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9839A - 편평 회로 커넥터 - Google Patents

편평 회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9839A
KR20030069839A KR10-2003-0010098A KR20030010098A KR20030069839A KR 20030069839 A KR20030069839 A KR 20030069839A KR 20030010098 A KR20030010098 A KR 20030010098A KR 20030069839 A KR20030069839 A KR 20030069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circuit
housing
flat
flat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0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니시신즈께
야마구찌도미사부로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69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983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갖는 편평한 전기 회로를 종단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가 제공된다. 커넥터는 편평 회로의 단부를 수납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 유전체 하우징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단자는 개구를 따라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하우징 상에 장착된다. 단자 중 적어도 일부는 편평 회로의 하부면과 결합하기 위한 제1 가요성 접촉 아암과 편평 회로의 상부면과 결합하기 위한 제2 가요성 접촉 아암을 가진다. 액츄에이터는 편평 회로의 상부면과 결합하고 제1 가요성 접촉 아암에 대해 회로의 하부면을 편의시키는 폐쇄 위치와 개구 안쪽으로 편평 회로가 삽입되도록 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기 위해 하우징 상에 이동식으로 장착된다. 제1 및 제2 가요성 접촉 아암은 상호 결합되어 있어서 액츄에이터가 폐쇄 위치로 이동될 때 제1 접촉 아암은 제2 접촉 아암을 당겨서 편평 회로의 상부면과 결합시킨다.

Description

편평 회로 커넥터 {FLAT CIRCUIT CONNECTOR}
본 발명은 통상 전기 커넥터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편평한 가요성 회로, 가요성 인쇄 회로 또는 다른 편평한 전기 케이블과 같은 편평 회로를 종단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편평한 가요성 케이블, 가요성 인쇄 회로 등과 같은 편평한 케이블 또는 회로를 종단하기 위해, 광범위한 전기 커넥터들이 설계되어 왔다. 편평 회로를 위한 전형적인 커넥터는 예컨대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된 유전체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편평 회로의 단부를 수납하기 위해 단부를 가로질러 노출된 통상적으로 평행하고 측방향으로 이격된 도전체를 갖는 길쭉한 개구 또는 슬롯을 갖는다. 복수개의 단자는 하우징 내에 장착되고 슬롯을 따라 측방향으로 이격되는데, 단자의 접촉부는 편평 회로의 측방향으로 이격된 도전체와 결합 가능하다. 액츄에이터는 종종 편평 회로가 슬롯 안쪽으로 자유롭게 삽입 가능한 제1 위치와 액츄에이터가 하우징에서 회로를 클램핑하고 회로를 단자의 접촉부에 대해 편의시키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기 위해 하우징 상에 이동식으로 장착된다. 이러한 형식의 통상적인 커넥터는 일본 특허 공개 제9-97655호, 제10-214661호, 제11-31561호, 제11-54218호, 제12-48886호, 제12-106238호, 제13-76794호, 제13-110483호 등에서 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전체는 편평 회로의 삽입 단부를 따라 측방향으로 이격된다. 도전체는 회로의 상부면에서 노출되거나 회로의 하부면에서 노출될 수 있다. 예컨대, 회로가 한정된 길이를 갖는다면, 도전체는 회로의 일단부에 있는 상부면 및 회로의 타단부에 있는 하부면에서 노출될 수 있다. 커넥터는 통상적으로 지지 구조에 고정되거나 인쇄 회로 기판의 상부에 장착되므로, 커넥터는 회로의 상부 또는 하부면 상에서 노출된 도전체를 갖는 상이한 회로를 수용하기 위해 꺼꾸로 뒤집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편평 회로의 상부면과 결합하는 접촉부를 갖는 단자와, 회로의 하부면과 결합하는 접촉부를 갖는 단자를 구비한 2가지 형식의 편평 커넥터가 요구된다. 물론 이것은 재고 관리 및 제조 비용의 증가를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점의 또 다른 예는 편평 회로가 그의 대향 단부 및 동일한측부(상부 또는 하부)에 도전체를 가지고 회로가 U자 형상으로 종단된다는 것에 있다. 