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4243A - 다중 출력을 발생시키는 감속기어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출력을 발생시키는 감속기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4243A
KR20030064243A KR1020020042864A KR20020042864A KR20030064243A KR 20030064243 A KR20030064243 A KR 20030064243A KR 1020020042864 A KR1020020042864 A KR 1020020042864A KR 20020042864 A KR20020042864 A KR 20020042864A KR 20030064243 A KR20030064243 A KR 20030064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et gear
planet
gear group
gea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2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8653B1 (ko
Inventor
윤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엔
Publication of KR20030064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4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6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 F16H2001/327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with orbital gear sets comprising an internally toothed r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출력을 발생시키는 감속기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기어하우징과, 상기 기어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는 인터널기어와, 상기 기어하우징 내로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모터 샤프트에 연결되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썬기어와, 상기 기어하우징 내에서 상기 썬기어 및 인터널기어와 치합되는 복수개의 플래닛기어로 구성되는 베이스 플래닛기어군과, 상기 베이스 플래닛기어군의 플래닛기어 상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플래닛기어군의 플래닛기어와는 지름이 다른 복수개의 플래닛기어로 구성되는 제 3 플래닛기어군과, 상기 제 3 플래닛기어군의 플래닛기어 상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플래닛기어 및 제 3 플래닛기어군의 플래닛기어와는 지름이 다른 복수개의 플래닛기어로 구성되는 제 4 플래닛기어군과, 상기 베이스 플래닛기어군, 제 3 플래닛기어군 및 제 4 플래닛기어군의 플래닛기어가 자전과 동시에 상기 입력축을 중심으로 공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전지지수단과, 상기 제 3 플래닛기어군과 치합되어 제 3 출력속도로 회전하는 제 3 출력수단과, 상기 제 4 플래닛기어군과 치합되어 제 4 출력속도로 회전하는 제 4 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하나의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입력받고 이를 효과적으로 감속하는 것은 물론, 정회전 및 역회전 중 원하는 회전방향으로 서로 다른 속도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다중 출력을 발생시키는 감속기어장치{A reduction gear apparatus generating multiple output}
본 발명은 감속기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입력받고 이를 감속하는 것은 물론, 정회전 및 역회전 중 원하는 회전방향으로 조합된 다중의 출력으로 출력하는 데 적당하도록 한 다중 출력을 발생시키는 감속기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속기어장치는 상당한 속도로 회전하는 모터의 회전력을 입력받아 이를 저속의 회전속도로 전환하여 출력하는 지름이 다른 기어들의 조립체로써, 모터의 회전력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장치에서 사용되며 그 형태와 종류가 매우다양하다.
이에, 도 1a 은 종래의 감속기어장치의 수직단면을 도시한 참조도이고, 도 1b 는 도 1a 의 A-A' 를 절단한 수평단면을 도시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감속기어장치는 인터널기어가 형성된 기어하우징(101)과, 일단은 모터(113)샤프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기어하우징(101)에 입력측에 삽입되는 입력축(103)과, 상기 입력축(103)의 타단부에 결합된 썬기어(105)와, 상기 썬기어(105)와 기어하우징(101)의 인터널기어에 동시에 치합되는 복수개의 플래닛기어(107)와, 하부에는 상기 플래닛기어(107) 중앙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연결핀이 설치되고 상부에는 중앙에 출력축(111)이 설치되는 회전판(109)을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입력축(103)이 모터(113)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 이와 치합된 상기 복수개의 플래닛기어(107)가 자전과 동시에 상기 입력축(103)을 중심으로 공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판(109)이 상기 플래닛기어(107)의 공전속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출력축(111)을 통하여 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감속기어는 상기와 같은 간단한 구성만으로는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는 2 개 이상의 출력축을 구비하기가 곤란하였으며, 이 때문에 교반장치와 같이 서로 다른 회전속도를 갖는 2 개 이상의 출력축을 필요로 하는 장치에서는 부피가 커지고 설치비용이 과다하게 지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하나의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입력받고 이를 효과적으로 감속하는 것은 물론, 정회전 및 역회전 중 원하는 회전방향으로 서로 다른 속도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다중 출력을 발생시키는 감속기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a 은 종래의 감속기어장치의 수직단면을 도시한 참조도.
도 1b 는 도 1a 의 A-A' 를 절단한 수평단면을 도시한 참조도.
도 2 는 본 발명의 외관을 보여주는 참조도.
도 3 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4 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단면을 보여주는 참조도.
도 5 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회전지지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참조도.
도 6 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제 1 출력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참조도.
도 7 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제 2 출력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참조도.
도 8 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9 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단면을 보여주는 참조도.
도 10 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회전지지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참조도.
도 11 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제 3 출력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참조도.
