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6349U - 분유계량장치 - Google Patents

분유계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6349U
KR19980056349U KR2019970000326U KR19970000326U KR19980056349U KR 19980056349 U KR19980056349 U KR 19980056349U KR 2019970000326 U KR2019970000326 U KR 2019970000326U KR 19970000326 U KR19970000326 U KR 19970000326U KR 19980056349 U KR19980056349 U KR 199800563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torage container
milk powder
groove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03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정호
Original Assignee
안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정호 filed Critical 안정호
Priority to KR20199700003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6349U/ko
Publication of KR199800563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6349U/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장되어 있는 분유를 소망하는 체적만큼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계량할 뿐만 아니라 계량하고자 하는 체적을 간편하게 가변시킬 수 있는 분유계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분유계량장치는 저장용기(10)와, 이 저장용기(10)의 하부에 착탈되도록 나사결합되는 하부캡(20)과, 저장용기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캡(30)과, 이 상부캡(30) 및 저장용기(10)와 작동적으로 결합되는 계량용기(40)로 이루어져 있다. 저장용기(10)의 상부체(12)의 외주면에는 승강홈(12a)과 이 승강홈(12a)에 수직하게 다수의 개폐홈들(12b)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배출구멍(18)이 천공되어 있다. 상부캡(30)도 배출구멍(18)과 대응되어 인출구멍(32)이 형성되고 계량용기(40)와 결합하여 협동하는 결합돌기(34)가 형성되어 있다. 계량용기(40)는 결합홈(42)이 형성되고 승강홈(12a) 및 개폐홈(12b)과 협동하는 작동돌기(44)가 형성되어 있다. 계량용기(40)의 작동돌기(44)가 어느 개폐홈(12b)에 위치하는 가에 따라 분유를 담을 수 있는 용적이 결정된다. 계량된 분유가 담겨진 계량용기(40)를 저장용기(10) 및 상부캡(30)으로부터 분리하여 분유를 사용하고자 하는 포유병에 옮겨 담으면 된다.

Description

분유계량장치
본 고안은 분유계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저장되어 있는 분유를 소망하는 체적만큼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계량할 뿐만 아니라 계량하고자 하는 체적을 간편하게 가변시킬 수 있는 분유계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아 또는 유아들은 물과 혼합된 분유를 매일 여러차례씩 적정한 양을 먹어야 하며 영아 또는 유아들에게 제공되는 분유의 양은 정확하게 적정한 양이 공급되어야 한다. 만일, 특히 영아들에게 적정한 양의 분유가 공급되지 않는다면, 영아들의 발육 및 건강상에 상당한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게 된다. 따라서, 어머니들은 이점에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 적정한 양의 분유를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영아들에게 공급하고 있다.
어머니들은 포유병에 분유와 물을 적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영아들의 통상적인 출생일수 또는 발육상태에 따라 적량의 분유를 영아들에게 먹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분유는 계량스푼을 사용하여 분유통으로부터 덜어내어 포유병에 옮겨담게 되며 이 때 1회에 사용되는 분유의 양은 계량스푼으로 4번이상에 해당하는 양이 된다.
