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7069A - Ic카드를 이용한 차량제어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Ic카드를 이용한 차량제어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7069A
KR20030067069A KR1020020006877A KR20020006877A KR20030067069A KR 20030067069 A KR20030067069 A KR 20030067069A KR 1020020006877 A KR1020020006877 A KR 1020020006877A KR 20020006877 A KR20020006877 A KR 20020006877A KR 20030067069 A KR20030067069 A KR 20030067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ard
unit
driv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6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8060B1 (ko
Inventor
권미연
Original Assignee
권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미연 filed Critical 권미연
Priority to KR10-2002-0006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8060B1/ko
Publication of KR20030067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7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8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8060B1/ko

Links

Landscapes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IC카드에 내장된 운전자의 정보를 인식하여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고, 이동통신시스템을 통하여 차량의 현재위치를 파악하며, 교통법규 위반 등의 과실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IC카드를 이용한 차량제어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제어장치는 카드삽입부로 투입된 IC카드의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IC카드에 정보를 기록하는 카드인식수단과, CDMA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을 통하여 경찰청의 전산시스템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수단과, 차량의 차대번호와 차량등록번호 및 운행정보 등이 저장되는 저장수단과, 상기 각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상기 각 수단으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IC카드를 이용한 차량제어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CONTROLING VEHICLE USING IC CARD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제어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IC카드에 내장된 운전자의 정보를 인식하여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고, 이동통신시스템을 통하여 차량의 현재위치를 파악하고 교통법규 위반 등의 과실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IC카드를 이용한 차량제어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잠금장치는 시동키에 의해 개폐되며, 이를 보완하여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보안장치로 도난경보장치 등을 장착하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다.
또한, 면허증 미소지자를 포함한 무면허 운전자의 운전을 방지하기 위해 경찰의 불시검문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인력 및 교통정체 등의 이유로 광범위한 검문은 불가능하다.
상기 도난경보장치는 차량에 장착하는 경보장치와 사용자가 휴대하는 리모콘으로 구성되어, 상기 경보장치의 작동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의 잠금장치가 해제되면 상기 경보장치 및 상기 리모콘에서 경보음이 발생된다.
그러나, 상기 도난경보장치는 소정시간 동안만 경보음이 발생되며, 상기 리모콘 소지인이 상기 차량에서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에는 경보음이 발생하지 않거나 차량 소재지까지의 도착시간 안에 차량이 도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IC(Intergrated Circuit, 집적회로)칩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판독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IC카드를 이용한 보안시스템이 기업 또는 연구소 등에 보편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상기 IC카드는 신용카드 크기의 플라스틱카드에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내장된 IC칩을 탑재한 카드로, 기존의 자기띠(Magnetic Stripe;MS)카드에 비해 저장용량이 크고 보안성이 뛰어나다.
상기 IC칩은 2~8 킬로바이트(Kbyte)의 저장용량을 보유하여 다량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되는 정보를 암호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하여 타인이 읽을 수 없으며, 키(key)값을 모르면 내부자료에 대한 접근이 차단되어 복제가 어렵다.
상기 IC카드는 교통카드 등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주민등록증·운전면허증·건강보험증·국민연금증서·인감증명서·주민등록등본 및 초본·지문의 정보를 IC칩에 저장하고, 표면에 지문을 인쇄한 전자주민증으로 활용하기 위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IC카드를 차량의 시동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인증키로 사용함으로써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는 IC카드를 이용한 차량제어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IC카드를 인식하는 차량제어장치가 상기 IC카드에 저장된 운전면허정보를 인식하여 운전자인증을 함으로써, 무면허자의 운전을 원천봉쇄하는 IC카드를 이용한 차량제어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차량제어장치가 통신수단을 구비하여 차량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IC카드를 이용한 차량제어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차량제어장치가 차량의 운행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IC카드에도 기록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IC카드를 이용한 차량제어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방법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차량제어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11 - 카드삽입부
