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5200A - 릴렌 유도체 및 염료로서 그것의 용도 - Google Patents

릴렌 유도체 및 염료로서 그것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5200A
KR20030075200A KR10-2003-7010857A KR20037010857A KR20030075200A KR 20030075200 A KR20030075200 A KR 20030075200A KR 20037010857 A KR20037010857 A KR 20037010857A KR 20030075200 A KR20030075200 A KR 20030075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formula
hydrogen
alkoxy
cya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0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1809B1 (ko
Inventor
크리거마티아스
뵘아르노
로이터에릭
뮐렌클라우스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막스-플랑크-게젤샤프트 츄어 푀르더룽 데어 비쎈샤프텐 에.파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막스-플랑크-게젤샤프트 츄어 푀르더룽 데어 비쎈샤프텐 에.파우. filed Critical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30075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5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1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18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 C07D49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1/06Peri-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2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211/00 - C07D219/00
    • C07D22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211/00 - C07D219/00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21/04Ortho- or peri-condensed ring systems
    • C07D221/18Ring systems of four or more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6Peri-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5/00Dyes with an anthracene nucleus condensed with one or more heterocyclic rings with or without carbocyclic rings
    • C09B5/62Cyclic imides or amidines of peri-dicarboxylic acids of the anthracene, benzanthrene, or perylene series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릴렌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변수는 하기 의미를 가진다:
R은 수소 또는 치환 또는 미치환 C1-C30-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R1은 수소 또는 브롬이며;
R2는 수소 또는 C1-C6-알킬이고;
R3는 수소; C1-C18-알킬; 각기 C1-C8-알킬, C1-C6-알콕시, 할로겐, 히드록실 및/또는 시아노로 치환될 수 있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며;
n은 2 또는 3이다.

Description

릴렌 유도체 및 염료로서 그것의 용도{RYLE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DYES}
더 단쇄의 릴렌-3,4-디카르복시이미드(여기서, 화학식 I에서 n = 0 또는 1, 예컨대 해당 나프탈렌 및 페릴렌 유도체)가 공지되어 있다. 페리 위치(페릴렌 구조의 9번 위치)에서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페릴렌-3,4-디카르복시이미드는 예컨대 EP-A-636 666호, 문헌[Chimia 48, pp. 503-505 (1994)], EP-A-592 292호 및 문헌[Dyes and Pigments 16, pp. 19-25 (1991)]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페릴렌 구조에서 추가로 치환된 9-할로페릴렌-3,4-디카르복시이미드는 WO-A-96/22332호에 개시되어 있다. 공지 화합물의 공통적인 양태는 이들이 근자외선 또는 가시광선 스펙트럼의 단파장 영역, 즉 실질적으로 340 내지 540 nm 범위에서 흡수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신규한 릴렌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에서, 변수는 하기 의미를 가진다:
R은 수소;
C1-C30-알킬(그 탄소쇄에 1 이상의 -O-, -S-, -NR2-, -CO- 및/또는 -SO2- 기가 개재될 수 있고, 카르복실, 술포, 히드록실, 시아노, C1-C6-알콕시, 및/또는 질소 원자에 의해 결합되고, 이종 원자를 더 함유할 수 있으며, 방향족일 수 있는 5원 내지 7원 복소환 라디칼로 단치환 또는 다치환될 수 있음);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들은 각기 C1-C10-알킬, C1-C6-알콕시, 할로겐, 히드록실, 시아노 및/또는 카르복실로 치환될 수 있는 C1-C18-알킬, C1-C6-알콕시, 할로겐, 히드록실, 시아노, 카르복실, -CONHR3, -NHCOR3및/또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아조로 각기 단치환 또는 다치환될 수 있음)이고;
R1은 수소 또는 브롬이며;
R2는 수소 또는 C1-C6-알킬이고;
R3는 수소; C1-C18-알킬; 각기 C1-C8-알킬, C1-C6-알콕시, 할로겐, 히드록실 및/또는 시아노로 치환될 수 있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며;
n은 2 또는 3이다.
또한, 본 발명은 릴렌 유도체 I의 제조 방법 및, 고분자량 유기 및 무기 물질, 특히 플라스틱, 표면 코팅 및 인쇄 잉크를 착색하기 위한 용도, 분산 보조제, 유기 안료용 안료 첨가제 및 형광 착색제와 안료 첨가제 제조용 중간체로서의 용도, 장식용 화장품 내 착색 성분으로서의 용도, 전자기 스펙트럼의 근적외선에서 착색 또는 흡수 및/또는 방출되는 수성 중합체 분산제를 제조하기 위한 용도, 전자 사진의 광전도체로서의 용도, 전장 발광 및 화학 발광 분야에서의 방출체로서의 용도, 형광 전환에서의 활성 성분으로서의 용도 및 레이저 염료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릴렌 유도체 I의 제조를 위한 중간체로서 하기 화학식 III의 신규한 릴렌테트라카르복실 모노이미드 모노무수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에서, 변수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은 그것의 제조 방법 및, 고분자량 유기 및 무기 물질, 특히 플라스틱, 표면 코팅 및 인쇄 잉크를 착색하기 위한 용도, 분산 보조제, 유기 안료용 안료 첨가제 및 형광 착색제와 안료 첨가제 제조용 중간체로서의 용도, 장식용 화장품 내 착색 성분으로서의 용도, 전자기 스펙트럼의 근적외선에서 착색 또는 흡수 및/또는 방출되는 수성 중합체 분산제를 제조하기 위한 용도, 전자 사진의 광전도체로서의 용도, 전장 발광 및 화학 발광 분야에서의 방출체로서의 용도, 형광 전환에서의 활성 성분으로서의 용도 및 레이저 염료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기 스펙트럼의 장파장, 즉 적색 및 적외선 영역에서 흡수 및 방출하고, 특히 페리 위치에서 유도체화될 수 있는 릴렌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이 목적이 상기 정의된 화학식 I의 터릴렌 및 쿼터릴렌 유도체에 의해 달성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바람직한 릴렌 유도체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규정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a) 하기 화학식 II의 비대칭 릴렌테트라카르복실 디이미드를 극성 유기 용매의 존재 하에 알칼리성 조건 하에서 모노가수분해하는 단계; 및
(상기 식에서, R4는 탄소 골격에 1 이상의 -O-, -S- 및/또는 -NR2- 기가 개재될 수 있고, C1-C6-알킬로 단치환 또는 다치환될 수 있는 C5-C8-시클로알킬임)
b) 단계 a)에서 형성된 하기 화학식 III의 릴렌테트라카르복실 모노이미드 모노무수물을 3차 질소 염기 화합물의 존재 및 전이 금속 촉매의 존재 하에 모노탈카르복실화하는 단계; 및
화학식 III
c) 필요에 따라, 계속해서 반응 생성물을 브롬 원소와 반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릴렌 유도체 I의 제조 방법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릴렌-3,4-디카르복시이미드 I에 대한 유도체로서 상기 정의된 화학식 III의 릴렌테트라카르복실 모노이미드 모노무수물을 발견하였다.
