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3003A - 무선가입자망의 다이얼 톤 발생방법 - Google Patents

무선가입자망의 다이얼 톤 발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3003A
KR20030073003A KR1020020012345A KR20020012345A KR20030073003A KR 20030073003 A KR20030073003 A KR 20030073003A KR 1020020012345 A KR1020020012345 A KR 1020020012345A KR 20020012345 A KR20020012345 A KR 20020012345A KR 20030073003 A KR20030073003 A KR 20030073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
tone
codec
wireless local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2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중호
김덕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20012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3003A/ko
Publication of KR20030073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300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53Generation of additional signals, e.g. additional pulses
    • H04M1/54Arrangements wherein a dial or the like generates identifying signals, e.g. in party-lin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가입자망(WLL: Wireless Local Loop)의 다이얼 톤 발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이얼 톤 발생 주파수를 생성시킬 수 있는 코덱과 상기 코덱을 제어하는 마이콤을 포함하는 가입자 단말기, 상기 가입자 단말기와 전화국을 무선으로 통신시키는 기지국, 및 상기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로 구성된 무선가입자망(WLL:Wireless Local Loop)의 다이얼 톤 발생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 내부의 레지스터등을 초기화하고, 타스크(Task)의 생성 및 타스크(Task)들의 초기화를 실행시키는 마이콤 초기화 단계; 상기 마이콤 내부에 내장된 보코더를 제어하여 cos(f1+f2), cos(f1-f2)의 톤 주파수를 발생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코덱에 보내기 위한 단계; 상기 코덱은 상기 보코더로 부터 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cos(f1+f2), cos(f1-f2)의 톤 주파수를 발생시키고, 삼각함수 공식에 의하여 상기 cos(f1+f2), cos(f1-f2)의 톤 주파수를 하나로 합하여 2cos(f1)cos(f2)의 톤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가입자망(WLL:Wireless Local Loop) 단말기에 별도의 추가적인 하드웨어가 필요 없으며, 소프트웨어만을 이용하여 다양한 톤을 생성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가입자망의 다이얼 톤 발생방법{Generation method of Dial Tone for Wireless Local Loop}
본 발명은 무선가입자망(WLL:Wireless Local Loop)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가입자망(WLL:Wireless Local Loop)에서 소프트웨어적인 방법만으로 다이얼 톤을 발생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전화국과 가입자 단말기 사이에 구리선을 이용한 도 1의 (a)와 같은 유선가입자망(Copper Local Loop)과는 달리, 무선가입자망(WLL:Wireless Local Loop)은 도 1의 (b)에서와 같이 전화국과 가입자 단말기 사이의 회선을 유선 대신 무선시스템을 사용하는 방식으로써, 다이얼 톤을 발생시키는 주파수를 생성하는 코덱과 상기 코덱을 제어하는 마이콤등으로 구성된 가입자 단말기, 상기 가입자 단말기와 전화국을 무선으로 통신시키는 기지국, 및 상기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로 구성되어있다.
도 2는 상기 무선가입자망(WLL:Wireless Local Loop)시스템의 구성 예를 보이고 있다.
도 2에서와 같은 무선가입자망(WLL:Wireless Local Loop)시스템은 무선가입자망(WLL:Wireless Local Loop)의 가입자 단말기에 도 1의 (a)와 같은 기존의 구리선을 이용한 유선단말기와 동일한 환경을 구성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유선단말기와 동일한 다양한 톤(Tone)을 생성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것으로는 다이얼 톤(Dial Tone)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다이얼 톤(Dial Tone)이란, 유선단말기의 수화기를 들었을 때 " 뚜우~"하고 들리는 소리로써, 가장 대표적인 유선단말기의 톤이라 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무선가입자망(WLL:Wireless Local Loop)의 가입자 단말기의 구성을 보이고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종래의 무선가입자망(WLL:Wireless Local Loop)의 단말기는 다이얼 톤(Dial Tone)을 발생시키는 주파수 "f1*f2"를 출력하기 위하여, 먼저 무선가입자망(WLL:Wireless Local Loop)의 단말기에 안에 있는 마이콤(10)이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코덱(20)을 제어하여 상기 코덱(20)이 f1 의 주파수를 발생시키고, 상기 마이콤(10)은 범용포트를 제어하여 f2 의 주파수를 발생시킨다.