도 12 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제 4 출력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참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1 : 기어하우징 3,55 : 입력축
5,57 : 썬기어 7,9,59,61,63 : 플래닛기어
20,70 : 회전지지수단 30 : 제 1 출력수단
40 : 제 2 출력수단 53 : 인터널기어
80 : 제 3 출력수단 90 : 제 4 출력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중 출력을 발생시키는 감속기어장치는, 기어하우징과, 상기 기어하우징 내로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모터 샤프트에 연결되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썬기어와, 상기 기어하우징 내에서 상기 썬기어와 치합되는 복수개의 플래닛기어로 구성되는 제 1 플래닛기어군과, 상기 제 1 플래닛기어군의 플래닛기어 상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 1 플래닛기어군의 플래닛기어와 지름이 다른 복수개의 플래닛기어로 구성되는 제 2 플래닛기어군과, 상기 제 1 플래닛기어군 및 제 2 플래닛기어군의 플래닛기어가 자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전지지수단, 상기 제 1 플래닛기어군과 치합되어 제 1 출력속도로 회전하는 제 1 출력수단과, 상기 제 2 플래닛기어군과 치합되어 제 2 출력속도로 회전하는 제 2 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지지수단은, 상기 썬기어의 하부에서 상기 입력축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하부지지판과, 상기 하부지지판의 상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1 플래닛기어군 및 제 2 플래닛기어군의 플래닛기어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결합핀과, 상기 복수개의 결합핀을 상부에서 지지하는 상부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출력수단은, 내주면에 상기 제 1 플래닛기어군과 치합되는 인터널기어가 형성되는 제 1 원관형 부재와, 상기 제 1 원관형 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1 원판형 부재와, 상기 제 1 원판형 부재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기어하우징의 출력측을 관통하는 제 1 출력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 출력수단은, 상기 제 1 원관형 부재 내측에 위치하고 내주면에 상기 제 2 플래닛기어군과 치합되는 인터널기어가 형성되는 제 2 원관형 부재와, 상기 제 2 원관형 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2 원판형 부재와, 상기 제 2 원판형 부재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출력축을 관통하는 제 2 출력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중 출력을 발생시키는 감속기어장치는 기어하우징과, 상기 기어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는 인터널기어와, 상기 기어하우징 내로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모터 샤프트에 연결되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썬기어와, 상기 기어하우징 내에서 상기 썬기어 및 인터널기어와 치합되는 복수개의 플래닛기어로 구성되는 베이스 플래닛기어군과, 상기 베이스 플래닛기어군의 플래닛기어 상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플래닛기어군의 플래닛기어와는 지름이 다른 복수개의 플래닛기어로 구성되는 제 3 플래닛기어군과, 상기 제 3 플래닛기어군의 플래닛기어 상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플래닛기어 및 제 3 플래닛기어군의 플래닛기어와는 지름이 다른 복수개의 플래닛기어로 구성되는 제 4 플래닛기어군과, 상기 베이스 플래닛기어군, 제 3 플래닛기어군 및 제 4 플래닛기어군의 플래닛기어가 자전과 동시에 상기 입력축을 중심으로 공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전지지수단과, 상기 제 3 플래닛기어군과 치합되어 제 3 출력속도로 회전하는 제 3 출력수단과, 상기 제 4 플래닛기어군과 치합되어 제 4 출력속도로 회전하는 제 4 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지지수단은, 상기 썬기어의 하부에서 상기 입력축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하부지지판과, 상기 하부지지판의 상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플래닛기어군, 제 3 플래닛기어군 및 제 4 플래닛기어군의 플래닛기어에 복수개의 결합핀과, 상기 복수개의 결합핀을 상부에서 지지하는 상부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출력수단은, 내주면에 상기 제 3 플래닛기어군과 치합되는 인터널기어가 형성되는 제 3 원관형 부재와, 상기 제 3 원관형 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3 원판형 부재와, 상기 제 3 원판형 부재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기어하우징의 출력측을 관통하는 제 3 출력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4 출력수단은, 상기 제 3 원관형 부재 내측에 위치하고 내주면에 상기 제 4 플래닛기어군과 치합되는 인터널기어가 형성되는 제 4 원관형 부재와, 상기 제 4 원관형 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4 원판형 부재와, 상기 제 4 원판형 부재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3 출력축을 관통하는 제 4 출력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플래닛기어군의 플래닛기어는 상기 베이스 플래닛기어군의 플래닛기어보다 지름이 크고, 상기 제 4 플래닛기어군의 플래닛기어는 상기 베이스 플래닛기어군의 플래닛기어보다 지름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의 외관을 보여주는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중 출력을 발생시키는 감속기어장치는 모터로부터 입력받은 회전력을 서로 다른 회전속도로 출력하는 2 개 혹은 그 이상의 출력축(a,b)을 구비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입력받은 모터의 회전력을 분할하여 서로 다른 속도로 감속한 후 이를 상기 출력축(a,b)을 통하여 다중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에, 이하에서는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로써 본 발명의 다중 출력을 발생시키는 감속기어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제 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 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 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단면을 보여주는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어하우징(1)과, 모터의 회전력을 입력받는 입력축(3)과, 상기 입력축(3)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썬기어(5)와, 상기 썬기어(5)와 치합되어 회전하는 복수개의 플래닛기어로 구성되는 제 1 플래닛기어군(7)과, 제 2 플래닛기어군(9)과, 상기 제 1 및 2 플래닛기어군(7,9)의 플래닛기어가 자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전지지수단(20)과, 상기 제 1 및 2 플래닛기어군(7,9)에 각각 치합되는 제 1 출력수단(30)과 제 2 출력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입력축(3)은 상기 기어하우징(1) 내로 일단은 삽입되고 타단은모터 샤프트에 연결된다.
이로써, 상기 입력축(3)은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기어하우징(1) 내로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썬기어(5)는 상기 기어하우징(1) 내에 삽입된 상기 입력축(3)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 1 플래닛기어군(7)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플래닛기어는 상기 기어하우징(1) 내에서 상기 썬기어(5)와 치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플래닛기어군(7)을 구성하는 플래닛기어는 상기 썬기어(5)와 힘의 균형을 이루는 데 적절하게 상기 썬기어(5)를 중심으로 방사상 배치되며, 그 수는 도시된 것처럼 3 개 정도가 적당하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기 제 1 플래닛기어군(7)의 플래닛기어는 상기 썬기어(5)와 상기 제 1 출력수단(30)과 동시에 치합되며, 이로써 상기 썬기어(5)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1 출력수단(30)을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제 2 플래닛기어군(9)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플래닛기어는 상기 제 1 플래닛기어군(7)의 플래닛기어 상면에 각각 결합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플래닛기어군(9)의 플래닛기어와 상기 제 1 플래닛기어군(7)의 플래닛기어는 핀결합이나 나사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하에 언급되는 모든 플래닛기어간 결합도 이와 동일하다.
