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3817A - 뿌리채소 수확기 - Google Patents

뿌리채소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3817A
KR20030063817A KR1020020004149A KR20020004149A KR20030063817A KR 20030063817 A KR20030063817 A KR 20030063817A KR 1020020004149 A KR1020020004149 A KR 1020020004149A KR 20020004149 A KR20020004149 A KR 20020004149A KR 20030063817 A KR20030063817 A KR 20030063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ignment
root vegetable
leaf
foliage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4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1312B1 (ko
Inventor
테라모토쇼우지
마쯔이미키오
후쿠다유키히로
이리에노부유키
와타나베아키히토
Original Assignee
세이레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레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레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20004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1312B1/ko
Publication of KR20030063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1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13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3/00Topping machines
    • A01D23/04Topping machines cutting the tops after being lif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7/00Machines with both topping and lifting mechanisms
    • A01D27/04Machines with both topping and lifting mechanisms with moving or rotating too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뿌리채소(6)의 수확을 기계적으로 행하는 뿌리채소 수확기를 제공한다.
주행기체(2)에, 밭두렁(5)에 있는 뿌리채소(6)의 경엽부(6a)를 끼워 끌어올려서 후상방으로 매달아 반송하는 끼워올림 반송장치(16)와, 끼워올림 반송장치 (16)의 하측에 반송방향 아래쪽으로 갈수록 끼워올림 반송장치(16)로부터 이반하도록 배치하고, 매달려 반송되는 뿌리채소(6)의 경엽부(6a)를 끼워 후방으로 반송하는 사이에 뿌리채소본체(6b)의 높이를 가지런하게 하는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18)와, 끼워올림 반송장치(16)와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18)의 사이에 배치되고, 높이가 가지런해진 뿌리채소(6)의 경엽부(6a)에 작용하는 경엽절단장치(19)와, 경엽부 (6a)가 절단된 뿌리채소(6)를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18)로부터 이어받아서 지면근방위치까지 반송하여 밭두렁(5)에 방출하는 정렬반송장치(21)와, 절단된 경엽부 (6a)를 끼워올림 반송장치(16)로부터 이어받아서 기체(2)의 횡측으로부터 밭두렁 (5)에 방출하는 경엽방출장치(20)를 구비하고, 또한 끼워올림 반송장치(16)의 끼움 시단부 근방에, 밭에 있는 뿌리채소(6)보다 하방의 흙 속에 돌입시켜서 뿌리채소본체(6b)를 캐내는 캐내기장치(17)를 구비함과 아울러, 끼워올림 반송장치(16)의 전방에, 밭에 있는 뿌리채소(6)의 경엽부(6a)를 일으켜 세우는 전처리장치(15)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뿌리채소 수확기{ROOT HARVESTER}
본 발명은, 양파, 인삼, 무 등의 뿌리채소류의 수확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뿌리채소류의 수확작업은, 밭에 묻혀 있는 뿌리채소를 1개씩 손으로 뽑아낸다라는 인위작업으로 처리하고 있다.
뿌리채소류의 수확작업은, 허리를 구부린 자세로 뿌리채소를 밭에서 뽑아낸다라는 중노동이기 때문에, 기계화로의 바램이 강하므로, 상기 뿌리채소류의 수확기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주된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좌 핸들 사양의 보행형 양파수확기의 전체측면도이다.
도 2는, 좌 핸들 사양의 보행형 양파수확기의 전체평면도이다.
도 3은, 좌 핸들 사양의 보행형 양파수확기의 주요부의 전체측면도이다.
도 4는, 좌 핸들 사양의 보행형 양파수확기의 주요부의 전체평면도이다.
도 5는, 분초 캐내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퍼넣음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끼워올림 반송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끼워올림 반송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끼워올림 반송장치 및 경엽장출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하부 경엽방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상부 경엽방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 및 정렬방송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 및 정렬방송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4는,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 및 정렬방송장치의 확대배면도이다.
도 15는, 경엽절단장치의 지지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경엽절단장치의 지지구조의 바닥면도이다.
도 17은, 뿌리채소 수확기의 동력전달 설명도이다.
도 18은, 우 핸들 사양의 보행형 양파 수확기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19는, 우 핸들 사양의 보행형 양파 수확기의 주요부의 전체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엔진 2 … 기체
3 … 주행차륜(주행장치) 4 … 조종핸들
5 … 밭두렁 6 … 양파(뿌리채소)
6a … 경엽부 6b … 몸통부(뿌리채소본체)
11 … 안내바퀴 15 … 전처리장치
16 … 끼워올림 반송장치 17 … 캐내기장치
18 …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 19 … 경엽절단장치
20 … 경엽방출장치 21 … 정렬반송장치
22 … 분초인상장치 23 … 퍼넣음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뿌리채소 수확기는, 주행기체에, 밭에 있는 뿌리채소의 경엽부를 끼워 끌어올려서 후상방으로 반송하는 끼워올림 반송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의 구성)
상기 특징구성에 의하면, 기체의 전진에 수반하여 밭에 있는 뿌리채소는, 그 경엽부가 끼워올림 반송장치에 끼워지지되어서 끌어올려지고, 후상방으로 매달아 반송되어 간다. 이것에 의해서 뿌리채소가 밭으로부터 뽑아내지고, 후공정으로 반송되어 간다.(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의 작용)
따라서, 밭에 있는 뿌리채소의 뽑아냄을 기계적으로 행하는 뿌리채소 수확기를 얻을 수 있다.(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의 효과)
또한, 본 발명의 뿌리채소 수확기는, 주행기체에, 상기 끼워올림 반송장치에 추가하여, 매달려 반송되는 뿌리채소의 경엽부에 작용하는 경엽절단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의 구성)
상기 특성구성에 의하면, 끼워올림 반송장치에 끼워지지되어 후상방으로 매달려 반송되는 뿌리채소의 경엽부는, 상기 반송공정에서 경엽절단장치에 의해 절단처리된다.(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의 작용)
따라서, 밭에 있는 뿌리채소의 뽑아냄으로부터 그 뿌리채소의 경엽부의 절단처리까지를 기계적으로 행하는 뿌리채소 수확기를 얻을 수 있다.(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의 효과)
또한, 본 발명의 뿌리채소 수확기는, 상기 끼워올림 반송장치에 추가하여, 끼워올림 반송장치의 하측에 반송방향 아래쪽으로 갈수록 끼워올림 반송장치로부터 이반하도록 배치하고, 매달려 반송되는 뿌리채소의 경엽부를 끼워 후방으로 반송하는 사이에 뿌리채소본체의 높이를 가지런하게 하는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와, 끼워올림 반송장치와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의 사이에 배치하고, 높이가 가지런해진 뿌리채소의 경엽부에 작용하는 경엽절단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의 구성)
상기 특징구성에 의하면, 끼워올림 반송장치에서 끼워지지되어서 후상방으로 매달려 반송되는 뿌리채소의 경엽부는,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에 도입되고, 끼워올림 반송장치와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에 상하 두위치가 끼워지지되어서 후방으로 반송되는 사이에,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에 뿌리채소본체의 상면이 접촉하기까지 끌어올려지고, 이 이후에도 경엽부에는 인상력이 작용하여, 뿌리채소의 높이가 가지런해진다. 또한, 높이가 가지런해진 뿌리채소의 경엽부가 경엽절단장치에 의해 절단된다.(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의 작용)
