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4868A - 이온 주입기를 위한 공정중 웨이퍼 전하 모니터 및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온 주입기를 위한 공정중 웨이퍼 전하 모니터 및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4868A
KR20030064868A KR10-2003-7008512A KR20037008512A KR20030064868A KR 20030064868 A KR20030064868 A KR 20030064868A KR 20037008512 A KR20037008512 A KR 20037008512A KR 20030064868 A KR20030064868 A KR 20030064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fer
charge
ion
ion beam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8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6736B1 (ko
Inventor
홀링알프레드마이클
Original Assignee
액셀리스 테크놀로지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액셀리스 테크놀로지스, 인크. filed Critical 액셀리스 테크놀로지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30064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4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7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6Gas-filled discharge tubes for cleaning surfaces while plating with ions of materials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e.g. introduced by evapo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0Electron-beam or ion-beam tubes for localised treatment of objects
    • H01J37/304Controlling tubes by information coming from the objects or from the beam, e.g. correction sig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7/00Discharge tubes exposing object to beam, e.g. for analysis treatment, etching, imaging
    • H01J2237/30Electron or ion beam tubes for processing objects
    • H01J2237/317Processing objects on a microscale
    • H01J2237/31701Ion implant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이온 주입기를 위한 공정중 전하 모니터 및 제어 시스템(32)이 제공되는데, 상기 시스템은, (i) 이온빔(18)에 의한 주입을 위하여 다수의 웨이퍼(W)가 배치될 수 있는 웨이퍼 지지체(22)로서, 상기 지치체는 상기 웨이퍼의 표면보다 다소 전기 도전성을 띠는 인접 웨이퍼의 중간에 배치된 부분을 가지며, 상기 웨이퍼 지지체(22)는 중심(31)을 부가적으로 갖는데, 상기 중심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웨이퍼 각각이 실질적으로 등거리로 되며, 상기 웨이퍼 지지체에는 상기 중심(31)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등거리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개구(64, 66)가 부가적으로 제공되는, 상기 웨이퍼 지지체와; (ii) 상기 제1 및 제2 개구(64, 66) 각각을 통과하는 이온빔(18a, 18b)의 제1 및 제2 부분을 수신하고 수신된 이온빔 전류 량을 각각 나타내는 제1 및 제2 출력 신호(44, 42)를 출력하는 제1 및 제2 전하 모니터(40, 38) 및; (iii) 상기 제1 및 제2 출력 신호(44, 42)를 비교하여 제1 및 제2 전하 모니터(40, 38)에 의해 수신되는 이온빔 전류에서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 출력 신호(48)를 출력하는 비교기(46)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3 출력 신호(48)는 전하 중성화 시스템(33)으로의 입력으로서 사용되어, 발생된 저 에너지 전자의 공급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이온 주입기를 위한 공정중 웨이퍼 전하 모니터 및 제어 시스템{IN-PROCESS WAFER CHARGE MONITOR AND CONTROL SYSTEM FOR ION IMPLANTER}
반도체와 같은 소재를 도핑하는데 사용되는 종래 이온 주입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소망의 도펀트 요소(dopant element)를 이온화하고 나서 가속되어 규정된 에너지의 이온빔을 형성하는 이온 소스를 포함한다. 이온빔은 소재의 표면으로 향하여, 상기 도펀트 요소를 상기 소재에 주입시킨다. 이온빔의 활성화된(일반적으로 정의(positive)(+)) 이온은 소재의 표면을 관통하여, 이들 이온이 소재의 결정 격자내로 임베드(embed)되어 소망의 도전 영역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온 공정은 통상적으로, 고진공 공정실내에서 수행되는데, 상기 공정실은 잔여 가스 분자와의 충돌로 인한 이온빔의 분산을 방지하고 공중부유입자(airborne particulates)에 의해 소재가 오염될 위험성을 최소화한다.
이와 같은 이온 주입 시스템의 사용시 겪게되는 문제는, 웨이퍼의 충전(charging) 문제이다. (+)로 충전된 이온빔이 목표 웨이퍼상에 계속해서 충돌할때, 웨이퍼의 표면은 바람직하지 않은 과다 잔여 (+) 전하를 누적할 수 있다. 포토레지스트와 같은 절연 재료로 커버되는 웨이퍼의 경우에, 전하가 반도체 웨이퍼 기판으로부터 격리(isolate)되고 상기 반도체 기판상에 페데스탈(pedestal)이 놓여져 있어 상기 웨이퍼 및/또는 웨이퍼 페데스탈을 통해서 분산될 수 없기 때문에, 웨이퍼 충전 현상은 특히 문제로 된다.
과다한 전하 누적이 웨이퍼 표면에 합성 전계를 발생시켜, 웨이퍼상의 마이크로회로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누적된 표면 전하의 문제는 이식된 회로 소자가 작으면 작을 수록 보다 크게되는데, 그 이유는 회로가 작으면 작을수록 합성 전계에 의해 야기되는 손상에 민감하기 때문이다.
