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3392A - 면역 촉진 활성을 갖는 폴리사카라이드 화합물 - Google Patents

면역 촉진 활성을 갖는 폴리사카라이드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3392A
KR20030063392A KR10-2003-7007000A KR20037007000A KR20030063392A KR 20030063392 A KR20030063392 A KR 20030063392A KR 20037007000 A KR20037007000 A KR 20037007000A KR 20030063392 A KR20030063392 A KR 20030063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compound
separation
treatment
compound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7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3293B1 (ko
Inventor
조세마누엘 프리아스페나
Original Assignee
봄순드 그루포 아세소르 에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봄순드 그루포 아세소르 에스.엘. filed Critical 봄순드 그루포 아세소르 에스.엘.
Publication of KR20030063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3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32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immunostimulating additives, e.g. chemical adjuv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61P31/06Antibacterial agents for tubercul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8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HIV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Heter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more than one sugar residue in the main chain in either alternating or less regular sequence; Gellans; Succinoglycans; Arabinogalactans; Tragacanth or gum tragacanth or traganth from Astragalus; Gum Karaya from Sterculia urens; Gum Ghatti from Anogeissus latifolia;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i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IDS & HIV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면역 촉진 활성을 보이는 화학식 I의 폴리사카라이드 화합물, 이들의 제조 공정, 면역-억제 질환에서 이들의 용도 및 이들을 함유하는 제약학적 조성물에 관한다. 화학식 I에서 n은 7 내지 8이다.
화학식 I

Description

면역 촉진 활성을 갖는 폴리사카라이드 화합물{POLYSACCHARIDE COMPOUNDS HAVING IMMUNE STIMULATING ACTIVITY}
면역계는 복잡한 상호작용으로 외부 침입자 및 자체의 변형된 세포로부터 개체를 보호하는 응급 시스템을 구축하는 분자, 세포, 기관의 집합으로 정의할 수 있다.
면역계는 기능적으로 구별되는 2가지 요소로 분리할 수 있다: 선천적 요소 및 획득된 요소. 선천적 면역은 비-특이적이고 비-적응성인 면역 요소를 의미한다. 이들은 외래 조직/기관을 구별할 수 있지만 특정 침입자를 인식하지는 못한다. 이들은 장벽(피부와 점막), 비-특이적 화학 물질(점막 분비물에 존재하는 효소, 키니네, 히스티딘), 비-특이적 주효체 세포(대식세포)에서 최적으로 분리된다. 획득 면역은 특이적이고 적응성인 면역 요소를 의미한다. 이들은 외래 세포를 자기 세포와 구별할 수 있고 한가지 외래 항원을 다른 외래 항원과 구별할 수 있다. 획득 면역은 기억력을 보유한다. 이는 동일한 미생물에 의한 재감염에 면역 및 저항을가능하게 한다. 획득 면역을 담당하는 세포는 림프구인데, 여기에는 2가지 아강: B 세포와 T 세포가 있다.
획득 면역은 자연적인 감염이나 백신접종(능동 방식)으로 또는 면역 세포 투여(수동 방식)로 달성할 수 있다. 전자 방법은 장기간 지속되는 효과를 제공하고 영구적일 수 있는 반면, 후자는 장기간 지속되지 않는다.
면역-억제 질환을 보이는 환자는 면역계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면역 촉진제로 치료한다. 다양한 면역 촉진제는 US 4801578, US 5417979, WO 9851319에 공지되어 있다. 폴리사카라이드 면역 촉진제는 DE 19817177과 EP 0 225 496에 공지되어 있다. 이들 특허에서는 면역 촉진 활성을 갖는 폴리사카라이드 화합물 및 식물 세포 배양액으로부터 이들의 획득을 개시한다.
하지만, 이들 면역 촉진 화합물은 면역-억제 질환에 대하여 만족스런 활성을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향상되고 폭넓은 활성을 보이는 대체 면역 촉진제가 필요하다.
본원 발명의 요약
본원 발명은 면역 촉진 활성을 보이는 화학식 I의 폴리사카라이드 화합물, 이들의 제조 공정, 면역-억제 질환의 치료에서 이들의 용도 및 이들을 함유하는 제약학적 조성물에 관한다.
본원 발명의 한 측면은 화학식 I의 폴리사카라이드 화합물에 관한다.