따라서, 밭에 있는 뿌리채소의 뽑아냄으로부터 그 뿌리채소의 경엽부의 절단처리까지를 기계적으로 행하는 뿌리채소 수확기를 얻을 수 있고, 그 경엽부를 절단위치를 뿌리채소본체로부터 일정 높이위치로 가지런하게 할 수 있고, 또한 깨끗한 단면으로 경엽부를 절단할 수 있어서, 높은 경엽절단 처리성능을 얻을 수 있다.(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의 효과)
또한, 본 발명의 뿌리채소 수확기는, 주행기체에, 상기 끼워올림 반송장치와,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와, 경엽절단장치에 추가하여, 경엽부가 절단된 뿌리채소를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로부터 이어받아서 지면근방위치까지 반송하여 밭에 방출하는 정렬반송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의 구성)
상기 특징구성에 의하면, 경엽부가 절단된 뿌리채소는,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로부터 정렬반송장치에 이어받아서 지면근방 위치까지 반송되어서 밭에 방출되어 가고, 뿌리채소의 밭으로의 방출자세 및 위치가 일정하게 정렬된다.(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의 작용)
따라서, 밭에 있는 뿌리채소의 뽑아냄으로부터 그 뿌리채소의 경엽부의 절단처리, 또는 경엽부가 절단된 뿌리채소의 방출까지를 기계적으로 행하는 뿌리채소 수확기를 얻을 수 있고, 그 뿌리채소의 밭으로의 방출자세 및 위치가 일정하게 정렬되기 때문에, 수확한 뿌리채소가 다음 공정의 수확작업의 장해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수확한 뿌리채소의 회수작업이 행하기 쉽게 되고, 그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의 효과)
또한, 본 발명의 뿌리채소 수확기는, 주행기체에, 상기 끼워올림 반송장치와,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와, 경엽절단장치에 추가하여, 절단된 경엽부를 끼워올림 반송장치로부터 이어받아서 기체의 횡측으로부터 밭에 방출하는 경엽방출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의 구성)
상기 특징구성에 의하면, 절단된 경엽부는, 끼워올림 반송장치로부터 경엽방출장치에 이어받아서 기체의 횡측으로부터 밭에 방출되어 간다.(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의 작용)
따라서, 밭에 있는 뿌리채소의 뽑아냄으로부터 그 뿌리채소의 경엽부의 절단처리, 또는 절단된 경엽부의 방출까지를 기계적으로 행하는 뿌리채소 수확기를 얻을 수 있고, 그 절단된 경엽부가 다음 공정의 수확작업 및 수확한 뿌리채소의 회수작업의 장해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의 효과)
또한, 본 발명의 뿌리채소 수확기는, 주행기체에, 상기 끼워올림 반송장치와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와 경엽절단장치와 정렬반송장치와 경엽방출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의 구성)
상기 특징구성에 의하면, 경엽부가 절단된 뿌리채소는,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로부터 정렬반송장치에 이어받아서 지면근방위치까지 반송되어서 밭에 방출되어 가고, 뿌리채소의 밭으로의 방출자세 및 위치가 일정하게 정렬되는 한편, 절단된 경엽부는, 끼워올림 반송장치로부터 경엽방출장치에 이어받아져서 기체의 횡측으로부터 밭에 방출되어 간다.(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의 작용)
따라서, 밭에 있는 뿌리채소의 뽑아냄으로부터 그 뿌리채소의 경엽부의 절단처리, 또는 경엽부가 절단된 뿌리채소의 방출과 절단된 경엽부의 방출까지를 기계적으로 행하는 뿌리채소 수확기를 얻을 수 있고, 또한 그 뿌리채소의 밭으로의 방출자세 및 위치가 일정하게 정렬되기 때문에, 수확한 뿌리채소가 다음 공정의 수확작업의 장해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수확한 뿌리채소의 회수작업이 행하기 쉽게 되고, 그 수고를 경감할 수 있고, 또한 절단된 경엽부가 다음 공정의수확작업 및 수확한 뿌리채소의 회수작업의 장해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의 효과)
또한, 본 발명의 뿌리채소 수확기는, 상기 끼워올림 반송장치의 끼움 시단부 근방에, 밭에 있는 뿌리채소보다 하방의 흙 속에 돌입시켜서 뿌리채소본체를 캐내는 캐내기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의 구성)
상기 특징구성에 의하면, 기체의 전진에 수반하여, 밭에 있는 뿌리채소는, 경엽부를 인상반송장치에 끼워지지되어서 끌어올려지고, 후방상방으로 매달아서 반송되어 간다. 이 경우, 끼워올림 반송장치의 끼움 시단부 근방에 배치한 캐내기장치가 밭에 있는 뿌리채소 하방의 흙 속에 돌입하여 뿌리채소본체의 주위의 흙을 밭갈이하면서 뿌리채소본체를 파헤쳐 가고, 뿌리채소가 끼워올림 반송장치에 의해 저항적게 끌어올려진다.(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의 작용)
따라서, 기계에 의한 뿌리채소의 밭으로부터의 뽑아냄을 무리없이 행할 수 있고, 이 뽑아냄 반력의 영향으로 기체가 정지하거나, 기체의 자세가 변화하는 것, 혹은, 끼움부로부터 경엽부가 흘러내리는 것, 경엽부가 당겨져서 갈갈이 찢어지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직진성, 조종성에 우수하고, 뽑아냄 실수가 거의 없고, 후공정으로의 반송도 적정하게 행하는 뿌리채소 수확기를 얻을 수 있다.(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의 효과)
또한, 본 발명의 뿌리채소 수확기는, 상기 끼워올림 반송장치의 전방에, 밭에 있는 뿌리채소의 경엽부를 일으켜 세우는 전처리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8에 관한 발명의 구성)
상기 특징구성에 의하면, 기체의 직진에 수반하여 밭에 있는 뿌리채소의 경엽부는, 우선, 기체 전방에 위치하는 전처리장치의 작용을 받고, 쓰러져 있는 경엽부도 확실하게 파헤쳐져서 끼워올림 반송장치에서 끼울 수 있는 기립자세로 정렬되고, 끼워올림 반송장치의 끼움 시단부에 도입되어서 이어져 간다.(청구항 8에 관한 발명의 작용)
따라서, 경엽부를 빠짐없이 확실하게 끼워올림 반송장치의 끼움 시단부에 도입하여, 끼워지지시킬 수 있고, 밭에 있는 뿌리채소의 뽑아냄을 빠짐없이 확실하게 행하는 뿌리채소 수확기를 얻을 수 있다.(청구항 8에 관한 발명의 효과)
밭에 있는 뿌리채소의 뽑아냄으로부터 그 뿌리채소의 경엽부의 절단처리, 또는 경엽부가 절단된 뿌리채소의 방출과 절단된 경엽부의 방출까지를 기계적으로 행하는 뿌리채소 수확기를 얻고, 뿌리채소류의 기계수확을 실현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보행형 양파수확기의 전체측면도, 도 2는 동 수확기의 전체평면도, 도 3은 동 수확기의 주요부의 전체측면도, 도 4는 동 수확기의 주요부의 전체평면도이고, 본 실시예의 보행형 양파수확기는, 엔진(1) 및 후술하는 각종 작업장치를 구비한 기체(2)를, 그 기체(2)의 좌우 횡외측에 구비한 주행차륜(3L, 3R)으로 이루어지는 주행장치로 지지함과 아울러, 기체(2)의 후부에 조종핸들(4)을 구비하고, 보행형 주행기체(2)에 구성하고, 좌우 주행차륜(3L, 3R)을 밭의 밭두렁(5)에 걸쳐서 이것에 따라서 주행하고, 밭두렁(5)에 있는 양파(6)를 수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주행장치는 차륜(3L, 3R)을 대신하여 크롤러이어도 좋고, 기체구조는 작업자가 타는 승용형이어도 좋다.
기체(2)는, 주행장치 상에서 진행방향으로 향하여 좌우 일측방으로 오프세트하여 배치되고, 밭두렁(5)에 4가닥씩 심어진 양파(6)를 2가닥씩 왕복으로 수확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전진공정에서 밭두렁(5)의 편측 2가닥의 양파(6)를 수확하고, 복귀공정에서 남은 편측 2가닥의 양파(6)를 수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기체(2)가 주행장치 상에서 진행방향으로 향하여 좌측방으로 오프세트된 좌핸들 사양의 보행형 양파수확기를 나타내고 있고, 항상 전진방향으로 향하여 밭두렁(5)의 좌측 2가닥의 양파(6)를 수확한다.
기체(2)에는, 그 앞부에서부터 후부에 걸쳐서 후술하는 작업장치가 배치되고, 이 후방에 엔진(1) 및 미션케이스(7)가 횡줄로 배치되고, 이들 엔진(1) 및 미션케이스(7)의 상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향하여 조종핸들(4)이 연장되어 있다. 또한, 미션케이스(7)로부터 좌우 횡외측에 횡 전동케이스(8L, 8R)가 연장됨과 아울러, 이 좌우 횡 전동케이스(8L, 8R)의 선단부로부터 전하방으로 향하여 최종케이스(9L, 9R)가 연장되고, 이 좌우 최종케이스(9L, 9R)의 선단부 횡외측에 차륜(10L, 10R)을 끼워서 주행차륜(3L, 3R)이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우횡 전동케이스(8R)와 이것에 내장되는 전동부재를 신축가능한 구조로 하고, 실린더나 모터 등의 액추에이터 혹은 엔진(1) 동력으로, 우횡 전동케이스 (8R)와 이것에 내장되는 전동부재를 일체적으로 신축시킴으로써, 우최종케이스(9R)와 일체로 우주행차륜(3R)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좌우 주행차륜(3L, 3R)의 간격을 밭두렁(5)이 다름에 따라서 조절함과 아울러, 보행형 양파수확기의 전횡폭을 경트럭 등의 운반차의 짐받이에 실을 수 있는 폭으로 축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체(2)의 앞부에서 좌횡외측에는 안내바퀴(11)이 구비되어 있다. 이 게이지륜(11)은, 신축가능한 게이지체 높이조절레버(12)를 통해서 기체(2)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종핸들(4)의 근방위치에 조작부(13a)를 위치시킨 게이지체 높이조절핸들(13)을 회전조작함으로써, 게이지체 높이조절레버(12)를 신축시켜서 안내바퀴(11)을 기체(2)에 대해서 상하로 변위시키고, 기체(2)의 앞부를 안내바퀴 (11)으로 적당한 높이로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케이지체는 안내바퀴(11)를 대신하여 썰매형상체이어도 좋다.
