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2200B1 - 도어록용 스트라이커 구조 - Google Patents

도어록용 스트라이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2200B1
KR101012200B1 KR1020080058503A KR20080058503A KR101012200B1 KR 101012200 B1 KR101012200 B1 KR 101012200B1 KR 1020080058503 A KR1020080058503 A KR 1020080058503A KR 20080058503 A KR20080058503 A KR 20080058503A KR 101012200 B1 KR101012200 B1 KR 101012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er
slider
receiving portion
dead bolt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8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2306A (ko
Inventor
윤자호
Original Assignee
윤자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자호 filed Critical 윤자호
Priority to KR1020080058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2200B1/ko
Publication of KR20090132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2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2Striking-plates; Keepers; Bolt staples; Escutcheons
    • E05B15/0205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 E05B15/024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록의 데드볼트, 렛치볼트가 결합하여 문을 잠가주거나 열어주는 스트라이커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방과 후방으로 트여져 있으며, 데드볼트 및 렛치볼트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정면이나 측면에서 결합하는 결합위치의 변경에 따라 상기 스트라이커의 수용홈 위치를 변경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록용 스트라이커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모티스에서 돌출되는 데드볼트가 수용되는 데드볼트 수용부와, 렛치볼트가 수용되는 렛치볼트 수용부와, 트리거볼트가 수용되는 트리거볼트 수용부가 구비된 스트라이커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는, 상단면과 하단면에 각각 슬라이더 헤드를 돌출형성한 결착수단; 과,
상기 슬라이더 헤드와 결합되는 슬라이더 결합부를 구성하여 스트라이커를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수단; 을 가진 도어록용 스트라이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모티스, 도어록, 데드볼트, 렛치볼트, 수용홈, 트리거볼트, 스트라이커

Description

도어록용 스트라이커 구조{The structure striker of rock-door}
본 발명은 도어록의 데드볼트, 렛치볼트가 결합하여 문을 잠가주거나 열어주는 스트라이커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방과 후방으로 트여져 있으며, 데드볼트 및 렛치볼트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정면이나 측면에서 결합하는 결합위치의 변경에 따라 상기 스트라이커의 수용홈 위치를 변경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록용 스트라이커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록은,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록 본체와,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는 스트라이커로 구성된다.
상기 문틀에 설치되는 스트라이커는, 도어록에서 돌출되는 데드볼트와 렛치볼트가 진출입하면서 도어를 록킹하는 각각의 도어록 수용부와 데드볼트 수용부가 일측에 요입 형성되어 있는 장비이다.
상기 도어록 수용부와 렛치볼트의 수용부 위치는 도어의 개방방식에 따라 개방 방향이 결정되어 지는데, 도어는 개방방식에 따라 도어의 일 측방으로만 개방되는 편개문과 전, 후 양측으로 개방되는 양개문 중 어느 하나가 설치되게 되고, 이 설치문에 따라 스트라이커의 수용부 위치가 바뀌어 설치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편개문과 양개문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각각의 스트라이커를 별도로 제작하여 왔던바, 이는 제작원가의 상승이라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단점을 보완하여 편개형 도어와 양개형 도어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용스트라이커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즉, 실용신안등록 제20-0367069호 "도어록용 도어걸쇠'"가 제안되어 있는데, 상기한 선등록고안은,
