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4439B1 -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테스트방법 - Google Patents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테스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4439B1
KR100494439B1 KR10-2003-0016757A KR20030016757A KR100494439B1 KR 100494439 B1 KR100494439 B1 KR 100494439B1 KR 20030016757 A KR20030016757 A KR 20030016757A KR 100494439 B1 KR100494439 B1 KR 100494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 implantation
implantation energy
well
degree
w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6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2114A (ko
Inventor
송두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6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4439B1/ko
Priority to US10/776,594 priority patent/US6867055B2/en
Publication of KR20040082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2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4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06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at wafer scale level, i.e. wafer scale integration [WSI]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20Sequence of activit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measurements, corrections, marking or sorting step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B12/09Manufacture or treatment with simultaneous manufacture of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and memory cel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029/0403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during or with feedback to manufactu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50Marginal testing, e.g. race, voltage or current testing
    • G11C2029/5002Characteris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7/00Discharge tubes exposing object to beam, e.g. for analysis treatment, etching, imaging
    • H01J2237/30Electron or ion beam tubes for processing objects
    • H01J2237/317Processing objects on a microscale
    • H01J2237/31701Ion implan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기판에 대한 원자 이온의 주입 깊이를 결정하는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정도를 테스트하고, 다른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정도를 검증하기 위한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테스트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특징은,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정도를 테스트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반도체기판에 제 1 도전형 이온주입 영역으로 이루어진 제 1 웰을 미리 형성하고, 상기 제 1 웰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도전형 이온과는 다른 원자가의 제 2 도전형 이온을 에너지 조건을 변경시켜 주입하여 제 2 웰을 만든 후, 상기 제 1, 2 웰의 경계 영역에서의 제 1, 2 도전형 이온들의 도우즈 중첩 정도에 따른 반도체기판의 면저항 값을 측정함에 의해 이온주입 에너지 정도를 테스트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르면,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정도를 서로 다른 원자가의 불순물 도핑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웰 간의 경계 영역 저항 값으로 테스트하여 이를 통해 각 도핑 깊이를 확인하여 이온주입 에너지 정도를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복수의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정도를 검증할 수 있어 그에 따른 공정 불량을 방지하여 제조수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테스트방법{testing method of ion-implanting energy for ion-implanter}
본 발명은 반도체기판에 대한 원자 이온의 주입 깊이를 결정하는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정도를 테스트하고, 다른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정도를 검증하기 위한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테스트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반도체소자의 웰 구조(well scheme)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윈 웰(twin well) 구조가 주류를 차지하여 왔으며, 이러한 전형적인 웰 구조는 공정의 편의성(1 step well lip)을 가지고 있으나, P웰이 p형 기판(P-sub)과 연결되어 있어 서로 다른 독립적인 바이어싱(biasing)이 불가능하였다.
이러한 트윈 웰 구조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현재의 디바이스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부분 트리플 웰(triple well) 구조를 도입하였으며, 트리플 웰 구조 하에서는 각각의 P웰 레이어에 독립적인 바이어싱이 가능하며,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동작에서 트랜지스터의 특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비근한 예로서 DRAM 셀(cell) 영역을 딥 n 웰(deep n well)로 감싸진 포켓 p 웰(pocket p well) 영역에 형성하고, 나머지 주변 회로영역(peripheral region)은 n 웰의 외측의 p형 기판에 형성함으로써 도우너(donor)를 이루는 n 웰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의 억셉터(acceptor)인 p 웰이 상호 구분됨으로써 이들 p 웰은 상호 독립적인 바이어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DRAM 이 P형 기판을 이용하여 제조될 때, 메모리 셀 영역의 n채널 MOS 트랜지스터와 주변 회로 영역의 n채널 및 p 채널 MOS 트랜지스터들은 다른 웰(터브-tub)들에 종종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주변 회로 영역에서 유발된 노이즈가 메모리 셀 영역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고, 메모리 셀 영역의 기판 바이어스는 주변 회로 영역에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주변 회로 영역의 협 채널(short-channel effect)은 쉽게 제어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판 전압 발생 회로는 더 작게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메모리 셀 영역의 n채널 MOS 트랜지스터와 주변 회로 영역의 n채널 및 p채널 MOS 트랜지스터들을 다른 웰들에 형성하기 위해서, 메모리 셀 영역의 p 웰은 p형 실리콘 기판과 분리되어야만 한다. 이에 따라 메모리 셀 영역의 p웰을 덮도록 p웰 보다 더 깊은 n웰을 형성하는 트리플 웰 구조는 필수적이다.