특히, 본 발명자들은 릴렌 유도체 I 및 릴렌테트라카르복실 모노이미드 모노무수물 III에 대해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용도를 발견하였다.
화학식 I 내지 III에 있는 모든 알킬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다. 알킬기가 치환된 경우, 대체로 이들은 1 또는 2 개의 치환기를 가진다.
적당한 라디칼 R, R1, R2, R3및 R4(또는 이들의 치환기)에 언급될 수 있는 특정예는 다음과 같다: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t-부틸, 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t-펜틸, 헥실, 2-메틸펜틸, 헵틸, 1-에틸펜틸, 옥틸, 2-에틸헥실, 이소옥틸, 노닐, 이소노닐, 데실, 이소데실, 운데실, 도데실, 트리데실, 이소트리데실, 테트라데실, 펜타데실, 헥사데실, 헵타데실, 옥타데실, 노나데실 및 에이코실(상기 화합물명 이소옥틸, 이소노닐, 이소데실 및 이소트리데실은 관용명이며, 옥소 합성에 의해 얻어지는 알콜에서 유래함);
2-메톡시에틸, 2-에톡시에틸, 2-프로폭시에틸, 2-이소프로폭시에틸, 2-부톡시에틸, 2- 및 3-메톡시프로필, 2- 및 3-에톡시프로필, 2- 및 3-프로폭시프로필, 2- 및 3-부톡시프로필, 2- 및 4-메톡시부틸, 2- 및 4-에톡시부틸, 2- 및 4-프로폭시부틸, 3,6-디옥사헵틸, 3,6-디옥사옥틸, 4,8-디옥사노닐, 3,7-디옥사옥틸, 3,7-디옥사노닐, 4,7-디옥사옥틸, 4,7-디옥사노닐, 2- 및 4-부톡시부틸, 4,8-디옥사데실, 3,6,9-트리옥사데실, 3,6,9-트리옥사운데실, 3,6,9-트리옥사도데실, 3,6,9,12-테트라옥사트리데실 및 3,6,9,12-테트라옥사테트라데실;
2-메틸티오에틸, 2-에틸티오에틸, 2-프로필티오에틸, 2-이소프로필티오에틸, 2-부틸티오에틸, 2- 및 3-메틸티오프로필, 2- 및 3-에틸티오프로필, 2- 및 3-프로필티오프로필, 2- 및 3-부틸티오프로필, 2- 및 4-메틸티오부틸, 2- 및 4-에틸티오부틸, 2- 및 4-프로필티오부틸, 3,6-디티아헵틸, 3,6-디티아옥틸, 4,8-디티아노닐, 3,7-디티아옥틸, 3,7-디티아노닐, 2- 및 4-부틸티오부틸, 4,8-디티아데실, 3,6,9-트리티아데실, 3,6,9-트리티아운데실, 3,6,9-트리티아도데실, 3,6,9,12-테트라티아트리데실 및 3,6,9,12-테트라티아테트라데실;
2-모노메틸- 및 2-모노에틸아미노에틸, 2-디메틸아미노에틸, 2- 및 3-디메틸아미노프로필, 3-모노이소프로필아미노프로필, 2- 및 4-모노프로필아미노부틸, 2- 및 4-디메틸아미노부틸, 6-메틸-3,6-디아자헵틸, 3,6-디메틸-3,6-디아자헵틸, 3,6-디아자옥틸, 3,6-디메틸-3,6-디아자옥틸, 9-메틸-3,6,9-트리아자데실, 3,6,9-트리메틸-3,6,9-트리아자데실, 3,6,9-트리아자운데실, 3,6,9-트리메틸-3,6,9-트리아자운데실, 12-메틸-3,6,9,12-테트라아자트리데실 및 3,6,9,12-테트라메틸-3,6,9,12-테트라아자트리데실;
프로판-2-온-1-일, 부탄-3-온-1-일, 부탄-3-온-2-일 및 2-에틸펜탄-3-온-1-일;
2-메틸술포닐에틸, 2-에틸술포닐에틸, 2-프로필술포닐에틸, 2-이소프로필술포닐에틸, 2-부틸술포닐에틸, 2- 및 3-메틸술포닐프로필, 2- 및 3-에틸술포닐프로필, 2- 및 3-프로필술포닐프로필, 2- 및 3-부틸술포닐프로필, 2- 및 4-메틸술포닐부틸, 2- 및 4-에틸술포닐부틸, 2- 및 4-프로필술포닐부틸 및 4-부틸술포닐부틸;
카르복시메틸, 2-카르복시에틸, 3-카르복시프로필, 4-카르복시부틸, 5-카르복시펜틸, 6-카르복시헥실, 8-카르복시옥틸, 10-카르복시데실, 12-카르복시도데실 및 14-카르복시테트라데실;
술포메틸, 2-술포에틸, 3-술포프로필, 4-술포부틸, 5-술포펜틸, 6-술포헥실, 8-술포옥틸, 10-술포데실, 12-술포도데실 및 14-술포테트라데실;
2-히드록시에틸, 3-히드록시프로필, 1-히드록시프로프-2-일, 2- 및 4-히드록시부틸, 1-히드록시부트-2-일 및 8-히드록시-4-옥사옥틸;
시아노메틸, 2-시아노에틸, 3-시아노프로필, 2-메틸-3-에틸-3-시아노프로필, 7-시아노-7-에틸헵틸 및 4,7-디메틸-7-시아노헵틸;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이소부톡시, sec-부톡시, t-부톡시, 펜톡시, 이소펜톡시, 네오펜톡시, t-펜톡시 및 헥속시;
카르바모일, 메틸아미노카르보닐, 에틸아미노카르보닐, 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 부틸아미노카르보닐, 펜틸아미노카르보닐, 헥실아미노카르보닐, 헵틸아미노카르보닐, 옥틸아미노카르보닐, 노닐아미노카르보닐, 데실아미노카르보닐 및 페닐아미노카르보닐;
포르밀아미노, 아세틸아미노, 프로피온일아미노 및 벤조일아미노;
염소, 브롬 및 요오드;
페닐아조, 2-나프틸아조, 2-피리딜아조 및 2-피리미딜아조;
