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2439A - 가변 계량식 스푼 - Google Patents

가변 계량식 스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2439A
KR20030072439A KR1020020011283A KR20020011283A KR20030072439A KR 20030072439 A KR20030072439 A KR 20030072439A KR 1020020011283 A KR1020020011283 A KR 1020020011283A KR 20020011283 A KR20020011283 A KR 20020011283A KR 20030072439 A KR20030072439 A KR 20030072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cup
capacity
inner cup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호성
Original Assignee
안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호성 filed Critical 안호성
Priority to KR1020020011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2439A/ko
Publication of KR20030072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243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52Weighing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e.g. furniture
    • G01G19/56Weighing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e.g. furniture combined with handles of tools or household imp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푼본체 외컵에 수용된 내컵이 회동드럼의 회동에 따라 승하강 됨으로서, 스푼의 계량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가변 계량식 스푼에 관한 것이다. 분말 또는 과립상의 내용물을 한 개의 스푼으로 가변 계량하기 위하여, 외컵의 승하강 가이드 슬롯을 따라 슬라이드 돌기를 갖는 내컵이 수용되고, 승하강 나선요홈들이 내주연에 요설된 회동드럼과 상호 결합위상각으로 감합되어, 연이어 연설된 회전날개 바아의 회동에 따라 내컵이 승하강 됨으로서 스푼용량을 가변 자재토록 했다. 따라서 조유시마다 십 수 차례 계량하여 수유해야 되는 번거로움에서 해소될 수 있고, 막연한 눈대중으로 조유하거나, 필요이상 조유하지 않아도 돼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가변 계량식 스푼{Variable Measuring Spoon}
(기술분야)
본 발명은 분말 또는 과립상의 내용물을 가변 계량할 수 있는 스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향하는 외컵 수직 측단부의 승하강 가이드슬롯을 따라 슬라이드 돌기를 갖는 내컵이 수용되고, 승하강 나선요홈이 내주연에 요설된 회동드럼과 감합되어, 그 일측 방향으로 연설된 회전날개 바아가 회동됨에 따라, 외컵 내주벽을 내컵이 승하강 하게 됨으로서 스푼의 용량을 자유자재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임의의 내용물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정해진 용기에 옮겨 담을 수 있어, 하루 수 차례 반복 사용하더라도 번거롭지 않고 간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가변 계량식 스푼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 분유 및 이유식(이하 내용물이라 칭함)에 사용되는 스푼의 용량은 주로 20㎖용(조유 용량기준)과 40㎖용으로 공급하여 조유 농도를 조절케 하고, 한편으론 모유를 대신하는 식품이라는 관점을 부각시키면서, 최적의 영양성분을 재현한다며 선진 과학적 기술을 도입 적용시켜 내용물을 생산 공급하고 있으나, 영아와 유아를 키우는 주부 대상 설문조사에서, 수유함에 있어 가장 큰 불만사항 중의 하나가, 하루에도 수 차례 조유시 발생되는 반복 행위적 번거로움이며, 영어식 최소 50-60㎖에서 성장 유아식 260-280㎖내외 즉 20㎖용 스푼을 기준으로 하여 최소 3번에서 최고 13-4번을 반복적으로 용기에 덜어내야 된다는 현실은 크나큰 불만이 아닐 수 없다.
더구나 아기가 배고파 우는데 한가하게 십 수 차례 일일이 세어 가며 덜어 낸 다는 것은 대단한 인내심이 요구되는 일이며, 야간에 잠이 덜 깬 상태에서라면 회수를 잊어버리기 십상이다. 혹은 시중에서 별도 판매되는 내용물케이스에 담아 놓았다가 적시에 타서 먹일 수도 있겠으나, 신선도와 위생상의 문제가 대두되어 주로 야외 외출 시에만 사용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당연히 내용물 공급업체나 소비자 측면에서는 대용량 스푼의 필요성을 느낄 수밖에 없고, 실제로 40㎖용도 현재 20㎖용과 함께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 또한 큰 핸디캡을 안고 있다.