한편, 특히 어머니가 영아들을 데리고 외출 또는 여행하는 경우에는 분유통과 계량스푼을 소지하거나 또는 일정한 양의 분유를 담은 다단으로 적층된 다수의 용기통을 가지고 다니게 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계량스푼으로 여러번 반복하여 분유를 계량하는 경우에는 수고스러워짐은 물론 또한 계량스푼의 사용횟수를 정확히 세어야 하므로 항상 주의를 요하여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1회에 공급되는 분유의 양 또는 분유와 물의 혼합비율이 일정하지 않으면, 영아들에게 충분한 영양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영아들이 분유먹기를 꺼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한편, 장시간 외출하는 경우 상기한 문제점이 포함되어 있음은 물론 부피가 큰 커다란 분유통 또는 적층된 다수의 용기통들을 소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적량의 분유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계량할 수 있는 분유계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계량되는 분유의 양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분유계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유계량장치의 제1 실시예의 부분절개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유계량장치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계량용기를 저장용기에 고정시키기 위한 록킹작용을 나타내는 도 2의 I-I'선 단면도,
도 4는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분유계량장치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분유계량장치의 제2 실시예의 부분절개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분유계량장치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저장용기 12: 상부체
12a: 승강홈 12b: 개폐홈
12c: 돌출부 14: 하부체
18: 배출구멍 20: 하부캡
30: 상부캡 32: 인출구멍
34: 결합돌기 36: 맞춤홈
40: 계량용기 42: 결합홈
44: 작동돌기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분유계량장치는 내부에 분유를 저장하며, 상면에는 하나 이상의 배출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상단으로부터 시작되는 길이방향의 기다란 하나 이상의 승강홈과 이 승강홈에 수직하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개폐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체와, 이 상부체보다 직경이 큰 하부체로 된 저장용기와; 이 저장용기의 상기 상부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분유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저장용기의 상부체의 배출구멍과 정렬되는 하나 이상의 인출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는 상기 저장용기의 상기 상부체의 승강홈에 정렬되는 하나 이상의 맞춤홈이 형성되고 또한 소정의 위치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캡과; 내면에는 상기 상부캡의 상기 결합돌기와 끼워맞춤되는 하단으로부터 시작되는 길이방향의 기다란 하나 이상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또한 하단의 소정의 위치에는 상기 저장용기의 상기 상부체의 승강홈과 개폐홈들을 따라 이동하는 하나 이상의 작동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계량용기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분유계량장치의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로 하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유계량장치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절개사시도로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분유계량장치는 기본요소로서 저장용기(10)와, 하부캡(20)과, 상부캡(30)과, 계량용기(40)로 구성되어 있다.
저장용기(10)는 영아들에게 여러번 예컨데, 10회이상 나누어서 먹일 수 있는 정도의 분유를 담을 수 있는 체적을 갖게 되며 몸체는 상부체(12)와 하부체(14)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부체(12)는 저장용기로부터 배출되는 분유의 양을 정확하게 계량할 수 있도록 상부체(12)는 하부체(14)보다 직경이 상당히 작게 형성되어 있다. 상부체(12)는 상면에 60°의 간격을 두고 중심각이 대략 60°인 부채꼴형상을 갖는 3개의 배출구멍(18)이 형성되어 있다. 외주면의 상측에는 상부캡(20)과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부(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의 상단으로부터는 길이방향의 기다란 승강홈(12a)이 120°의 간격을 두고 3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홈(12a)에 대하여 수직하게는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대략 중심각이 60°인 개폐홈들(12b)(도면에서는 5개씩의 홈들을 나타냄)이 형성되어 있다. 승강홈(12a)은 후술하는 계량용기(40)를 승강시키며, 개폐홈들(12b)들은 일정한 양의 분유를 배출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여 저장용기(10)로부터 분유를 계량용기(40)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승강홈(12a)의 하단에는 계량용기(40)가 저장용기(10)의 상부체(1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출부(12c)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부체(14)의 하단에는 나사부(1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하부체(14)의 하측에는 나사부(14a)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하부캡(20)이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용기(10)로의 분유공급은 하부캡(20)의 나사결합을 해제하고 분유통으로부터 분유를 옮겨 담고 하부캡(20)을 밀폐시키면 된다.
