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0796A - 인터커넥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커넥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0796A
KR20030060796A KR10-2003-0000706A KR20030000706A KR20030060796A KR 20030060796 A KR20030060796 A KR 20030060796A KR 20030000706 A KR20030000706 A KR 20030000706A KR 20030060796 A KR20030060796 A KR 20030060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ly conductive
contact
cable
interposer
spr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0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피.드리스콜
스테판베테르
로버트엠.브레들리
리에이.울펠
로버트오.비들
Original Assignee
리튼 시스템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0/036,796 external-priority patent/US6843657B2/en
Application filed by 리튼 시스템즈, 인크. filed Critical 리튼 시스템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030060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079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47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with a fastener through a screw hole in the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64Press fi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82Coupling device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5Printed circuits including an angle between each other
    • H01R12/737Printed circuits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01R13/6586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for separating multiple connector modules
    • H01R13/6587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for separating multiple connector modules for mounting on PCB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38Back panels or connecting means therefor; Terminals; Coding means to avoid wrong insertion
    • H05K7/1452Mounting of connectors; Switching; Reinforcing of back panels
    • H05K7/1454Alignment mechanisms; Drawout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인터커넥션 시스템은 일렬로 서로 근접하게 정렬된 스페이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그 안에 배치된 케이블 부분을 가진다. 각각의 케이블 부분은 최소한 하나의 중앙 컨덕터와 외부 전도성 차폐를 가진다. 모든 케이블 부분들은 제1 평면에 노출된 단부와, 제2 평면에 노출된 두번째 단부를 가진다. 전기 전도성 접촉체는 인터포저 한쌍의 구멍 내에 배치되어서 하나의 단부는 케이블 부분과 전기적 접촉을 이루고, 또 다른 단부는 각각의 인터포저 내 구멍을 통해 확장된다.

Description

인터커넥션 시스템{INTERCONNECTION SYSTEM}
본 발명은 일반적인 전기 인터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동적, 단방향 전송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고속, 고밀도 인터커넥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백플랜(Backplane)시스템은 백플랜이나 마더보드(Motherboard)와 연관된 복잡한 인쇄회로기판과 백플랜에 연결된 도터카드(Daughtercard)들과 연관된 좀더 작은 여러개의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도터카드들은 송/수신기(Driver/Receiver)와 관련된 칩(Chip)을 가지고 있다. 송/수신기는 다른 도터카드상의 송/수신기로부터 신호를 주고 받는다. 신호경로는 첫번째 도터카드상의 송/수신기와 두번째 도터카드상의 송/수신기 사이에 형성된다. 신호 경로는 백플랜에 첫 번째 도터카드를 연결하는 전기 커넥터와 전송된 신호를 받는 송/수신기를 가지는 백플랜과 두 번째 도터카드를 포함한다. 현재 전송률 5-10 Gb/sec 혹은 더 큰 전송률로 신호를 전송하는 다양한 송/수신기가 이용되고 있다. 신호경로 (Signal path)에 있어서의 리미팅 팩터(Limiting factor) 즉, 데이타 전송률은 각각의 도터카드를 백플랜에 연결시키는 전기 커넥터 (Electrical connector)이다. 따라서 필요한 고속의 데이타 전송을 다루어야 하는 고속 전기 커넥터가 필요한 것이다.
더욱이, 상기 수신기는 송신기에 의해 보내진 원 신호의 5%만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신호세기의 감쇄가 신호의 누락이나,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digitaldata streams)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에러를 피하기 위해 신호 경로 사이의 혼신을 최소화 하는 것의 중요성을 증대시킨다. 고속, 고밀도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혼신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것이 더군다나 더욱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신호 경로 사이의 혼신을 감소시키는 고속의 신호를 조절할 수 있는 고속 전기 커넥터 기술이 필요하다.
다양한 형태의 전기 커넥터가 존재하는데, 그 중 하나의 형태는 컴플라이언트 핀(compliant pin)이거나 구멍을 통과하는 땜납(solder)이기도 한 구멍을 통과하는 홀(hole) 커넥터이다. 백플렌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커넥터를 가지는데 이 커넥터에는 연결을 위해 인쇄 회로 기판에 포함된 구멍을 통해 삽입되는 핀들이 있는 여러 접촉체가 포함되어 있다. 이 핀들은 컴플라이언트 핀(compliant pins)이거나, 적절한 땜납일 수도 있다. 상기 커넥터의 핀들을 받아들이기 위해 인쇄 회로 기판 상에서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구멍이 필요하다. 구멍이 커질수록 도금 결함이 생길 확률도 커지고, 커패시턴스(capactiance)가 커질수록 신호 속도는 감소되는데 이는 위 커넥터에 의해 조정된다. 예를 들어, 구멍을 통해 도금한 것은 정확히 도금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전기 커넥터로 삽입된 핀들이 개방(open)이나 단락(short)등을 유발할 수 있다. 구멍을 통한 도금은 핀과 구멍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전송률을 떨어뜨리는 커패시티브(capacitive) 영향을 야기한다. 더욱이, 신호 반사율은 증가시키고, 속도는 떨어뜨리는 다양한 기하학적 배열을 가지는 특정한 부분으로부터 많은 접촉 형태의 커넥터들이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기판상에서 패드에 접촉시키는 스프링에 의존하는 압축 장착 형태(compression mount-type)의커넥터를 이용하여 도금된 구멍의 직경을 줄이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압축 장착 형태의 전기 커넥터를 이용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이런 형태의 커넥터는 구멍을 통과하는 접촉 형태의 많은 결함들을 극복할 수 있지만, 압축 장착 커넥터를 인쇄 회로 기판에 고정시키기 위해선 부피가 크고 비싼 하드웨어가 필요하다. 본질적인 접촉은 잭 나사와 같은 부가적인 조임쇠를 사용하지 않고도 피씨 보드 표면과 압축 장착 접촉체 사이에서 유지될 필요가 있다.