즉 조유시 용량은 국내외 업체별로 거의 비슷하게 20㎖ 단계로 양을 조절하여 수유토록 하고있어, 40㎖의 배수관계 예를 들어 80, 120, 160㎖등은 효과적이겠으나 100, 140, 180㎖등의 배수관계에 있지 않은 용량의 대책은 전혀 없는 것이다.
단지 계량스푼용량을 눈대중으로 대충 1/2정도 떠서 맞출 수밖에 없어 필수적으로 정확한 조유 농도를 필요로 하는 유아들에겐 권장할 바 가되지 못하며, 따라서 주부들은 100㎖를 수유해야 한다면, 120㎖를 조유하여 20㎖를 버릴 수밖에 없으므로, 참으로 비과학적인 방법을 소비자에게 강요하고 있는 것이므로, 낭비를 조장시키는 판매술책 이라고 까지 비난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보다 적극적인 주부들은 20㎖용(알뜰 사이즈, 번잡 사이즈)과 40㎖(효과 사이즈, 낭비 사이즈)두 가지를 비치하여 상호 장단점을 보완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 또한 번거롭고 두 가지 스푼보관의 문제점이 대두된다.
따라서 현재는 근본적 문제 해결 없이 각 사 공급업체별로 20㎖용만으로 대체시켜 공급하고 있다.
상기 내용에 따른 문제점 대두로 내용물을 10-60㎖용까지 조절시켜 가며 사용할 수 있는 계량 스푼도 공급되고 있긴 하나, 수유용기 입구가 협소한데 장방형 파이프 형식으로 길이 방향으로 격벽이 가변 신축되도록 길쭉하게 설계된 스푼으론, 내용물을 완전하게 옮겨 담기에도 옆으로 흐트러지는 것이 많고, 스푼 형태가 구조적으로 투박해질 수밖에 없어, 보다 적극적으로 소비자들에게 도입적용은 외면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현재의 분유나 이유식이 모유를 대신하는 식품이라는 관점으로, 첨단과학생산설비로 최적의 영양성분을 재현한다는 명제아래, 국내외 각 제조공급업체들간의 품질은 일정이상의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적어도 하루에도 수 차례 조유시마다 십 수 번씩을 계량하여 수유해야 되는 주부들의 현실적 불만은 결코 도외시 돼서는 안될 것이다.
따라서 소비자의 표면화된 불만으로부터 제품공급업체들로서는 항구적으로 자유롭지 못함을 해결하고자 연구 개발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목적은 스푼용량을 가변시키기 위해 외컵 수직 측단부의 승하강 가이드슬롯을 따라 슬라이드 돌기들을 갖는 내컵이 상하로 슬라이딩되고, 이는 승하강 나선요홈들이 요설된 회동드럼이 외컵과 감합되어, 그 일측에 연설된 회전날개바아가 정해진 방향을 따라 회동됨에 따라 내컵이 자유자재로 외컵 외주벽을 승하강 할 수 있게 됨으로서 스푼본체 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게됨으로서 구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가변계량 스푼의 전체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여주는 전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 나선요홈을 전개시킨 상태를 설명한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의 도1의 X-X선 종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내컵이 하강된 상태를 예시한 부분확대 종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내컵이 승강된 상태를 예시한 확대 종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회전날개바아를 좌우로 회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예시도,
도8은 도7의 P1, P2의 외컵과 회동드럼의 감합부 횡단면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정수용량을 가변케 됨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삼 배수 용량을 단계별로 가변케 됨을 나타내는 확대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스푼본체 11: 외컵
12a, 12b: 승하강 가이드슬롯 13: 감합환 돌부
14: 회동제어면부 15a, 15b: 토출구
30: 내컵 31a, 31b: 슬라이드돌기
40: 회동드럼 41a, 41b: 승하강 나선요홈
42: 감합환 요부 43a, 43b: 플렛요홈
45: 회동제어 탄성편 46: 회전날개 바아
47: 보강편 48: 회전안내 절곡부
49: 역삼각 논슬립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1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푼본체(10)와 내컵(30) 그리고 회동드럼(40)으로 이루어져 상호지지 수용되고 결합되어 회동됨으로서, 스푼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것으로, 스푼본체(10)의 외컵(11) 측단벽에 대향된 승하강 가이드슬롯(12a)(12b)을 형성시킴에 있어, 상단에는 토출구(15a)(15b)가 요설되고, 하단에는 관통 개방시키며, 기단부 외주연에 감합환돌부(13)를 연속 돌설시킴에 있어 임의의 지점에 임의의 간격만큼 단절시켜 회동제어면부(14)를 형성시키며, 스푼본체(10)의 손잡이(20) 후미부에는논슬립면(23)을 가지며 적정각도로 하향 절곡된 그립 절곡부(22)를 형성시킨다.