상기 마이콤(10)의 범용포트를 통하여 발생한 주파수는 디지털 신호인 구형파의 형태가 되므로, 이를 적분기(30)를 통하여 사인(sine)파로 변환시키 후 앰프(50)를 통해 확장시키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마이콤의 코덱(20) 제어를 통해 생성된 f1 주파수와 상기 마이콤(10)의 범용포트 제어를 통해 생성된 f2 주파수를 믹서(40)를 통하여 합성하면 최종적인 출력인 f1*f2 형태의 출력을 얻어, 다이얼 톤(Dial Tone)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무선가입자망(WLL:Wireless Local Loop) 단말기에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마이콤이나 코덱말고도 추가적인 별도의 하드웨어 즉 적분기, 믹서 및 앰프를 필요로 하며, 톤의 주파수가 변할 때마다 마이콤의 프로그램을 수정해야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추가적인 하드웨어를 사용하지 않고 기존에 구현된 무선가입자망(WLL:Wireless Local Loop) 의 단말기의 구조에서 두 개의 톤 주파수 "f1*f2"형태의 다이얼 톤을 생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유선가입자망(Copper Local Loop) 및 무선가입자망(WLL:Wireless Local Loop)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무선가입자망(WLL:Wireless Local Loop)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가입자망(WLL:Wireless Local Loop)의 단말기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가입자망(WLL:Wireless Local Loop)의 단말기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콤의 소프트웨어의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마이콤 20:코덱
30:적분기 40:믹서
50:앰프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이얼 톤 발생 주파수를 생성시킬 수 있는 코덱과 상기 코덱을 제어하는 마이콤을 포함하는 가입자 단말기, 상기 가입자 단말기와 전화국을 무선으로 통신시키는 기지국, 및 상기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로 구성된 무선가입자망(WLL:Wireless Local Loop)의 다이얼 톤 발생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 내부의 레지스터등을 초기화하고, 타스크(Task)의 생성 및 타스크(Task)들의 초기화를 실행시키는 마이콤 초기화 단계; 상기 마이콤 내부에 내장된 보코더를 제어하여 cos(f1+f2), cos(f1-f2)의 톤 주파수를 발생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코덱에 보내기 위한 단계; 상기 코덱은 상기 보코더로 부터 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cos(f1+f2), cos(f1-f2)의 톤 주파수를 발생시키고, 삼각함수 공식에 의하여 상기 cos(f1+f2), cos(f1-f2)의 톤 주파수를 하나로 합하여 2cos(f1)cos(f2)의 톤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삼각함수의 공식을 이용하여 하드웨어적인 회로 추가 없이 소프트웨어만을 이용하여 다이얼 톤(Dial Tone)을 발생시키는 최종출력 톤 주파수 "f1*f2"를 생성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가입자망(WLL:Wireless Local Loop)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가입자망(WLL:Wireless Local Loop)의 단말기 안에는 최종적이 회로인 코덱을 제어하는 마이콤(10)과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를 이용하여 주파수를 생성할 수 있는 코덱(20)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에서, 다이얼 톤(Dial Tone)을 발생시키는 믹서(40)의 최종출력 주파수를 cos(f1)cos(f2)라 가정하고, 삼각함수의 곱을 합으로 고치는 공식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다.