더군다나, 전기 커넥터의 형태에 관계없이, 전기 커넥터는 최소한 250번에서 1000번 이상 붙었다 떨어졌다를 반복해야 한다. 만약에 접촉면이 마모되면 접촉저항이 증가하게 된다. 접촉면 마모는 점이나 선을 통한 금속간의 접촉으로 인해 야기된다. 또한, 어떤 압축 장착 형태의 커넥터는 탄력적인 회로에서 수지상결정(dendrite)의 접촉체를 사용하기도 한다. 수지상결정 접촉체를 사용함에 있어서의 어려움은, 이러한 접촉체가 마모되는 경향이 있고, 절반 다스(dozen) 정도의 결합 사이클에 대해서만 유용하며, 수지상 결정이 평평해지기 시작하고 접촉체의 여러 접점들이 없어짐으로 인해서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데에 있다. 그러므로, 접촉면 마모를 줄이거나 제거하기 위해 압축 장착 형태의 커넥터가 필요하다.
기존의 전기 커넥터의 또다른 문제점은 임피던스가 신호 경로에 대해 변하여 신호 속도를 잠정적으로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전기 커넥터에서는 임티던스가 특정값으로 제어되고 또한 그 특정값이 신호 경로에 대해 일정하게 유지될 필요가 있다.
요약하면, 전기 커넥터는 백플렌을 도터카드에 연결하는 것과 같이 전기적연결 회로 기판에 사용되는데 이는, 전기 노이즈를 생기게 하는 열악한 차폐, 임피던스의 변화, 손실 없이 여러번 연결,분리 될 수 없는 점 등의 여러 결함들을 가진다. 이러한 결함들은 커넥터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타 전송률에 제한을 가한다. 그러므로, 넓은 범위에서 앞서말한 문제접들을 극복하는 고밀도의 전기 커넥터가 필요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전송률이 5-10Gb/sec 혹은 그 이상이 되게 신호를 전송하는 전기 인터커넥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호 경로상에서 일정한 임피던스의 차동쌍(differential pair)을 가지고, 5-10Gb/sec 혹은 그 이상의 전송률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호 경로상에서 일정한 임피던스를 가지고, 5-10Gb/sec 혹은 그 이상의 데이터 전송률로 신호를 전송하는 동축(coaxial)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접하는 트윈액스 케이블의 신호 경로상 혹은 전기 커넥터 내의 인접하는 동축 케이블 사이에 존재하는 혼신(cross-talk)이 감소, 또는 제거되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도성이 있는 스프링 구조물을 이용함으로써 압축된 형태의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25mm 혹은 그 이하의 카드 슬롯(card slot) 내에서 인치마다 40개 혹은 그 이상의 트윈액스 커넥션을 제공하는 고밀도의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데에 방향을 두고 있다. 일반적인 전기 시스템 패키지(package)는 인접한 병렬의 도터카드의 중앙선에서부터 중앙선까지의 공간이 20mm 정도이다. 트윈액스 케이블은 두 개의 내부 컨덕팅(conducting) 와이어를 포함한 동축 케이블이다. 두 개의 내부 컨덕팅 와이어는 두 개의 물리적 채널을 제공한다.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은 "coaxial"로 불리는데 이는, 그것이 중심이 같은 다른 물리적 채널에 의해 둘러쌓인(절연층 후에) 시호를 전송하는 하나의 물리적 채널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두 개의 채널은 같은 축에서 동작한다. 외부 채널은 접지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 및 그 밖의 목적들은
두 단부를 가지고 일렬로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도록 정렬된 스페이서, 각 스페이서가 상기 스페이서에 배치된 케이블 부분이 다른 다수의 스페이서들과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정렬된 그루브(groove)를 최소한 하나 이상 포함하며;
다수의 케이블 부분들이 상기 다수의 스페이서의 그루브 내에 각각 배치되고, 각 케이블 부분이 제1, 제2 단부를 가지며, 최소한 하나의 중앙 컨덕터와 외부 전도성 차폐를 가지고, 상기 다수의 스페이서의 그루브들이, 상기 케이블 부분의 모든 제1 단부들 중 제1 평면에 그리고 상기 다수의 케이블 부분들의 제2 단부들 중 제2 평면에 노출되도록 정렬되고;
단부 조각들의 한쌍이 상기 다수의 스페이서 배열의 단부에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정렬되고;
제1, 제2 인터포저가 상기 제1, 제2 평면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정렬되고, 각 인터포저는 상기 다수의 케이블 부분의 중앙 컨덕터에 대한 구멍과 외부 전도성 차폐에 대한 최소한 하나이상의 구멍을 가지고;
각 전기 전도성 접촉체가 제1, 제2의 단부를 가지고 각각 상기 제1, 제2 인터포저의 구멍 안네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전기 전도성 접촉체의 제1 단부가 상기 다수의 케이블 부분과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상기 다수의 전기 전도성 접촉체의 제2 단부가 상기 인터포저 평면 넘어 대응하는 구멍을 통과해 확장되는 전기 전도성 접촉체를 가지는 인터커넥션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 및 그 밖의 목적들은
두개의 단부를 가지는 다수의 근접한 스페이서들을 적절히 배치하는 것 ;
각 스페이서가 상기 스페이서에 배치된 케이블 부분이 다른 다수의 스페이서들과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정렬된 그루브(groove)를 최소한 하나 이상 포함하도록 배열하는 것;
