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9657A - 컴퓨터 수치제어장치의 가공 툴 정보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 수치제어장치의 가공 툴 정보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9657A
KR20030069657A KR1020020009579A KR20020009579A KR20030069657A KR 20030069657 A KR20030069657 A KR 20030069657A KR 1020020009579 A KR1020020009579 A KR 1020020009579A KR 20020009579 A KR20020009579 A KR 20020009579A KR 20030069657 A KR20030069657 A KR 20030069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ing tool
information
numerical
value
cn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2299B1 (ko
Inventor
하종수
Original Assignee
두산메카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메카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메카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9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2299B1/ko
Publication of KR20030069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9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2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14Structure of the control system, e.g. common controller or multiprocessor systems, interface to servo, programmable interface controller
    • G05B19/4145Structure of the control system, e.g. common controller or multiprocessor systems, interface to servo, programmable interface controller characterised by using same processor to execute programmable controller and numerical controller function [CNC] and PC controlled NC [PCN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1Fro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till monitoring
    • G05B2219/31017Architecture, host controls several CNC, each acting as a server to a pm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NC의 가공 툴 정보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의 가공 툴 정보 변경 이벤트 발생 시, 그 변경 결과에 따른 공작물의 최종 형상을 가상의 이미지 형태로 표시할 수 있는 프로세스, 각 가공 툴들의 수치현황 정보뿐만 아니라, 각 가공 툴들의 형상정보, 각 가공 툴들의 동작설명 정보 등을 함께 표시할 수 있는 프로세스 등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작업자가 "마모가 발생한 특정 가공 툴들의 정보"를 공작물의 실제 가공현황에 부합시켜, 현장감 있게 변경·보정할 수 있도록 유도함과 아울러, 작업자가 각 가공 툴들의 현황을 상세하게 파악·체크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본 발명이 실시되면, "가공툴 정보 변경에 따른 공작물의 이미지 표시화", "가 공툴 현황의 상세정보 표시화"가 탄력적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실수 유발 가능성은 최소화될 수 있으며, 결국, 최종 완성되는 공작물의 생산성은 최적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컴퓨터 수치제어장치의 가공 툴 정보 관리방법{Method for controlling a machining tool information of a computer numerical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컴퓨터 수치제어장치(CNC:Computer Numerical Control apparatus; 이하, "CNC"라 칭함)의 가공 툴 정보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가공툴 정보 변경에 따른 공작물의 이미지 표시화", "가 공툴 현황의 상세정보 표시화" 등을 통해, 작업자의 실수 유발 가능성을 최소화시키고, 이를 통해, 최종 완성되는 공작물의 생산성을 최적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CNC의 가공 툴 정보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NC는 부호와 수치로 이루어진 수치정보를 이용하여, 기계의 운전을 자동 제어하는 장치를 일컬으며, 근래에, 여러 분야의 기계에 다양하게 적용되어 생산라인의 자동화에 폭 넓게 기여하고 있다.
예컨대, 미국특허공보 제 5604677 호 "CNC 머신 툴 제어(Control of CNC machine tool)", 미국특허공보 제 5727912 호 "CNC 운영 머신 툴용 콘트롤러(Controller for CNC-operated machine tools)", 미국특허공보 제 5808888 호 "CNC 머신 프로그래밍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gramming a CNC machine)", 미국특허공보 제 6167325 호 "CNC 데이터 수정방법(CNC data correction method)", 미국특허공보 제 6325697 호 "CNC 머신 툴(CNC machine tools)" 등에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CNC의 일례가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통상, 이러한 종래의 CNC 체제하에서, 공작물의 실질적인 가공은 예컨대, 밀링 툴(Milling tool), 드릴링 툴(Drilling tool)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가공 툴(Machining tool)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가공 툴을 운영하다 보면, 예컨대, 마모(Wear) 등과 같은 가공 툴의 손상이 불가피하게 발생할 수밖에 없는 바, 만약, 이와 같은 가공 툴의 손상이 별도의 조치 없이, 그대로 방치되는 경우, 공작물의 생산이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심각한 공정사고가 야기될 수밖에 없다.
종래의 경우, 이러한 문제점을 미리 방지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표시화면을 통해, 각 가공 툴들의 현황정보를 수치로 표시하고,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마모가 발생한 특정 가공 툴들의 수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함으로써, 특정 가공 툴들의 동작상황이 그 마모정도에 따라 적절하게 보정(Compensation)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CNC 체제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가공 툴들의 현황정보는 단지, 수치 형태로만 표시·관리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마모가 발생한 특정 가공 툴들의 정보를 변경한 상황에서, 그 변경 결과에 따른 공작물의 최종 형상을 현장감 있게 파악할 수 없게 되며, 결국, 각 가공 툴들의 정보를 공작물의 실제 가공현황과 무관하게, 단지, 자신의 경험에 의존하여 변경·보정할 수밖에 없게 된다.