12 - 기록버튼13 - 배출버튼
14 - 비상버튼15 - 디스플레이부
20 - 카드인식수단21 - 인식부
22 - 기록부30 - 통신수단
31 - CDMA모듈32 - GPS모듈
40 - 저장수단41 - 메모리부
42 - 버퍼메모리부43 - 음성메모리부
50 - 제어수단51 - 주제어부
52 - 시동제어부53 - 통신제어부
60 - 전원수단61 - 전압변환부
62 - 동작전원공급부63 - 시동전원공급부
본 발명에 따른 IC카드를 이용한 차량제어방법은 IC카드를 인식하는 카드인식수단과 통신수단과 저장수단과 제어수단과 전원수단으로 구성되어 차량에 장착된 차량제어장치에 삽입된 IC카드에서 운전자의 면허종별과 운전기록을 독출하는 운전자정보확인단계; 상기 운전자의 면허종별과 운전기록을 판독하여 운전자의 차량에 대한 운전가능여부를 확인하는 운전자인증단계; 상기 운전자인증단계에서 운전자가 운전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고 차량의 시동스위치가 시동위치에 놓이면, 상기 차량제어장치의 전원수단을 통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모터로 전원이 공급되는 시동전원공급단계; 상기 시동스위치가 오프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차량제어장치의 전원수단에서 시동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시동전원차단단계; 상기 시동전원공급단계부터 상기 시동전원차단단계까지의 운행기록을 상기 차량제어장치의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운행정보저장단계; 및 상기 차량제어장치의 저장수단에 저장된 운행정보를 상기 IC카드에 기록하는 운행정보기록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운전자인증단계가 차량제어장치가 이동통신시스템을 통하여 운전자의 정보를 경찰청 교통시스템으로 송신하고 경찰청 교통시스템으로부터 차량 및 운전자의 교통위반·범칙금 미납 등의 과실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시동전원차단단계가 상기 시동스위치가 오프위치로 전환되지 않은 상태에서 IC카드가 제거된 후 소정시간 내에 재삽입되지 않으면, 시동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제어장치는 IC카드가 투입 및 고정되는 삽입부를 구비한 박스형상의 케이스; 상기 삽입부로 투입된 IC카드에 내장된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와, IC카드에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부로 구성된 카드인식수단; CDMA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과 통신하고,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을 통하여 경찰청의 전산시스템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수단; 차량의 차대번호와 차량등록번호 및 운행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카드인식수단 및 상기 통신수단에서 처리되는 데이터가 일시저장되는 버퍼메모리부로 구성된 저장수단; 상기 카드인식수단과 상기 통신수단 및 상기 저장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CPU를 포함하는 주제어부와, 상기 처리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의 시동모터로 공급되는 시동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시동제어부와, 상기 처리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통신수단의 송·수신 동작을 제어하는 통신제어부로 구성된 제어수단; 및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카드인식수단과 상기 통신수단과 상기 저장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동작전원으로 공급하는 전원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IC카드에 저장 및 독출되는 정보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통신수단이 인공위성을 이용한 위치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지피에스(GPS)와 통신하여 차량의 현재위치를 파악하는 지피에스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저장수단이 운전자의 음성을 녹음 및 재생하는 음성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전원수단이 상기 차량의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충전되어 상기 통신수단 또는 차량제어장치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방법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제어장치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상기 차량제어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차량제어장치는 케이스(10)와 카드인식수단(20)과 통신수단(30)과 저장수단(40)과 전원수단(50)과 제어수단(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는 카드삽입부(11)와 기록버튼(12)과 배출버튼(13)과 비상버튼(14)과 디스플레이부(15)로 구성된다.
상기 카드삽입부(11)는 IC카드가 투입 및 배출되도록 상기 케이스(10)의 일측방에 형성된 투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로 투입된 IC카드가 고정되는 공간이다.
상기 IC카드는 상기 차량제어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운전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키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운전면허증을 대체하도록 운전면허 및 개인정보가 저장된 운전면허카드로 구성하였으며, 바람직하게는 주민등록증·운전면허증·신용카드 등을 통합한 개인정보카드인 전자주민증으로 구성한다.
상기 기록버튼(12)은 상기 IC카드가 상기 카드삽입부(11)에 삽입되어 있는 동안 상기 차량을 운행한 운행정보를 상기 IC카드에 기록하도록 조작되는 버튼이다.
상기 배출버튼(13)은 상기 카드삽입부(11)에 삽입되어 있는 IC카드가 배출되도록 조작되는 버튼이다.
상기 비상버튼(14)은 상기 차량의 교통사고 등의 비상사태를 상기 차량제어장치에 등록된 경찰청 교통시스템 또는 보험회사 등의 관제센터로 상기 통신수단(30)을 통하여 알리도록 조작되는 버튼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는 상기 IC카드의 정보 또는 상기 운행정보 등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장치로서, 바람직하게는 액정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LCD)패널을 사용한다.
