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5383A - 정보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5383A
KR20030065383A KR10-2003-0005691A KR20030005691A KR20030065383A KR 20030065383 A KR20030065383 A KR 20030065383A KR 20030005691 A KR20030005691 A KR 20030005691A KR 20030065383 A KR20030065383 A KR 20030065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data
content
item
description
information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5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0606B1 (ko
Inventor
타카타토모미
소마히데토모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24109A external-priority patent/JP38260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39037A external-priority patent/JP3826048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5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5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0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06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Abstract

컨텐츠에는, 각 구간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가 부여되어 있다. 각 메타데이터에는, 구간을 대표하는 색이나 인물 등의 메타데이터 아이템이 기술(즉, 기재)되어 있다. 또한, 각 메타데이터 아이템에는, 컨텐츠에 대한 해당 메타데이터 아이템의 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편집 내용을 나타내기 위한 메타데이터가 기술되어 있다. 해당 컨텐츠를 편집할 경우, 정보처리장치에는, 해당 수행된 편집작업을 나타내는 기술을 포함하는 메타메타데이터가 부여되어 있다. 이 메타메타데이터로부터, 컨텐츠를 처리하는 정보처리장치는 각 메타데이터 아이템의 유효성을 판정할 수 있다. 그 결과, 각 메타데이터 아이템의 유효성을 용이하게 판정가능하다.

Description

정보처리장치 및 방법{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발명의 기술분야
본 발명은, 메타데이터를 이용하는 정보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종래기술
소형의 계산기(즉, 컴퓨터) 시스템의 능력 향상이나 저가격화에 의해, 가전제품중에는 그들의 제어나 정보처리를 위해서, 컴퓨터를 내장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또한, 디지털 데이터로 공급되는 비데오나 음악 등을 포함하는 영상과 음성 등의 고품위의 컨텐츠가 공급되게 되는 것과 동시에, 영상과 음성이 혼재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도 유포되게 되었다. 또, 최근 몇년의 지구 규모의 컴퓨터 네트워크인 인터넷의 보급이나, 이동 통신의 저가격화의 실현에 의해서, 이들 컨텐츠를 간단하게 입수할 수 있고, 또 즐길 수 있는 시대가 되게 되었다.
가정용의 비데오 기기도, 아날로그로 방송프로그램을 기록하거나 미디어로 공급되는 영상이나 음악을 즐긴다고 하는 상태로부터, 고품위이고 열화하지 않는 디지털 데이터로서 동영상이나 음성을 기록·재생하는 기기로 변천되고 있다. 예를 들면,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소형·염가의 디지털 비데오 기록 장치나, 보통 가정에서도 구입할 수 있는 디지털 비데오 카메라 등이 출현되어, 가정내에서 디지털 비데오 촬영을 행하고, 이 비데오화상을 보고 즐기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방송계의 기업 등이 행하고 있던 비데오 촬영과 편집을, 가정 에 있어서도 실시할 기회는 증대되고 있다. 방송계의 기업 등은, 촬영이나 편집을 행하기 위한 고도의 기기나, 내용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한 편집이나 구성을 행하기 위한 고도의 기술을 가지는 기술자 등을 확보하고 있는 데 대해, 각 가정에서는 이들 고도의 기기나 기술자를 준비하는 것은 여하간에 있을 수 없다. 따라서, 가정용 비데오 카메라로 촬영한 내용의 편집은, 고가의 기기나 고도의 편집 기술의 필요성으로부터, 그다지 행해지지 않는 것이 현상황이다. 그러나, 가정내에서 촬영된 동영상은 물론이거니와, 각종 미디어나 인터넷 등의 통신 수단에 의해, 가정을 향해 배송되는 정보와 컨텐츠는 증대되고, 이러한 정보와 컨텐츠가 동영상이나 음성 등의 멀티미디어 정보나 컨텐츠로 변화되고 있어, 이들 컨텐츠에 대한 정보 검색의 기능은 매우 중요하게 되고 있다.
또한, 인터넷을 비롯해, 정보의 유통이나 발신을 행하기 위한 하부구조의 확대에 의해, 개인이라도 정보 발신을 실시할 수 있는 시대가 되고 있어 동영상이나 음성을 포함한 정보의 발신이 시작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인터넷상에 있어서, 이러한 멀티미디어 정보나 컨텐츠의 정보의 검색 기능 등은, 더욱 더 필요성이 높아져 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그 검색 기능은 특수한 지식을 지니지 않은 사용자에 의해서도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는 것일 필요가 있다.
또, 인터넷의 상시 접속이나 이동 통신에 의해, 실시간에 최신의 정보나 컨텐츠를 전달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었기 때문에, 방송계의 기업 등에서도, 최신의 영상 등을 효율좋게 입수하여, 편집, 가필 등을 실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상황하에서는, 기존의 정보나 컨텐츠를 재빠르게 검색하고, 이들을 새로운 정보나 컨텐츠에 반영해 나가는 기능이나, 그들 컨텐츠의 편집·가공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되게 된다.
특히, 대량의 정보량이 시간 경과에 의해 변화하는 내용을 지닌 동영상 등의 정보는, 축적해 두기에도 매우 부피가 커질 뿐만 아니라, 그러한 정보의 내용에 대해 간단하게 검색을 실시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동일한 디지털 데이터에서도, 문서 데이터 등이면, 문자나 단어를 지시하면, 그 문자나 단어를 포함한 부분을 찾는 것은, 컴퓨터에 있어서는 어려운 것은 아니다. 그러나, 동영상이나 음성 등의 경우, 완전하게 일치하는 정보를 제시하고, 컴퓨터에게 그것을 검색시키는 것 같은 상황은 거의 없이, 컴퓨터가 어떤 의미에서 유사한 부분을 검색하게 되는 상황이 일반적이다. 또한, 그 영상이나 음성 등으로 표현되고 있는 내용을 컴퓨터가 이해하는 것은, 현재의 기술에서는 매우 어렵기 때문에, 컨텐츠의 내용에 대한 검색을 실시하는 일도, 마찬가지로 매우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상과 같이, 비데오 컨텐츠 등을 위시해서, 다루어지는 컨텐츠는 비대화하고 있어, 이들 컨텐츠의 검색이나 편집·가공 등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그 거대한 컨텐츠의 내용을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컨텐츠의 특징이나 특성 등을 메타데이터로 해서, 컨텐츠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유지해, 그정보를 이용해서 검색 등의 기능을 실현하는 기기가 출현하게 되었다.
예를 들면, 동영상, 정지화면, 음성 등의 컨텐츠나 정보에 대해서, 그 내용이나 특징을 나타내는 키워드나 설명문 등의 언어적인 기술(記述)이나, 컴퓨터가 처리하기 쉬운 형식으로 화상이나 음성의 특징을 기술한 비언어적인 정보를 메타데이터로서 부여해 둠으로써, 그들 정보의 검색이나 이용을 용이하게 한다고 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메타데이터에 관해서도, MPEG-7 등, 공통 포맷화의 움직임이 시작되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메타데이터도 방대하고 다종 다양하고, 모든 기기가, 그 방대하고 다종 다양한 모든 메타데이터를 취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 때문에, 이러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는 기기는, 항상, 미지의 메타데이터와 만날 가능성이 있지만, 이것을 무시하는 기능 정도 밖에 보유하고 있지 않은 상황에 있다.
다양한 메타데이터가 부여됨에 따라, 각 제작사가 독자적으로 메타데이터를 격납 하게 되는 시스템을 작성하게 되는 상황이나, 또한, 그러한 시스템이 갱신을 거듭해가는 상황이 생기면, 아무래도, 타사나 과거의 시스템으로부터 보면, 미지의 메타데이터나 기기의 사양으로부터 대응할 수 없는 메타데이터가 존재하는 상황이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그러한 메타데이터에 대해서도, 어떤 종류의 기본적인 조작을 할 수 있어 최악이어도 복사하게 되는 기능이 없으면 그 메타데이터를 컨텐츠에 부여시켜서 두는 것 조차도 어려워져 버린다.
또한, 메타데이터의 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편집 조작이 컨텐츠에 대해서 행해졌을 경우, 그 메타데이터를 이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일례를 들면,컨텐츠가 있는 구간의 색을 세피아색(sepia color)으로 변경했을 경우, 당해 구간에 대해서 대표색(dominant color)을 기술한 메타데이터는, 그대로는 의미를 가지지 않게 된다. 여기서, 그러한 편집 조작을 행한 장치가 그 메타데이터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무효인 메타데이터가 부여된 채로 되어, 올바르게 메타데이터를 이용할 수가 없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동영상, 정지화상 및 음성 등의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해서, 메타데이터를 부여시켜서 이용하는 바와 같은 상황에 있어서, 그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해서, 편집 및 가공을 행한 경우에, 그 메타데이터의 특성이나 상태가 변화할 경우가 있거나, 혹은 그 메타데이터를 이용할 수 없게 될 경우도 있다.
이러한 과제에 대해, 일본국 공개특허 평 08-077116호와 같은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이 시스템에서는, 오브젝트(object) 지향의 데이터의 관리 방식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 부하분산을 실시하기 위해, 오브젝트(데이터)와 속성(메타데이터)을 이용해서, 그 속성이나 각종 상태에 따라 처리의 분산방식을 판단하는 중앙처리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처리장치에 의해서 적절한 처리를 적절한 처리 부분에 실행시킬 수 있도록 지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시스템에서는, 중앙 처리장치를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있어, 시스템의 설계나 사용에 있어서의 자유도를 현저하게 저하시키고 있었다. 또한, 처리를 단순히 분산시키는 것이므로, 새로운 처리 방식을 요하는 오브젝트(데이터)를 추가했을 경우에는, 항상, 이 중앙 처리장치의 판단방식도 변경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의 과제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으로, 각 메타데이터의 유효성을 확실히 판정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텐츠가 처리된 경우에, 해당 처리를 행한 기기가 메타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해당 처리에 따른 메타데이터의 갱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목적은,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편집 내용을 나타내기 위한 제 1의 기술(記述)을 포함한 메타데이터가 부여된 컨텐츠를 유지하는 유지수단;
상기 컨텐츠를 편집하는 편집수단; 및
상기 편집수단에 의한 편집내용과 상기 제 1의 기술에 의거해서 메타데이터의 유효성을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목적은,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편집 내용을 나타내기 위한 제 1의 기술을 포함한 메타데이터가 부여된 컨텐츠를 유지수단에 유지시키는 유지공정;
상기 컨텐츠를 편집하는 편집공정; 및
상기 편집공정에 있어서의 편집내용과 상기 제 1의 기술에 의거해서 메타데이터의 유효성을 판정하는 판정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을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목적은,
영상정보 및/또는 음성정보로부터 형성된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부여된 메타데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는,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편집내용을 나타내기 위한 기술을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데이터 파일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기타 특성과 이점 등은,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취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며, 첨부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기한다.