여기서, n은 7 내지 8이다.
본원 발명의 두 번째 측면은 화학식 I의 폴리사카라이드 화합물을 수득하는 방법에 관한다. 상기 방법은 (i) 본 출원의 동시-출원 WO 02/41908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금잔화(Calendula officinalis)로부터 얻은 수성 추출물의 수득; (ii) 생물학적검정에 따른 분리 기술의 조합에 의한 폴리사카라이드의 분리로 구성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면역 억제 질환, 예를 들면 암, 결핵, 인플루엔자, 감기, 알레르기, 홍반성 루프스, 건선, AIDS의 치료에서 치료 약물로서 본원 발명에 따른 화학식 I의 폴리사카라이드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화학식 I의 폴리사카라이드 화합물을 함유하는 제약학적 조성물에 관한다.
본원 발명은 면역 촉진 활성을 보이는 화학식 I의 폴리사카라이드 화합물, 이들의 제조 공정, 면역-억제 질환에서 이들의 용도 및 이들을 함유하는 제약학적 조성물에 관한다.
도 1 은 PF2의 분리 개요도이다.
도 2 는 PF2R의 분리 개요도이다.
도 3 은 PF2RS8A의1H-NMR 스펙트럼이다.
도 4 는 PF2RS8A의13C-NMR 스펙트럼이다.
도 5 는 TFA의 PF2RS8A 가수분해 산물 및 다른 모노당(monosugar)의 TLC이다.
도 6 은 PF2RS8B2, 즉 화학식 I의 폴리사카라이드의 분리 개요도이다.
도 7 은 증기화 광산란 검출기하에 PF2RS8B2의 HPLC 프로필이다.
도 8 은 광다이오드 UV 검출기하에 PF2RS8B2의 HPLC 프로필이다.
도 9 는 PF2RS8B2의1H-NMR 스펙트럼이다.
표 1 은 림프구 전환에 대한 시료 PF2RS8A와 PF2RS8B2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10 은 PF2RS8B2, 즉 화학식 I의 폴리사카라이드의13C-NMR 스펙트럼이다.
도 11 은 PF2RS8B2의 DEPT-135 스펙트럼이다.
도 12 는 PF2RS8B2의 DEPT-90 스펙트럼이다.
도 13 은 PF2RS8B2의 HMQC 스펙트럼이다.
도 14 는 PF2RS8B2의1H-1H COSY 스펙트럼이다.
도 15 는 PF2RS8B2의1H-1H COSY 스펙트럼이다.
도 16 은 PF2RS8B2의 HMQC 스펙트럼이다.
표 2 는 PF2RS8B2의13C-NMR 스펙트럼이다.
도 17 은 PF2RS8B2의 HMBC 스펙트럼이다.
도 18 은 PF2RS8B2의 HMBC 스펙트럼이다.
도 19 는 TFA의 PF2RS8B2 가수분해 산물 및 다른 모노당(monosugar)의 TLC이다.
도 20 은 분자량 수치 다이어그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첫 번째 측면은 화학식 I의 폴리사카라이드 화합물에 관한다:
화학식 I
여기서, n은 7 내지 8이다.
화학식 I 화합물의 입체 구조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n은 7 내지 8이다.
상기 폴리사카라이드 화합물은 대략 10,000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본원 발명의 두 번째 측면은 화학식 I의 폴리사카라이드 화합물을 수득하는 방법에 관한다. 상기 방법은 (i) 본 출원의 동시-출원 WO 02/41908("식물의 수성 추출물의 제조 공정 및 이렇게 수득되는 추출물")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금잔화(Calendula officinalis)로부터 얻은 수성 추출물의 수득; (ii) 생물학적검정에 따른 분리 기술의 조합에 의한 폴리사카라이드의 분리로 구성된다.
금잔화(Calendula officinalis)의 수성 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공정으로 상기 식물의 꽃으로부터 수득한다:
a) 꽃의 정화(decontamination)
b) 꽃의 분쇄
c) 분쇄된 꽃을 레이저 광선으로 처리
d) c) 단계에서 얻은 혼합물을 물에 현탁
e) d) 단계에서 얻은 현탁액의 냉침(Maceration)
f) 생성된 액체의 분리.
