으로부터 입력되는 동력의 회전방향을 직교방향으로 변환하는 직교변환기구를 가지고, 또한, 이 직교변환기구를 단독의 중간케이싱에 수납한 중간 직교 기어헤드와,
    상기 기어드모터가 형성되었을 때에, 그 최종출력축이 되는 출력축을 포함하는 평행축 감속기구를 가지고, 또한, 이 평행축 감속기구를 단독의 후단케이싱에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중간 직교 기어헤드의 후단 측에 직결가능하게 된 후단 평행 기어헤드를 구비한 감속기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모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의 중간 직교 기어헤드를, 상기 모터의 출력축을 중심으로 하여, 이 출력축의 원주방향으로 회전하여 장착가능 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모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직교 기어헤드와 상기 후단 평행 기어헤드의 결합치수가, 상기 중간 직교 기어헤드와 상기 모터의 결합치수와 동일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모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출력축과 상기 중간 직교 기어헤드의 출력축에 동일 모듈의 헬리컬 스플라인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모터.
  20. 모터와 감속기를 가지는 기어드모터를 그 구성요소로서 복수개 가지는 기어드모터의 제품그룹에 있어서,
    상기 모터, 상기 모터 측으로부터 입력되는 동력의 회전방향을 직교방향으로 변환하는 직교변환기구를 가지고, 또한, 이 직교변환기구를 단독의 중간케이싱에 수납한 중간 직교 기어헤드, 및,
    상기 기어드모터가 형성되었을 때에, 그 최종출력축이 되는 출력축을 포함하는 평행축 감속기구를 가지고, 또한, 이 평행축 감속기구를 단독의 후단케이싱에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중간 직교 기어헤드의 후단 측에 직결가능하게 된 후단 평행 기어헤드,
    의 3자(者)를 구비함과 동시에, 그 중 적어도 하나를 복수 종류 구비하여, 그 중 적어도 한 종류를 선택ㆍ교환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모터의 제품그룹.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상기 후단 평행 기어헤드만으로도 기어드모터를 구성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모터의 제품그룹.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상기 중간 직교 기어헤드만으로도 기어드모터를 구성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모터의 제품그룹.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 평행 기어헤드의 출력축의 후단케이싱에 대한 축심위치가, 상호 다른 후단 평행 기어헤드를, 복수 종류 준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모터의 제품그룹.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직교 기어헤드의 직교변환기구의 구성으로서, 베벨기어, 웜기어, 하이포이드기어 중 적어도 2개의 종류를 구비하고, 그 중 적어도 한 종류를 선택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모터의 제품그룹.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출력축과 상기 중간 직교 기어헤드의 상기 직교변환기구 사이에, 더욱 전단(前段) 평행축 감속기구를 개재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모터의 제품그룹.
  26. 직교변환기구를 가지는 감속기에 있어서,
    입력되는 동력의 회전방향을 직교방향으로 변환하는 직교변환기구와, 이 직교변환기구의 출력회전을 전달하는 중간 평행축 전달기구를, 상기 직교변환기구의 입출력축선을 포함하는 단면(斷面)형상이 L자형으로 된 케이싱에 수용한 중간 직교 기어헤드와,
    상기 중간 평행축 전달기구의 출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평행축 감속기구를, 상기 중간 직교 기어헤드의 중간케이싱의 상기 L자형의 양 변을 포함하는 케이싱면으로 규정되는 공간에 적어도 그 일부가 수납되는 후단케이싱 내에 수용한 후단 평행 기어헤드를 구비하고,
    이 후단 평행 기어헤드의 케이싱에 해당 감속기를 외부에 설치하기 위한 장착체를 부설한 채로의 상태에서, 연결ㆍ일체화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KR10-2003-0017916A 2002-03-22 2003-03-21 기어드모터용 감속기, 기어드모터 및 그 제품그룹 KR200300764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81739 2002-03-22
JP2002081739A JP3889300B2 (ja) 2002-03-22 2002-03-22 ギヤドモータ用の減速機、ギヤドモータ及びそのシリーズ
JPJP-P-2002-00088678 2002-03-27
JP2002088678A JP3806842B2 (ja) 2002-03-27 2002-03-27 動力伝達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6449A true KR20030076449A (ko) 2003-09-26