다수의 케이블 부분들이 상기 다수의 스페이서의 그루브 내에 각각 배치되고, 각 케이블 부분이 제1, 제2 단부를 가지며, 최소한 하나의 중앙 컨덕터와 외부 전도성 차폐를 가지도록 배치하고;
상기 다수의 스페이서의 그루브들이, 상기 케이블 부분의 모든 제1 단부들 중 제1 평면에 그리고 상기 다수의 케이블 부분들의 제2 단부들 중 제2 평면에 노출되도록 정렬되고;
단부 조각들의 한쌍이 상기 다수의 스페이서 배열의 단부에 근접하도록 배치되도록 하는 것과;
제1, 제2 인터포저가 상기 제1, 제2 평면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과, 각 인터포저는 상기 다수의 케이블 부분의 중앙 컨덕터에 대한 구멍과 외부 전도성 차폐에 대한 최소한 하나이상의 구멍을 가지고;
각 전기 전도성 접촉체가 상기 제1, 제2 인터포저의 구멍들 중 하나에 제1, 제2 단부를 가지도록 다수의 전기 전도성 접촉체를 배치하고;
상기 다수의 전기 전도성 접촉체의 제1 단부가 상기 다수의 케이블 부분중 하나와 전기적 접촉을 하고; 상기 다수의 전기 전도성 접촉체의 제2 단부가 상기 인터포저의 평면 넘어 각 인터포저의 구멍을 통해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인터커넥션 시스템을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 및 그 밖의 목적들은
서로 일렬로 근접하여 배열된 다수의 스페이서들과;
각 다수의 케이블 부분이 최소한 하나의 중앙 컨덕터와 외부 전도성 차폐를 가지고, 각 케이블 부분이 상기 스페이서중 최소한 하나 이상 내에 배치되며, 모든 상기 다수의 케이블 부분이 제 1평면위로 노출된 하나의 단부를 가지고, 제2 평면위로 노출된 제 2단부를 가지는 다수의 케이블 부분과;
인터포저 쌍은 각각 상기 다수의 스페이서 표면위에 배치되고 그안에 배치된 구멍을 가지는 한쌍의 인터포저와;
상기 인터포저 쌍의 구멍내에 각각 배치되어 하나의 단부는 상기 케이블 부분과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다른 단부는 그에 상응하는 인터포저의 구멍을 통과해 확장되는 전기 전도성 접촉체를 가지는 인터커넥션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 및 그 밖의 목적들은
서로 일렬로 근접하도록 다수의 스페이서들을 정렬하는 것과;
각 다수의 케이블 부분이 최소한 하나의 중앙 컨덕터와 외부 전도성 차폐를 가지고, 각 케이블 부분이 상기 스페이서중 최소한 하나 이상 내에 배치되며, 모든 상기 다수의 케이블 부분이 제 1평면위로 노출된 하나의 단부를 가지고, 제2 평면위로 노출된 제 2단부를 가지는 것과;
인터포저 쌍을 각각 상기 다수의 스페이서 표면위에 배치하고 그안에 배치된 구멍을 가지는 것과;
상기 인터포저 쌍의 구멍내에 각각 배치되어 하나의 단부는 상기 케이블 부분과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다른 단부는 그에 상응하는 인터포저의 구멍을 통과해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인터커넥션 시스템을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성 접촉체는 탑 햇(top hat)내에 위치하는 스프링 접촉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접촉체의 노출된 단부는 가각의 전기 전도성 접촉체의 제1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탑 햇의 폐쇄 단부는 상기 전기 전도성 접촉체의 제2 단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탑 햇은 그 축에 수직인 평면의 숄더부를 포함할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성 접촉체는 제1,제2 단부를 가지는 원-피스(one-piece) 반고형 스프링 접촉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접촉체의 제1 단부는 각각의 전기 전도성 접촉체의 제1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접촉체의 제2 단부는 상기 전기 전도성 접촉체의 제2 단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스프링 접촉체는 그 축에 수직인 평면의 숄더부를 포함하고, 각 케이블 부분은 두개의 중앙 컨덕터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각각의 인터포저는 상기 다수의 케이블 부분의 각 외부 전도성 차폐에 대한 두개의 구멍을 가지고, 최소한 하나의 중앙 컨덕터의 노출된 단부와 각 케이블 부분의 상기 제1, 제2단부의 외부 전도성 차폐는 한 평면위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그밖의 장점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쉽게 분명해질 것이며, 실시예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간단히 도시되고 설명되고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고, 몇몇의 세부적인 부분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 없이 다양한 모든 측면에서 수정이 가능하다. 또한 그 도면과 설명은 실례를 든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로 인하여 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로 도식되어 있는 요소들은 도면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1A는 모출원에 기재된 발명의 구현예에 있어서, 도터카드(daughtercard)와 백플랜(backplane)에 장착된 상태의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로서, 명확한 도식을 위하여 오버몰드(over-mold)는 생략된 채로 도식한다.