웨이퍼 충전 현상에 대한 공지된 해결책은 전하 중성화(neutralization) 또는 전하 제어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저에너지 전자 소스를 제공하는 플라즈마 샤워(plasma shower)를 포함하는데, 상기 전자는 상기 플라즈마 샤워를 통과하여 (+)로 충전된 이온빔으로 된다. 특히, 플라즈마 샤워는 불활성 가스를 이온화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저에너지 전자로 이루어진 플라즈마를 생성시키는 아크실 및 상기 아크실로부터 플라즈마를 추출하고 이온빔을 통과시키는 플라즈마 실을 포함한다. 플라즈마는 전기 가열되어 플라즈마 실 내로 고 에너지 전자를 열이온적으로 방출하는 필라멘트를 포함한다. 이 고 에너지 전자는 불활성 가스 분자와 충돌하여, 이온빔 내에 트랩(trap)될 수 있는 저 에너지 전자를 포함하는 플라즈마를 생성시킨다. 트랩된 저 에너지 전자는 이온빔의 순전하(net charge)를 중성화하고 이온빔에 의해 웨이퍼 표면으로 전달된다. 이온빔에서 트랩된 저 에너지 전자는, 이온빔이 웨이퍼 표면에 충돌할 때 (+) 이온 주입에 의해 야기되는 웨이퍼 표면상에서 (+) 전하 누적을 감소시키거나 중성화한다.
이와 같은 전하 중성화 시스템 또는 플라즈마 샤워는 통상적으로, 전하 중성화 시스템을 모니터하는 전하 중성화 모니터를 포함하여, 전하 중성화 공정 제어를 지원한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Mack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959,305호에 나타나 있는데, 이 특허원은 (i) 적절한 전압을 저 에너지 중성화 전자를 수집하도록 위치된 목표 전극에 가하고, (ii) 목표 전기를 통해서 흐르는 전류를 모니터함으로써 전하 중성화 시스템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이용가능한 저 에너지 중성화 전자 전류를 결정하는 전하 중성화 모니터를 개시한다.
이온 주입이 발생하는 동안 공지된 전하 제어 시스템의 효율성을 결정하는 것이 곤란하다. 전하 제어 시스템이 웨이퍼 표면을 적절하게 중성화시키지 못하는 경우, 잔여 전하 누적이 2가지 이상의 나쁜 영향을 미치는, 웨이퍼 표면상에 무시할 수 없는 전압을 발생시킨다. 첫번째, 주입된 웨이퍼 표면 및 웨이퍼 배면 간의 전압차가 웨이퍼상에 제조되는 장치에 손상을 입히는 레벨로 상승될 수 있다.
두번째, 웨이퍼 표면상에 제공되는 전압은 전체 웨이퍼를 스캔닝할 때 이온빔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이온 주입 시스템에서의 웨이퍼는 통상적으로, 스핀닝(spinning) 도전성(예를 들어, 알루미늄) 디스크의 주변을 차지하는 웨이퍼 페데스탈상에 놓인다. 디스크가 스핀될 때, 고정된 위치 이온빔은 웨이퍼 중간의 도전성 알루미늄 디스크 표면 부분으로부터 주입되는 특정 웨이퍼의 절연성 충전된 표면으로 통과하고, 인접 웨이퍼에 도달하기 전 도전성 디스크 부분을 다시 가로지른다. 웨이퍼의 표면상에 제공되는 전압은 이들 표면들중 한 표면으로부터 다음 표면으로 통과할 때 이온빔 형태를 변화시킨다. 가령, 웨이퍼 상의 전압이 웨이퍼의 평활 표면에 걸쳐서 불균일하게 도우스(dose)를 주입시키면, 널리 공지된 주입 조사량(implant dosage)의 "불스-아이(bull's-eye)" 패턴을 발생시킨다.
대부분의 이온 주입기 전하 제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전하 모니터 픽업을 사용하는데, 상기 픽업은 주입되는 웨이퍼의 표면상에 제공되는 전압 레벨을 추정한다. 이와 같은 전하 모니터 픽업을 종종, "디스크 패러데이"라 한다. 제조중인 장치가 과다 전하 누적에 의해 손상될 위험성이 있는지 여부를 예측하기 위하여 전하 픽업 모니터(들)에 의해 제공된 것을 판독한다. 이와 같은 전하 픽업 모니터의 예가 Halling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998,798호에 예시되어 있는데, 이들 특허의 전체 내용이 본원에 참조되어 있다. 그러나, 빔이 스핀닝 디스크의 도전성 부분 및 그 위에 놓이는 웨이퍼의 절연 부분 간을 통과할 때, 미국 특허 제5,998,798호에 서술된 바를 포함하는 이온 주입 전하 제어 시스템에서 공지된 전하 모니터는 빔 형태의 변화를 전혀 입증하지 못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이온 주입기(ion implanters)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이와 같은 이온 주입기를 위한 공정중 웨이퍼 전하 모니터 및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공정중 전하 모니터 및 제어 시스템에 포함되는 이온 주입기의 시스템 도.
도2는 본 발명의 공정중 웨이퍼 전하 모니터 및 제어 시스템이 실행되지 않은 이온 주입기에 의해 주입되는 웨이퍼의 평면도로서, 웨이퍼의 표면에 걸쳐서 주입된 도우스의 불균일성을 도시한 도면.