도 1은 바람직한 실시형태예에 의한 장치의 전체 구성을 표시한 블록도
도 2는 상기 실시형태예의 장치를 실현하는 계산기 프로그램을 격납한 매체로부터, 계산기 프로그램 등의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실현형태를 표시한 도면
도 3은 상기 실시형태예의 장치에 이용되는 메타데이터와 해당 메타데이터의 일례로서의 XML기술의 데이터를 표시한 도면
도 4는 상기 실시형태예의 장치에 있어서, 비데오컨텐츠의 편집 및 가공을 실시하고 있을 때의 화면을 표시한 도면
도 5는 제 1실시형태예의 장치에 있어서, 비데오컨텐츠의 구간을 지정하고, 편집 및 가공이 행해졌을 경우의 메타데이터에 대한 처리의 내용과 순서의 개략을 표시한 순서도
도 6은 제 1실시형태예의 장치에 있어서, 비데오 컨텐츠의 구간을 지정하고, 검색을 실시했을 경우의 처리의 내용과 순서의 개략을 표시한 순서도
도 7은 비데오 컨텐츠에의 메타데이터의 부여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제 2실시형태예에 의한 메타데이터와 메타메타데이터의 기술 예를 표시한 도면
도 9는 메타데이터의 자동 편집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
도 10은 제 3실시형태예의 장치에 있어서 사용한 메타데이터와 메타메타데이터의 XML기술 예를 표시한 도면
도 11은 제 3실시형태예의 장치에 있어서, 비데오 컨텐츠의 구간을 지정하고, 편집 및 가공을 실시했을 경우의 처리의 내용과 순서의 개략을 표시한 순서도
도 12는 도 10에 표시한 메타데이터 기술 예에 의한 편집 처리와 메타데이터 아이템의 유효성의 판정 결과를 설명하는 표
도 13은 제 4실시형태예에 의한 메타데이터와 메타메타데이터의 XML 기술 예를 표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a: 정보처리장치2-b: 드라이브장치
2-c: (계산기 프로그램격납용)매체4-7: 출력버튼
4-1: 타이틀 바4-2: 툴바(tool bar)
AB: 어드레스버스ANT: 파라볼라 안테나
CB: 콘트롤버스CG: 캐릭터제너레이터
CR: 커저레지스터CRT: 표시장치
CRTC: 표시 콘트롤러CPU: 마이크로프로세서
DB: 데이터버스DBUF: 표시용 버퍼메모리
DISK: 하드디스크GC: 가정용의 게임용 컴퓨터
KB: 키보드LAN: 컴퓨터 네트워크
MemCard: 메모리카드PC: 개인용 컴퓨터
RAM: 재기록가능한 랜덤액세스 메모리
ROM: 판독전용 메모리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실시형태예>
도 1은, 바람직한 실시형태예에 의한 메타데이터 이용 처리를 실현하는 정보처리장치의 구성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구성에 있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CPU)는, 각종 처리를 위한 연산, 논리 판단 등을 행하고, 어드레스 버스(AB), 컨트롤 버스(CB) 및 데이터 버스(DB)를 개재해서, 그들의 버스에 접속된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그 작업 내용은, 후술하는 ROM나 RAM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지시된다. 또한, CPU 자신의 기능이나,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구에 의해, 복수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병렬 동작시킬 수가 있다.
어드레스 버스(AB)는 마이크로 프로세서(CPU)의 제어의 대상으로 하는 구성요소를 지시하는 어드레스신호를 전송한다. 콘트롤 버스(CB)는 마이크로 프로세서(CPU)의 제어의 대상으로 하는 각 구성요소의 콘트롤 신호를 전송해서 인가한다. 데이터 버스(DB)는 각 구성 기기 상호간의 데이터 전송을 행한다.
ROM(Read-Only Memory)은, 마이크로 프로세서(CPU)(후술함)에 의한 제어의 순서를 기억시킨 컴퓨터 프로그램 에어리어나 데이터 에어리어를 지니고 있다.
또한, RAM(Rewritable Random Acccess Memory)은, 마이크로 프로세서(CPU)(후술함)에 의한 제어의 순서를 기억시킨 컴퓨터 프로그램 에어리어나 데이터 에어리어로서도 이용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CPU) 이외의 각 구성요소로부터의 각종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의 일시 기억 에어리어로서도 이용된다.
이들 ROM이나 RAM 등의 기억 매체에는, 각종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이 격납된다. 이들 기록 매체에 격납된 프로그램 코드를,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가 읽어내 실행함에 따라서 여러 가지의 기능이 실현되게 된다. 또한, 프로그램 코드를 격납하는 기억 매체로서는, ROM나 RAM에 한정하지 않고, 어떠한 기억 매체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과 관계되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격납한 기록 매체를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고, RAM 등의 개서 가능한(즉, 재기록가능한) 기억 매체 위에, 상기의 기억 매체로부터, 그 프로그램이 복사되는 경우도 있다. 그 경우의기억 매체로서는, CD-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메모리 카드, 광학 자기 디스크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RAM에 실제로 격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로서는, 여러가지 것이 있지만,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에는, 본 실시형태예에 의한 메타데이터에 관한 처리를 실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이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실시형태예 그 자체이며, 이것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격납한 매체로부터, 본 실시형태예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읽어들이는 것이 가능하고, 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격납한 기억 매체도 본 실시형태예로서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2-a)는 도 1에 표시한 정보처리장치, (2-b)는 기억 매체가 삽입되는 드라이브 장치, (2-c)는 상술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격납한 매체이다.
도 1로 되돌아가면, 하드디스크(DISK)는, 다양한 데이터 등을 기억하기 위한 외부 메모리로서 기능한다. 하드 디스크(DISK)는, 다량의 정보를 비교적 고속으로 판독/기록을 할 수 있는 기억 매체를 내장하고 있어, 거기에 각종 데이터 등을 필요에 따라서 보관해서 꺼낼 수가 있다. 또한, 보관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는 키보드의 지시나, 각종 컴퓨터 프로그램의 지시에 의해, 필요한 때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불려 간다.
메모리 카드(MemCard)는, 착탈형의 기억 매체이다. 이 메모리 카드(MemCard)에 정보를 격납하고, 해당 메모리 카드(MemCard)를 다른 기기에 접속함으로써, 기억시켜 둔 정보를 참조·전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키보드(KB)는, 알파벳 키, 히라가나 키, 카타카나 키, 구두점 등의 문자 기호 입력 키 및 커저 이동을 지시하는 커저 이동 키 등과 같은 각종의 기능 키를 구비하고 있다.
커저레지스터(CR)의 내용은, 마이크로 프로세서(CPU)에 의해, 독출되어(읽어내서) 기록된다. 후술하는 CRT 콘트롤러(CRTC)는, 커저레지스터(CR)에 기억되어 있던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표시장치(CRT) 상의 위치에 커저를 표시한다. 표시용 버퍼 메모리(DBUF)는 표시해야 할 데이터의 패턴을 축적한다.
표시 콘트롤러(CRTC)는, 커저레지스터(CR) 및 표시용 버퍼 메모리(DBUF)에 축적되어 있던 내용을 표시기(CRT)에 표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표시장치(CRT)는 음극선관이나 액정 등을 이용하며, 그 표시장치(CRT)에 있어서의 점(dot)으로 이루어진 표시 패턴 및 커저의 표시를 표시 콘트롤러(CRTC)로 제어한다. 또, 캐릭터 제너레이터(CG)는, 표시장치(CRT)에 표시하는 문자 및 기호의 패턴을 기억하는 것이다.
(NCU)는, 본 실시 형태예의 장치 또는 수단이, 다른 장치 또는 수단과 통신을 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것을 이용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예의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다른 장치 또는 수단과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에서는, 개인용 컴퓨터(PC), 텔레비젼 방송 프로그램이나 스스로 찍은 영상 등의 수신/축적/표시장치(TV /VR), 가정용의 게임용 컴퓨터(GC) 등과, 컴퓨터 네트워크(LAN)를 통해 접속되고 있어 (NCU)를 개재하여 본 실시형태예의 장치는, 이들 기기와 자유롭게 정보의 교환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말할 필요도 없는 것이지만, 본 실시형태예의 장치와 접속되는 기기는,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그 네트워크의 종류도 특히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는 도 1과 같이 폐쇄 네트워크가 아니라, 외부의 네트워크와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도 상관없다.
(DTU)는 인공위성 등을 이용한 멀티어드레스형 통신의 수신기능를 실현하는 부분이며, 인공위성을 경유해 방송되는 전파 등을, 파라볼라 안테나(ANT)로 수신하고, 방송되고 있는 내용의 정보를 꺼내는 기능을 가진다. 멀티어드레스형 통신의 형태에는 여러가지 것이 있는 바, 정보가 지상파의 전파로 방송되는 것이나, 동축 케이블이나 광케이블 등을 통해서 방송되는 것 또는 상기 (LAN)이나 대규모 네트워크 등에 의해서 전달되는 것 등 여러가지 형태를 들 수 있지만, 멀티어드레스형 통신의 것이면, 어느 형태이든지 상관없다.
그런데, 상기의 구성을 구비한 본 실시형태예의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동영상이나 정지화면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해, 편집·가공을 실시하는 것과 동시에, 그 메타데이터에 대해서도 조작을 실시하는 기능을 가지는 컨텐츠 이용 장치가 실현된다. 컨텐츠와 그 메타데이터는 통상, 도 1의 하드 디스크(DISK)나 메모리 카드(MemCard) 등의 기억장치나, 도 1의 (NCU)나 (DTU)를 개재하여 접속 가능한 외부의 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다. 컨텐츠는, 동영상이나 정지화면 등 어느 것이어도 되고, 그 컨텐츠의 기록 형식은 어떠한 형식이어도 상관없다. 메타데이터도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예의 정보를 보유하고 있으면, 어떠한 기술 형식, 기록 형식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비데오컨텐츠에 XML 형식으로 기술된 메타데이터가 부여되는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은, 제 1실시형태예에 의한 비데오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XML 형식에 의한 기술 예를 표시한 도면이다. 이것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라인(3-a)는 메타데이터가 라인(3-a) 이후 계속되는 것을 기술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XML 형식으로 데이터를 기술했을 경우, 메타데이터 이외의 정보도 기술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해당 메타데이터의 구별을 위해서 라인(3-a)가 기술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라인(3-y)는 당해 메타데이터의 기술의 종료를 기술한 것이고, 라인(3-b)로부터 (3-x)가 메타데이터를 기술하는 것이다.