정화(a 단계)는 금잔화(Calendula officinalis)의 꽃을 물로 세척하여 달성한다. 이 단계에 사용되는 물의 함량은 중요하지 않으며, 식물의 오염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수온은 1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 가장 바람직하게는 28℃이지만, 이보다 높거나 낮은 온도 역시 배제시키지 않는다. 이 단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세척 터널을 이용할 수 있다. 물의 함량 및 세척 터널에서 식물의 머무름 시간은 중요하지 않고, 따라서 식물의 오염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런 세척 단계는 건조 단계를 중간 단계로 하여 수회 실시할 수 있다. 적절하게는, 건조 단계는 식물을 태양아래 위치시켜 달성한다.
꽃이 완전하게 정화되면, 통상적인 방법, 예를 들면 분쇄 기계 또는 손으로 분쇄한다. 꽃을 분쇄하는 온도는 10 내지 40℃이어야 하지만, 이보다 높거나 낮은 온도 역시 배제시키지 않는다.
이후, 분쇄된 꽃은 레이저 방사로 처리한다(c 단계). 레이저 광원으로는 150 내지 810 nm 범위의 파장에서 조화파 발생(harmonic generation) 능력을 갖는 적색 선형 레이저 다이오드이다. 레이저 광선의 파장은 좀더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400 nm, 가장 바람직하게는 250 nm이다. 레이저 광선의 파워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0 watt, 좀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watt,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watt이다. 스팟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mm, 좀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4 mm 직경을 갖는다. 분쇄된 식물은 레이저 방사에 노출시켜 혼합물전체 또는 이의 일부가 조사(irradiation)되도록 한다. 이는 레이저 발생기를 분쇄된 식물에 수동으로 위치시키거나, 또는 컨베이어 벨트로 분쇄된 재료를 일단의 레이저 발생기에 통과시켜 달성한다. 적절하게는, 각 1㎏의 분쇄된 재료는 3 내지 10분, 좀더 바람직하게는 5분동안 레이저 광선으로 처리한다. 분쇄된 식물을 레이저 광선으로 처리하는 온도는 10 내지 40℃이어야 하지만, 이보다 높거나 낮은 온도 역시 배제시키지 않는다.
그 다음, 레이저 처리된 재료는 물에 현탁시킨다(d 단계). 임의의 상업적 광천수를 이 단계에 사용할 수 있다. 현탁은 물 1ℓ당 50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50g의 레이저 처리된 재료가 존재하도록 실시한다. 분쇄된 식물을 물에 현탁시키는 온도는 10 내지 40℃이어야 하지만, 이보다 높거나 낮은 온도 역시 배제시키지 않는다.
이후, 현탁액은 5 내지 20일,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5일동안, 2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 온도로 유지시켜 혼합물의 냉침이 진행되도록 한다(e 단계).
최종적으로, 냉침 단계이후 고체상으로부터 액체상의 분리(separation)를 실시한다(f 단계). 고체는 가압하여 분리를 촉진할 수 있다. 분리는 상층액 분리(decantation) 단독으로, 또는 바람직하게는 상층액 분리 및 후속 여과로 달성할 수 있다. 적절하게는, 여과는 가압하에 실시한다. 가장 적절하게는, 5 ㎛, 1 ㎛, 0.22 ㎛의 필터로 3회 연속 프레스-여과를 실시한다. 분리를 실시하는 온도는 10 내지 40℃이어야 하지만, 이보다 높거나 낮은 온도 역시 배제시키지 않는다.
황토색의 수성 추출물이 최종적으로 수득된다.
그 다음, 이렇게 수득되는 추출물은 분리(isolation) 과정을 실시하는데, 상기 분리 과정은 메탄올로 침전, 원심분리 및 생물학적검정에 따른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로 구성된다. 상기 생물학적검정은 참고문헌: Max, W. et al., Journal of Natural Products, vol. 54, no. 6, pp. 1531-1542(1991)에 따라 생쥐로부터 분리된 림프구에 시료를 첨가하여 시험관내에서 실시한다. DNA의 복제를 의미하는 티미딘의 통합을 모니터한다. 이런 통합은 림프구 개체수의 증가 및 림프구 활성의 증가를 시사한다. 이용된 분리 기술에는 에탄올로 반복된 침전, 원심분리, 투석 및/또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가 포함된다.