이로써, 상기 제 2 플래닛기어군(9)의 플래닛기어는 상기 제 1 플래닛기어군(7)의 플래닛기어와 동일한 속도(각속도)로 회전하게 되며, 치합된 상기 제 2 출력수단(40)을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플래닛기어군(9)의 플래닛기어는 상기 제 1 플래닛기어군(7)의 플래닛기어와 지름이 다른 것으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플래닛기어군(7) 및 제 2 플래닛기어군(9)의 플래닛기어 지름이 다르게 구성되면, 이에 치합되는 상기 제 1 출력수단(30) 및 제 2 출력수단(40)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성요소들의 원활한 동작을 위하여 상기 기어하우징(1)과 제 1 출력수단(30) 사이, 상기 제 1 출력수단(30)과 제 2 출력수단(40) 사이, 상기 기어하우징(1)과 회전지지수단(20) 사이, 상기 회전지지수단(20)과 입력축(3) 사이 및 상기 입력축(3)의 상부 끝단과 상기 입력축(3)이 접촉되는 제 2 출력수단(40)의 하부 사이에는 적절한 수의 베어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기어하우징(1)과 제 1 출력수단(30) 사이, 상기 제 1 출력수단(30)과 제 2 출력수단(40) 사이, 상기 기어하우징(1)과 회전지지수단(20) 사이, 상기 회전지지수단(20)과 입력축(3) 사이 및 상기 입력축(3)의 상부 끝단과 상기 입력축(3)이 접촉되는 제 2 출력수단(40)의 하부 사이에 설치된 상기 베어링은 순서대로 각각 b1, b2, b3, b4, b5 로 표기되었다.
도 5 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회전지지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지지수단(20)은 하부지지판(21)과 복수개의 결합핀(23a)과, 상부지지판(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지지수단(20)의 하부지지판(21)은 상기 썬기어(5)의 하부에서 상기 입력축(3)에 끼워진다.
또한, 상기 결합핀(23a)은 상기 하부지지판(21)의 상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1 플래닛기어군(7) 및 제 2 플래닛기어군(9)의 플래닛기어에 끼워진다.
또한, 상기 상부지지판(25)은 상기 복수개의 결합핀(23a) 상단부를 끼워 지지하며, 상기 상부지지판(25)의 상부에서 상기 결합핀(23a)에 끼워져 상기 결합핀(23a)을 고정시키는 고정핀(23b)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부지지판(21)과 상부지지판(25) 사이에는 양자간을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시키기 위하여 지주(27)가 더욱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회전지지수단(20)은 상기 제 1 플래닛기어군(7) 및 제 2 플래닛기어군(9)의 플래닛기어가 자전가능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지지수단(20)이 상기 입력축(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경우, 상기 회전지지수단(20)에 지지되는 상기 제 1 플래닛기어군(7) 및 제 2 플래닛기어군(9)의 플래닛기어는 자전과 동시에 상기 입력축(3)을 중심으로 공전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 1 출력수단(30)은 상기 제 1 플래닛기어군(7)의 플래닛기어들(7)과 치합되어 제 1 출력속도로 회전하면서 출력하게 되고, 상기 제 2 출력수단(40)은 상기 제 2 플래닛기어군(9)의 플래닛기어들(9)과 치합되어 제 2 출력속도로 회전하면서 출력하게 된다.
이에, 상기 제 1 출력수단(30) 및 제 2 출력수단(4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제 1 출력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출력수단(30)은 제 1 원관형 부재(31)와, 제 1 원판형 부재(33)와, 제 1 출력축(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원관형 부재(31)는 내주면에 상기 제 1 플래닛기어군(7)과 치합되는 인터널기어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원판형 부재(33)는 상기 제 1 원관형 부재(31)의 상부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 1 출력축(35)은 상기 제 1 원판형 부재(33)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기어하우징(1)의 출력측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써, 상기 제 1 출력수단(30)은 상기 제 1 플래닛기어군(7)의 플래닛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감속된 회전력을 최종적으로 상기 제 1 출력축(35)을 통하여 출력하게 되나, 전제적인 효과를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출력수단(30)이 상기 기어하우징(1)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다고 가정한 후 각 기어들의 움직임을 관찰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지지수단(20)이 1 회전하는 동안 상기 썬기어(5)의 회전수는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 1 + (제 1 출력수단(30)의 인터널기어 잇수 / 썬기어(5)의 잇수) }이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플래닛기어군(7)의 플래닛기어는 상기 썬기어(5)의 주위를 1 회 공전하는 동안 자전을 함께 하게 되는데, 그 자전수는 (제 1 출력수단(30)의 인터널기어 잇수 / 제 1 플래닛기어군(7)의 플래닛기어 잇수) 이다.
예를 들어, 상기 썬기어(5)의 잇수가 20 개, 상기 제 1 플래닛기어군(7)의 플래닛기어 잇수가 90 개, 상기 제 1 출력수단(30)의 인터널기어 잇수가 200 개라면 상기 회전지지수단(20)이 상기 썬기어(5)의 주위로 1회전하기 위해서는 상기 썬기어(5)는 { 1 + (200 / 20) } 회전을 해야 하며, 이때의 상기 제 1 플래닛기어군 (7)의 플래닛기어는 (200 / 90)회 자전하게 된다.
단, 이는 상기 제 1 출력수단(30)이 상기 기어하우징(1)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을 때에 한한다.