상부캡(30)은 저장용기(10)의 상부체(12)에 씌워져 나사결합되는 것으로서, 60°의 간격을 두고 중심각이 대략 60°인 부채꼴형상의 3개의 인출구멍(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는 저장용기(10)의 상부체(12)의 승강홈(12a)과 정렬되는 맞춤홈(36)이 120°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캡(30)은 저장용기(10)의 상부체(12)에 약간의 회전각, 바람직하기로는 대략 60,°을 두고 나사결합되도록 설계하고, 나사결합시에는 상부체(12)의 배출구멍(18)과 상부캡(30)의 인출구멍(32)은 서로 교호로 위치하여 상부체(12)는 폐쇄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부캡(30)이 계량용기(40)의 회전에 의하여 상술한 약간의 회전각만큼 회전하면 배출구멍(18)과 인출구멍(32)이 서로 연통하여 분유가 연통된 배출구멍(18)과 인출구멍(32)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주면의 상측에는 후술하는 계량용기(40)의 결합홈(42)에 끼워맞춤되는 결합돌기(34)가 대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계량용기(40)에는 저장용기(10)로부터 배출되는 분유가 담기게 되며, 계량용기(40)는 일면이 폐쇄되어 있는 실린더형상으로 기다랗게 형성된다. 계량용기(40)의 내면에는 상부캡(30)의 결합돌기(340와 끼워맞춤하는 결합홈(42)이 대향되도록 길게 형성되며, 하단에는 상술한 상부캡(30)의 맞춤홈(36)과 저장용기(10)의 상부체(12)의 승강홈(12a) 및 개폐홈(12b)을 따라 이동하는 작동돌기(42)가 120°의 간격으로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계량용기(40)의 결합홈(42)과 상부체(30)의 결합돌기(34)의 끼워맞춤과 상호작용으로 상부캡(30)과 계량용기(40)가 함께 회전하게 되며, 계량용기(40)의 작동돌기(44)와 상부체(12)의 승강홈(12a) 및 개폐홈(12b)의 끼워맞춤과 상호작용으로 적정한 분유양이 선택되고 해당하는 분유가 계량용기로 배출된다.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승강홈(12a), 배출구멍(18), 맞춤홈(36), 인출구멍(32), 작동돌기(44)는 120°간격으로 3개씩 형성되어 있고, 결합돌기(34)와 결합홈(44)은 180°간격으로 2개씩 형성되어 있으며, 개폐홈(12b)은 하나의 승강홈(12a)에 대하여 중심각 60°로 5개씩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본 고안의 설명을 위한 하나의 일예에 불과하며 설계사양에 따라 개수와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계량용기(40)의 록킹, 보다 상세히는 작동돌기(44)의 위치고정을 위하여 돌출부(12c)가 승강홈(12a)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 또한, 록킹수단을 다양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승강홈(12a)의 최하부에 승강홈에 대하여 수직하게 홈을 두고 이 홈에 돌출부를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를 참고로 하면, 도 5는 상술한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계량용기(40)의 상부에는 배출구멍(41)을 형성하고, 이 배출구멍(41)에는 배출캡(50)이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변형예는 계량용기(40)를 거꾸로 자세를 바꿈이 없이 계량용기(40)에 담겨진 분유를 배출캡(50)을 열고 바로 포유병에 낙하시켜 옮겨 담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6을 참고로 하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분유계량장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절개사시도이다. 이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 적용된 하부캡(20)의 사용을 배제하고 배출판(17)을 채용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배출판(17)을 고정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하여 상부체(12)의 내주면에 지지턱(15)을 형성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다른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재 및 그에 따른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지금부터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분유계량장치의 작용을 제1 실시예를 통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고로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저장용기(10)와, 하부캡(20)과, 상부캡(30)과, 계량용기(40)의 조립구조를 살펴본다. 