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9091A - 전자 기기, 표시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표시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9091A
KR20030069091A KR10-2003-0009401A KR20030009401A KR20030069091A KR 20030069091 A KR20030069091 A KR 20030069091A KR 20030009401 A KR20030009401 A KR 20030009401A KR 20030069091 A KR20030069091 A KR 20030069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ower information
power consumption
printer
video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9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바또사또시
누노마끼다까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9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909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84Power saving in prin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sts Of Electric Status Of Batteri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비디오 카메라의 통신부는 프린터로부터 프린터의 예상 전력 정보를 수신하고, 배터리 팩으로부터 배터리 전력 정보를 수신한다. 마이크로 컴퓨터(11)가 동작 상태하의 전력 소비량이 변화하는 상태로 이행하는 것으로 판단, 즉, 프린터가 프린트 동작하기 위한 프린트 준비 상태하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연산부는 미리 기억되어 있는 프린터 동작 시의 비디오 카메라의 예상 전력 정보를 기억부로부터 판독하여,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프린터의 예상 전력 정보 및 판독된 비디오 카메라의 예상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프린터가 동작한 경우의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의 예상 전력 소비량을 구하고, 그 예상 전력 소비량에 기초하여 배터리 잔량 시간을 구한다.

Description

전자 기기, 표시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ELECTRONIC EQUIPMENT, DISPLAY CONTROL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본 발명은, 전자 기기, 표시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 잔량 표시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전자 기기, 표시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온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또는 니켈 수소 전지 등의 2차 전지에 의해 구성된 배터리팩 중에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이하, 마이크로 컴퓨터와 칭한다)나 배터리의 내부 상태 검출 회로를 내장하여, 배터리팩을 전원으로 하는 전자 기기에, 배터리의 전력 정보 등을 통신하는 것도 있다.
이러한 전자 기기에서는, 배터리로부터 취득한 배터리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 가능한 배터리 잔량 시간을 계산하여, 표시하고 있다. 이 배터리 전력 정보는, 전력이 변화한 경우, 그 변화한 전력이 안정되고 나서 재계산된다. 따라서, 전력이 변화하고 나서, 사용 가능한 배터리 잔량 시간의 표시가 갱신될 때까지 시간이 걸리고 있었지만, 전력 소비량에 급격한 변화가 없으면, 실용상, 사용자에게 불편을 느끼게 하는 것 같은 것은 없었다.
그런데, 최근, 전자 기기에 외부 액세서리 기기가 접속되는 것이 많아져 왔다. 전자 기기의 액세서리 단자가 전력 공급선을 갖는 경우, 그 외부 액세서리 기기에 전자 기기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 기기에서는,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전력이 변화하지 않으면 사용 가능한 배터리 잔량 시간의 표시가 갱신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예를 들면, 외부 액세서리 기기로서 프린터를 접속한 경우, 프린터를 동작시키기 전의 배터리 잔량 시간은 확인할 수 있지만, 실제로 프린터가 동작했을 때에, 어느 정도의 시간, 배터리가 사용할 수 있는가를 확인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외부 액세서리 기기의 전력 소비량이 작은 경우, 갱신 후의 배터리 잔량 시간의 표시는, 갱신전의 배터리 잔량으로부터 크게 변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프린터나 플래시등, 전력 소비량이 큰 것이 접속된 경우, 배터리 잔량 시간의 표시는, 갱신전의 값에 비교하여, 매우 작은 값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된다.
통상, 이러한 전자 기기에 있어서는, 소정의 동작(예를 들면, 프린트 동작)중에 배터리 잔량이 일정한 값보다 적어진 경우, 그 동작(프린트 동작)을 최후까지 실행을 할 수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경고가 표시된다.
그러나, 프린터 동작전의 배터리 잔량 시간의 확인에 의해, 프린트가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한 사용자에게 있어서, 실제로 프린터를 동작시킨 후, 경고 표시가 발생한 경우에는, 확인하고 있는 동작전의 배터리 잔량 시간의 표시와 실제의 경고 표시의 사이에 정합성이 없어져 버리기 때문에, 혼란이 생겨 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전력 소비량이 큰 동작 상태에 대한 배터리 잔량 표시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비디오 카메라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1의 배터리팩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도 1의 프린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도 1의 비디오 카메라의 배터리 잔량 표시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6은 도 1의 비디오 카메라의 예상 전력량의 데이터베이스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배터리 잔량 표시 화면의 표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배터리 잔량 표시 화면의 다른 표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도 1의 배터리팩의 배터리 잔량 정보의 송신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0은 도 1의 프린터의 예상 전력 정보의 송신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1은 도 1의 비디오 카메라의 배터리 잔량 표시 처리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2는 도 1의 비디오 카메라의 예상 전력량의 데이터베이스의 다른 예를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비디오 카메라
2 : 배터리팩
3 : 프린터
11 : 마이크로 컴퓨터
51 : 마이크로 컴퓨터
81 : 마이크로 컴퓨터
88 : 스위치
101 : 통신부
102 : 연산부
103 : 표시 제어부
104 : 기억부
111 : 표시 제어부
112 : LCD
141 : 통신부
142 : 정보 생성부
161 : 통신부
162 : 메모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본원 발명의 전자 기기는, 배터리로부터 배터리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제1 예상 전력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동작 상태하의 전력 소비량이 변화하는 상태로의 임의의 이행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과, 판단 수단에 의해 동작 상태가 전력 소비량이 변화하는 상태로 이행한다고 판단된 경우, 기억 수단으로부터 제1 예상 전력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과,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배터리 전력 정보, 및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제1 예상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 잔량을 연산하는 연산 수단과, 연산 수단에 의해 연산된 배터리 잔량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예상 전력 정보는, 전력 소비량이 기준치보다도 큰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연산 수단은, 판단 수단에 의해 동작 상태가 전력 소비량이 변화하는 상태로 이행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배터리 전력 정보에만 기초하여, 배터리 잔량을 연산하도록 할 수 있다.