또한, 도 중 14L, 14R은, 야간에도 수확작업이 행해지도록, 기체(2)에 구비하는 좌우의 조명등이고, 좌조명등(14L)은, 기체(2)의 후부 상방위치에 배치되어서 앞방으로 조사하며, 우 조명등(14R)은, 기체(2)의 앞부상방위치에 배치되어서 앞방을 조사한다.
또한, 작업장치로서 주행기체(2)에는, 전처리장치(15), 끼워올림 반송장치 (16), 캐내기장치(17),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18), 경엽절단장치(19), 경엽방출장치(20), 정렬반송장치(21)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전처리장치(15)는, 기체(2)의 가장 앞부분에 구비되고, 분초인상장치 (22)와 퍼넣음장치(23)를 구비하고 있다.
분초인상장치(22)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가닥의 양파 (6)의 사이 및 좌우 횡외측에 대응하여, 좌우방향으로 간격을 설정하여 배치된 중앙 및 좌우의 3개의 분초인상 케이스(24C, 24R, 24L)를 구비하고 있다. 각 분초인상 케이스(24C, 24R, 24L)는, 후상향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배치되고, 구동스프로켓과 종동풀리에 걸려져서 둘레회전하는 분초인상포크(25)를 부착한 무단체인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기체(2)의 진행중, 경사진 상방으로 이동되는 복수의 분초인상포크(25)에 의해서, 양파(6)의 쓰러져 있는 경엽부(6a)를 떠올려서 좌우로 밀어헤치면서 일으켜 세우고, 수확되는 2가닥의 양파(6)의 경엽부(6a)를 1가닥마다 분리 기립시켜서 중앙 및 좌우의 분초인상 케이스(24C, 24R, 24L)의 사이로부터 도입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각 분초인상 케이스(24C, 24R, 24L)에는, 분초인상포크(25) 선단의 하부회행궤적 바로앞에서부터 앞하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앞방으로 연장시켜서, 선단을 밭두렁(5)의 상면에 슬라이딩접촉 또는 가급적으로 접근시키는 디바이더인 분초봉(26C, 26L, 26R)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분초봉(26C, 26L, 26R)의 선단에서 밭두렁(5)의 상면에 쓰러져 있는 양파(6)의 경엽부(6a)를 주워올려서 분초인상포크 (25)의 작용범위까지 유도하여 주고받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좌측의 분초인상 케이스(24L)를, 다른 중앙 및 우측의 분초인상 케이스(24C, 24R)보다 길게 형성함과 아울러, 좌측의 분초봉(26L)을, 다른 중앙 및 우측의 분초봉(26C, 26R)보다 길게 형성하고, 밭두렁(5)의 좌측의 법면에 쓰러져 있는 양파(6)의 경엽부(6a)도 좌측의 긴 분초봉(26L)으로 끌어올려서, 좌측의 긴 분초인상 케이스(24L)의 분초인상포크(25)의 작용범위까지 유도하여 그 분초인상포크 (25)로 확실하게 끌어올리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좌측의 분초봉(26L)에는, 안내바퀴(11)를 앞상방에서부터 덮도록 분초판(27)이 구비되어 있다. 밭두렁(5)의 상면 및 좌측의 법면 등에 쓰러져 있는 양파(6)의 경엽부(6a)가 좌측의 분초봉(26L)으로 들어올려져도 다시 쓰러졌을 때, 안내바퀴(11)에 말려들어가거나, 안내바퀴(11)에 밟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우측의 분초인상 케이스(24R)의 횡외측에는, 사이드 디바이더(28)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이 사이드 디바이더(28)에 의해서, 수확되는 2가닥의 양파 (6)의 경엽부(6a)와 아직 수확하고 있지 않는 2가닥의 양파(6a)를 분리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퍼넣음장치(23)는, 도 1 내지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 및 좌우의 3개의 분초인상 케이스(24C, 24R, 24L)의 사이와 대응하는 후방위치에 있어서 이들과 평행한 후상향 경사진 상태로 대향배치하여 구동되는 좌우 한쌍의 돌기가 부착된 크롤러벨트인 퍼넣음벨트(29L, 29R)를 구비하고 있다. 좌우의 퍼넣음벨트(29L, 29R)의 각 돌기(30) 선단이 중앙의 분초인상 케이스(24C)와 대응하는 후방위치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고 있다. 또한, 각 돌기(30)가 퍼넣음장치(23)의 좌우 횡외측에서는 경사진 앞하향으로 직선이동하고, 퍼넣음장치(23)의 하부에서 좌우 횡외측으로부터 중앙측으로 회전하고, 퍼넣은장치(23)의 중앙측에서는 경사진 후상방으로 직선이동하도록, 좌우 퍼넣음벨트(29L, 29R)는 구동되고, 분초인상장치(22)에 의해서 일으켜 세워진 2가닥의 양파(6)의 경엽부(6a)를 퍼넣음장치(23)의 중앙하부에 긁어모아서 1다발로 묶고, 경사진 후상방으로 밀어올려서 길게 늘여서, 후방의 끼워올림 반송장치(16)에 대해서 원활하게 또한 확실하게 수확되는 2가닥분의양파(6)의 경엽부(6a)를 끼워지지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끼워올림 반송장치(16)는, 도 1 내지 도 4 및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퍼넣음장치(23)의 바로뒤에서 이보다 완만한 후상향 경사진 상태로 대향배치하여 구동하는 좌우 1쌍의 크롤러벨트인 끼워올림 반송벨트(31L, 31R)를 구비하고 있다. 이 좌우끼워올림 반송벨트(31L, 31R)의 사이를 양파(6)의 경엽부(6a)를 끼워 반송하는 끼워올림 반송경로(32)로서, 퍼넣음장치(23)의 중앙하부의 바로뒤에서부터 뒤상방으로 직선적으로 연장하고 있다. 또한, 퍼넣음장치(23)에서 1다발로 묶은 2가닥분의 양파(6)의 경엽부(6a)를 좌우끼워올림 반송벨트(31L, 31R)의 사이에 끼워 끌어올려서 후상방으로 매달아 반송함으로써, 양파(6)를 2가닥 동시에 밭두렁(5)으로부터 뽑아내도록 구성하고 있다.