하부캡(20)이 저장용기(10)의 하부에 나사결합에 의하여 체결됨으로써 저장용기(10)에는 분유를 담을 수 있는 밀폐공간이 형성된다. 그 후, 상부캡(30)이 상부체(12)의 상측에 형성된 나사부(16)에 의하여 저장용기(10)에 조립된다. 상부캡(30)은 저장용기(10)의 상부체(12)에 회전결합되며 이때 저장용기(10)에 담겨진 분유가 외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부체(12)의 배출구멍(18)과 상부캡(30)의 인출구멍(32)이 교호로 위치하고 맞춤홈(36)들과 승강홈(12a)들이 정렬되며, 설계된 바와 같이 상부캡(30)은 상부체(12)에 대하여 대략 60°정도의 회전각도를 남기게 된다. 그 후, 계량용기(40)를 저장용기(10)에 고정시킨다. 계량용기(40)의 록킹을 위하여 상부캡(30)의 결합돌기(34)는 계량용기(40)의 결합홈(42)에 끼워맞춤되고, 계량용기(40)의 작동돌기(44)들은 상부캡(30)의 맞춤홈(36) 및 저장용기(10)의 상부체(12)의 승강홈(12a)에 끼워져 하강하고, 최종적으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량용기(40)의 작동돌기(44)가 승강홈(12a)의 돌출부(12c)를 지나 승강홈(12a)의 최하단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계량용기(40)는 저장용기(10)에 고정되어 저장용기(10)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도 2는 이와 같은 결합된 최종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저장용기(10)에 담겨 있는 분유를 정해진 양만큼 배출하는 작용을 살펴본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계량용기(40)의 작동돌기(44)가 중간의 개폐홈(12b1)의 끝단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계량용기(40)의 내부 상면과 상부캡(30)의 상면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은 소정의 용적(V)을 갖게 된다. 용적(V)은 작동돌기(44)가 개폐홈(12b)의 끝단들중 어느 위치에 있는 가에 따라 계량용기(40)와 상부캡(3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의 크기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동돌기(44)가 승강홈(12a)의 최하단의 개폐홈(12b2)의 끝단에 위치하게 되면 용적(V)은 최소가 되며, 작동돌기(44)가 승강홈(12a)의 최상단의 개폐홈(12b3)의 끝단에 위치하게 되면 용적은 최대가 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개페홈들(12b)들의 개수를 증감시키면, 그에 따라 용적(V)도 다양하게 증감시킬 수 있다. 한편, 작동돌기(44)를 개폐홈(12b)의 끝단에 위치시키기 위하여는 승강홈(12a)들을 따라 작동돌기들(44)들을 승강시키고 소망하는 용적(V)에 해당하는 개폐홈(12b)의 시작단에서 계량용기(40)를 회전시키면 계량용기(40)의 결합홈(42)와 상부캡(30)의 결합돌기(34)의 협동에 의한 회전력에 의하여 계량돌기(40)의 작동돌기(44)가 개폐홈(12b)으로 진입하고 계속적인 계량용기(40)의 회전에 의하여 작동돌기(44)가 개폐홈(12b)의 끝단에 오게 된다. 그리고, 이 때에는 상부체(12)의 배출구멍(18)과 상부캡(30)의 인출구멍(32)이 정렬하여 연통된다.
그 후, 저장용기(10)를 거꾸로 하면, 저장용기(10)에 담겨 있던 분유가 용적(V)에 해당하는 양만큼 계량용기(40)와 상부캡(30)사이의 공간으로 낙하하여 계량용기(40)와 상부캡(30)에 의하여 형성된 내부공간을 충전하게 된다. 이 때, 계량용기(40)를 개폐홈(12b)의 시작단으로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작동돌기(44)가 개폐홈(12b)을 따라 이동하여 승강홈(12a)에 위치하게 되면, 상부캡(30)의 회전에 따라 연통하고 있던 상부체(12)의 배출구멍(18)과 상부캡(30)의 인출구멍(32)이 교호로 위치하게 되어 배출구멍(18)은 상부캡(30)의 인출구멍(32)이외의 부분에 의하여 밀폐되어 저장용기(10)로부터의 분유의 유출은 방지된다. 계속하여 작동돌기(44)를 승강홈(12a)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소정의 용적(V)만큼 분유가 담겨진 계량용기(40)가 저장용기(10) 및 상부캡(30)과 분리된다, 그리고, 분리된 계량용기(40)에 담겨진 분유를 사용하고자 하는 포유병에 옮겨 담으면 적량의 분유계량이 완료된다.
최종적으로는 분유를 옮겨 담고 비게 된 계량용기(40)를 다시 분유계량장치의 조립과정과 마찬가지로 작동돌기(44)가 승강홈(12a)의 최하단의 돌출부(12c)의 밑에 위치시키면, 계량용기(40)는 저장용기(10)에 고정된다.
용적(V)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계량용기(40)의 작동돌기(44)를 원하는 개폐홈(12b)에 위치시켜 사용하면 된다.
