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706Y1 - 두 가지 용량을 가지는 분유스푼 - Google Patents

두 가지 용량을 가지는 분유스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706Y1
KR200472706Y1 KR2020120003336U KR20120003336U KR200472706Y1 KR 200472706 Y1 KR200472706 Y1 KR 200472706Y1 KR 2020120003336 U KR2020120003336 U KR 2020120003336U KR 20120003336 U KR20120003336 U KR 20120003336U KR 200472706 Y1 KR200472706 Y1 KR 2004727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milk powder
milk
bodies
powd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33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6315U (ko
Inventor
김선태
Original Assignee
이수향
김선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향, 김선태 filed Critical 이수향
Priority to KR20201200033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706Y1/ko
Publication of KR201300063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3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7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7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9/00Calibrated capacity measures for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e.g. measuring cups
    • G01F19/002Measuring spoons or sco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10Devices for counting or marking the number of consump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able Equipment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유 스푼에 관한 것으로써 하나의 분유 스푼이 두 가지 용량의 몸체를 가지도록 하여 필요한 용량의 분유를 편리하고 정확하게 계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스푼의 몸체는 밑바닥이 없고 둘레면(a)만 있는 몸체의 중간에 칸막이(b)를 형성한 모양을 하고 있어서 그 입구면이 각각 상하로 향하는 두 개의 스푼 몸체가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스푼 몸체를 180° 뒤집으면 다른 용량의 분유를 계량할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칸막이의 위치에 따라서 두 개의 스푼 몸체의 용량 비율을 3:1이나 혹은 2:1 등으로 다양하게 조절할 수가 있다. 본 고안의 분유 스푼을 사용하게 되면 두 가지 용량을 계량할 수가 있어서 기존의 한 가지 용량만 가지고 있는 분유 스푼에 비해서 편리하고 정확하게 분유를 계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두 가지 용량을 가지는 분유스푼 { The Spoon Which Have Two Amounts Of Powdered Milk }
본 고안은 통상적으로 몸체와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분유 스푼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분유스푼으로 두 가지의 용량을 계량할 수 있는 분유스푼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분유스푼으로 두 가지 용량을 계량할 수 있는 기술이 이미 개발된 것이 있다. 그것은 두 개의 스푼 몸체가 옆으로 나란히 붙어 있는 모양을 하고 있는데 그 두 개의 몸체의 입구는 약간 거리를 두고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고 있다. 이 기술은 스푼을 뒤집으면 다른 양의 분유를 계량할 수가 있어서 하나의 스푼으로 두 가지의 용량을 계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두 개의 스푼 몸체가 옆으로 붙어 있음으로 인해서 분유를 뜰 때 뒤쪽으로 향하고 있는 스푼 몸체로 인하여 분유와의 사이에서 상당한 저항이 발생하게 되고 손잡이와 스푼몸체와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음으로 해서 적지 않은 불편이 예상된다. 또한 스푼 몸체의 부피가 크고 그 모양도 직사각형이어서 분유를 젖병에 넣을 때에 분유가 밖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많은 것도 단점으로 보인다. 이 기술은 본 고안과 유사한 점도 있으나 그 구성되는 모양이나 성능면에서 확연한 차이를 가진다. 첫째로 본 고안은 두 개의 스푼 몸체가 옆으로가 아니라 상하로 일체를 이룸으로써 부피의 증가를 최소화하고 또한 분유를 뜰 때 새로운 저항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둘째로 스푼 몸체와 스푼 손잡이의 중심이 일치하므로 분유를 뜨고 젖병에 넣을 때 중심의 불일치로 인한 불편함이 없다. 또한 셋째로 부피가 기존의 분유스푼보다 많이 증가하지 않음으로 인해서 분유스푼을 분유통에 보관하거나 분유를 젖병에 넣을 때 크게 불편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과 상기의 기술과는 유사점이 거의 없는 서로가 전혀 다른 기술로 보여진다.
2020040014940 (출원번호)