만약, 이 상황에서, 작업자의 실수로, 가공 툴들의 정보가 적절하지 못한 값으로 보정되고, 이에 따라, 가공 툴들이 정확한 값으로 제어되지 못하는 경우, 그 영향은 고스란히 공작물에 미칠 수밖에 없으며, 결국, 작업자는 가공 툴들의 동작상황을 나름대로, 보정 했음에도 불구하고, 공작물의 생산이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문제점을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더욱이, 종래의 CNC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지, 각 가공 툴들의 현황정보만을 수치로 표시할 뿐, 예컨대, 각 가공 툴들의 형상정보, 각 가공 툴들의 동작설명 정보 등과 같은 각 가공 툴들의 상세정보를 전혀 표시하지 않은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종래의 체제하에서, 작업자가 가공 툴들의 정보를 잘못 변경할 가능성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으며, 결국, 작업자는 각 가공 툴들의 마모상황에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 때문에, 종래에서는 각 가공 툴들의 마모에 대한 대처가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깊이 인식하면서도 이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의 가공 툴 정보 변경 이벤트 발생 시, 그 변경 결과에 따른 공작물의 최종 형상을 가상의 이미지 형태로 표시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작업자가 "마모가 발생한 특정 가공 툴들의 정보"를 공작물의 실제 가공현황에 부합시켜, 현장감 있게 변경·보정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공툴 정보 변경에 따른 공작물의 이미지 표시화를 통해, 작업자의 실수 유발 가능성을 최소화시키고, 이를 통해, 최종 완성되는 공작물의 생산성을 최적화 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가공 툴들의 수치현황 정보 뿐만 아니라, 각 가공 툴들의 형상정보, 각 가공 툴들의 동작설명 정보 등을 함께 표시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작업자의 예측하지 못한 실수 유발 가능성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최종 완성되는 공작물의 생산성을 최적화 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CNC의 가공 툴 현황정보 표시화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반환경을 이루는 CNC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툴 정보 표시모듈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CNC의 가공 툴 정보 관리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CNC 관리모듈, PMC(Programmable Machine Control) 관리모듈, 메모리부 및 입력장치/표시장치를 구비한 CNC에 설치된 가공 툴 정보 관리 모듈의 주도로 진행되는 일련의 가공 툴 수치변경 관리 프로세스 및 가공 툴 형상/동작설명 정보 표시/변경 프로세스로 이루어지는 CNC의 가공 툴 정보 관리방법을 개시한다.
이때, 앞서 언급한 가공 툴 수치변경 관리 프로세스는 입력장치로부터 특정 가공 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일련의 가공 툴 수치변경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입력장치로부터 가공 툴 수치변경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메모리부로 "직전 가공 툴 수치정보"의 전달을 요청하여, 해당 직전 가공 툴 수치정보를 확보하고, 현 입력 가공 툴 수치가 이 직전 가공 툴 수치보다 큰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현 입력 가공 툴 수치가 직전 가공 툴 수치보다 큰 경우, 확장형 컬러정보를 추출함과 아울러, 현 입력 가공 툴 수치가 반영된 일련의 제 1 갱신 공작물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앞의 확장형 컬러정보 및 제 1 갱신 공작물 가상 이미지를 결합하여, 제 1 수치변경 매칭 공작물 가상 이미지를 생성한 후, 생성이 완료된 제 1 수치변경 매칭 공작물 가상 이미지를 표시장치로 출력하는 단계와, 입력장치로부터 현 입력 가공 툴 수치를 확정하기 위한 일련의 수치변경 확정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입력장치로부터 수치변경 확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현 입력 가공 툴 수치"를 CNC 관리모듈 및 PMC 관리모듈로 전달하여, 현 입력 가공 툴 수치가 특정 가공 툴의 동작에 실질적으로 반영되도록 유도하는 단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CNC의 가공 툴 정보 관리방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반환경을 이루는 CNC 시스템은 크게, 기계블록(30), 전원유닛(90)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PC 블록(20), CNC 블록(10)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PC 블록(20)에는 메모리부(21), 통신부(22), BIOS부(23) 등이 배치되며, 이 메모리부(21), 통신부(22), BIOS부(23) 등은 운영체제(24)와의 신호교환을 통해 안정적으로 구동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CNC 블록(10)에는 CNC 관리모듈(11), PMC 관리모듈(14), 메모리부(12) 등이 배치되는 바, 이 경우, CNC 관리모듈(11)은 CNC 블록(10)의 전체적인 CNC 운영과정을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PMC 관리모듈(14)은 기계 블록(30)과 CNC 블록(10) 사이의 신호관계를 조절하여, 기계 블록(30)과 CNC 블록(10)이 서로 간의 정보를 원활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메모리부(12)는 CNC 관리모듈(11) 및 PMC 관리모듈(14)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CNC 관리모듈(11) 및 PMC 관리모듈(14)의 운영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CNC 블록(10)에는 앞의 PMC 관리모듈(14), CNC 관리모듈(11) 이외에도, PC 인터페이스부(13), 표시장치 관리부(16), 입력장치 관리부(15) 등이 더 배치된다. 