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2840A - 차량용 현가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현가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2840A
KR20030062840A KR1020020003265A KR20020003265A KR20030062840A KR 20030062840 A KR20030062840 A KR 20030062840A KR 1020020003265 A KR1020020003265 A KR 1020020003265A KR 20020003265 A KR20020003265 A KR 20020003265A KR 20030062840 A KR20030062840 A KR 20030062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actuator
power supply
contro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3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6613B1 (ko
Inventor
김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20003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6613B1/ko
Publication of KR20030062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2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6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60G17/0157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non-fluid unit, e.g.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40Type of actuator
    • B60G2202/42Electric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04Means for informing, instructing or displ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18Automatic control means
    • B60G2600/188Spectral analysis; Transform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의 단락이나 과부하에 기인하는 이상 제어 상태를 감지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의 구동을 위해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액츄에이터로 인가되는 전원의 소비 전류 변화량을 검출하고, 이 검출된 소비 전류 변화량에 의거하여 액츄에이터의 단락 또는 과부하에 기인하는 이상 제어 상태를 검출하며, 액츄에이터의 이상 제어 상태가 검출될 때 릴레이를 단속하여 액츄에이터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과전류에 기인하는 전자 제어 장치 내 전자 부품들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현가 제어 장치{SUSPENSION CONTROLLER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용 현가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차감 및 주행 안정성을 위한 감쇄력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현가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는 현가 장치가 구비되는 데, 이러한 현가 장치는 주행 중에 차축이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이 차체에 직접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차체와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 및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기능한다.
또한, 현가 장치는 바퀴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이나 제동력을 차체에 전달하고, 차량의 선회 시에 원심력을 흡수하며, 구동 바퀴가 차체에 대해 올바른 위치로 유지되도록 기능한다. 따라서, 현가 장치는 노면에서 받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유연한 결합을 필요로 하고, 구동 바퀴에서 발생하는 구동력 및 제동력과 선회 시의 원심력 등에 견딜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강한 결합을 필요로 한다.
도 2는 종래 차량용 현가 제어 장치의 블록구성도로서, 전원 공급 블록(202), 조작 스위치(204), 제어 블록(206), 액츄에이터 구동 블록(208), 액츄에이터(210) 및 표시 블록(212)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원 공급 블록(202)은 제어 블록(206)과 액츄에이터 구동 블록(208)으로 구동용 전원을 공급하고, 조작 스위치(204)는 사용자(또는 운전자)가 수동 조작을 통해 제어 모드를 선택할 때 그에 상응하는 모드 선택신호를 발생하여 제어 블록(206)으로 전달한다. 여기에서, 제어 모드로는, 예를 들면 약(SOFT), 중(MEDUM) 및 강(HARD) 등이 될 수 있다.
다음에, 제어 블록(206)은, 예를 들면 현가 장치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으로, 조작 스위치(204)로부터 제공되는 모드 선택신호에 의거하여 액츄에이터 구동에 필요한 구동 제어신호를 발생한 후 액츄에이터 구동 블록(208)에 제공하고, 이에 응답하여 액츄에이터 구동 블록(208)이 전원 공급 블록(202)으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액츄에이터(210)로 공급하여 차량의 감쇄력을 조절함으로써, 차량의 승차감 및 주행 안정성 등을 확보한다. 여기에서, 액츄에이터(210)로는, 예를 들면 스테핑 모터 등이 사용된다.