앞서 수득된 112 ℓ수성 추출물은 동결건조시켜 800g 황갈색의 분말("PF2")를 얻는다. 상기 분말은 MeOH-가용성과 MeOH-불용성 잔류물(PF2R, 350 g)로 분획되는데, 이들 잔류물은 림프구 전환 활성을 보인다. 이런 재료중 일부분(80g)은 MeOH 침전, 원심분리, 투석 및/또는 세파덱스 DEAE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다수의 결정성 물질을 분리하였는데, 이들은 불활성 무기염으로 확인되었다(도 1).
MeOH에 의해 25, 50, 67%의 최종 농도로 침전되는 PF2R중 일부분(270g)은 활성 침전물을 결과하였다. 가장 활성이 높은 물질은 50% MeOH 용액으로부터 얻은 침전물이었다(PF2RS8 51.2g, LT= +1059%). 물에 분해되는 PF2RS8중 일부분(5g)의 정제(Work-up), 원심분리 및 세파덱스 G-25에서 상층액의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는 PF2RS8A로 지정된 활성 폴리사카라이드가 풍부한 분취물을 결과하였다(0.13g, LT=+1074%). 후속으로, PF2RSA8A'로 지정된 동일한 분취물(0.3g)은 50% MeOH 침전물중 두 번째 일부분(6g)으로부터 얻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다른 분취물과 결정성 물질이 수득되었지만, 이들은 PF2RS8A의 LT 활성 수준을 보이지 않았다.
PF2RS8A는 분광분석(1H,13C-NMR, DEPT 스펙트럼) 및 화학적 분석(TFA로 가수분해, 실리카겔 TLC에서 분석)으로 특성화되었다(도 3, 4, 5).
좀더 활성이 높은 폴리사카라이드 혼합물 PF2RS8A(1.4g)는 나머지 50% MeOH 침전물(PF2RS8)로부터 분리되었다. 동시에, 67% MeOH 불용성 분취물(PF2RS9; LT= +735%)중 일부분(2.0g)의 정제는 폴리사카라이드 혼합물(PF2RS9A, 0.3g)의 분리를 결과하였는데, 상기 혼합물은1H-NMR 분석에 의해 PF8RS8A와 동일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PF2RS9A(0.2g)는 PF2RS8A(1.4g)와 혼합하고, "PF2S8B"로 지정된 상기 혼합물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파덱스 G-50(20-80 mm)으로 추가로 분리하였다. 물로 용출하면 6개의 분취물(PF2RS8B1, 2, 3, 4, 5, 6)이 얻어지는데, 이들은 HPLC 분석에서 증기화 광산란 검출기와 UV 검출기에 의해 주요 분리물 PF2RS8B2만 균질한 것으로 밝혀졌다(도 7과 8).1H와13C-NMR 스펙트럼 분석(도 9와 10)은 이 분리물의 스펙트럼이 PF2RS8A에서 얻은 스펙트럼(도 3과 4)과 매우 유사하다는 것을 보였는데, 이는 상기 분리물이 혼합물에서 주요 폴리사카라이드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따라서, 분취물 PF2RS8B2는 화학식 I의 폴리사카라이드 및 물로 구성된다. 후자는 당분야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균질 분리물 PF2RS8B2와 이의 양친 혼합물 PF2RS8A의 생물학적검정에서 각각 6203%와 3532%의 림프구 전환(LT) 활성이 확인되었다(표 1). 상기 분리물에서 나타나는 좀더 높은 활성 수준은 이 폴리사카라이드가 본원 추출물의 생물학적 효과에 대한 주요 활성 요소라는 것을 암시한다.