캐내기장치(17)는, 도 1 및 도 3, 도 4,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한상의 속흙쟁기(33L, 33R)를 구비하고 있다. 좌우 속흙쟁기(33L, 33R)는 끼워올림 반송장치(16)의 끼움 시단부 하방위치에 대응하는 수확가닥분(2가닥분)의 밭두렁 (5)의 편측절반(1가닥분)의 밭두렁(5)을 밭갈이하는 횡폭을 보유하는 횡칼날부 (33a)와, 이 횡칼날부(33a)의 외측단부로부터 끼워올림 반송장치(16)의 끼움 시단부의 횡외측에 세워올리는 종 암부(33b)와 L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우 속흙쟁기 (33L, 33R)의 종 암부(33b)를 지점축(34)을 통해서 기체(2)에 전후요동가능하게 축지지시킴과 아울러, 이 종 암부(33b)의 상단부에 크랭크로드(35L, 35R)를 연결하여, 좌우 속흙쟁기(33L, 33R)에 전후방향의 왕복운동을 주어서 진동시킨다. 또한, 기체(2)의 진행 중, 좌우 속흙쟁기(33L, 33R)가 진동하면서, 이 횡칼날부(33a)가끼워올림 반송장치(16)의 끼움 시단부 하방위치에서 수확하는 양파(6)의 몸통부 (6b)보다 하방의 흙 속에 돌입한 상태로 진행함으로서, 좌우 속흙쟁기(33L, 33R)의 횡칼날부(33a)에서 양파(6)의 몸통부(6b) 주위의 흙을 밭갈이하면서 양파(6)의 몸통부(6b)를 파헤쳐 가고, 끼워올림 반송장치(16)에 의한 양파(6)의 밭두렁(5)으로부터의 뽑아냄을 도와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끼워올림 반송장치(16)의 하측에는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18)가 구비되어 있다. 이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18)는, 도 1 및 도 3, 도 4 및 도 12 내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향배치하여 구동하는 좌우 한쌍의 크롤러벨트인 위치정렬 끼움반송벨트(36L, 36R)를 구비하고 있다. 이 좌우 위치정렬 끼움반송벨트(36L, 36R)는, 끼워올림 반송벨트(31L, 31R)의 하측에서 후방으로 향하여 거의 수평으로 연장되어서 반송방향 아래쪽(후방)으로 갈수록 끼워올림 반송벨트(31L, 31R)로부터 이반하도록 배치되고, 이 좌우 위치정렬 끼움반송벨트(36L, 36R)의 사이를 양파(6)의 경엽부(6a)를 끼워 반송하는 위치정렬 끼움반송경로(37)로서, 끼워올림 반송경로 (32)를 포함하는 수직면 내에서, 그 끼움 시단부보다 소정높이 올린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향하여 거의 수평이며 직선적으로 연장하고 있다. 또한 끼워올림 반송장치 (16)의 경엽 끼움력보다 위치정렬협지 반송장치(18)의 경엽 끼움력을 약하게 설정하고 있다. 또한, 끼워올림 반송장치(16)에서 끼워지지되어서 후상방으로 매달아 반송되는 양파(6)의 경엽부(6a)를,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18)의 좌우 위치정렬 끼움반송벨트(36L, 36R)의 사이에 끼워 거의 수평방향으로 반송하고, 끼워올림 반송장치(16)에 의한 양파(6)의 끌어올림량을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18)의 하면에 의해서 제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끼워올림 반송장치(16)와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18)에서 양파(6)의 경엽부(6a)를 그 상하 두위치를 끼워 반송함으로써, 끼워올림 반송장치 (16)가 후상방으로 경사져 있는 것에 대하여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18)는 대략 수평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양파(6)는 그 양파(6b)의 상면이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 (18)의 하면에 접촉하기까지 끌어올려지고, 이 이후,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18)에 의해서 끌어올림이 제한되지만 인상력은 작용하고,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18)의 하면에 몸통부(6a) 상면을 접촉시킨 상태로 양파(6)를 대략 수평후방으로 반송한다. 이와 같이 하여 양파(6)의 몸통부(6b)의 높이를 가지런하게 함과 아울러, 경엽부(6a)를 상방으로 잡아당겨서 긴장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경엽절단장치(19)는, 도 1 및 도 3, 도 4 및 도 12 내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축둘레로 회전하는 커터(38)를 구비하고 있다. 이 커터(38)는, 끼워올림 반송장치(16)의 끼워올림 반송경로(32)와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18)의 위치정렬 끼움반송경로(37)의 사이에 배치되고,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18)에서 인상이 제한되어서 높이가 가지런하게 된 양파(6)의 경엽부(6a)가 끼워올림 반송경로(32)에서 잡아당겨져서 긴장상태로 후방으로 반송되고 있을 때, 그 경엽부(6a)를 커터 (38)에 의해서 절단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경엽절단장치(19)는 회전식 커터(38)를 대신하여 콤바인이나 바인더로 이용되고 있는 왕복이동식 커터기이여도 좋다.
또한, 경엽절단장치(19)는, 그 높이위치를 변경조절가능하게 기체(2)에 설치되고, 양파(6)의 경엽부(6a)의 절단위치가 무단계로 변경조절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엽절단장치(19)의 높이조절기구는,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올림 반송장치(16)와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18) 사이에 대응하는 기체(2)의 우횡측부에, 끼워올림 반송장치(16)와 평행 혹은 대략 평행한 후상향으로 경사진 긴구멍(39)을 개구형성하는 가이드판(40)을 구비함과 아울러, 긴구멍(39)에 기단부를 슬라이딩가능하게 끼워맞추어서 기체(2)의 우횡측부로부터 끼워올림 반송장치(16)와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18)의 사이에 편지지되어 연장하는 횡향의 커터구동케이스(41)를 구비하고, 이 커터구동케이스(41)의 선단측에 커터구동축(42)을 통해서 커터(38)를 설치하고, 끼워올림 반송장치(16)와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18) 사이에서 커터구동케이스(41)와 일체로 커터(38)를 긴구멍(39)의 범위 내에서 끼워올림 반송장치(16)와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하게 경사져서 왕복이동시킴으로써, 경엽절단장치(19)의 높이위치를 변경함과 아울러, 필요한 높이변경량을 얻도록 구성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양파(6)의 경우, 수확하고나서 바로 출하하는 경우의 잎절단높이 (양파(6b)의 상면으로부터 경엽부(6a)의 절단위치까지의 길이)는, 4센티미터정도로, 수확하고나서 출하까지 결속 저장하는 경우의 잎절단높이는, 20센티미터정도이기 때문에, 적어도 이 범위에서 잎절단높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조작핸들(4)부에 경엽절단장치(19)의 이동방향과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한 후상향 경사의 잎절단높이 조절판(43)을 구비함과 아울러, 이 잎절단높이 조절판(43)에 긴구멍(44) 및 고정나사(45)를 통해서 체결하여 고정하는 너트가 부착된 조작손잡이(46)를 구비하고, 또한 일측을 고정나사(45)에 연결시켜서 타측을 커터구동케이스(41)의 기단부에 연결시켜서 조작손잡이(46)와 커터구동케이스(41)를 연동연결하는 조작로드(46a)를 구비하고 있다. 도한, 조작손잡이(46)를 느슨하게 하여 긴구멍(44)을 따라서 경사진 하방 또는 경사진 상방으로 밀어올림 조작함으로써, 경엽절단장치(19)의 높이위치를 변경하고, 조작손잡이(46)를 잎절단높이 조절판(43)에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경엽절단위치(19)의 높이를 임의의 조절위치에서 고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끼워올림 반송장치(16)의 끼움 종단부에는 경엽방출장치(20)가 구비되고 있다. 이 경엽방출장치(20)는, 도 1 내지 도 4, 도 7 및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올림 반송장치(16)에 있어서의 좌끼워올림 반송벨트(31L)의 후부 회행부의 하측에 배치하는 스타휠로 예시하는 하부회전체(47)와 상측에 배치하는 돌기가 부착된 드럼으로 예시하는 상후회전체(48)가 구비되고, 이들 하부회전체 (47)와 상부회전체(48) 및 좌끼워올림 반송벨트(31L)를 감는 후부 구동풀리가 1개의 구동축 상에 설치되어서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상부회전체(48)의 드럼 상단부와 드럼 하단부에는, 복수의 이송고리(49a, 49b)가 동일 원주상에서 방사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끼워올림 반송장치(16)의 하측에 있어서, 끼워올림 반송경로(32) 및 우측에서 이것에 따라서 끼움 종단부보다 바로앞에서부터 끼움 종단부 근방위치까지 연장하고, 거기에서부터 하부회전체(47)의 후측을 돌아서 끼워올림 반송장치 (160의 후단부 좌횡외측까지 연장하는 판스프링제의 하부가이드판(50)을 구비하고 있다. 이 하부가이드판(50)은, 후부만곡부분이 하부회전체(47)에 탄력적으로 눌려지고, 하부회전체(47)와 하부가이드판(50)의 사이를 경엽방출용 하부 끼움반송경로 (51)로 하고 있다.
또한, 끼워올림 반송장치(16)의 좌우 끼워올림 반송벨트(31L, 31R)의 상면 및 횡외측을 덮는 좌우벨트커버(52L, 52R) 중, 좌벨트커버(52L)의 상면에 수직으로 세우는 상부내측가이드벽(53)을 구비하고 있다. 이 상부내측가이드벽(53)은, 끼워올림 반송장치(16)의 상측에 있어서, 끼워올림 반송경로(32)보다 좌측에서 이것을 따라서 끼움 종단부보다 바로앞에서부터 끼움 종단부 근방위치까지 연장하고, 여기에서부터 상부 회전체(48)의 후측을 돌아서 되접어꺽어 끼워올림 반송장치(16)의 좌횡외측까지 연장됨과 아울러, 상하의 이송고리(49a, 49b)가 간섭하는 상부내측가이드벽(53)의 되접힘부분에 고리돌출구(54a, 54b)가 개구형성되어 있다. 또한, 끼워올림 반송장치(16)의 상측에 있어서, 끼워올림 반송경로(32)보다 우측에 이것을 거의 따라서 끼움 종단부보다 바로앞에서부터 끼움 종단부 근방위치까지 연장하고, 여기에서부터 이송고리(49a, 49b) 선단의 회전이동궤적의 후측을 돌아서 끼워올림 반송장치(16)의 후단부 좌횡외측까지 연장하는 상부 외측가이드레버(55)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상부내측가이드벽(53)과 상부외측가이드레버(55)의 사이를 경엽방출용 상부반송경로(56)로 하고, 상하의 이송고리(49a, 49b)가 상부 내측가이드벽 (53)으로부터 돌출하여 상부 반송경로(56) 내를 통과하여 회전한다.