이에 대한 기술은 USP NO. 5,397,734에 'METHOD OF FABRICATING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 TRIPLE WELL STRUCTURE'에 게재되어 있다.
이상에서 밝힌 바와 같이, 트리플 웰 구조 하에서의 딥 n 웰 기판과 포켓 p 웰의 설계 콘트롤(projected range control)은 최적의 트리플 웰을 구성하는 주요 변수로 작용하며, 이러한 딥 n 웰의 형성에 따른 이온주입설비에서의 높은 수준의 이온주입 에너지 콘트롤은 반도체소자의 특성을 위해 매우 중요한 항목이다.
이러한 관계에 있어서, 대량 생산라인의 이온주입설비별 이온주입 에너지 이상 유무의 확인은 필수적이다.
비록 이온주입설비에는 이온주입 에너지를 컨트롤 할 수 있는 제어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나 이온주입 에너지는 일반적으로 수백~수천(kV)의 고전압 상태를 이룸에 따라 이온주입 에너지가 정상적인 설정 값에 있는지를 확인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복수 이온주입설비들이 모두 동일한 수준으로 제어가 이루어지는지의 확인 또한 필수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리콘 기판에 웰을 형성하기 위한 각 이온주입설비의 높은 수준의 이온주입 에너지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종래 기술은, 실리콘 웨이퍼 내에 주사된 이온들의 웰 설계 에너지 콘트롤(well projected range energy control)을 위해 질량분석(Secondary Ion Mass Spectrometer :SIMS)이나 면저항(Sheet resistance :RS)측정 등을 이용한 공정 모니터링들이 수행되어져 왔다.
이에 대하여 도 3에 도시한 그래프는, 어느 하나의 이온주입설비를 통해 이온주입 에너지 정도를 약 5% 범위로 변화시켜 그에 대한 PS 측정을 실시한 결과로서, 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RS 측정 등을 이용한 공정 모니터링 과정에서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변동에 대한 정확한 판단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정도를 서로 다른 원자가의 불순물 도핑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웰 간의 경계 영역 저항 값으로 테스트를 실시하여 이를 통해 각 도핑 깊이를 확인토록 하며, 그에 따른 이온주입 에너지 정도 확인과 복수의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정도의 검증 및 균일한 수준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테스트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정도를 테스트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반도체기판에 적어도 2중 이상의 웰을 형성하여 웰 경계 영역에서의 제 1, 2 도전형 이온들의 도우즈 중첩 정도에 따른 반도체기판의 면저항 값을 측정함에 의해 이온주입 에너지 정도를 테스트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정도를 테스트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반도체기판에 제 1 도전형 이온주입 영역으로 이루어진 제 1 웰을 미리 형성하고, 상기 제 1 웰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도전형 이온과는 다른 원자가의 제 2 도전형 이온을 에너지 조건을 변경시켜 주입하여 제 2 웰을 만든 후, 상기 제 1, 2 웰의 경계 영역에서의 제 1, 2 도전형 이온들의 도우즈 중첩 정도에 따른 반도체기판의 면저항 값을 측정함에 의해 이온주입 에너지 정도를 테스트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테스트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기판에 대한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를 변동시키며 각각의 2중 웰 형성한 것으로부터 각각의 면저항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이고,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각 도전형 물질의 분포 관계 및 면저항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테스트방법의 일 예를 살펴보면, 반도체기판에 적어도 2중 이상의 웰을 형성하여 웰 경계 영역에서의 제 1, 2 도전형 이온들의 도우즈 중첩 정도에 따른 반도체기판의 면저항 값을 측정함에 의해 제 1, 2 도전형 이온들의 주입 깊이에 따른 이온주입 에너지 정도를 테스트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와는 다른 방법의 실시예로는, 반도체기판에 제 1 도전형 이온주입 영역으로 이루어진 제 1 웰을 미리 형성하고, 제 1 웰 영역에 대응하여 제 1 도전형 이온과는 다른 원자가의 제 2 도전형 이온을 에너지 조건을 변경시켜 주입하여 제 2 웰을 