도어록의 데드볼트를 록킹시키기 위한 도어록용 걸쇠에 있어서,
전방과 후방과 측방이 트여져 있으며, 내측벽에 금형구배가 형성된 결합홈을 갖는 고정몸체와;
상기 데드볼트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갖는 것으로, 상기 고정몸체의 결합홈에 상기 고정몸체의 정면과 측면 중 어느 한쪽 위치를 향해 결합되며, 정면위치 또는 측면위치로의 결합시, 상기 고정몸체의 내측벽과 대응하는 측면과 배면이 상기 내측벽의 금형구배와 정합될 수 있도록 각각 금형구배를 갖는 분리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에 대해 상기 분리몸체를 정면위치로 결합시킬 경우, 상기 분리몸체의 측면과 상기 고정몸체의 내측벽이 서로 정합되는 방향일 때만 상기 고정몸체에 대한 상기 분리몸체의 결합을 허용하고, 상기 고정몸체에 대한 상기 분리몸체를 측면위치로 결합시킬 경우, 상기 분리몸체의 배면과 상기 고정몸체의 내측벽이 서로 정합되는 방향일 때만 상기 고정몸체에 대한 상기 분리몸체의 결합을 허용하는 결합방향 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출원된 도어록용 걸쇠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 고안은, 고정몸체의 중앙부에 전방과 양측방이 개방된 상태로 구성된 결합홈이 형성되고, 이 결합홈에 수용홈을 갖는 분리몸체를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결합홈의 크기에 일치하는 분리몸체를 제작하여야 하므로 제작의 정밀성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고정몸체에 분리몸체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은, 고정몸체의 천장면과 바닥면에 각각 "ㄱ"자형의 결합방향 결정홈을 요입형성하고, 이와 대응하는 분리몸체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ㄱ'자형 결합방향 결정홈을 돌출형성하여, 결합방향에 따라 분리몸체를 회전시켜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수단은, 고정몸체에 결합되는 분리몸체의 수용홈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고정몸체에서 분리몸체를 완전히 분리한 후, 분리몸체의 수용홈 위치에 따라 상하를 회전시켜 재결합하여 줌으로써 조정하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수용홈의 위치에 따라 고정몸체에서 분리몸체를 완전히 분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만일, 작업자가 문틀에 분리몸체가 결합된 고정몸체를 조립하는 경우, 결합방향을 잘못 선택하고 고정하였을 경우에는, 고정몸체를 문틀로부터 고정몸체를 완전히 분리한 후, 재결합을 통하여 분리몸체의 개방방향을 재조정하고 다시 고정몸체를 문틀에 고정하여야 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고안은, 제품의 특성상 주물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어서, 후속가공을 통한 모서리 가공을 하여야 상품성 있는 제품으로 완성되는 것이므로, 가공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과, 분리몸체가 고정몸체의 수용부에 장착 되어야 하므로, 정확한 가공이 필수적으로 필요하여 정밀가공으로 인한 원가 상승요인이 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도어 걸쇠가 가지고 있는 단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데드볼트 수용부와 랫치볼트 수용부의 방향을 간단하게 변경하여 조립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드볼트를 수용하는 스트라이커의 구조를 극히 간단하게 구성하여 조립 및 설치가 간단하게 이루어지며, 일단 조립된 후에도 수용부의 방향을 바꾸고자 하는 경우에도, 완전히 분해하지 않고, 고정너트를 2/3 정도만 풀고 수용부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간단한 구성의 스트라이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데드볼트 수용부와 랫치볼트 수용부 및 트리거볼트 수용부가 구성된 스트라이커와, 상기 스트라이커를 고정하는 상, 하 스트라이커 브라켓으로 구성한 스트라이커의 조립구조를 제공하여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한 스트라이커와 스트라이커 브라켓으로 구성된 본 발명은, 그 구조가 극히 간단하여 저가로 양산할 수 있는 특징이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후에도 수용부의 위치를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어 도어에 간단하게 장착 및 시공할 수 있는 특 징이 있다.