도3은 주입될 웨이퍼가 놓여있는 도1의 이온 주입의 웨이퍼 지지 디스크(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서 구성된다)의 평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이온빔 시스템에서 이온빔 형태의 변화를 결정하고 고려하는 메카니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웨이퍼의 평활 표면 전체에 불균일하게 도우스가 주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입된 웨이퍼가 널리 공지된 주입 조사량의 "불스-아이" 패턴을 나타내지 않도록 하는 메카니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온 주입기를 위한 개선된 공정중 전하 모니터 및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인데, 상기 시스템에서, 전하 중성화 메카니즘의 효율성은 실시간 검사되어 필요한 경우 조정될 수 있다.
이온 주입기를 위한 공정중 전하 모니터 및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모니터 및 제어 시스템은 회전형 웨이퍼 지지체를 포함하는데, 이온빔에 위한 주입을 위하여 상기 지지체 상에 다수의 웨이퍼가 위치되며, 상기 지지체는 웨이퍼의 표면 보다 다소 전기적으로 도전성을 띠는 인접 웨이퍼의 중간에 배치되는 부분을 갖는다. 다수의 웨이퍼 각각은 디스크의 중심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등거리로 위치된다. 이 디스크에는 또한, 상기 중심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등거리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개구(apertures)가 제공되는데, 상기 제1 개구는 제2 개구 보다 웨이퍼에 보다 근접하여 위치된다. 대안적으로, 제1 및 제2 개구 각각은 웨이퍼로부터 등거리로 위치되지만, 서로 다른 전기 도전 특성을 지닌 디스크의 부분에 의해 둘러쌓여진다. 예를 들어, 제1 개구는 알루미늄인 디스크의 부분에 제공되고, 제2 개구는 실리콘 코팅되는 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
디스크 뒤에 위치되는 제1 및 제2 전하 모니터는 제1 및 제2 개구를 통과하는 이온빔의 제1 및 제2 부분을 각각 받아들인다. 이 제1 및 제2 전하 모니터는 제1 및 제2 출력 신호를 각각 출력하여, 모니터에 의해 수신되는 이온빔 전류의 량을 나타낸다. 비교기는 제1 및 제2 출력 신호를 비교하여 제3 출력 신호를 출력하여, 제1 및 제2 전하 모니터에 의해 수신되는 이온빔 전류의 차를 나타낸다. 이 제3 출력 신호는 이온 주입기의 전하 중성화 시스템으로의 입력으로서 사용되어,이에 의해 생성된 저 에너지 전자의 공급을 제어한다.
지금부터 도면중 도1을 참조하면, 이온빔 주입기는 전체적으로, (10)로 도시되어 있다. 이온 주이기는 일반적으로 (+) 충전된 이온빔(14)을 발생시키는 이온 소스(12)를 포함하는데, 상기 이온빔은 공지된 수단, 예를 들어 추출 전극(extraction electrode)에 의해 상기 이온 소스로부터 추출된다. 질량 분석 자석(16)은 추출된 이온빔(14)의 질량을 분석하여 소정 범위 내에 있는 전하-대-질량 비를 지닌 이온만을 포함하는 질량 분석된 이온빔(18)을 출력한다. 이 질량 분석된 이온빔(18)은 리졸빙 개구(resolving apertures)(20)를 통고하여 회전 지지체 또는 디스크(22)의 주변에 대해 위치되는 페데스탈 상에 놓이는 웨이퍼(W)로 주입된다. 실리콘 층으로 코팅될수 있을지라도, 개시된 실시예에서 회전 디스크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다.
알루미늄 회전 디스크(22)의 경우에, 이 디스크는 그 위에 놓이는 웨이퍼 보다 큰 도전성을 갖는다. 실리콘-코팅된 디스크(22)의 경우에, 이 디스크는 일반적으로, (포토레지스트와 같은 패턴닝된 절연 표면이 웨이퍼에 도포되었는지 여부에 따라서) 그 위에 놓이는 웨이퍼 보다 작은 도전율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웨이퍼의 전기 도전율과 이들을 둘러쌓는 디스크의 부분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인정한다. 전기 도전율의 차이는 웨이퍼 전하 누적이 이를 통과하는 빔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디스크(22)는 모터(24) 및 엄지나사(leadscrew)(26)에 의해 축(Y)을 따라서 수직으로 변환(translate)된다. 이 디스크(22)는, 자신의 평면에 수직한 디스크 중심(31)을 통과하는 축에 대해서 모터(28)에 의해 화살표(29)로 표시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웨이퍼(W)는 디스크 중심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등거리인 위치에서 디스크(22)의 주변에 대해서 위치된다. 이들 웨이퍼가 원형 경로("X 스캔 방향으로")에서 회전하고 고정된 위치 이온빔(18) 전에 변환("Y 스캔 방향으로")될 때, 웨이퍼(W)의 전체 표면적에 주입된다. 웨이퍼(W)에 의해 받아들여지는 이온 조사량은 회전 속도 및 스핀닝 디스크(22)의 수직 변환 속도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들 둘다는 모터 제어(30)에 의해 결정된다.