도 7 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제 2 출력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출력수단(40)은, 상기 제 1 출력수단(30)과 유사하게 제 2 원관형 부재(41)와, 제 2 원판형 부재(43)와, 제 2 출력축(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원관형 부재(41)는 상기 제 1 원관형 부재(31) 내측에 위치하고 내주면에 상기 제 2 플래닛기어군(9)과 치합되는 인터널기어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원판형 부재(43)는 상기 제 2 원관형 부재(41)의 상부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 2 출력축(45)은 상기 제 2 원판형 부재(43)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출력축(35)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써, 상기 제 2 출력수단(40)은 상기 제 2 플래닛기어군(9)의 플래닛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감속시키면서 상기 제 2 출력축(45)을 통하여 감속된 회전력을 최종적으로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출력축(45)의 회전속도는 상기 제 1 플래닛기어군(7)과 제 2 플래닛기어군(8)의 플래닛기어 자전수와, 상기 제 1 플래닛기어군(7)과 상기 제 2 플래닛기어군(8)의 플래닛기어 간의 잇수차와, 상기 제 2 출력수단(40)의 인터널기어 잇수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
즉, 상기 회전지지수단(20)이 1 회전하였을 때, 상기 제 2 출력축(45)의 회전수는 상기 제 1 플래닛기어군(7)의 플래닛기어 자전수에 상기 제 2 출력수단(40)의 상기 제 1 플래닛기어군(7)의 플래닛기어 1 회 자전당 회전수를 곱하여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썬기어(5)의 잇수가 20 개, 상기 제 1 출력수단(30)의 인터널기어 잇수가 200 개, 상기 제 1 플래닛기어군(7)의 플래닛기어 잇수가 90 개, 상기 제 2 플래닛기어군(9)의 플래닛기어 잇수가 80 개, 상기 제 2 출력수단(40)의 인터널기어 잇수가 190 개라면, 상기 썬기어(5)는 상기 제 2 출력축(45)을 1 회전시키기 위해 { (1 + 제 1 출력수단(30)의 인터널기어 잇수 / 썬기어(5)의 잇수) } / [ { (제 1 출력수단의 인터널기어 잇수 / 제 1 플래닛기어군(7)의 플래닛기어 잇수) } × { 제 2 출력수단의 인터널기어 잇수 / (제 1 플래닛기어군(7)의 플래닛기어 잇수 - 제 2 플래닛기어군(9)의 플래닛기어 잇수) } ] 로 계산되어 대략 94.5회전하는 것으로 산출된다.
이때, 상기 제 2 출력수단(40)은 상기 썬기어(5)의 94.5 회전당 상기 제 1 출력수단(30)과 1회전 차이가 나게 된다.
단, 여기서도 상기 제 1 츨력수단(30)이 상기 기어하우징(1)에 고정되어 회전하지 못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출력수단(30)이 상기 기어하우징(1)에 고정되지 아니하고, 자유로이 회전하게 구성하게 되면, 상기 썬기어(5)가 94.5 회전할 때 상기 제 1 출력수단(30)과 상기 제 2 출력수단(40)은 서로 1 회전만큼만 차이가 나도록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제 1 출력축(35)과 상기 제 2 출력축(45)에 걸리는 임의의 부하 성질에 의해 어느 한 출력축이 0.5 회전을 하게 된다면, 나머지 한 출력축은 반대방향으로 0.5회전을 하여 그 회전차이가 1 회전이 되도록 보상해 주게 된다.
만약, 상기 제 1 출력축(35)과 상기 제 2 출력축(45)에 걸리는 임의의 부하 성질에 의해 어느 한 출력축이 1.5 회전을 하게 된다면, 나머지 한 출력축은 같은 방향으로 0.5회전을 하여 그 회전차이가 1회전이 되도록 보상해 주게 된다.
이때, 자유회전하게 되는 상기 회전지지수단(20)의 회전속도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며, 따라서, 상기 제 1 출력축(35)과 제 2 출력축(45)의 감속된 회전속도 역시 정확하게 예측하기는 어려워진다.
하지만, 외부로부터 상기 제 1 출력축(35)과 제 2 출력축(45)에 가해지는 저항력, 즉 외부의 부하가 어느 한 출력축에 크게 걸리게 되면 상기회전지지수단(20)의 회전속도는 다른 한 출력축이 큰 부하가 걸리는 출력축의 감소된 회전수를 보상해 줄 수 있는 속도를 가지도록 자동적으로 조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출력축(35)과 제 2 출력축(45)의 회전이 상호 보완적인 경우 한쪽 출력축에 걸리는 과부하에 의해 감속기 자체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는 원인을 다른쪽 출력축이 해제시켜주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교반장치 등에서 사용될 때에는, 상기 제 1 출력축(35)과 제 2 출력축(45)에 연결되고 외부의 부하를 받게 되는 교반날개 등의 구성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특징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시되지 않은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어 샤프트가 회전하면, 이에 연결된 본 발명의 입력축(3)과 이에 결합된 썬기어(5)가 회전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썬기어(5)와 치합된 제 1 플래닛기어군(7)의 플래닛기어가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자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플래닛기어군(7)의 플래닛기어의 상면에 결합된 제 2 플래닛기어군(9)의 플래닛기어 역시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플래닛기어군(7) 및 제 2 플래닛기어군(9)의 플래닛기어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 1 플래닛기어군(7) 및 제 2 플래닛기어군(9)의 플래닛기어에 각각 치합되어 있는 제 1 출력수단(30) 및 제 2 출력수단(40)이 회전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제 1 출력수단(30) 및 제 2 출력수단(40)에 각각 포함된 제 1 출력축(35)과 제 2 출력축(45)이 회전하여 기어하우징(1)의 외부로 모터의 감속된 회전력을 개별적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플래닛기어군(7) 및 제 2 플래닛기어군(9)의 플래닛기어는 서로 다른 지름을 갖기 때문에 이에 치합된 상기 제 1 출력수단(30) 및 제 2 출력수단(40)의 제 1 출력축(35) 및 제 2 출력축(45)은 상기 썬기어(5)의 일정 회전당 상호 일정한 회전수 차이를 가지고 회전을 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제 1 출력수단(30) 및 제 2 출력수단(40)의 제 1 출력축(35)과 제 2 출력축(45)은 더욱 감속되는 효과를 갖는 것은 물론, 같은 방향의 서로 다른 속도의 출력, 또는 부하를 분할할 수 있는 상호 반대방향의 출력을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계속해서, 이하에서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8 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 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단면을 보여주는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기어하우징(51)과, 상기 기어하우징(51)에 고정 설치되는 인터널기어(53)와, 입력축(55)과, 썬기어(57)와, 베이스 플래닛기어군(59)과, 제 3 플래닛기어군(61)과, 제 4플래닛기어군(63)과, 회전지지수단(70)과, 상기 제 3 플래닛기어군(61) 및 제 4 플래닛기어군(63)에 각각 치합되는 제 3 출력수단(80) 및 제 4 출력수단(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어하우징(51)과, 상기 입력축(55)과, 상기 썬기어(57)는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플래닛기어군(59)은 상기 기어하우징(51) 내에서 상기 썬기어(57) 및 인터널기어(53)와 치합되는 복수개의 플래닛기어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써, 상기 베이스 플래닛기어군(59)의 플래닛기어는 상기 썬기어(57)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자전)하면서 상기 썬기어(57)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기어하우징(51)의 고정 설치된 인터널기어(53)를 타고 공전한다.