적정용량을 갖는 내컵(30)을 형성시킴에 있어, 그 외주벽 상단에는 대향된 슬라이드 돌기(31A)(31b)를 돌설시킨다.
회동드럼(40) 내주연에 승하강 나선요홈(41a)(41b)을 대향시켜 요설시킴에 있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단에는 플렛요홈(43a)(43b)을 요설시키고, 그 하단에는 폐단형의 종단요홈(44a)(44b)을 요설하며, 기단부 내주연에 감합환요부(42)를 연속 요설시킴에 있어, 상기 감합환돌부(13)가 단절된 간격과 일치되게 단절시켜, 회동제어 탄성편(45)을 형성시키되, 수직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절개시켜 탄발력을 갖도록 하여 상기 외컵(11)과 감합 수용되어 회동시 회동제어면부(14)에 치합될 수 있도록 한다.
회동드럼(40) 상단 일측 방향으로 회전날개바아(46)를 형성시킴에 있어, 그 후미부에는 회전안내 절곡부(48)를 형성시키고, 그 배면부에는 역삼각 논슬립부(49)를 요설시키며, 회동드럼(40)과 회전날개바아(46)간에는 보강편(47)을 연설시켜 회동의 역학적 힘의 안배를 갖도록 한다.
본 발명의 가변계량이 가능한 착탈식 스푼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3개의 부재를 상호지지 수용 감합하여 기능적 실현을 시킴에 있어, 우선 내컵(30) 슬라이드돌기(31a)(31b)를 외컵(11) 측단부에 관통 개방된 승하강 가이드슬롯(12a)(12b)에 일직선상으로 상호 대응 삽입 슬라이딩시켜 상단까지 밀어 넣고, 회동드럼(40)의 플렛요홈(43a)(43b)을 기준으로, 이미 삽입되어 외컵(11) 외주연으로 일정 높이 만큼 돌출되어 있는 슬라이드돌기(31a)(31b)와 결합위상각을 맞추어 순간적으로 가압 감삽 하게되면, 감합환돌부(13)가 돌출되어 있기는 하나 대향되어있는 승하강 가이드슬롯(12a)(12b)은 관통 절개되어 있는 관계로 중심선 방향으로 일시에 수축작용을 일으키며, 부드럽게 감삽되면서, 최종적으로 회동드럼(40) 기단부의 감합환요부(42)와 외컵(11) 기단부의 감합환돌부(13)의 경사각을 상호 슬라이딩하면서 회전 가능한 상태로 밀착 감합이 되는 것이다.