전하 중성화 시스템(33)은 (+) 전하를 중성화시키기 위하여 제공되는데, 만일 중성화되지 않으면, 이들이 (+) 충전된 이온빔(18)에 의해 주입될 때, 일반적으로 웨이퍼상에서 누적된다. 공지된 유형의 전하 중성화 시스템을 개시하는 미국 특허 제 5,959,305호의 전체 내용이 본원에 참조되어 있다.
본 발명은 공정중 전하 모니터 및 제어 시스템(32)으로서 구현된다. 이 시스템(32)은 디스크가 회전될 때 이온빔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웨이퍼(W)상의 전하 누적량을 측정하여, 상기 빔을 웨이퍼로부터 도전성 알루미늄 디스크 표면의 중간 부분으로 연속적으로 통과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들 측정값에 응답하여, 전하 중성화 시스템(33)의 동작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조정되거나 동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시스템(32)의 출력은 도우스 제어 시스템(35)으로의 입력으로서 사용되어, 스핀닝 디스크(22)의 회전 및 변환을 조절함으로써 주입되는 웨이퍼(W)의 전체 표면에 걸쳐서 도우스가 균일하게 주입되도록 한다. 이 도우스 제어 시스템(35)은 출력 신호(36)를 제공하는 패러데이 케이지(Faraday cage)(34)와 같은 공지된 소자를 포함한다. 패러데이 케이지(34)로부터의 출력(36) 및 주입실(가령, 이온 게이지(43)) 내에 배치된 압력 모니터로부터의 출력(41)은 제어 회로(50)로 입력된다. 이 회로(50)는 이들 입력을 사용하여,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이온빔(18) 앞에서 웨이퍼의 적절한 X-스캔 및 Y-스캔 속도를 결정한다.
특히, 패러데이 케이지(34)는 스핀닝 디스크(22) 뒤에 장착되어, 디스크 내의 슬롯(62)을 통과하는 이온빔 전류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슬롯(62)의 길이는 적어도 주입되는(예를 들어, 200mm 또는 300mm)웨이퍼의 직경의 길이 정도로 되어, 슬롯이 웨이퍼의 Y-스캔의 전체 범위에 걸쳐서 이온빔 전류를 수신하도록 한다(또한, 도3 참조). 도우스 제어 회로(50)는 이온 게이지(43) 및 패러데이 케이지(34)의 출력을 토대로 제어 신호(52)를 모터 제어(30)에 출력시킨다. 이후, 모터 제어(30)는 회전 제어 신호(54)를 모터(28)에 출력시키고 수직 변환 신호(56)를 모터(24)에 출력시켜, 주입되는 웨이퍼의 표면 전체에 걸쳐서 균일한 주입을 유지시킨다. 이 방식으로, 패러데이 케이지(34) 및 이온 게이지(43)의 출력은 제어 회로(50)에 의해 사용됨으로써, 웨이퍼로 주입되는 이온 도우스를 결정한다. 이 제어 회로는 또한, 메모리(58) 및 사용자 콘솔 또는 인터페이스(60)를 포함한다.
이온빔(18) 앞에서 웨이퍼(W)의 회전 및 변환 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패러데이 케이지(34) 및 이온 게이지(43)의 출력을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단지 이들 메카니즘 만을 사용하면은 불균일한 웨이퍼 주입을 초래하는데, 그 이유는 패러데이 케이지(34)에 의해 제공되는 이온빔 전류 측정값이 웨이퍼 중간의 도전성 알루미늄 디스크 표면 부분으로부터 주입되는 특정 웨이퍼의 절연성 충전된 표면으로 통과될 때 이온빔 프로필에 대한 변화 또는 교란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이온빔은 주입되는 웨이퍼에 걸쳐서 충분한 (+) 전하 누적에 노출되는 경우, "블로우-업(blow-up)"될 수 있거나 촛점을 맞추는 제어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불균일한 웨이퍼 주입이 얻어질 수 있다. 도2는 이와 같은 불균일한 주입, 통상적으로, 불균일한 이온 주입의 "불스-아이" 패턴이라 하는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 + " 로 표시된 주입된 웨이퍼의 면적은 과다도우스(저시트 저항율)의 면적을 나타내고 "-"로 표시된 면적은 부족도우스(고시트 저항율)의 면적을 나타낸다. 도2는 2킬로-전자-볼트(keV)의 에너지 레벨에서 붕소(B)로 200-mm 웨이퍼를 주입함으로써 야기된다.