Family

ID=28456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7916A KR20030076449A (ko) 2002-03-22 2003-03-21 기어드모터용 감속기, 기어드모터 및 그 제품그룹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70549B2 (ko)
KR (1) KR20030076449A (ko)
CN (1) CN100387865C (ko)
TW (1) TWI22303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604A (ko) * 2017-07-25 2019-02-07 동원중공업 주식회사 대용량 펠렛 성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1428A (ja) * 2003-12-16 2005-07-28 Sumitomo Heavy Ind Ltd ハイポイドギヤドモータ及びモータピニオンとハイポイドピニオンとの連結構造
JP2005348501A (ja) * 2004-06-02 2005-12-15 Sumitomo Heavy Ind Ltd ギヤドモータのシリーズ及びギヤドモータの製造方法
TWM266558U (en) * 2004-11-18 2005-06-01 Antig Tech Co Ltd Bipolar fuel cell plate
JP2007028883A (ja) * 2005-06-16 2007-02-01 Sumitomo Heavy Ind Ltd ギヤドモータ及びギヤドモータ用軸部材
DE202006010188U1 (de) * 2005-12-28 2007-05-10 Marantec Antriebs- Und Steuerungstechnik Gmbh & Co. Kg Torantrieb
DE102008030004A1 (de) * 2008-06-24 2009-12-31 Mahle International Gmbh Aktuator
US8264096B2 (en) * 2009-03-05 2012-09-11 Tarfin Micu Drive system for use with flowing fluids having gears to support counter-rotative turbines
US8742608B2 (en) 2009-03-05 2014-06-03 Tarfin Micu Drive system for use with flowing fluids
FR2997467B1 (fr) * 2012-10-26 2016-07-29 Hispano Suiza Sa Boite d'engrenages de prise de mouvement sur une turbomachine, composee de carter assemble
JP6088395B2 (ja) * 2013-10-10 2017-03-01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減速装置のシリーズ
KR102250260B1 (ko) * 2014-07-17 2021-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WO2017182848A1 (en) * 2016-04-22 2017-10-26 Mukhamedjanov Shukhrat Transmission
CN106151461A (zh) * 2016-08-08 2016-11-23 太仓华淏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传动装置
CN109958752A (zh) * 2019-02-27 2019-07-02 恒昌工業有限公司 一种组合可变速比的行走减速齿轮箱及遥控坦克
CN111934488B (zh) * 2020-08-07 2021-02-09 江苏川钿明椿电气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立体车库的减速电机铝线马达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76207A (en) * 1938-03-05 1939-10-17 Herbert S Simpson Unit drive mixing machine
US2600912A (en) * 1947-02-19 1952-06-17 Gordon L Olson Speed reducing mechanism
US2868031A (en) * 1956-08-06 1959-01-13 Murray Co Texas Inc Speed reducer with detachable drive motor
US4179955A (en) * 1974-03-13 1979-12-2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ower wrench
US3987692A (en) * 1975-06-16 1976-10-26 Chicago Pneumatic Tool Company Tube nut wrench
DE2612937C3 (de) * 1976-03-26 1978-10-05 Messerschmitt-Boelkow-Blohm Gmbh, 8000 Muenchen Gehäuse für ein mechanisches Getriebe
US4171651A (en) * 1977-12-30 1979-10-23 Brimatco Corporation Power driven wrench assembly
US4185514A (en) * 1978-10-02 1980-01-29 Edwards E David Adapter for motor-speed reducer sets
US4287795A (en) * 1979-11-09 1981-09-08 The Rotor Tool Company Adjustable blade wrench
JPH0231582Y2 (ko) * 1984-09-25 1990-08-27