활성 폴리사카라이드 PF2RS8B2(화학식 I의 폴리사카라이드)는 분광분석(1H,13C-NMR, HMQC, 2D1H-1H COSY 스펙트럼) 및 화학적 분석(TFA로 가수분해, 실리카겔 TLC에서 분석)으로 명료하게 밝혀졌다. 따라서, δ 5.3과 3.2 ppm에서1H-NMR 신호(도 9)는 폴리사카라이드를 지시한다. δ 111.9(d)와 110.1(d) ppm에서13C-NMR 신호(도 10-12)는 1 →3 결합된 α-L-아라비노푸라노즈와 말단 α-L-아라비노푸라노즈(각각 Araf와 Araf'로 표시)의 아노머 탄소에 기인한다. δ 106.1(d)과 105.9(d) ppm에서 신호는 1 →6 결합된 β-D-갈락토피라노즈 및 1 →3, 1 →6 결합된 β-D-갈락토피라노즈(각각 Galp'와 Galp로 표시)의 아노머 탄소에 기인하고, δ 100.2(d) ppm에서 신호는 α-L-람노피라노즈(Rhap로 표시)의 아노머 탄소에 기인하였다. 아노머 양성자 신호(H-1) 역시1H-NMR 스펙트럼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필드 이동(field shift)으로 인해 쉽게 인식되었다. HMQC 스펙트럼에서 관찰되는 양성자와 탄소-13 신호간 직접적인 상관관계(도 13)는 5.08(brs), 5.23(brs), 4.47(d, J=7.9 Hz), 4.53(d, J= 7.3 Hz), 5.1(brs) ppm의1H-NMR 신호와 α-L-아라비노푸라노즈(Araf'), α-L-아라비노푸라노즈(Araf), β-D-갈락토피라노즈(Galp'), β-D-갈락토피라노즈(Galp), α-L-람노피라노즈(Rhap)의 아노머 양성자간에 확인되었다. 이들 신호를 참고로 하여, 다른 양성자 신호는 2D1H-1H COSY 스펙트럼 분석으로 추적할 수 있었다(도 14, 15). 유사하게, 상응하는 탄소 신호는 HMQC 스펙트럼에 의해 정의되었다(도 13, 16, 표 2). 당(sugar) 단위의 순서는 아래와 같이 확인되었다. Araf(δ 79.4)와 Galp(δ 82.8)의 C-3에서 신호 및 Galp와 Galp'(δ 69.2)의 C-6에서 신호의 하향 필드 이동은 이들 탄소가 다른 당 단위에 연결된다는 것을 암시한다. HMBC 스펙트럼(도 17)에서 Araf의 C-1과 Galp와 Galp'의 C-6간 장거리 상관관계의 관찰은 1 →6 연결된 β-D-갈락토피라노즈 골격을 암시한다. Araf는 Araf의 C-1과 Galp의 C-3간 장거리 상관관계에 의해 Galp에 1 →3 연결되었다(도 18).1H-NMR 스펙트럼(도 9)으로부터, 당의 비율은 Araf:Araf':Galp:Galp':Rhap/3:1:2:2:1인 아노머 양성자 피크의 통합 값에 따라 계산되었다. 따라서, PF2RS8B2는 화학식 I에 도시된 일차 구조를 갖는 대형 분지쇄 폴리사카라이드로 밝혀졌다. 화학식 II는 개별 당의 입체화학적 형태를 도시하는 동일한 구조의 표현이다.
구성 당의 실체를 확인하기 위하여, PF2RS8B2는 TFA(0.5 M, 100-120℃)로 가수분해하고, 이후 TLC 분석하였다(도 19). 다수(major) 당인 α-L-아라비노푸라노즈와 β-D-갈락토피리노즈의 존재는 쉽게 확인되는 반면, 소수(minor) 당인 α-L-람노피라노즈의 존재는 TLC 플레이트에 접촉하는 가수분해물의 함량으로 인하여 좀더 어렵게 검출되었다.
PF2RS8B2의 분자량은 겔 침투(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하였다. 이렇게 측정된 PF2RS8B2의 평균 분자량은 10,000(도 20)이다.
화학식 I의 폴리사카라이드 화합물은 하기의 실시예에 반영된 바와 같이 면역 촉진제로서 예상치 못하게 높은 활성을 보인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세 번째 측면은 면역-억제 질환, 예를 들면 암, 결핵, 인플루엔자, 감기, 알레르기, 홍반성 루프스, 건선, AIDS의 치료에서 치료 약물로서 화학식 I의 폴리사카라이드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다. 암의 무제한적 예는 간암, 폐암, 신장암, 결장암, 유방암, 전립선암이나 전립선 선암종, 성상세포종(astrocytoma)과 교모세포종(glioblastoma)과 같은 뇌암, 자궁경부암, 방광암이다.
본원 발명의 네 번째 측면은 화학식 I의 폴리사카라이드화합물을 함유하는 제약학적 조성물에 관한다.