또한, 경엽절단장치(19)에서 절단되어서 양파(6)의 몸통부(6b)로부터 분리된 경엽부(6a)는, 그대로 끼워올림 반송장치(16)에서 끼워지지되어서 후상방으로 반송되지만, 이 끼워올림 반송경로(3)의 종단부로부터 경엽부(6a)의 하부가 하부 끼움반송경로(51)에 도입되어서 이어받고, 동시에 이 경엽부(6a)의 상부가 상부 반송경로(56)에 도입되어서 이어받고, 하부회전체(47)와 상부회전체(48)의 상하의 이송고리(49a, 49b)에 의해서, 경엽부(6a)의 하부와 중간부와 상부의 3개소에 이송이 주어짐으로써, 좌횡외측을 향하여 횡이송되고, 하부 끼움반송경로(51)의 종단부와 상부 반송경로(56)의 종단부로부터, 즉, 끼워올림 반송장치(16)의 좌횡외측에 대응하는 기체(2)의 횡측으로부터 밭에 방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중 57은, 하부 끼움반송경로(51)와 상부 반송경로(56)의 사이에서 경엽부 (6a)의 중간부를 끼워올림 반송경로(32)의 종단부로부터 경엽방출위치에 반송안내하기 위하여, 좌후벨트커버(52L, 52R)의 상면을 따르는 높이위치에서, 하부가이드판(50) 및 상부외측가이드레버(55)와 마찬가지로, 끼워올림 반송경로(32)보다 우측에서 이것을 따라 끼움 종단부보다 바로앞에서 끼움 종단부 근방위치까지 연장하고, 여기에서부터 좌벨트커버(52L)에 있어서의 반원형상의 상면후단 가장자리의 후측을 돌아서 끼워올림 반송장치(16)의 후단부 좌횡외측까지 연장하는 중간가이드레버이고, 이 중간가이드레버(57)와 좌벨트커버(52L)에 있어서의 반원형상의 상면후단 가장자리의 사이를 경엽방출용 중간부 반송경로(58)로 되어 있다. 또한 도 중 59는, 경엽방출위치의 근방에서 좌끼워올림 반송벨트(31L)에 그 진행방향과 역방향으로부터 슬라이딩접촉시켜서, 좌끼워올림 반송벨트(31L)에 붙여서 지지회전되도록 하는 경엽부(6a)를 떼어내어 취하고, 경엽부(6a)를 그 방출위치에서 확실하게 밭으로 떨어뜨리기 위한 판스프링제 스크레이퍼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4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엽방출장치(20)에서끼워올림 반송장치(16)의 좌횡외측으로부터 방출된 경엽부(6a)는, 기체(2)와 좌주행차륜(3L)의 사이로부터 진행방향으로 향하여 밭두렁(5)의 좌측의 법면 상에 떨어지지만, 그 경엽낙하공간에는, 좌측의 크랭크로드(35L), 최종케이스(9L) 외, 조작철사 등 다수의 부품이 존재한다. 여기서, 경엽낙하공간과 대응하는 기체(2)의 좌측면을 덮는 커버체(60)를 구비하고 있다. 그 커버체(60)는, 경엽방출위치의 바로밑위치에서 이 내측으로부터 하방으로 늘러뜨린 유연한 고무늘어짐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를 상측의 크랭크로드(35L)의 외측을 걸어서, 아래가장자리를 좌측의 최종케이스(9L)의 외측에 늘어뜨리고, 방출후의 경엽부(6a)를 커버체(60)에 의해서 경엽낙하공간에 있는 각 부품에 걸려 퇴적됨이 없고 확실하게 지면에 빠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커버체(60)는, 상부가 좌측의 크랭크로드(35l)에 걸려져서 요동되기 때문에, 방출후의 경엽부(6a)가 커버체(60) 상에서 퇴적함이 없다. 또, 커버체(60)를 대신하여 경엽방출위치로부터 지면근방위치까지 경엽방출슈트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적어도 경엽방출측의 좌측의 주행차륜(3L)에는, 그 스포크나 허브에 방출후의 경엽부(6a)가 걸려지거나 감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휠커버(61)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18)의 후방에는 정열반송장치(21)가 구비됨과 아울러,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18)의 끼움 종단부에는 연속이송장치(62)를 구비하고 있다. 도 3 및 도 4, 도 12 내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연속이송장치 (62)는,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18)에 있어서의 좌위치정렬 끼움반송벨트(36L)의후부회행부의 상측에 배치하는 횡넘어짐용 스타휠(63)과, 하측에 배치하는 횡넘어짐용 가이드롤러(64)가 구비되고, 이들 스타휠(63)과 가이드롤러(64) 및 좌위치정렬 끼움반송벨트(36L)를 걸어감는 후부종동풀리가 1개의 구동축 상에 설치되어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또한, 위치정렬 끼움반송경로(37)의 종단부로부터 연속하여 스타휠(63)을 따라서 좌측으로 굴곡하는 횡넘어짐용 반송경로(65)를 형성하는 상하 한쌍의 내측가이드레버(66a, 66b)와 외측가이드레버(67)가 구비되고, 스타휠(63)의 기어부가 반송경로(65)를 통과하여 회전한다.
한편, 정렬반송장치(21)는,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18)의 후방으로부터 밭두렁(5)의 상면근방위치까지, 측면에서 바라봐서 후하방으로 향하여, 또한, 후면에서 바라봐서 선단부를 좌측으로 치우친 경사진 상태로 연장하여 구동하는 크롤러벨트인 정열반송벨트(68)가 구비되어 있다. 이 정열반송벨트(68)의 상부하측(앞측)이 위치정렬 끼움반송경로(37)의 종단부에 접근하여 배치된다. 또한, 좌위치정렬 끼움반송벨트(36L)의 하측에서 후방으로 연장하여 위치정렬 끼움반송경로(37)의 종단부 근방위치로부터 정렬반송벨트(68)의 하측을 따라서 그 선단부 근방위치까지 연장하는 평행한 2개의 좌우 가이드레버(69a, 69b)가 구비되어 있다. 이들 정열반송벨트 (68)와 좌우 가이드레버(69a, 69b)의 사이를 위치정렬 끼움반송경로(37)의 종단부로부터 연속하여 지면근방위치까지 경사진 형상으로 연장하는 몸통부 방출용 끼워 반송경로(70)로 하고 있다.