이 경우, PC 인터페이스부(13)는 PC 블록(20)의 통신부(22)와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PC 블록(20)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CNC 관리모듈(11)로 전달함과 아울러, CNC 관리모듈(11)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PC 블록(2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함께, 표시장치 관리부(16)는 예컨대, CNC 관리모듈(11)에 설치된 본 발명 고유의 가공 툴 정보 관리모듈(100)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이 가공 툴 정보 관리모듈(100)로부터 전달되는 다양한 정보들, 예컨대, 작업자의 가공 툴 수치변경에 따른 공작물 가상 이미지 정보, 가공툴 형상/동작설명 정보 등을 표시장치(41)로 전달하여 해당 표시장치(41)에 디스플레이 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외에, 입력장치 관리부(15)는 CNC 관리모듈(11)과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입력장치(42)로부터 전송되는 다양한 입력정보들을 CNC 관리모듈(11)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CNC 관리모듈(11) 및 입력장치 관리부 (15) 사이의 연동관계를 기반으로, 작업자는 자신이 입력을 원하는 일련의 정보들을 입력장치(15)를 통해, CNC 관리모듈(11)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하에서, PMC 관리모듈(14)은 서보엠프 관리모듈(60)을 매개로 하여, 주축모터(71), 각축모터(72) 등으로 CNC 관리모듈(11)의 CNC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해당 모터들(71,72)의 동작상태를 정교하게 자동·제어하고, 이를 통해, 해당 모터들(71,72)을 기반으로 공작물을 실질 가공하는 각종 가공 툴들(73), 예컨대, 밀링 툴, 드릴링 툴 등의 동작상황을 관리한다. 이 경우, 해당 모터들(71,72)은 자신들의 동작상태를 서보엠프 관리모듈(60)을 매개로 하여, CNC 관리모듈(11)로 피드백(Feed-back)시킴으로써, CNC 관리모듈(11)에 의해 자신들의 동작상태를수시로 점검 받는다.
이외에도, PMC 관리모듈(14)은 PMC 입출력 모듈(50), 릴레이부(80) 등을 매개로 하여, 기계블록(30)에 배치된 각종 출력장치들(32), 예컨대,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등으로 CNC 관리모듈(11)의 CNC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해당 출력장치들(32)의 동작상태를 정교하게 자동·제어한다.
이 경우, 기계 블록(30)에 배치된 센서부(31)는 각 출력장들(32)의 동작상태를 센싱한 후, 그 센싱 결과를 릴레이부(80), PMC 입출력 모듈(50) 등을 매개로 하여, PMC 관리모듈(14)로 전달함으로써, 각 출력장치들(32)의 실질적인 동작상태가 CNC 관리모듈(11)로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언급한 본 발명 고유의 가공 툴 정보 관리모듈(100)은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 CNC 인터페이스부(102), 메모리 인터페이스부(103), 표시장치 인터페이스부(106), 입력장치 인터페이스부(107) 등이 조합된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CNC 인터페이스부(102)는 앞서 언급한 CNC 관리모듈(11) 및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 사이를 매개한 상태에서, CNC 관리모듈(11)로부터 전송되는 다양한 데이터들을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로 전달하거나, 가공툴 정보 제어부(101)로부터 전달되는 다양한 데이터들을 CNC 관리모듈(11)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메모리 인터페이스부(103)는 메모리부(12) 및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 사이를 매개한 상태에서,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부(12)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독취하여, 이를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표시장치 인터페이스부(106)는 표시장치 관리부(16) 및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 사이를 매개한 상태에서,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로부터 출력되는 다양한 데이터들을 표시장치 관리부(16)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입력장치 인터페이스부(107)는 입력장치 관리부(15) 및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를 매개한 상태에서, 입력장치 관리부(15)로부터 출력되는 다양한 입력 데이터들을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상태에서,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는 입력장치 인터페이스부(107)를 지속적으로 체크하고, 만약, 입력장치(42)로부터 일련의 가공 툴 수치정보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컬러정보 저장부(104), 공작물 이미지 관리부(105) 