상이한 형상의 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확대된 공동을 갖는 커넥터를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있어 왔지만, 이러한 접근은 보다 큰 결합 공간으로 결과되어, 임의의 경우에 소형화 및 낮은 프로파일이 바람직할 뿐만 아니라 필수적인 환경에서 커넥터의 전체 크기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은 상부면, 하부면 또는 양 표면 모두에 도전체를 갖는 편평 회로를 종단시킬 수 있는 편평 회로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면 및 상부면을 가지고 어느 한 표면 또는 양 표면 모두에 도전체를 구비한 편평한 전기 커넥터를 종단하기 위한 신규하고 개선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커넥터는 회로 삽입 방향으로 편평 회로의 단부를 수납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 유전체 하우징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단자는 개구를 따라 측방향으로 이격되고 나란한 어레이로 하우징 상에 장착된다. 단자 중 적어도 일부의 각각은 편평 회로의 하부면과 결합하기 위한 제1 가요성 접촉 아암과 편평 회로의 상부면과 결합하기 위한 제2 가요성 접촉 아암을 갖는다. 액츄에이터는 편평 회로가 개구 안쪽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개방 위치와 편평 회로의 상부면과 결합하고 제1 가요성 접촉 아암에 대해 회로의 하부면을 편의시키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기 위해 하우징 상에 이동식으로 장착된다. 단자 각각의 제1및 제2 접촉 아암은 상호 결합되어 액츄에이터가 폐쇄 위치로 이동할 때 제1 접촉 아암은 제2 접촉 아암을 당겨서 편평 회로의 상부면과 결합시킨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제1 및 제2 가요성 접촉 아암은 회로 삽입 방향에 대향하여 각각의 단자의 기부로부터 먼 방향으로 연장한다. 제1 및 제2 가요성 접촉 아암은 편평 회로의 단부를 수납하기 위해 그 사이에 슬롯을 한정한다. 단자는 제1 및 제2 가요성 접촉 아암을 형성하는 한 쌍의 레그를 한정하는 U자 형상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하우징은 제2 가요성 접촉 아암이 당겨져서 회로의 상부면과 결합할 때 편평 회로의 하부면과 결합가능하고 단자의 제2 가요성 접촉 아암과 대향하는 선반 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개시된 바와 같이, 선반 수단은 단자 사이에서 하우징 내의 개구에 배치된 복수개의 선반에 의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단자 중 일부는 액츄에이터가 개폐 위치 사이에서 선회 이동하도록 장착하기 위해 액츄에이터의 선회부와 결합하는 선회 수단을 구비한 선회 단자를 포함한다. 선회 수단은 회로 삽입 방향에 대체로 수직한 일 방향뿐만 아니라 회로 삽입 방향에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액츄에이터가 시프트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른 단자는 액츄에이터와 결합하고 회로 삽입 방향에 대체로 수직인 방향에 대향 방향으로 액츄에이터가 시프트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캠 단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기판 상에 커넥터를 장착하기 위해하우징 상에 장착된 강화 피팅부를 포함한다. 피팅부와 액츄에이터는 액츄에이터를 폐쇄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보조 상호결합 래치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함께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신규한 것으로 생각되는 본 발명의 특징은 특히 첨부된 청구항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은 그 목적 및 장점들과 함께, 유사한 도면 번호는 유사한 요소를 가리키는 첨부 도면과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가장 잘 이해될 것이다.
도1은 액츄에이터가 폐쇄된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개념을 구현하는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
도2a는 선회 단자 중 하나를 도시하는 커넥터의 전후방 단면도.
도2b는 캠 단자 중 하나를 도시하는 도2a와 유사한 단면도.
도3은 액츄에이터가 개방된 위치에 있는 도1에서 도시된 커넥터의 우측 단부의 확대 부분 사시도.
도4는 액츄에이터가 폐쇄된 위치에 있는 도3과 유사한 사시도.
도5는 하우징의 단자 장착 공동 중 하나를 도시하는 확대 부분 단면 사시도.
도6은 편평 회로가 커넥터 안쪽으로 삽입되어 있고 액츄에이터가 개방 위치에 있는 도2a와 유사한 단면도.
