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8091A - 옻 및 옻해독제의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옻 및 옻해독제의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8091A
KR20030068091A KR1020030049495A KR20030049495A KR20030068091A KR 20030068091 A KR20030068091 A KR 20030068091A KR 1020030049495 A KR1020030049495 A KR 1020030049495A KR 20030049495 A KR20030049495 A KR 20030049495A KR 20030068091 A KR20030068091 A KR 20030068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quer
dried
composition
foo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9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채화
홍상옥
Original Assignee
손채화
홍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채화, 홍상옥 filed Critical 손채화
Priority to KR1020030049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8091A/ko
Publication of KR20030068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09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옻나무의 옻독(알레르기)을 해독하는 방법과 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옻을 이용한 음식을 만들 때 옻 해독물을 만들고자 하는 식료재료와 함께 물을 넣고 끓임으로써 해독된 옻 음식을 간단히 만드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 단계로 옻나무와 감나무, 물봉선화 및 황기 등의 옻 해독제(解毒劑) 원료를 분쇄ㆍ건조하여 옻의 독성분과 감나무의 떫은 맛을 내는 성분을 증발 제거하는 원료 전처리 과정을 거치고, 둘째 단계로 전처리된 옻나무와 옻 해독제를 일정비율로 혼합한 옻 해독 조성물을 면포 또는 부직포에 넣어 포장하며, 셋째 단계로 상기의 포장된 옻 해독물을 물에 넣고 끓여서 옻독이 완전히 해독된 옻물을 제조하여 여기에 만들고자 하는 식품도 함께 넣어 옻 음식을 간단하게 만드는데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옻 및 옻해독제의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Lacquer, Composites of Antidote against Lacquer and the Way to be made from.}
본 발명은 옻의 독을 없애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식용으로 이용하는 옻나무의 옻에 있는 독을 해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옻나무는 옻칠로서 칠기에 사용하였을 뿐 아니라 건강식품으로도 애용되어 여름이면 건강강장제 또는 보신용으로써 옻나무를 닭과 함계 끓인 옻닭을 즐겨 복용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최근 한의대 등의 연구에 의하면 부인의 통경효과, 어혈제거, 항암효과, 위, 신장 등에 효험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된 바도 있어 건강식품으로써의 옻의 인기는 높아지고 있으며, 옻닭 외에 옻오리, 옻염소, 옻꿩, 옻개구(황구, 흑구), 옻밥, 옻차 등 옻을 첨가한 보신용 건강식품이 늘고 있다.
그러나 옻에는 독성이 있어 사람에 따라 옻독에 대한 감수성이 예민한 사람은 (10명 중 3∼4명 꼴) 옻독에 의한 알레르기성 반응으로 인하여 두드러기 같은 피부염을 일으키므로 옻을 넣어 조리한 음식을 복용하고 싶어도 옻독이 오를까봐 감히 접근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오래 전부터 옻독을 없애는 방법은 많이 있었는데, 예를 들면 복숭아씨와 대황뿌리를 이용하는 방법, 쌀분쇄물을 옻 오른 부위에 바르는 방법, 닭의 피를 옻오른 부위에 문지르는 방법, 우황과 파상을 태워 연기를 마시는 방법 등이 민간요법으로 전래되어 왔으나 이들은 효과적인 옻해독을 가져오지 못하였음은 물론 옻이 일단 오른 후의 치료방법이 없었다. 다만, 피부과 병원에 간다든지, 뜨거운 물에 샤워를 하는 정도의 처방뿐이며 아직까지 식품에 사용하기 위한 효과적인 옻해독 방법은 나온바 없어 건강식품인 옻닭 등을 마음놓고 복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옻을 이용한 음식을 만들 때 옻나무와 옻해독물을 만들고자 하는 식품재료와 함께 물을 넣고 끓임으로써 해독된 옻음식을 간단히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단계로 옻나무와 감나무 및 물봉숭아 등의 옻해독제(解毒劑) 원료를 분쇄ㆍ건조하여 옻의 독성분과 감나무의 떫은 맛을 내는 성분을 증발 제거하는 원료 전처리과정을 거치고, 둘째단계로 전처리된 옻나무와 옻해독제를 일정비율로 혼합한 옻해독제 조성물을 면포 또는 부직포에 넣어 포장하며, 셋째단계로 상기의 포장된 옻해독조성물을 물에 넣고 끓여서 옻독이 완전히 해독된 옻물을 만들며, 여기에 만들고자 하는 식품도 함께 넣어 옻음식을 간단하게 만드는 데 특징이 있다.
