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4900A - 양이온성 폴리머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한염소이온 제거 화장료 - Google Patents

양이온성 폴리머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한염소이온 제거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4900A
KR20030064900A KR1020020004966A KR20020004966A KR20030064900A KR 20030064900 A KR20030064900 A KR 20030064900A KR 1020020004966 A KR1020020004966 A KR 1020020004966A KR 20020004966 A KR20020004966 A KR 20020004966A KR 20030064900 A KR20030064900 A KR 20030064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ionic
cationic surfactant
cationic polymer
chitosa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4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인스포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인스포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인스포츠
Priority to KR1020020004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4900A/ko
Publication of KR20030064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490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6Chitin; Chitosa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 A61K2800/5426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cati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이온성 폴리머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염소이온을 제거할 수 있는 화장료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살균 및 소독의 목적으로 수영장소독제 및 락스의 주성분으로 널리 사용되어 수영장사용후 피부에 잔존하여 피부를 자극하므로 피부질환의 한 원인이 되는 음이온을 띄는 염소이온을 아미노기를 가지고 있어 +이온의 성격을 띄는 양이온성 폴리머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온결합을 유도시켜 염소이온을 제거함으로써, 수영장 이용 후 피부에 잔존하는 염소이온 때문에 생기는 피부 거칠음 및 가려움증, 피부 질환과 모발 변색, 인간 신체가 클로로포름에 노출시 피부와 호흡기의 악영향, 수영 선수에게 늘어나는 공기면역에 대한 민감반응 등의 여러 가지 피부질환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약산성을 띄는 수상 및 세정성분을 균일하게 용해한후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용해되도록 하고 여기에 키토산 및 양이온성 폴리머를 물에 혼합한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부풀린 것을 투입하여 균일화시켜서된 화장료를 만들어 아미노기를 가지고 있어 양이온의 성격을 띄는 양이온성 폴리머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수영장소독제 및 락스의 주성분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수영장 이용 후 피부에 잔존하여 피부질환을 일으키는 음이온을 띄고 있는 염소이온을 이온결합을 유도시켜서 제거할 수 있도록 조성되어진 양이온성 폴리머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염소이온 제거 화장료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양이온성 폴리머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염소이온 제거 화장료{Chloride ion exclusion make-up fare that use positive ion type polymer and positive ion type surface active agent}
본 발명은 양이온성 폴리머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염소이온 제거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약산성을 띄는 수상 및 세정성분에 키토산 및 양이온성 폴리머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화장료를 제조하여 이를 제공함으로써, 살균 및 소독의 목적으로 수영장소독제 및 락스의 주성분으로 널리 사용되어 수영장사용후 피부에 잔존하여 피부를 자극하므로 피부질환의 한 원인이 되는 음이온을 띄는 염소이온을 아미노기를 가지고 있어 +이온의 성격을 띄는 양이온성 폴리머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온결합을 유도시켜 염소이온을 효과적으로 제거토록 함으로써 염소이온에 의한 피부 거칠음 및 가려움등의 각종 피부질환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은 양이온성 폴리머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세정제로써 현재 제품화 되고 있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주로 사용한 알카리성의 제형과는 확실히 차별화 되는 제형이다.
일반적으로 염소이온은 살균 및 소독의 목적으로 수영장소독제 및 락스의 주성분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염소이온은 상기의 장점을 가지고 있으면서 한편으로는 철의 부식은 물론 무엇보다도 피부 자극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수영장 이용 후 피부에 잔존하는 염소이온때문에 수영장을 자주 이용하는 소비자들은 거의 대부분 염소 이온에 의한 피부 거칠음 및 가려움등의 피부 질환등을 겪게 된다.
이러한 트러블에 대한 보고된 자료에 의하면 일본 수영 선수의 모발 변색, 인간 신체가 클로로포름에 노출시 피부와 호흡기 영향, 수영 선수에게 늘어나는 공기면역에 대한 민감반응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여러 가지 피부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 해 주고 있다.