또한, 상기 제 3 플래닛기어군(61)은 상기 베이스 플래닛기어군(59)의 플래닛기어 상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플래닛기어군(59)의 플래닛기어와는 지름이 다른 복수개의 플래닛기어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4 플래닛기어군(63)은 상기 제 3 플래닛기어군(61)의 플래닛기어 상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플래닛기어군(59) 및 제 3 플래닛기어군(61)의 플래닛기어와는 지름이 다른 복수개의 플래닛기어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3 플래닛기어군(61) 및 제 4 플래닛기어군(63)의 플래닛기어 지름이 상기 베이스 플래닛기어군(59)의 플래닛기어 지름과 다르도록 구성되면, 이에 치합되는 상기 제 3 출력수단(80) 및 제 4 출력수단(90)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3 플래닛기어군(61)의 플래닛기어는 상기 베이스 플래닛기어군(59)의 플래닛기어보다 지름이 크고, 상기 제 4 플래닛기어군(63)의 플래닛기어는 상기 베이스 플래닛기어군(59)의 플래닛기어보다 지름이 작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제 3 출력수단(80) 및 제 4 출력수단(9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또한, 구성요소들의 원활한 동작을 위하여 상기 기어하우징(51)과 제 3 출력수단(80) 사이, 상기 제 3 출력수단(80)과 제 4 출력수단(90) 사이, 상기 기어하우징(51)과 입력축(55) 사이, 상기 회전지지수단(70)과 입력축(55) 사이, 상기 기어하우징(51)과 회전지지수단(70) 사이, 상기 베이스 플래닛기어군(59), 제 3 플래닛기어군(61), 제 4플래닛기어군(63)의 플래닛기어들과 회전지지수단(70) 사이 및 상기 입력축(55)의 상부 끝단과 상기 입력축(55)이 접촉되는 제 2 출력수단(40)의 하부 사이에는 적절한 수의 베어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기어하우징(51)과 제 3 출력수단(80) 사이, 상기 제 3 출력수단(80)과 제 4 출력수단(90) 사이, 상기 기어하우징(51)과 입력축(55) 사이, 상기 회전지지수단(70)과 입력축(55) 사이, 상기 기어하우징(51)과 회전지지수단(70) 사이, 상기 베이스 플래닛기어군(59), 제 3 플래닛기어군(61), 제 4플래닛기어군(63)의 플래닛기어들과 회전지지수단(70) 사이 및 상기 입력축(55)의 상부 끝단과 상기 입력축(55)이 접촉되는 제 2 출력수단(40)의 하부 사이에 설치된 상기 베어링은 순서대로 각각 b7, b6, b8, b9, b10, b11, b12 로 표기되었다.
도 10 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회전지지수단을 보여주는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지지수단(70)은 하부지지판(71)과, 복수개의 결합핀(73)과, 상부지지판(75)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지지판(71)은 상기 썬기어(57)의 하부에서 상기 입력축(55)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다.
또한, 상기 결합핀(73)은 상기 하부지지판(71)의 상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플래닛기어군(59), 제 3 플래닛기어군(61) 및 제 4 플래닛기어군(63)의 플래닛기어에 끼워진다.
또한, 상기 상부지지판(75)은 상기 복수개의 결합핀(73)의 상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결합핀(73)을 상부에서 지지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회전지지수단(70)은 상기 베이스 플래닛기어군(59), 제 3 플래닛기어군(61) 및 제 4 플래닛기어군(63)의 플래닛기어가 자전과 동시에 상기 입력축(55)을 중심으로 공전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3 출력수단(80)은 상기 제 3 플래닛기어군(61)과 치합되어 제 3 출력속도로 회전하면서 출력하고, 상기 제 4 출력수단(90)은 상기 제 4 플래닛기어군(63)과 치합되어 제 4 출력속도로 회전하면서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3 출력수단(80) 및 제 4 출력수단(9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도 11 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제 3 출력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 출력수단(80)은 제 3 원관형 부재와(81), 제 3 원판형 부재(83)와, 제 3 출력축(8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3 원관형 부재(81)는 내주면에 상기 제 3 플래닛기어군(61)과 치합되는 인터널기어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3 원판형 부재(83)는 상기 제 3 원관형 부재(81)의 상부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 3 출력축(85)은 상기 제 3 원판형 부재(83)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기어하우징(51)의 출력측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써, 상기 제 3 출력수단(80)은 상기 제 3 플래닛기어군(61)의 플래닛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감속시키면서 상기 제 3 출력축(85)을 통하여 감속된 회전력을 최종적으로 출력하게 된다.