페닐, 2-나프틸, 2- 및 3-피릴, 2-, 3- 및 4-피리딜, 2-, 4- 및 5-피리미딜, 3-, 4- 및 5-피라졸일, 2-, 4- 및 5-이미다졸일, 2-, 4- 및 5-티아졸일, 3-(1,2,4-트리아질), 2-(1,3,5-트리아질), 6-퀴날딜, 3-, 5-, 6- 및 8-퀴놀린일, 2-벤즈옥사졸일, 2-벤조티아졸일, 5-벤조티아디아졸일, 2- 및 5-벤즈이미다졸일 및 1- 및 5-이소퀴놀일;
2-, 3- 및 4-메틸페닐, 2,4-, 2,5-, 3,5- 및 2,6-디메틸페닐, 2,4,6-트리메틸페닐, 2-, 3- 및 4-에틸페닐, 2,4-, 2,5-, 3,5- 및 2,6-디에틸페닐, 2,4,6-트리에틸페닐, 2-, 3- 및 4-프로필페닐, 2,4-, 2,5-, 3,5- 및 2,6-디프로필페닐, 2,4,6-트리프로필페닐, 2-, 3- 및 4-이소프로필페닐, 2,4-, 2,5-, 3,5- 및 2,6-디이소프로필페닐, 2,4,6-트리이소프로필페닐, 2-, 3- 및 4-부틸페닐, 2,4-, 2,5-, 3,5- 및 2,6-디부틸페닐, 2,4,6-트리부틸페닐, 2-, 3- 및 4-이소부틸페닐, 2,4-, 2,5-, 3,5- 및 2,6-디이소부틸페닐, 2,4,6-트리이소부틸페닐, 2-, 3- 및 4-sec-부틸페닐, 2,4-, 2,5-, 3,5- 및 2,6-디-sec-부틸페닐 및 2,4,6-트리-sec-부틸페닐, 2-, 3- 및 4-t-부틸페닐, 2,4-, 2,5-, 3,5- 및 2,6-디-t-부틸페닐, 2,4,6-트리-t-부틸페닐; 2-, 3- 및 4-메톡시페닐, 2,4-, 2,5-, 3,5- 및 2,6-디메톡시페닐, 2,4,6-트리메톡시페닐, 2-, 3- 및 4-에톡시페닐, 2,4-, 2,5-, 3,5- 및 2,6-디에톡시페닐, 2,4,6-트리에톡시페닐, 2-, 3- 및 4-프로폭시페닐, 2,4-, 2,5-, 3,5- 및 2,6-디프로폭시페닐, 2-, 3- 및 4-이소프로폭시페닐, 2,4-, 2,5-, 3,5- 및 2,6-디이소프로폭시페닐 및 2-, 3- 및 4-부톡시페닐; 2-, 3- 및 4-클로로페닐, 및 2,4-, 2,5-, 3,5- 및 2,6-디클로로페닐; 2-, 3- 및 4-히드록시페닐 및 2,4-, 2,5-, 3,5-및 2,6-디히드록시페닐; 2-, 3- 및 4-시아노페닐; 3- 및 4-카르복시페닐; 3- 및 4-카르복시아미도페닐, 3- 및 4-N-메틸카르복시아미도페닐 및 3- 및 4-N-에틸카르복시아미도페닐; 3- 및 4-아세틸아미노페닐, 3- 및 4-프로피온일아미노페닐 및 3- 및 4-부티릴아미노페닐; 3- 및 4-N-페닐아미노페닐, 3- 및 4-N-(o-톨일)아미노페닐, 3- 및 4-N-(m-톨일)아미노페닐 및 3- 및 4-N-(p-톨일)아미노페닐; 3- 및 4-(2-피리딜)아미노페닐, 3- 및 4-(3-피리딜)아미노페닐, 3- 및 4-(4-피리딜)아미노페닐, 3- 및 4-(2-피리미딜)아미노페닐 및 4-(4-피리미딜)아미노페닐;
4-페닐아조페닐, 4-(1-나프틸아조)페닐, 4-(2-나프틸아조)페닐, 4-(4-나프틸아조)페닐, 4-(2-피리딜아조)페닐, 4-(3-피리딜아조)페닐, 4-(4-피리딜아조)페닐, 4-(2-피리미딜아조)페닐, 4-(4-피리미딜아조)페닐 및 4-(5-피리미딜아조)페닐;
시클로펜틸, 2- 및 3-메틸시클로펜틸, 2- 및 3-에틸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2-, 3- 및 4-메틸시클로헥실, 2-, 3- 및 4-에틸시클로헥실, 3- 및 4-프로필시클로헥실, 3- 및 4-이소프로필시클로헥실, 3- 및 4-부틸시클로헥실, 3- 및 4-sec-부틸시클로헥실, 3- 및 4-t-부틸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2-, 3- 및 4-메틸시클로헵틸, 2-, 3- 및 4-에틸시클로헵틸, 3- 및 4-프로필시클로헵틸, 3- 및 4-이소프로필시클로헵틸, 3- 및 4-부틸시클로헵틸, 3- 및 4-sec-부틸시클로헵틸, 3- 및 4-t-부틸시클로헵틸, 시클로옥틸, 2-, 3-, 4- 및 5-메틸시클로옥틸, 2-, 3-, 4- 및 5-에틸시클로옥틸, 3-, 4- 및 5-프로필시클로옥틸, 2-디옥산일, 4-모르폴린일, 2- 및 3-테트라히드로푸릴, 1-, 2- 및 3-피롤리딘일 및 1-, 2-, 3- 및 4-피페리딜.
릴렌 유도체 I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계 방법에 의해 유리하게 제조할 수 있는데, 단계 a)에서, 이미드 질소 상에서 시클로알킬 라디칼로 치환된 비대칭 릴렌테트라카르복실 디이미드 II를 모노가수분해하고, 단계 b)에서, 형성된 릴렌테트라카르복실 모노이미드 모노무수물 III을 모노탈카르복실화한다. 페리 위치에서 브롬화된(R1= Br) 릴렌 유도체가 요망되는 경우, 페리 위치에서 미치환된(R1= H) 릴렌 유도체 I을 추가 단계 c)에서 브롬 원소와 반응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단계 a)에서, 릴렌테트라카르복실 디이미드 II의 시클로알킬 치환 이미드기의 가수분해를 극성 유기 용매의 존재 및 염기의 존재 하에 수행한다.