또한, 경엽절단장치(19)에서 경엽부(6b)가 절단된 양파(6)의 몸통부(6b)는, 그대로 상면이 좌우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18)의 하면에 접촉한 상태로, 그 상부의 엽원부가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18)에 끼워지지되어서 후방으로 반송되고, 위치정렬 끼움반송경로(37)의 종단부로터 몸통부(6b)의 엽원부가 연속이송장치(62)의 횡쓰러짐용 반송경로(65)에 도입되어서 이어받고, 스타휠(63)에 의해서 이송이 주어져서 좌횡외측을 향하여 횡이송되는 한편, 몸통부(6b)는 가이드롤러(64)에 접촉하여 우측에 누름으로써, 몸통부(6b)가 위치정렬 끼움반송경로(37)의 종단부에서 연속이송장치(62)에 의해서 좌로 경사져서 횡향 자세로 접근되고, 이 상태로 몸통부 (6b)의 엽원부가 정렬반송장치(21)의 몸통부 방출용 끼워 반송경로(70)에 도입되어서 이어받아지고, 정렬반송벨트(68)의 하측과 좌우 가이드레버(69a, 69b)에서 몸통부(6b)의 엽원부가 끼워지지되어서 정렬반송벨트(68)에 의해서 이송이 주어져서 뒤로 경사진 방향으로 횡향 자세로 반송되고, 몸통부 방출용 끼움반송경로(70)의 종단부로부터 밭두렁(5)의 상면에서 그 좌편부로 치우쳐진 위치에, 양파(6)의 몸통부 (6b)를 그 엽원부가 좌로 향하는 횡향자세로 정렬방출하여 가도록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18)의 우위치정렬 끼움반송벨트(36R)의 후단이 좌위치정렬 끼움반송벨트(36L)의 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좌우 위치정렬 끼움반송벨트(36L, 36R)의 후단위치를 다르게하고, 위치정렬 끼움반송경로(37)로부터 몸통부 방출용 끼워 반송경로(70)로 몸통부(6b)의 엽원부의 이어받음을 원활하게 또한 확실하게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기체(2)의 좌우 양측하부에는, 끼워올림 반송장치(16)에서 끼우고 손상된 밭두렁(5)에 있는 양파(6),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18)로부터 낙하한 양파(6), 정렬반송장치(21)로부터 방출되는 양파(6) 등이, 기체(2)의 좌우방향 외방향으로 굴러서, 밭두렁(5) 간의 홈(5a)에 떨어지지 않도록, 또한 아직 수확하지 않은 양파 (6)측으로 구르지 않도록 규제하는 규제판(71L, 71R)을 구비하고 있다. 이 규제판 (71L, 71R)은 고무판 등의 탄성판재로 이루어지고,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18)의 좌우 횡외측으로부터 지면에 늘어뜨리고, 끼워올림 반송장치(16)의 끼움 시단부의 후측으로부터 정렬반송장치(21)의 횡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정렬반송장치(21)의 방출위치를 밭두렁(5)의 수확측 상면 중앙부로부터 밭두렁(5)의 수확측 어깨부로 치우친만큼, 우규제판(71R)도 밭두렁(5)의 수확측 어깨부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그 우규제판(71R)을 강제적으로 좌측에 절곡하는 가이드판(72)을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보행형 양파수확기의 동력전달에 관해서 설명하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1)의 출력축(1a)이 미션케이스(7)의 입력부에 연동연결되고, 좌우 횡 전동케이스(8L, 8R)에 내장된 미션케이스(7)의 좌우 주행출력축(72L, 73R)이, 좌우 최종케이스(9L, 9R)에 내장된 체인전동기구(74L, 74R) 및 좌우 사이드클러치(75L, 75R)를 통해서 좌우차축(10L, 10R)에 연동연결되고, 그 좌우차축 (10L, 10R)에 축지지된 좌우 주행차륜(3L, 3R)이 회전구동된다. 또, 도 중 76L, 76R은 좌우 주행출력축(73L, 73R)의 단부에 짜넣은 좌우 주차브레이크이다.
한편, 미션케이스(7)로부터 작업클러치(77)를 통해서 전방으로 돌출된 PTO축 (78)이, 기체(2)의 후부에 횡 가설된 좌우방향의 작업입력축(79)에 한쌍의 베벨기어(80a, 80b)를 통해서 연동연결되고, 이 작업입력축(79)에 한쌍의 웜(81a) 및 웜휠(81b)을 통해서 연동연결된 끼워올림 반송구동축(82)이 상향으로 돌출설치되고, 이 끼워올림 반송구동축(82)에 좌우끼워올림 반송벨트(31L, 31R)의 후부 구동풀리축(83L, 83R)이 체인전동기구(84)를 통해서 연동연결되고, 좌우 끼워올림 반송벨트 (31L, 31R)가 소정방향으로 회전구동됨과 아울러, 좌측의 후부 구동풀리축 (83L) 상에 축지지된 경엽방출장치(20)의 하부회전체(47) 및 상부회전체(48)가 회전구동된다. 또한 좌우끼워올림 반송벨트(31L, 31R)의 전부종동풀리축(85L, 85R)에, 좌우 퍼넣음벨트(29L, 29R)의 상부구동풀리축(86L, 86R)과 좌우 위치정렬 끼움반송벨트 (36L, 36R)의 전부 구동풀리축(87L, 87R)가 체인전동기구(88L, 88R)를 통해서 연동연결되고, 좌우 퍼넣은벨트(29L, 29R)와 좌우 위치정렬 끼움반송벨트(36L, 36R)가 소정방향으로 회전구동됨과 아울러, 좌위치정렬 끼움반송벨트(36L)의 후부종동풀리축(89L) 상에 축지지된 연속이송장치(62)의 스타휠(63) 및 가이드롤러(64)가 회전구동된다. 또한 우위치정렬 끼움반송벨트(36R)의 후부종동풀리축(89R)에 한쌍의 베벨기어(90a, 90b)를 통해서 전동축(91)이 연동연결됨과 아울러, 그 전동축 (91)에 한쌍의 베벨기어(92a, 92b)를 통해서 정렬반송벨트(68)의 상부구동풀리축 (93)이 연동연결되고, 이 정렬반송벨트(68)가 회전구동된다.
또한, 작업입력축(79)의 좌우단부에는 크랭크(94L, 94R)가 구비되고, 그 좌우크랭크(94L, 94R)에 좌우 속흙쟁기(33L, 33R)의 종 암부(33b)의 상단이 크랭크로드(35L, 35R)를 통해서 연동연결되고, 좌우 속흙쟁기(33L, 33R)가 구동된다. 또한 기체(2)의 우횡외측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종 전동케이스(95)가 구비되어 있다. 이 종 전동케이스(95)에 내장되는 종 전동축(96)의 후단이 작업입력축(79)의우측단부에 한쌍의 베벨기어(97a, 97b)를 통해서 연동연결됨과 아울러, 각 분초인상 케이스(24C, 24L, 24R)의 분초인상포크(25)를 부착한 무단체인(98C, 98L, 98R)의 상부 구동스프로켓축(99)의 우측단부에 한쌍의 베벨기어(100a, 100b)를 통해서 종 전동축(96)의 전단이 연동연결되고, 각 분초인상 케이스(24C, 24L, 24R)의 분초인상포크(25)를 부착한 무단체인(98C, 98L, 98R)이 회전구동된다.
또한, 도 15 및 도 16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축(101)과 출력축(102)과 이들 2축(101, 102)을 연동연결하는 체인전동기구(103)를 설치하는 체인전동케이스(104)가 구비되고, 이 체인전동케이스(104)가 끼워올림 반송장치(16)와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18) 간의 대응하는 기체(2)의 우횡측부에서, 종 전동케이스(95)의 더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작업입력축(79)의 우측단부로부터 종 전동축(96)에 동력을 전달하고 있는 베벨기어(97b)에 항상 맞물리는 베벨기어(105)를 통해서 작업입력축(79)의 우측단부에 체인전동케이스(104)의 입력축(101)이 연동연결되는 한편, 커터구동케이스(41)에 커터구동축(42)과 그 커터구동축(42)에 한쌍의 베벨기어(106a, 106b)를 통해서 연동연결되는 입력축(107)이 구비되고, 체인전동케이스 (104)의 출력축(102)과 커터구동케이스(41)의 입력축(107)이 전동축(108)을 통해서 연동연결되고, 커터(38)가 회전구동된다.
전동축(108)은 신축가능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양단부가 유니버설 축조인트 (109a, 109b)를 통해서 출력축(102)과 입력축(107)에 절곡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체인전동케이스(104)의 출력단부와 커터구동케이스(41)의 입력단부의 사이에 설치하여 전동축(108)을 내장하는 전동케이스(110)의 양단부도, 주름호스형상의 가요관 조인트(111a, 111b)를 통해서 체인전동케이스(104)와 커터구동케이스(41)에 절곡가능하게 접속되고, 경엽절단장치(19)가 어느 높이위치에서도 이것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보행형 양파수확기로 밭에 있는 양파(6)를 수확할 때의 작동을 설명한다.
양파(6)가 4가닥 모내기된 밭의 밭두렁(5)을 걸친 상태로, 이 밭두렁(5)을 다라서 기체(2)를 전진주행시키면, 분초봉(26C, 26L, 26R)이 양파(6)의 쓰러져 있는 경엽부(6a)를 퍼올리고, 분초인상장치(22)의 작동에 의해 분초인상포크(25)가 경사진 상방으로 이동하고, 양파(6)의 경엽부(6a)을 좌우로 밀어헤쳐서 일으켜 세워 가고, 퍼넣음 장치(23)에 이어받고, 퍼넣음 벨트(29L, 29R)의 돌기(30)의 경사진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양파(6)의 경엽부(6a)를 끼워올림 반송장치(16)의 끼움 시단부에 퍼넣어 간다. 또한, 캐내기장치(17)의 속흙쟁기(33L, 33R)가 밭두렁(5)의 흙을 밭갈이하면서 양파(6)의 몸통부(6b)를 파헤쳐 감과 동시에, 끼워올림 반송장치(16)가 끼워올림 반송벨트(31L, 31R)에서 양파(6)의 경엽부(6b)를 끼워 인상하여 밭두렁(5)으로부터 양파(6)를 뽑아내고, 후상방으로 매달려 반송한다.