메타데이터의 내용으로서는, 먼저, 라인(3-b)에 당해 메타데이터가 부여되는 컨텐츠의 범위, 즉 부여 범위가 지정되고 있다. 라인(3-b)에서는, 비데오 컨텐츠중의 0시 2분 12초부터 0시 4분 34초까지가 이 메타데이터의 부여 범위인 것이 기술되어 있다. 그리고, 그 라인(3-b) 이후부터, 그 부여 범위에 대해서 부여된 메타데이터의 내용이, 기술되게 된다. 라인(3-x)는 이 부여 범위에 적용되는 메타데이터의 기술의 종료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것에 의해, 라인(3-w)까지가, 이 부여 범위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메타데이터에는, (3-c) ~ (3-j), (3-k) ~ (3-q), (3-r) ~ (3-x)의 3개의 메타데이터 아이템이 포함되어 있다.
라인(3-c)로부터 (3-j)는, 상기 부여 범위내의 비데오컨텐츠의 동영상 부분의 내용의 대표색이 메타데이터로서 부여된 것을 기술한 부분이다. 라인(3-c)는그 메타데이터의 개시를 기술하고 있고, 라인(3-j)가 그 기술의 종료를 기술하고 있다. 라인(3-i)는 그 대표색을 R, G 및 B의 값으로 기술하고 있다. 이 대표색은, 비데오컨텐츠내의 검색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메타데이터의 일종이다.
라인(3-d)로부터 (3-h)는, 당해 메타데이터가 이용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를 기술하며, 메타데이터의 메타데이터내용을 나타낸다. 이하, 이런 종류의 데이터를 메타메타데이터라고 칭한다. 라인(3-d)는 그 메타메타데이터의 기술의 개시를 기술하고, 라인(3-h)는 그 기술의 종료를 나타내고 있다. 라인(3-e)는 메타메타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며, 이 메타데이터의 부여 범위내에서 색변경(Co1orChange)의 조작을 하면, 이 대표색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색변경 조작이 무효화 조작(DisableOperation)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라인(3-f)는, 비데오 편집에서의 잘라붙이기(VideoEdit)가 이 메타데이터의 부여 범위내에서 행해지면, 이 대표색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에 대해, 라인(3-g)는, 이 부여 범위의 비데오 컨텐츠 부분에 대해 색변경 조작이 실제로 행해진 것을 나타내고 있다.
라인(3-k)로부터 (3-q)는, 상기 부여 범위내의 대사에 관한 메타데이터이다. 기술의 구조는, 상기 대표색의 경우와 같다. 즉, 라인(3-p)는, 대사가 "안녕하세요"라고 하는 내용의 메타데이터이다. 라인(3-m)은, 메타메타데이터이며, 비데오 컨텐츠의 상기 부여 범위내에서 음성 정보의 변경(AudioChange)을 하면, 이 메타데이터를 이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라인(3-n)에서는, 이 부여 범위의 비데오 컨텐츠 부분에 대해, 색변경 조작이 행해진 것을 나타내고 있다.
라인(3-r)로부터 (3-w)는, 상기 부여 범위에 있어서의 촬영 대상에 관한 메타데이터이다. 기술의 구조는, 상기 대표색이나 대사의 경우와 같다. 즉, 라인(3-t)는, 촬영 대상의 메타데이터로서, 이 대상 구간내의 동영상중에 사람이 촬영되고 있고 그의 이름이 "스즈키 이치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라인(3-s) ~ (3-u)는, 메타메타데이터를 기술하고 있으며, 이 경우, 당해 부여 범위의 비데오 컨텐츠 부분에 대해서 어떠한 조작을 해도, 이 메타데이터가 유효한 것을 의미하고 있다((3-t): 무효화 조작(DisableOperation)이 없다(Nothing)).
또한, 라인(3-s) ~ (3-u)의 메타메타데이터에는, 상기 2개의 메타메타데이터와 달리, 색변경의 조작 기록이 기술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색변경 조작 후에 라인(3-r) ~ (3-w)로 나타나는 아이템이 추가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아이템의 추가가 발생하는 케이스로서는, 비데오 편집에 있어서 다른 구간의 데이터를 접속함으로써 각각의 구간이 가지고 있던 메타데이터가 결합되었을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편집을 반복함으로써, 메타데이터는, 동일 비데오 컨텐츠상에서 만나도, 여러가지 값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가 용이하게 생기게 된다.
부여 범위마다 이상과 같은 메타데이터의 기술이 이루어진다. 도 7은 상기 메타데이터의 비데오컨텐츠에의 부여 상태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701)은 비데오 컨텐츠이며, 도 7에서는 4개의 부여 범위에 메타데이터가 부여되어 있다. (702)는 메타데이터의 하나의 데이터 구성을 나타내고 있어 상기 도 3에 준한 데이터 구성이 나타나고 있다. 메타데이터(702)는 당해 메타데이터의 비데오 컨텐츠에 있어서의 부여 범위를 나타내는 부여 범위 정보(703), 대표색 등의 메타데이터를 나타내는 메타데이터 아이템(704) ~ (706)(메타데이터 아이템의 수는 특히 제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또한, 메타데이터 아이템(704) ~ (706)의 각각은, 당해 메타데이터의 유효성을 판정하기 위한 메타메타데이터(707) ~ (709)를 포함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제 1실시형태예의 메타데이터는, 동영상 등의 컨텐츠에 메타데이터를 부여하는 동시에, 그 메타데이터의 각 아이템의 유효성을 판정하기 위한 판단용 정보를 메타메타데이터로서 부여하고, 그 메타데이터와 메타메타데이터의 양쪽 모두를 함께 각각의 기기 등에서 이용 가능하게 한다. 이것에 의해, 각 컨텐츠는, 그 메타메타데이터라고 하는 용장 부분을 가지게 되지만, 그 메타메타데이터의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컨텐츠의 편집·가공을 했을 경우에, 그 메타데이터의 각 아이템이 이용가능한지의 여부를, 각 기기에서 판정할 수가 있다. 또한, 그 메타데이터의 아이템을 모르는 기기에서도, 그 유효성의 판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그 판정의 처리는 각 기기내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그 처리 작업을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분산화된 처리장치안에서, 메타데이터에의 처리를, 그 메타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메타메타데이터)로부터 결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일본국 공개특허 평 08-077116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과는 달리, 중심적으로 처리를 지시하는 부분을 보유하지 않지만, 처리의 분산화가 가능하고, 또한, 개개의 기기에 있어 미지의 메타데이터에 대해서도 실시할 수 있다고 하는 특징 있는 구성, 작용을 얻을 수 있다.
도 4는, 실제로, 비데오 컨텐츠에 대해서, 그 비데오 데이터의 편집·가공을 실시하고 있는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윈도우 시스템을 이용했을 경우의 화면의 예로, 이 화면은, 도 1의 표시 콘트롤러(CRTC)나 캐릭터 제너레이터(CG)를 개재하여, 표시장치(CRT)에 표시되고 있는 것이다.
(4-1)은 타이틀 바로 불리는 것으로서, 이 윈도우 전체의 조작, 예를 들면 이동이나 크기의 변경 등의 조작을 실시하는 부분이다. (4-2)는 툴바로 불리는 부분으로서, 이 윈도우내의 주된 기능을 간단하게 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4-3)은, 현재, 편집/가공을 하려고 하고 있는 대상의 동영상의 장면(씬: scene)이나 정지화면을 선택하는 부분이다. 도 4에서는, 디지털 비데오녹화기로 녹화한 "야마다씨의 결혼식.mpg"라고 하는 동영상 파일내의 장면에 도착해 작업을 실시하고 있는 중임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탭상의 슬라이더를 도 1의 키보드(KB) 등의 입력장치를 이용해서 조작함으로써, 이 동영상내의 임의의 구간을 지정해 장면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의 영역(4-3)에 있어서, 큰 범위안에 있는 그림의 부분이 현재 선택되고 있는 장면의 선두의 1 쇼트(1 프레임)이며, 그 전후의 장면에 대해서도, 같은 화면을 볼 수 있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용자는, 자신이 편집·가공하고 싶은 비데오컨텐츠내의 구간을 1개의 장면으로서 선택할 수가 있다. 본 제 1실시형태예는, 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편집이나 가공이나 재생 등을 실시할 때를 위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검색을 시작으로 하는 여러가지 이용 방식의 장치나 수단의 일부의 기능으로서 이용할 수 있어 본 발명의 특징 부분 이외의의 기능을 불필요하게 하거나 또는 여러가지 기능 부분을 부가함으로써 고도의 기능을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들 모든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4-4)는, 영역(4-3)에서 선택한 장면을 재생해 보기 위한 부분이며, 슬라이더로 불리는 탭 등을 조작함으로써, 이 장면내의 임의의 쇼트나 프레임을 자유롭게 이동시켜 볼 수가 있다. 또한, 이 장면이 촬영된 시간 등의 정보가 있으면, 영역(4-4)안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 부분을 이용해서, 이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장면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4-5)는, 영역(4-3) 및 (4-4)에 있어서 자른 구간에 대해서, 편집·가공·효과 등을 지시하는 부분이다. 해당 영역(4-5)에 있어서, 임의의 편집·가공·효과를 선택하고, "추가" 버튼을 누르면, 지정된 편집·가공·효과를 실행하여, 영역(4-62)에 추가등록된다. 이 때에, 본 실시형태예의 메타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메타데이터의 처리를 하게 된다. 이 처리의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4-6)은, 편집/가공된 비데오 데이터를 정렬해서 비데오 데이터로서 출력하고, 본 장치에 이용가능한 비데오 컨텐츠로서 메타데이터와 메타메타데이터가 부여된 상태에서 격납되는 기능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영역(4-61)은 출력 형식을 지정하는 부분이다. 영역(4-62)는, 영역(4-3), (4-4) 및 (4-5)에서 추출되고, 필요에 따라서 편집된 비데오 데이터를 배열해 두는 곳이다. 여기서 이 차례를 변경함으로써, 최종적인 비데오컨텐츠에서의 차례를 지정·변경할 수가 있다.
(4-7)은, 영역(4-6)에 진열되어 있는 비데오 데이터를, 1개의 비데오컨텐츠로서 출력하는 것을 지시하는 부분이다.