한편, 도 5의 변형예와 도 6 및 도 7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작용도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작용을 통하여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실시예들은 분유의 계량에 한정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분유의 계량에만 한정되지 않을 것이며 분유와 입자성분이 유사한 모든 분체의 계량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들은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본원의 권리범위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사상에 의하고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이 가능할 것이며 이들은 본원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분유계량장치는 간단한 구성으로 적량의 분유를 정확하고도 신속하게 계량할 수 있으며, 계량되는 분유의 양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6)

  1. 내부에 분유를 저장하며, 상면에는 하나 이상의 배출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상단으로부터 시작되는 길이방향의 기다란 하나 이상의 승강홈과 이 승강홈에 수직하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개폐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체와, 이 상부체보다 직경이 큰 하부체로 된 저장용기와;
    이 저장용기의 상기 상부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분유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저장용기의 상부체의 배출구멍과 정렬되는 하나 이상의 인출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는 상기 저장용기의 상기 상부체의 승강홈에 정렬되는 하나 이상의 맞춤홈이 형성되고 또한 소정의 위치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캡과;
    내면에는 상기 상부캡의 상기 결합돌기와 끼워맞춤되는 하단으로부터 시작되는 길이방향의 기다란 하나 이상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또한 하단의 소정의 위치에는 상기 저장용기의 상기 상부체의 승강홈과 개폐홈들을 따라 이동하는 하나 이상의 작동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계량용기로 이루어진 분유계량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의 하부체에는 분유를 공급하기 위하여 하단에 개폐가 가능한 하부캡이 결합되어 있는 분유계량용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의 상부체의 배출구멍과 상기 상부캡의 인출구멍은 3개이며 중심각이 60°인 부채꼴형상이고, 상기 상부체의 승강홈과 상기 상부캡의 맞춤홈과 상기 계량용기의 작동돌기는 상호 120°간격으로 3 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캡의 결합돌기와 상기 계량용기의 결합홈은 서로 대향되도록 2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체의 개폐홈은 승강홈의 중심선에 대하여 대략 60°의 원주각을 갖는 분유계량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용기를 상기 저장용기에 록킹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부체의 승강홈의 하단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분유계량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의 상부체의 내면 상측에는 지지턱이 형성되고 이 지지턱에는 상기 배출구멍이 형성된 배출판이 고정적으로 안착되는 분유계량용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계량용기의 상면에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이 배출공에는 배출캡이 씌워져 있는 분유계량용기.
KR2019970000326U 1997-01-13 1997-01-13 분유계량장치 KR1998005634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326U KR19980056349U (ko) 1997-01-13 1997-01-13 분유계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326U KR19980056349U (ko) 1997-01-13 1997-01-13 분유계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349U true KR19980056349U (ko) 1998-10-15

Family

ID=69678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0326U KR19980056349U (ko) 1997-01-13 1997-01-13 분유계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634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2439A (ko) * 2002-03-04 2003-09-15 안호성 가변 계량식 스푼
KR100821802B1 (ko) * 2001-08-06 2008-04-11 엠.엘.아이.에스. 프로젝트 리미티드 다중격실 용기조립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802B1 (ko) * 2001-08-06 2008-04-11 엠.엘.아이.에스. 프로젝트 리미티드 다중격실 용기조립시스템
KR20030072439A (ko) * 2002-03-04 2003-09-15 안호성 가변 계량식 스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8610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and dispensing material, especially in micro quantities and in combination with limited starting amounts
US20090178940A1 (en) Stacked-container reusable bottle, system and method providing flexible use and mixing
US4957219A (en) Measuring and dispensing cap
US20050173467A1 (en) Device for dispensing media
US5947336A (en) Dry food dispenser
US20210085566A1 (en) Formula and powder mixing assembly
BG64335B1 (bg) Съд за хранителни продукти
JPS61500608A (ja) 調量デイスペンサ−
KR100407551B1 (ko)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
KR20030070801A (ko) 정량 배출 용기
KR19980056349U (ko) 분유계량장치
CN211168197U (zh) 一种定量给药瓶盖及药瓶
KR200386903Y1 (ko) 투약용 소분 계량용기
US11105671B2 (en) Device for storage and dosage of a powder or a liquid
PL90692B1 (ko)
KR200235884Y1 (ko)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
KR200463839Y1 (ko) 수량 조절이 가능한 용기
KR0136233Y1 (ko) 분체계량장치
KR200215339Y1 (ko) 분말용 정량배출용기
CN110680740A (zh) 一种分药器
KR200209290Y1 (ko) 정량조절수단을 갖는 분유통_
CN112423628B (zh) 具有模块化结构的用于颗粒材料的计量施配的设备
KR200293714Y1 (ko) 분말제품 계량용기
CN219289291U (zh) 一种调料控量瓶
CN211382706U (zh) 一种分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