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7771A - 철판삽입 수팽창 복합지수판 - Google Patents

철판삽입 수팽창 복합지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7771A
KR20030067771A KR1020020002876A KR20020002876A KR20030067771A KR 20030067771 A KR20030067771 A KR 20030067771A KR 1020020002876 A KR1020020002876 A KR 1020020002876A KR 20020002876 A KR20020002876 A KR 20020002876A KR 20030067771 A KR20030067771 A KR 20030067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ex
water stop
plate
index plate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2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빈
Original Assignee
이용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빈 filed Critical 이용빈
Priority to KR1020020002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7771A/ko
Publication of KR20030067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777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6Water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2001/6818Joints with swellab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 이음부(이어치기부위)에 누수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지수판(도1)에 관한 것이다. 지수판은 구조물의 시공 이어치기 부위에 설치하여 누수 되는 물을 차단 함으로서 철근 부식과 콘크리트 의 구체 부실을 차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종래 지수판(도2-A)에 비해 시공이 편리하고 지수효과가 확실하도록 고안되었다. 종래 이어치기 부위에는 콘크리트 중앙에 지수판(도2-A)을 설치하여 사용되고 있으나 중앙에 지수판을 설치하므로 두 줄의 철근배근(C.D)중 철근(C)은 누수로 인한 부식을 차단할 수 없는 시공 방법이었다. 또한 철근과 철근 중앙에 지수판을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작업이 불편하고 옹벽에 펌프가로 콘크리트 타설시 지수판이 쓰러지거나 지수판 설치에 의한 자갈과 몰탈의 분리현상이 일어난다. 또한 동절기에는 노출된 지수판이 얼어 충격을 받으면 절단되고 슬라브 이음 등 겹치는 부분과 지수판 이음 작업시 염화수지 지수판(도2-A) 구조가 중앙에 신축 밸브경(a)을 주어 신축에 대응하는 구조를 갖고 있어 접합이 취약하여 지수목적이 떨어지는 등의 단점을 지니고있다.
본 발명 철판삽입 수팽창 복합지수판(도1)은 아연도철판(E)을 지수 목적에 따라 폭을 정한 후 양쪽 날개 부분을 타공(F)하여 제작 후 고무. 아스팔트 합성재(F)로 도포하여 가공한 후 중앙에 수팽창성 고무지수재(H)를 접합시켜 제조한다.
철근 외측면 철근(C)에 밀착하여 타공부분(F)을 통해 결속선(b)으로 철근(C)에 고정시킴으로 설치작업이 간편하다. 서로 겹치는 부분도 이음이 정밀하고 편리하다 수팽창고무지수재(H)가 이어치기 부위에 설치되어 있어 1차적으로 누수를 차단시킨다. 또한 아연도철판(E)을 고무아스팔트합성재(G)로 도포된 차수판이 2차 누수 차단선을 형성하기 때문에 완벽한 지수성능을 기대 할수 있다. 고무아스팔트합성재(G)는 콘크리트에 친화적인 소재로 콘크리트(I)에 악영향이 없고 동절기 공사에도 부러지는 등의 염화수지비닐지수판(도2-A)이 지니고있는 단점을 모두 개선시킨 우수한 성능을 지니고있다