본원 발명에 따른 폴리사카라이드는 순수한 물질로써 개별적으로 또는 제약학적 제제의 형태로 투여할 수 있는데, 본원 발명의 화합물은 혼합물 형태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절하게는, 약물 혼합물은 (1) 본원 발명에 따른 폴리사카라이드; (2) 하나 또는 복수의 적합한 결합제, 담체 및/또는 추가적인 보조 물질; (3) 추가적인 치료요법적 활성 물질을 함유하는 제형이다.
담체 물질, 결합제 및/또는 보조 물질은 제형이나 제제의 다른 성분과 혼합할 수 있고 치료받는 생물에 부작용을 주지 않도록 제약학적으로ㆍ약리학적으로 수용가능해야 한다.
제형에는 경구와 장관외(피하, 피내, 근육내, 정맥내 포함) 투여에 적합한 제형이 포함되는데, 최적 투여 경로는 환자의 상태에 좌우된다.
제형은 단일 투여 형태일 수 있다. 이들 제형은 약리학 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투여에 적합한 활성 성분의 적량은 특정 장 치료요법(field therapy)의 함수로 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일-투여 제형에서 활성 물질 농도는 전체 제형중 5% 내지 95%이다.
본원에 제시된 발명은 후술한 실시예로 예증한다.
실시예 1: 본원 발명의 방법에 따른 금잔화(Calendula officinalis) 꽃의 수성 추출물 준비
500g의 금잔화(Calendula officinalis) 꽃은 세척 터널에 위치시키고 대략 28℃에서 물로 철저하게 세척한다. 이후, 꽃은 분쇄 기계로 분쇄한다. 생성된 500g 분쇄 재료는 250 nm 파장, 20 watt 파워, 4 mm 직경 스팟에서 조화파 발생(harmonic generation) 능력을 가진 적색 선형 레이저 다이오드로 처리한다. 이런 처리는 2.5분동안 분쇄 재료에 레이저 발생기를 수동으로 위치시켜 혼합물 전체 또는 이의 일부가 조사(irradiation)되도록 하여 달성한다. 이후, 레이저 처리된 재료는 대략 20℃ 온도에서 2ℓ물에 현탁시킨다. 현탁액은 4℃에서 12일동안 유지시킨다. 최종적으로, 고체상과 액체상의 분리(separation)는 액체의 상층액 분리(decantation)(고체는 가압하여 분리를 촉진한다) 및 후속으로 대략 20℃ 온도에서 5 ㎛, 1 ㎛, 0.22 ㎛의 필터로 3회 연속 프레스-여과하여 달성한다. 최종 산물은 대략 1.7ℓ의 황토색 용액이다.
실시예 2: 화학식 I의 폴리사카라이드의 분리(isolation)는 본원 명세서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달성한다.
실시예 3: 화학식 I의 폴리사카라이드는 림프구 전환 활성(LTA)을 정량하여 면역 촉진제로서 활성을 검사하였다. 림프구 전환 활성이란 면역학적 기전을 통한 질병의 억제 또는 여러 요인에 의해 약화된 면역시스템의 회복을 위하여, 림프구가 휴지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 검사는 참고문헌: Max, W. et al., Journal of Natural Products, vol. 54, no. 6, pp. 1531-1542(1991)에 따라 생쥐로부터 분리된 림프구에 본원 발명에 따른 폴리사카라이드 용액을 첨가하여 시험관내에서 실시한다. DNA의 복제를 의미하는 티미딘의 통합을 모니터한다. 이런 통합은 림프구 개체수의 증가 및 림프구 활성의 증가를 시사한다.
화학식 I의 폴리사카라이드는 자극을 받지 않은 림프구와 비교하여 +6203%의 LTA를 보인다.

Claims (17)

  1. 화학식 I
    여기서, n은 7 내지 8이다.
  2. 제 1 항에 정의된 화합물을 수득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 금잔화(Calendula officinalis)로부터 꽃을 떼어내고,
    2) 여기에 다음과 같은 추출 방법을 적용하며:
    a) 꽃의 정화(decontamination)
    b) 꽃의 분쇄
    c) 분쇄된 꽃을 레이저 광선으로 처리
    d) c) 단계에서 얻은 혼합물을 물에 현탁
    e) d) 단계에서 얻은 현탁액의 냉침(Maceration)
    f) 생성된 액체의 분리,
    3) f) 단계에서 얻은 액체에 분리(isolation) 공정을 적용하고, 상기 분리공정은 메탄올로 침전, 원심분리, 생물학적 검정에 따른 크로마토그래피 분리(seperation)로 구성된다.