도 1B는 상기 도 1A와 동일한 도면으로서, 오버몰드가 묘사된 상태이다.
도 2는 모출원에 기재된 발명의 구현예에 있어서, 반고형의(semi-rigid) 트윈액스가 백패널 인터포저에만 연결된 상태의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로서, 명확한 도식을 위하여 오버몰드와 백패널은 생략한다.
도 3은 도 2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와 동일한 도면으로서, 보다 명확한 도식을 위하여 백패널 인터포저도 생략된다.
도 5는 도 4와 동일한 도면으로서, 보다 명확한 도식을 위하여 스프링 접촉을 일부 제거한 상태로 도식한다.
도 6은 도 5와 동일한 도면으로서, 보다 명확한 도식을 위하여 추가로 스프링 접촉을 제거한 상태로 도식한다.
도 7은 명확한 도식을 위하여 스프링 접촉의 도식 생략한 상태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터카드와 피씨 보드 패턴을 포함하는 백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지 적용된 상태의 백패널, 중간 패널(mid-panel) 및 도터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모출원에 기재된 발명의 원칙에 따라 제조된 전기 커넥터의 두번째 구현예의 분해도이다.
도 11은 케이블 하우징(cable housing) 인터포저의 확대 분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서 도식한 인터포저 케이블 하우징의 정측면의 확대도이다.
도 13A는 도터카드에 장착된 모출원의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로서, 도터카드 인터포저 슬라이드는 수축상태에 있으며, 백패널 인터포저 슬라이드는 팽창 상태에 있다.
도 13B는 마일라 시트(Mylar sheet)에 의해 구속된 상태의 스프링 접촉체 단면도로서, 인터포저 슬라이드가 팽창모드에 있을 때, 인터포저 슬라이드 안에서의 스프링 접촉체의 일단을 도식하고 있다.
도 13C는 도 13B와 유사한 단면도로서, 인터포저 슬라이드가 수축 위치에 있을 때, 인터포저 슬라이드 밖으로 연장된 스프링 접촉체의 일단을 도식하고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원칙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일 구현예의 분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원칙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부분 조립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원칙에 따른 커넥터의 부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원칙에 따른 전기 커넥터로서, 인터포저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를 도식한다.
도 18은 도 14에서 도식한 커넥터의 인터포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한 세트의 탑 햇(top hats)을 삽입한 도 18의 인터포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상기 탑햇에 각각 대응하도록 설치된 스프링 접촉체를 구비한 도 19의 인터포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한 쌍의 스프링 접촉체, 탑 햇과 함께 배열된 하나의 트윈액스(twinax) 케이블의 단부를 보여주는 도 20의 인터포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A는 도면의 명확한 도시를 위하여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한 도 21의 배치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도면과 동일한 것으로서, 모든 트윈액스 케이블이 각 해당 스프링 접촉과 탑햇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3은 케이스에 내장된 후의 도 22의 커넥터를 나타낸다.
도 24는 인터포저를 장착한 상기 도 23의 커넥터를 도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호연결 배열은 도터카드 인터페이스로부터 백플랜 인터페이스까지 일정한 임피던스를 가지는 구조물로 차폐된 유일한 쌍의 축을 제공한다.구조물은 65Ω의 싱글 앤드(single ended) 임피던스, 50Ω의 오드 모드 (odd mode) 임피던스, 100Ω의 차동(differential)임피던스의 일정한 임피던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점은, 유전의 두께와 상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전기 커넥터의 특정 임피던스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인데, 이에 따라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커넥터를 제공한다. 이것은 35Ω에서 150Ω 혹은 그 이상의 가항범위에서 다른 임피던스를 가지는 맞춤형 커넥터를 생산 가능하게 한다.
싱글 앤드(single ended) 인터커넥트 경로는 데이타를 전송하는데 하나의 컨덕터(conductor)를 사용한다. 차동 인터커넥트 경로는 같은 데이타를 전송하는데 있어 두개의 컨덕터를 사용한다. 싱글 앤드 인터커넥트 경로에 비해 차동 인터커넥트 경로가 가지는 장점은 전송속도의 증가와 잡음에 대한 면역, 전자장 간섭(EMI)의 감소에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트윈액스 디자인을 사용함에 있어, 묘사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 디자인은 구리 컨덕터를 이용하여 차동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한 가장 잘 알려진 실시예를 보여줄 것이다. 이는 싱글 앤드 디자인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싱글 앤드 디자인은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해 컨덕터를 이용한다. 이것은 동축 케이블과 비교하였을때 신호감쇄와 함께 아날로그(RF) 혹은 디지탈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한다.