이와 같은 경우, 본 발명은 이온빔 프로필에서의 변화 또는 교란을 고려하는부가적인 이온빔 측정 메카니즘을 제공하여, 웨이퍼 표면 전체에 걸쳐서 도우스 균일성을 개선시킨다. 도1 및 도3을 다시 참조하면, 공정중 전하 모니터 및 제어 시스템(32)은 신호 (42 및 44) 각각을 출력하는 전하 픽업 또는 모니터(38 및 40) 및 신호(42 및 44)를 비교하는 비교기(46)를 포함한다. 개구(64 및 66)는 디스크(22) 내에 제공되어, 이온빔 전류가 상기 디스크에 걸쳐서 통과할때 상기 이온빔의 일부를 수신하도록 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온빔의 일부는, 디스크(22)가 도1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회전할 때, 개구(64 및 66)를 각각 통과하는 빔의 부분을 나타내는 참조 번호(18a 및 18b)와 같이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개구(64 및 66)는 디스크 중심(31)으로부터 동일한 거리(d)를 두고 위치되어 있다. 디스크(22)가 회전할 때, 이온빔 전류의 제1 부분(18a)은 개구(64)를 통과하여 전하 픽업 또는 모니터(40)에 의해 측정되어, 출력 신호(44)를 발생시킨다. 디스크(22)가 계속해서 회전할 때, 이온빔 전류의 제2 부분(18b)은 개구(66)를 통과하여 전하 픽업 또는 모니터(38)에 의해 측정되어, 출력 신호(42)를 발생시킨다. 개구(64)는 웨이퍼상의 전하 누적에 의해 이온빔이 영향받지 않는 위치에서 선택되고, 개구(66)는 웨이퍼상의 전하 누적에 의해 이온빔이 영향받는 위치에서 선택된다. 즉, 개구(66)는 개구(64) 보다 웨이퍼 보다 밀접하여 위치된다.
대안적으로, 제1 및 제2 개구 각각은 웨이퍼로부터 등거리로 위치될 수 있지만, 서로 다른 전기 도전 특성을 갖는 디스크의 부분에 의해 둘러쌓여진다. 예를 들어, 개구(64)는 알루미늄인 디스크의 부분에 제공되고, 개구(66)는 실리콘 코팅되는 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
어느 경우든지, 비교기(46)는 전하 모니터(38 및 40)의 출력 신호를 비교하여, 어쨋든간에, 웨이퍼의 충전된 절연 표면이 이온빔이 이온빔 프로필에 미치는 영향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도3의 개시된 실시예에서, 비교기(46)가 빔 전류의 제1 및 제2 부분의 차이가 무시할 수 있는 정도라고 검출한 경우, 빔 "블로우-업"을 초래하는 나쁜 영향은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결정할 수 있다. 무시가능한 비교기 출력(48)은 이온 주입기의 전하 중성화 시스템(33)이 웨이퍼상에서 누적되는 어떤 전하도 효율적으로 중성화시켜 도우스가 균일하게 주입되도록 동작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비교기(46)가 빔 전류의 제1 및 제2 부분에서 무시할 수 없는 차이를 검출한 경우, 빔 '블로우-업"을 초래하는 나쁜 영향이 존재한다라고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빔이 "블로우-업"된 경우, 개구(66)에서 측정된 피크 이온빔 전류는 개구(64)에서 측정된 것 보다 작다. 대안적으로, 빔이 개구(64 및 66)를 통과할 때, 빔의 시간 분포를 측정할 수 있다. 빔이 개구(66)에서 보다 긴 시간 주기 동안 검출되는 경우, 이는 빔 "블로우-업" 조건을 나타낸다. 어느 경우든지, 무시할 수 없는 비교기 출력(48)은, 이온 주입기의 전하 중성화 시스템(33)이 웨이퍼 상에서 누적되는 어떤 전화도 효율적으로 중성화시켜 도우스가 균일하게 주입되도록 동작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경우에, 전하 제어 시스템(33)의 동작은 비교기 출력(48)에 의해 조정되거나 동조되어, 이 과다 웨이퍼 전하 누적을 중성화시키기 위하여 저 에너지 전자를 보다 많이 공급시킨다.