전자 기기는 배터리의 전력을 공급하는 외부 기기를 접속하는 접속 수단과, 접속 수단을 통해 접속된 외부 기기로부터 제2 예상 전력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을 더 구비하되, 연산 수단은, 판단 수단에 의해 동작 상태가 전력 소비량이 변화하는 상태로 이행한다고 판단된 경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배터리 전력 정보,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제1 예상 전력 정보, 및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제2 예상 전력 소비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 잔량을 연산하도록 할 수 있다.
기억 수단은,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제2 예상 전력 정보를, 외부 기기와 관련하여 기억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표시 제어 방법은, 배터리로부터 배터리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동작 상태의 전력 소비량이 변화하는 상태로의 이행을 판단하는 판단 스텝과, 판단 스텝의 처리에 의해 동작 상태가 전력 소비량이 변화하는 상태로 이행한다고 판단된 경우,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예상 전력 정보를 읽어 내는 판독 스텝과, 수신 스텝의 처리에 의해 수신된 배터리 전력 정보, 및 판독 스텝의 처리에 의해 판독된 예상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 잔량을 연산하는 연산 스텝과, 연산 스텝의 처리에 의해 연산된 배터리 잔량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은, 배터리로부터 배터리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동작 상태의 전력 소비량이 변화하는 상태로의 이행을 판단하는 판단 스텝과, 판단 스텝의 처리에 의해 동작 상태가 전력 소비량이 변화하는 상태로 이행한다고 판단된 경우,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예상 전력 정보를 읽어 내는 판독 스텝과, 수신 스텝의 처리에 의해 수신된 배터리 전력 정보, 및 판독 스텝의 처리에 의해 판독된 예상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 잔량을 연산하는 연산 스텝과, 연산 스텝의 처리에 의해 연산된 배터리 잔량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장착되어 있는 배터리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이고, 배터리로부터의 배터리 전력 정보의 수신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 스텝과, 동작 상태의 전력 소비량이 변화하는 상태로의 이행을 판단하는 판단 스텝과, 판단 스텝의 처리에 의해 동작 상태가 전력 소비량이 변화하는 상태로 이행한다고 판단된 경우,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예상 전력 정보를 읽어 내는 판독 스텝과, 수신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수신이 제어된 배터리 전력 정보, 및 판독 스텝의 처리에 의해 판독된 예상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 잔량을 연산하는 연산 스텝과, 연산 스텝의 처리에 의해 연산된 배터리 잔량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 기기, 표시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배터리로부터 배터리 전력 정보가 수신되어, 동작 상태가 전력 소비량이 변화하는 상태로 이행한다고 판단된 경우, 기억된 예상 전력 정보가 판독되어, 수신된 배터리 전력 정보, 및 판독된 예상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 잔량이 연산되어, 연산된 배터리 잔량의 표시가 제어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림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시스템의 구성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시스템(이하,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이라 칭한다)는,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이하, 비디오 카메라라 칭한다)(1), 배터리팩(2) 및 프린터(3)로 구성된다.
도 1에 있어서, 비디오 카메라(1), 배터리팩(2) 및 프린터(3)는, 마이크로컴퓨터(11), 마이크로 컴퓨터(51) 및 마이크로 컴퓨터(81)를 갖는다.
배터리팩(2)은,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비디오 카메라(1)에 장착되어 있다. 즉, 배터리팩(2)은, 비디오 카메라(1)의 플러스 단자(12)에 접속된 플러스 단자(52), 및, 비디오 카메라(1)의 마이너스 단자(13)에 접속된 마이너스 단자(53)를 통해, 비디오 카메라(1)에 전원을 공급하고 있다.
배터리팩(2)의 마이크로 컴퓨터(51)는, 배터리 잔량 정보, 충/방전 전류 검출 정보, 배터리 셀 전압 검출 정보, 또는 온도 검출 정보 등의 배터리 전력 정보를, 버퍼 증폭기(55)로부터 컨트롤 단자(54)를 통해 비디오 카메라(1)에 송신한다. 이와 관련하여, 비디오 카메라(1)의 마이크로 컴퓨터(11)는, 버퍼 증폭기(16)로부터 컨트롤 단자(14)를 통해 수신한 그 배터리 전력 정보가 제공된다. 버퍼 증폭기(15) 및 컨트롤 단자(14)를 통해 비디오 카메라(1)로부터 송신된 지시 신호 등은, 컨트롤 단자(54)를 통해 배터리팩(2)에 수신되어, 버퍼 증폭기(56)를 통해 마이크로 컴퓨터(51)에 입력된다.
프린터(3)는, 비디오 카메라(1)로 촬영된 화상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프린트하기 위해서, 전력 공급선을 갖는 외부 액세서리 단자를 통해 비디오 카메라(1)에 접속되어 있다. 전력 공급선을 갖는 액세서리 단자는, 플러스 단자(82), 마이너스 단자(83), 컨트롤 단자(84) 및 스위치 단자(85)로 구성된다. 프린터(3)의 플러스 단자(82)는, 비디오 카메라(1)의 플러스 단자(18)에 접속되고, 프린터(3)의 마이너스 단자(83)는, 비디오 카메라(1)의 마이너스 단자(19)에 접속되며, 배터리팩(2)의 전원은, 이들의 단자를 통해, 비디오 카메라(1)로부터 프린터(3)에 공급된다.