옻나무의 옻독(알레르기)을 해독하는 방법과 그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공정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1공정(원료전처리단계)
<옻나무 전처리>
옻나무를 채취하되 바람직하게는 7∼10년생 옻나무를 겨울사이에 채취하여, 채취한 옻나무를 그늘에 3∼5개월 동안 말린 뒤 잡물을 제거하고 깨끗이 한다.
1차 음건된 옻나무를 3∼5mm, 5∼10mm로 조쇄한다.
그리고 드라이 오븐 등 밀폐된 실내건조기에서 90∼100℃로 건조시키되 5∼10mm로 조쇄한 옻나무는 48시간, 3∼5mm로 조쇄한 옻나무는 24시간 동안 건조시킨다.
실내에서 건조된 옻나무를 자연광(햇빛)에서 8시간 말린다.
이와 같은 건조과정을 통하여 옻의 독성분을 상당부분 증발시킨다.
<옻해독제 전처리>
(1) 감나무
감나무의 잎 또는 3-5년된 감나무 가지를 8-9월에 채취하여 3-5mm, 5-10mm로 잘게 썰어서 그늘에서 1-2개월 동안 말린다.
(2) 물봉숭아(야봉선화)
물봉숭아는 개울가에 서식하는 단년초로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이다.
홍자색의 꽃이 8∼9월에 피는데 꽃과 줄기를 7∼8월에 채취하여 3∼5mm, 5∼10mm로 잘게 썰어서 그늘에서 말린다.
(3) 황기
한약재로 쓰이는 건조된 황기를 3∼5mm, 5∼10mm로 잘게 분쇄하여 사용한다
제2공정(옻 및 옻해독제 조성물 제조ㆍ포장단계)
상기와 같이 전처리과정을 거친 옻나무와 옻해독제 조성물(감나무, 물봉숭아, 황기)중 5∼10mm로 조쇄한 것을 사용할 경우에는 옻나무 150g, 옻해독제 조성물 3g(감나무1g, 물봉숭아1g, 황기1g)을 혼합한 조성물을 16×30cm의 면포 포장백 (Bag)에 넣고 봉합한다. 그리고 3∼5mm로 조쇄한 것을 사용할 경우에는 옻나무 70g, 옻해독 조성물 1.5g(밤나무0.5g, 물봉숭아0.5g, 황기0.5g)을 혼합한 조성물을 13×l7cm의 면포 포장백에 넣고 봉합하여 포장하며, 음식을 조리하고자 하는 양에 따라 옻과 옻해독제 조성물을 일정비율로 혼합한 포장백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3공정(옻독이 해독된 음식조리단계)
16×30cm의 옻 및 옻해독제 조성물 면포 포장백을 넣고 음식을 만들 때에는 상기 포장백을 정수(淨水) 약 5ℓ에 넣고 12∼15분 가량을 중간불에서 서서히 가열하다가 이후 20분간은 100℃로 끓이면 옻독이 제거된 옻물이 되는데 이때 조리하고자 하는 재료와 함께 넣고 끓여 조리한다. (조리할 양이 많을 때)
13×17cm의 옻 및 옻해독제 조성물 면포 포장백을 넣고 조리할 때는 상기 포장백을 정수 약 3ℓ에 넣고 처음 10분 가량을 중간불에서 서서히 가열하다가 이후 20분간은 100℃로 끓여 옻독이 제거된 뒤 조리하고자 하는 재료와 함께 넣고 끓여 조리한다. (조리할 양이 적을 때 사용)
옻 및 옻해독제 조성물을 일정비율로 혼합한 것을 여러 규격의 크기로 포장하여 티백(Tea bag)화 함으로써 음식을 만들 때 조리할 음식의 양에 따라 옻 및 옻해독제 조성물이 들어있는 포장백의 크기를 선택하여 함께 넣어 끓임으로써 해독된 옻음식을 간단히 만들 수 있다.