등을 활용하여, 작업자의 가공 툴 수치변경에 따른 일련의 "공작물 가상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공작물 가상 이미지 정보를 표시장치(41)에 신속하게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컬러정보 저장부(104)는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의 제어 하에, 예컨대, "확장형 컬러정보, 축소형 컬러정보" 등을 안정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공작물 이미지 관리부(105)는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의 제어 하에, 일련의 이미지 생성루틴을 선택적으로 진행시킴으로써,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의 "공작물 가상 이미지 관리과정"을 전담·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아울러,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는 입력장치 인터페이스부(107)를 지속적으로 체크하고, 만약, 입력장치 인터페이스부(107)로부터 일련의 가상 툴형상/동작설명 정보 표시변경 요청 데이터가 전달되는 경우, 메모리 인터페이스부(103)를 매개로 하여, 메모리부(12)에 저장되어 있던 특정 가공 툴 형상/동작설명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이 완료된 특정 가공 툴 형상/동작설명 정보를 표시장치 인터페이스부(106)로 전달함으로써, 해당 가공 툴 형상/동작설명 정보가 표시장치(41)에 신속하게 갱신·표시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갖는 CNC 가공 툴 정보 관리모듈(100)을 이용한 본 발명 고유의 가공 툴 정보 관리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공 툴 정보 관리방법은 상술한 가공 툴 정보 관리모듈(100)의 주도로 진행되는 일련의 가공 툴 수치변경 관리 프로세스(단계 S100) 및 가공 툴 형상/동작설명 정보 표시/변경 프로세스(단계 S20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앞의 가공 툴 수치변경 관리 프로세스(단계 S100)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41)의 표시 윈도우(201) 일부에 게시된 다이알로그 박스(202)에 각 가공 툴들(73)의 현황정보가 수치로 표시된 상태에서,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는 입력장치 인터페이스부(107)를 지속적으로 체크함으로써, 입력장치(42)로부터 일련의 가공 툴 수치변경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1).
이때, 입력장치(42)로부터 별도의 가공 툴 수치변경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는 플로우를 단계 S102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작업자가 마모가 발생한 특정 가공 툴들의 동작상태를 보정하기 위하여, 입력장치(42)를 조작하고, 이에 따라, 입력장치(42)로부터 일련의 가공 툴 수치변경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는 그 즉시, 현재 작업자에 의해 입력된 일련의 "현 입력 가공툴 수치"가 기 설정된 일련의 기준 가공 툴 수치 이내에 속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3).
이때, 현재 작업자에 의해 입력된 "현 입력 가공 툴 수치"가 앞의 기준 가공 툴 수치를 비정상적으로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는 그 즉시, "수치한계이탈" 등과 같은 일련의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알람 메시지를 표시장치 인터페이스부(106)를 매개로 하여, 표시장치 관리부(16)로 전달한다(단계 S104).
이처럼,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로부터 일련의 알람 메시지가 전달되면, 표시장치 관리부(16)는 그 즉시, 앞의 알람 메시지를 표시장치(41)의 표시 윈도우(201) 일부에 디스플레이 시키게 되며, 작업자는 이 알람 메시지를 통해, 자신의 가공 툴 수치 변경과정에 소정의 오류가 있었음을 신속히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현재 작업자에 의해 입력된 "현 입력 가공 툴 수치"가 앞의 기준 가공 툴 수치 내에 정상적으로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는 그 즉시, 메모리 인터페이스부(103)를 매개로 하여, 매모리부(12)로 일련의 직전 가공 툴 수치정보의 전달을 요청한다(단계 S105).
이 상태에서,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는 메모리 인터페이스부(103)를 지속적으로 체크함으로써, 메모리부(12)로부터 앞서 언급한 직전 가공 툴 수치정보가 전달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6).
이때, 메모리부(12)로부터 별도의 "직전 가공 툴 수치정보"가 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는 플로우를 단계 S107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메모리부(12)로부터 일련의 "직전 가공 툴 수치정보"가 정상적으로 전달된 것으로 판단되면,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는 그 즉시, 이 직전 가공 툴 수치정보 및 앞의 현 입력 가공 툴 수치를 비교하여, 현 입력 가공 툴 수치가 직전 가공 툴 수치 보다 큰 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8).
이때, 현 입력 가공 툴 수치가 직전 가공 툴 수치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는 그 즉시, 컬러정보 저장부(104)를 제어하여, 일련의 확장형 컬러정보, 예컨대, 녹색 컬러 정보를 추출함과 아울러, 공작물 이미지 제어부(105)를 제어하여, 작업자가 입력한 수치에 해당하는 갱신 공작물 가상 이미지를 생성한다(단계 S109,S110).