프린터(3)의 마이크로 컴퓨터(81)는, 프린터(3)의 예상 전력 소비량의 정보(이하, 예상 전력 정보라 칭한다) 등을, 버퍼 증폭기(86)로부터 컨트롤 단자(84)를 통해 비디오 카메라(1)에 송신한다. 그 예상 전력 정보는, 컨트롤 단자(20)를 통해 비디오 카메라(1)에 수신되어, 버퍼 증폭기(22)에 의해 마이크로 컴퓨터(11)에 입력된다. 또한, 버퍼 증폭기(21) 및 컨트롤 단자(20)를 통해 비디오 카메라(1)로부터 송신된 영상 신호, 지시 신호 등은, 컨트롤 단자(84)를 통해 프린터(3)에 수신되어, 버퍼 증폭기(87)를 통해 마이크로 컴퓨터(81)에 입력된다.
또한, 프린터(3)에는, 사용자가 프린터(3)의 덮개(도시하지 않음)를 개방하여, 프린터 용지를 세트함으로써 턴 온되는 스위치(88)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88)가 턴 온된 것을 도시하는 신호는, 프린터(3)의 마이크로 컴퓨터(81)에 송신됨과 함께, 프린터(3)의 스위치 단자(85) 및 비디오 카메라(1)의 스위치 단자(23)를 통해, 비디오 카메라(1)의 마이크로 컴퓨터(11)에 송신되어, 이에 따라, 마이크로 컴퓨터(11) 및 마이크로 컴퓨터(81)는, 프린터(3)가 프린트 준비 상태이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2는, 비디오 카메라(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한 부분에 대해서는, 반복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마이크로 컴퓨터(11)는, 통신부(101), 연산부(102), 표시 제어부(103), 기억부(104), 및 패널 제어부(105)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조작 등에 기초하여, 비디오 카메라(1)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통신부(101)는, 컨트롤 단자(14)(버퍼 증폭기(15, 16))를 통해 배터리팩(2)과 통신하고, 컨트롤 단자(20)(버퍼 증폭기(21, 22))를 통해 프린터(3)와 통신한다. 연산부(102)는, 통신부(101)에 의해 수신된 배터리팩(2)으로부터의 배터리 전력 정보, 프린터(3)로부터의 예상 전력 정보 또는 기억부(104)에 기억되어 있는 비디오 카메라(1)의 예상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 잔량을 연산한다. 표시 제어부(103)는, 연산부(102)의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표시 신호를 생성하여, 표시부(111)에 그 표시 신호를 출력한다.
기억부(104)는, 메모리 등으로 구성되고,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전력 소비량이 기준치보다도 크다라는 여러가지의 동작 상태(예를 들면, 프린터(3)의 동작 상태 등)를 지원하는 비디오 카메라(1)의 예상 전력 소비량의 정보(예상 전력 정보)가 기억부(104)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패널 제어부(105)는, 패널 스위치부(113)에 의해 비디오 카메라(1)의 LCD(l12)가 설치되어 있는 패널(도시하지 않음)이 열리어진 것을 검지하는 검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 스위치(115)를 턴 온시킴으로써, DC/DC 컨버터(114)로부터의 전원을 표시부(111)에 공급시키고, 이에 따라, 표시부(111) 및 LCD(112)에 전원이 공급된다.
표시부(11)는, 표시 제어부(103)로부터의 표시 신호에 기초하여 LCD(112)를 구동시키고, LCD(112)는 표시 제어부(103)로부터의 표시 신호에 기초하여 배터리 잔량 시간 등을 표시한다. DC/DC 컨버터(114)는, 스위치(115)가 ON 상태일 때, 표시부(111) 및 LCD(112)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11)에는 드라이브(120)가 접속되어, 필요에 따라서 자기 디스크(121), 광 디스크(122), 광 자기 디스크(123), 혹은 반도체 메모리(124) 등이 적절하게 장착되어, 이들로부터 판독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필요에 따라서 기억부(104)에 인스톨되거나, 영상 신호의 기입/판독이 실행된다.
또, 비디오 카메라(1)는, 촬영을 위한 구성이나 촬영한 영상 신호를 기록 또는 재생하기 위한 각종 구성을 갖지만, 도 2의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생략되어 있다.
도 3은, 배터리팩(2)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한 부분에 대해서는, 반복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배터리팩(2)은, 마이크로 컴퓨터(51), 배터리 셀(131), 충/방전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132), 배터리 셀(131)의 단자 사이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133), 및, 배터리 셀(131)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134)를 포함한다.
마이크로 컴퓨터(51)는, 비디오 카메라(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배터리팩(2)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51)는, 비디오 카메라(1)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141), 및, 전류 검출부(132), 전압 검출부(133) 또는 온도 센서(134)에 의해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팩(2)의 상태를 도시하는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142)를 포함한다. 이 배터리팩(2)의 상태를 도시하는 정보(이하, "배터리 전력 정보"라 칭한다)로서는, 배터리팩(2)의 배터리 잔량 정보, 충/방전 전류 검출 정보, 배터리 셀 전압 검출 정보, 또는 온도 검출 정보 등을 포함하고, 이들의 배터리 전력 정보는, 통신부(141)에 의해 컨트롤 단자(54)(버퍼 증폭기(56))를 통해, 비디오 카메라(1)에 송신된다.