이 목적을 위해 출발 물질로서 사용되는 비대칭 릴렌테트라카르복실 디이미드 II는 공지되어 있으며, EP-A-592 292호 및 문헌[Chem. Eur. Journal 3, pp. 219-225 (1997)]에 개시되어 있다.
적당한 용매로는, 특히 분지쇄 C3-C6-알콜, 예컨대 이소프로판올, t-부탄올 및 2-메틸-2-부탄올이 있다.
일반적으로, 화합물 II의 g당 용매 40 내지 200 g을 사용한다.
적당한 염기로는 무기 염기, 특히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토 금속 수산화물, 예컨대 수산화나트륨 및 수산화칼륨(수용액 또는 현탁액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일반적으로, 50 내지 80 중량% 농도), 및 유기 염기, 특히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토 금속 알콕시화물, 바람직하게는 알콕시화나트륨 및 알콕시화칼륨, 예컨대 메톡시화나트륨, 메톡시화칼륨, 이소프로폭시화칼륨 및 t-부톡시화칼륨(통상적으로, 무수 형태로 사용됨)이 있다.
일반적으로, 화합물 II를 기준으로 5 내지 50 당량의 염기가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반응 온도는 5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이다.
대체로, 가수분해는 10 내지 40 분 내에 완결된다.
방법의 단계 a)는 다음과 같이 수행되는 것이 유리하다:
릴렌테트라카르복실 디이미드 II, 염기 및 용매의 현탁액은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소정의 반응 온도로 가열한다. 가수분해가 완결되고,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면, 산, 예를 들면 염산과 같은 무기산, 또는 아세트산과 같은 유기산을 사용하여 pH를 1 내지 4로 설정한다. 생성물을 여과하고, 온수로 세척한 후, 감압 하에 약 100℃에서 건조시킨다.
일반적으로, 단계 a)에서 이미 얻은 릴렌테트라카르복실 모노이미드 모노무수물 III은 단계 b)에서 탈카르복실화에 대해 직접 사용할 수 있는 고 어세이(> 90%)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단계 b)에서, 릴렌테트라카르복실 모노이미드 모노무수물 III은 용매로서 3차 질소 염기 화합물의 존재 및 전이 금속 촉매의 존재 하에 모노탈카르복실화한다.
적당한 용매로는, 특히 고비점 질소 염기, 예를 들면 고리 아미드, 예컨대 N-메틸피롤리돈 및 방향족 복소환 화합물, 예컨대 퀴놀린, 이소퀴놀린 및 퀴날딘이 있다.
용매의 통상량은 화합물 III의 g당 20 내지 150 g이다.
적당한 촉매로는, 특히 전이 금속 구리 및 아연, 특히 이들의 무기 및 유기염이 있으며, 무수물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염의 예로는 산화구리(I), 산화구리(II), 염화구리(I), 아세트산구리(II), 아세트산아연 및 프로피온산아연이 있으며, 산화구리(I)와 아세트산아연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촉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화합물 III을 기준으로 촉매 50 내지 90 mol%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반응 온도는 100 내지 250℃, 특히 160 내지 200℃이다. 보호 가스 분위기(예를 들면, 질소)를 사용할 수 있다.
보통, 탈카르복실화는 3 내지 20 시간 내에 완결된다.
방법의 단계 b)는 다음과 같이 수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릴렌테트라카르복실 모노이미드 모노무수물 III, 용매 및 촉매의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소정의 반응 온도로 가열한다. 탈카르복실화가 완결되고, 혼합물이 실온으로 냉각되면, 반응 혼합물을 대략 동일 부피의 저비점 알콜, 예컨대 메탄올에 붓고, 동량의 묽은 무기산, 예를 들면 5 내지 6 중량% 농도의 염산을 교반하면서 가하며, 생성물을 여과한다. 필요에 따라, 미정제 생성물을 적당한 용매, 예를 들면 크실렌과 같은 방향족 용매 중에서 교반하고, 여과하며, 저비점 알콜로 세척하고, 약 75℃에서 감압 하에 건조시킨다.
추가 정제는 고비점 용매, 예컨대 N-메틸피롤리돈으로부터의 재결정에 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미 얻어진 릴렌 유도체 I(R1= H)는 ≥95%의 어세이를 갖기때문에 이것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페리 위치에서 브롬화된 릴렌 유도체 I(R1= Br)을 제조하는 경우, 미치환 릴렌 유도체 I은 본 발명에 따른 단계 c), 위치 선택성 브롬화를 수행한다.
이 브롬화는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 특히 C1-C4-카르복실산, 예컨대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또는 그것의 혼합물, 또는 할로겐화 지방족 또는 방향족 용매, 예컨대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또는 클로로벤젠 중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통, 브롬화하고자 하는 화합물 I의 g당 용매 5 내지 30 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 g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할로겐화 촉매의 존재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브롬화 반응을 (대략 1.5 내지 2의 인자로) 촉진할 것이 요망된다면, 요오드 원소를, 바람직하게는 화합물 I를 기준으로 1 내지 5 mol%의 양으로 첨가할 것을 권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브롬과 화합물 I의 몰비는 약 1:1 내지 5:1, 바람직하게는 3:1 내지 4:1이다.
일반적으로, 반응 온도는 0 내지 70℃, 특히 10 내지 40℃이다.
기질 I의 반응성 및 요오드의 존재 또는 부재에 따라서, 브롬화는 대체로 2 내지 12 시간 내에 완결된다.
방법의 단계 c)는 다음과 같이 수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브롬화하고자 하는 릴렌 유도체 I 및 용매의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15 내지 30 분에 걸쳐서 소정의 반응 온도가 되게 하고, 필요에 따라 촉매를 첨가한 후, 소정량의 브롬을 5 내지 10 분에 걸쳐서 첨가하며, 혼합물을 빛 없이 그 반응 온도에서 2 내지 12 시간 동안 교반한다. 질소의 격렬한 스트림을 사용하여 과량의 브롬을 제거한 후, 반응 혼합물을 대략 동량의 지방족 알콜, 예컨대 메탄올에 혼입하고, 밤새도록 교반하며, 침전된 생성물을 여과하고, 바람직하게는 동일 알콜로 세척하며, 약 120℃에서 감압 하에 건조시킨다.
또한, 일반적으로 단계 c)에서 이미 얻은 브롬화된 릴렌 유도체 I는 소정 용도에 직접 사용할 수 있도록 높은 어세이(> 95%)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릴렌 유도체는 고분자량 유기 및 무기 물질, 특히 예를 들면, 플라스틱, 특히 열가소성 플라스틱, 표면 코팅 및 인쇄 잉크의 균질한 착색 및 산화층 시스템에 매우 적당하다.