또한, 제어 블록(206)은, 조작 스위치(204)로부터 모드 선택신호가 수신될 때, 그에 상응하는 표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표시 블록(212)으로 제공하고, 이에 따라 표시 블록(212)에서는, 사용자(또는 운전자)가 현재의 모드 상태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모드 지시 램프를 통해 현재의 차량 모드 상태를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스테핑 모터(액츄에이터)는 여러 가지 외적 요인으로 인해 단락 등의 이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 차량용 현가 제어 장치는 스테핑 모터(액츄에이터)의 단락에 의한 이상 제어에 대한 고장 진단 기능이 없다는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운전자)는 액츄에이터가 자신이 선택한 제어 모드 상태로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종래 차량용 현가 제어 장치는 스테핑 모터(액츄에이터)의 단락에 기인하는 이상 제어로 인해 전자 제어 장치(ECU)내의 전자부품들이 손상되는 문제를 가지며, 이러한 문제는 차량의 제품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중의 하나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액츄에이터의 단락이나 과부하에 기인하는 이상 제어 상태를 감지 및 제어할 수 있는차량용 현가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따른 모드 선택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원으로부터의 전원을 액츄에이터 수단으로 인가하여 차량의 현가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선택에 따른 모드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현가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원에서의 소비 전류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소비 전류를 전압 값으로 변환하는 수단; 상기 검출된 전압 값과 기 설정된 임계 레벨 값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로의 전원 공급을 단속하기 위한 단속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수단; 및 상기 단속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 공급원에서 상기 액츄에이터 수단으로 인가되는 전원의 공급을 단속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현가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 제어 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2는 종래 차량용 현가 제어 장치의 블록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전원 공급 블록 104 : 전류 감지 블록
106 : 조작 스위치 108 : 제어 블록
110 : 릴레이 112 : 액츄에이터 구동 블록
114 : 액츄에이터 116 : 표시 블록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핵심 기술요지는, 액츄에이터의 구동을 위해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액츄에이터로 인가되는 전원의 소비 전류 변화량을 검출하고, 이 검출된 소비 전류 변화량에 의거하여 액츄에이터의 단락 또는 과부하에 기인하는 이상 제어 상태를 검출하며, 액츄에이터의 이상 제어 상태가 검출될 때 액츄에이터로의 전원 공급을차단한다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바를 쉽게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 제어 장치의 블록구성도로서, 전원 공급 블록(102), 전류 감지 블록(104), 조작 스위치(106), 제어 블록(108), 릴레이(110), 액츄에이터 구동 블록(112), 액츄에이터(114) 및 표시 블록(116)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원 공급 블록(102)은 제어 블록(108)과 릴레이(110)로 구동용 전원을 공급하고, 전류 감지 블록(104)은 전원 공급 블록(102)을 통해 외부로 공급되는 전류(소비 전류)의 변화량을 검출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시 생략된 전류/전압 변환 회로를 통해 소비 전류를 전압 값으로 변환한 후 제어 블록(108)으로 전달한다.
또한, 조작 스위치(106)는 사용자(또는 운전자)가 수동 조작을 통해 제어 모드(예를 들면 약(SOFT), 중(MEDUM) 및 강(HARD) 등)를 선택할 때 그에 상응하는 모드 선택신호를 발생하여 제어 블록(108)으로 전달한다.
다음에, 제어 블록(108)은, 예를 들면 현가 장치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으로, 조작 스위치(106)로부터 제공되는 모드 선택신호에 의거하여 액츄에이터 구동에 필요한 구동 제어신호를 발생한 후 액츄에이터 구동 블록(112)에 제공하고, 이에 응답하여 액츄에이터 구동 블록(112)이 릴레이(110)를 통해 전원 공급 블록(102)으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액츄에이터(114)로 공급하여 차량의 감쇄력을 조절함으로써, 차량의 승차감 및 주행 안정성 등을 확보한다. 여기에서, 액츄에이터(114)로는, 예를 들면 스테핑 모터 등이 사용된다.
또한, 제어 블록(108)은, 조작 스위치(106)로부터 모드 선택신호가 수신될 때, 그에 상응하는 표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표시 블록(116)으로 제공하고, 이에 따라 표시 블록(116)에서는, 사용자(또는 운전자)가 현재의 모드 상태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모드 지시 램프를 통해 현재의 차량 모드 상태를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제어 블록(108)은 전류 감지 블록(104)으로부터 제공되는 전압 값과 기 설정되어 저장된 임계 레벨 값을 비교하고, 이 비교 결과에 의거하여 릴레이(110)의 접점을 단속하기 위한 단속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릴레이(110)를 제어한다.