도7은 편평 회로가 커넥터 안쪽으로 삽입되어 있고 액츄에이터가 개방 위치에 있는 도2b와 유사한 단면도.
도8은 상부면을 따라 측방향으로 이격된 노출된 커넥터를 갖는 편평 회로의 삽입 단부의 평면도.
도9는 편평 회로가 커넥터에 종단되어 있는 도2a와 유사한 단면도.
도10은 편평 회로가 커넥터에 종단되어 있는 도2b와 유사한 단면도.
도11 내지 도15는 도전체가 편평 회로의 하부면에서 노출되어 있는 도6 내지 도10과 유사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기 커넥터
12 : 하우징
14 : 액츄에이터
16 : 강화 피팅부
18 : 슬롯
22A : 선회 단자
22B : 캠 단자
72 : 편평 회로
도면을 보다 상세히 참조하면, 본 발명은 먼저 도1에서 상부면과 하부면을 갖는 편평 회로(이하 설명됨)를 종단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10)로 구현된다. 통상적으로, 커넥터는 회로가 상부면, 하부면, 또는 양 표면 모두에서 도전체를 갖는 편평 회로를 종단하기 위해 설계된다.
이러한 이해와 함께, 커넥터(10)는 이하 기술되는 바와 같이 편평 회로가 하우징 안쪽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개방 위치와 회로를 종단하기 위해 도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선회 이동하기 위해, 액츄에이터(14)를 이동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유전체 하우징(12)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통상적으로 직사각형이고 전방 단부(12a), 후방 단부(12b), 상부 벽(12c) 및 측벽(12d)을 포함한다. 하우징(12)은 인쇄 회로 기판(도시되지 않음) 상에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한 쌍의 금속 강화 피팅부(16)는 하우징 상에 장착되고 납땜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적합한 장착 패드에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은 화살표 "A"에 의해 지시된 회로 삽입 방향으로 편평 회로의 단부를 수납하기 위해 길쭉한 슬롯(18) 형태의 개구를 한정한다.
도1과 함께 도2a 및 도2b를 참조하면, 하우징(12)은 회로 수납 슬롯(18)을 따라 교호식으로 이격된 단자 수납 통로[20A(도2a), 20B(도2b)] 또는 복수의 교호식 공동을 포함한다. 통로(20A, 20B)는 슬롯(18)을 따라 교호식으로 2개의 상이한 단자(22A, 22B)를 각각 수납 및 장착한다. 단자(22A)는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의 좌측 또는 전방으로부터 통로(20a) 안쪽으로 삽입되고, 단자(22B)는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의 우측 또는 후방으로부터 통로(20b) 안쪽으로 삽입된다.
단자(22A)는 여기서 "선회" 단자로 지칭된다. 각각의 선회 단자(22A)는 통로(20A) 내에서 하우징(12)의 상부 및 하부와 결합하는 하부 장착 아암(26) 및 상부 장착 아암(24)을 포함한다. 아암은 단자의 후방 기부(28)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다. 하부 장착 아암(26)은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적합한 회로 트레이스로 납땜에 의해 결합되기 위해 그 전방 단부에서 족부(26a)를 갖는다. U자형 접촉부(30)는 상부 장착 아암(24)의 근접 단부에서 기부(28)로 스프링 밴드(32)에 의해 결합된다. U자형 접촉부(30)의 래그는 상부 가요성 접촉 아암(32) 및 하부 가요성 접촉 아암(34)을 한정한다. 상부 가요성 접촉 아암(32) 및 하부 가요성 접촉 아암(34)은 각각 대향 접촉부(32a, 34a)에서 종단한다. 이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요성 접촉 아암은 편평 회로의 단부가 삽입 가능한 슬롯(36)을 한정한다.