대안적으로, 비교기(46)의 출력(48)은 도우스 제어 회로(50)를 조정하는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기 출력(48)은 도우스 제어 회로(50)로의 또 다른 입력으로서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2의 불스-아이 패턴은 비교기(46)의 출력(48)과 상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조사량 제어 회로(50)는 디스크의 X-스캔 및 Y-스캔 속도를 실시간으로 조정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예측된 조사량 에러를 교정한다. 실제로, 조사량 제어 회로(50)는 이온 게이지(43) 및 패러데이 케이지(34)의 출력 이외에도 비교기 출력(48)을 사용하여, 모터 제어(30)로의 자신의 출력 제어 신호(52)를 수정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된 바와 같이, 전하 중성화 시스템(33)의 동작에 동작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보다 직접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공정중 전하 모니터 및 제어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된 바를 고려하면, 이 설명은 단지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본원에 서술된 특정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각종 재배치, 변형 및 대체물이 이하의 청구범위에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 남이 없이 상술된 설명 및 이의 등가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9)

  1. 이온 주입기를 위한 공정중 전하 모니터 및 제어 시스템(32)으로서,
    (i) 이온빔(18)에 의한 주입을 위하여 다수의 웨이퍼(W)가 배치될 수 있는 웨이퍼 지지체(22)를 포함하는데, 상기 지치체는 상기 웨이퍼의 표면보다 다소 전기 도전성을 띠는 인접 웨이퍼의 중간에 배치된 부분을 가지며, 상기 웨이퍼 지지체(22)는 중심(31)을 부가적으로 갖는데, 상기 중심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웨이퍼 각각이 실질적으로 등거리로 되며, 상기 웨이퍼 지지체에는 상기 중심(31)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등거리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개구(64, 66)가 부가적으로 제공되며, 상기 제1 및 제2 개구(64, 66) 각각을 통과하는 이온빔(18a, 18b)의 제1 및 제2 부분을 수신하고 수신된 이온빔 전류 량을 각각 나타내는 제1 및 제2 출력 신호(44, 42)를 출력하는 제1 및 제2 전하 모니터(40, 38)를 포함하며,
    (ii) 상기 제1 및 제2 출력 신호(44, 42)를 비교하여 제1 및 제2 전하 모니터(40, 38)에 의해 수신되는 이온빔 전류에서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 출력 신호(48)를 출력하는 비교기(46)를 포함하는 이온 주입기를 위한 공정중 전하 모니터 및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64)는 상기 제2 개구(66) 보다 웨이퍼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주입기를 위한 공정중 전하 모니터 및 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64) 및 상기 제2 개구(66) 각각은 웨이퍼(W)로부터 실질적으로 등거리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주입기를 위한 공정중 전하 모니터 및 제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 지지체(22)는 상기 디스크가 놓이는 평면에 수직한 중심(31)을 통과하는 축에 대해서 회전하는 회전 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주입기를 위한 공정중 전하 모니터 및 제어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22)는 알루미늄으로 구성되고, 주입될 상기 웨이퍼(W)는 그 위의 절연성 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주입기를 위한 공정중 전하 모니터 및 제어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출력 신호(48)는 이온 주입기의 전하 중성화 시스템(33)으로의 입력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주입기를 위한 공정중 전하 모니터 및 제어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출력 신호(48)는 이온 주입기의 도우스 제어 시스템(35)으로의 입력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주입기를 위한 공정중 전하 모니터 및 제어 시스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는 실리콘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주입기를 위한 공정중 전하 모니터 및 제어 시스템.
  9. 이온 주입 시스템(10)으로서,
    (i) 일반적으로 (+)로 충전된 이온빔(18)을 출력하는 소스(12)와,
    (ii) 상기 이온빔의 (+) 순전하를 중성화시키기 위하여 저 에너지 전자를 공급시키는 전하 중성화 시스템(33)과,
    (iii) 공정중 전하 모니터 및 제어 시스템(32)을 포함하는데, 상기 공정중 전하 모니터 및 제어 시스템은, (a) 이온빔(18)에 의한 주입을 위하여 다수의 웨이퍼(W)가 배치될 수 있는 웨이퍼 지지체(22)로서, 상기 지치체는 상기 웨이퍼의 표면보다 다소 전기 도전성을 띠는 인접 웨이퍼의 중간에 배치된 부분을 가지며, 상기 웨이퍼 지지체(22)는 중심(31)을 부가적으로 갖는데, 상기 중심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웨이퍼 각각이 실질적으로 등거리로 되며, 상기 웨이퍼 지지체에는 상기 중심(31)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등거리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개구(64, 66)가 부가적으로 제공되는, 상기 웨이퍼 지지체와; (b) 상기 제1 및 제2 개구(64, 66) 각각을 통과하는 이온빔(18a, 18b)의 제1 및 제2 부분을 수신하고 수신된 이온빔 전류 량을 각각 나타내는 제1 및 제2 출력 신호(44, 42)를 출력하는 제1 및 제2 전하 모니터(40, 38) 및; (c) 상기 제1 및 제2 출력 신호(44, 42)를 비교하여 제1 및 제2 전하 모니터(40, 38)에 의해 수신되는 이온빔 전류에서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 출력 신호(48)를 출력하는 비교기(46)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3 출력 신호(48)는 전하 중성화 시스템(33)으로의 입력으로서 사용되어, 발생된 저 에너지 전자의 공급을 제어하는, 이온 주입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64)는 상기 제2 개구(66) 보다 웨이퍼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주입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64) 및 상기 제2 개구(66) 각각은 웨이퍼(W)로부터 실질적으로 등거리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주입 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 지지체(22)는 상기 디스크가 놓이는 평면에 수직한 중심(31)을통과하는 축에 대해서 회전하는 회전 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주입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22)는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며, 주입될 상기 웨이퍼(W)는 그 위에 절연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주입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22)는 실리콘-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주입 시스템.