먼저 도면과 관련하여, 첨부한 도 1A와 1B는 고속, 고밀도 인터커넥트 경로를 위한 인터커넥트 시스템을 묘사하고 있다. 도 1A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오버-몰드(over-mold)를 생략한 전기 커넥터를 보여준다. 상기 커넥터(18)는도터카드(20)로부터 백플랜(22)까지 연결되는 전기커넥터로 사용된다. 도 1B에 보여진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18)는 도터카드 인터포저(interposer)(30), 백패널 인터포저(32), 반강체 트윈액스(twinax)나 케이블을 감싸는(over molds) 오버-몰드(over-mold)(34)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오버-몰드(34)는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로부터 바람직하게 주입된 몰드이다. 전기 커넥터에는 80쌍 혹은 그 이상의 트윈액스 케이블이 사용되어 짐에도 불구하고, 쉬운 도면을 위해 도 1A 와 1B 에 묘사된 바와 같이 단 두개의 트윈액스 케이블 (40,42)만을 표시하였다. 이러한 실시예는 트윈액스 케이블을 원하는 모양대로 구부리는 경우에 이용된다. 단일 조각으로 주형된 좀더 단단한 구조물에 있어서도 이용된다. 케이블(40,42)에 있어서 중앙 컨덕터는 구리, 유전물질은 테플론(Teflon™), 외부 피복물은 몰(braid)로 구성된다. 가급적 중앙 컨덕터 사이의 차동임피던스 값은 약 100Ω이 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기준 양식을 사용함에 있어 임티던스 값은 중앙 컨덕터 사이의 거리와 유전 상수를 변화시킴에 따라 쉽게 조절이 된다. 도 1에서 오버몰드(Over-Mold)(34)는 명확성을 위해 생략되었다. 도 1A와 도 1B에 묘사된 바와 같이 스프링 접촉체 배열들(50,52,60,62)은 트윈액스 케이블을 차폐하고, 컨덕터 임피던스를 조절하기 위해 인터포저(30,32) 사이에 위치하고, 트윈액스 케이블(40,42) 의 단부에 의해 둘러쌓여져 있다.
스프링 접촉체와 그 이용은 "저손실의 전기 인터커넥트(LOW-LOSS ELECTRICAL INTERCONNECTS)"의 명칭으로 1991년 1월 29일 등록된 미국 특허번호 4,998,306, "(MICROSTRIP TO COAX VERTICAL LAUNCHER USING FUZZ BUTTON AND SOLDERLESSINTERCONNECTS)"의 명칭으로 1999년 3월 23일 등록된 미국 특허번호 5,886,590, "컴플라이언트 접촉체를 가지는 RF 커넥터("RF CONNECTOR HAVING A COMPLIANT CONTACT)"의 명칭으로 2000년 3월 21일 등록된 미국 특허번호 6,039,580, "버튼 커넥터를 만들기 위한 기계와 그 사용방법 (MACHINE FOR MANUFCTURING BUTTON CONNECTOR AND METHOD THEREOF)"의 명칭으로 1990년 5월 15일 등록된 미국 특허번호 4,924,918 그리고, "고밀도 접촉면의 전기 커넥터(HIGH-DENSITY CONTACT AREA ELECTRICAL CONNECTORS"의 명칭으로 1991년 4월 16일 등록된 미국 특허번호 5,007,843 에 설명되어 있다. 이 모든 특허들은 본 발명의 명세서 내에 인용되어진다. 서술된 본 발명이 스프링 접촉체를 묘사한 형태와 관련되어 서술되어졌다 하더라도, 그것들은 본 발명에서 이용되어질 수 있는 전도성 구성요소 혹은 접촉체, 전기 전도성 구성요소 혹은 스프링의 다른 타입의 설명적인 형태이다. 상기 전도성 구성요소는 높은 신뢰성과 다중 접촉점을 공급하고, 결합하게되는 표면에 다중 전기 접촉점을 공급하는 외형에 임의적으로 압축을 가한다.
상기 전도성 구성요소는 여러가지 적합한 형태를 취한다. 예를 들어 전도성 구성요소는 와치 밴드(watch band)혹은 포고 핀(POGO pin)을 포함하는데 즉 최소한 하나의 스프링-로드 핀(spring-loaded pin)이 압력을 받을 수 있다. 좀더 다른 전도성 구성요소는 압축되어 다수의 찌그러진 접힌 부분을 포함하는 풀무(bellows)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좀더 적합한 전도성 구성요소는 압축을 받은 그물눈 형태로 형성된 컨덕터를 포함한다. 또다른 전도성 구성요소는 벨빌 와셔(Belleville washers)나 전도성 부분의 일레스토머 로드(elastomer loaded)로 구성된 요소들을포함한다. 바람직한 전도성 구성요소는 좋거나 불리한 환경에서 낮고 안정된 RF 손실을 확보하기 위해 도금된다.