  3. 제 2 항에 있어서, 3) 단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g) f) 단계에서 얻은 액체의 동결건조
    h) g) 단계에서 얻은 동결건조된 재료를 메탄올로 침전
    i) 액체상으로부터 고체상 분리
    j) i) 단계에서 얻은 고체상을 25%, 50%, 67% 최종 농도로 메탄올로 침전
    k) 50%와 67%로 j) 단계에서 얻은 침전물을 물에 용해시키고
    원심분리하며 상층액의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를 실시
    l) 생물학적검정에 의한 활성 분취물의 확인
    m) 활성 분취물의 2차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를 실시
    n) 생물학적검정에 의한 활성 분취물의 확인
    o) 용리액의 제거.
  4. 제 2 항 또는 3 항에 있어서, 레이저 방사 처리는 150 내지 810 nm 범위의 파장, 1 내지 60 watt의 파워, 1 내지 6 mm 직경의 스팟에서 조화파 발생(harmonic generation) 능력을 갖는 적색 선형 레이저 다이오드로 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파장은 200 내지 400 nm, 바람직하게는 250 nm이고, 파워는 20 watt이며, 스팟은 직경이 4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전술한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1㎏의 분쇄 재료는 3 내지 10분, 바람직하게는 5분동안 레이저 방사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치료 약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8. 제 1 항에 있어서, 면역 억제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암, 결핵, 인플루엔자, 감기, 알레르기, 홍반성 루프스, 건선, AIDS의 치료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간암, 폐암, 신장암, 결장암, 유방암, 전립선암이나 전립선 선암종, 성상세포종(astrocytoma)과 교모세포종(glioblastoma)과 같은 뇌암, 자궁경부암, 방광암의 치료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1. 약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제 1 항에 정의된 화합물의 용도.
  12. 제 11 항에 있어서, 면역 억제 질환을 치료하는 약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의 용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암, 결핵, 인플루엔자, 감기, 알레르기, 홍반성 루프스, 건선, AIDS를 치료하는 약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의 용도.
  14. 제 13 항에 있어서, 간암, 폐암, 신장암, 결장암, 유방암, 전립선암이나 전립선 선암종, 성상세포종(astrocytoma)과 교모세포종(glioblastoma)과 같은 뇌암, 자궁경부암, 방광암을 치료하는 약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의 용도.
  15. 제 1 항에 따른 화합물을 함유하는 제약학적 조성물.
  16. 제 15 항에 있어서, 제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운반체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학적 조성물.
  17. 제 15 항 또는 16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가지의 다른 제약학적 활성 화합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학적 조성물.
KR1020037007000A 2000-11-27 2000-11-27 면역 촉진 활성을 갖는 폴리사카라이드 화합물 KR100743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00/001946 WO2002042335A1 (en) 2000-11-27 2000-11-27 Polysaccharide compound having immune stimulating activ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392A true KR20030063392A (ko) 2003-07-28
KR100743293B1 KR100743293B1 (ko) 2007-07-26

Family

ID=11004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7000A KR100743293B1 (ko) 2000-11-27 2000-11-27 면역 촉진 활성을 갖는 폴리사카라이드 화합물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EP (1) EP1343826B1 (ko)
JP (1) JP2004521969A (ko)
KR (1) KR100743293B1 (ko)
CN (1) CN1202134C (ko)
AR (1) AR031508A1 (ko)
AT (1) ATE301677T1 (ko)
AU (2) AU2001218789B2 (ko)
BR (1) BR0017379A (ko)
CA (1) CA2429976A1 (ko)
CO (1) CO5310568A1 (ko)
DE (1) DE60021924T2 (ko)
ES (1) ES2246911T3 (ko)
HK (1) HK1062178A1 (ko)
HR (1) HRP20030481A2 (ko)
HU (1) HUP0400647A2 (ko)
IL (1) IL156164A0 (ko)
MX (1) MXPA03004720A (ko)
MY (1) MY129110A (ko)
NO (1) NO20032370L (ko)
NZ (1) NZ526641A (ko)
SA (2) SA02220683B1 (ko)
UA (1) UA74406C2 (ko)
WO (1) WO20020423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33200B1 (es) 2013-10-04 2016-01-15 Rafael GALLART GRAU Procedimiento para preparar extractos acuosos de plantas