또한, 이들은 분산 보조제로서, 유기 안료용 안료 첨가제로 및 형광 착색제와 안료 첨가제 제조용 중간체로서, 장식용 화장품 내 착색 성분으로서, 전자기 스펙트럼의 근적외선에서 착색 또는 흡수 및/또는 방출되는 수성 중합체 분산체의 제조, 전자 사진의 광전도체로서, 전장 발광 및 화학 발광 분야에서의 방출체로서, 형광 전환에서의 활성 성분으로서 및 레이저 염료로서 적당하다.
또한, 릴렌 유도체 I에 대한 중간체로서 역할을 하는 릴렌테트라카르복실 모노이미드 모노무수물 III도 그 자체로 전술한 고분자량 유기 및 무기 물질의 착색, 유기 안료용 안료 첨가제로 및 형광 착색제와 안료 첨가제 제조용 중간체로서, 장식용 화장품 내 착색 성분으로서, 전자기 스펙트럼의 근적외선에서 착색 또는 흡수 및/또는 방출되는 수성 중합체 분산체의 제조, 전자 사진의 광전도체로서, 전장 발광 및 화학 발광 분야에서의 방출체로서, 형광 전환에서의 활성 성분으로서 및 레이저 염료로서 적당하다.
A)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II의 릴렌테트라카르복실 모노이미드 일수화물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6
릴렌테트라카르복실 디이미드 II 10 g(x mmol)을 이소프로판올 500 ㎖에 혼입하고, 수산화칼륨 40 g과 물 30 ㎖의 혼합물을 가하였다. 그 다음,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t 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이것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물 2 부피부 및 진한 황산 1 부피부의 혼합물 300 ㎖에 혼입하였다. 혼합물을 30 분 동안 교반한 후, 생성물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여 pH를 중성으로 하고, 100℃에서 감압 하에 건조시켰다.
이들 실험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과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x[mmol] 릴렌테트라카르복실 디이미드 II t[시간] 수율[g]/[%] 외관 융점[℃]
1 13.2 N-(2,6-디이소프로필페닐)-N'-시클로헥실터릴렌-3,4:11,12-테트라카르복실 디이미드 20 8.9/100 청자색미세결정형 >350
2 14.2 N-(p-메톡시페닐)-N'-시클로헥실터릴렌-3,4:11,12-테트라카르복실 디이미드 28 8.4/ 95 흑청색무정형 >350
3 13.1 N-도데실-N'-시클로헥실터릴렌-3,4:11,12-테트라카르복실 디이미드 18 8.7/ 97 흑색무정형 >350
4 11.4 N-(2,6-디이소프로필페닐)-N'-시클로헥실쿼터릴렌-3,4:13,14-테트라카르복실 디이미드 15 8.9/ 98 흑색미세결정형 >350
5 12.1 N-(p-메톡시페닐)-N'-시클로헥실쿼터릴렌-3,4:13,14-테트라카르복실 디이미드 20 8.3/ 92 자흑색무정형 >350
6 11.3 N-도데실-N'-시클로헥실쿼터릴렌-3,4:13,14-테트라카르복실 디이미드 28 8.6/ 95 자흑색무정형 >350
B) 본 발명에 따른 릴렌 유도체 I(R 1 = H)의 제조
실시예 7 내지 12
퀴놀린 400 ㎖ 중의 릴렌테트라카르복실 모노이미드 모노무수물 III x g(7 mmol)과 산화구리(I) 7 g의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220℃로 가열하고, t 시간 동안 이 온도로 유지시켰다.
이것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메탄올 400 ㎖에 혼입하고, 물 3 부피부 및 진한 황산 1 부피부의 혼합물 400 ㎖를 가하였다. 혼합물을 30 분 동안 교반한 후, 생성물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여 pH를 중성으로 하고, 75℃에서 감압 하에 건조시켰다. 그 후, 이 방식으로 얻은 미정제 생성물을 N-메틸피롤리돈으로부터 재결정하여 미량의 출발 물질을 제거하였다.
이들 실험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과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x[g] 릴렌테트라카르복실 모노이미드모노무수물 III t[시간] 수율[g]/[%] 외관 융점[℃]
7 4.8 N-(2,6-디이소프로필페닐)터릴렌-3,4:11,12-테트라카르복실모노이미드 모노무수물 10 3.7/88 푸른 흑색미세결정형 >350
8 4.4 N-(p-메톡시페닐)터릴렌-3,4:11,12-테트라카르복실모노이미드 모노무수물 12 3.3/85 청흑색결정형 >350
9 4.8 N-도데실터릴렌-3,4:11,12-테트라카르복실모노이미드 모노무수물 15 3.9/90 흑색무정형 >350
10 5.6 N-(2,6-디이소프로필페닐)쿼터릴렌-3,4:13,14-테트라카르복실모노이미드 모노무수물 15 4.1/80 흑색미세결정형 >350
11 5.2 N-(p-메톡시페닐)쿼터릴렌-3,4:13,14-테트라카르복실모노이미드 모노무수물 20 4.3/90 흑색미세결정형 >350
12 5.7 N-도데실쿼터릴렌-3,4:13,14-테트라카르복실모노이미드 모노무수물 20 4.4/86 흑색무정형 >350
실시예 7에 대한 분석 데이타:
N-(2,6-디이소프로필페닐)터릴렌-3,4-디카르복시이미드:
원소 분석(중량% 계산치/실측치):
C: 87.25/87.4; H: 5.15/5.2; N: 2.3/2.2; O: 5.3/5.2;
매스(FD, 8 kV): m/e = 605.2(M+, 100%);
IR(KBr): ν= 1687(s, C=O), 1647(s, C=O) cm-1;
UV/VIS(NMP): λmax(ε) = 580(42933), 639(47376) nm.
실시예 10에 대한 분석 데이타:
N-(2,6-디이소프로필페닐)쿼터릴렌-3,4-디카르복시이미드:
원소 분석(중량% 계산치/실측치):
C: 88.85/88.9; H: 4.85/4.8; N: 1.9/1.9; O: 4.4/4.4;
매스(FD, 8 kV): m/e = 729.3(M+, 100%);
IR(KBr): ν= 1690(s, C=O), 1651(s, C=O) cm-1;
UV/VIS(NMP): λmax(ε) = 677(72355), 740(80001) nm.