스푼본체(10)를 사용 후, 혹시 세척을 위해 분해를 할 경우 결합의 역순으로 내컵(30) 바닥면을 순간적으로 가압하여 외컵(11)으로부터 밀어내면, 내컵(30)과 일체로 대향된 슬라이드돌기(31a)(31b)는 결과적으로 회동드럼(40)의 플렛요홈(43a)(43b)을 밀게되는 형상이 되어 결합시와 마찬가지로 감환환돌부(13)와 감합환요부(42)의 경사각을 따라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승하강 가이드슬롯(12a)(12b)이 즉시 중심선 방향으로 수축되면서 탈리 되는 것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푼본체(10) 후미부를 일측손으로 가압 파지하고, 정해진 용량에 따라 타측손을 회전안내절곡부(48)의 역삼각 논슬립부(49)에 대고 좌 또는 우로 회동시키면, 스푼본체(10) 외컵(11)에 수용되어 있음과 동시에, 내컵(30)의 슬라이드돌기(31a)(31b)가 회동드럼(40)의 승하강나선요홈(41a)(41b)의 나선경사면을 따라 이송 안내되어, 결과적으로 내컵(30)의 승하강작용으로 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회전 범위 내에서 용량가변을 위해 회동시키게되면, 승하강 나선요홈(41a)(41b)상단과 하단의 요홈은 폐단 구조 형상이므로 한계를 벗어나는 억지회동은 되지 않으나, 1회전 원주회동의 회전위치를보다 명확하게 촉감적과 청각적으로 알려주기 위하여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시작 원점(P1)에서 일정접촉 측면경사각을 갖고 있는 회동제어 탄성편(45)이 회동제어면부(14)에 치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일 방향(P2)으로 회동시키면 외컵(11) 감합환돌부(13)의 일정접촉 측면경사각으로부터 적당한 탄발력을 가지며 슬라이딩하면서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탈 하게되며, 1회전 360。위상각의 원주회동 이후 원점으로 복귀되면서 딸각하며 사용자에게 완전 1회전 됐음을 알려 주는 것이다.
본 발명의 외컵(11)에는 대항하는 두 개의 승하강 가이드슬롯(12a)(12b)이 있고, 대용량계량을 위해 내컵(30)이 하강되어 그 틈새가 노출되면 내용물이 낄 수도 있으나, 내컵(30)이 승강되면서 밀려 올라오는 내용물이 최종적으로 토출구(15a)(15b)에 의해 원활히 배출됨으로, 내용물이 승하강 가이드슬롯(12a)(12b)틈새에 누적되어 승하강 작용에 방해를 주지는 않게 되며, 승하강 가이드슬롯(12a)(12b)하단은 각 부재들의 결합을 위해 이미 관통 개방되어 있으므로 하단틈새에도 내용물이 누적될 염려는 없는 것이다.
도9와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배수용량(2S)을 기준으로 정수용량(1S)을 가변시킬 수 있는 것으로, 최저 두 배수에서 최고 세 배수 용량까지 가변 가능하여, 14배 용량이 필요한 조유라면 (3+3+3+3+2)으로 총 5회만으로 조유가 마무리되며, 또한 최저 정수용량(1S)에서 최고 세배수용량(3S) 까지 단계별로 가변 가능토록 하여, 13배 용량이 필요한 조유일 경우 (3+3+3+3+1)로 역시 총 5회만으로 조유를 마무리 할 수 있는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이 바람직한 구체적인 실시예에만 국한되지 않음은 당업자에 있어 명백한 것이며,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 수단을 이용하여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을 가한 구체적인 실시예, 즉 스푼본체와 내컵 그리고 회동드럼 등으로 이루어져 상호지지 수용 결합되어 회동됨으로서 스푼용량을 가변케되는 역할을 수행하면, 그 형태 및 구조의 변형 실시예에 관계없이 본 고안의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계량용량을 자유자재로 원터치로 선택 선별할 수 있으므로, 하루에도 수 차례 조유시마다 십 수 차례 계량하여 수유해야됨을 최소 1/2 이하로 회수를 줄 일수 있어 매우 간결하고 편리하며, 경감된 계량 회수로 조유량의 헛갈림을 줄이고, 막연한 눈대중이 아닌 정량조유가 가능하여 유아들의 건강을 도모할 수 있으며, 더 더욱 어쩔 수 없이 초과 조유하여 내용물을 남기지 않아도 되므로 매우 경제적인 효과도 있다.