도 5는, 비데오 데이터의 구간이 지정되고, 당해 구간에 대해서 편집·가공등이 행해졌을 경우의 메타데이터에 대한 처리의 순서의 개략을 표시한 순서도이다. 도 5의 처리는, 예를 들면,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실현될 경우의 것이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시에, 전체의 처리는 1개의 장치에 의해 행해지거나, 복수의 장치에 의해 1개씩 부분적으로 행해지거나 또는 복수의 장치에 의해 병렬로 행해지거나 해도 된다.
이하, 도 5에 표시한 처리 내용과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비데오 데이터의 구간이 지정되어, 편집·가공 등이 지시되면, 스텝 S5-1로부터 처리가 개시된다.
스텝 S5-2에서는, 본 처리에서 처리 대상이 되는 메타데이터 및 그 메타데이터용의 메타메타데이터와, 지시받은 편집/가공의 내용에 대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미리 준비해 둔다. 여기에서는 여러가지 방법을 고려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각 정보를, 도 1의 기억 매체인 (DISK)나 (MemCard)로부터 읽어내, 이용하기 쉽게 도 1의 RAM 위에, 형식을 변환해 배치하는 처리를 한다.
스텝 S5-3에서는, 편집/가공의 대상으로 되는 구간안에 그 모두 또는 일부가 포함되는 구간에 대응한 메타데이터를 검색한다. 예를 들면, 구간(721)이 편집/가공 대상으로 되어 추출되었을 경우에는, 비데오 컨텐츠의 B, C, D의 부분을 부여 범위로 하는 메타데이터가 추출되게 된다. 이 경우, A의 부분을 부여 범위로 하는 메타데이터는 선택되지 않는다.
스텝 S5-4에서는, 스텝 S5-3에 의한 검색의 결과, 이번 처리 대상이 되는 메타데이터에 메타메타데이터의 이용이 필요한 메타데이터가 있었는지 어떠했는지를조사한다. 이 결과, 스텝 S5-4에서 "아니오"이면, 처리를 종료하고; "예"이면 스텝 S5-5로 이동한다.
스텝 S5-5에 있어서, 개개의 메타데이터에 대해서, 그 메타메타데이터의 기술 영역(도 7의 (707) ~ (709))에, 이번에 행해진 편집·가공의 처리 내용을 편집 조작 이력의 메타메타데이터로서 추가해 둔다. 또한, 메타메타데이터로서의 편집 조작 이력의 추가는, 각 메타데이터 아이템마다 된다.
스텝 S5-6에서는, 편집·가공시 지정된 컨텐츠의 구간을 추출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도 4의 영역(4-62)에 추출 구간을 배열시키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5-6에서 "아니오"이면 처리를 종료한다. 이 결과, 상기 편집된 메타데이터가 당해 비데오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로서 유지되게 된다.
스텝 S5-6에서 "예"이면, 스텝 S5-7로 진행되어, 당해 추출 구간에 그 일부 또는 전체가 포함되는 구간에 대응한 메타데이터(스텝 S5-3에서 검색된 메타데이터)를 메모리의 작업 영역에 복사한다. 그리고, 스텝 S5-8에서 필요한 편집을 행한다. 예를 들면, 도 7에 있어서, 구간 B와 구간 D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는, 부분적으로 버려지므로, 비데오 편집이 이루어진 취지(VideoEdit)가 메타메타데이터로서 추가 기술된다. 또한, 구간 B, C, D에 대응하고 있던 메타데이터의 각각의 부여 범위를, 편집 후의 위치에 따라서 변경한다.
그 후, 스텝 S5-9에 있어서, 편집완료된 메타데이터를 당해 추출된 컨텐츠와 함께 출력한다. 스텝 S5-10은, 본처리의 종료를 나타낸다.
이상의 처리를 반복해서, 최종적으로 출력 버튼(4-7)이 눌러지면, 영역(4-61)에 배열되어 있던 추출 구간의 컨텐츠가, 그 배열되어 있었던 차례로 결합되어, 하나의 동영상 파일로서 출력된다. 이 때, 스텝 S5-8에서 편집된 데이터가, 이 새로운 컨텐츠에 부여되게 된다.
다음에, 도 6에 표시한 메타데이터의 검색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이것은 키워드를 이용한 비데오 컨텐츠(혹은 그 구간)의 검색에 대응한다.
비데오 데이터로서 구간 지정하고, 검색 등의 지시를 했을 경우에, 이 스텝 S6-1로부터 처리가 개시된다. 여기에서는 검색을 예로 들지만, 메타데이터를 참조한 컨텐츠에의 어떠한 조작, 나아가서는 메타데이터에 관한 어떠한 조작도 본 발명에 적용가능하다.
스텝 S6-2에서는, 본 처리에 있어서 처리 대상이 되는 메타데이터 및 그 메타데이터용의 메타메타데이터는, 이들의 검색을 할 수 있도록, 미리 준비해 둔다. 여기에서는 여러가지 방법을 고려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각 정보를, 도 1의 기억 매체인 (DISK)나 (MemCard)로부터 읽어내, 이용하기 쉽게 도 1의 (RAM) 위에, 형식을 변환해 배치하는 처리를 한다. 스텝 S6-3에서는, 검색 조건으로 지시받은 구간이나 메타데이터의 종류 등에 따라, 상당하는 메타데이터를 검색한다.
스텝 S6-4에서는, 이번 검색 결과가 되는 후보의 메타데이터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후보 메타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스텝 S6-5로 이동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6-6으로 이동한다. 스텝 S6-5는, 이번 검색 결과가 되는 후보의 메타데이터가 있었을 경우의 처리이다. 스텝 S6-5에서는, 그 개개의 메타데이터에 대해서, 그 메타메타데이터를 조사해, 그 메타데이터가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해당 메타데이터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메타데이터를 검색 결과의 후보로부터 제외한다.
예를 들면,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은 메타데이터와 메타메타데이터가 있었을 경우에는, 대표색의 메타데이터는 그 메타메타데이터로서, 라인(3-e)에서 색변경의 조작을 하면 이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이 기록되고, 라인(3-g)에서 그 색변경의 조작을 했던 것이 기록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 2개의 기술로부터, 이 대표색의 메타데이터는 이용 불가능이라고 판단된다. 마찬가지로, 대사의 메타데이터에서는, 라인(3-m)에서 이용 불가능하게 되는 조작으로서 음성 정보의 변경이 있지만, 라인(3-n)에서는 색변경의 조작 밖에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이것은 이용 가능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촬영 대상에 관한 메타데이터에는, 편집 조작 이력의 메타메타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해당 편집대상에 관한 메타데이터는 이용 가능이라고 판단된다.
예를 들어, 색변경의 조작으로서, 낡은 사진과 같은 색조로 변화시키는 세피아 처리를 실시했을 경우, 세피아 처리는, 색조를 변경하므로, 대표색 메타데이터의 값을 재차 계산할 필요가 있어, 그대로는 사용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음성이나 다른 촬영된 대상이나 구도 등의 정보는 변경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의 판단과 같이 된다. 또한, 만일, 음성 정보를 고쳐 쓰는 애프터레코딩 처리를 실시했을 경우에는, 동영상 부분은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색정보의 메타데이터는 이용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지만, 대사가 변경되거나 버려져서, 대사의 메타데이터는 이용 불가능하게 된다. 즉, 대사의 메타데이터는 사용할 수 없게 되지만, 그 이외의 메타데이터는 이용 가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편집/가공 처리의 내용에 의해, 이용 가능한 메타데이터와 그렇지 않은 메타데이터가 있어, 본 제 1실시형태예에서는, 그러한 관점으로부터의 판단을 행하기 위한 판단용 정보를 메타메타데이터로서 메타데이터중에 기술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메타데이터에 부여된 메타메타데이터를 사용해, 그 메타데이터가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 메타데이터에 대해 대응하고 있지 않는 기기도, 판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처리를 분산해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해서, 여러가지 메타데이터가 부여되고 있는 경우에, 그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해서 편집·가공 등이 행해져도 부정확한 메타데이터가 부여된 상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조작을 실시할 때에, 용이하고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이용자는, 용이하게, 또한 효과적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동영상, 정지화면, 음성 등이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해서 편집·가공을 실시했을 경우에는, 그 메타데이터의 특성이나 상태도 변경해야 할 경우나, 이용할 수 없게 되는 메타데이터가 출현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해서, 본 제 1실시형태예에서는, 컨텐츠에 대해서 편집이나 가공을 행한 기기가, 그 메타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을지 어떨지에 관계없이, 메타메타데이터로서 편집 조작 이력을 기술함으로써, 메타데이터 상태를 변화시킬 수가 있다. 또한, 이 메타데이터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검색, 편집, 가공시 이용되는 것이다.
즉, 본 제 1실시형태예에 의하면, 이러한 동영상이나 정지화면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해, 편집·가공 등의 조작을 실시했을 경우에, 기기에 있어 기존의 메타데이터뿐만 아니라, 미지의 메타데이터에 대해서도, 적어도 그 메타데이터가, 편집·가공 후에도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수단(메타메타데이터)을 제공할 수가 있어 메타데이터의 정확한 이용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메타데이터에 대응하고 있지 않는 기기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편집·가공을 했을 경우에서도, 메타데이터에 대응한 기기에 있어서 그 메타데이터가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의 판정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해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해서, 여러가지 메타데이터가 부여되고 있는 경우에, 그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해서 편집·가공 등이 행해졌을 경우에도, 각 메타데이터의 유효성을 확실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메타데이터를 이용하는 기기는, 이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검색 등의 이용·조작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용자는, 용이하게, 또한 효과적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제 2실시형태예>
상기 제 1실시형태예에서는, 각 메타데이터 아이템에 기술된 메타메타데이터에는,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당해 메타데이터 아이템을 무효로 하는 편집 조작이, “DisableOperation"으로서 기술되고 있다. 본 제 2실시형태예에서는, 무효가 되는 조건(편집 조작)을 취득하기 위한 참조처를 기술한다.
도 8은, 제 2실시형태예에 의한 비데오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XML 형식에 의한 기술 예를 표시한 도면이다. 이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이하에 설명한다.
라인(8-a)는 메타데이터가 해당 라인(8-a) 이후 계속되는 것을 기술한 것으로서, 이러한 XML 형식으로 데이터를 기술했을 경우, 메타데이터 이외의 정보도 기술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그 구별을 위해서 해당 라인(8-a)가 기술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라인(8-x)는 당해 메타데이터의 기술의 종료를 기술한 것으로, 라인(8-b)로부터 (8-w)가 메타데이터인 것을 기술하고 있다.