모티스에서 돌출되는 데드볼트가 수용되는 데드볼트 수용부와, 렛치볼트가 수용되는 렛치볼트 수용부와, 트리거볼트가 수용되는 트리거볼트 수용부가 구비된 스트라이커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는, 상단면과 하단면에 각각 슬라이더 헤드를 돌출형성한 결착수단; 과,
상기 슬라이더 헤드와 결합되는 슬라이더 결합부를 구성하여 스트라이커를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수단; 으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결착수단은, 스트라이커 상단면과 하단면 중앙에 원판형의 슬라이더 헤드와, 이 슬라이더 헤드를 지지하는 슬라이더 넥을 일체로 하여 구성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스트라이커의 상단면과 하단면에 형성된 슬라이더 헤드가 수용되는 슬라이더 헤드 결합부와, 상기 슬라이더 넥이 결합되는 슬라이더 넥 결합부를 후방에서 결합하도록 요입 형성하고, 전면 중앙에 나사결합공을 형성한 스트라이커 브라켓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의 데드볼트 수용부의 상측에는 걸쇠를 텐션스프링으로 탄지하여 회동가능하게 장착하고, 진입하는 데드볼트에 의해 상기 걸쇠가 회동하도록 하여, 걸쇠가 모티스에 형성된 걸림부에 끼워져 걸리도록 하는 이중잠금수단을 부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도면과 실시예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어(1)의 이면에 장착된 모티스(2)에서 돌출되는 데드볼트(3)가 수용되는 데드볼트 수용부(13)와, 렛치볼트(4)가 수용되는 렛치볼트 수용부(14)와, 트리거볼트(5)가 수용되는 트리거볼트 수용부(15)가 구비된 스트라이커(10)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10)의 상단면(11)과 하단면(12) 중앙에는 소폭의 슬라이더 넥(16)이 일체로 돌출되고, 그 상면에서 외향으로 확장되는 슬라이더 헤드(17)를 형성하여서 된 결착수단과;
대체적으로 "ㄴ"자형을 이루는 본체(21)의 전면 상측에 조립공(22)이 관통되고, 저면부(23)에는 후면(24)에서 상기 스트라이커 (10)의 슬라이더 넥(16)과 슬라이더 헤드(17)가 끼워지는 소폭의 슬라이더 넥 결합부(26)와 슬라이더 헤드 결합부(27)를 요입 형성하여서 된 브라켓(20)으로, 상기 스트라이커(10)의 상, 하단을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모티스(2)에 구비되는 데드볼트(3)와 렛치볼트(4) 및 트리거볼트(5)는 스트라이커(10)에 구비되는 데드볼트 수용부(13)와 렛치볼트 수용부(14) 및 트리거볼트 수용부(15)에 안착이 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브라켓(20)은 2개 1조로 하여 스트라이커(10)의 상단과 하단을 고정한다.
삭제
상기 스트라이커(10)의 각 면에는 나사고정공(18)을 관통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트라이커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도어(1)의 개방방식에 따라 스트라이커(10)에 형성된 데드볼트 수용부(13)의 개방방향이 결정되게 되는데, 일방으로만 개방되는 편개문의 경우를 일례로 하여 장착하는 상태를 설명한다.
편개문은 한쪽 방향으로만 열리고 닫히는 구조이므로, 실내측의 문틀(1a)에 스트라이커(10)가 장착되게 된다.
즉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가 실외 쪽으로 개방되는 경우, 실내의 문틀(1a)에 스트라이커(10)를 고정하게 되는데, 도어(1)에 장착되는 모티스(2)를 구성하는 데드볼트(3)와 랫치볼트(4)의 진출입 작동방향에 따라 스트라이커(10)에 형성된 데드볼트 수용부(13)와 랫치볼트 수용부(14)의 방향을 결정하여 브라켓(20)으로 상기 스트라이커(10)를 고정하는 것이다.
즉, 스트라이커(10)의 상단면(11)과 하단면(12)에 각각 형성된 슬라이더 헤드(17)를, 브라켓(10) 본체(11)의 저면부(23)에 후방에서 요입 형성된 슬라이더 헤드 결합부(27)와 결합시킨다.
스트라이커(1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브라켓(20)을 결합한 후, 도어(1)에 고정된 모티스(2)에 따라 상기 스타리이커(10)를 회전시켜 데드볼트 수용부(13)와 랫치볼트 수용부(14)의 방향을 조절한 후, 문틀(1a)에 상기 브라켓(20)을 조립나사(30)로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가장 중요한 점은 도어(1)에 고정되는 모티스(2)와 문틀(1a)에 고정되는 스트라이커(10)의 정확한 위치설정이 중요하게 되는데, 바람직한 설정수단은 모티스(2)에 브라켓(20)에 끼워진 스트라이커(1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20)의 전면 중앙에 관통된 조립공(22)으로 조립나사(30)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작업수단이 가장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한 수단은, 브라켓(20)의 조립공(22) 상측에 형성된 조립장공(도면부호 부여하지 않음)에 스트라이커(10)와 모티스(2)와의 결합상태를 확인하면서 전, 후방으로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한 후, 조립공(22)에 조립나사(30)를 끼워 고정하는 방법이 가장 이상적이라 할 것이다.