CN110305234B (zh) * 2019-07-30 2020-09-08 科丽思化妆品(上海)有限公司 一种具有祛斑美白活性的提取物多糖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41945A1 (de) * 1985-11-27 1987-06-04 Lomapharm Rudolf Lohman Gmbh K Immunstimulierend wirkende polysaccharide aus zellkulturen von echinacea purpurea (l.) moench und echinacea angustifolia, d.c.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sie enthaltende pharmazeutische zubereitungen
RU2129433C1 (ru) * 1995-09-28 1999-04-27 Богдарин Юрий Аркадьевич Лекарственное средство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43826B1 (en) 2005-08-10
AU2001218789B2 (en) 2007-02-15
NO20032370D0 (no) 2003-05-26
KR100743293B1 (ko) 2007-07-26
WO2002042335A1 (en) 2002-05-30
JP2004521969A (ja) 2004-07-22
EP1343826A1 (en) 2003-09-17
IL156164A0 (en) 2003-12-23
MXPA03004720A (es) 2005-01-25
NZ526641A (en) 2004-11-26
DE60021924D1 (de) 2005-09-15
HRP20030481A2 (en) 2005-04-30
SA02220687B1 (ar) 2006-10-31
CN1479749A (zh) 2004-03-03
CO5310568A1 (es) 2003-08-29
NO20032370L (no) 2003-06-25
UA74406C2 (uk) 2005-12-15
HUP0400647A2 (hu) 2004-07-28
SA02220683B1 (ar) 2006-07-03
DE60021924T2 (de) 2006-06-14
BR0017379A (pt) 2004-02-03
CA2429976A1 (en) 2002-05-30
AR031508A1 (es) 2003-09-24
AU1878901A (en) 2002-06-03
ES2246911T3 (es) 2006-03-01
MY129110A (en) 2007-03-30
ATE301677T1 (de) 2005-08-15
HK1062178A1 (en) 2004-10-21
CN1202134C (zh) 2005-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8317B1 (ko) 면역보강성 및 면역자극 활성을 갖는 트리테르펜 사포닌유사체
CA1305475C (en) Processes for preparation of aloe products, products produced thereby and compositions thereof
KR100678238B1 (ko) 알로에로부터 면역조절성 다당류를 제조하는 방법
CA2084093C (en) Composite molecular system for the contra-escalatory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EP0973540B1 (en) Isolation and structural elucidation of the cytostatic linear and cyclo-depsipeptides dolastatin 16, dolastatin 17, and dolastatin 18
EP0382840B1 (en) Aloe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KR20070059062A (ko) 정제된 아라비노갈락탄-단백질 조성물
EP0441278A1 (en) Polysaccharides with immunomodulating properties from astragalus membranaceu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KR100743293B1 (ko) 면역 촉진 활성을 갖는 폴리사카라이드 화합물
JPH0641416B2 (ja) 植物起源の生物活性物質の製造法および同物質含有組成物
AU2001218789A1 (en) Polysaccharide compound having immune stimulating activity
RU2276157C2 (ru) Полисахарид с иммуностимулирующей активностью,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и применение
ZA200304444B (en) Polysaccharide compound having immune stimulating activity.
TWI296526B (en) Polysaccharide compound having immune stimulating activity
KR20040085226A (ko) 러시아산 무미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함유하는면역활성증강용 조성물
KR100482841B1 (ko) 귤피로부터 분리한 장관면역 활성화능이 있는 다당류, 그제조방법 및 그 용도
KR20070014745A (ko) 면역 증강 활성을 갖는 잎새 버섯의 액체배양물로부터분리한 세포외 생체고분자
KR100538642B1 (ko) 목질진흙버섯으로부터 분리한 산성 프로테오-헤테로글리칸추출물을 함유하는 관절염 치료용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0772007B1 (ko) 마크로파지 활성화 또는 항암용 알로에 조성물
Farnsworth et al. Aster pilosus (Compositae) I. Isolation of hyperoside (quercetin‐3‐β‐D‐mono‐galactoside) from the leaves
RU2415863C1 (ru) Средство, стимулирующее клеточный иммунитет млекопитающих
CN110256588A (zh) 河蚌抗氧化活性多糖及其制备方法
KR20050050072A (ko) 러시아산 무미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함유하는면역활성증강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