  15. 주입되는 웨이퍼상의 전하 누적을 중성화시키는 방법으로서,
    (i) 이온 소스(12)를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로 충전된 이온빔(18)을 제공하는 단계와,
    (ii) 상기 이온빔의 (+) 순전하를 중성화시키기 위하여 저 에너지 전자를 공급시킴으로써, 주입되는 웨이퍼의 표면으로 운반될 때, 일반적으로 (+)로 충전된 이온빔을 중성화시키는 전하 중성화 시스템(33)을 제공하는 단계와,
    (iii) 회전 지지체(22)의 중심(31)의 주변에 대해서 그리고 상기 중심으로부터 등거리로 다수의 웨이퍼를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지지체(22)는 상기 웨이퍼의 표면 보다 다소 도전성을 띠는 인접 웨이퍼 중간에 배치되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웨이퍼 지지체에는 상기 중심(31)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등거리로 배치되는 제1및 제2 개구(64, 66)가 제공되는, 배치 단계와,
    (iv) 상기 제1 및 제2 개구(64, 66)를 통과하는 이온빔(18a, 18b)의 제1 및 제2 부분을 모니터하는 단계와,
    (v) 상기 이온빔의 제1 및 제2 부분에서 검출되는 이온빔 전류량을 각각 나타내는 제1 및 제2 출력 신호(44, 42)를 출력하는 단계와,
    (vi) 상기 제1 및 제2 출력 신호(44, 42)를 비교하여, 상기 출력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3 출력 신호(48)를 출력하는 단계 및,
    (vii) 상기 제3 출력 신호(48)를 상기 전하 중성화 시스템(33)으로 입력하여, 발생된 저 에너지 전자의 공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입되는 웨이퍼상의 전하 누적을 중성화시키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디스크922)는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며, 주입되는 상기 웨이퍼(W)는 그 위에 절연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되는 웨이퍼상의 전하 누적을 중성화시키는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디스크(22)는 실리콘-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되는 웨이퍼상의 전하 누적을 중성화시키는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64)는 상기 제2 개구(66) 보다 웨이퍼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되는 웨이퍼상의 전하 누적을 중성화시키는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64) 및 상기 제2 개구(66) 각각은 웨이퍼(W)로부터 실질적으로 등거리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되는 웨이퍼상의 전하 누적을 중성화시키는 방법.
KR1020037008512A 2000-12-22 2001-12-18 이온 주입기를 위한 공정중 웨이퍼 전하 모니터 및 제어시스템 KR1008967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748,735 2000-12-22
US09/748,735 US6600163B2 (en) 2000-12-22 2000-12-22 In-process wafer charge monitor and control system for ion implanter
PCT/GB2001/005625 WO2002052612A2 (en) 2000-12-22 2001-12-18 In-process wafer charge monitor and control system for ion implan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4868A true KR20030064868A (ko) 2003-08-02
KR100896736B1 KR100896736B1 (ko) 2009-05-11

Family

ID=25010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8512A KR100896736B1 (ko) 2000-12-22 2001-12-18 이온 주입기를 위한 공정중 웨이퍼 전하 모니터 및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600163B2 (ko)
EP (1) EP1344242A2 (ko)
JP (1) JP3921594B2 (ko)
KR (1) KR100896736B1 (ko)
CN (1) CN100474494C (ko)
AU (1) AU2002222267A1 (ko)
TW (1) TW535247B (ko)
WO (1) WO200205261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354B1 (ko) * 2001-05-30 200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온주입장치
US6797967B1 (en) * 2002-02-25 2004-09-28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 and system for dose control during an ion implantation process
JP2004111310A (ja) * 2002-09-20 2004-04-08 Nissin Ion Equipment Co Ltd 基板の帯電電圧計測装置およびイオンビーム照射装置
KR100494439B1 (ko) * 2003-03-18 2005-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테스트방법
US6828572B2 (en) * 2003-04-01 2004-12-07 Axcelis Technologies, Inc. Ion beam incident angle detector for ion implant systems
US6933511B2 (en) * 2003-11-18 2005-08-23 Atomic Energy Council Institute Of Nuclear Energy Research Ion implanting apparatus
US6992308B2 (en) * 2004-02-27 2006-01-31 Axcelis Technologies, Inc. Modulating ion beam current
US6930309B1 (en) 2004-03-26 2005-08-16 Kla-Tencor Technologies Corporation Dual-energy electron flooding for neutralization of charged substrate
CN1947326B (zh) * 2004-04-05 2010-06-16 艾克塞利斯技术公司 用于扫描工件的往复驱动系统
US20060113489A1 (en) * 2004-11-30 2006-06-01 Axcelis Technologies, Inc. Optimization of beam utilization
US7173260B2 (en) * 2004-12-22 2007-02-06 Axcelis Technologies, Inc. Removing byproducts of physical and chemical reactions in an ion implanter
US7005657B1 (en) * 2005-02-04 2006-02-28 Varian Semiconductor Equipment Associates, Inc. Wafer-scanning ion implanter having fast beam deflection apparatus for beam glitch recovery
US7361913B2 (en) * 2005-04-02 2008-04-22 Varian Semiconductor Equipment Associat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glitch recovery in stationary-beam ion implantation process using fast ion beam control
US7953559B2 (en) * 2005-04-28 2011-05-31 Caterpilla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load histories
US7328625B2 (en) * 2005-04-28 2008-02-12 Caterpilla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fatigue life
US7487066B2 (en) * 2005-04-28 2009-02-03 Caterpillar Inc. Classifying a work machine operation
US7476877B2 (en) 2006-02-14 2009-01-13 Varian Semiconductor Equipment Associates, Inc. Wafer charge monitoring
US7472599B2 (en) * 2006-06-30 2009-01-06 Caterpillar Inc. Strain sensing device
US7908928B2 (en) * 2006-10-31 2011-03-22 Caterpillar Inc. Monitoring system
US7646643B1 (en) * 2008-01-07 2010-01-12 Lattice Semiconductor Corporation Process charging monitor for nonvolatile memory
US8168962B2 (en) * 2009-08-11 2012-05-01 Advanced Ion Beam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niformly implanting a wafer with an ion beam
CN102345108A (zh) * 2010-08-02 2012-02-08 北京中科信电子装备有限公司 离子注入机专用300kev能量探头
FR2968393B1 (fr) * 2010-12-07 2015-03-06 Techniques Metallurgiques Avancees Techmeta Dispositif et procede pour analyser la densite d'un faisceau de particules chargees.