상기 카드인식수단(20)은 인식부(21)와 기록부(22)로 구성된다.
상기 인식부(21)는 상기 카드삽입부(11)로 투입된 IC카드의 IC칩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주제어부(51)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인식부(21)는 상기IC칩 및 상기 주제어부(51)와 RS-232C 직렬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신한다.
상기 기록부(22)는 상기 저장수단(40)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IC칩으로 RS-232C 직렬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송한다. 이때, 상기 IC칩은 상기 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한다.
상기 통신수단(30)은 CDMA모듈(31)과 GPS모듈(32)로 구성된다.
상기 CDMA모듈(31)은 CDMA방식을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과 통신하여 차량의 현재위치를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 등록하고, 교통사고 등의 비상사태를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을 통하여 관제센터로 통보하며, 상기 관제센터로부터 송출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모듈이다.
상기 GPS모듈(32)은 지피에스(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를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위치를 정확한 좌표값으로 계산할 수 있도록 상기 GPS와 통신하는 통신모듈이다.
상기 GPS는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위도·경도·고도로 구성된 3차원의 위치 및 시각편차를 알 수 있어, 자동차 또는 선박의 네비게이션 장치 등에 사용된다.
상기 저장수단(40)은 메모리부(41)와 버퍼메모리부(42)와 음성메모리부(43)로 구성된다.
상기 메모리부(41)는 차량의 고유번호인 차대번호가 저장되는 ROM(Read Only Memory)과, 상기 차량의 차량등록번호가 저장되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로 구성된다.
상기 버퍼메모리부(42)는 상기 차량의 운행정보, 상기 카드인식수단(20) 및상기 통신수단(30)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플래시메모리 등의 EEPROM이다.
상기 음성메모리부(43)는 상기 기록버튼(12) 또는 상기 비상버튼(14)이 조작되면 소정시간동안 차량내부의 소리가 녹음되어 음성데이터로 저장되는 플래시메모리 등의 EEPROM이다.
상기 제어수단(50)은 주제어부(51)와 시동제어부(52)와 통신제어부(53)로 구성된다.
상기 주제어부(51)는 상기 차량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CPU와, 상기 인식부(21)에서 전송된 IC카드의 정보를 판독하는 암호화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CPU는 상기 암호화모듈을 통하여 판독한 정보에 따라 제어신호를 상기 시동제어부(52)에 인가하고, 상기 기록버튼(12) 및 상기 비상버튼(14)의 조작을 인식하여 상기 저장수단(40)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비상버튼(14)의 조작 등에 따라 상기 통신수단(30)에 대한 제어신호를 상기 통신제어부(53)로 인가한다.
상기 시동제어부(52)는 상기 주제어부(51)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의 배터리에서 상기 차량의 시동모터로의 전류공급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전원수단(60)에 인가한다.
상기 통신제어부(53)는 상기 주제어부(51)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통신수단(30)의 송·수신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차량이 상기 CDMA모듈(31)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으로 송출하는 페이징신호의 간격을 조절한다.
상기 전원수단(60)은 전압변환부(61)와 동작전원공급부(62)와 시동전원공급부(63)로 구성된다.
상기 전압변환부(61)는 차량의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12V의 직류전원을 상기 차량제어장치의 동작전원인 3V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동작전원공급부(62)는 상기 전압변환부(61)에서 출력된 직류전원을 상기 차량제어장치의 동작전원으로 공급하며, 상기 차량의 배터리가 방전되지 않으면 상기 동작전원의 공급은 중단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동작전원공급부(62)는 소정용량을 갖는 충전용 배터리를 포함하여, 상기 차량의 배터리가 방전되어도 상기 차량제어장치의 동작전원이 차단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시동전원공급부(63)는 전기적 상기 차량의 시동스위치 및 배터리와 전기배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시동제어부(52)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시동스위치와의 연결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시동시에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시동스위치를 경유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모터로 공급되는 전류가 공급 또는 차단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량제어장치는 운전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되며, 고급승용차 등에 제공되는 항법장치와 일체로 구성하거나 상기 항법장치와 연계하여 지도안내 등의 다양한 기능을 부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차량제어방법은 운전자정보확인단계(S1)와 운전자인증단계(S2)와 시동전원공급단계(S3)와 시동전원차단단계(S4)와 운행정보저장단계(S5)와 운행정보기록단계(S6)로 구성된다.