Claims (2)

  1. 채취한 옻나무를 그늘에서 말린뒤 조쇄한후 자연광에서 다시 말려 옻나무의 독성분을 1차로 증발ㆍ제거하며, 감나무는 채취하여 조쇄하고 음건한다.
    그리고 물봉숭아는 채취하여 조쇄한후 그늘에서 말리고, 한약재로 쓰이는 건조된 황기는 잘게 분쇄하는 원료 전처리단계와 전처리된 옻나무와 감나무, 물봉숭아, 황기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면포 또는 부직포 포장백에 넣고 포장하는 옻 및 옻해독제 조성물 제조단계 및 포장단계와 이 옻 및 옻해독제 조성물을 물에 넣고 서서히 끓여 옻의 독성분을 완전히 제거하며, 이때 만들고자 하는 음식도 함께 넣어 해독된 옻음식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의 독을 없애는 방법.
  2. 조쇄(粗碎)하여 건조한 옻나무, 감나무, 물봉숭아, 황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옻 및 옻해독제 조성물. 끝.
KR1020030049495A 2003-07-18 2003-07-18 옻 및 옻해독제의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0300680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495A KR20030068091A (ko) 2003-07-18 2003-07-18 옻 및 옻해독제의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495A KR20030068091A (ko) 2003-07-18 2003-07-18 옻 및 옻해독제의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091A true KR20030068091A (ko) 2003-08-19

Family

ID=32227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9495A KR20030068091A (ko) 2003-07-18 2003-07-18 옻 및 옻해독제의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809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320B1 (ko) * 2006-05-10 2007-10-04 박기영 옻의 독성을 제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옻티백.
KR100832056B1 (ko) * 2006-11-30 2008-05-27 유화열 옻나무 티백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404019B1 (ko) * 2012-12-21 2014-06-1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알레르기 저감을 위한 옻 도포 방법
KR20160091101A (ko) * 2015-01-23 2016-08-02 전라남도 옻나무의 피부염 유발 독성물질 제거 법제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옻나무 식품 첨가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320B1 (ko) * 2006-05-10 2007-10-04 박기영 옻의 독성을 제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옻티백.
KR100832056B1 (ko) * 2006-11-30 2008-05-27 유화열 옻나무 티백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404019B1 (ko) * 2012-12-21 2014-06-1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알레르기 저감을 위한 옻 도포 방법
KR20160091101A (ko) * 2015-01-23 2016-08-02 전라남도 옻나무의 피부염 유발 독성물질 제거 법제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옻나무 식품 첨가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58431C (zh) 松针茶的制备方法及其制备的松针茶
US10595552B2 (en) Preparation of mixed tea composition comprising aloeswood
CN106071822A (zh) 一种凉粽的制作方法
CN103976059A (zh) 一种香樟香气的茶叶及其制备方法
KR20030068091A (ko) 옻 및 옻해독제의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WO2014157992A1 (ko) 줄풀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017129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두발 화장료 조성물
KR100799881B1 (ko) 높은 항산화성 쑥차의 제조방법
CN101933549A (zh) 利用核桃叶、杜仲叶、松针制备复合茶的方法
CN113521257A (zh) 一种中药草本面膜及其制备方法及其使用方法
CN111557578A (zh) 一种中药养生药枕及其制备方法
KR101382199B1 (ko) 원적외선 방사 액상제제의 제조방법
KR20120037091A (ko) 소나무의 항균성분을 가지는 의류소재의 제조방법.
KR20100111510A (ko) 아토피 피부 치유 개선제
KR102655605B1 (ko) 숯과 일라이트(illlite)를 이용한 기능성 하이드로 겔 패치 제조방법
CN110433275A (zh) 一种用于调节人体机能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用途
KR20000018127A (ko) 꾸지뽕나무차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0409106B1 (ko) 티백내용물의 제조방법
JP2000014371A (ja) 黄耆茶とその製造方法
KR20020061587A (ko) 합환목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CN1179894A (zh) 一种保健茶及其制做方法
KR102644200B1 (ko) 햄프 씨드 종자유가 함유된 패치 제조방법
CN103830716B (zh) 一种具有提神醒脑、祛瘀生新、生发护脑功效的中药制剂
KR102118822B1 (ko) 모링가 뿌리 분말을 이용한 미용 팩의 제조방법
Ghazanfar Plants of economic import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