2cos(f1)cos(f2) = cos(f1+f2) + cos (f1-f2)
상기 믹서(40)의 최종출력 주파수을 2cos(f1)cos(f2)라 가정하면, 삼각함수의 정의에 따라 DTMF(Dual Tone Multi-Frequency)를 이용할 수 있는 도 4의 코덱(20)은 두 개의 톤 주파수 cos(f1+f2), cos (f1-f2)를 생성하여, 이를 합으로 처리하면 도 3의 믹서(40)의 최종출력 주파수와 동일한 결과를 얻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DTMF(Dual Tone Multi-Frequency)를 이용할 수 있는 코덱이 두 개의 톤 주파수 cos(f1+f2), cos (f1-f2)를 생성하여 이를 합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마이콤의 소프트웨어를 설계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다이얼 톤(Dial Tone) 발생시키는 톤 주파수 "2cos(f1)cos(f2)"를 생성하기 위해 설계된 상기 마이콤의 소프트웨어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5에서, 먼저 마이콤 내부의 레지스터등을 초기화하고 타스크(Task)의 생성 및 타스크(Task)들의 초기화를 실행시킨다.(가)
또한, 무선가입자망(WLL:Wireless Local Loop)을 구성하는 CDMA RF 모듈 및 시리얼 통신을 위한 주변소자 등등도 초기화시킨다.
그런 후, 상기 마이콤은 마이콤 내부에 내장된 보코더를 제어하여 상기 보코더가 cos(f1+f2), cos (f1-f2)의 톤 주파수를 발생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코덱에 보내도록 한다.(나)
이때, 상기 코덱으로 출력될 cos(f1+f2), cos(f1-f2)의 톤 주파수를 발생시키기 위한 데이터의 정보는 프로그램의 유연성을 위하여 스크립트 파일로 관리하여, 톤의 주파수가 변할 때마다 손쉽게 데이터를 바꿀 수 있도록 한다.(나)
상기 코덱은 상기 보코더로 부터 받은 cos(f1+f2), cos (f1-f2)의 톤 주파수를 발생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cos(f1+f2), cos (f1-f2) 톤 주파수를 발생시킨다.(다)
상기 발생된 개개의 톤 주파수 cos(f1+f2), cos (f1-f2)은 DTMF(Dual Tone Multi-Frequency)를 이용할 수 있는 상기 코덱에 의하여 하나의 톤 주파수 "cos(f1+f2) + cos(f1-f2)"로 생성된다.(다)
삼각함수 공식에 의하여, 상기 "cos(f1+f2) + cos(f1-f2)" 톤 주파수는 결국 다이얼 톤(Dial Tone)을 발생시키는 최종출력 주파수 "2cos(f1)cos (cos2)"가 된다.(다)
상기 생성된 최종출력 주파수 "2cos(f1)cos (cos2)"은 단말기의 송수화기가 들렸는지의 여부에 따라, 단말기의 송수화기와 들어지면 최종출력 주파수 "2cos(f1)cos (cos2)"가 출력되어 사용자는 다이얼 톤(Dial Tone)을 듣게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가입자망(WLL:Wireless Local Loop) 단말기의 마이콤의 소프트웨어만을 이용하므로써, 다이얼 톤을 발생하기 위한 주파수를 생성하기 위해 별도의 추가적이 하드웨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톤의 주파수가 변할 때마다 마이콤의 프로그램을 수정하지 않고도 다양한 톤을 생성할 수 있으며, 제품의 가격 및 제품의 유연성에 있어서도 효과적이다.

Claims (2)

  1. 다이얼 톤 발생 주파수를 생성시킬 수 있는 코덱과 상기 코덱을 제어하는 마이콤을 포함하는 가입자 단말기, 상기 가입자 단말기와 전화국을 무선으로 통신시키는 기지국, 및 상기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로 구성된 무선가입자망(WLL:Wireless Local Loop)의 다이얼 톤 발생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 내부의 레지스터등을 초기화하고, 타스크(Task)의 생성 및 타스크(Task)들의 초기화를 실행시키는 마이콤 초기화 단계;
    상기 마이콤 내부에 내장된 보코더를 제어하여 cos(f1+f2), cos(f1-f2)의 톤 주파수를 발생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코덱에 보내기 위한 단계;
    상기 코덱은 상기 보코더로 부터 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cos(f1+f2), cos(f1-f2)의 톤 주파수를 발생시키고, 삼각함수 공식에 의하여 상기 cos(f1+f2), cos(f1-f2)의 톤 주파수를 하나로 합하여 2cos(f1)cos(f2)의 톤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가입자망(WLL:Wireless Local Loop)의 다이얼 톤 발생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단말기의 송수화기가 들어지면 상기 "2cos(f1)cos (cos2)" 톤 주파수가 출력되어 다이얼 톤(Dial Tone)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가입자망(WLL:Wireless Local Loop)의 다이얼 톤 발생방법.