이렇게 하여 후상방으로 매달아 반송되는 양파(6)의 경엽부(6a)는,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18)의 끼움 시단부에 도입되고, 이 후는 위치정렬 끼움반송벨트 (36L, 36R)가 양파(6)의 경엽부(6a)의 하부를 끼워지지하고, 대략 수평방향의 후방으로 반송하는 것이다.
끼워올림 반송장치(16)와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18)에 의한 끼워 반송 중,끼워올림 반송장치(16)는 양파(6)의 경엽부(6a)를 상방으로 잡아당기고, 일방에서는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18)가 위치정렬 끼움반송벨트(36L, 36R)를 통해서 양파 (6)의 몸통부(6b)를 걸어서 그 끌어올림을 제한한다. 따라서, 양파(6)의 몸통부 (6b)가 그 상면을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18)의 위치정렬 끼움반송벨트(36L, 36R)의 하면에 접촉하는 높이위치에 가지런하게 되고,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18)의 위치정렬 끼움반송벨트(36L, 36R)는 몸통부(36b)의 엽원부를 끼워 후방으로 반송하고, 또한 끼워올림 반송장치(16)의 끼워올림 반송벨트(31L, 31R)는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18)의 사이에 위치한 경엽부(6a)를 잡아당겨서 이것을 긴장상태로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끼워올림 반송장치(16)와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18)에 의한 양파(6)의 경엽부(6a)의 반송이 진행하면, 이 반송과정에서, 경엽절단장치(19)의 커터(38)가 경엽부(6a)를 소정의 위치에서 절단하고, 이와 같이 경엽부(6a)가 절단처리된 양파(6)의 몸통부(6b)는 곧 연속이송장치(62)에 다달은다.
연속이송장치(62)에 다달은 양파(6)는 그 몸통부(6b) 상부의 엽원부에 스타휠(63)에 의한 걸림반송작용이 미침과 아울러, 몸통부(6b)에 가이드롤러(64)에 의한 안내작용이 미치고, 몸통부(6b)의 엽원부는 스타휠(63)의 외주의 원호를 따라서 좌횡외측으로 반송되는 한편, 몸통부(6b)는 가이드롤러(64)의 둘레면에 접촉하여 우횡외측으로 눌려지기 때문에, 몸통부(6)는 전체에 횡쓰러짐자세로 된다.
이렇게 하여 횡쓰러짐자세로 된 양파(6)의 몸통부(6b)의 엽원부가, 정렬반송장치(21)의 정렬반송벨트(68)와 가이드레버(69a, 69b)의 사이에 끼워지지되고, 양파(6)의 몸통부(6b)가 후방으로 경사진 하방으로 반송되어서, 정렬반송장치(21)의 끼움 종단부의 지면근방위치까지 반송된 후, 양파(6)의 몸통부(6b)는 횡쓰러짐자세 그대로 방출되어서 밭두렁(5)의 상면에서 정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동는, 기체(2)의 진행주행 중에 밭의 몸통부(6b)의 엽원부가, 정렬반송장치(21)의 정렬반송벨트(68)와 가이드레버(69a, 69b)의 사이에 끼워지지되고, 양파(6)의 몸통부(6b)가 후방으로 경사진 하방으로 반송되어서, 정렬반송장치(21)의 끼움 종단부의 지면근방위치까지의 반송된 후, 양파(6)의 몸통부(6b)는 횡쓰러짐자세 그대로 방출되어서 밭두렁(5)의 상면에서 정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동은, 기체(2)의 전진주행 중에 밭두렁(5)으로부터 뽑아낸 양파 (6)에 관해서 연속적으로 행해지는 것이고, 수확된 양파(6)는 기체(2)의 주행적을 따라서 밭두렁(6)의 상면좌측부에서 엽원부가 좌로 향하는 횡향자세로 되어서 정렬된다.
또한 경엽절단장치(19)에서 몸통부(6b)로부터 절단된 경엽부(6a)는, 끼워올림 반송장치(16)에 의해서 더욱 후상방으로 반송된 후, 경엽방출장치(20)에 의해 좌횡외측에 반송되고, 기체(2)의 좌횡외측으로부터 방출되고, 밭두렁(5)의 좌측의 법면 상에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전진로에서 밭두렁(5)의 편측 2가닥의 수확이 완료하면, 기체(2)를 밭의 끝에서 방향전환하고, 남은 편측 2가닥을 상기와 마찬가지로 복귀로에서 수확한다.
그런데, 도 18 및 도 19에, 기체(2)가 주행장치 상에서 진행방향으로 향하여우측방으로 오프세트되고, 항상 진행방향으로 향하여 밭두렁(5)의 우측 2가닥의 양파(6)를 수확하는 우핸들 사양의 보행형 양파수확기를 나타내고 있고, 이 우핸들 사양의 보행형 양파수확기의 기체구성은, 도 18 및 도 19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상기 좌핸들 사양의 보행형 양파수확기의 기체구성과 레이아웃이 좌우 반대로 되는 것뿐이다. 즉, 우측의 주행차륜(3R)이 고정측으로 되고, 좌측의 주행차륜 (3L)이 이동측으로 되고, 케이지륜(11)이 기체(2)의 앞부 우횡외측에서 우측의 고정측주행차륜(3R)의 전방에 배치된다. 또한, 좌측의 조명등(14L)이 기체(2)의 전부 상방위치에, 우측의 조명등(14R)이 기체(2)의 후부상방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분초인상장치(22)에 있어서는, 우측의 분초인상 케이스(24R)와 우측의 분초봉(26R)이 길게 형성되고, 그 우측의 분초봉(26R)에 분초판(27)이 설치됨과 아울러, 좌측의 분초인상 케이스(24L)의 횡외측에 사이드 디바이더(28)가 설치된다. 또한, 종 전동축(96)을 내장하는 종 전동케이스(95)가 기체(2)의 좌횡외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기체(2)의 후부에 배치된 작업입력축(79)으로부터 기체(2)의 전부에 배치된 분초인상장치(22)로의 동력전달이 기체(2)의 좌횡외측에서 행해진다.
또한, 경엽절단장치(19)에 있어서는, 커터구동케이스(41)가 기체(2)의 좌횡측으로부터 끼워올림 반송장치(16)와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18)의 사이에 편지지되어 횡향으로 연장되고, 기체(2)의 후부에 배치된 작업입력축(79)으로부터 커터구동축(42)으로의 동력전달이 체인전동케이스(104) 및 전동케이스(110) 및 커터구동케이스(41)의 가운데를 통하여 기체(2)의 좌횡외측에서 행해진다.
또한, 경엽방출장치(20)에 있어서는, 하부회전체(47) 및 상부회전체(48)가 끼워올림 반송장치(16)에 있어서의 우끼워올림 반송벨트(31R)의 후부회행부의 상하에 배치되고, 끼워올림 반송장치(16)의 끼움 종단부로부터 이어받는 절단후의 경엽부(6a)는 우횡외측으로 향하여 횡이송되어서 기체(2)의 우횡외측으로부터 밭두렁 (5)의 우측의 법면 상에 방출된다. 이것에 수반하여, 커버체(60)도 기체(2)의 우측면에 배치됨과 아울러, 휠커버(61)도 적어도 우측의 고정측 주행차륜(6R)에 설치된다.
또한, 연송이송장치(62)에 있어서는, 스타휠(63) 및 가이드롤러(64)가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18)에 있어서의 우측의 위치정렬 끼움반송벨트(36R)의 상하에 배치되고, 정렬반송장치(21)에 있어서는, 정렬반송벨트(68)가 후면에서 바라봐서 선단부가 우측으로 치우치는 경사진 상태로 되고,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18)의 끼움 종단부로부터 정렬반송장치(21)에 양파(6)의 몸통부(6b)를 그 엽원부가 우로 향하는 횡향자세로 이어받고, 밭두렁(5)의 상면에서 그 우측 편부로 치우친 위치에, 양파(6)의 횡향자세로 정렬방출시킨다. 이것에 수반하여, 규제판(71L, 71R)은, 좌측의 규제판(71L)이 가이드판(72)에 의해서 우측으로 절곡된다.