도2b를 참조하면, 단자(22B)는 여기서 "캠" 단자로 지칭된다. 상부 장착 아암(40)은 기부의 전방으로 돌출하고 통로(20B)의 상부 또는 루프와 결합 가능한 채로, 각각의 캠 단자는 통로(20B) 내에 장착된 기부(38)를 포함한다. 상부 장착 아암(40)은 그 전방 단부에 있는 캠부(40a)에서 종단한다. 선회 단자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캠 단자(22B)는 상부 장착 아암(40)의 근단부에서 스프링 밴드(44)에 의해 단자의 기부에 결합된 통상적으로 U자형의 접촉부(42)를 포함한다. U자형 접촉부는 그 사이에 회로 수납 슬롯(49)을 한정하는 상부 가요성 접촉 아암(46) 및 하부 가요성 접촉 아암(48)을 한정한다. 상부 가요성 접촉 아암(46) 및 하부 가요성 접촉 아암(48)은 각각 대향 접촉부(46a, 48a)를 한정한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캠 단자(22B)는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적합한 회로 트레이스로 납땜에 의해 결합되기 위한 족부(50)를 갖는다.
도3은 편평 회로가 슬롯(18) 안쪽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개방 위치에 있는 액츄에이터(14)를 도시하고, 도4는 폐쇄 위치에 있는 액츄에이터를 도시한다. 액츄에이터는 대향 측벽(52)을 가지고, 각각의 측벽은 래치 레지(56)를 한정하는 개구(54)를 갖는다. 모따기된 래치 돌기는 하우징의 각 측벽(12d) 상에 형성된다. 액츄에이터(14)가 도3에 도시된 개방 위치에서 도4에 도시된 폐쇄 위치로 이동할 때, 측벽(52)은 액츄에이터를 폐쇄 위치로 래치하기 위해 래치 돌기가 개구(54) 안쪽으로 잠길 때까지 모따기된 래치 돌기(60)와 결합하면서 외향 편의된다. 이것은 액츄에이터(14)가 가요성이 충분히 있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면 용이하다.
액츄에이터와 강화 피팅부(16) 사이에서 잉여 래치 시스템이 액츄에이터(14)에 제공된다. 계속하여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각각의 금속 강화 피팅부는 내부의 래치 개구(62b)와 함께 가요성 결합 플랜지(62a)를 갖는 외부 벽(62)을 포함한다. 래치 개구 재료는 래치 에지(62c)를 한정하기 위해 내향 굴곡된다. 액츄에이터가 폐쇄 위치로 이동할 때, 래치 레지(62c)는 폐쇄 위치로 액츄에이터를 더 래치하기 위해 래치 에지(56) 위로 잠긴다. 또한, 액츄에이터는 강화 피팅부(16)의 외부 벽(62) 뒤로 연장하는 수직 돌기(64)를 갖는다. 이러한 수직 돌기는 손으로 액츄에이터를 지지하지 않고 액츄에이터를 개방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레지(62c)와 결합한다. 마지막으로 도3 및 도4는 강화 피팅부(16)가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적합한 장착 패드로 납땜에 의해 결합되기 위한 하부 족부(66)를 갖는 것을 도시한다. 하우징(12)의 하부면(68)은 인쇄 회로 기판의 상부면 상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도5는 액츄에이터(14)가 복수개의 회로 결합 리브(68a)를 한정하는 결합부(68)를 갖는다는 것을 도시한다. 리브는 도5에서 도시된 캠 단자(22B)의 상부 장착 아암(40)과 같이, 단자의 상부 장착 아암을 수납하기 위한 슬롯(68b)을 한정한다. 액츄에이터(14)가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 캠(70)은 캠부(40a) 아래에서 결합되기 위해 인접한 리브(68a) 사이에 형성된다. 필수적으로, 캠(60) 및 선회 핀(28; 도2a)은 캠 단자 및 선회 단자를 교호시키는 리브(68a) 사이에서 각각 교호한다.
도6 및 도10은 그 상부면(76) 상에 노출된 도전체 또는 접점(74)을 갖는다. 도6 및 도7은 편평 회로가 하우징(12)의 개구(18) 안쪽과, 각각의 선회 단자(22A) 및 캠 단자(22B)의 접촉 아암 사이의 슬롯(36, 50) 안쪽으로 화살표 "A" 방향으로삽입되도록 하는 개방 위치에 있는 액츄에이터(14)를 도시한다. 도6은 선회 단자(22A)의 상부 장착 아암(24)의 선회부(24a)에 얹혀진 액츄에이터(14)의 선회핀(28)을 도시한다. 이것은 액츄에이터가 수직 하향뿐만 아니라 대체로 수평(회로 삽입 방향 "A"에 통상 평행)하게 시프트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7은 액츄에이터의 캠(70)이 캠 단자(22B)의 상부 장착 아암(40)의 캠부(40a)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도시한다. 이것은 액츄에이터가 상향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선회 단자의 선회부(24a)와 캠 단자의 캠부(40a)의 조합은 선회 이동을 위해 액츄에이터를 고정시킨다.