상기한 수단으로 스트라이커(10)의 방향과 위치가 설정되어 브라켓(20)으로 상기 스트라이커(10)를 고정한 후에는, 더욱 견고한 고정상태를 얻기 위하여 스트라이커(10)에 관통형성된 나사고정공(18) 중에서 문틀(1a)에 밀착된 부분에 형성된 나사고정공(18)에 나사(31)를 끼워 문틀(1a)에 완전하게 고정한다.
상기 편개문에 본 발명의 스트라이커(10)를 장착하는 상태를 설명하였으며, 이어서 양방향으로 개방되는 양개문에 장착하는 과정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양개문의 경우 전, 후방으로 열고 닫힘에 따라 스트라이커(10)는 문틀(1a)의 내측면에 장착하는 경우가 많게 된다.
이때, 문틀(1a)의 내측에는 스트라이커(10)를 삽입하기 매립 장착하기 위한 수용홈(도면부호 부여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이 수용홈에 상기 스트라이커(10)를 삽입하여 고정하게 된다.
스트라이커(10)의 상단면(11)과 하단면(12)에 형성된 슬라이더 헤드(17)에 브라켓(20)을 조립한 후, 스트라이커(10)를 회전시켜 데드볼트 수용부(13)의 위치를 설정한 후, 브라켓(20)을 문틀(1a)에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방식은 상기한 편개문의 고정방식과 동일하며, 본 발명의 특징은 문틀(1a)의 수용부에 브라켓(20)과 스트라이커(10)를 삽입한 후, 조립나사(30)로 고정하게 되는데, 조립과정에서 스트라이커(10)의 데드볼트 수용부(13)의 방향이 잘못 선정된 경우, 조립나사(30)를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2/3 가량만 풀어 브라켓(20)의 고정상태를 느슨하게 한 후, 상기 스트라이커(10)의 방향으로 재조정하고, 다시 조립나사(30)를 조여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간단한 방법으로 스트라이커(10)의 방향을 간단하게 재조정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트라이커(10)를 브라켓(20)에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10)의 상단면(11)과 하단면(12)에 형성되는 슬라이더 헤드(17)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모두를 평면모양이 정사각의 형태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정사각형의 슬라이더 헤드(17)의 네 모서리는 브라켓(20)의 슬라이더 헤드 결합부(27)와의 슬라이드 결합을 편안하게 하기 위해 라운딩 처리한다.
상기한 정사각형의 슬라이더 헤드(17) 구조는 브라켓(20)에 안정적으로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는 특징을 제공한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첨부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2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조립 및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2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절개 정면도이다.
일측으로 개방되어 데드볼트 수용부(13)와 랫치볼트 수용부(14) 및 트리거볼트 수용부(15)를 구비하고, 상단면(11)과 하단면(12)에 각각 슬라이더 헤드(1)를 일체로 형성한 스트라이커(10)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 수용부(13)의 상측에 걸쇠장착부(19)를 구비하고,
이 걸쇠장착부(19)의 내측에는, 걸쇠 본체(41)의 일단에 걸림부(42)를 절곡형성하고, 타측에는 밀착부(46)를 일체로 하여 절곡형성한 걸쇠(40)를 상기 걸쇠장착부(19)에 고정축(44)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되, 텐션스프링(45)으로 탄지하여 구성한다.
스트라이커(10)에 대응하는 모티스(2)의 측판(2a)에는 상기 걸쇠(40)의 걸림부(42)가 출입하는 걸쇠수용부(2b)가 관통형성되고, 그 하단에 걸림부(2c)가 형성된다.