본 발명의 뿌리채소 수확기는, 밭에 있는 뿌리채소의 뽑아냄으로부터 그 뿌리채소의 경엽부의 절단처리, 또는 경엽부가 절단된 뿌리채소의 방출과 절단된 경엽부의 방출까지를 기계적으로 행할 수 있으며, 또한 그 뿌리채소의 밭으로의 방출자세 및 위치가 일정하게 정렬되기 때문에, 수확한 뿌리채소가 다음 공정의 수확작업의 장해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수확한 뿌리채소의 회수작업이 행하기 쉽게 되며, 그 수고를 경감할 수 있고, 또한 절단된 경엽부가 다음 공정의 수확작업 및 수확한 뿌리채소의 회수작업의 장해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기계에 의한 뿌리채소의 밭으로부터의 뽑아냄을 무리없이 행할 수 있고, 이 뽑아냄 반력의 영향으로 기체가 정지하거나, 기체의 자세가 변화하는 것, 혹은, 끼움부로부터 경엽부가 흘러내리는 것, 경엽부가 당겨져 갈갈이 찢어지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직진성, 조종성에 우수하고, 뽑아냄 실수가 거의 없고, 후공정으로의 반송도 적정하게 행할 수 있는 특징으로 가지고 있다.

Claims (8)

  1. 주행기체에, 밭에 있는 뿌리채소의 경엽부를 끼워 끌어올려서 후상방으로 매달아 반송하는 끼워올림 반송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채소 수확기.
  2. 주행기체에, 밭에 있는 뿌리채소의 경엽부를 끼워 끌어올려서 후상방으로 매달아 반송하는 끼워올림 반송장치와, 매달려 반송되는 뿌리채소의 경엽부에 작용하는 경엽절단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채소 수확기.
  3. 주행기체에, 밭에 있는 뿌리채소의 경엽부를 끼워 끌어올려서 후상방으로 매달아 반송하는 끼워올림 반송장치와, 끼워올림 반송장치의 하측에 반송방향 아래쪽으로 갈수록 끼워올림 반송장치로부터 이반하도록 배치하고, 매달려 반송되는 뿌리채소의 경엽부를 끼워 후방으로 반송하는 사이에 뿌리채소본체의 높이를 가지런하게 하는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와, 끼워올림 반송장치와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의 사이에 배치되고, 높이가 가지런해진 뿌리채소의 경엽부에 작용하는 경엽절단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채소 수확기.
  4. 주행기체에, 밭에 있는 뿌리채소의 경엽부를 끼워 끌어올려서 후상방으로 매달아 반송하는 끼워올림 반송장치와, 끼워올림 반송장치의 하측에 반송방향 아래쪽으로 갈수록 끼워올림 반송장치로부터 이반하도록 배치하고, 매달려 반송되는 뿌리채소의 경엽부를 끼워 후방으로 반송하는 사이에 뿌리채소본체의 높이를 가지런하게 하는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와, 끼워올림 반송장치와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의 사이에 배치되고, 높이가 가지런해진 뿌리채소의 경엽부에 작용하는 경엽절단장치와, 경엽부가 절단된 뿌리채소를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로부터 이어받아서 지면근방위치까지 반송하여 밭에 방출하는 정렬반송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채소 수확기.
  5. 주행기체에, 밭에 있는 뿌리채소의 경엽부를 끼워 끌어올려서 후상방으로 매달아 반송하는 끼워올림 반송장치와, 끼워올림 반송장치의 하측에 반송방향 아래쪽으로 갈수록 끼워올림 반송장치로부터 이반하도록 배치하고, 매달려 반송되는 뿌리채소의 경엽부를 끼워 후방으로 반송하는 사이에 뿌리채소본체의 높이를 가지런하게 하는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와, 끼워올림 반송장치와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의 사이에 배치되고, 높이가 가지런해진 뿌리채소의 경엽부에 작용하는 경엽절단장치와, 절단된 경엽부를 끼워올림 반송장치로부터 이어받아서 기체의 횡측으로부터 밭에 방출하는 경엽방출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채소 수확기.
  6. 주행기체에, 밭에 있는 뿌리채소의 경엽부를 끼워 끌어올려서 후상방으로 매달아 반송하는 끼워올림 반송장치와, 끼워올림 반송장치의 하측에 반송방향 아래쪽으로 갈수록 끼워올림 반송장치로부터 이반하도록 배치하고, 매달려 반송되는 뿌리채소의 경엽부를 끼워 후방으로 반송하는 사이에 뿌리채소본체의 높이를 가지런하게 하는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와, 끼워올림 반송장치와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의 사이에 배치되고, 높이가 가지런해진 뿌리채소의 경엽부에 작용하는 경엽절단장치와, 경엽부가 절단된 뿌리채소를 위치정렬 끼움반송장치로부터 이어받아서 지면근방위치까지 반송하여 밭에 방출하는 정렬반송장치와, 절단된 경엽부를 끼워올림 반송장치로부터 이어받아서 기체의 횡측으로부터 밭에 방출하는 경엽방출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채소 수확기.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끼워올림 반송장치의 끼움 시단부 근방에, 밭에 있는 뿌리채소보다 하방의 흙 속에 돌입시켜서 뿌리채소본체를 캐내는 캐내기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채소 수확기.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끼워올림 반송장치의 전방에, 밭에 있는 뿌리채소의 경엽부를 일으켜 세우는 전처리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채소 수확기.
KR1020020004149A 2002-01-24 2002-01-24 뿌리채소 수확기 KR100851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149A KR100851312B1 (ko) 2002-01-24 2002-01-24 뿌리채소 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149A KR100851312B1 (ko) 2002-01-24 2002-01-24 뿌리채소 수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817A true KR20030063817A (ko) 2003-07-31
KR100851312B1 KR100851312B1 (ko) 2008-08-08

Family

ID=41639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149A KR100851312B1 (ko) 2002-01-24 2002-01-24 뿌리채소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13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52727A (zh) * 2019-09-02 2019-10-22 常州迈腾机械有限公司 一种果园树枝捡拾粉碎设备的捡拾粉碎装置
CN110419348A (zh) * 2019-09-02 2019-11-08 常州迈腾机械有限公司 一种果园树枝捡拾粉碎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45598B (zh) * 2014-08-04 2016-03-02 新疆文彦高科机电设备有限公司 甜菜挖掘捡拾收获机
JP6635144B2 (ja) * 2018-05-30 2020-01-22 井関農機株式会社 播種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5017A (en) * 1994-07-08 1996-09-10 Lucent Technologies Inc. Seamless multimedia conferencing system using an enhanced multipoint control unit
JP3454723B2 (ja) * 1998-09-02 2003-10-06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の茎葉切断装置
JP2001169634A (ja) * 2000-11-21 2001-06-26 Seirei Ind Co Ltd 根茎収穫機
JP3351786B2 (ja) * 2001-05-25 2002-12-03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収穫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52727A (zh) * 2019-09-02 2019-10-22 常州迈腾机械有限公司 一种果园树枝捡拾粉碎设备的捡拾粉碎装置
CN110419348A (zh) * 2019-09-02 2019-11-08 常州迈腾机械有限公司 一种果园树枝捡拾粉碎设备
CN110419348B (zh) * 2019-09-02 2024-03-08 常州迈腾机械有限公司 一种果园树枝捡拾粉碎设备
CN110352727B (zh) * 2019-09-02 2024-03-08 常州迈腾机械有限公司 一种果园树枝捡拾粉碎设备的捡拾粉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1312B1 (ko) 2008-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55653C (en) Drive train for a header of a harvesting machine
ES2704070T3 (es) Equipo de transporte que puede montarse en el lado frontal de una máquina de trabajo guiada manualmente con manceras y que presenta un eje de avance accionado, equipo de transporte que puede conectarse con accionamiento con la máquina de trabajo
KR100851312B1 (ko) 뿌리채소 수확기
CN1305364C (zh) 根菜收获机
RU2229207C2 (ru) Свеклоуборочная машина
JP2922184B2 (ja) 収穫機
JP3450740B2 (ja) 栽培作物用作業機
JP2829509B2 (ja) 収穫機
JP2005102706A (ja) 豆類引抜収穫機
JP2002000029A (ja) 収穫機
JP3710056B2 (ja) 収穫機
JP2918525B2 (ja) 収穫機
JP2922183B2 (ja) 収穫機
JP2918526B2 (ja) 収穫機
JP2829506B2 (ja) 収穫機
JP2004000284A (ja) 豆類引抜収穫機
JPH10164942A (ja) 収穫機
JP2004008222A (ja) 枝豆引抜収穫機
JP2001186806A (ja) 収穫機
JPH09191732A (ja) 収穫機
JP2001157511A (ja) 収穫機
JP2000092942A (ja) 根菜収穫機前処理部の高さ調節装置
JPH09191740A (ja) 収穫機
JP2001186807A (ja) 収穫機
JPH09266714A (ja) 収穫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