Claims (5)

  1. 스푼본체 외컵에, 수용된 내컵이, 상호 결합위상각으로 감합된 회동드럼의 회동에 따라, 승하강 되어지는 것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계량식 스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컵은 상단에 토출구가 요설되고 하단에는 관통 개방된 대향하는 승하강 가이드슬롯과, 그 기단 외주연 임의 지점에 임의 간격이 단절된 회동제어면부를 갖으며, 감합환돌부가 돌설 되어지는 것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계량식 스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컵의 상단 외주벽에 대향하여 형성된 슬라이드돌기가 상기 외컵 승하강 가이드슬롯과 일직선상으로 결합 수용되어 승하강 되어지는 것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계량식 스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드럼의 내주연 상단에 플렛요홈이 요설된 대향하는 승하강 나선요홈과, 상기 회동제어면부에 치합되는 회동제어 탄성편을 갖으며, 그 기단 내주연에 요설된 감합환요부가 상기 외컵과 감합되어, 연설된 회전날개바아에 의해 회동되어지는 것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계량식 스푼.
  5. 제1항에 있어서, 내컵의 상승 단을 배수용량으로, 하강 단을 삼 배수 용량으로 하여, 배수에서 삼 배수까지 용량가변 되어짐과, 내컵의 상승 단을 정수용량으로, 중간 단을 배수용량으로, 하강 단을 삼 배수 용량으로 하여, 정수에서 배수 그리고 삼배수 세 단계로 용량가변 되어지는 것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계량식 스푼.
KR1020020011283A 2002-03-04 2002-03-04 가변 계량식 스푼 KR200300724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283A KR20030072439A (ko) 2002-03-04 2002-03-04 가변 계량식 스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283A KR20030072439A (ko) 2002-03-04 2002-03-04 가변 계량식 스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439A true KR20030072439A (ko) 2003-09-15

Family

ID=32223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283A KR20030072439A (ko) 2002-03-04 2002-03-04 가변 계량식 스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243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71612A (zh) * 2013-06-13 2013-09-04 李家海 防洒奶粉勺
KR200472706Y1 (ko) * 2012-04-24 2014-05-22 이수향 두 가지 용량을 가지는 분유스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6885A (ja) * 1994-04-20 1995-10-31 Japan Crown Cork Co Ltd 計量スプーン
KR19980021401U (ko) * 1996-10-21 1998-07-15 임정남 합성수지 스푼
KR19980056349U (ko) * 1997-01-13 1998-10-15 안정호 분유계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6885A (ja) * 1994-04-20 1995-10-31 Japan Crown Cork Co Ltd 計量スプーン
KR19980021401U (ko) * 1996-10-21 1998-07-15 임정남 합성수지 스푼
KR19980056349U (ko) * 1997-01-13 1998-10-15 안정호 분유계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706Y1 (ko) * 2012-04-24 2014-05-22 이수향 두 가지 용량을 가지는 분유스푼
CN103271612A (zh) * 2013-06-13 2013-09-04 李家海 防洒奶粉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92706B (zh) 在可皱缩袋中的柔性安装的排出构件
US4235348A (en) Drinking vessels for reclining position usage
EP2220977A2 (en) Bottle stopper
CN104582548A (zh) 杆搅拌器驱动的食品处理机
US7374046B1 (en) Disposable food delivery apparatus
US11733083B2 (en) Adjustable scooping device
KR20030072439A (ko) 가변 계량식 스푼
CN102472654B (zh) 测量装置
CN108045739A (zh) 一种流量可调节的液体包装瓶盖
CN206491622U (zh) 冷热饮料杯盖
CN100398031C (zh) 防漏阀、配此防漏阀之杯盖及配此杯盖之饮杯
CN201481168U (zh) 组合式淘米盆
CN205795449U (zh) 一种多功能防滑茶杯
CN204634910U (zh) 一种夹心面条机
CN209789391U (zh) 一种可调组合杯盖
US20040202044A1 (en) Container with device for stirring and serving polenta
CN106628660B (zh) 可定量取用茶叶的盒子
CN211703410U (zh) 一种食品切断加工机和包子机
CN218074412U (zh) 一种杯盖
CN209245312U (zh) 瓷片式温度可调开关阀芯
CN206342272U (zh) 一种茶壶
CN204453391U (zh) 一种吸食两用冰淇淋杯
CN203730831U (zh) 直通式开关切换阀芯结构
CN206744409U (zh) 一种烘焙食品用装饰笔
CN204635939U (zh) 一种立式螺杆挤压榨汁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