상기한 걸쇠(40)를 내장한 스트라이커(10)의 작동을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티스(2)가 스트라이커(10)에 밀착하여 잠가지면, 데드볼트(3)가 스트라이커(10)의 데드볼트 수용부(13)에 진입하여 도어(1)를 잠가주게 된다.
상기 데드볼트(3)가 스트라이커(10)의 데드볼트 수용부(13)에 진입하는 순간, 데드볼트 수용부(13)의 상측 걸쇠장착부(19)에 고정축(44)으로 회동가능하게 유착된 걸쇠(40)의 일측 밀착부(46)가, 상기 데드볼트(3)에 의해 밀리면서 고정축(44)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걸쇠(40)의 밀착부(46)가 밀리면서 회전하면, 타측에 형성된 "ㄱ"자형으로 절곡형성된 걸림부(42)가 모티스(2)의 측판(2a)에 형성된 걸쇠수용부(2b)로 진입하여 하단의 걸림부(2c)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걸쇠(40)의 회동작동으로 도어(1)를 2중으로 잠가주게 되므로 더욱 안전한 잠금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10)의 하단에 트리거볼트 수용부(15)에는 트리거볼트(5)를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으로 탄지되도록 장착하여, 도어(1)가 열리고 닫힐 때, 후방으로 밀려있던 트리거볼트(5)가 복귀되면서 마찰충격음을 발생토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트리거볼트(5)가 스트라이커(10)에 설치되면, 이에 대응하는 모티스(2)에는 상기 트리거볼트(5)가 진출입하는 수용부가 형성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트리거볼트(5)는 통상적으로 모티스(2)에 설치되게 되나, 모티스(2)의 구조가 너무 복잡하고, 그 부속품이 다양하여 고가로 제조되는 특성을 감안하여, 하나의 부품이라도 모티스(2)의 구성부품에서 제외함으로써 조립공정을 단순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트라이커가 장착되는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조립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트라이커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2 : 모티스
3 : 데드볼트 4 : 렛치볼트
10 : 스트라이커 11 : 상단면
12 : 하단면 13 : 데드볼트 수용부
14 : 렛치볼트 수용부 15 : 트리거볼트 수용부
16 : 슬라이더넥 17 : 슬라이더 헤드
20 :브라켓 21 : 본체
22 : 조립공 23 : 저면부
24 : 후면 26 : 넥 결합부
27 : 헤드결합부 40 :걸쇠
41 : 걸쇠 본체 42 : 걸림부
44 : 고정축 45 : 텐션스프링

Claims (6)

  1. 모티스(2)에 구비되는 데드볼트(3)와 렛치볼트(4) 및 트리거볼트(5)가 수용가능한 데드볼트 수용부(13)와 렛치볼트 수용부(14) 및 트리거볼트 수용부(15)가 구비된 스트라이커(10)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10)는, 상단면(11)과 하단면(12)에 각각 슬라이더 헤드(17)를 돌출형성한 결착수단과;
    상기 슬라이더 헤드(17)와 결합되는 슬라이더 헤드 결합부(27)가 형성되며 문틀(1a)에 장착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스트라이커(10)의 데드볼트 수용부(13)의 상측에는 걸쇠(40)를 텐션스프링(45)으로 탄지하여 회동가능하게 장착하고, 진입하는 데드볼트(3)에 의해 상기 걸쇠(40)가 회동하도록 하여, 걸쇠(40)가 모티스(2)에 형성된 걸림부(2c)에 끼워져 걸리도록 하는 이중잠금수단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용 스트라이커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수단은, 스트라이커(10) 상단면(11)과 하단면(12) 중앙에 구비되는 슬라이더 헤드(17)와, 상기 슬라이더 헤드(17)를 지지하는 슬라이더 넥(16)이 일체로 구비되어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스트라이커(10)의 상단면(11)과 하단면(12)에 형성된 슬라이더 헤드(17)가 수용되는 슬라이더 헤드 결합부(27)와, 상기 슬라이더 넥(16)이 결합되는 슬라이더 넥 결합부(26)를 후방에서 결합하도록 요입 형성하고, 전면 중앙에 조립공(22)을 형성한 스트라이커 브라켓(20)을 구비하여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용 스트라이커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헤드(17)는 평면에서의 모양이 원판형 또는 정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용 스트라이커 구조.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80058503A 2008-06-20 2008-06-20 도어록용 스트라이커 구조 KR101012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503A KR101012200B1 (ko) 2008-06-20 2008-06-20 도어록용 스트라이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503A KR101012200B1 (ko) 2008-06-20 2008-06-20 도어록용 스트라이커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306A KR20090132306A (ko) 2009-12-30