도 12 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제 4 출력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출력수단(90)은, 제 4 원관형 부재(91)와, 제 4 원판형 부재(93)와, 제 4 출력축(9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4 원관형 부재(91)는 상기 제 3 원관형 부재(81) 내측에 위치하고 내주면에 상기 제 4 플래닛기어군(63)과 치합되는 인터널기어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4 원판형 부재(93)는 상기 제 4 원관형 부재(91)의 상부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 4 출력축(95)은 상기 제 4 원판형 부재(93)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3 출력축(85)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써, 상기 제 4 출력수단(90)은 상기 제 4 플래닛기어군(63)의 플래닛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감속시키면서 상기 제 4출력축(95)을 통하여 감속된 회전력을 최종적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 2 실시예 따른 본 발명에서 상기 썬기어(57)의 회전에 따른 상기 제 3 출력축(85) 및 제 4 출력축(95)의 출력속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베이스플래닛기어군(59)의 플래닛기어가 상기 썬기어(57)를 중심으로 1 회전, 즉 1 공전하게 될 때의 썬기어(57)의 회전수와, 상기 베이스플래닛기어군(59)의 플래닛기어가 자전하는 회수를 각각 구해보면,
먼저, 상기 썬기어(57)의 회전수는,
{ 1 + (기어하우징(51)의 인터널기어 잇수 / 썬기어(57)) } 잇수 이고,
상기 베이스플래닛기어군(59)의 플래닛기어가 자전하는 회수는,
(기어하우징(51)의 인터널기어 잇수 / 베이스 플래닛기어군(59)의 플래닛기어 잇수) 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값을 근거로 상기 제 3 출력수단(80)의 회전수를 구한다.
먼저, 상기 베이스 플래닛기어군(59)의 플래닛기어가 1 회 자전하는 동안 제 3 출력수단(80)의 회전수는 베이스 플래닛기어군(59)의 플래닛기어 잇수와 제 3 플래닛기어군(61)의 플래닛기어의 잇수차에 해당하므로,
{ (베이스 플래닛기어군(59)의 플래닛기어 잇수 - 제 3 플래닛기어군(61)의 플래닛기어 잇수) / 제 3 출력수단(80)의 인터널기어 잇수 } 로 구해진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플래닛기어군(59)의 플래닛기어가 상기 썬기어(57)를 중심으로 1 회 공전하게 될 때의 제 3 출력수단(80)의 회전수는,
[ { (베이스 플래닛기어군(59)의 플래닛기어 잇수 - 제 3 플래닛기어군(61)의 플래닛기어 잇수) } / 제 3 출력수단(80)의 인터널기어 잇수 ] × (기어하우징(51)의 인터널기어 잇수 / 베이스 플래닛기어군(59)의 플래닛기어 잇수) 가 된다.
또한, 상기 제 3 출력수단(80) 1 회전당 썬기어(57)의 회전수, 즉 감속비는 상기에서 구해진 베이스 플래닛기어군(59)의 플래닛기어가 상기 썬기어(57)를 중심으로 1 회 공전하게 될 때의 썬기어(57)의 회전수를 제 3 출력수단(80)의 회전수로 나눈 값이 되며, 이에 상기 제 3 출력수단(80) 1 회전당 썬기어(57)의 회전수는,
{ 1 + (기어하우징(51)의 인터널기어 잇수 / 썬기어(57) 잇수) } / [ { (베이스 플래닛기어군(59)의 플래닛기어 잇수 - 제 3 플래닛기어군(61)의 플래닛기어 잇수) } / 제 3 출력수단(80)의 인터널기어 잇수 ] × { (기어하우징(51)의 인터널기어 잇수 / 베이스 플래닛기어군(59)의 플래닛기어 잇수) } 가 된다.
한편, 상기 제 4 출력수단(90)의 1 회전당 썬기어(57)의 회전수는 상기 제 3 출력수단(80) 1 회전당 썬기어(57)의 회전수를 구하는 식에서 상기 제 3 출력수단(80)의 인터널기어 잇수 및 제 3 플래닛기어군(61)의 플래닛기어 잇수를 각각 제 4 출력수단(90)의 인터널기어 잇수 및 제 4 플래닛기어군(63)의 플래닛기어 잇수로 치환하면 되므로, 이에, 상기 제 4 출력수단(90)의 1 회전당 썬기어(57)의 회전수는,
{ 1 + (기어하우징(51)의 인터널기어 잇수 / 썬기어(57) 잇수) } / { (베이스 플래닛기어군(59)의 플래닛기어 잇수 - 제 4 플래닛기어군(63)의 플래닛기어 잇수) } / 제 4 출력수단(90)의 인터널기어 잇수 ] × { (기어하우징(51)의 인터널기어 잇수 / 베이스 플래닛기어군(59)의 플래닛기어 잇수) } 가 된다.