메타데이터의 내용으로서는, 라인(8-b) ~ (8-d), (8-f) ~ (8-k), (8-m) ~ (8-r), (8-t) ~ (8-w)는, 도 3의 (3-b) ~ (3-d), (3-g) ~ (3-l), (3-n) ~ (3-s), (3-u) ~ (3-x)와 동일한 기술이며, 이들 기술의 의미는 동일하다. 도 8에 있어서, 도 3과는, 메타데이터가 무효가 되는 처리의 기술이 달라, 도 3에 있어서의 라인(3-e), (3-f), (3-m) 및 (3-t)의 기술대신에, 라인(8-e), (8-l) 및 (8-s)와 같이 기술되고 있다. 이하, 이들 부분을 설명한다.
라인(8-e)는 메타메타데이터의 내용이며, 이 메타데이터의 부여 범위내에서 어떠한 조작이 행해지면, 이 메타데이터를 이용할 수 없게 되는가 하는 판단용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가 격납되고 있다. 본 제 2실시형태예에서는, 그 정보를 네트워크로부터 입수할 때의 액세스 정보가 되는 URL로서 기술하고 있다. 또한, URL을 이용하는 것은 단지 일례일 뿐이며, 판단용 정보의 입수를 확실히 행할 수 있는 정보이면 어떠한 정보라도 상관없다. 이것은 (8-l) 및 (8-s)도마찬가지이다.
상기 제 2실시형태예에 있어서, 비데오컨텐츠내의 구간을 추출하고 있지만, 이러한 조작만으로도, 메타데이터의 이용가능성을 변화시켜도 된다. 본 실시형태예의 대표색 메타데이터나 대사 메타데이터는 부여 구간의 일부만으로도 비데오컨텐츠의 편집·가공을 실시하는 구간으로서 지정되었을 경우에는, 이들 메타데이터는 이용할 수 없게 되지만, 촬영 대상에 관한 메타데이터는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이 해서 메타메타데이터를 기록하게 된다. 상기 스텝 S5-8에 있어서는, 편집 조작 이력에 VideoEdit를 추가하고 있다.
또한, 메타데이터에 따라서는, 이 구간 추출에 의해, 메타데이터가 대응하는 구간의 전방이 잘라내질까 후방이 잘라내지는가 하는 절취 방식에 의해서도, 이용 가능성이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책으로서, 그러한 절취 상태를 나타내는 편집 조작 이력의 기술과, 그러한 조작에 대해서 메타데이터가 이용 가능하게 될까 불가능하게 될까의 기술을 메타메타데이터로서 기록해 두면, 메타데이터가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해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해서, 여러가지 메타데이터가 부여되고 있는 경우에, 그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해서 편집·가공 등이 행해졌을 경우에도, 부정확한 메타데이터가 부여된 상태를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메타데이터를 이용하는 기기가, 이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검색 등의 이용·조작을 실시할 때에, 용이하고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이용자는, 용이하게, 또한 효과적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이용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실시형태예의 스텝 S5-8에서는, 추출된 메타데이터에 대해 절취에 수반하는 구간 변경이나 각 아이템에의 편집 조작 이력의 추가를 행하지만, 편집 후의 컨텐츠에 적응하도록 메타데이터를 자동적으로 갱신해도 된다.
그 갱신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처리를 들 수 있다.
(1) 무효화 조작의 기술과 편집 이력의 기술을 비교하고, 무효라고 판정된 메타데이터 아이템에 대해, 편집 후의 컨텐츠에 따라 변경을 행한다. 예를 들면, 대표색의 경우, 당해 메타데이터의 구간안의 컨텐츠로부터 대표색을 산출해 이것을 새로운 메타데이터로 한다. 이 경우, 이 메타데이터는 구메타데이터 아이템을 갱신해도 되고, 혹은 갱신 후의 데이터를 새로운 메타데이터 아이템으로서 추가해도 된다(갱신전의 메타데이터 아이템은 그대로 남긴다).
(2) 무효화 조작의 기술과 편집 조작 이력의 기술을 비교하고, 무효라고 판정된 메타데이터 아이템에 대해, 당해 메타데이터로부터 삭제한다.
(3) 무효화 조작의 기술과 편집 조작 이력의 기술을 비교하고, 무효라고 판정된 메타데이터 아이템에 대해, 당해 장치에 있어서 수정이 가능하면 그것을 변경하고, 수정이 불가능하면 그것을 삭제한다.
도 9는, 메타데이터의 자동 편집 처리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스텝 S9-1에 있어서 메타메타데이터중의 기술에 의거하여 당해 메타데이터 아이템의 유효성을 판정한다. 예를 들면, 도 3의 (3-e) 및 (3-f)에 기술된 무효화 조작과, 라인(3-g)에 기술된 편집 이력을 비교하고, 당해 메타데이터 아이템이 유효한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메타데이터 아이템이 무효인 경우는, 스텝 S9-2로부터 스텝 S9-3으로 진행되어, 그 메타데이터 아이템을 수정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라인(3-e) ~ (3-f)에 기술된 메타메타데이터에 의해 유효성이 판정된 메타데이터 아이템은, 대표색(DominantColor)이므로, 대표색을 산출하기 위한 기능이 해당 기기에 갖춰져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게 된다. 스텝 S9-3에서 "예"인 경우(기기가 수정기능을 가지는 경우)는, 스텝 S9-4로 진행되어, 컨텐츠중의 당해 메타데이터의 부여 범위의 데이터에 의거하여 메타데이터를 취득(이 경우, 대표색을 산출)하고, 메타데이터 아이템을 수정한다. 이 때, 당해 메타데이터 아이템의 메타메타데이터의 편집 조작 이력은 리세트된다.
또한, 상기 (2)의 삭제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는, 스텝 S9-3 및 S9-4를 삭제 처리로 치환하면 된다. 또한, 상기 (3)의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는, 스텝 S9-3에서 수정 불가능으로 판정되었을 경우에, 당해 아이템을 삭제하는 처리를 추가하면 된다.
<제 3실시형태예>
이하, 본 제 3실시형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제 3실시형태예에 있어서의 정보처리장치의 구성은, 제 1실시예의 것과(도 1 및 도 2) 동일하므로, 그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제 3실시형태예에 의한 비데오콘텐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XML 형식에 의한 기술 예를 표시한 도면이다. 이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이하에 설명한다.
라인(10-a)는 메타데이터가 라인(10-a) 이후 계속되는 것을 기술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XML 형식으로 데이터를 기술했을 경우, 메타데이터 이외의 정보도 기술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해당 메타데이터의 구별을 위해서 라인(10-a)가 기술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라인(10-y)는 당해 메타데이터의 기술의 종료를 기술한 것이고, 라인(10-b)로부터 (10-x)가 메타데이터를 기술하는 것이다.
메타데이터의 내용으로서는, 먼저, 라인(10-b)에 당해 메타데이터가 부여되는 컨텐츠의 범위, 즉 부여 범위가 지정되고 있다. 라인(10-b)에서는, 비데오 컨텐츠중의 0시 2분 12초부터 0시 4분 34초까지가 이 메타데이터의 부여 범위인 것이 기술되어 있다. 그리고, 그 라인(10-b) 이후부터, 그 부여 범위에 대해서 부여된 메타데이터의 내용이, 기술되게 된다. 라인(10-x)는 이 부여 범위에 적용되는 메타데이터의 기술의 종료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것에 의해, 라인(10-w)까지가, 이 부여 범위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메타데이터에는, (10-c) ~ (10-i), (10-j) ~ (10-o), (10-p) ~ (10-w)의 3개의 메타데이터 아이템이 포함되어 있다.
라인(10-c)로부터 (10-i)는, 상기 부여 범위내의 비데오컨텐츠의 동영상 부분의 내용의 대표색이 메타데이터로서 부여된 것을 기술한 부분이다. 라인(10-c)는 그 메타데이터의 개시를 기술하고 있고, 라인(10-i)가 그 기술의 종료를 기술하고 있다. 라인(10-h)는 그 대표색을 R, G 및 B의 값으로 기술하고 있다. 이 대표색은, 비데오컨텐츠내의 검색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메타데이터의 일종이다.
라인(10-d)로부터 (10-g)는, 당해 메타데이터가 이용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를 기술하며, 메타데이터의 메타데이터내용, 즉, 메타메타데이터를 나타낸다. 라인(10-d)는 그 메타메타데이터의 기술의 개시를 기술하고, 라인(10-g)는 그 기술의 종료를 나타내고 있다. 라인(10-e)는 메타메타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며, 이 메타데이터의 부여 범위내에서 색변경(Co1orChange)의 조작을 하면, 이 대표색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색변경 조작이 무효화 조작(DisableOperation)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라인(10-f)는, 비데오 편집에서의 잘라붙이기(VideoEdit)가 이 메타데이터의 부여 범위내에서 행해지면, 이 대표색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라인(10-j)로부터 (10-o)는, 상기 부여 범위내의 대사에 관한 메타데이터이다. 기술의 구조는, 상기 대표색의 경우와 같다. 즉, 라인(10-n)은, 대사가 "안녕하세요"라고 하는 내용의 메타데이터이다. 라인(10-l)은, 메타메타데이터이며, 비데오 컨텐츠의 상기 부여 범위내에서 음성 정보의 변경(AudioChange)을 하면, 이 메타데이터를 이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라인(10-p)로부터 (10-w)는, 상기 부여 범위에 있어서의 촬영 대상에 관한 메타데이터이다. 기술의 구조는, 상기 대표색이나 대사의 경우와 같다. 즉, 라인(10-t) 내지 (10-v)는, 촬영 대상의 메타데이터로서, 이 대상 구간내의 동영상중에 사람이 촬영되고 있고 그의 이름이 "스즈키 이치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라인(10-q) ~ (10-s)는, 메타메타데이터를 기술하고 있으며, 이 경우, 당해 부여 범위의 비데오 컨텐츠 부분에 대해서 어떠한 조작을 해도, 이 메타데이터가 유효한 것을 의미하고 있다((10-r): 무효화 조작(DisableOperation)이없다(Nothing)).
이러한 메타데이터는 각 부여범위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다음에, 도 7에 있어서의 상기 데이터구성을 지닌 영상컨텐츠에 메타데이터 및 메타메타데이터가 부여된다.