C) 본 발명에 따른 11-브로모터릴렌-3,4-디카르복시이미드 및 13-브로모쿼터릴렌-3,4-디카르복시이미드 I(R 1 = Br)의 제조
실시예 13 내지 18
릴렌 유도체 I x g(0.1 mol)을 빙초산 1.5 ℓ에 30 분 동안 현탁시켰다. 요오드 1 g(3.9 mmol) 및 브롬 64 g(0.4 mol)을 가한 후, 혼합물을 빛 없이 T℃에서 t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에서 질소의 격렬한 스트림을 사용하여 과량의 브롬을 제거한 후, 메탄올 1 ℓ로 희석시키고, 실온에서 밤새도록 교반하였다.
침전된 생성물을 여과하고, 메탄올 1.5 ℓ로 먼저 세척한 다음, 세척액이 중성이 될 때까지 물로 세척하였으며, 120℃에서 감압 하에 건조시켰다.
이들 실험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과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x[g] 릴렌 유도체 I t[시간] T[℃] 수율[g]/[%] 외관 융점[℃]
13 60.6 N-(2,6-디이소프로필페닐)터릴렌-3,4-디카르복시이미드 8 30 61.6/90 암청색결정형 >350
14 55.2 N-(p-메톡시페닐)터릴렌-3,4-디카르복시이미드 12 40 56.7/90 암청색미세결정형 >350
15 61.4 N-도데실터릴렌-3,4-디카르복시이미드 8 30 61.0/88 암청색미세결정형 >350
16 73.0 N-(2,6-디이소프로필페닐)쿼터릴렌-3,4-디카르복시이미드 12 35 68.7/85 청록색결정형 >350
17 67.6 N-(p-메톡시페닐)쿼터릴렌-3,4-디카르복시이미드 16 40 67.9/90 청록색미세결정형 >350
18 73.8 N-도데실쿼터릴렌-3,4-디카르복시이미드 12 35 67.0/82 청록색결정형 >350
실시예 13에 대한 분석 데이타:
11-브로모-N-(2,6-디이소프로필페닐)터릴렌-3,4-디카르복시이미드:
원소 분석(중량% 계산치/실측치):
C: 77.2/77.0; H: 4.4/4.4; N: 2.05/2.1; O: 4.7/4.7; Br: 11.7/11.8;
매스(FD, 8 kV): m/e = 684.6(M+, 100%);
IR(KBr): ν= 1686(s, C=O), 1645(s, C=O) cm-1;
UV/VIS(NMP): λmax(ε) = 578(46018), 643(52323) nm.
실시예 16에 대한 분석 데이타:
13-브로모-N-(2,6-디이소프로필페닐)쿼터릴렌-3,4-디카르복시이미드:
원소 분석(중량% 계산치/실측치):
C: 80.2/80.5; H: 4.2/4.2; N: 1.7/1.7; O: 4.0/4.1; Br: 9.9/9.5;
질량(FD, 8 kV): m/e = 808.7(M+, 100%);
IR(KBr): ν= 1689(s, C=O), 1650(s, C=O) cm-1;
UV/VIS(NMP): λmax(ε) = 671(80081), 748(88256) nm.

Claims (16)

  1. 하기 화학식 I의 릴렌 유도체: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변수는 하기 의미를 가진다:
    R은 수소;
    C1-C30-알킬(그 탄소쇄에 1 이상의 -O-, -S-, -NR2-, -CO- 및/또는 -SO2- 기가 개재될 수 있고, 카르복실, 술포, 히드록실, 시아노, C1-C6-알콕시, 및/또는 질소 원자에 의해 결합되고, 이종 원자를 더 함유할 수 있으며, 방향족일 수 있는 5원 내지 7원 복소환 라디칼로 단치환 또는 다치환될 수 있음);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들은 각기 C1-C10-알킬, C1-C6-알콕시, 할로겐, 히드록실, 시아노 및/또는 카르복실로 치환될 수 있는 C1-C18-알킬, C1-C6-알콕시, 할로겐, 히드록실, 시아노, 카르복실, -CONHR3, -NHCOR3및/또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아조로 각기 단치환 또는 다치환될 수 있음)이고;
    R1은 수소 또는 브롬이며;
    R2는 수소 또는 C1-C6-알킬이고;
    R3는 수소; C1-C18-알킬; 각기 C1-C8-알킬, C1-C6-알콕시, 할로겐, 히드록실 및/또는 시아노로 치환될 수 있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며;
    n은 2 또는 3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변수는 하기 의미를 갖는 것인 화학식 I의 릴렌 유도체:
    R은 C1-C30-알킬(그 탄소쇄에 1 이상의 -O-, -S-, -NR2-, -CO- 및/또는 -SO2- 기가 개재될 수 있고, 히드록실, 시아노, C1-C6-알콕시, 및/또는 질소 원자에 의해 결합되고, 이종 원자를 더 함유할 수 있으며, 방향족일 수 있는 5원 내지 7원 복소환 라디칼로 단치환 또는 다치환될 수 있음);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들은 각기 C1-C18-알킬, C1-C6-알콕시, 히드록실, 시아노, -CONHR3및/또는 -NHCOR3으로 단치환 또는 다치환될 수 있음)이고;
    R1은 수소 또는 브롬이며;
    R2는 수소 또는 C1-C6-알킬이고;
    R3는 수소; C1-C18-알킬; 각기 C1-C8-알킬, C1-C6-알콕시 또는 시아노로 치환될 수 있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며;
    n은 2 또는 3이다.
  3. a) 하기 화학식 II의 비대칭 릴렌테트라카르복실 디이미드를 극성 유기 용매의 존재 하에 알칼리성 조건 하에서 모노가수분해하는 단계; 및
    화학식 II
    (상기 식에서, R4는 탄소 골격에 1 이상의 -O-, -S- 및/또는 -NR2- 기가 개재될 수 있고, C1-C6-알킬로 단치환 또는 다치환될 수 있는 C5-C8-시클로알킬임)
    b) 단계 a)에서 형성된 하기 화학식 III의 릴렌테트라카르복실 모노이미드 모노무수물을 3차 질소 염기 화합물의 존재 및 전이 금속 촉매의 존재 하에 모노탈카르복실화하는 단계; 및
    화학식 III
    c) 필요에 따라, 계속해서 반응 생성물을 브롬 원소와 반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의 화학식 I의 릴렌 유도체의 제조 방법.