여기서, 상기 제 3 출력수단(80) 및 제 4 출력수단(90)의 감속비가 마이너스가 되면 상기 썬기어(57)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결정하는 인자는, 제 3 출력수단(80)의 회전과 관련해서는 제 3 플래닛기어군(61)의 플래닛기어 잇수(또는 지름)이고, 제 4 출력수단(90)의 회전과 관련해서는 제 4 플래닛기어군(63)의 플래닛기어 잇수(또는 지름)이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플래닛기어군(59)의 플래닛기어의 지름에 대하여 상기 제 3 플래닛기어군(61) 및 제 4 플래닛기어군(63)의 플래닛기어의 지름을 적절하게 구성하면 필요로하는 정방향, 역방향의 회전이 조합된 다중출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플래닛기어군(61)의 플래닛기어의 지름을 상기 베이스 플래닛기어군(59)의 플래닛기어의 지름 보다 크고, 상기 제 4 플래닛기어군(63)의 플래닛기어의 지름은 상기 베이스 플래닛기어군(59)의 플래닛기어의 지름 보다 작게 구성하면, 상기 제 3 출력수단(80)과 제 4 출력수단(90)은 각각 역방향과 정방향으로 감속회전하게 되며, 이로써 제 3 출력수단(80)의 출력축(85)과 제 4 출력수단(90)의 출력축(95)이 서로 다른 방향의 출력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2 개의 출력축만이 아니라 그 이상의 출력축을 구비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구성 역시 제 2 실시예와 비교하여 대동소이하므로 특징적인 부분만을 이하에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2 개 이상의 출력축을 갖기 위한 본 발명은, 제 2 실시예의 구성에서 제 4 플래닛기어군(63)의 플래닛기어 상부에 지름이 서로 다른 복수개의 플래닛기어가 다단으로 더욱 결합된다.
또한, 제 2 실시예의 제 3 출력수단(80) 및 제 4 출력수단(90) 대신 출력축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출력수단이 차례대로 적층되면서 상기 다단의 플래닛기어군의 상부단으로부터 하부단에 각각 치합되고, 각각의 출력수단 상면에 형성된 출력축은 하부에 위치한 출력수단의 출력축에 의해 관통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써, 본 발명은 2 개 이상의 출력축으로 모터의 회전력을 분할하여 개별적으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시되지 않은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어 샤프트가 회전하면, 이에 연결된 본 발명의 입력축(55)과 이에 결합된 썬기어(57)가 회전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썬기어(57)와 치합된 베이스 플래닛기어군(59)의 플래닛기어가 회전력을 전달받아 자전하면서 동시에 상기 썬기어(57)를 중심으로 하여 기어하우징(51)에 고정 설치된 인터널기어(53)를 타고 공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래닛기어군(59)의 플래닛기어 상면에 다단으로 결합되어 있는 제 3 플래닛기어군(61) 및 제 4 플래닛기어군(63)의 플래닛기어 모두 동일한 속도로 자전하면서 공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3 플래닛기어군(61) 및 제 4 플래닛기어군(63)의 플래닛기어가 회전(자전)하면서 상기 제 3 플래닛기어군(61) 및 제 4 플래닛기어군(63)의 플래닛기어에 각각 치합되어 있는 제 3 출력수단(80) 및 제 4 출력수단(90)이 회전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제 3 출력수단(80)의 제 3 출력축(85)과 제 4 출력수단(90)의 제 4 출력축(95)이 개별적으로 감속된 회전력을 기어하우징(51)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제 3 출력수단(80) 및 제 4 출력수단(90)의 회전방향과 회전속도는 상기 베이스 플래닛기어군(59)의 플래닛기어의 지름에 대한 상기 제 3 플래닛기어군(61) 및 제 4 플래닛기어군(63)의 플래닛기어의 지름에 따라 결정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출력을 발생시키는 감속기어장치는,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하나의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입력받아 이를 효과적으로 감속하는 것은 물론, 정회전 및 역회전 중 원하는 회전방향으로 조합된 서로 다른 속도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효과로 인해 교반장치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기어하우징과;
    상기 기어하우징 내로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모터 샤프트에 연결되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썬기어와;
    상기 기어하우징 내에서 상기 썬기어와 치합되는 복수개의 플래닛기어로 구성되는 제 1 플래닛기어군과;
    상기 제 1 플래닛기어군의 플래닛기어 상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 1 플래닛기어군의 플래닛기어와 지름이 다른 복수개의 플래닛기어로 구성되는 제 2 플래닛기어군과;
    상기 제 1 플래닛기어군 및 제 2 플래닛기어군의 플래닛기어가 자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전지지수단;
    상기 제 1 플래닛기어군과 치합되어 제 1 출력속도로 회전하는 제 1 출력수단과;
    상기 제 2 플래닛기어군과 치합되어 제 2 출력속도로 회전하는 제 2 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중 출력을 발생시키는 감속기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수단은,
    상기 썬기어의 하부에서 상기 입력축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하부지지판과;
    상기 하부지지판의 상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1 플래닛기어군 및 제 2 플래닛기어군의 플래닛기어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결합핀과;
    상기 복수개의 결합핀을 상부에서 지지하는 상부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출력을 발생시키는 감속기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출력수단은, 내주면에 상기 제 1 플래닛기어군과 치합되는 인터널기어가 형성되는 제 1 원관형 부재와, 상기 제 1 원관형 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1 원판형 부재와, 상기 제 1 원판형 부재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기어하우징의 출력측을 관통하는 제 1 출력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 출력수단은, 상기 제 1 원관형 부재 내측에 위치하고 내주면에 상기 제 2 플래닛기어군과 치합되는 인터널기어가 형성되는 제 2 원관형 부재와, 상기 제 2 원관형 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2 원판형 부재와, 상기 제 2 원판형 부재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출력축을 관통하는 제 2 출력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출력을 발생시키는 감속기어장치.