즉, 제어 블록(108)에서는, 검출된 전압 값이 기 설정된 임계 레벨 값 이하일 때 릴레이(110)가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단속하고, 검출된 전압 값이 기 설정된 임계 레벨 값 이상일 때 릴레이(110)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도록 단속하여 액츄에이터 구동 블록(112)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액츄에이터(114)가 단락되거나 혹은 여러 가지 외적 요인으로 인해 과부하가 걸릴 경우,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검출되는 소비 전류 값의 변화량을 의거하여 액츄에이터(114)로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기 때문에 과전류로 인해 전자 제어 장치의 부품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액츄에이터의 구동을 위해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액츄에이터로 인가되는 전원의 소비 전류 변화량을 검출하고, 이 검출된 소비 전류 변화량에 의거하여 액츄에이터의 단락 또는 과부하에 기인하는 이상 제어 상태를 검출하며, 액츄에이터의 이상 제어 상태가 검출될 때 릴레이를 단속하여 액츄에이터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과전류에 기인하는 전자 제어 장치내 전자 부품들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따른 모드 선택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원으로부터의 전원을 액츄에이터 수단으로 인가하여 차량의 현가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선택에 따른 모드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현가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원에서의 소비 전류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소비 전류를 전압 값으로 변환하는 수단;
    상기 검출된 전압 값과 기 설정된 임계 레벨 값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로의 전원 공급을 단속하기 위한 단속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수단; 및
    상기 단속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 공급원에서 상기 액츄에이터 수단으로 인가되는 전원의 공급을 단속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현가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단속 수단은, 릴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 제어 장치.
KR1020020003265A 2002-01-21 2002-01-21 차량용 현가 제어 장치 KR100726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265A KR100726613B1 (ko) 2002-01-21 2002-01-21 차량용 현가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265A KR100726613B1 (ko) 2002-01-21 2002-01-21 차량용 현가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2840A true KR20030062840A (ko) 2003-07-28
KR100726613B1 KR100726613B1 (ko) 2007-06-11

Family

ID=32291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3265A KR100726613B1 (ko) 2002-01-21 2002-01-21 차량용 현가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66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517B1 (ko) * 2016-09-12 2018-07-09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과전류 차단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0982A (en) * 1989-11-14 1992-06-09 Ford Motor Company Fault correcting circuit
US5070284A (en) * 1991-01-14 1991-12-03 Ford Motor Company Fail-safe variable damping suspension for a motor vehicle
JPH06270636A (ja) * 1993-03-19 1994-09-27 Toyota Motor Corp 減衰力可変式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ステップモータ制御装置
KR19980045776A (ko) * 1996-12-10 1998-09-15 박병재 자동차의 차체 하강장치
KR100362709B1 (ko) * 1997-04-16 2003-10-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전자제어현가장치의ecu고장시제어방법
KR20190000930U (ko) * 2017-10-12 2019-04-22 두리기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차덖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6613B1 (ko) 2007-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52351B1 (en) Electric brake and electric brake control apparatus
US5631796A (en) Electric vehicle control system
US9796408B2 (en) Electric steering device
KR20030062840A (ko) 차량용 현가 제어 장치
KR100731493B1 (ko) 차량용 현가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0233509B1 (ko) 먼지필터의 교환 경보장치 및 방법
JPH08242505A (ja) 電気自動車の予備制御装置
KR101134904B1 (ko) 차량 가속도 센서의 고장 검출방법
KR20190081099A (ko) 산업차량의 엔진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JP4776109B2 (ja) バッテリ上がり防止装置
KR100331951B1 (ko) 전기차량의 회생제동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120961A (ko) 리치식 전동 지게차의 전기조향 에러 제어장치
KR20140047821A (ko) Eps 시스템의 폴트 컨트롤러를 포함한 전동 지게차
KR102167612B1 (ko) 전기구동장치의 토크지령 제어 방법
JP2001245402A (ja) 電動車
US5742230A (en) Apparatus for triggering a warning device
KR100488795B1 (ko) 차량의 제동등 작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3334145B2 (ja) 負荷電源電圧監視装置
KR200160669Y1 (ko) 인버터를 갖춘 타이어어셈블리 마운팅장치
KR101177237B1 (ko) 자동차 브레이크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9980050217U (ko) 차량용 배터리의 저전압표시기능이 구비된 카오디오
KR0139045B1 (ko) 차량의 트랙션 콘트롤 시스템
KR20050064844A (ko) 지게차의 방향 지시등 자동 제어장치
JPH0739063A (ja) 過電流保護装置
KR20030031754A (ko) 자동차의 전원공급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