US4827810A (en) * 1985-10-11 1989-05-09 Stanley Air Tools-Division Of The Stanley Works Crowfoot tool
JPH078149B2 (ja) * 1989-06-16 1995-01-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静電型マイクロモータの駆動力伝達装置
JPH0561555A (ja) 1991-09-03 1993-03-1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ロールプロフイル制御装置
US5339707A (en) * 1992-12-31 1994-08-23 Arbus William J Compound automotive transmission for light trucks
US5463914A (en) * 1994-02-02 1995-11-07 Tyan; Li Yng Multi-function energy saving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SE502608C2 (sv) * 1994-05-13 1995-11-20 Asea Brown Boveri Drivenhet för industrirobot
US5533825A (en) * 1994-11-14 1996-07-09 General Electric Company Parabolically helical spline shaft coupling
CN2260671Y (zh) * 1996-05-22 1997-08-27 冶金工业部北京钢铁设计研究总院 传感器箱
EP0944789B1 (en) * 1996-12-13 2004-03-17 Sumitomo Heavy Industries, Ltd. Universal mount housing construction for right angle gearboxes and gearmotors
JPH10299840A (ja) 1997-04-25 1998-11-13 Oriental Motor Co Ltd 直交軸歯車減速機
DE19733546C1 (de) * 1997-08-02 1999-04-22 Lenze Gmbh & Co Kg Aerzen Getriebebaukasten
DE19817936A1 (de) * 1998-04-17 1999-10-28 Mannesmann Ag Antriebsanordnung
CN2461198Y (zh) * 2000-12-22 2001-11-21 缪建国 一种齿轮减速电动机
US6397691B1 (en) * 2001-01-25 2002-06-04 Hi-Tide Sales, Inc. Double reduction gear drive mea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604A (ko) * 2017-07-25 2019-02-07 동원중공업 주식회사 대용량 펠렛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304526A (en) 2003-10-01
CN1447042A (zh) 2003-10-08
US20040012282A1 (en) 2004-01-22
US7370549B2 (en) 2008-05-13
TWI223036B (en) 2004-11-01
CN100387865C (zh) 200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76449A (ko) 기어드모터용 감속기, 기어드모터 및 그 제품그룹
KR100749349B1 (ko) 로봇 손목 구동용 동력전달장치 및 동력전달장치
EP0567048B1 (en) Gearbox motor adaptor
KR19990086790A (ko) 내접 유성치차를 이용한 감속장치
JPH05240313A (ja) モータ付直交歯車減速機のシリーズ及びシリーズ群
EP1091144B1 (en) Geared motor and geared motor series
US6029532A (en) Gearing commonality system for gear reducers
JP3889300B2 (ja) ギヤドモータ用の減速機、ギヤドモータ及びそのシリーズ
US5934156A (en) Close-connected shaft adapter assembly, jack shaft assembly, and power transmission assembly using same
JP2866249B2 (ja) 内接噛合式遊星歯車構造を採用した増減速機シリーズ
KR100509325B1 (ko) 하이포이드 감속장치 및 그 그룹
JP4675257B2 (ja) ギヤドモータ用の減速機、ギヤドモータ及びそのシリーズ
JP4137427B2 (ja) ハイポイド減速機のシリーズ、及びハイポイドギヤドモータのシリーズ
CN113803443A (zh) 一种外骨骼主动助力减速箱
JPH084844A (ja) ギヤドモータのシリーズ
JP2922776B2 (ja) 直交軸歯車減速機
KR100633701B1 (ko) 직교동력전달장치
EP3656931A1 (en) Planetary gear module for swing drive of a construction machine
EP1325251B1 (en) A hydro-mechanical transmission planetary carrier support system
JP2003097650A (ja) モータ付ハイポイド減速装置のシリーズ
EP1143165A2 (en) Speed reducer comprising a worm/worm gear first stage and an epicycloidal second stage
CN114026351A (zh) 行星齿轮箱及其装配方法、相关的机器人关节和机器人
CN212360662U (zh) 一种二级减速装置和相应的动力传动组件
CN111536204B (zh) 一种内啮合行星齿轮减速机构
CN216781874U (zh) 连接关节及设有该连接关节的机械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