이 경우, 공작물 이미지 관리부(105)는 일련의 가상 이미지 생성루틴을 통해, 자신이 보유하고 있던 기본 공작물 이미지의 크기를 변형시키고, 이를 통해,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가 요구하는 최종의 갱신 공작물 가상 이미지를 형상화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일련의 확장형 컬러정보 및 갱신 공작물 가상 이미지가 확보되면,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는 그 즉시, 앞의 확장형 컬러정보 및 갱신 공작물 가상 이미지를 하나로 결합시켜, 수치변경 매칭 공작물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최종의 수치변경 매칭 공작물 가상 이미지를 표시장치 인터페이스부(106)를 매개로 하여, 표시장치 관리부(16)로 출력한다(단계 S111,S112).
이처럼,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로부터 일련의 수치변경 매칭 공작물 가상 이미지가 전달되면, 표시장치 관리부(16)는 그 즉시, 앞의 수치변경 매칭 공작물 가상 이미지(I1)를 표시 윈도우(201)의 이미지 표시박스(205)에 디스플레이 시키게 되며, 결국, 작업자는 마모가 발생한 특정 가공 툴들(73)의 정보를 변경한 상황에서, 그 변경 결과에 따른 공작물의 최종 형상을 현장감 있게 파악할 수 있게 되고, 그 파악 결과에 따라, 자신이 입력한 가공툴 수치가 "공작물의 실제 가공현황"에 맞는 정확한 값인가의 여부를 손쉽게 체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과정을 통해, 표시 윈도우(201)의 이미지 표시박스(205)에 수치변경 매칭 공작물 가상 이미지(I1)가 표시된 상태에서,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는 입력장치 인터페이스부(107)를 지속적으로 체크함으로써, 입력장치(42)로부터 일련의 수치변경 확정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3).
이때, 작업자가 앞의 "수치변경 매칭 공작물 가상 이미지(I2)"를 관측한 후, 그 결과에 불만족하여, 입력장치(42)로부터 별도의 수치변경 확정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는 입력장치(42)로부터 일련의 가공 툴 수치 재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한번 더 판단한다(단계 S114).
여기서, 작업자가 앞의 가공 툴 수치 변경과정을 아예 포기하여, 입력장치(42)로부터 별도의 가공 툴 수치 재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는 예컨대, 별도의 조치 없이, 플로우를 곧바로 종료한다.
그러나, 작업자가 표시 윈도우의 다이알로그 박스(202)에 명기된 수치를 다시 한번 변경하여, 입력장치(42)로부터 일련의 가공 툴 수치 재 변경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는 그 즉시, 앞서 언급한 단계 S103 내지 단계 S112를 반복·진행시킨다.
한편, 앞서 언급한 단계 S113에서, 작업자가 앞의 수치변경 매칭 공작물 가상 이미지(I1)를 관측한 후, 그 결과에 만족하여, 일련의 수치변경 확정 커맨드를 입력하고, 그에 따라, 입력장치(42)로부터 일련의 수치변경 확정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는 그 즉시, 작업자에 의해 입력된 현 입력 가공 툴 수치를 CNC 인터페이스부(102)를 매개로 하여, CNC 관리모듈(11)로 전송한다(단계 S115).
이 경우, CNC 관리모듈(11)은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로부터 전송된 현 입력 가공 툴 수치를 PMC 관리모듈(14)로 전달하게 되며, PMC 관리모듈(14)은 CNC 관리모듈(11)로부터 이 "현 입력 가공 툴 수치"를 전달받는 즉시, 해당 "현 입력 가공 툴 수치"를 서보엠프 관리모듈(60)을 매개로 하여, 주축모터(71), 각축모터(72) 등으로 전달하게 되고, 결국, 이 모터들(71,72)을 기반으로 가동되는 해당 가공 툴들(73), 예컨대, 밀링 툴, 드릴링 툴 등의 동작상황은 그 마모정도에 따라 적절하게 보정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앞서 언급한 단계 S108에서, 현 입력 가공 툴 수치가 직전 가공 툴 수치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는 현 입력 가공 툴 수치가 직전 가공 툴 수치보다 적은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6).
이때, 현 입력 가공 툴 수치가 예컨대, 직전 가공 툴 수치와 같은 경우,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는 별도의 조치 없이, 예컨대, 플로우를 종료한다.
그러나, 현 입력 가공 툴 수치가 직전 가공 툴 수치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는 그 즉시, 컬러정보 저장부(104)를 제어하여, 일련의 축소형 컬러정보, 예컨대, 적색 컬러 정보를 추출함과 아울러, 공작물 이미지 제어부(105)를 제어하여, 작업자가 입력한 수치에 해당하는 갱신 공작물 가상 이미지를 생성한다(단계 S116).
이 경우, 공작물 이미지 관리부(105)는 일련의 가상 이미지 생성루틴을 통해, 자신이 보유하고 있던 기본 공작물 이미지의 크기를 축소·변형시키고, 이를 통해,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가 요구하는 갱신 공작물 가상 이미지를 형상화한다(단계 S117,S118).