만든 후, 상기 제 1, 2 웰의 경계 영역에서의 제 1, 2 도전형 이온들의 도우즈 중첩 정도에 따른 반도체기판의 면저항 값을 측정함에 의해 이온주입 에너지 정도를 테스트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 1 웰은 제 1 도전형 이온으로 하여금 반도체기판의 하부 위치에서 도핑 영역을 이루도록 하여 형성하고, 제 2 웰은 제 2 도전형 이온으로 하여금 제 1 웰에 감싸진 상부에 도핑 영역을 이루도록 하여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와는 반대로 제 1 웰은 제 1 도전형 이온으로 하여금 반도체기판의 상부에서 도핑 영역을 이루도록 하여 형성하고, 제 2 웰은 제 2 도전형 이온으로 하여금 제 1 웰 보다 하부에서 도핑 영역을 이루도록 하여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제 1 웰의 형성은 복수 반도체기판에 대하여 각기 다른 이온주입설비로부터 동일한 이온주입 에너지의 설정으로 각각 형성하고, 이들 반도체기판에 대한 제 2 웰의 형성은 어느 하나의 이온주입설비로부터 변경 설정한 이온주입 에너지로 각각 형성하여 실시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제 1 웰의 형성은 복수 반도체기판에 대하여 어느 하나의 이온주입설비로부터 설정한 이온주입 에너지로 각각 형성하고, 이들 반도체기판에 대한 제 2 웰의 형성은 각기 다른 이온주입설비로부터 동일하게 변경 설정한 이온주입 에너지로 각각 형성하여 실시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복수 반도체기판에 대한 제 1, 2 웰이 이루는 경계 영역에서의 제 1, 2 도전형 불순물의 중첩 정도에 따른 각 반도체기판에 대한 각각의 면저항 값으로부터 각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정도를 비교 검증하고, 이로부터 각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정도의 보정 값을 구하는 것으로 복수의 반도체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수준을 동일한 범위에 있도록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하나의 이온주입설비에 대한 이온주입 에너지 수준을 판단함에 있어서, 제 1 웰 또는 제 2 웰 중 어느 하나는 복수 반도체기판에 대하여 어느 하나의 이온주입설비로부터 이온주입 에너지 정도를 소정의 단위 범위로 변경시키며 각각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웰 형성은 변경 설정한 동일 이온주입 에너지 조건으로 각각 형성하여 실시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반도체기판에 대한 상기 제 1, 2 웰이 이루는 경계 영역에서의 상기 제 1, 2 도전형 불순물의 중첩 정도에 따른 반도체기판 상의 면저항 값을 각각 비교하여 각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정도를 검증하고, 이러한 과정을 각 이온주입설비에 적용 실시함으로써 각각의 이온주입 에너지 정도의 보정 값을 구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이온주입 에너지 정도에 대한 소정 단위 범위의 차이는 상기 설정한 이온주입 에너지의 0.5∼8%로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과정에 더 첨부하면, 반도체기판은 p형 불순물을 도핑한 것으로 하고, 제 1, 2 웰 중 하부층에 위치한 어느 하나의 웰은 n형 불순물을 도핑한 것으로 하며, 상부층에 위치한 다른 하나의 웰은 p형 불순물을 도핑한 것으로 하여 실시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와는 반대로 반도체기판은 n형 불순물을 도핑한 것으로 하고, 제 1, 2 웰 중 하부층에 위치한 어느 하나의 웰은 p형 불순물을 도핑한 것으로 하며, 상부층에 위치한 다른 하나의 웰은 n형 불순물을 도핑한 것으로 하여 실시하는 것 또한 무방한 것이다.
이상에서 밝힌 바와 같이,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를 측정하기에 앞서 그 시편을 이루는 반도체기판에 제 1, 2 웰을 포함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웰을 형성하고, 이들이 이루는 경계 영역 즉, 제 1, 2 웰의 형성에 따른 도핑된 제 1, 2 도전형 불순물의 중첩 정도에 대한 면저항 값을 측정함으로써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과정으로부터 그 측정 결과를 살펴보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이온주입설비로부터 이온주입 에너지를 변화시키며 그 경계 영역 즉, 설정 위치에 대한 측정된 면저항 값은 이온주입 에너지 수준의 변화에 대응하여 명확한 차이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편을 이루는 복수 반도체기판에 어느 하나의 웰을 동일한 이온주입 에너지 수준으로 각각 형성하고, 이들에 대하여 각기 다른 이온주입 에너지로 다른 웰을 형성하면, 이들 사이에서 상호 중첩이 있는 부위는 이온주입 에너지 수준의 차이로 그 경계 영역이 변화됨에 따른 것이다.