이에 사용 후 닦아낼 수 있는 타입의 클렌징 및 세정제류의 여러가지 제형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음이온을 띠는 염소이온을 양이온을 이용하여 이온결합을 유도함으로써 염소이온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제형은 현재까지 안출된 것이 없었다.
이러한 제형이 지금까지 발명되지 않은 이유는 염소이온의 제거에 효과가 있는 양이온성 폴리머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세정제형에 쉽게 응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일반적인 바디클렌저 및 세정제품을 살펴 보면 주로 음이온 계면활성제로 구성된 알카리성의 제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베이스에 염소이온을흡착할 수 있는 양이온성의 성분을 배합한다는 것 자체가 쉬운 일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염소이온 제거에 대한 종래의 기술을 보면 산화철의 염소이온 저감 방법(특허출원 제95-041927호), 염소이온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부식 현상에 대한 방지 대책, 키토산을 사용하여 지방산 콜레스테롤 염소이온을 포획해 장을 통해 몸 밖으로 배출시키므로 동맥경화, 심장병, 고지혈증, 지방간, 비만, 당뇨등에 좋은 건강보조식품 등은 있으나, 수영장 이용 후 피부에 잔존하는 염소이온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화장료에 대한 연구 및 발명은 찾아 볼 수 없었다.
그러므로 소비자들은 이러한 트러블에서 벗어날 수 있는 새로운 컨셉의 세정제의 개발을 절실히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살균 및 소독의 목적으로 수영장 및 락스의 주성분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염소이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 약산성을 띄는 수상 및 세정성분에 키토산 및 양이온성 폴리머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화장료를 제조하고 이를 제공함으로써, 수영장이용후 피부에 잔존하는 음이온을 띄는 염소이온을 아미노기를 가지고 있어 +이온의 성격을 띄는 양이온성 폴리머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온결합을 유도시켜 염소이온을 효과적으로 제거토록 함으로서 염소이온에 의한 피부 거칠음 및 가려움등의 각종 피부질환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염소이온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양이온성 폴리머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화장료로서 다음과 같은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해야만 한다.
염소이온 제거를 위해 사용되는 양이온성 성분을 사용하기 위해 처방을 약산성으로 구성해야 하지만 주로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알카리성인 세정제형에 서로 상반되는 성질의 성분을 안정화 시켜야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형의 온도별 안정도와, 양이온성 폴리머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의한 염소이온의 제거효과와, 양이온성 폴리머와 상승 효과를 주기 위해 사용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의한 컨디셔닝 효과 및 염소이온 제거 효과는 물론 피부의 거칠음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형을 사용 후 보습 효과등을 면밀히 관찰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양이온성 성분과 세정효과를 줄 수 있는 세정 성분을 함유하여 음이온을 띄는 염소이온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로써, 약산성을 띄는 수상 및 세정성분에 키토산 및 양이온성 폴리머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혼합함으로써 살균 및 소독의 목적으로 수영장소독제 및 락스의 주성분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어서 수영장 이용 후 피부에 잔존하는 음이온을 띄는 염소이온을, 아미노기를 가지고 있어 양이온의 성격을 띄는 양이온성 폴리머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온결합을 유도시켜 염소이온을 제거할 수 있도록 조성되어진다.