KR1020020012345A 2002-03-08 2002-03-08 무선가입자망의 다이얼 톤 발생방법 KR200300730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2345A KR20030073003A (ko) 2002-03-08 2002-03-08 무선가입자망의 다이얼 톤 발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2345A KR20030073003A (ko) 2002-03-08 2002-03-08 무선가입자망의 다이얼 톤 발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3003A true KR20030073003A (ko) 2003-09-19

Family

ID=32223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2345A KR20030073003A (ko) 2002-03-08 2002-03-08 무선가입자망의 다이얼 톤 발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3003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1350A (en) * 1988-06-27 1992-06-09 Advanced Micro Devices, Inc. Digital tone generation based on difference equations
JPH08163224A (ja) * 1994-12-06 1996-06-21 Horoson Tec:Kk Dtmf信号発生方法及びdtmf信号発生装置
KR19990056202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이용한 디티엠에프 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
US6151514A (en) * 1998-04-22 2000-11-21 Nortel Network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normalizing DTMF messages from a cellular mobile station
KR20020072150A (ko) * 2001-03-09 2002-09-14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음성 메일 시스템의 디티엠에프 톤 신호 발생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1350A (en) * 1988-06-27 1992-06-09 Advanced Micro Devices, Inc. Digital tone generation based on difference equations
JPH08163224A (ja) * 1994-12-06 1996-06-21 Horoson Tec:Kk Dtmf信号発生方法及びdtmf信号発生装置
KR19990056202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이용한 디티엠에프 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
US6151514A (en) * 1998-04-22 2000-11-21 Nortel Network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normalizing DTMF messages from a cellular mobile station
KR20020072150A (ko) * 2001-03-09 2002-09-14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음성 메일 시스템의 디티엠에프 톤 신호 발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3454B2 (en) Wireless hands-free system with silent user signaling
KR2003000630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변조 장치 및 방법
JP2011066914A (ja) 無線端末の構成
KR100664095B1 (ko) 블루투스 단말기의 무선 핸드셋 사용방법
KR20030073003A (ko) 무선가입자망의 다이얼 톤 발생방법
JPH07111680A (ja) 携帯無線電話装置
JP2000269745A (ja) 雑音発生装置
JP3098180B2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
KR100291479B1 (ko) 내선 전화기를 가진 무선 가입자망의 통화 방법
JPH04354229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JPH10313481A (ja) 携帯無線システム
JP2009010900A (ja) 無線中継機
KR20020030517A (ko) 전화기 겸용 마우스
JP2001204057A (ja) 無線通信端末
KR20010054322A (ko) 무선 인터넷 전화기
KR20000046057A (ko) 통신단말기의 초음파 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13160A (ko) 착신용 사운드 데이터 발생방법
KR970003975B1 (ko) 단말기의 통화 금지 방법
KR970060806A (ko) 키폰시스템에서 호 착신시 음악원 송출방법
KR200295548Y1 (ko) 무선 단말기의 원격 제어 장치
JP2003018698A (ja) プログラマブル補聴器用データの取得装置およびその取得システム並びにその取得方法
JP2004248277A (ja) ワイヤレス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移動電話機とともに使用する装置
KR20000013421U (ko) 피씨(pc) 통신 기능을 갖는 무선 전화기
KR20040043338A (ko) 악기 튜닝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48188A (ko)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키잠금 장치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