도 4는, 프린터(3)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한 부분에 대해서는, 반복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프린터(3)는, 마이크로 컴퓨터(81), 스위치(88), 및, 프린팅부(151)를 포함한다.
마이크로 컴퓨터(81)는, 통신부(161) 및 메모리(162)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조작 또는 비디오 카메라(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프린터(3)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마이크로 컴퓨터(81)의 통신부(161)는, 컨트롤 단자(84)(버퍼 증폭기(86, 87))를 통해 비디오 카메라(1)의 마이크로 컴퓨터(11)로부터의 지시 신호, 또는 이 프린터로 인쇄하기 위한, 비디오 카메라(1)에 의해 촬영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거나, 메모리(162)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프린터(3)의 동작 시의 예상 전력 정보를 비디오 카메라(1)에 송신한다. 마이크로 컴퓨터(81)는, 프린팅부(151)를 제어하여, 통신부(161)에 의해 수신된 영상 신호를 인쇄시킨다.
다음에,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비디오 카메라(1)의 배터리 잔량 표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1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1)는, 통신부(101)를 제어하여, 컨트롤 단자(20)를 통해 프린터(3)를 액세스시켜, 비디오 카메라(1)에 프린터(3)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프린터(3)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이 액세스에 대하여, 프린터(3)의 마이크로 컴퓨터(81)는, 통신부(161)를 제어하여, 프린터(3)의 예상 전력 정보를 송신한다(후술하는 도 10의 스텝 S42). 그러므로, 스텝 S2에 있어서, 통신부(101)는, 컨트롤 단자(20)를 통해, 그 예상 전력 정보를 수신한다.
프린터(3)가 비디오 카메라(1)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컨트롤 단자(20)를 통해 아무 정보도 수신되지 않으므로, 스텝 S1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1)는, 비디오 카메라(1)에 프린터(3)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스텝 S2의 처리는 스킵된다.
스텝 S3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1)는, 통신부(101)를 제어하여, 컨트롤 단자(14)를 통해, 배터리팩(2)을 액세스시켜, 배터리팩(2)과의 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배터리팩(2)이 통신 가능한 경우, 이 액세스에 대하여, 배터리팩(2)의 마이크로 컴퓨터(51)는, 통신부(141)를 제어하여, 배터리팩(2)의 배터리 전력 정보를 송신하여(후술하는 도 9의 스텝 S33), 스텝 S4에 있어서, 통신부(101)는, 컨트롤 단자(14)를 통해 배터리팩(2)의 배터리 전력 정보를 수신한다.
스텝 S5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1)는, 배터리 잔량을 연산하기 위해 필요한 배터리 잔량 정보(배터리 잔량 정보, 충/방전 전류 검출 정보, 배터리 셀 전압 검출 정보, 또는 온도 검출 정보 등) 모두를 배터리팩(2)으로부터 얻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배터리팩(2)으로부터 배터리 잔량을 연산하기 위한 배터리 잔량 정보가 모자라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11)는, 스텝 S4로 되돌아가, 통신부(101)를 제어하여, 컨트롤 단자(14)를 통해 배터리팩(2)의 배터리 잔량 정보의 수신을 반복한다.
스텝 S5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1)는, 배터리팩(2)으로부터 배터리 잔량을 연산하기 위해서 필요한 배터리 잔량 정보 모두를 얻었다고 판단한 경우, 스텝 S6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1)는, 이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동작 상태의 전력 소비량이 변화하는 상태로의 이행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 이 경우의 전력 소비량은,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치보다 큰 전력 소비량이다. 따라서, 프린터(3)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마이크로 컴퓨터(11)는, 프린터(3)가 프린트 동작 상태(동작 상태의 전력 소비량이 기준치보다 크게 변화하는 상태)로 이행하는 프린트 준비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마이크로 컴퓨터(11)는, 스위치 단자(23)를 통해, 프린터(3)의 스위치(88)로부터 스위치(88)가 턴 온된 것을 도시하는 신호를 받는 경우(도 10의 스텝 S44), 마이크로 컴퓨터(11)는 프린터(3)가 프린트 준비 상태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하여, 스텝 S7로 진행한다.
스텝 S7에 있어서, 연산부(102)는, 미리 기억부(104)에 기억되어 있는 프린터(3)가 동작한 경우의 비디오 카메라(1)의 예상 전력 소비량을 기억부(104)로부터 판독한다. 이 경우, 기억부(104)에는,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의, 전력 소비량이 기준치보다도 크다라고 하는 여러가지의 동작 상태(예를 들면, 프린터(3)의 동작 상태 등)에 대응한 비디오 카메라(1)의 예상 전력 정보가 미리 기억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카메라(1)의 동작 상태와 관련지어, 비디오 카메라(1)의 예상 전력량 정보(데이터)가, 동작 상태가 "프린터 동작 상태"일 때의 예상 전력량이 xxW로 표현되고, 동작 상태가 "스트로브 동작 상태(ID)일 때의 예상 전력량이 ΔΔW로 표현되는 것으로 하여 데이터베이스로서 미리 기억되어 있다.
스텝 S8에 있어서, 연산부(102)는, 스텝 S2의 처리에 있어서 통신부(101)에 의해 수신된 프린터(3)의 예상 전력 정보, 및 스텝 S7에 있어서 판독된 비디오 카메라(1)의 예상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프린터(3)가 동작한 경우의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의 예상 전력 소비량 W1를 구한다. 즉, 예상 전력 소비량 W1는, 이하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된다.