도6 및 도7의 개방 위치에서, 편평 회로(72)는 선회 단자(22A) 및 캠 단자(22B)의 가요성 접촉 아암 사이의 슬롯(36, 50) 안쪽으로 완전히 삽입된다. 편평 회로의 상부면 상의 접점(74)은 각각의 선회 단자(22A) 및 캠 단자(22B)의 가요성 접촉 아암(32, 46)의 말단부 상에서 접촉부(32a, 46a)와 대향한다. 액츄에이터(14)가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B" 방향으로 하향 선회할 때 액츄에이터의 결합 리브(68a)는 편평 회로(72)와 결합하고 회로를 선회 단자(22A) 및 캠 단자(22B)의 하부 가요성 접촉 아암(34, 48)에 대해 하향 편의시킨다. 캠(70)(도10) 또한 하부 가요성 접촉 아암에 대해 편평 회로를 편의시킨다. 하부 접촉 아암이 상부 접촉 아암(32, 46)과 일체이고 U자형 접촉부(30, 42)가 단일 구조이므로, 하부 가요성 접촉 아암(34, 48)의 화살표 "C" 방향으로의 하향 이동은 상부 접촉 아암(32, 46)을 화살표 "D" 방향으로 당기는 데 유효하다. 이것은 상부 접촉 아암(32, 46)의 접촉부(32a, 46a)가 각각 편평 회로(72)의 상부면 상의 도전체 또는 접점(74)과 결합하도록 한다.
통상적으로, 선반 수단은 편평 회로를 그 사이에 개재하고 상부 접촉 아암이 편평 회로를 편의시키는 앤빌 수단을 제공하기 위해 상부 접촉 아암(32, 46)에 대향하는 관계로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은 단자(도5 참조) 사이에 배치된 복수개의 리브와 같은 선반(78)을 갖는다. 상부 접촉 아암은 선반 수단에 대해 편평 회로를 편의시킨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 회로(72)가 그 하부면 상에 도전체 또는 접점(80)을 가지는 것을 제외하면, 도11 내지 도12는 도6 내지 도10과 사실상 동일하다. 도6 및 도7과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편평 회로는 화살표 "A" 방향으로 커넥터 안쪽으로 삽입된다(도11 및 도12). 액츄에이터(14)는 다시 그 폐쇄 위치로 화살표 "B" 방향으로 하향 선회된다. 편평 회로의 편의는 도8 및 도9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다. 그러나, 예컨대 편평 회로(72)의 하부면 상의 도전체 또는 접점(80)은 편의되어 선회 단자(22A) 및 캠 단자(22B) 각각의 하부 가요성 접촉 아암(34, 48)의 접촉부(34a, 48a)와 결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의 독특한 특성은 편평 회로가 그 양 측부 상에 노출된 도전체 또는 접점과 종단할 수 있다는 점인 것을 알아야 한다. 예컨대, 도8 및 도13은 편평 회로의 한 측부 또는 양 측부 상에 배치될 수 있는 상이한 접점 형상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주된 특성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명세서의 형태로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본 구현예 또는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고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간주되어야 하고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된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11)

  1.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갖는 편평한 전기 회로를 종단시키기 위한 전기 커넥터이며,
    회로 삽입 방향으로 편평 회로의 단부를 수납하기 위해 개구를 갖는 유전체 하우징과,
    개구를 따라 측방향으로 이격되고, 나란한 어레이로 하우징 상에 장착되고, 각각이 편평 회로의 하부면과 결합하기 위한 제1 가요성 접촉 아암과 편평 회로의 상부면과 결합하기 위한 제2 가요성 접촉 아암을 갖는 복수개의 단자와,
    개구 내에 편평 회로가 삽입되도록 하는 개방 위치와 편평 회로의 상부면과 결합하고 제1 가요성 접촉 아암에 대해 회로의 하부면을 편의시키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기 위해 하우징 상에 이동식으로 장착된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요성 접촉 아암은 상호 결합되어 액츄에이터가 폐쇄 위치로 이동될 때 제1 접촉 아암은 제2 접촉 아암을 당겨서 편평 회로의 상부면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가요성 접촉 아암은 회로 삽입 방향에 대향하여 단자 각각의 기부로부터 먼 방향으로 연장하고, 편평 회로의 단부를 수납하기 위해 그들 사이에 슬롯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단자 중 적어도 일부의 각각은 제1 및 제2 가요성 접촉 아암을 형성하는 한 쌍의 레그를 한정하는 U자형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제2 가요성 접촉 아암이 당겨져서 편평 회로의 상부면과 결합할 때 제2 가요성 접촉 아암에 대향하고 편평 회로의 하부면과 결합 가능한 선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선반 수단은 단자 중 적어도 일부 사이에서 개구에 배치된 복수개의 선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일부 단자는 개폐 위치 사이에서 선회 이동하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장착하기 위해 액츄에이터의 선회부와 결합하기 위한 선회 수단을 갖는 선회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선회 수단은 회로 삽입 방향에 대체로 수직한 일 방향뿐만 아니라 회로 삽입 방향에 대체로 평행하게 액츄에이터가 시프트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다른 단자는, 액츄에이터와 결합하고 액츄에이터가 회로 삽입 방향에 대체로 수직한 상기 일 방향에 대향한 방향으로 시프트하는 것을 방지하는, 캠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기판 상에 커넥터를 장착하기 위해 하우징 상에 장착된 강화 피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팅부와 액츄에이터는 액츄에이터를 폐쇄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보조 상호결합 래치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9.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갖는 편평한 전기 회로를 종단시키기 위한 전기 커넥터이며,