  4. 알칼리성 조건 하에 극성 유기 용매의 존재 하에서 하기 화학식 II의 비대칭 릴렌테트라카르복실 디이미드를 모노가수분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III의 신규한 릴렌테트라카르복실 모노이미드 모노무수물의 제조 방법:
    화학식 II
    (상기 식에서, R4는 탄소 골격에 1 이상의 -O-, -S- 및/또는 -NR2- 기가 개재될 수 있고, C1-C6-알킬로 단치환 또는 다치환될 수 있는 C5-C8-시클로알킬이다)
    화학식 III
    (상기 식에서, 변수는 하기 의미를 가진다:
    R은 수소;
    C1-C30-알킬(그 탄소쇄에 1 이상의 -O-, -S-, -NR2-, -CO- 및/또는 -SO2- 기가 개재될 수 있고, 카르복실, 술포, 히드록실, 시아노, C1-C6-알콕시, 및/또는 질소 원자에 의해 결합되고, 이종 원자를 더 함유할 수 있으며, 방향족일 수 있는 5원 내지 7원 복소환 라디칼로 단치환 또는 다치환될 수 있음);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들은 각기 C1-C10-알킬, C1-C6-알콕시, 할로겐, 히드록실, 시아노 및/또는 카르복실로 치환될 수 있는 C1-C18-알킬, C1-C6-알콕시, 할로겐, 히드록실, 시아노, 카르복실, -CONHR3, -NHCOR3및/또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아조로 각기 단치환 또는 다치환될 수 있음)이고;
    R1은 수소 또는 브롬이며;
    R2는 수소 또는 C1-C6-알킬이고;
    R3는 수소; C1-C18-알킬; 각기 C1-C8-알킬, C1-C6-알콕시, 할로겐, 히드록실 및/또는 시아노로 치환될 수 있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며;
    n은 2 또는 3이다)
  5. 하기 화학식 III의 릴렌테트라카르복실 모노이미드 모노무수물:
    화학식 III
    (상기 식에서, 변수는 하기 의미를 가진다:
    R은 수소;
    C1-C30-알킬(그 탄소쇄에 1 이상의 -O-, -S-, -NR2-, -CO- 및/또는 -SO2- 기가개재되고, 카르복실, 술포, 히드록실, 시아노, C1-C6-알콕시, 및/또는 질소 원자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이종 원자를 더 함유할 수 있으며, 방향족일 수 있는 5원 내지 7원 복소환 라디칼로 단치환 또는 다치환될 수 있음);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들은 각기 C1-C10-알킬, C1-C6-알콕시, 할로겐, 히드록실, 시아노 및/또는 카르복실로 치환될 수 있는 C1-C18-알킬, C1-C6-알콕시, 할로겐, 히드록실, 시아노, 카르복실, -CONHR3, -NHCOR3및/또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아조로 각기 단치환 또는 다치환될 수 있음)이고;
    R1은 수소 또는 브롬이며;
    R2는 수소 또는 C1-C6-알킬이고;
    R3는 수소; C1-C18-알킬; 각기 C1-C8-알킬, C1-C6-알콕시, 할로겐, 히드록실 및/또는 시아노로 치환될 수 있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며;
    n은 2 또는 3이다)
  6. 고분자량 유기 및 무기 물질의 착색을 위한 제1항 또는 제2항의 화학식 I의 릴렌 유도체의 용도.
  7. 제6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표면 코팅 및 인쇄 잉크 및 산화층 시스템을 착색하는 것인 용도.
  8. 분산 보조제, 유기 안료용 안료 첨가제 또는 형광 착색제와 안료 첨가제 제조용 중간체로서의 제1항 또는 제2항의 화학식 I의 릴렌 유도체의 용도.
  9. 장식용 화장품 내 착색 성분으로서의 제1항 또는 제2항의 화학식 I의 릴렌 유도체의 용도.
  10. 전자기 스펙트럼의 근적외선에서 착색 또는 흡수 및/또는 방출되는 수성 중합체 분산제를 제조하기 위한 제1항 또는 제2항의 화학식 I의 릴렌 유도체의 용도.
  11. 전자 사진의 광전도체로서, 전장 발광 및 화학 발광 분야에서의 방출체로서, 형광 전환에서의 활성 성분으로서 또는 레이저 염료로서의 제1항 또는 제2항의 화학식 I의 릴렌 유도체의 용도.
  12. 고분자량 유기 및 무기 물질의 착색을 위한 제5항의 화학식 III의 릴렌테트라카르복실 모노이미드 모노무수물의 용도.
  13. 분산 보조제, 유기 안료용 안료 첨가제 또는 형광 착색제와 안료 첨가제 제조용 중간체로서의 제5항의 화학식 III의 릴렌테트라카르복실 모노이미드 모노무수물의 용도.
  14. 장식용 화장품 내 착색 성분으로서의 제5항의 화학식 III의 릴렌테트라카르복실 모노이미드 모노무수물의 용도.
  15. 전자기 스펙트럼의 근적외선에서 착색 또는 흡수 및/또는 방출되는 수성 중합체 분산제를 제조하기 위한 제5항의 화학식 III의 릴렌테트라카르복실 모노이미드 모노무수물의 용도.
  16. 전자 사진의 광전도체로서, 전장 발광 및 화학 발광 분야에서의 방출체로서, 형광 전환에서의 활성 성분으로서 또는 레이저 염료로서의 제5항의 화학식 III의 릴렌테트라카르복실 모노이미드 모노무수물의 용도.