예상 전력 소비량 W1 = 프린터의 예상 전력량 + 비디오 카메라의 예상 전력량
또, 비디오 카메라가 프린터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예상 전력 소비량 W1은, 비디오 카메라의 예상 전력량(예상 전력 소비량 W1 = 비디오 카메라의 예상 전력량)으로 표현된다.
반면, 마이크로 컴퓨터(11)가, 스위치 단자(23)를 통해, 프린터(3)의 스위치(88)로부터, 스위치(88)가 턴 온된 것을 도시하는 신호를 받지 않은 경우, 스텝 S6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1)는, 이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에서, 동작 상태가 전력 소비량이 변화하는 상태로의 이행이 없다라고 판단, 즉 이 경우, 프린터(3)가 프린트 준비 상태로 설정되지 않은 것(프린터(3)가 프린트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 프린터(3)가 프린트 동작을 수행하는 상태, 또는 프린터(3)가 프린트 동작을 종료한 상태)이라고 판단하여, 스텝 S9로 진행한다.
스텝 S9에 있어서, 연산부(102)는 스텝 S4의 처리에 있어서 통신부(101)에 의해 수신된 배터리팩(2)의 배터리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의 전력 소비량 W2를구한다. 이 경우, 전력 소비량 W2는, 이하 수학식 2로 구해진다.
전력 소비량 W2 = 전류 I × 전압 V
예를 들어, 전류 I는 배터리팩(2)의 전류 검출부(132)에 의해 검출된 충/방전 전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전압 V는 전압 검출부(133)에 의해 검출된 배터리 셀 단자 사이 전압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스텝 S10에 있어서, 연산부(102)는, 스텝 S4의 처리에 있어서 수신된 배터리팩(2)의 배터리 전력 정보, 및, 스텝 S8에 있어서 구해진 예상 전력 소비량 W1, 또는, 스텝 S9에 있어서 구해진 전력 소비량 W2에 기초하여 배터리 잔량 시간 R를 구한다. 이 배터리 잔량 시간 R은 이하의 수학식 3에 의해 구해진다. 따라서, 동작 상태가 전력 소비량이 변화하는 상태로의 이행이 없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배터리 잔량 시간 R는, 배터리 전력 정보에만 기초하여 구해진다.
R = Qd × f(W) = (Q - g(W)) × f(W)
수학식 3에 있어서, 배터리 잔량 시간 R은 배터리가 종료되기까지 경과하는 시간, Qd는 배터리가 종료하기까지의 방전 전류 적산량, W는 전력 소비량, f(W)는 전력 의존 계수, Q는 방전 전류 전류 적산 잔량, g(W)는 배터리 종료 시간 잔량을 각각 나타내고 있고, 수학식 3의 W에는, 예상 전력 소비량 W1 또는 전력 소비량 W2를 넣어, 배터리 잔량 시간 R이 구해진다.
스텝 S11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103)는 구해진 배터리 잔량 시간 R의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신호를 생성하고, 표시부(111)에 그 표시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표시부(111)는 LCD(12)를 제어하여,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잔량 시간 표시 화면이 표시된다.
도 7은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의 배터리 잔량 시간 표시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표시 화면(201)은 시간 표시부(202) 및 레벨 표시부(203)를 포함한다. 시간 표시부(202)는 배터리 잔량 시간(배터리에 의해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이 구동할 수 있는 시간)을 숫자로 도시하고 있고, 레벨 표시부(203)는 배터리의 만충전 상태의 레벨을 100%로 한 경우에 있어, 스텝 S10에서 구해진 배터리 잔량 시간의 비율을 직감적으로 알기 쉽게 시각화하기 위한 표시이다. 또, 이 레벨 표시부(203)는 배터리 잔량 시간에 따라서 4 스텝, 혹은 그 이상의 레벨로, 또는 연속적으로 그 표시를 변화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배터리팩(2)이 통신 가능하지 않은 경우, 컨트롤 단자(14)에는 아무 신호도 수신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스텝 S3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1)는 배터리팩(2)이 통신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배터리 잔량 표시 처리는 종료된다. 배터리팩(2)이 통신 가능하지 않은 경우란, 예를 들면, 배터리팩(2)이 장전되어 있지 않고, 전원 어댑터(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교류 전원을 취득하고 있는 경우 등이다.
비디오 카메라(1)에 프린터(3)가 접속되고 프린트 준비 상태가 설정되자마자, 실제의 배터리 잔량 시간 표시가 프린트 동작 시의 예상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배터리 잔량 시간 표시로 전환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프린트 동작 상태에서의 배터리 구동 시간의 반올림 값을 확인할 수가 있어, 프린트 작업이 안전하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잔량 시간 표시와 프린트 동작에 있어서의 배터리 잔량이 일정한 값보다 적어진 경우의 경고 표시 간의 부정합성이 억제된다.
또한, 스텝 S10에 있어서, 스텝 S8에서 구해진 예상 전력 소비량 W1 및 스텝 S9에서 구해진 전력 소비량 W2에 기초한 배터리 잔량 시간 R1 및 배터리 잔량 시간 R2를 각각 구하고, LCD(112)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화면(211)에 표시시키도록 할 수 있다.