기존의 분유스푼은 한가지 용량의 분유만 계량이 가능하므로 10∼20㎖ 단위로 정확하게 계량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하나의 분유스푼에 두 개의 서로 다른 용량의 스푼 몸체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정확하고 편리하게 분유를 계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하나의 분유스푼에 두 개의 스푼 몸체를 형성하되 두 개의 스푼 몸체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고 두 스푼 몸체의 밑바닥을 하나로 결합하여 두 스푼 몸체가 상하로 위치하는 형태로 만듦으로써 두 가지 용량의 분유를 계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분유스푼의 바닥면이 맨 아랫쪽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스푼 몸체 둘레를 이루는 면의 중간 지점으로 이동한 모양이 되어서 그 입구면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두 개의 몸체가 생겨나는 것이다. 여기서 분유스푼의 바닥면의 위치에 따라서 두 분유스푼 몸체의 용량은 2:1이나 3:1 등의 다양한 비율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한 가지 용량의 분유를 계량한 후에 다른 용량의 분유를 계량하고자 할 때에는 분유스푼을 180° 로 돌려서 반대 방향에 있는 스푼 몸체를 사용하면 되는데 두 개의 스푼을 가지지 않아도 되므로 매우 편리한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하나의 분유스푼으로 두가지 용량을 계량할 수가 있어서 각각 다른 용량의 분유스푼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편리하고 정확하게 분유를 계량할 수가 있다. 또한 분유스푼의 두 몸체가 상하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스푼 몸체의 옆면이 유선형이어서 분유를 계량할 때 분유와의 마찰로 인한 저항이 발생하지 않으며 기존의 분유스푼보다 부피가 크게 늘어나지 않아서 분유를 젖병에 부을 때나 분유스푼을 분유통 안에 보관할 때 크게 불편함이 없다.
도 1은 분유스푼의 사시도
도 2는 분유스푼의 우측면도 (좌측면도와 대칭)
도 3은 분유스푼의 평면도
도 4는 분유스푼의 저면도
도 5는 분유스푼의 정면도
도 6은 분유스푼의 배면도
본 고안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몸체와 손잡이로 구성되는 분유스푼에 있어서 손잡이의 한쪽 끝부분에 스푼 몸체를 일체로 형성한다. 이때 스푼 몸체는 전체적으로 파이프 형태의 둘레면(a)을 가지는데 그 안쪽에서 정중앙을 벗어난 지점에 하나의 칸막이(b)를 형성한 모양으로 되어있다. 따라서 그 입구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고 바닥면은 하나로 붙어있는 용량이 다른 두 개의 스푼 몸체(c,d)가 형성되는 것이다. 즉 스푼 손잡이와 닿아 있는 윗쪽에 위치한 스푼 몸체는 그 입구가 윗쪽으로 향하고 스푼 몸체와 직접 닿지 않는 아랫쪽에 위치한 스푼 몸체는 그 입구가 아랫쪽으로 향하게 된다. 이때 칸막이의 위치에 따라서 두 개의 스푼 몸체 용량의 비율이 결정되어진다. 만일 스푼 몸체 둘레면(a)의 3 분의 2 지점에 평면으로 칸막이(b)를 형성하면 스푼 몸체의 한쪽은 그 반대편 스푼 몸체보다 두 배의 용량을 가지게 된다. 또 스푼 몸체의 4 분의 1 저점에 칸막이(b)를 형성하면 두 개의 스푼 몸체 용량의 비율은 3:1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분유를 계량할 때 한쪽의 스푼 몸체를 사용하여 분유를 계량한 후 마무리를 위해서 다른 용량을 계량하고자 하면 분유 스푼을 180° 뒤집어서 사용하면 된다. 그런데 스푼 몸체의 바닥이 평면으로 되어 있으면 분유가 스푼 몸체의 바닥까지 골고루 도달하기가 어려워지므로 스푼 몸체의 바닥이 한쪽으로 기울어지도록 하거나 혹은 바닥의 한쪽은 오목하고 다른 한쪽은 볼록한 형태로 하는 것이 좋다. 또 도면 2에서 보는 것처럼 스푼 손잡이와 닿지 않는 아랫쪽의 스푼 몸체 입구면의 뒷쪽에서부터 시작하여 손잡이가 있는 방향으로 스푼 몸체 입구면(f)과 평행이 되도록 가이드판(e)을 형성하였다. 이것은 분유를 계량할 때 분유 스푼 몸체 끝부분이 다른 물체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그리고 아랫쪽에 형성된 스푼 몸체의 입구면(f)은 윗쪽에 형성된 스푼 몸체의 입구면과 평행하기 보다는 손잡이 쪽으로 약간 기울어지는 것(g)이 좋다. 왜냐하면 손잡이의 바깥쪽 끝부분(h)과 스푼 몸체 입구면이 일치할수록 분유를 뜨기도 쉬워지고 분유가 잘 흘러내리지 않기 때문이다. 보통 분유 스푼의 용량이 30∼40㎖가 대부분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20㎖나 10㎖ 용량의 스푼도 필요한데 20㎖와 같은 적은 용량의 스푼이 없어서 주부들이 상당한 불편을 느끼고 있다. 스푼 용량과 전체 계량 용량이 서로 맞지 않을 경우 30∼40㎖ 용량의 스푼을 가지고 눈대중으로 대충 계량할 수도 있지만 정확성을 기하기가 어렵고 어림잡아 하는 것도 그리 간단한 일은 아니다. 또한 용량이 서로 다는 두 개의 분유스푼을 따로 준비하는 것도 쉽지 않다. 그래서 본 고안의 분유스푼을 사용하면 이러한 불편함이 많이 해소된다. 또 40㎖와 20㎖ 이외에 40㎖와 10㎖나 30㎖와 10㎖의 용량을 가지도록 하면 더 다양하고 세밀한 계량도 가능해진다. 물론 분유 스푼을 뒤집어서 사용할 경우에는 약간의 불편함이 따를 수 있으나 스푼에 별도의 조작이 필요없고 또 용량이 각각 다른 두 개의 스푼을 따로 준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러한 불편은 충분히 상쇄될 수가 있다. 또한 두 개의 스푼 몸체가 상하로 결합이 되어 있어서 옆면이 직선이나 유선형이기 때문에 분유를 계량할 때 분유로 인한 저항을 받지 않으므로 계량에 어려움이 없다. 그리고 두 개의 스푼 몸체가 상하로 효율적으로 결합이 됨으로써 부피의 증가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여 부피의 증가에 따른 스푼 보관이나 사용시의 불편함을 최대한으로 줄였다.
a : 스푼 몸체 둘레면 b: 스푼 몸체를 둘로 나누는 칸막이
c : 스푼의 윗쪽 몸체 d : 스푼의 아랫쪽 몸체
e : 스푼의 아랫쪽 몸체의 걸림을 방지하는 가이드 판
f : 스푼의 아랫쪽 몸체의 입구면
g : 스푼의 아랫쪽 몸체가 뒷쪽으로 약간 경사를 이룸
h : 스푼 손잡이의 끝부분