KR1020037010857A 2001-02-20 2002-02-14 릴렌 유도체 및 염료로서 그것의 용도 KR1008218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08156.1 2001-02-20
DE10108156A DE10108156A1 (de) 2001-02-20 2001-02-20 Rylenderivate
PCT/EP2002/001556 WO2002066438A1 (de) 2001-02-20 2002-02-14 Rylenderivate und deren verwendung als farbstoff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5200A true KR20030075200A (ko) 2003-09-22
KR100821809B1 KR100821809B1 (ko) 2008-04-11

Family

ID=7674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0857A KR100821809B1 (ko) 2001-02-20 2002-02-14 릴렌 유도체 및 염료로서 그것의 용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6878825B2 (ko)
EP (1) EP1373214B1 (ko)
JP (1) JP2004518738A (ko)
KR (1) KR100821809B1 (ko)
CN (1) CN1277821C (ko)
AT (1) ATE370935T1 (ko)
AU (1) AU2002247715B2 (ko)
DE (2) DE10108156A1 (ko)
WO (1) WO200206643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472B1 (ko) * 2005-12-30 2015-02-26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태양광 조절 라미네이트
KR101520094B1 (ko) * 2005-05-04 2015-05-18 바스프 에스이 터릴렌 및 쿼터릴렌 유도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08601A1 (de) 2001-02-22 2002-09-05 Basf Ag Thermochrome Rylenfarbstoffe
DE10238994A1 (de) 2002-08-20 2004-02-26 Basf Ag Rylenfarbstoffe
WO2005076815A2 (en) 2004-01-26 2005-08-25 Northwestern University PERYLENE n-TYPE SEMICONDUCTORS AND RELATED DEVICES
DE102005037115A1 (de) 2005-08-03 2007-02-08 Basf Ag Mehrfachchromophore
DE102005053995A1 (de) 2005-11-10 2007-05-24 Basf Ag Verwendung von Rylenderivaten als Photosensibilisatoren in Solarzellen
WO2007146250A2 (en) * 2006-06-12 2007-12-21 Northwestern University Naphthalene-based semiconductor materials and methods of preparing and use thereof
US7947837B2 (en) 2006-10-25 2011-05-24 Polyera Corporation Organic semiconductor materials and methods of preparing and use thereof
EP2086974B1 (en) * 2006-11-17 2013-07-24 Polyera Corporation Diimide-based semiconductor materials and methods of preparing and using the same
US8849278B2 (en) 2007-01-07 2014-09-30 Jeffrey Bush Mobile device activation
CN101622253B (zh) * 2007-01-08 2015-04-29 破立纪元有限公司 用于制备基于芳烃-双(二羧酰亚胺)的半导体材料的方法和用于制备它们的相关中间体
US8022214B2 (en) * 2007-01-24 2011-09-20 Polyera Corporation Organic semiconductor materials and precursors thereof
DE102007004016A1 (de) 2007-01-26 2008-07-31 Langhals, Heinz, Prof. Dr. Bichromophore Perylenabkömmlinge für Solarenergiesysteme
DE102007015261A1 (de) 2007-03-27 2008-10-02 Aacure Aadhesives Gmbh Reaktivmasse und Verfahren zur Aufbringung hierfür
JP5447865B2 (ja) * 2007-07-03 2014-03-19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ペリレン顔料の水系合成
WO2009141387A1 (de) 2008-05-23 2009-11-26 Basf Se Chinoide rylendicarboximide als ir-absorber
CN102057085A (zh) * 2008-06-04 2011-05-11 巴斯夫欧洲公司 纤维的黑色着色
US9029442B2 (en) 2010-05-25 2015-05-12 Sicpa Holding Sa Polymer-bonded perylene dye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US20140335329A1 (en) 2010-12-03 2014-11-13 Nilmini K. Abayasinghe Near Infrared Reflecting Composition and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Incorporating Same
DE102011007196A1 (de) 2011-04-12 2012-10-18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bundes aus einem Polyamidformteil und einem Methacrylatcopolymer-Formteil
AR086509A1 (es) 2011-05-25 2013-12-18 Sicpa Holding Sa Tintes de quaterrileno y/o terrileno unidos a polimeros y composiciones que los contienen
WO2013068275A1 (en) 2011-11-10 2013-05-16 Sicpa Holding Sa Polymer-bonde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having nitrogen containing substituents
KR20140099869A (ko) 2011-11-23 2014-08-13 시크파 홀딩 에스에이 S 원자 또는 s(=o)₂ 기를 함유한 폴리시클릭 방향족 화합물 및 염료로서 이들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6292C (de) 1932-11-15 1934-04-30 William Hyde Dixon Dampfabsaugvorrichtung, insbesondere bei Trockenpartien fuer Papier-, Zellstoff- o. dgl. Bahnen
DE3017185A1 (de) * 1980-05-05 1981-11-19 Hoechst Ag, 6000 Frankfurt Perylen-3,4,9,10-tetracarbonsaeuremonoanhydridmonoimide, verfahren zur herstellung solcher verbindungen und ihre verwendung
JPS58184302A (ja) * 1982-04-20 1983-10-27 Kowa Shoji Kk 伸縮旋回装置
DE4325247A1 (de) 1993-07-28 1995-02-02 Basf Ag Pigmentzubereitungen mit Perylenderivaten als Dispergiermitteln
DE4338784A1 (de) * 1993-11-12 1995-05-18 Langhals Heinz Perylen-3,4-dicarbonsäureimide - neue hoch lichtechte Fluoreszenzfarbstoffe
FR2715486B1 (fr) * 1994-01-21 1996-03-29 Alain Nicolas Piaton Procédé de comparaison de fichiers informatiques.
DE19501737A1 (de) * 1995-01-20 1996-07-25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Reinigung von Perylen-3,4-dicarbonsäureimiden
WO1996022332A1 (de) 1995-01-20 1996-07-25 Basf Aktiengesellschaft Substituierte quaterrylentetracarbonsäurediimide
DE19512773A1 (de) 1995-04-05 1996-10-10 Langhals Heinz Quaterrylenbisimide und ihre Verwendung als Fluoreszenzfarbstoff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094B1 (ko) * 2005-05-04 2015-05-18 바스프 에스이 터릴렌 및 쿼터릴렌 유도체
KR101496472B1 (ko) * 2005-12-30 2015-02-26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태양광 조절 라미네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0210754D1 (de) 2007-10-04
KR100821809B1 (ko) 2008-04-11
DE10108156A1 (de) 2002-08-29
EP1373214A1 (de) 2004-01-02
JP2004518738A (ja) 2004-06-24
WO2002066438A1 (de) 2002-08-29
US20060058330A1 (en) 2006-03-16
CN1492858A (zh) 2004-04-28
CN1277821C (zh) 2006-10-04
ATE370935T1 (de) 2007-09-15
US7138522B2 (en) 2006-11-21
AU2002247715B2 (en) 2007-05-17
EP1373214B1 (de) 2007-08-22
US20040068114A1 (en) 2004-04-08
US6878825B2 (en) 2005-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1809B1 (ko) 릴렌 유도체 및 염료로서 그것의 용도
KR101015478B1 (ko) 1,6,9,14-사중치환된 테릴렌테트라카르복실산 디이미드
US7550606B2 (en) 9-cyano-substituted perylene-3,4-dicarboxylic acid monoimides
US7795431B2 (en) Terrylene and quaterrylene derivatives
JP4582636B2 (ja) リレン色素
US5808073A (en) Pr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perylene-3,4-dicarbimides
US7799920B2 (en) Method for producing perylene-3,4-dicarboxylic acid imides
JP4934046B2 (ja) 形成されるハロゲン化水素が有機溶媒から連続的に取り出される、有機溶媒および水からなる2相混合物中でのハロゲン元素によるリレンカルボン酸イミドのハロゲン化
US7358362B2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terylene-3,4:11,12-tetracarboxydiimides by direct synthesis
JP4184799B2 (ja) サーモクロミックなリレン色素
EP1713777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errylen-3,4:11,12-tetracarbonsäurediimid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