이에 대하여 상술한 제 1, 2 웰의 형성은 하부층에 위치하는 것과 그 상부에 위치하는 것 중 어느 것을 먼저 시행하여도 무관하다고 할 수 있으나 가능한 하부층을 이루는 웰을 먼저 형성하고, 그 위에 상부에 있는 웰을 형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과정과 결과를 통해 대량 생산체제의 생산라인 내에 있는 복수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에 대하여 상호 그 설정값을 동일한 범위에 있도록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이온주입설비를 통한 이온주입 공정을 거치는 반도체 웨이퍼는 이들 간의 이온주입 에너지 차이에 의한 공정 불량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정도를 서로 다른 원자가의 불순물 도핑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웰 간의 경계 영역 저항 값으로 테스트하여 이를 통해 각 도핑 깊이를 확인하여 이온주입 에너지 정도를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복수의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정도를 검증할 수 있어 그에 따른 공정 불량을 방지하여 제조수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트윈 웰 구조의 반도체소자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트리플 웰 구조의 반도체소자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반도체기판에 대한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를 변동시키며 각각의 단일 웰을 형성한 것으로부터 각각의 면저항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기판에 대한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를 변동시키며 각각의 2중 웰 형성한 것으로부터 각각의 면저항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각 도전형 물질의 분포 관계 및 면저항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Claims (12)

  1.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정도를 테스트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반도체기판에 적어도 2중 이상의 웰을 형성하여 웰 경계 영역에서의 제 1, 2 도전형 이온들의 도우즈 중첩 정도에 따른 반도체기판의 면저항 값을 측정함에 의해 이온주입 에너지 정도를 테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테스트방법.
  2.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정도를 테스트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반도체기판에 제 1 도전형 이온주입 영역으로 이루어진 제 1 웰을 미리 형성하고, 상기 제 1 웰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도전형 이온과는 다른 원자가의 제 2 도전형 이온을 에너지 조건을 변경시켜 주입하여 제 2 웰을 만든 후, 상기 제 1, 2 웰의 경계 영역에서의 제 1, 2 도전형 이온들의 도우즈 중첩 정도에 따른 반도체기판의 면저항 값을 측정함에 의해 이온주입 에너지 정도를 테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테스트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웰은 제 1 도전형 이온으로 하여금 반도체기판의 하부에서 도핑 영역을 이루도록 하여 형성하고, 상기 제 2 웰은 제 2 도전형 이온으로 하여금 상기 제 1 웰 보다 상부에서 도핑 영역을 이루도록 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테스트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웰은 제 1 도전형 이온으로 하여금 반도체기판의 상부에서 도핑 영역을 이루도록 하여 형성하고, 상기 제 2 웰은 제 2 도전형 이온으로 하여금 상기 제 1 웰 보다 하부에서 도핑 영역을 이루도록 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테스트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웰의 형성은 복수 반도체기판에 대하여 각기 다른 이온주입설비로부터 동일한 이온주입 에너지의 설정으로 각각 형성하고, 이들 반도체기판에 대한 상기 제 2 웰의 형성은 어느 하나의 이온주입설비로부터 변경 설정한 이온주입 에너지로 각각 형성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테스트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웰의 형성은 복수 반도체기판에 대하여 어느 하나의 이온주입설비로부터 설정한 이온주입 에너지로 각각 형성하고, 이들 반도체기판에 대한 상기 제 2 웰의 형성은 각기 다른 이온주입설비로부터 동일하게 변경 설정한 이온주입 에너지로 각각 형성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테스트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복수 반도체기판에 대한 상기 제 1, 2 웰이 이루는 경계 영역에서의 상기 제 1, 2 도전형 불순물의 중첩 정도에 따른 각 반도체기판에 대한 각각의 면저항 값으로부터 각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정도를 비교 검증하고, 이로부터 각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정도의 보정 값을 구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테스트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웰 또는 제 2 웰 중 어느 하나는 복수 반도체기판에 대하여 어느 하나의 이온주입설비로부터 이온주입 에너지 정도를 소정의 단위 범위로 변경시키며 각각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웰 형성은 변경 설정한 동일 이온주입 에너지 조건으로 각각 형성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테스트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복수 반도체기판에 대한 상기 제 1, 2 웰이 이루는 경계 영역에서의 상기 제 1, 2 도전형 불순물의 중첩 정도에 따른 반도체기판 상의 면저항 값을 각각 비교하여 각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정도를 검증하고, 이로부터 각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정도의 보정 값을 구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테스트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주입 에너지 정도에 대한 소정 단위 범위의 차이는 상기 설정한 이온주입 에너지의 0.5∼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테스트방법.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기판은 p형 불순물을 도핑한 것으로 하고, 상기 제 1, 2 웰 중 하부층에 위치한 어느 하나의 웰은 n형 불순물을 도핑한 것으로 하며, 상부층에 위치한 다른 하나의 웰은 p형 불순물을 도핑한 것으로 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테스트방법.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기판은 n형 불순물을 도핑한 것으로 하고, 상기 제 1, 2 웰 중 하부층에 위치한 어느 하나의 웰은 p형 불순물을 도핑한 것으로 하며, 상부층에 위치한 다른 하나의 웰은 n형 불순물을 도핑한 것으로 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테스트방법.