이와 같이 해서, 본 제 3실시형태예의 메타데이터는, 동영상 등의 컨텐츠에 부여하는 동시에, 그 메타데이터의 각 아이템의 유효성을 판정하기 위한 판단용 정보를 메타메타데이터로서 부여하고, 그 메타데이터와 메타메타데이터의 양쪽 모두를 함께 각각의 기기 등에서 이용 가능하게 한다. 이것에 의해, 각 컨텐츠는, 그 메타메타데이터라고 하는 용장 부분을 가지게 되지만, 그 메타메타데이터의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컨텐츠의 편집·가공을 했을 경우에, 그 메타데이터의 각 아이템이 이용가능한지의 여부를, 각 기기에서 판정할 수가 있다. 또한, 그 메타데이터의 아이템을 모르는 기기에서도, 그 유효성의 판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그 판정의 처리는 각 기기내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그 처리 작업을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분산화된 처리장치안에서, 메타데이터에의 처리를, 그 메타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메타메타데이터)로부터 결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제 3실시형태예는, 일본국 공개특허 평 08-077116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과는 달리, 중심적으로 처리를 지시하는 부분을 보유하지 않지만, 처리의 분산화가 가능하고, 또한, 개개의 기기에 있어 미지의 메타데이터에 대해서도 실시할 수 있다고 하는 특징 있는 구성, 작용을 얻을 수 있다.
도 4 및 본 제 3실시형태예의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도 11)를 참조해서 비데오 데이터의 편집·가공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의 구성은 이미 제 1실시형태예에 있어서 설명하였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비데오 데이터의 구간이 지정되고, 당해 구간에 대해서 편집·가공등이 행해졌을 경우의 메타데이터에 대한 처리의 순서의 개략을 표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의 처리는, 예를 들면,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실현되는 경우의 것이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에, 처리는, 부분적으로 혹은 전체적으로, 또는, 동일 또는 복수의 장치로 행하는 경우도 있고, 이들이 동시에 병렬로 동작하는 경우도 있지만,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모두 본 발명의 목적은 달성된다.
이하, 도 11에 표시한 처리 내용과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비데오 데이터의 구간이 지정되어, 편집·가공 등이 지시되면, 스텝 S11-1로부터 처리가 개시된다.
스텝 S11-2에서는, 본 처리에서 처리 대상이 되는 메타데이터 및 그 메타메타데이터와, 지시받은 편집/가공의 내용에 대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미리 준비해 둔다. 여기에서는 여러가지 방법을 고려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각 정보를, 도 1의 기억 매체인 (DISK)나 (MemCard)로부터 읽어내, 이용하기 쉽게 도 1의 RAM 위에, 형식을 변환해 배치하는 처리를 한다.
스텝 S11-3에서는, 편집/가공의 대상으로 되는 구간안에 그 모두 또는 일부가 포함되는 구간에 대응한 메타데이터를 검색한다. 예를 들면, 구간(추출된 구간)(721)이 편집/가공 대상으로 되어 추출되었을 경우에는, 비데오 컨텐츠의 B, C, D의 부분을 부여 범위로 하는 메타데이터가 추출되게 된다. 이 경우, A의 부분을부여 범위로 하는 메타데이터는 선택되지 않는다.
스텝 S11-4에서는, 스텝 S11-3에 의한 검색의 결과, 이번 처리 대상이 되는 메타데이터에 메타메타데이터의 이용이 필요한 메타데이터가 있었는지 어떠했는지를 조사한다. 이 결과, 스텝 S11-4에서 "아니오"이면, 처리를 종료하고; "예"이면 스텝 S11-5로 이동한다.
스텝 S11-5에 있어서, 개개의 메타데이터 아이템에 대해서, 그 메타메타데이터에 기술된 처리내용과, 해당 추출구간에 대해서 실제로 행해진 편집/가공의 처리내용을 비교해서, 해당 추출구간의 처리후의 컨텐츠에 대해서 계속되는 유효한 메타데이터 아이템으로 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래서, 실제로 행해진 편집·가공의 처리에 의해 무효로 된 메타데이터 아이템을 삭제한다.
예를 들면, 도 10과 같은 메타데이터와 메타메타데이터가 있었을 경우에, 편집·가공의 처리로서 그 추출 구간을, 낡은 사진과 같은 색조로 변화시키는 세피아 처리와, 음성 정보를 고쳐 쓰는 애프터레코딩 처리를 실시했다고 한다. 이 경우, 세피아 처리는 색조를 변경하는 "Co1orChange"처리이며, 애프터레코딩 처리는 음성 내용을 변경하는 "AudioChange"처리이다. 따라서, 도 10과 같은 메타데이터에 대해 유효성의 계속을 판정하면 도 12와 같이 된다.
세피아 처리에서는, 색조를 변경하므로, 대표색 메타데이터의 값을 재차 계산할 필요가 있어, 대표색의 메타데이터 아이템(DominantColor)은 그대로는 사용할 수 없게 되지만, 음성이나 다른 촬영 대상이나 구도 등의 정보는 변경되지 않는다. 따라서, 대표색의 메타데이터 아이템은, 세피아 처리에 따라서는 무효가 되지만,애프터레코딩 처리에 따라서는 무효화되지 않는다.
또한, 애프터레코딩 처리에서는, 동영상 부분은 변경되지 않지만, 대사가 변경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어, 대사의 메타데이터 아이템(Dialog)은 애프터레코딩 처리에 의해 사용할 수 없게 되지만, 그 이외의 메타데이터는 이용 가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편집/가공 처리의 내용에 의해, 이용 가능한 메타데이터와 그렇지 않은 메타데이터가 있는 것이다.
본 제 3실시형태예에서는, 이 점에 비추어, 메타데이터에 부여된 메타메타데이터를 사용해서 각 메타데이터 아이템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 메타데이터에 대해 대응하고 있지 않은 기기도, 그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처리를 분산해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스텝 S11-6에서는, 당해 추출 구간에 그 일부 또는 전체가 포함되는 구간에 대응한 메타데이터(스텝 S11-3에서 검색된 메타데이터)로서, 상기 스텝 S11-5에서 갱신된 메타데이터를 메모리의 작업 영역에 복사한다. 그리고, 스텝 S11-7에서 필요한 편집을 실시한다. 예를 들면, 도 7에 있어서, 구간 B와 구간 D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는, 각각 부분적으로 버려져 버리므로, 무효화 조작으로서 비디오 편집(DisableODeration VideoEdit)이 지정되어 있는 메타데이터 아이템을 삭제한다. 도 10의 예에서는, 이 시점에서 대표색(DominantCo1or)의 메타데이터 아이템이 남아 있으면, 이것이 삭제되게 된다. 또한, 도 7에 있어서, 구간 B, C, D에 대응하고 있던 메타데이터의 각각의 부여 범위를, 편집 후의 위치에 따라서 변경한다.
그 후, 스텝 S11-8에 있어서, 편집완료된 메타데이터를 당해 추출된 컨텐츠와 함께 출력한다. 스텝 S11-9는, 본 처리의 종료를 나타낸다.
이상의 처리를 반복해서, 최종적으로 출력 버튼(4-7)이 눌러지면, 영역(4-61)에 배열된 추출 구간의 컨텐츠가, 그 배열되어 있던 차례로 결합되어, 하나의 동영상 파일로서 출력된다. 이 때, 스텝 S11-7에서 편집된 메타데이터가, 이 새로운 컨텐츠에 부여되게 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해서, 여러가지 메타데이터가 부여되고 있는 경우에, 그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해서 편집·가공 등이 행해져도 부정확한 메타데이터가 부여된 상태로 되지 않게 된다. 또한,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조작을 실시할 때에, 용이하고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이용자는, 용이하게, 또한 효과적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동영상, 정지화면, 음성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해서 편집·가공을 실시했을 경우에는, 그 메타데이터의 특성이나 상태도 변경해야 할 경우나, 이용할 수 없게 되는 메타데이터가 출현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에 대해서, 본 제 3실시형태예에서는, 컨텐츠에 대해서 편집이나 가공을 행한 기기가, 그 메타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을지 어떨지에 관계없이, 메타메타데이터를 참조하고, 그 메타데이터가 계속해서 이용 가능한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그리고, 이용 불가능으로 판정된 메타데이터(아이템)를 삭제한다.
즉, 본 제 3실시형태예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해, 편집·가공 등의 조작을 실시했을 경우에, 기기에 있어 기존의 메타데이터뿐만 아니라, 미지의메타데이터에 대해서도, 적어도 그 메타데이터가, 편집·가공 후에도 이용 가능한가 어떤가를 판별하고, 이용 불가능한 메타데이터를 삭제한다. 이 때문에, 메타데이터의 정확한 이용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해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해서, 여러가지 메타데이터가 부여되고 있는 경우에, 그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해서 편집·가공 등이 행해졌을 경우에도, 각 메타데이터의 유효성을 확실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유효한 메타데이터 아이템만이 남겨지므로,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검색 등의 이용·조작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용자는, 용이하게, 또한 효과적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제 4실시형태예>
상기 제 3실시형태예에서는, 각 메타데이터 아이템에 기술되는 메타메타데이터에는, 도 10에 표시한 바와 같이, 당해 메타데이터 아이템을 무효로 하는 편집 조작이, "Disable0peration"으로서 기술되고 있다. 본 제 4실시형태에서는, 무효가 되는 조건(편집 조작)을 취득하기 위한 참조처를 기술한다. 또한, 제 4실시형태예의 장치 구성이나, 메타데이터의 갱신 처리는 제 3실시형태예의 것(도 1 및 도 5)과 동일하이다. 이하, 제 3실시형태예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3은, 제 4실시형태예에 의한 비디오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XML 형식에 의한 기술 예를 표시한 도면이다. 이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이하에 설명한다.
라인(13-a)는 메타데이터가 해당 라인(13-a) 이후 계속되는 것을 기술한 것으로서, 이러한 XML 형식으로 데이터를 기술했을 경우, 메타데이터 이외의 정보도 기술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그 구별을 위해서 기술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라인(13-x)는 당해 메타데이터의 기술의 종료를 기술한 것으로, 라인(13-b)로부터 (13-w)가 메타데이터인 것을 기술하고 있다.
메타데이터의 내용으로서는, 라인(13-b) ~ (13-d), (13-f) ~ (13-j), (13-l) ~ (13-p), (13-r) ~ (13-w)는, 도 10의 (10-b) ~ (10-d), (10-g) ~ (10-k), (10-m) ~ (10-q), (10-s) ~ (10-x)와 동일한 기술이며, 이들 기술의 의미는 동일하다. 도 13에 있어서, 도 10과는, 메타데이터가 무효가 되는 처리의 기술이 달라, 도 10에 있어서의 라인(10-e), (10-f), (10-l) 및 (10-r)의 기술대신에, 라인(13-e), (13-k) 및 (13-q)와 같이 기술되고 있다. 이하, 이들 부분을 설명한다.