전도성 물질들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단일 소자로 구성되거나, 최소한 하나의 컴플라이언트 단부(compliant end)를 제공하는데 적합한 다른 형태의 소자 혹은 최소한 하나의 컴플라이언트 단부를 갖는 소자들 중의 하나의 경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소자로 구성된다.
우각 커넥터(18)가 묘사되어 있지만 이것은 병렬 회로 기판 사이의 직선모양과 같은 다른 형태로 이해되어질 수 있다. 또한, 다음의 설명들이 도터카드와 백패널에 관한 것이긴 하나 이는 간략함을 위한 설명이며 다음에 설명되는 상기 전기 커넥터는 모든 형태의 회로 기판, 고속 어플리케이션과 연결 가능함을 알아야 한다.
도 1A와 1B에 묘사된 바와 같으 상기 커넥터(18)는 연결 인터포저(30)와 백패널 인터포저(32)에 의해 조합되어진다. 도 1B에 묘사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18)는 다음과 같이 조합된다. 우선 트윈액스 케이블(40,42)이 형성된다. 모든 스프링 커넥터는 인터포저(30,32) 안으로 인스톨된다. 상기 조합은 전체 전기 커넥터(18)를 단단히 하는 오버몰드(34)를 형성하기 위해 끼워 넣어진다(insert molded). 상기 오버몰드(34)는 대게 PBT이다. 상기 전기 커넥터(18)는 나사, 리벳, 압축 포스트(posts)등과 같은 촉진기를 이용하여 도터카드(20)에 연결된다.
상기 스프링 접촉체(50,52,60,62)는 매우 작은 형태로 압축된 금도금된 단일 와이어로 만들어진다. 결과물은 스프링 역할을 가지는 와이어 뭉치인데, 이것은 고전류 DC에서부터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 주파수에 이르기까지 월등한 전기 신호 전도를 증명한다. 위와 같은 스프링 접촉체의 일반적인 크기는 직경 0.01 인치, 길이 0.060 인치이다. 접지 접촉 스프링 접촉체는 신호 전송 스프링 접촉체와 같은 직경과 길이를 가지지 않는다. 상기 스프링 접촉체(50,52,60,62)는 설명된 실시예에서 쓰여지는데, 각각은 금속 와이어 가닥으로 형성되고, 원하는 원통 형의 "버튼(button)"을 만들기 위해 각 가닥은 함께 메워진다. "버튼"은 20% 혹은 30%의 밀도를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도 1A 및 1B에 묘사된 바와 같이 각 전선 다발은 도터카드 인터포저(30)와 백패널 인터포저(32)의 개부에 딱 맞게 스프링 접촉체와 연결되어 있다. 각 전선 다발 스프링 접촉체(50,52,60,62)는 접촉 면적에 압력을 받을때 여러 점에서 전기 커넥터를 생성한다. 이러한 방식의 커넥터는 다른 형태의 커넥터에 비해 명확한 장점들을 가지며, 고 집적, 고신뢰도의 커넥션을 제공한다. 다른 형태의 커넥션과 달리 이러한 기계적인 커넥터 소자들은 커넥션의 성능(질)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조합된 가변적 요소들이 거의 없다. 유일하게 두드러진 가변적인 요소는 커넥터 소자들의 크기와 연결을 만드는데 이용되는 압축력 정도이며 이들은 스프링 접촉체가 위치한 곳의 부피를 조절함에 따라 정확히 제어된다. 또한, 고진동의 상황에서는 상기 스프링 접촉체는 전도성 에폭시(epoxy)를 이용하여 한 곳에 부착되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용된 스프링 접촉체는 니켈 전선(nickel wire)로 가공되거나, 헬륨(heryllium)과 구리(copper), 은(silver)과 구리, 인(phosphorous)과 청동(bronze)의 합금으로 만든 전선으로 가공되어진다. 상기 스프링 접촉체의 메워진 와이어에 대한 압축은 실질상 탄성이 있어서, 트윈액스 케이블의 압축력이 제거되면 스프링 접촉체는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온다. 와이어는 원통형으로 임의적으로 압축을 받는데, 이 와이어는 압력이 가해질때 탄성을 가지는 것과 관련있는 스프링 상수를 가진다. 이 점은 상기 전기 커넥터(18)가 필요한 만큼 여러번 연결 혹은 분리되는데에 유리하다. 위에 설명된 실시예에서, 메워진 와이어 커넥터 구성요소(50,52,60,62)는 상표 "FUZZ BUTTONTM"을 가지는 뉴저지(New Jersey), 피스카타웨이(Piscataway)의 테크니컬 와이어 프로덕츠,인크.(Technical Wire Products, Inc.)에 의해 만들어진 성분들로 구성된다.