도 8에 있어서, 표시 화면(211)은, 예상 표시부(212)와 현상 표시부(213)를 포함한다. 예상 표시부(212)는, 스텝 S8에 있어서 구해진 예상 전력 소비량 W1에 기초하여 구해진 배터리 잔량 시간 R1의 표시(프린터 ON의 상태, 즉, 프린터(3)로 인쇄를 개시한 상태의 표시)를 도시하고 있고, 현상 표시부(213)는, 스텝 S9에 있어서 구해진 전력 소비량 W2에 기초하여 구해진 배터리 잔량 시간 R2의 표시(프린터 OFF의 상태, 즉, 프린터(3)로 인쇄를 하지 않은 상태의 표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프린터(3)로 인쇄를 동작시킨 경우 및 인쇄하지 않은 경우의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의 배터리 잔량 시간의 반올림 값을 비교할 수가 있어 사용자에게 최적의 이용 방법의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도 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비디오 카메라(1)의 이상의 처리에 대응하는 배터리팩(2)의 배터리 전력 정보의 송신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31에 있어서, 정보 생성부(142)는 전류 검출부(132), 전압검출부(133) 및 온도 센서(134)로 검출된 정보를 취득하여, 배터리 전력 정보를 생성한다.
스텝 S32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51)는 비디오 카메라(l)로부터 임의의 액세스(도 5의 스텝 S3)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비디오 카메라(1)로부터 액세스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스텝 S33에서, 통신부(141)는 정보 생성부(142)에 의해 생성된 배터리 전력 정보를 컨트롤 단자(54)를 통해 비디오 카메라(1)에 송신한다. 스텝 S32에 있어서, 비디오 카메라(1)로부터 액세스가 없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33의 처리는 스킵된다.
또한 도 10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비디오 카메라(1)의 이상의 처리에 대응하는 프린터(3)의 예상 전력 정보의 송신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41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81)는, 비디오 카메라(1)로부터 임의의 액세스(도 5의 스텝 S1)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비디오 카메라(1)로부터 액세스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스텝 S42에서, 통신부(161)는 메모리(162)에 기억되어 있는 프린터(3)의 예상 전력 정보를 읽어 내어, 비디오 카메라(1)에 컨트롤 단자(84)를 통해 송신한다. 스텝 S41에 있어서, 비디오 카메라(1)로부터 액세스가 없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42의 처리는 스킵된다.
스텝 S43에 있어서, 스위치(88)는, 스위치(88)가 턴 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경우, 스위치(88)는 사용자에 의해 프린터(3)의 덮개가 열리어져, 프린터 용지가 세트된 것에 의해 턴 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43에 있어서, 스위치(88)가 턴 온된 것이라고 판단된 경우, 스텝 S44에 있어서,스위치(88)는 비디오 카메라(1)의 마이크로 컴퓨터(11)에 스위치 단자(85)를 통해 스위치(88)가 턴 온된 것을 도시하는 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비디오 카메라(1)의 마이크로 컴퓨터(1l)는 도 5의 스텝 S6에 있어서 프린터(3)가 프린트 준비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스텝 43에서 스위치(88)가 턴 온된 것이라고 판단되지 않은 경우, 스텝 S44의 처리는 스킵된다.
상기 설명에서는, 외부 기기로서 프린터(3)가 비디오 카메라(1)에 접속된 예를 설명하였지만, 비디오 라이트 또는 스트로브 등의 전력 공급선 등을 갖는 외부 액세서리 단자에 접속되는 다른 외부 기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디오 카메라에 외부 기기가 접속된 경우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메모리 스틸 화상 촬영 기능 또는 네트워크 접속 기능 등을 사용하는 비디오 카메라(l)에 대해, 전력 소비량이 반드시 일정할 필요가 없는 상태(즉, 전력 소비량이 기준치보다 크게 변화하는 상태)인 경우일 수 있다. 이러한 기능 사용 시의 예상되는 평균 전력 소비량을 기록부(104)의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기억함으로써, 전력 소비량이 일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동작 중의 배터리 잔량 표시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비디오 카메라(1)의 배터리 잔량 표시 처리의 다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스텝 S54 내지 S62의 처리는, 도 5의 스텝 S3 내지 S11의 처리와 마찬가지이고 그 설명은 반복되므로 적절하게 생략한다.
스텝 S51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1)는, 통신부(101)를 제어하여, 컨트롤 단자(20)를 통해 프린터(3)를 액세스시켜, 비디오 카메라(1)에 프린터(3)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프린터(3)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이 액세스에 대하여, 프린터(3)의 마이크로 컴퓨터(81)는 통신부(161)를 제어하여, 프린터(3)의 ID 정보를 송신한다. 그러므로, 스텝 S52에 있어서, 통신부(101)는 컨트롤 단자(20)를 통해 ID 정보를 수신한다.
스텝 S53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1)는 수신한 ID 정보에 대응하는 예상 전력량 정보를 기억부(104)로부터 판독한다. 이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3) 이외에 비디오 카메라(1)에 접속되는 예상 전력량 정보 데이터는, 기타 외부 기기의 ID 정보와 관련하여 ID 정보 "01"을 갖는 외부 기기의 예상 전력량이 "00W"이고, ID 정보 "02"를 갖는 외부 기의 예상 전력량이 "ΔΔW"인 것과 같이 미리 기억부(104)에 데이타 베이스로서 기억되어 있다.
프린터(3)가 비디오 카메라(1)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컨트롤 단자(20)에는 어떠한 신호도 수신되지 않기 때문에, 스텝 S51에서, 마이크로 컴퓨터(11)는 프린터(3)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스텝 S52 및 S53의 처리는 스킵된다.