상기 운전자정보확인단계(S1)는 상기 인식부(21)에서 상기 카드삽입부(11)에 삽입된 IC카드로부터 운전자의 면허종별과 운전기록 등의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주제어부(51)로 전송한다.
상기 운전자인증단계(S2)는 상기 주제어부(51)에서 상기 암호화모듈을 통하여 상기 운전자의 면허종별과 운전기록 등의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운전자의 상기 차량에 대한 운전가능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시동제어부(52)로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이때, 상기 주제어부(51)에서 상기 운전자의 인증을 위하여 확인하는 정보는 면허종별 ·벌점·면허기간·면허정지 여부 등으로, 상기 IC카드를 미소지한 무면허상태 뿐 아니라 면허효력여부를 인증함으로써, 무면허자의 운전을 원천봉쇄한다.
또한, 상기 운전자인증단계는 상기 주제어부(51)가 이동통신시스템과 통신하는 상기 CDMA모듈(31)을 통하여 상기 운전자의 정보를 경찰청 교통시스템으로 송신하고 상기 경찰청 교통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차량 및 상기 운전자의 교통위반·범칙금 미납 등의 과실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버퍼메모리부(42)에 저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CDMA모듈(31)은 항상 통신대기상태에 있으므로, 상기 경찰청 교통시스템에 상기 차량의 과실정보가 등록될 때마다 상기 과실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시동전원공급단계(S3)는 상기 운전자인증단계(S2)에서 상기 운전자가 운전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시동전원공급부(63)에서 상기 시동제어부(52)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의 시동스위치와 상기 차량의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차량을 시동대기상태로 만든다.
이때, 상기 시동스위치가 시동(START)위치에 놓이면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시동전원공급부(63) 및 상기 시동스위치를 경유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모터로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상기 차량의 시동이 걸리게 된다.
상기 시동전원차단단계(S4)는 상기 시동스위치가 오프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시동전원공급부(63)에서 상기 시동스위치와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여 상기 시동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또한, 상기 시동전원공급단계(S3) 이후 상기 시동스위치가 오프위치로 전환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IC카드가 제거되면, 소정시간 동안 경과후 상기 시동전원공급부(63)와 상기 시동스위치와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된다.
이때, 상기 소정시간 내에 상기 IC카드가 재삽입되면 상기 시동전원공급부(63)와 상기 시동스위치와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운행정보저장단계(S5)는 상기 주제어부(51)가 상기 시동전원공급단계(S3)부터 상기 시동전원차단단계(S4)까지의 운행기록을 상기 버퍼메모리부(42)에 저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의 화면을 통하여 상기 운행기록을 표출한다.
이때, 상기 운행기록은 상기 CDMA모듈(31) 및 상기 GPS모듈(32)이 소정시간마다 이동통신시스템 및 GPS와 통신하여 산출한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운행정보기록단계(S6)는 상기 기록버튼(12)이 조작되면, 상기기록부(22)에서 상기 버퍼메모리부(42)에 저장된 운행기록을 독출하여 상기 IC카드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IC카드는 전송받은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함으로써, 상기 IC카드의 운행정보가 갱신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차량제어장치가 장착된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가 운전면허카드인 IC카드를 차량제어장치에 삽입하면, 상기 차량제어장치는 상기 IC카드에서 상기 운전자의 정보를 독출하고, 면허종별·면허유효 등의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운전가능여부를 파악한다.
상기 운전자가 운전가능한 것으로 인증되면, 상기 차량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부(15)를 통하여 상기 운전자의 면허정보와 상기 차량의 운행정보 등을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되며, 상기 운전자는 시동스위치를 잠금(LOCK) 상태에서 시동(START)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5)에 표시되는 정보는 경찰청 교통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차량 및 상기 운전자의 교통위반·범칙금 미납 등의 과실정보 또는 통신수단(30)이 이동통신시스템 및 GPS와 통신하여 확인한 상기 차량의 현재위치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운전자가 상기 차량제어장치에 의해 인증이 되지 않으면, 예컨대 상기 차량이 15인승 승합차이고 상기 운전자의 IC카드는 2종보통면허만을 보유하였다면, 상기 운전자가 상기 시동스위치를 시동상태로 전환하여도 상기 차량의 시동모터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차량의 시동을 걸지 못하여 운전자체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면허정지·면허미소유 등의 무면허자에 의한 상기 차량의 운전이 원천봉쇄된다.