CN102751154A (zh) * 2011-04-22 2012-10-24 上海凯世通半导体有限公司 离子注入实时检测和控制装置
CN103187226B (zh) * 2011-12-30 2016-02-10 北京中科信电子装备有限公司 一种能量检测装置
CN103021777B (zh) * 2012-12-10 2015-09-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离子注入方法及装置
US9558914B2 (en) * 2015-02-25 2017-01-31 Axcelis Technologies, Inc. Bipolar wafer charge monitor system and ion implantation system comprising same
US10553411B2 (en) * 2015-09-10 2020-02-0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Ion collector for use in plasma systems
CN109786198A (zh) * 2019-02-28 2019-05-21 中国计量大学 一种制备单原子固态器件和阵列的原子掺杂方法及系统
CN116625779B (zh) * 2023-05-23 2023-10-31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四医学中心 一种自识别智能加热的玻片载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4797A (en) * 1979-05-23 1980-11-18 Nova Associates, Inc. Treating workpieces with beams
US4628209A (en) * 1985-06-07 1986-12-09 Eaton Corporation Particle implantation apparatus and method
US4675530A (en) * 1985-07-11 1987-06-23 Eaton Corporation Charge density detector for beam implantation
US4751393A (en) * 1986-05-16 1988-06-14 Varian Associates, Inc. Dose measurement and uniformity monitoring system for ion implantation
US4812663A (en) 1986-07-25 1989-03-14 Eaton Corporation Calorimetric dose monitor for ion implantation equipment
JPH0191431A (ja) * 1987-04-16 1989-04-11 Sumitomo Eaton Noba Kk イオン打ち込み装置におけるウエハ帯電量検知装置
JPH05135731A (ja) * 1991-07-08 1993-06-01 Sony Corp イオン注入装置
JPH06203789A (ja) * 1993-01-08 1994-07-22 Sony Corp イオン注入装置及びイオン注入方法
US5378899A (en) * 1993-10-07 1995-01-03 Kimber; Eugene L. Ion implantation target charge control system
US5760409A (en) 1996-06-14 1998-06-02 Eaton Corporation Dose control for use in an ion implanter
JPH1027566A (ja) * 1996-07-10 1998-01-27 Nissin Electric Co Ltd 基板保持装置
US5998798A (en) * 1998-06-11 1999-12-07 Eaton Corporation Ion dosage measurement apparatus for an ion beam implanter and method
US5959305A (en) * 1998-06-19 1999-09-28 Eat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charge neutralization op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21594B2 (ja) 2007-05-30
US20020079465A1 (en) 2002-06-27
WO2002052612A3 (en) 2002-10-17
JP2004516639A (ja) 2004-06-03
KR100896736B1 (ko) 2009-05-11
CN1484848A (zh) 2004-03-24
EP1344242A2 (en) 2003-09-17
AU2002222267A1 (en) 2002-07-08
US6600163B2 (en) 2003-07-29
WO2002052612A2 (en) 2002-07-04
TW535247B (en) 2003-06-01
CN100474494C (zh) 200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6736B1 (ko) 이온 주입기를 위한 공정중 웨이퍼 전하 모니터 및 제어시스템
JP4803878B2 (ja) プラズマ浸漬イオン注入ドーピング装置用のドーズ量モニター
US6300643B1 (en) Dose monitor for plasma doping system
US4675530A (en) Charge density detector for beam implantation
US6852984B2 (en) Advanced ion beam measurement tool for an ion implantation apparatus
US5945681A (en) Ion implant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discharge flaw production on reverse side surface of wafer
JP2012513677A (ja) プラズマイオン処理の均一性監視
JP2005294269A (ja) イオン打込み製品の制御電荷中和
US6723998B2 (en) Faraday system for ion implanters
US7476877B2 (en) Wafer charge monitoring
JP2012513678A (ja) プラズマドーズ量測定方法及び装置
US6348764B1 (en) Indirect hot cathode (IHC) ion source
KR20100138916A (ko) 빔 특성들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0734252B1 (ko) 빔 감지기를 포함한 이온주입장치 및 그에 의한 도즈량측정방법
KR20050005588A (ko) 이온주입장치의 패러데이 컵 어셈블리
JPS63304563A (ja) イオン注入装置
KR20000021239A (ko) 이온 주입 설비의 메커니컬 스캔 장치
JPH03261059A (ja) イオン注入装置
JPH03230466A (ja) イオン注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