여기서, 전체 조성물 중에 약상성을 띄는 수상 및 세정성분은 90.0 - 99.0중량%, 키토산 및 양이온성 폴리머는 0.01 - 5.0중량% ,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0.01 - 5.0중량%를 함유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더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염소이온 제거를 위해 양이온성 폴리머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하는 것으로써 음이온을 뛰고 있는 염소이온을, 아미노기를 가지고 있어 양이온의 성격을 띄는 양이온성 폴리머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온결합을 유도 시켜 염소이온을 제거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우선 본 발명에 사용된 양이온성 폴리머로는 키토산 및 키틴리퀴드를 전체 조성물 중에 0.01 - 5.0중량%를 사용 했으며 사용량이 0.01%이하일 경우에는 염소이온 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었으며, 사용량이 5.0%이상일 경우에는 기포력의 저하 및 안정성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기에 사용된 양이온성 폴리머로는 키토산, 키틴리퀴드, 폴리쿼터늄을 사용 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 사용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전체 조성물줄 중에 0.01 -5.0중량%를 사용 했으며 사용량이 0.01%이하일 경우에는 피부 컨디셔닝의 향상에 도움을 주지 않았으며 5.0%이상일 경우에는 피부 컨디셔닝의 향상에는 도움을 주었지만 안정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여기서 사용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염화 세틸 트리메틸 암모늄, 염화 스테아릴 트리메틸 암모늄, 디세틸 디모늄 클로라이드, 스테아라미도 프로필 디메칠 아민, 염화 디스테아릴 디메틸 암모늄,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등을 사용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된 수상 및 세정 성분으로는 전체 조성물 중에 90.0 -95.0%를 사용 했으며 사용량이 90.0%이하일 경우에는 세정력이 떨어지며 사용량이 99.0%이상일 경우에는 염소이온 제거 효과가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여기에 사용된 수상 및 세정 성분으로는 글리세린, 1,3-부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4염화 에디테이드, 쇼듐 라우릴 설페이트, 쇼듐 라우레스 설페이트,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암모늄 라우레스 설페이트, 코카미도 프로필 베타인, 코코넛 패티액시드 디에단올아민 등을 사용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양이온성 성분과 세정효과를 줄 수 있는 세정 성분을 함유한 화장료로써 제조 공정은 다음과 같다.
수상 및 세정성분을 균일하게 용해 한 후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투입하여 균일하게 용해 시킨다. 여기에 양이온성 폴리머를 물에 투입한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부풀린 후 투입하여 균일화 시키면 양이온성 폴리머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염소 이온을 제거할 수 있는 화장료를 얻을 수 있다.
아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 하겠는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결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1 및 실시예1-7)
다음 표 1에 나타낸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화장료를 제조하였으며 각각에 대하여 안정도,염소이온 제거 효과, 기포력, 보습력을 측정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과 기준으로 측정하여 판단 하였다.
(측정 방법 및 기준)
1. 안정도 관찰 : 온도 셋팅이 가능한 인큐베이터(40도, 25도, 싸이클, 5도, 일광)에서 3개월간 관찰한 후 성상의 분리 및 변화의 정도를 A-E등급으로 분류 하였다.
A : 각각의 온도에서 분리 및 변화 없음.
B : 40도에서 분리 시작(다른 온도에서는 분리 및 변화 없음)
C : 40도, 일광에서 분리 시작(다른 온도에서는 분리 및 변화 없음)
D : 40도, 일광, 싸이클에서 분리 시작(다른 온도에서는 분리 및 변화 없음)
E : 전온도에서는 분리 및 변화
2. 염소이온 제거 효과 실험 : 수영장을 자주 이용하는 사람 100명을 피검자로 하여 본 발명품을 사용 후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는 인원을 %로 환산하여 A-E등급으로 분류 하였다.
A : 트러블 발생 0%.
B : 트러블 발생 1.0%이하.
C : 트러블 발생 2.0%.
D : 트러블 발생 3.0%.
E : 트러블 발생 4.0%이상.
3. 피부 컨디셔닝 효과 실험 : 피검자 100을 선발하여 본 발명품을 사용 후피부 컨디셔닝 효과의 정도를 아주 좋음, 좋음, 보통, 조금 나쁨, 아주 나쁨으로 분류하여 테스트 한 후 이를 A-E등급으로 분류 하였다.
A : 아주 좋음
B : 좋음
C : 보통
D : 조금 나쁨
E : 아주 나쁨
4. 보습효과 실험 : 사용 후 보습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써 50명의 피검자를 선정하여 본 발명품을 사용 후 촉촉하다는 반응을 가진 사람을 %로 환산하여 A-E등급으로 분류 하였다.