스텝 S54 내지 S56의 처리에 의해, 배터리(2)로부터 배터리 전력 정보가 얻어져, 스텝 S57에서 프린터(3)가 프린트 준비 상태이다고 판단된 경우, 스텝 S58에서, 연산부(102)는 미리 기억부(104)에 기억되어 있는 프린터(3)가 동작한 경우의 비디오 카메라(1)의 예상 전력량을 기억부(104)로부터 판독한다. 스텝 S59에 있어서, 연산부(102)는 스텝의 처리에 있어서 기억부(104)에 의해 판독된 프린터(3)의 예상 전력 정보 및 비디오 카메라(1)의 예상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프린터(3)가 동작한 경우의 예상 전력 소비량 W1을 구한다.
이상과 같이, 비디오 카메라(1) 내에 외부 기기의 예상 전력량을 데이터베이스로서 미리 기억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비디오 카메라(1)에 접속된 외부 기기의 ID 정보에 대응하는 예상 전력량 정보가 기억부(104)에 없는 경우(예를 들면, 외부 기기가 신제품인 경우 등), 그 외부 기기로부터 취득된 예상 전력량 정보를 기억부(104)의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의 여러가지 동작 상태에 따라서, 배터리 잔량 연산의 기준으로서 역할을 하는 전력 소비량의 산출 방법을 바꿈으로써 일정한 배터리 잔량 표시 정밀도를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전력 소비량이 일정 또는 안정한 경우에는, 실제의 전력 소비량 정보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잔량을 연산 및 표시한다. 한편, 전력 변화에 대하여 배터리 잔량 표시를 빨리 갱신시키고 싶은 경우(예를 들면, 동작 상태의 전력 소비량이 변화하는 상태로의 이행이 있는 경우)에는, 예상되는 전력 소비량 정보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잔량을 연산 및 표시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프린터 동작 시 등의 전력 소비량이 큰 동작 상태에 대한 배터리 예상 구동 시간을 즉시적으로 확인 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배터리 잔량 표시를 행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나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 등에도 본 발명이 적용된다.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전용의 하드웨어에 설치되는 컴퓨터, 또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는 범용 컴퓨터에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프로그램 저장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컴퓨터에 인스톨되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상태로 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 매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 디스크(121)(플렉시블 디스크를 포함), 광 디스크(l22)(CD-ROM(Compact Disc-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를 포함), 광 자기 디스크(123)(MD(Mini-Disc)(상표)를 포함), 또는 반도체 메모리(124)(메모리 스틱(등록상표)를 포함)등으로 이루어지는 패키지 미디어, 또는 프로그램이 일시적 혹은 영속적으로 저장되는 기억부(104) 등으로 구성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스텝은, 기재된 순서에 따라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만,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더라도, 병렬적 혹은 개별로 실행되는 처리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스템은 복수의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상과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 소비량이 큰 동작 상태에 대한 배터리예상 잔량이 간단히 확인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잔량 표시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Claims (8)

  1. 장착되어 있는 배터리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로부터 배터리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제1 예상 전력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
    동작 상태의 전력 소비량이 변화하는 상태로의 임의의 이행이 있는 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상기 동작 상태가 상기 전력 소비량이 변화하는 상태로 이행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1 예상 전력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배터리 전력 정보, 및 상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상기 제1 예상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 잔량을 연산하는 연산 수단; 및
    상기 연산 수단에 의해 연산된 상기 배터리 잔량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예상 전력 정보는 상기 전력 소비량이 기준치보다도 큰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상기 동작 상태가 상기 전력 소비량이 변화하는 상태로 이행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배터리 전력 정보에만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잔량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공급하는 외부 기기를 접속하는 접속 수단,
    상기 접속 수단을 통해 접속된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제2 예상 전력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상기 동작 상태가 상기 전력 소비량이 변화하는 상태로 이행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배터리 전력 정보, 상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상기 제1 예상 전력 정보, 및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제2 예상 전력 소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연산 수단이 상기 배터리 잔량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제2 예상 전력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에 관련지어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6. 장착되어 있는 배터리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전자 기기의 표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로부터 배터리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
    동작 상태의 전력 소비량이 변화하는 상태로의 임의의 이행이 있는 지를 판단하는 판단 스텝;
    상기 판단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상기 동작 상태가 상기 전력 소비량이 변화하는 상태로 이행한다고 판단된 경우,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예상 전력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스텝;
    상기 수신 스텝의 처리에 의해 수신된 상기 배터리 전력 정보, 및 상기 판독 스텝의 처리에 의해 판독된 상기 예상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 잔량을 연산하는 연산 스텝; 및
    상기 연산 스텝의 처리에 의해 연산된 상기 배터리 잔량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7. 장착되어 있는 배터리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전자 기기용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로부터 배터리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
    동작 상태의 전력 소비량이 변화하는 상태로의 임의의 이행이 있는 지를 판단하는 판단 스텝;
    상기 판단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상기 동작 상태가 상기 전력 소비량이 변화하는 상태로 이행한다고 판단된 경우,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예상 전력 정보를 읽어 내는 판독 스텝;
    상기 수신 스텝의 처리에 의해 수신된 상기 배터리 전력 정보, 및 상기 판독 스텝의 처리에 의해 판독된 상기 예상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 잔량을 연산하는 연산 스텝; 및
    상기 연산 스텝의 처리에 의해 연산된 상기 배터리 잔량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용 프로그램.