도 2에 대하여, 상기 트윈액스 케이블(40,42)은 백패널 인터포저(32) 안으로 삽입된다. 도 2는 하나 대신 두개의 트윈액스 케이블(40,42)이 도시된 점에서 도 1과 다르다. 중앙 컨덕터(central conductors)(120, 122)가 각각으로부터 차폐되지 않았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윈액스 쌍을 각각으로부터 차폐하는 것은 중요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패널 인터포저(32)는 두개의 반대되는 U 형태의 개부(openings)(100, 102)를 가지고 있는데, 각각은 외부 U 형태의 주변벽(wall) (110, 112), 내부 U 형태의 주변벽(wall)(117, 118) 그리고 직선 형태의 벽 (114, 116) 을 가진다. 벽(walls)(114,11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마주보고 있다. U 형태의 개부에 끼워진 다수의 스프링 접촉체 (200, 202, 204, 20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절반의 U 형태를 취한다. 예를 들어, 절반의 U 형태를 취하고 있는 스프링 접촉체 (200, 202)는 함께 위치할때 U 형태를 이루어 트윈액스 케이블(40)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이는 스프링 접촉체를 대체하기 위해 다른 차폐 방법이 이용되어질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기 트윈액스 케이블(40)은 테플론시팅(Teflon™ Sheathing)(124)으로 둘러쌓여진 두개의 중앙 컨덕터(120, 122)를 가지고 있다. 바람직하게도, 신호 전송 스프링 접촉체(300-306)(도 3 참조)는 두개의 중앙 컨덕터(120,122)처럼 같은 외부 직경을 가진다. 테플론시팅(Teflon™ Sheathing)(124)은 전기적 전도성을 지닌 구리층 혹은 구리나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고형(rigid) 또는 반고형(semi-rigid)의 외부 케이스(128), 혹은 주석으로 채워진 끈 등으로 덮인다. 케이스(128)는 플레이팅 프로세스(plating process)를 이용함으로써 만들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형의(rigid) 외부 케이스(128)는 길이 E 만큼 벗겨져서, 테플론시팅(Teflon™ Sheathing)(124)을 드러낸다. 테플론시팅(Teflon™ Sheathing)(124)은 중앙 컨덕터로부터 길이 F만큼 벗겨진다. 이러한 벗겨냄은 트윈액스 케이블(40,42)의 양 단부에서 대칭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 접촉체(200,202,204,206)는 층(128)을 가진 전기 접촉체로서, 차폐를 이룬다.
도 2의 바닥을 도시한 도 3과 관련하여, 인터포저(32) 내에 장착된 것은 절반의 U 형태로 켭켭이 쌓여진 스프링 접촉체인데, 이는 인터포저(32)의 두께를 통과하며, 각각의 트윈액스 케이블(40,42)의 중앙 트윈액스 리드(leads)(120,122)를 둘러싸고 차폐한다. 또한 도시된 것은, 벽(walls)(114, 116) 사이에 위치한 다수의 수직으로 확장된 원통형의 스프링 접촉체(210,212,214)이다. 상기 스프링접촉체(210,214)는 인터포저(32)의 두께를 통과해 연장하여 트윈액스 케이블(40,42)를 각각으로부터 차폐하는데 이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포저(32)의 두께를 통과해 연장된 동축 케이블(40,42)부를 벗겨냄으로써 트윈액스 케이블(40,42)을 전체 360도 차폐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위액스 케이블(40,42)의 중앙 컨덕터의(120,122)의 연장부와 연결된 4개의 스프링 접촉체(300,302,304,306)가 있다.
도 4는 도면의 명확성을 위해 도터카드 인터포저(32)를 생략한 도 2, 도 3의 유사도이다. 도 4에서 명백히 보여진 바와 같이 절반의 U 형태를 지닌 4개 더미의 스프링접촉체(200,222,224,226,228;202,232,234,236,238그리고204,242,244,246,248,206,252,254,256,258)가 있다.(미도시됨) 이 4개의 더미들은 수직으로 연장된 스프링 접촉체와 함께 트윈액스 케이블(40,42) 주위를 360도 차폐하는 형태를 이룬다. 가장 위쪽과 가장 아래쪽의 스프링 접촉체가 이용될 것이다. 그러나, 스프링 접촉체의 최상부와 최하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스프링 컨텍츠가 아닌 다른 구조물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모양을 형성한 금속 구성요소가(미도시됨) 스프링 접촉체의 최상부와 최하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이용되어질 수 있다.
도 5는 중앙 컨덕터(122,120)와 접촉하고 있는 스프링 접촉체(306, 304)를 보여주기 위해 스프링 접촉체(200,222,224,226,228)을 생략한 것을 제외하고, 도 4와 유사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신호 전송부(120,122)의 연장부와 접촉하고있는 스프링 접촉체(300,302), (304,306)(미도시됨)가 보여진다. 이 스프링 접촉체는(300-306)신호 전송 스프링 접촉체이다. 신호 전송 스프링 접촉체가 일정한 임피던스를 유지하기 위해 트윈액스 중앙 컨덕터(120,122)와 실질적으로 같은 직경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중요하다. 예를 들어, 전도성 있는 직물이나 압력 스프링이 이용될 수 있다. 전도성 있는 직물(textile)은 스프링 접촉체를 대체하여 커넥터 안네 주입될 수 있다.