KR10-2003-0016757A 2003-03-18 2003-03-18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테스트방법 KR100494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757A KR100494439B1 (ko) 2003-03-18 2003-03-18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테스트방법
US10/776,594 US6867055B2 (en) 2003-03-18 2004-02-12 Method of testing ion implantation energy in ion implantation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757A KR100494439B1 (ko) 2003-03-18 2003-03-18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테스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114A KR20040082114A (ko) 2004-09-24
KR100494439B1 true KR100494439B1 (ko) 2005-06-10

Family

ID=32985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6757A KR100494439B1 (ko) 2003-03-18 2003-03-18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테스트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867055B2 (ko)
KR (1) KR1004944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9145A (ja) * 2005-02-21 2006-08-31 Oki Electric Ind Co Ltd 不純物の注入深さの監視方法
US7619229B2 (en) * 2006-10-16 2009-11-17 Varian Semiconductor Equipment Associates, Inc. Technique for matching performance of ion implantation devices using an in-situ mask
US20100050939A1 (en) * 2008-08-26 2010-03-04 Promos Technologies Inc. Method for determining the performance of implanting apparatus
CN107634013A (zh) * 2016-07-18 2018-01-26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一种离子注入能量测试结构及测试方法、电子装置
CN107195566B (zh) * 2017-07-12 2019-11-08 张学利 一种离子注入能量监控方法
CN111799159B (zh) * 2020-09-09 2020-12-04 南京晶驱集成电路有限公司 一种检测半导体设备检测感度的方法和检测系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5460A (en) * 1997-08-06 2000-04-25 Advanced Micro Devices, Inc. Semiconductor process compensation utilizing non-uniform ion implantation methodology
US5970313A (en) * 1997-12-19 1999-10-19 Advanced Micro Devices, Inc. Monitoring wafer temperature during thermal processing of wafers by measuring sheet resistance of a test wafer
US6107108A (en) * 1998-08-14 2000-08-2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Dosage micro uniformity measurement in ion implantation
US6366873B1 (en) * 1999-01-20 2002-04-0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Dopant profile modeling by rare event enhanced domain-following molecular dynamics
US6472232B1 (en) * 2000-02-22 2002-10-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miconductor temperature monitor
US6600163B2 (en) * 2000-12-22 2003-07-29 Alfred M. Halling In-process wafer charge monitor and control system for ion implanter
JP2003077854A (ja) * 2001-09-05 2003-03-14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85587A1 (en) 2004-09-23
US6867055B2 (en) 2005-03-15
KR20040082114A (ko) 200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5674B2 (en) Structure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defect in integrated circuit manufacturing process
US7504838B1 (en) Methods of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doped regions on device wafers, and system for accomplishing same
US20030094608A1 (en) Test structure and methodology for semiconductor stress-induced defects and antifuse based on same test structure
US20080217612A1 (en) Structure and method of mapping signal intensity to surface voltage for integrated circuit inspection
CN109560001B (zh) 半导体器件的缺陷检测结构、装置及其检测方法
KR100494439B1 (ko) 이온주입설비의 이온주입 에너지 테스트방법
US7397046B2 (en) Method for implanter angle verification and calibration
CN111785655A (zh) 离子注入工艺在线监控方法及监控系统
US8658438B2 (en) Measurement of lateral diffusion of implanted ions in doped well region of semiconductor devices
US6754553B2 (en) Implant monitoring using multiple implanting and annealing steps
US703384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s by monitoring nitrogen bearing species in gate oxide layer
US20090098670A1 (en) Semiconductor device for monitoring current characteristic and monitoring method for current characteristic of semiconductor device
JP3732220B1 (ja) イオン注入量分布評価方法
US7495254B2 (en) Test structure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studying crystal lattice dislocation defects in integrated circuit devices
KR0161736B1 (ko) 접합 리키지 전류 측정방법
US20050142671A1 (en) Low energy dose monitoring of implanter using implanted wafers
US6362080B1 (en) Formation of a vertical junction through process simulation based optimization of implant doses and energies
US6313480B1 (en) Structure and method for evaluating an integrated electronic device
US6403979B1 (en) Test structure for measuring effective channel length of a transistor
CN107316856B (zh) 离子注入异常的检测结构及其制备方法,以及检测方法
US7867884B2 (en) Sample wafer fabrication method
US9589854B2 (en) Alignment monitoring structure and alignment monitoring method for semiconductor devices
US20060076558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844208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implantation of ions into semiconductor substrates
KR0161420B1 (ko) 고에너지 이온주입의 모니터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