Description

철판삽입 수팽창 복합지수판{STEEL COMBINATION SWELLING WATER STOP}
콘크리트 구조물은 구조물 자체가 거대하여 여러번의 단계별로 나누어 시공하고 있다. 그런 문제로 이어치기 부위는 레이탄스 .먼지 등으로 누수가 가장 취약하여 이 부분에 지수판을 설치하도록 건설공사 시방서에 규정하고 있다.
종래 연질염화비닐수지지수판(도2-A)을 사용하면서 제품의 구조적인 문제점과 제품 시공상의 문제점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C)과 철근(D) 사이 중앙에 지수판(도2-A)을 설치하므로 누수가 발생하면 두 줄의 철근(C.D) 배근중 철근(C)은 부식을 차단할 수 없는 방법이었다. 또한 철근(C)과 철근(D) 중앙에 지수판(도2-A)을 설치해야 함으로 설치작업이 불편하고 옹벽 펌프카 콘크리트 타설 시 지수판이 쓰러지거나 지수판의 모서리 단면적이 커 자갈과 몰탈의 분리 현상이 일어난다. 동절기 노출된 지수판이 얼어 충격 시 절단되고 슬라브 이음 등 겹치는 부분의 이음 작업시 염화수지비닐 지수판(도2-A) 구조가 중앙에 신축 밸브경(a)을 주어 신축에 대응하는 구조를 갖고 있어 접합이 취약하여 지수 목적이 떨어지는 등의 단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염화수지 지수판(도2-A)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개선하고 시공자가 설치하기에 편리하도록 고안되었다.
아연도철판(E)을 차수목적에 따라 폭을 정한 후 양쪽 날개 을 타공(F) 하여 제작 후 고무아스팔트 합성재(G)로 도포하여 가공한 후 중앙에 수팽창성고무지수재(H)를 접합시켜 제조한다.
철근(C) 외측 면 철근에 밀착하여 타공 부분(F)을 통해 결속선(b)으로 철근(C)에 고정시키므로 (도2-B)와 같이 설치작업이 간편하다. 서로 겹치는 부분 이음이 편리하다. 수팽창고무지수재(H)가 이어치기 부위에 설치되어있어 1차적으로누수를 차단시킨다. 또한 아연도 철판(E)을 고무아스팔트합성재(G)로 도포 된 차수판이 2차 누수 차단선을 형성하기 때문에 완벽한 지수성능을 보장할 수 있다. 고무아스팔트합성재(G)는 콘크리트(I)에 친화적인 소재로 콘크리트에 악영향이 없고 동절기 등 공사에도 부러지지 않으므로 염화수지비닐 지수판(도2-A)이 지니고 있는 단점을 모두 개선시킨 우수한 성능을 지니고 있다.
도면 (도1)에 도시한바와 같이 철판삽입 수팽창 복합지수판을 (도2-B)와 같이 이어치기 부위 철근 외측(C)에 설치하여 타공 부위(F)를 통해 철근(C)에 고정 밀착시켜 시공하므로 설치가 간편하고 아연도 철판(E)을 고무아스팔트 합성재(G)로 도포하여 부식을 방지하였으며 철근(C)에 밀착 시공되므로 누수위험이 없다. 또한 이음부위에 수팽창탄성고무지수재(H)를 부착하여 2중으로 누수를 차단 하였으며 지수판 이음 연결도 서로 겹이음으로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종래 연질 염화비닐수지 지수판(도2-A)은 이어치기 부위의 철근(C)과 철근(D)중앙에 철근 피복을 감안하여 결속선(b)으로 달아매어 설치한 후 1차 콘크리트에 50% 묻친 후 2차 콘크리트에서 50% 묻어 둠으로서 이음 부위로 들어오는 물을 차단한다. 이음부위 처리 시 열융착 접합방법을 사용하여야 하나 겹이음. 용접이음 등 부적합한 방법으로 시공되고 있다.
철근 콘크리트에서 누수가 일어나면 철근(C)이 부식되고, 콘크리트도 동결 융해로 인하여 강도가 저하되어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은 엄청나 최악의 경우 붕괴에까지 이른다.
본 발명은 종래 지수판(도2-A)을 사용하면서도 누수로 인한 보수공사로 인하여 엄청난 국부 손실과 부실 공사의 불명예를 지니게 하는 1차 적 원인을 지수판의 구조적 문제점으로 생각한다. 그 이유로 1Roll당 30-80kg 중량의 지수판을 철근 사이에 시공하기에 정밀 시공이 이루어지지 않고, 연결 이음부위 처리 또한 겹이음, 용접이음, 실리콘접합 등 부적절한 방법이 사용되고있다, 고압의 펌프카 타설 시 결속선 연결부위의 지수판이 절단되어 쓰러지며 지수판 윗부분을 강타하면서 자갈 몰림 현상이 일어난다. 토목공사 현장의 장기화에 따른 노출 부위가 자외선에 의한 가소재 산화로 유연성을 상실하여 동절기에 노출 부위가 충격에 의해 절단되는 사례가 많다.
도면1은 본 발명에 의한 철판삽입형 수팽창 복합지수판 사시도
도면2은 연질염화수지 지수판 사용 상태도(도2-A)
발명지수판 사용 상태도(도2-B)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위의 설명
(C) 배근 철근 (D) 배근 철근
(a) 밸브경
(b) 결속선
(E) 아연도 철판
(F) 타공 홈
(G) 고무 아스팔트합성재
(H) 수팽창탄성지수고무
(I ) 콘크리트
아연도 철판(E)에 양쪽 날개 부분을 타공(F) 후 고무 아스팔트 합성재(G)로 도포 한 구조에 중앙부위에 수팽창탄성고무지수재(H)가 부착되어 제작된 지수판
종래 콘크리트옹벽 철근중앙에서 하는 지수 방식에서 콘크리트옹벽 벽면 배근철근 전 초기 지수방식으로 변경하므로 .수팽창고무지수재와 차수판 의 2단계 지수로 누출 수 차단 효과와 철근(C)부식 방지효과를 가져온다.
제품의 시공상 장점으로 설치작업이 간편하다, 이음연결이 편리하며 정밀시공이 이루어진다, 중량이 가볍다. 동절기 작업등 작업 환경에 영향을 받지않는다.