A : 94%이상이 촉촉하다는 반응
B : 90 - 94%가 촉촉하다는 반응
C : 80 - 90%가 촉촉하다는 반응
D : 70 - 80%가 촉촉하다는 반응
E : 70%이하가 촉촉하다는 반응
표1) 비교예1과 실시예1-7
원료명 비교예 실시예
1 1-1 1-2 1-3 1-4 1-5 1-6 1-7
정제수 나머지
프로필렌 글리콜 5.0
4염화 에디테이트 0.1
쇼듐 라우릴 설페이트 30.0
코카미도 프로필 베타인 2.0
코코넛 패티애시드 디에타놀 아민 1.0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페녹시에올 1.0
염화세틸트리메틸 암모늄 - - - - 0.001 1.0 10 0.5
스테아라미도 프로필 디메칠 아민 - - - - - - - 0.5
키토산 - 0.001 1.0 1.0 1.0 1.0 1.0 0.5
키틴리퀴드 - - - - - - - 0.5
안정도 A A A D A A C A
염소이온 제거 효과 E E A A A A A A
피부 컨디셔닝 효과 C C B A B A A A
보습력 C C A A A A A A
비교예1과 실시예1-7의 결과물을 평가해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1은 키토산이 첨가되지 않은 일반 제형으로 안정도 및 기포력은 우수하지만 염소이온 제거 효과는 매우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1-1는 키토산을 첨가 했으나 0.01%이하의 양으로 염소이온 제거에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1-2는 염소이온 제거 효과는 우수함을 보였지만 피부 컨디셔닝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1-3은 키토산의 함량이 5.0%이상으로 염소 이온 제거 효과는 우수하지만 안정성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의 실시예1-3의 결과로 볼 때 키토산의 함량은 1.0% 정도가 적당하며 피부 컨디셔닝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1-4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0.01%이하를 사용한 것으로써 피부 컨디셔닝 효과를 높이는데 도움이 안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1-5는 모든 측정 요인들을 만족시켜 주었으며 키토산 1.0%,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1.0%의 첨가가 가장 이상적인 배합비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1-6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5.0%이상을 사용한 것으로써 안정도가 떨어졌으며 많은 양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사용에 의해 상대적으로 음이온 세정성분의 양이 줄어들어 기포력 및 세정력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1-7은 모든 요인들을 만족 시켜주는 가장 이상적인 배합비 임을 알 수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영장 소독제 및 락스의 주성분으로써 살균 및 소독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음이온을 띄는 염소이온을 양이온성 폴리머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발명된 화장료로 쉽게 제거함으로써, 수영장 이용 후 피부에 잔존하는 염소이온 때문에 생기는 피부 거칠음 및 가려움증, 피부 질환과 모발 변색, 인간 신체가 클로로포름에 노출시 피부와 호흡기의 악영향, 수영 선수에게 늘어나는 공기면역에 대한 민감반응 등의 여러 가지 피부질환의 발생을 미연에 예방하여 주는 효과가 있는 매우 획기적인 발명이다.

Claims (4)

  1. 얼굴 및 헤어, 바디용 세정제등의 각종 제형을 제조함에 있어서,
    약산성을 띄는 수상 및 세정성분을 용해조에 넣어 균일하게 용해한후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투입하여 용해되도록 하고 여기에 키토산 및 양이온성 폴리머를 물에 혼합한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부풀린 것을 투입하여 균일화된 화장료를 만들어 아미노기를 가지고 있어 양이온의 성격을 띄는 양이온성 폴리머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수영장소독제 및 락스의 주성분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피부에 잔존시 피부질환을 일으키는 음이온을 띄고 있는 염소이온을 이온결합을 유도시켜서 제거할 수 있도록 조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온성 폴리머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염소이온 제거 화장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제조된 화장료의 전체 조성물 중에 약상성을 띄는 수상 및 세정성분은 90.0 - 99.0중량%, 키토산 및 양이온성 폴리머는 0.01 - 5.0중량%,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0.01 - 5.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온성 폴리머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염소이온 제거 화장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는 키토산, 키틴리퀴드, 폴리쿼터늄등이 첨가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온성 폴리머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염소이온 제거 화장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염화 세틸 트리메틸 암모늄, 염화 스테아릴 트리메틸 암모늄, 디세틸 디모늄 클로라이드, 스테아라미도 프로필 디메칠 아민, 염화 디스테아릴 디메틸 암모늄,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등이 첨가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온성 폴리머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염소이온 제거 화장료.