  4. 기어하우징과;
    상기 기어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는 인터널기어와;
    상기 기어하우징 내로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모터 샤프트에 연결되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썬기어와;
    상기 기어하우징 내에서 상기 썬기어 및 인터널기어와 치합되는 복수개의 플래닛기어로 구성되는 베이스 플래닛기어군과;
    상기 베이스 플래닛기어군의 플래닛기어 상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플래닛기어군의 플래닛기어와는 지름이 다른 복수개의 플래닛기어로 구성되는 제 3 플래닛기어군과;
    상기 제 3 플래닛기어군의 플래닛기어 상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플래닛기어 및 제 3 플래닛기어군의 플래닛기어와는 지름이 다른 복수개의 플래닛기어로 구성되는 제 4 플래닛기어군과;
    상기 베이스 플래닛기어군, 제 3 플래닛기어군 및 제 4 플래닛기어군의 플래닛기어가 자전과 동시에 상기 입력축을 중심으로 공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전지지수단과;
    상기 제 3 플래닛기어군과 치합되어 제 3 출력속도로 회전하는 제 3 출력수단과;
    상기 제 4 플래닛기어군과 치합되어 제 4 출력속도로 회전하는 제 4 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중 출력을 발생시키는 감속기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수단은,
    상기 썬기어의 하부에서 상기 입력축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하부지지판과;
    상기 하부지지판의 상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플래닛기어군, 제 3 플래닛기어군 및 제 4 플래닛기어군의 플래닛기어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결합핀과;
    상기 복수개의 결합핀을 상부에서 지지하는 상부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출력을 발생시키는 감속기어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출력수단은, 내주면에 상기 제 3 플래닛기어군과 치합되는 인터널기어가 형성되는 제 3 원관형 부재와, 상기 제 3 원관형 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3 원판형 부재와, 상기 제 3 원판형 부재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기어하우징의 출력측을 관통하는 제 3 출력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4 출력수단은, 상기 제 3 원관형 부재 내측에 위치하고 내주면에 상기 제 4 플래닛기어군과 치합되는 인터널기어가 형성되는 제 4 원관형 부재와, 상기 제 4 원관형 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4 원판형 부재와, 상기 제 4 원판형 부재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3 출력축을 관통하는 제 4 출력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출력을 발생시키는 감속기어장치.
KR10-2002-0042864A 2002-01-23 2002-07-22 다중 출력을 발생시키는 감속기어장치 KR1004286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04030 2002-01-23
KR1020020004030 2002-0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4243A true KR20030064243A (ko) 2003-07-31
KR100428653B1 KR100428653B1 (ko) 2004-04-28

Family

ID=32219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2864A KR100428653B1 (ko) 2002-01-23 2002-07-22 다중 출력을 발생시키는 감속기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865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943B1 (ko) * 2005-05-13 2006-12-05 정종길 감속기
KR101389509B1 (ko) * 2012-07-26 2014-04-25 주식회사 디엔지위드 유성기어유닛 및 이를 이용한 다단기어박스
CN110405743A (zh) * 2019-07-05 2019-11-05 北京康力优蓝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机器人关节减速输出机构
KR20200102591A (ko) * 2019-02-21 2020-09-01 계양전기 주식회사 전동공구의 결합구조
US11054002B2 (en) 2019-05-22 2021-07-06 Sambo Industrial Co., Ltd. Planetary geared reducer with dual reduction rati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256B1 (ko) 2008-05-02 2010-07-2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호이스트용 감속기
KR102206092B1 (ko) 2019-04-26 2021-01-22 주식회사 삼보산업 듀얼 감속비를 가지는 유성기어 감속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2863B2 (ja) * 1990-08-21 1998-07-09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同心2出力軸減速機を備えた攪拌装置
JP2772862B2 (ja) * 1990-08-21 1998-07-09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同心2出力軸減速機を備えた攪拌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943B1 (ko) * 2005-05-13 2006-12-05 정종길 감속기
KR101389509B1 (ko) * 2012-07-26 2014-04-25 주식회사 디엔지위드 유성기어유닛 및 이를 이용한 다단기어박스
KR20200102591A (ko) * 2019-02-21 2020-09-01 계양전기 주식회사 전동공구의 결합구조
US11054002B2 (en) 2019-05-22 2021-07-06 Sambo Industrial Co., Ltd. Planetary geared reducer with dual reduction ratio
CN110405743A (zh) * 2019-07-05 2019-11-05 北京康力优蓝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机器人关节减速输出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8653B1 (ko) 200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2989A (en) Self aligning planetary gear transmission & speed reducer
US6033336A (en) Reduction device having reverse rotation preventing function
US20150111692A1 (en) Planetary gear train for use with extended length sun in high torque applications
US20160091053A1 (en) Epicyclic gear train
JPWO2012029756A1 (ja) 多段減速機
KR100428653B1 (ko) 다중 출력을 발생시키는 감속기어장치
US5062824A (en) Multifunction gearing mechanism
KR20100064701A (ko) 다단방식의 유성기어장치
CN108134200A (zh) 一种内置双电机换六档的电调天线驱动器
TW202200330A (zh) 關節模組及減速機
JP2772863B2 (ja) 同心2出力軸減速機を備えた攪拌装置
KR100294461B1 (ko) 유성기어와차동기어세트로구성된감속장치
KR100501562B1 (ko) 복수개의 유성기어 유닛을 이용한 증속장치
JPH04102751A (ja) 同心2出力軸減速機を備えた攪拌装置
JPH04102750A (ja) 同心2出力軸減速機を備えた攪拌装置
US6527665B1 (en) Differential gearing
US4072066A (en) Centrifugal force controlled transmission
KR102628528B1 (ko) 동력 전달 장치
JPH1015377A (ja) 対向する撹拌羽根が逆回転する撹拌棒
JPH0231047A (ja) 小型減速機
JPH054604Y2 (ko)
KR200334020Y1 (ko) 유성기어 유닛의 가속장치
JP2014059017A (ja) 歯車装置
KR0133636B1 (ko) 회전 감속장치
JPH02186148A (ja) 歯車減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