KR101012200B1 true KR101012200B1 (ko) 2011-02-08

Family

ID=41691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8503A KR101012200B1 (ko) 2008-06-20 2008-06-20 도어록용 스트라이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22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65623A (zh) * 2018-06-05 2018-10-16 科洛维特科技发展(北京)有限公司 一种自动售卖机
KR102286351B1 (ko) * 2019-08-23 2021-08-05 (주)솔리티 도어록용 교차 잠금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945A (ko) * 2001-11-16 2003-05-22 주식회사 한마음에너지과학원 유도전류를 이용한 회전기의 자기회로
KR20030067069A (ko) * 2002-02-06 2003-08-14 권미연 Ic카드를 이용한 차량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200339945Y1 (ko) * 2003-11-07 2004-01-28 주식회사 아이레보 회전형 공용 걸쇠
KR200367069Y1 (ko) * 2004-08-23 2004-11-08 주식회사 아이레보 도어록용 도어 걸쇠
JP2008179976A (ja) 2007-01-24 2008-08-07 Miwa Lock Co Ltd ストライク穴調整機構
KR100888514B1 (ko) 2008-12-10 2009-03-12 주식회사 티랩코리아 푸쉬풀식 디지털 도어록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945A (ko) * 2001-11-16 2003-05-22 주식회사 한마음에너지과학원 유도전류를 이용한 회전기의 자기회로
KR20030067069A (ko) * 2002-02-06 2003-08-14 권미연 Ic카드를 이용한 차량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200339945Y1 (ko) * 2003-11-07 2004-01-28 주식회사 아이레보 회전형 공용 걸쇠
KR200367069Y1 (ko) * 2004-08-23 2004-11-08 주식회사 아이레보 도어록용 도어 걸쇠
JP2008179976A (ja) 2007-01-24 2008-08-07 Miwa Lock Co Ltd ストライク穴調整機構
KR100888514B1 (ko) 2008-12-10 2009-03-12 주식회사 티랩코리아 푸쉬풀식 디지털 도어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306A (ko) 200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1678B1 (en) Four position gate latch assembly
US9644394B2 (en) Door handle assembly, sub-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US4987640A (en) Super-thin hinge with resiliently biased catch
US20100140962A1 (en) Mortise lock
KR101012200B1 (ko) 도어록용 스트라이커 구조
CN114382341A (zh) 无装饰盖门窗把手
RU163157U1 (ru) Дверной замок
US20030221286A1 (en) Hinge device with detent
KR20070020205A (ko) 핸들 조립체 및 이 핸들 조립체를 포함하는 로크 또는 래크
US5638708A (en) Combination lock with latch bolt
US20080222959A1 (en)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Window Mountings, Shutters or the Like
JPH0771157A (ja) ヒンジ
EP1024237B1 (en) Closing bowl assembly
CN214498729U (zh) 一种可调节铰链组件及相应的开合装置
JP4429448B2 (ja) 門扉と門扉用錠ならびに門扉用錠の組み付け方法
JP2007327254A (ja) ドア錠
KR102034983B1 (ko) 핸들 조립체용 마운트
JPH0941772A (ja) ドア用戸当り装置
KR100275878B1 (ko) 냉장고의 상부힌지
US20070289095A1 (en) Hinge assembly
JPS5914608Y2 (ja) ドアのストライキ取付装置
JPH0512452Y2 (ko)
JP3015283B2 (ja) ドア錠
JPH0527647Y2 (ko)
JPS6033262Y2 (ja) アコ−デオン式門扉用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