Claims (2)

  1. 지하 구조물 구축 시 이어치기 부위에 사용되는 지하수 누수 차단용 지수판으로 아연도 철판(E)에 양쪽 날개 부분을 타공(F)후 고무 아스팔트 합성재(G)로 도포 한 구조에 중앙부위에 수팽창탄성고무지수재(H)가 부착되어 제작된 형태의 지수판.
  2. 철근 중앙에서 지하수를 차단하는 시공방법에서 -벽면 배근 철근 전에 1.2단계로 나누어 지수할 수 있는 지수방법.
KR1020020002876A 2002-01-17 2002-01-17 철판삽입 수팽창 복합지수판 KR200300677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876A KR20030067771A (ko) 2002-01-17 2002-01-17 철판삽입 수팽창 복합지수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876A KR20030067771A (ko) 2002-01-17 2002-01-17 철판삽입 수팽창 복합지수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771A true KR20030067771A (ko) 2003-08-19

Family

ID=32218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2876A KR20030067771A (ko) 2002-01-17 2002-01-17 철판삽입 수팽창 복합지수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77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18215A (zh) * 2011-10-27 2012-06-27 北京东方雨虹防水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止水带
CN104831757A (zh) * 2015-06-01 2015-08-12 衡水宝力工程橡胶有限公司 挤出成型式钢边止水带及其专用制备设备及制备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209U (ja) * 1981-05-29 1983-01-08 塩本 喜代造 コンクリ−ト用止水板
JPS6027948U (ja) * 1983-08-02 1985-02-25 マルマンゴルフ株式会社 パタ−クラブのヘッド
KR920010097A (ko) * 1990-11-17 1992-06-26 이정호 조립식 욕실의 바닥판 제작 및 설치방법
JPH0490604U (ko) * 1990-12-26 1992-08-07
JPH1160823A (ja) * 1997-08-22 1999-03-05 Hayakawa Rubber Co Ltd ゴム組成物、止水材及び止水構造
KR19990022167U (ko) * 1999-03-10 1999-06-25 이옥자 옹벽의지수(止水)차단장치
JP2000220157A (ja) * 1999-02-01 2000-08-08 Foomujiaringu:Kk 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目地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209U (ja) * 1981-05-29 1983-01-08 塩本 喜代造 コンクリ−ト用止水板
JPS6027948U (ja) * 1983-08-02 1985-02-25 マルマンゴルフ株式会社 パタ−クラブのヘッド
KR920010097A (ko) * 1990-11-17 1992-06-26 이정호 조립식 욕실의 바닥판 제작 및 설치방법
JPH0490604U (ko) * 1990-12-26 1992-08-07
JPH1160823A (ja) * 1997-08-22 1999-03-05 Hayakawa Rubber Co Ltd ゴム組成物、止水材及び止水構造
JP2000220157A (ja) * 1999-02-01 2000-08-08 Foomujiaringu:Kk 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目地材
KR19990022167U (ko) * 1999-03-10 1999-06-25 이옥자 옹벽의지수(止水)차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18215A (zh) * 2011-10-27 2012-06-27 北京东方雨虹防水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止水带
CN104831757A (zh) * 2015-06-01 2015-08-12 衡水宝力工程橡胶有限公司 挤出成型式钢边止水带及其专用制备设备及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03084A (zh) 地下室平立面结构交接处施工缝结构防水处理方法及系统
KR101651646B1 (ko) 강판 결속형 흙막이 차수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가시설 흙막이 공법
JP2003184017A (ja) 高架道路の埋設型伸縮装置とその施工法
KR101384738B1 (ko) 프리캐스트 터널구조물의 방수방법
KR20030067771A (ko) 철판삽입 수팽창 복합지수판
JPH0978847A (ja) コンクリ−ト面のクラック補修方法
JPH02153199A (ja) 隧道の防水処理法
CN208803486U (zh) 一种超大断面地下管廊变形缝处u型止水带安装防水结构
JPH02101243A (ja) 止水板
CN219281760U (zh) 防水板和隧道支护系统
KR10038691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를 위한 방수층 보호재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341353Y1 (ko) ㄷ형 클립을 이용한 폴리에틸렌 하수관 연결 구조
KR100769664B1 (ko) 터널용 방수시트와 라이닝 콘크리트층의 누수방지구조
JPH1082013A (ja) 融雪パネル及び融雪構造
JP2001107692A (ja) 遮水シートおよび遮水工法
JP2767023B2 (ja) 蓄熱槽における浸入地下水の排除装置
KR100326633B1 (ko) 신축.수축 슬립형 지수판
KR102293522B1 (ko) 열연강판 연속벽 흙막이 공법
KR200201192Y1 (ko) 수팽창성 수밀형 고무 지수재
KR200346720Y1 (ko) 수로관 보수제
CN219195528U (zh) 一种新旧路基路面拼接结构
CN116006224A (zh) 防水板和隧道支护系统
CN219992553U (zh) 一种地下室底板
JP2000319807A (ja) 繊維補強コンクリート舗装の構築方法
KR101089664B1 (ko) 유도배수관 및 유도배수관을 이용한 조인트 누수 방지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