라인(13-e)는 메타메타데이터의 내용이며, 이 메타데이터의 부여 범위내에서 어떠한 조작이 행해지면, 이 메타데이터를 이용할 수 없게 되는가 하는 판단용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가 격납되고 있다. 본 제 4실시형태예에서는, 그 정보를 네트워크로부터 입수할 때의 액세스 정보가 되는 URL로서 기술하고 있다. 또한, URL을 이용하는 것은 단지 일례일 뿐이며, 판단용 정보의 입수를 확실히 행할 수 있는 정보이면 어떠한 정보라도 상관없다. 이것은 (13-l) 및 (13-s)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은 기술에 의해, 장치는 각 메타데이터 아이템이 컨텐츠에 대한 편집처리후에 있어서 계속적으로 이용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정보를, 지정된 URL에 액세스해서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URL을 참조해서, 상기 도 11의 스텝 S11-5에 있어서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제 4실시형태예에 있어서, 비데오컨텐츠내의 구간을 추출하고 있지만, 이러한 조작만으로도, 메타데이터의 이용가능성을 변화시켜도 된다. 본 실시형태예의 대표색 메타데이터나 대사 메타데이터는 부여 구간의 일부만으로도 비데오컨텐츠의 편집·가공을 실시하는 구간으로서 지정되었을 경우에는, 이들 메타데이터는 이용할 수 없게 되지만, 촬영 대상에 관한 메타데이터는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텝 S11-7에 있어서는, 메타메타데이터로서 "DisableOperation VideoEdit"가 기술되어 있는 가를 조사하고, 기술되어 있으면 대응하는 메타데이터 아이템의 삭제를 행하고 있다.
또한, 메타데이터에 따라서는, 이 구간 추출에 의해, 메타데이터가 대응하는 구간의 전방이 잘라내질까 후방이 잘라내지는가 하는 절취 방식에 의해서도, 이용 가능성이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책으로서, 그러한 절취 상태를 나타내는 편집 조작 이력의 기술을 메타메타데이터로서 기록해 두면, 메타데이터가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4실시형태예에서는, 스텝 S11-5에 있어서 무효가 된 메타데이터 아이템을 삭제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무효로 판정된 메타데이터에 대해 편집 후의 비디오 데이터에 의거하여 재차 계산을 행해, 유효한 메타데이터로서 고쳐쓰거나 혹은 추가를 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색이 변경되어 대표색의 메타데이터가 무효로 판정되었을 경우에, 이 대표색을 재차 계산해 당해 메타데이터를 갱신하도록 해도 된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해서, 여러가지 메타데이터가 부여되고 있는 경우에, 그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해서 편집·가공 등이 행해졌을 경우에도, 부정확한 메타데이터가 부여된 상태를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메타데이터를 이용하는 기기가, 이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검색 등의 이용·조작을 실시할 때에, 용이하고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이용자는, 용이하게, 또한 효과적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이용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실시형태예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를 격납한 기억 매체를,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나 MPU)가 기억 매체에 격납된 프로그램 코드를 읽어내 실행함에 의해서도, 달성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 경우, 기억 매체로부터 읽어낸 프로그램 코드 자체가 전술한 실시형태예의 기능을 실현하게 되어, 그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한 기억 매체는 본 발명을 구성하게 된다.
프로그램 코드를 공급하기 위한 기억 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플로피디스크,하드 디스크, 광디스크, 광학 자기 디스크, CD-ROM, CD-R, 자기테이프, 불휘발성의 메모리 카드, ROM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어낸 프로그램코드를 실행함으로써, 전술한 실시형태예의 기능이 실현될 뿐만 아니라,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근거해, 컴퓨터상에서 가동하고 있는 OS(Operating System) 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고, 그 처리에 의해 전술한 실시형태예의 기능이 실현되는 경우도 포함되는 것은 말할필요도 없다.
또, 기억 매체로부터 읽어낸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에 삽입된 기능 확장 보드나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 확장 유닛에 갖춰진 메모리에 기록된 후,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근거해, 그 기능 확장 보드나 기능 확장 유닛이 갖춰진 CPU 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고, 그 처리에 의해 전술한 실시형태예의 기능이 실현될 경우도 포함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각 메타데이터의 유효성을 확실하게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본 발명의 명백하게 광범위한 각종의 다양한 실시형태예를 실시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이하의 청구범위에 정의된 것을 제외하고 특정 실시형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37)

  1.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편집 내용을 나타내기 위한 제 1의 기술을 포함한 메타데이터가 부여된 컨텐츠를 유지하는 유지수단;
    상기 컨텐츠를 편집하는 편집수단; 및
    상기 편집수단에 의한 편집내용과 상기 제 1의 기술에 의거해서 메타데이터의 유효성을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수단에 의해서 상기 컨텐츠에 대해서 행해진 편집내용을 나타내는 제 2의 기술을 상기 메타데이터에 부가하는 기술수단을 또 구비하고,
    상기 판정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의 기술에 의거해서 상기 메타데이터의 유효성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1개의 아이템 또는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고, 각 아이템마다 상기 제 1의 기술을 가지고,
    상기 기술 수단은, 상기 제 2의 기술을 상기 1개의 아이템 또는 복수의 아이템의 각각에 대응시켜서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기술은, 대응하는 아이템을 무효화하는 편집내용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기술과 상기 제 2의 기술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아이템의 유효성을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기술은 대응하는 아이템을 무효화하는 편집 내용을 기술하고 있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제 1의 기술과 상기 제 2의 기술에 의해 나타난 편집 내용에 의거해서 대응하는 아이템의 유효성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기술은, 대응하는 아이템을 무효화하는 편집 내용을 취득하기 위한 액세스처를 기술하고 있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액세스처로부터 편집 내용을 취득하고, 취득된 편집 내용과 상기 제 2의 기술에 의해 나타난 편집 내용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아이템의 유효성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를 참조해 컨텐츠를 조작하는 조작 수단을 또 구비하고,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무효로 판정된 아이템을 참조 대상으로부터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에 있어서의 컨텐츠에의 조작은, 컨텐츠의 검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무효로 판정된 아이템의 내용을 대응하는 컨텐츠에 의거하여 갱신하는 갱신 수단을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수단은, 상기 아이템의 갱신 후의 내용을 메타데이터에 추가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무효로 판정된 아이템을 삭제하는 삭제 수단을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1개의 아이템 또는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고, 각 아이템마다 상기 제 1의 기술을 가지며,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복수의 아이템의 각각에 대해, 유효성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기술은, 대응하는 아이템을 무효화하는 편집 내용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기술은, 대응하는 아이템을 무효화하는 편집 내용을 취득하기 위한 액세스처를 기술하고 있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액세스처로부터 편집 내용을 취득하고, 취득된 편집 내용과 상기 편집수단에 의해 상기 컨텐츠에 대해서 행해진 편집 내용에 의거해서, 메타데이터의 유효성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무효로 판정된 메타데이터 아이템을 삭제하는 삭제 수단을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무효로 판정된 메타데이터 아이템에 대해, 메타데이터 아이템을 재차 계산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메타데이터 아이템을 변경하는 변경 수단을 또 구비한 것을 정보처리장치.
  18.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편집 내용을 나타내기 위한 제 1의 기술을 포함한 메타데이터가 부여된 컨텐츠를 유지수단에 유지시키는 유지공정;
    상기 컨텐츠를 편집하는 편집공정; 및
    상기 편집공정에서 상기 컨텐츠에 대해서 행해진 편집 내용을 나타내는 제 2의 기술을 상기 메타데이터에 부가하는 기술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공정에서 상기 컨텐츠에 대해서 행해진 편집내용을 나타내는 제 2의 기술을 상기 메타데이터에 부가하는 기술공정을 또 구비하고,
    상기 판정공정은, 상기 제 1 및 제 2의 기술에 의거해서 상기 메타데이터의 유효성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1개의 아이템 또는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고, 각 아이템마다 상기 제 1의 기술을 가지고,
    상기 기술공정은, 상기 제 2의 기술을 상기 1개의 아이템 또는 복수의 아이템의 각각에 대응시켜서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기술은, 대응하는 아이템을 무효화하는 편집 내용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기술과 상기 제 2의 기술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아이템의 유효성을 판정하는 판정 공정을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기술은 대응하는 아이템을 무효화하는 편집 내용을 기술하고 있고,
    상기 판정 공정은 상기 제 1의 기술과 상기 제 2의 기술에 의해 나타난 편집 내용에 의거해서 대응하는 아이템의 유효성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기술은, 대응하는 아이템을 무효화하는 편집 내용을 취득하기 위한 액세스처를 기술하고 있고,
    상기 판정 공정은, 상기 액세스처로부터 편집 내용을 취득하고, 취득된 편집 내용과 상기 제 2의 기술에 의해 나타난 편집 내용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아이템의 유효성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를 참조해 컨텐츠를 조작하는 조작 공정을 또 구비하고,
    상기 조작 공정은, 상기 판정 공정에서 무효로 판정된 아이템을 참조 대상으로부터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공정에 있어서의 컨텐츠에의 조작은, 컨텐츠의 검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27.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공정에서 무효로 판정된 아이템의 내용을 대응하는 컨텐츠에 의거하여 갱신하는 갱신 공정을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공정은, 상기 아이템의 갱신 후의 내용을 메타데이터에 추가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29.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공정에서 무효로 판정된 아이템을 삭제하는 삭제 공정을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3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1개의 아이템 또는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고, 각 아이템마다 상기 제 1의 기술을 가지며,
    상기 판정 공정은, 상기 복수의 아이템의 각각에 대해, 유효성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기술은, 대응하는 아이템을 무효화하는 편집 내용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기술은, 대응하는 아이템을 무효화하는 편집 내용을 취득하기 위한 액세스처를 기술하고 있고,
    상기 판정 공정은, 상기 액세스처로부터 편집 내용을 취득하고, 취득된 편집 내용과 상기 편집공정에서 상기 컨텐츠에 대해서 행해진 편집 내용에 의거해서, 메타데이터의 유효성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33.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공정에서 무효로 판정된 메타데이터 아이템을 삭제하는 삭제 공정을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34.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공정에서 무효로 판정된 메타데이터 아이템에 대해, 메타데이터 아이템을 재차 계산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메타데이터 아이템을 변경하는 변경 공정을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35. 청구항 18항에 기재된 정보처리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36. 청구항 18항에 기재된 정보처리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기억 매체.
  37. 영상정보 및/또는 음성정보로부터 형성된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부여된 메타데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는,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편집내용을 나타내기 위한 기술을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데이터 파일.