    회로 삽입 방향으로 편평 회로의 단부를 수납하기 위해 개구를 갖는 유전체 하우징과,
    개구를 따라 측방향으로 이격되고, 나란한 어레이로 하우징 상에 장착된 복수개의 단자와,
    개구 내에 편평 회로가 삽입되도록 하는 개방 위치와 단자에 대해 편평 회로를 편의시키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기 위해 하우징 상에 이동식으로 장착된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중 일부는 개폐 위치 사이에서 선회 이동하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장착하기 위해 액츄에이터의 선회부와 결합하는 선회 수단을 갖는 선회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선회 수단은 액츄에이터가 회로 삽입 방향에 대체로 수직한 일 방향뿐만 아니라 회로 삽입 방향에 대체로 평행하게 시프트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다른 단자는, 액츄에이터와 결합하고 액츄에이터가 회로 삽입 방향에 대체로 수직한 상기 일 방향에 대향한 방향으로 시프트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캠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0.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갖는 편평한 전기 회로를 종단시키기 위한 전기 커넥터이며,
    회로 삽입 방향으로 편평 회로의 단부를 수납하기 위해 개구를 갖는 유전체 하우징과,
    개구를 따라 측방향으로 이격되고, 나란한 어레이로 하우징 상에 장착된 복수개의 단자와,
    개구 내에 편평 회로가 삽입되도록 하는 개방 위치와 단자에 대해 편평 회로를 편의시키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기 위해 하우징 상에 이동식으로 장착된 액츄에이터와,
    커넥터를 기판 상에 장착하기 위해 하우징 상에 장착된 강화 피팅부와,
    액츄에이터를 그 폐쇄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해 강화 피팅부와 액츄에이터 사이에 보조 상호결합 래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 피팅부는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장착 패드에, 납땜에 의해, 결합하기 위해 금속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03-0010098A 2002-02-19 2003-02-18 편평 회로 커넥터 KR200300698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41024 2002-02-19
JPJP-P-2002-00041024 2002-02-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839A true KR20030069839A (ko) 2003-08-27

Family

ID=27621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098A KR20030069839A (ko) 2002-02-19 2003-02-18 편평 회로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37740B2 (ko)
EP (1) EP1337006A3 (ko)
KR (1) KR20030069839A (ko)
CN (1) CN1441516A (ko)
TW (1) TW55810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722B1 (ko) * 2005-01-26 2007-10-04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8206A (ja) * 2002-11-01 2004-06-03 Fci Asia Technology Pte Ltd 平形柔軟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KR100514596B1 (ko) * 2003-08-27 2005-09-14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
JP4282014B2 (ja) * 2004-08-03 2009-06-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4578931B2 (ja) * 2004-10-18 2010-11-10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388879B2 (ja) * 2004-10-26 2009-12-2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JP4090059B2 (ja) * 2004-11-01 2008-05-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6147491A (ja) * 2004-11-24 2006-06-0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US7249955B2 (en) * 2004-12-30 2007-07-31 Intel Corporation Connection of package, board, and flex cable
JP2006228453A (ja) * 2005-02-15 2006-08-3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US20060216981A1 (en) * 2005-03-25 2006-09-28 Alex Huang Electric connector
TWM282346U (en) * 2005-05-06 2005-12-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4783081B2 (ja) * 2005-07-21 2011-09-28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電気コネクタ