Claims (1)

  1. 통상적으로 몸체와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분유스푼에 관한 것으로써,
    전체적으로 파이프 형태의 스푼 몸체 둘레면(a) 내측에 하나의 칸막이(b)를 형성하여, 입구가 상하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면서 바닥면은 일체로 된 두 개의 서로 다른 용량의 스푼 몸체(c,d)를 형성하며, 스푼 손잡이와 닿지 않는 아랫쪽의 스푼 몸체의 입구면(f)에서 스푼 손잡이에 근접한 지점에 스푼 몸체 입구면(f)과 평행하도록 가이드판(e)을 형성하고, 아랫쪽에 위치한 스푼 몸체의 입구면(f)이 스푼 손잡이 쪽으로 약간 기울어진 것(g)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가지 용량을 가지는 분유스푼.
KR2020120003336U 2012-04-24 2012-04-24 두 가지 용량을 가지는 분유스푼 KR2004727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336U KR200472706Y1 (ko) 2012-04-24 2012-04-24 두 가지 용량을 가지는 분유스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336U KR200472706Y1 (ko) 2012-04-24 2012-04-24 두 가지 용량을 가지는 분유스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315U KR20130006315U (ko) 2013-11-01
KR200472706Y1 true KR200472706Y1 (ko) 2014-05-22

Family

ID=51490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336U KR200472706Y1 (ko) 2012-04-24 2012-04-24 두 가지 용량을 가지는 분유스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70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61120B2 (en) 2021-02-16 2023-01-24 Nutra Holdings Inc. Double-sided measuring scoop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8043A (ko) * 2000-11-16 2002-05-23 이석현 계수 기능을 갖는 스푼
KR20030072439A (ko) * 2002-03-04 2003-09-15 안호성 가변 계량식 스푼
KR200359847Y1 (ko) * 2004-05-28 2004-08-21 신계순 스푼 크기가 다른 두개의 분유 스푼을 한 개의 손잡이에장착한 대용량 분유 스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8043A (ko) * 2000-11-16 2002-05-23 이석현 계수 기능을 갖는 스푼
KR20030072439A (ko) * 2002-03-04 2003-09-15 안호성 가변 계량식 스푼
KR200359847Y1 (ko) * 2004-05-28 2004-08-21 신계순 스푼 크기가 다른 두개의 분유 스푼을 한 개의 손잡이에장착한 대용량 분유 스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315U (ko) 201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4098B2 (en) Measuring cup
US9605988B2 (en) Nested measuring cups
US11320297B2 (en) Single-ended multi-cavity measuring scoop
KR200472706Y1 (ko) 두 가지 용량을 가지는 분유스푼
US3148804A (en) Measuring and dispensing device for finely divided dry material
US20160025543A1 (en) Measuring Spoon With Spill Reduction Feature
CN103180221B (zh) 一种可定量倒出液体的容器
JP2016084160A (ja) 計量キャップ
CN104118656A (zh) 一种可定量出料的容器
US6125699A (en) Adjustable measuring spoon
CN102579256B (zh) 一种药瓶
CN205925748U (zh) 一种带盖药匙
KR20130099775A (ko) 분말 우유용 계량스푼 일명 Jinny-Cap〈지니 캡〉
US3391578A (en) Measuring spoon
JP2009529949A (ja) 粉末又は流体を集め注ぐ用具と方法
CN101461676B (zh) 一种方便计量的调料瓶
KR20130002177U (ko) 정량 배출장치
CN104359544B (zh) 一种微量药品试剂称量套盒工具
KR20120005971U (ko) 계량기능이 구비되는 액체용기
JP2005153938A (ja) 計量機能付き粉末容器
JP2003232665A (ja) 計量スプーン
CN212458586U (zh) 一种药丸胶囊称重装置
JP4878010B2 (ja) 計量スプーン
KR200359847Y1 (ko) 스푼 크기가 다른 두개의 분유 스푼을 한 개의 손잡이에장착한 대용량 분유 스푼
CN206151322U (zh) 一种液体定量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