KR10-2003-0005691A 2002-01-31 2003-01-29 정보처리장치 및 방법 KR1005206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24109A JP3826043B2 (ja) 2002-01-31 2002-01-31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JPJP-P-2002-00024109 2002-01-31
JPJP-P-2002-00039037 2002-02-15
JP2002039037A JP3826048B2 (ja) 2002-02-15 2002-02-15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5383A true KR20030065383A (ko) 2003-08-06
KR100520606B1 KR100520606B1 (ko) 2005-10-10

Family

ID=26625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691A KR100520606B1 (ko) 2002-01-31 2003-01-29 정보처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287222B2 (ko)
EP (1) EP1333440B1 (ko)
KR (1) KR100520606B1 (ko)
CN (1) CN125260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35492B2 (ja) 2002-03-05 2009-09-30 キヤノン株式会社 動画像管理方法及び装置
EP1491053A1 (en) * 2002-03-21 2004-12-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ulti-lingual closed-captioning
KR100511785B1 (ko) * 2002-12-20 2005-08-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미디어 컨텐츠 기술 메타데이터 저작 시스템 및 저작방법
US20050281289A1 (en) * 2004-06-21 2005-12-22 Huang Jau H System and method for embedding multimedia processing information in a multimedia bitstream
EP1784011A4 (en) * 2004-08-10 2011-09-28 Sony Corp INFORMATION SIGNAL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COMPUTER PROGRAM RECORDING MEDIUM
JP4179262B2 (ja) * 2004-10-06 2008-11-1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171394B2 (en) * 2005-06-24 2012-05-0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 customized user interface for viewing and editing meta-data
US7856429B2 (en) * 2007-05-03 2010-12-21 Magix Ag System and method for a digital representation of personal events enhanced with related global content
JP5049641B2 (ja) * 2007-05-07 2012-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コンテンツ表示制御装置及びコンテンツ表示制御方法
CN101334780A (zh) * 2007-06-25 2008-12-31 英特维数位科技股份有限公司 人物影像的搜寻方法、系统及存储影像元数据的记录媒体
KR20090032702A (ko) * 2007-09-28 2009-04-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사용자 장치및 그 방법과 저작 장치 및 그 방법
US9697229B2 (en) * 2008-04-11 2017-07-04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and storing metadata
JP5511450B2 (ja) * 2010-03-16 2014-06-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33907B2 (ja) 2010-04-07 2015-06-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987129B2 (ja) 2010-04-23 2012-07-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603641B2 (ja) * 2010-04-23 2014-10-0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678266A (zh) * 2013-12-20 2014-03-26 西南铝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金属材料断裂韧度试验结果自动处理系统
US9659032B1 (en) 2014-06-26 2017-05-23 Amazon Technologies, Inc. Building a palette of colors from a plurality of colors based on human color preferences
US9792303B2 (en) 2014-06-26 2017-10-17 Amazon Technologies, Inc. Identifying data from keyword searches of color palettes and keyword trends
US10073860B2 (en) 2014-06-26 2018-09-11 Amazon Technologies, Inc. Generating visualizations from keyword searches of color palettes
US9916613B1 (en) 2014-06-26 2018-03-13 Amazon Technologies, Inc. Automatic color palette based recommendations for affiliated colors
US10691744B2 (en) 2014-06-26 2020-06-23 Amazon Technologies, Inc. Determining affiliated colors from keyword searches of color palettes
US9996579B2 (en) 2014-06-26 2018-06-12 Amazon Technologies, Inc. Fast color searching
US10169803B2 (en) 2014-06-26 2019-01-01 Amazon Technologies, Inc. Color based social networking recommendations
US9898487B2 (en) 2014-06-26 2018-02-20 Amazon Technologies, Inc. Determining color names from keyword searches of color palettes
US9727983B2 (en) 2014-06-26 2017-08-08 Amazon Technologies, Inc. Automatic color palette based recommendations
US10235389B2 (en) 2014-06-26 2019-03-19 Amazon Technologies, Inc. Identifying data from keyword searches of color palettes
US9401032B1 (en) 2014-06-26 2016-07-26 Amazon Technologies, Inc. Image-based color palette generation
US10223427B1 (en) 2014-06-26 2019-03-05 Amazon Technologies, Inc. Building a palette of colors based on human color preferences
US9697573B1 (en) 2014-06-26 2017-07-04 Amazon Technologies, Inc. Color-related social networking recommendations using affiliated colors
US9524563B2 (en) 2014-06-26 2016-12-20 Amazon Technologies, Inc. Automatic image-based recommendations using a color palette
US9922050B2 (en) 2014-06-26 2018-03-20 Amazon Technologies, Inc. Identifying data from keyword searches of color palettes and color palette trends
US9679532B2 (en) 2014-06-26 2017-06-13 Amazon Technologies, Inc. Automatic image-based recommendations using a color palette
US9514543B2 (en) 2014-06-26 2016-12-06 Amazon Technologies, Inc. Color name generation from images and color palettes
US10255295B2 (en) 2014-06-26 2019-04-09 Amazon Technologies, Inc. Automatic color validation of image metadata
US10120880B2 (en) 2014-06-26 2018-11-06 Amazon Technologies, Inc. Automatic image-based recommendations using a color palette
US9652868B2 (en) * 2014-06-26 2017-05-16 Amazon Technologies, Inc. Automatic color palette based recommendations
US10430857B1 (en) 2014-08-01 2019-10-01 Amazon Technologies, Inc. Color name based search
US9633448B1 (en) 2014-09-02 2017-04-25 Amazon Technologies, Inc. Hue-based color naming for an image
US9785649B1 (en) 2014-09-02 2017-10-10 Amazon Technologies, Inc. Hue-based color naming for an image
US9705884B2 (en) * 2015-09-25 2017-07-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lligent access control
US11942117B2 (en) 2019-04-01 2024-03-26 Blackmagic Design Pty Ltd Media management system
US11721365B2 (en) * 2020-11-09 2023-08-08 Blackmagic Design Pty Ltd Video editing or media manage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3677A (en) * 1994-06-08 1996-02-20 Systems Research & Applications Corporation Generation, archiving, and retrieval of digital images with evoked suggestion-set captions and natural language interface
JPH0877116A (ja) 1994-08-31 1996-03-22 Fujitsu Ltd プログラム実行方式
US8386912B2 (en) * 1997-07-28 2013-02-26 Ca, Inc. Hypermedia document publishing including hypermedia document parsing
US7010532B1 (en) * 1997-12-31 2006-03-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ow overhead methods and apparatus for shared access storage devices
GB2340265B (en) * 1998-07-31 2003-04-23 Sony Uk Ltd Data processing
US6502174B1 (en) * 1999-03-03 2002-12-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meta data
JP4072302B2 (ja) 1999-04-13 2008-04-09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処理方法及び装置及び記憶媒体
US6411724B1 (en) * 1999-07-02 2002-06-2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Using meta-descriptors to represent multimedia information
GB2356509B (en) 1999-11-16 2004-02-11 Sony Uk Ltd Video data formatting and storage
AUPQ464099A0 (en) * 1999-12-14 2000-01-13 Canon Kabushiki Kaisha Emotive editing system
US20020178370A1 (en) * 1999-12-30 2002-11-28 Gurevich Michael 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authentication and sensitive data management
US6792047B1 (en) * 2000-01-04 2004-09-14 Emc Corporation Real time processing and streaming of spliced encoded MPEG video and associated audio
US6523046B2 (en) * 2000-02-25 2003-02-18 Microsoft Corporation Infrastructure and method for supporting generic multimedia metadata
US6591265B1 (en) * 2000-04-03 2003-07-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behavior-based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JP2001298697A (ja) 2000-04-10 2001-10-26 Sony Corp プロダクションシステム及びプロダクション方法
JP2002015333A (ja) 2000-06-30 2002-01-18 Micro Brain:Kk マルチメディアオーサリングツール及びオーサリング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40041082A (ko) * 2000-07-24 2004-05-13 비브콤 인코포레이티드 멀티미디어 북마크와 비디오의 가상 편집을 위한 시스템및 방법
US6968510B2 (en) * 2001-02-05 2005-11-22 Alpine Electronics, Inc. Function executing apparatus and menu item displaying method therefor
US7363372B2 (en) * 2001-02-06 2008-04-22 Mtvn Online Partners I Ll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ntent delivered to a user over a network
US6760734B1 (en) * 2001-05-09 2004-07-06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Framework for storing metadata in a common access repository
US7206791B2 (en) * 2002-01-17 2007-04-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securing meta data
US6968349B2 (en) * 2002-05-16 2005-11-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validating a database record before applying journal data
CA2391717A1 (en) * 2002-06-26 2003-12-26 Ibm Canada Limited-Ibm Canada Limitee Transferring data and storing metadata across a network
US8301884B2 (en) * 2002-09-16 2012-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managing metadata
US7107520B2 (en) * 2002-11-18 2006-09-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utomated propagation of document meta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33440B1 (en) 2015-01-07
KR100520606B1 (ko) 2005-10-10
US7287222B2 (en) 2007-10-23
US20030142124A1 (en) 2003-07-31
CN1435772A (zh) 2003-08-13
EP1333440A2 (en) 2003-08-06
EP1333440A3 (en) 2008-11-19
CN1252609C (zh) 200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0606B1 (ko) 정보처리장치 및 방법
CN112291627B (zh) 一种视频编辑方法、装置、移动终端和存储介质
US7752548B2 (en) Features such as titles, transitions, and/or effects which vary according to positions
CA2253124C (en) Video searching method and apparatus, video information produc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storing processing program thereof
JP3921977B2 (ja) ビデオデータ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ビデオインデックス付けのためのデバイス
US2004014627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or, and control program
US7007295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net streaming of 3D animated content
KR100653872B1 (ko) 동화상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010029505A1 (en) Processing image data
JP2003509880A (ja) ビデオストリームにおける移動物体のマーキング
US20040012621A1 (en) Hyper-media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hyper-media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and hyper-media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WO200810092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edits to online video
US6683619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performance when compositing images
JP3826043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JPH1013773A (ja) デジタル画像管理検索システム及びデ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
US7844163B2 (en) Information editing device, information editing method, and computer product
KR20000037054A (ko) 인터넷 망을 이용한 영화제작 시스템 및 그 영화제작 방법
JP3826048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JP4129162B2 (ja) コンテンツ作成実演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作成実演方法
JP2004228780A (ja) 情報処理装置
JP2000209541A (ja) 動画像再生装置、及び動画像再生プログラムが記憶された記憶媒体
JP2004208210A (ja) 画像編集システム
JP2004227164A (ja) 情報処理装置
JP3826686B2 (ja) 映像編集方法および映像編集装置、並びに映像編集を行なう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3797158B2 (ja) 映像編集方法および映像編集装置、並びに映像編集を行なう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