또한, 상기 차량제어장치가 상기 시동스위치 뿐만 아니라 상기 차량의 PMU(Power Management Unit)에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시동스위치가 켜짐(ON) 상태일 때 사용가능한 전기장치의 사용을 제한하여 도어락 등에 의한 어린이의 질식사 등의 위험과 배터리전류의 과잉소비를 막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운전자가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상기 차량을 운전하는 중에 면허조회 등을 위하여 상기 IC카드를 상기 차량제어장치에서 제거하여도 소정시간 이내에는 상기 차량의 전원이 차단되지 않는다.
상기 운전자가 운행을 마치고 상기 차량의 시동을 끄면, 상기 차량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부(15)에는 주행거리·주행시간·기름사용량 등의 운행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운전자가 상기 차량제어장치의 전방에 있는 기록버튼(12)을 누르면 상기 운행정보가 상기 IC카드에 기록되며, 배출버튼(13)을 누름으로써 상기 IC카드를 꺼낼 수 있다.
이때, 상기 시동스위치가 꺼짐(OFF)상태로 전환된 후 상기 IC카드가 배출되지 않으면 상기 차량제어장치의 상기 IC카드에 대한 인증은 유효하다. 즉, 인증된 IC카드가 상기 차량제어장치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차량의 시동을 걸 때마다 인증을 받을 필요가 없이 종래의 차량과 동일한 방법으로 차량을 운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IC카드를 차량의 시동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인증키로 사용함으로써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IC카드를 인식하는 차량제어장치가 상기 IC카드에 저장된 운전면허정보를 인식하여 운전자인증을 함으로써, 무면허자의 운전을 원천봉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량제어장치가 통신수단을 구비하여 이동통신시스템 또는 지피에스를 통하여 차량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운행정보를 상기 차량제어장치 및 상기 IC카드에 기록함으로써, 차량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량제어장치를 차량에 탑재되는 항법장치와 연계하여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IC카드를 인식하는 카드인식수단과 통신수단과 저장수단과 제어수단과 전원수단으로 구성되어 차량에 장착된 차량제어장치에 삽입된 IC카드에서 운전자의 면허종별과 운전기록을 독출하는 운전자정보확인단계;
    상기 운전자의 면허종별과 운전기록을 판독하여 운전자의 차량에 대한 운전가능여부를 확인하는 운전자인증단계;
    상기 운전자인증단계에서 운전자가 운전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고 차량의 시동스위치가 시동위치에 놓이면, 상기 차량제어장치의 전원수단을 통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모터로 전원이 공급되는 시동전원공급단계;
    상기 시동스위치가 오프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차량제어장치의 전원수단에서 시동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시동전원차단단계;
    상기 시동전원공급단계부터 상기 시동전원차단단계까지의 운행기록을 상기 차량제어장치의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운행정보저장단계; 및
    상기 차량제어장치의 저장수단에 저장된 운행정보를 상기 IC카드에 기록하는 운행정보기록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카드를 이용한 차량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인증단계는 차량제어장치가 이동통신시스템을 통하여 운전자의 정보를 경찰청 교통시스템으로 송신하고 경찰청 교통시스템으로부터 차량 및 운전자의 교통위반·범칙금 미납 등의 과실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카드를 이용한 차량제어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전원차단단계는 상기 시동스위치가 오프위치로 전환되지 않은 상태에서 IC카드가 제거된 후 소정시간 내에 재삽입되지 않으면, 시동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카드를 이용한 차량제어방법.
  4. IC카드가 투입 및 고정되는 삽입부를 구비한 박스형상의 케이스;
    상기 삽입부로 투입된 IC카드에 내장된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와, IC카드에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부로 구성된 카드인식수단;
    CDMA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과 통신하고,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을 통하여 경찰청의 전산시스템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수단;
    차량의 차대번호와 차량등록번호 및 운행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카드인식수단 및 상기 통신수단에서 처리되는 데이터가 일시저장되는 버퍼메모리부로 구성된 저장수단;
    상기 카드인식수단과 상기 통신수단 및 상기 저장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CPU를 포함하는 주제어부와, 상기 처리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의 시동모터로 공급되는 시동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시동제어부와, 상기 처리부의 제어신호에 따라상기 통신수단의 송·수신 동작을 제어하는 통신제어부로 구성된 제어수단; 및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카드인식수단과 상기 통신수단과 상기 저장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동작전원으로 공급하는 전원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카드를 이용한 차량제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IC카드에 저장 및 독출되는 정보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카드를 이용한 차량제어장치.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은 인공위성을 이용한 위치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지피에스(GPS)와 통신하여 차량의 현재위치를 파악하는 지피에스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카드를 이용한 차량제어장치.