JP4938303B2 (ja) * 2005-12-16 2012-05-2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JP4515403B2 (ja) * 2006-03-17 2010-07-28 ホシデン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US7544087B2 (en) * 2006-04-28 2009-06-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ctronic device interconnect system
TWM326246U (en) * 2007-07-06 2008-01-21 P Two Ind Inc Flexible flat cable connector
JP4386129B2 (ja) * 2007-11-27 2009-12-1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JP4541428B2 (ja) * 2008-05-28 2010-09-0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5580647B2 (ja) * 2010-04-09 2014-08-2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コネクタ
US8535089B2 (en) 2011-07-25 2013-09-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US8430685B2 (en) * 2011-07-25 2013-04-3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TWM429222U (en) 2011-09-26 2012-05-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5862387B2 (ja) * 2012-03-15 2016-02-16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US11527845B2 (en) * 2020-06-24 2022-12-13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Spring clip and connector for a flat flexible cabl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0874A (en) * 1985-06-20 1986-12-23 Amp Incorporated Zero insertion force electrical interconnection assembly
US5240430A (en) * 1991-10-31 1993-08-31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cable to circit board application
US5688143A (en) * 1995-09-26 1997-11-1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for use with flexible printed circuit
JP2000021478A (ja) * 1998-06-19 2000-01-21 Molex Inc 平型柔軟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3446136B2 (ja) * 2000-06-05 2003-09-1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
US6276958B1 (en) * 2000-12-04 2001-08-2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with a reliably anchored slid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722B1 (ko) * 2005-01-26 2007-10-04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57829A1 (en) 2003-08-21
EP1337006A2 (en) 2003-08-20
TW558108U (en) 2003-10-11
EP1337006A3 (en) 2005-05-11
US6837740B2 (en) 2005-01-04
CN1441516A (zh) 2003-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69839A (ko) 편평 회로 커넥터
KR100504057B1 (ko) 평평한 가요성 케이블용 커넥터
US735766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atching member
US7275955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4936792A (en) Flexible printed cable connector
JP4308259B2 (ja) 基板対基板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5779495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latching system
US7381071B2 (en) Floating electrical connector with twisted contacts
US744549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taining member
KR20070057024A (ko) 암형 커넥터 및 수형 커넥터
JP3994058B2 (ja) 電気コネクタ用ラッチシステム
US5904589A (en) Flat cable connector
US20100130045A1 (en) Connector for Flexible Circuit
EP1235303B1 (en) A connector terminal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0279193B1 (ko) 고접촉력핀수용전기단자
US20220052468A1 (en) Receptacle connector
US6454599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rounding bridges
US20060134989A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KR20060083219A (ko) 평면 회로 커넥터
US6074230A (en) Hermaphroditic electrical connectors
FI74364C (fi) Laogprofilerad elektrisk kopplingsinstallation.
US7029319B2 (en) Flat circuit connector
JP3355403B2 (ja) 電気コネクタの端子装置
US6168473B1 (en) Clamping structure for communication connector
JP2019129137A (ja) コネクタ、相手方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