KR1020020004966A 2002-01-29 2002-01-29 양이온성 폴리머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한염소이온 제거 화장료 KR200300649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966A KR20030064900A (ko) 2002-01-29 2002-01-29 양이온성 폴리머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한염소이온 제거 화장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966A KR20030064900A (ko) 2002-01-29 2002-01-29 양이온성 폴리머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한염소이온 제거 화장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4900A true KR20030064900A (ko) 2003-08-06

Family

ID=32219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966A KR20030064900A (ko) 2002-01-29 2002-01-29 양이온성 폴리머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한염소이온 제거 화장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4900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5985A (en) * 1979-10-25 1981-10-20 Petrow Henry G Method of removal of chlorine retained by human skin and hair after exposure to chlorinated water, and soap and shampoo compositions adapted to effect said removal
US4547364A (en) * 1983-02-22 1985-10-15 Brown Robert L Hair treatment product
US5622610A (en) * 1994-10-14 1997-04-22 Nakamura; Tadamasa Water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H11181422A (ja) * 1997-12-18 1999-07-06 Aquas Corp 水中酸化性物質除去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5985A (en) * 1979-10-25 1981-10-20 Petrow Henry G Method of removal of chlorine retained by human skin and hair after exposure to chlorinated water, and soap and shampoo compositions adapted to effect said removal
US4547364A (en) * 1983-02-22 1985-10-15 Brown Robert L Hair treatment product
US5622610A (en) * 1994-10-14 1997-04-22 Nakamura; Tadamasa Water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H11181422A (ja) * 1997-12-18 1999-07-06 Aquas Corp 水中酸化性物質除去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057383A (ja) イセチオネート、タウレート及びベタインの水性濃厚液
JP2007131687A (ja) 透明洗浄剤組成物
EP2211830B1 (en) Personal care composition
JPH05503312A (ja) 洗剤組成物
JP6183849B2 (ja) 皮膚洗浄剤組成物
CN108283582A (zh) 基于次氯酸钠的身体洗剂组合物
EP2925282B1 (en) Mild antibacterial cleansing compositions
KR20010012490A (ko) 화장용 세정 조성물에서의 전기석
Pinola et al. Occupational allergic contact dermatitis due to coconut diethanolamide (cocamide DEA)
JP6177651B2 (ja) 洗浄剤組成物
JP4934254B2 (ja) 弱酸性洗浄剤組成物
JP2005272788A (ja) 界面活性剤組成物
EP0612518A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phosphate surfactant and a co-surfactant
EP1602355A1 (en) Cleansing foaming formulation
JP2006347914A (ja) 皮膚洗浄剤組成物
JP2003034623A (ja) シャンプー組成物
CN104000745B (zh) 一种对眼睛无刺激的喷雾卸妆水及其制备方法
JP2014129244A (ja) 皮膚洗浄剤組成物
JP5959659B2 (ja) 皮膚洗浄剤組成物
CN109453084A (zh) 一种洁面乳及其制备方法
KR20030064900A (ko) 양이온성 폴리머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한염소이온 제거 화장료
US20140005130A1 (en) Active ingredient combinations of glucosyl glycerides and one or more acidic preservatives
JPH07309742A (ja) クリーム状皮膚洗浄剤
JP7033768B2 (ja) 身体洗浄剤組成物及び身体の洗浄方法
ES2241814T3 (es) Composicion vitaminica antioxidante topica para el cuidado de la pi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