상술한 과정을 통해, 일련의 축소형 컬러정보 및 갱신 공작물 가상 이미지가 확보되면,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는 그 즉시, 앞의 축소형 컬러정보 및 갱신 공작물 가상 이미지를 하나로 결합시켜, 최종의 수치변경 매칭 공작물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수치변경 매칭 공작물 가상 이미지를 표시장치 인터페이스부(106)를 매개로 하여, 표시장치 관리부(16)로 출력한다(단계 S119).
이처럼,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로부터 일련의 수치변경 매칭 공작물 가상 이미지(I2)가 전달되면, 표시장치 관리부(16)는 그 즉시, 앞의 수치변경 매칭 공작물 가상 이미지(I2)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윈도우(201)의 이미지 표시박스(205)에 디스플레이 시키게 되며, 결국, 작업자는 마모가 발생한 특정 가공 툴들의 정보를 변경한 상황에서, 그 변경 결과에 따른 공작물의 최종 형상을 현장감 있게 파악할 수 있게 되고, 그 파악 결과에 따라, 자신이 입력한 가공툴 수치가 "공작물의 실제 가공현황"에 맞는 정확한 값인가의 여부를 손쉽게 체크할 수 있게 된다.
이후,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는 상술한 단계 S113~S115를 선택적으로 진행시켜, 작업자에 의해 입력된 현 입력 가공 툴 수치가 CNC 인터페이스부(102)를 매개로 하여, CNC 관리모듈(11), PMC 관리모듈(14) 등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주축모터(71), 각축모터(72) 등을 기반으로 가동되는 특정 가공 툴들(73)의 동작상황이 그 마모정도에 따라 적절하게 보정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다음으로, 앞서 언급한 가공 툴 형상/동작설명 정보 표시/변경 프로세스(단계 S200)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는 메모리부(12) 및 CNC 관리모듈(11)과의 연동작용을 통해, 상술한 표시 윈도우(201)의 툴폼 디스플레이 박스(203,204:Tool form display box)에 특정 가공 툴(73)의 형상 및 동작설명 정보를 표시한다(단계 S201). 이 경우, 가공 툴의 형상 및 동작설명 정보는 예컨대, "패턴화된 이미지 형태" 및 "정상, 측정 등의 텍스트 형태"로 표현된다.
이 상태에서,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는 입력장치 인터페이스부(107)를 지속적으로 체크함으로써, 입력장치(42)로부터 "기 표시되고 있던 가공 툴 형상/동작설명 정보"를 새롭게 변경하기 위한 일련의 가공 툴 형상/동작설명 정보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2).
이때, 작업자가 별도의 전산작업을 진행하지 않아, 입력장치(42)로부터 별도의 가공 툴 형상/동작설명 정보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는 플로우를 단계 S203으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작업자가 툴폼 선택 윈도우(206)의 툴폼 항목을 자신의 변경 의사에 따라 선택하여, 입력장치(42)로부터 일련의 가공 툴 형상/동작설명 정보 변경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는 그 즉시, CNC 인터페이스부(102)를 매개로 하여, CNC 관리모듈(11)로 "작업자가 선택한 특정 가공 툴 형상/동작설명 정보의 저장위치를 전달해줄 것"을 요청한다(단계 S204).
이 상태에서,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는 CNC 인터페이스부(102)를 지속적으로 체크함으로써, CNC 관리모듈(11)로부터 앞의 요청에 대응되는 일련의 특정 가공 툴 형상/동작설명 정보 저장위치 데이터가 전달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5).
이때, CNC 관리모듈(11)로부터 아직, 별도의 특정 가공 툴 형상/동작설명 정보 저장위치 데이터가 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는 플로우를 단계 S206으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CNC 관리모듈(11)로부터 일련의 특정 가공 툴 형상/동작설명 정보 저장위치 데이터가 전달된 것으로 판단되면,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는 그 즉시, 메모리 인터페이스부(103)를 매개로 하여, 메모리부(12)에 접근한 후, 이 메모리부(12)의 일부에 "가공 툴 형상/동작설명 정보를 임시·저장하기 위한 임시 버퍼"를 확보한다.
이와 같은 임시 버퍼 확보과정이 완료되면,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는 그 즉시, 앞의 가공 툴 형상/동작설명 정보 저장위치 데이터를 토대로 하여, "작업자요청 특정 가공 툴 형상/동작설명 정보"가 위치한 메모리부(12)의 특정 영역을 개방한 후, 해당 특정 가공 툴 형상/동작설명 정보를 헤더로부터 선택적으로 독취하여, 이를 앞의 임시 버퍼에 저장한다(단계 S207).
이 상태에서,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는 임시 버퍼에 저장된 특정 가공 툴 형상/동작설명 정보가 유효 정보를 구성·완료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8).