  8. 장착되어 있는 배터리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배터리 전력 정보의 수신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 스텝;
    동작 상태의 전력 소비량이 변화하는 상태로의 임의의 이행이 있는 지를 판단하는 판단 스텝;
    상기 판단 스텝의 처리에 의해 상기 동작 상태가 상기 전력 소비량이 변화하는 상태로 이행한다고 판단된 경우,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예상 전력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스텝;
    상기 수신 제어 스텝의 처리에 의해 수신이 제어된 상기 배터리 전력 정보, 및 상기 판독 스텝의 처리에 의해 판독된 상기 예상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 잔량을 연산하는 연산 스텝; 및
    상기 연산 스텝의 처리에 의해 연산된 상기 배터리 잔량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KR10-2003-0009401A 2002-02-15 2003-02-14 전자 기기, 표시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KR200300690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37667A JP4215985B2 (ja) 2002-02-15 2002-02-15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JP-P-2002-00037667 2002-02-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091A true KR20030069091A (ko) 2003-08-25

Family

ID=27779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9401A KR20030069091A (ko) 2002-02-15 2003-02-14 전자 기기, 표시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148655B2 (ko)
JP (2) JP4215985B2 (ko)
KR (1) KR2003006909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98743A3 (en) * 2003-07-18 2005-05-04 Nikon Corporation System for displaying residual capacity of a battery and camera
JP4829854B2 (ja) * 2007-08-30 2011-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4869200B2 (ja) 2007-10-02 2012-02-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テレビレン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テレビカメラシステム
JP5025455B2 (ja) * 2007-12-27 2012-09-1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2009301941A (ja) * 2008-06-16 2009-12-24 Nec Tokin Corp 二次電池パック
JP5094655B2 (ja) * 2008-09-12 201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CN101995554B (zh) * 2010-11-03 2014-04-23 无敌科技(西安)有限公司 具有电源状态评估功能的电子装置及其电源评估方法
JP2012127744A (ja) 2010-12-14 2012-07-05 Sony Corp 電子機器、バッテリパック及びバッテリパックの容量算出方法
JP2012134727A (ja) 2010-12-21 2012-07-12 Sony Corp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使用可能時間算出方法
JP2013115670A (ja) * 2011-11-30 2013-06-10 Sony Corp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279935B2 (ja) * 2012-06-15 2013-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6448200B2 (ja) * 2014-03-17 2019-01-09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10958389B (zh) * 2019-12-05 2021-12-14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摄像机的负载启动方法、设备、装置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85879A (ja) * 1991-03-14 1992-10-09 Casio Comput Co Ltd 小型電子機器
US5640081A (en) * 1994-05-13 1997-06-17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discharge of a battery device based on battery self-discharge and discharge over time
US6522361B2 (en) * 1996-03-08 2003-02-18 Sony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function of displaying the battery residual quantity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 battery residual quantity
US6664792B1 (en) * 1998-09-29 2003-12-16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battery power pre-check at system power-on
JP3772034B2 (ja) * 1999-01-13 2006-05-10 株式会社東芝 バッテリ残量報知装置
JP2000214238A (ja) * 1999-01-22 2000-08-04 Toshiba Corp バッテリ駆動予想時間算出装置及びバッテリ駆動予想時間算出方法
US6433512B1 (en) * 1999-01-27 2002-08-13 Telefonaktebolaget L M Ericsson (Publ) Power consumption reporting by an accessory of an electronic device
JP2000350374A (ja) * 1999-06-01 2000-12-15 Sony Corp 携帯型電子機器
US6191557B1 (en) * 1999-11-05 2001-02-20 Ge Marquette Medical Systems, Inc. Dual-mode fuel gauge for display in battery-powered equipment
JP2001331242A (ja) * 2000-05-22 2001-11-30 Hitachi Ltd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消費電力制御方法
KR100395131B1 (ko) * 2001-02-16 2003-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배터리의 실제 잔류 용량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240830A (ja) 2003-08-27
JP2006349689A (ja) 2006-12-28
US7148655B2 (en) 2006-12-12
JP4215985B2 (ja) 2009-01-28
US20030221134A1 (en) 2003-11-27
JP4419097B2 (ja) 201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9097B2 (ja)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982096B1 (ko) 배터리 잔량 표시 기능을 구비한 전자 기기
JP4683000B2 (ja) バッテリシステムの充電制御方法
US10076048B2 (en) External accessory to be attached to electronic apparatus and system
US20050062878A1 (en) Power system and camera
US6922151B2 (en) Battery remaining amount warning circuit
JP2004037822A (ja) 電池残量警告装置
US6064183A (en) Device detecting the amount of charge remaining in a battery
US7068305B2 (en) Integrated imaging and printing apparatus
JP6764280B2 (ja) 電子機器、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2807793B2 (ja) 電源システム
JP4868637B2 (ja) デジタルカメラ
KR100547927B1 (ko) 배터리 팩 및 배터리 시스템
JP2002270248A (ja) 電池電圧検出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2262168A (ja) 撮像装置
JP4493196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8113377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H11262173A (ja) 電力供給装置
JP4517472B2 (ja) 電子機器
JP2004294723A (ja) 電源システム
JP2003043563A (ja) 電子カメラ
JP4058418B2 (ja) 記録または再生装置
JP4911180B2 (ja) 電池ユニット
JPH09179181A (ja) カメラのデータ記録装置
JP2004037299A (ja) 電池残量警告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1119

Effective date: 2011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