  7.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 운전자의 음성이 녹음 및 재생되는 음성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카드를 이용한 차량제어장치.
  8.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수단은 상기 차량의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충전되어 상기통신수단 또는 차량제어장치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카드를 이용한 차량제어장치.
KR10-2002-0006877A 2002-02-06 2002-02-06 Ic카드를 이용한 차량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0488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877A KR100488060B1 (ko) 2002-02-06 2002-02-06 Ic카드를 이용한 차량제어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877A KR100488060B1 (ko) 2002-02-06 2002-02-06 Ic카드를 이용한 차량제어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069A true KR20030067069A (ko) 2003-08-14
KR100488060B1 KR100488060B1 (ko) 2005-05-06

Family

ID=32220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877A KR100488060B1 (ko) 2002-02-06 2002-02-06 Ic카드를 이용한 차량제어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806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20491B2 (en) 2005-09-26 2009-11-17 Hitachi, Lt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performing start preparation for vehicular engine
KR101012200B1 (ko) * 2008-06-20 2011-02-08 윤자호 도어록용 스트라이커 구조
KR20180114609A (ko) * 2017-04-11 2018-10-19 (주)엠텍정보기술 친환경 자동차용 대용량 배터리 전력변환장치
CN110232825A (zh) * 2019-07-12 2019-09-13 上海沃特斯智能科技有限公司 驾驶人员与车辆信息采集违法联网实时上传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1263A (ja) * 1986-08-06 1988-02-22 Mazda Motor Corp カ−ド式情報記憶装置
KR19990058412A (ko) * 1997-12-30 1999-07-15 윤종용 아이씨 카드를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JP2000033851A (ja) * 1998-07-16 2000-02-02 Sanwa New Tec Kk Icカードを利用した車両のエンジン始動システム
JP2000233719A (ja) * 1999-02-17 2000-08-29 Suzuki Shoji:Kk 車両の盗難防止装置
KR200170398Y1 (ko) * 1999-08-18 2000-02-15 김종해 자동차의 시동 제어 및 보안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20491B2 (en) 2005-09-26 2009-11-17 Hitachi, Lt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performing start preparation for vehicular engine
KR101012200B1 (ko) * 2008-06-20 2011-02-08 윤자호 도어록용 스트라이커 구조
KR20180114609A (ko) * 2017-04-11 2018-10-19 (주)엠텍정보기술 친환경 자동차용 대용량 배터리 전력변환장치
CN110232825A (zh) * 2019-07-12 2019-09-13 上海沃特斯智能科技有限公司 驾驶人员与车辆信息采集违法联网实时上传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8060B1 (ko) 2005-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39100B1 (en) Vehicle security control apparatus, vehicle security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7545255B2 (en) Electronic key system
US6923370B2 (en) Access system
US20020135466A1 (en) Vehicle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6888445B2 (en) Vehicle identification system
US20100145776A1 (en) In-vehicle apparatus and semiconductor device
US20010020891A1 (en) Vehicl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
US20020140289A1 (en) Vehicle universal docking station and electronic feature modules
US6606562B1 (en) Self-monitoring vehicle alert and tracking device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EP1728945A1 (en) Ic card adaptor device and vehicle control device
JP2006336419A (ja) 車両用電子キー装置
KR20060017805A (ko) 차량 감시 시스템
JP5808151B2 (ja) 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における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ー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7671724B2 (en) Vehicle anti-theft apparatus and method
KR100488060B1 (ko) Ic카드를 이용한 차량제어방법 및 그 장치
JP4172282B2 (ja) 電子ナンバープレート認識システム
GB2478922A (en) Authorisation device for a vehicle starting system
JP2000326670A (ja) Icカードを利用した運転免許証及び自動車装置
KR20100085758A (ko) 택시의 불법 운행 방지 시스템
JP2006168561A (ja) 車載装置および車両管理制御システム
GB2491909A (en) An immobilisation device and system for a vehicle
JP2003141588A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自動料金収受方法、車載器および自動料金収受プログラム
JP4487731B2 (ja) カードレス自動料金収受用車載器
JP2004094790A (ja) 情報処理装置及び車両検問システム
JPS6299239A (ja) 運転免許証および車両起動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