이때, 임시 버퍼에 저장된 특정 가공 툴 형상/동작설명 정보가 아직, 완성된 형태의 유효 정보를 구성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는 플로우를 앞의 단계 S207로 진행하여, 일련의 가공 툴 형상/동작설명 정보 독취·저장과정을 반복·진행한다.
그러나, 임시 버퍼에 저장된 가공 툴 형상/동작설명 정보가 완성된 형태의 유효정보를 구성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는 그 즉시, 해당 가공 툴 형상/동작설명 정보를 표시장치 인터페이스부(106)를 매개로 하여,표시장치 관리부(16)로 출력한다(단계 S209).
이처럼, 가공 툴 정보 제어부(101)로부터 일련의 가공 툴 형상/동작설명 정보가 전달되면, 표시장치 관리부(16)는 그 즉시, 해당 가공 툴 형상/동작설명 정보를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윈도우(201)의 툴폼 디스플레이 박스(203,204)에 변경·표시하게 되며, 이러한 이벤트 결과, 작업자는 각 가공 툴들의 수치현황 정보뿐만 아니라, 각 가공 툴들의 형상정보, 각 가공 툴들의 동작설명 정보 등을 함께 체크할 수 있게 되고, 결국, 작업자의 예측하지 못한 실수 유발 가능성은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의 가공 툴 정보 변경 이벤트 발생 시, 그 변경 결과에 따른 공작물의 최종 형상을 가상의 이미지 형태로 표시할 수 있는 프로세스, 각 가공 툴들의 수치현황 정보뿐만 아니라, 각 가공 툴들의 형상정보, 각 가공 툴들의 동작설명 정보 등을 함께 표시할 수 있는 프로세스 등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작업자가 "마모가 발생한 특정 가공 툴들의 정보"를 공작물의 실제 가공현황에 부합시켜, 현장감 있게 변경·보정할 수 있도록 유도함과 아울러, 작업자가 각 가공 툴들의 현황을 상세하게 파악·체크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본 발명이 실시되면, "가공툴 정보 변경에 따른 공작물의 이미지 표시화", "가 공툴 현황의 상세정보 표시화"가 탄력적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실수 유발 가능성은 최소화될 수 있으며, 결국, 최종 완성되는 공작물의 생산성은 최적화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PC 블록이 설치된 개방형 CNC(Open CNC) 뿐만 아니라, 별도의 PC 블록이 설치되지 않은 이른바, "비 개방형 CNC(Non-open CNC)"에서도 정상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도, 앞서 언급한 다양한 효과를 동일하게 제공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 apparatus) 관리모듈, PMC(Programmable Machine Control) 관리모듈, 메모리부 및 입력장치/표시장치를 구비한 CNC에 설치된 가공 툴 정보 관리모듈의 주도로 진행되는 일련의 가공 툴 수치변경 관리 프로세스 및 가공 툴 형상/동작설명 정보 표시/변경 프로세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공 툴 수치변경 관리 프로세스는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특정 가공 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일련의 가공 툴 수치변경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상기 가공 툴 수치변경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메모리부로 직전 가공 툴 수치정보의 전달을 요청하여, 상기 직전 가공 툴 수치정보를 확보하고, 현 입력 가공 툴 수치가 상기 직전 가공 툴 수치보다 큰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현 입력 가공 툴 수치가 직전 가공 툴 수치보다 큰 경우, 확장형 컬러정보를 추출함과 아울러, 상기 현 입력 가공 툴 수치가 반영된 일련의 제 1 갱신 공작물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확장형 컬러정보 및 제 1 갱신 공작물 가상 이미지를 결합하여, 제 1 수치변경 매칭 공작물 가상 이미지를 생성한 후, 생성이 완료된 상기 제 1 수치변경 매칭 공작물 가상 이미지를 상기 표시장치로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상기 현 입력 가공 툴 수치를 확정하는 일련의 수치변경 확정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상기 수치변경 확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현 입력 가공 툴 수치를 상기 CNC 관리모듈 및 PMC 관리모듈로 전달하여, 상기 현 입력 가공 툴 수치가 상기 특정 가공 툴의 동작에 실질적으로 반영되도록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C의 가공 툴 정보 관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툴 수치변경 이벤트가 발생한 후에, 상기 현 입력 가공 툴 수치가 일련의 기준 가공 툴 수치 이내인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현 입력 가공 툴 수치가 기준 가공 툴 수치를 벗어난 경우, 상기 표시장치로 일련의 오류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C의 가공 툴 정보 관리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 입력 가공 툴 수치가 직전 가공 툴 수치보다 적은 경우, 축소형 컬러정보를 추출함과 아울러, 상기 현 입력 가공 툴 수치가 반영된 일련의 제 2 갱신 공작물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축소형 컬러정보 및 제 2 갱신 공작물 가상 이미지를 결합하여, 제 2 수치변경 매칭 공작물 가상 이미지를 생성한 후, 생성이 완료된 상기 제 2 수치변경 매칭 공작물 가상 이미지를 상기 표시장치로 출력하는 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C의 가공 툴 정보 관리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툴 형상/동작설명 정보 표시/변경 프로세스는 상기 CNC 관리부 및 메모리부와의 연동작용을 통해, 상기 가공 툴의 형상/동작설명 정보를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상기 가공 툴의 형상/동작설명 정보를 새롭게 갱신하기 위한 일련의 가공 툴 형상/동작설명 정보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상기 가공 툴 형상/동작설명 정보 변경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작업자가 지정한 새로운 가공 툴 형상/동작설명 정보를 독취하는 단계와;
    독취가 완료된 상기 새로운 가공 툴 형상/동작설명 정보를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C의 가공 툴 정보 관리방법.
KR10-2002-0009579A 2002-02-22 2002-02-22 컴퓨터 수치제어장치의 가공 툴 정보 관리방법 KR100472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579A KR100472299B1 (ko) 2002-02-22 2002-02-22 컴퓨터 수치제어장치의 가공 툴 정보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579A KR100472299B1 (ko) 2002-02-22 2002-02-22 컴퓨터 수치제어장치의 가공 툴 정보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657A true KR20030069657A (ko) 2003-08-27
KR100472299B1 KR100472299B1 (ko) 2005-03-08

Family

ID=32222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579A KR100472299B1 (ko) 2002-02-22 2002-02-22 컴퓨터 수치제어장치의 가공 툴 정보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22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2472A1 (ko) * 2011-01-24 2012-08-0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컴퓨터 수치 제어 공작기계에서 대화형 프로그램을 이용한 가공 형상 입력 장치 및 방법
WO2023075046A1 (ko) * 2021-10-25 2023-05-04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프로그램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4477Y1 (ko) * 1984-02-25 1989-07-05 미쓰비시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수치제어장치
JPH0596445A (ja) * 1991-09-06 1993-04-20 Tsugami Corp Nc装置における工具情報フアイル作成装置
JPH05138497A (ja) * 1991-11-14 1993-06-01 Fanuc Ltd 工具の摩耗補正方式
JP4047986B2 (ja) * 1998-11-04 2008-02-13 森精機興産株式会社 数値制御方法および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2472A1 (ko) * 2011-01-24 2012-08-0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컴퓨터 수치 제어 공작기계에서 대화형 프로그램을 이용한 가공 형상 입력 장치 및 방법
US9557897B2 (en) 2011-01-24 2017-01-31 Doosan Machine Tool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utting shape using interactive program in computer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WO2023075046A1 (ko) * 2021-10-25 2023-05-04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프로그램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2299B1 (ko) 2005-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06009B (zh) 控制数控机床操作的控制系统及用于该系统的后端和前端控制装置
CN102224469B (zh) 用于控制加工设备的装置和方法
US6167325A (en) CNC data correction method
CN110405532B (zh) 工具选定装置以及机器学习装置
US10386814B2 (en) Machining status display apparatus, and NC program generating apparatus and NC program edit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EP3816745B1 (en) Device for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ing center using cad data
US20220378560A1 (en) Dental machining system for predicting the wear condition of a dental tool
EP0511395A1 (en) Conversational type numerical control equipment
KR100314748B1 (ko) 실시간 3차원 그래픽 표시기능을 갖는 수치제어시스템 및 방법
EP0816959B1 (en) Compact numerical controller
KR100472299B1 (ko) 컴퓨터 수치제어장치의 가공 툴 정보 관리방법
EP4216008A1 (en) Cutting control apparatus, cutting control method, and cutting-control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112147949A (zh) 参数管理装置及其管理系统
EP1209544B1 (en) Tool path data generation apparatus for nc machine tool and numerical controller provided with it
US11747784B2 (en) Optimisation of chip removal processes on machine tools
KR102188017B1 (ko) 금형제작용 공작 측정관리 시스템
JP6618656B1 (ja) 保守支援システム、数値制御装置および保守支援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5060163A (en) Programming apparatus for lathes
WO1990001735A1 (en) Machining data display system
JP3092744B2 (ja) 加工システム
JPH10328980A (ja) 工程管理装置及び方法
JP2018129066A (ja) 数値制御工作機械の操作を制御するため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ようなシステムで使用するためのバックエンドとフロントエンド制御装置
KR20030056563A (ko) 컴퓨터 수치제어장치의 알람정보 표시방법
US20140152595A1 (en) Display system for machine using portable display device
JP2003195930A (ja) Nc工作機のdnc運転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