도 7은 전기 커넥터(18)의 저면 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701)는 직선벽(114)과 외부 U형태 벽의 바닥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중앙부(701)는 수직으로 연장된 스프링 접촉체(300,302)를 받는 구멍(700,702)를 포함한다. 벽(704)은 스프링 접촉체(206,252,254,256,258)을 받아들이는 첫번째 U 형태의 개부(710)와 스프링 접촉체 (204,242,244,246,248)를 받아들이는 두번째 U 형태의 개부(712)를 형성하기 위해 U 형태 영역의 중앙에 형성된다. 두 부분의 구조물과 중앙 지지 구조물이 있을 수 있으며 이들은 테플론(TeflonTM) 유전체의 분리된 부재가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금속 플레이트 플라스틱 성분도 사용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전기적 전도성이 없는 패턴(patterns)(402)는 도터카드위에 패턴(patterns)(404)는 백패널(22) 위에 있다. 상기 패턴(402)은 대충 8자 형태를 띄는 전기적 전도성이 있는 영역(410)을 가진다. 상기 패턴들은 포토리쏘그래픽(photolithographic) 기술을 이용하여 만들어 질 수 있다. 첫번째 비전도성 영역(412)와 두번째 비전도성 영역(414)은 서로 떨어져 위치하고, 상기 패턴(402)의 외부(420)면 안쪽에 위치한다. 첫번째 비전도성 영역(412)은 전도성 패드(pads)(440,442)를 포한하는 두 영역(430,432)을 가진다. 두번째 비전도성 영역(414)는 전도성 패드(pads)(444,446)를 포함하는 두 영역(434,436)을 가진다. 스프링 접촉체(300,302,304,306)가 각각 전도성 패드(pads)(440,442,444,446)와 접촉되는 바와 같이 개부들(430,432,434,436)은 인터포저(30)으로부터 연장된 트윈액스 케이블(40,42)의 중앙 컨덕터(120,122)를 받는다. 도 4로 돌아가 살펴보면, 스프링 접촉체(228,238,248,258)는 전기적 전도성을 띠는 영역(410)과 전기적으로 접촉할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스프링 접촉체는 접지면으로 차폐 경로(Shinding path)를 제공한다. 전기적 전도성 영역(410)은 도터카드와 백패널 위의 접지면과 연결된다. 개부(430,432,434,436)의 내부 표면은 전기적 전도성을 가지고 신호경로에 연결되어서, 인터포저(30)가 도터카드(20)와 백패널(22)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어질 때 스프링 접촉체(306,304,302,300)가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스프링 접촉체는 인터포저(32) 안에 장착된다. 유용하게도, 상기 스프링 접촉체(300,302,304,306)는 도터카드와 백패널이 결합하여 신호라인(signal line)과 케이블 위에 수직력(normal force)을 제공할때 압박을 받을 것이다. 스프링 접촉체(300,302,304,306, 228,238,248,258)는 도터카드 패턴(402)에 대해 수직력(normal force)를 유지하는 상기 보드(20)에 압박을 받을 것이다. 벡패널(22) 위의 상기 패턴(404)은 패턴(402)와 같으며, 여기에 자세히 기술될 필요가 없다. 상기 패턴(404)은 전기 전도부(458)와 첫번째 비전도성 영역(460), 두번째 비전도성 영역(462)을 포함한다. 유용하게도, 상기 전기커넥터(18)는 신호 접촉체(300,302)의 열화(degrading) 없이 여러번의 연결과 재연결이 가능하다.
이제 도터카드(710)에 연결된 백패널(700)을 도시한 도 9에 대해 살펴보자.
이러한 배열은 도 9에서 도시한 도터카드(610)에 연결된 미드플랜(mid-plane) 커넥터(600)와 같은 미드플랜(mid-plane) 커넥터에도 유용하다.
전기 커넥터(1000)를 묘사한 도 10을 살펴보자. 아웃셋(outset)에서 전기 컨덕터(1020,1022,1024)는 위에서 설명된 전기 컨덕터(40,42)처럼 같은 전기적 특성을 가진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컨덕터(1024)는 가장 짧은 경로를, 전기 컨덕터(1020)는 가장 긴 경로를 가진다. 예를 들어 도 11과 관련하여, 컨덕터(1020)는 아래로 연장된 직선부(1020'), 각이 있는 부분(1020''), 수평으로 연장된 직선부(1020''')를 가진다. 직선부(1020',1020'')는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컨덕터(1020) 단부를 케이블 하우징(housing) 인터포저(1030,1032)에 집어 넣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도 11-13C는 앞서 말한 배열의 좀더 자세한 추가분을 도시한다.
도 10과 관련하여, 전기 커넥터(1000)는 다음에 자세히 설명될 전기 커넥터(1000)의 반대편 단부에 장착된 반대 방향의 가이드 블럭(guide blocks)(1002,1004)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블럭(1002,1004)과 케이블 하우징(1006-1014)은 도시되고 함께 조합된 바와 같이 인디비졀 몰디드 부분(individual molded parts)으로 형성되거나 도 1B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오버 몰디드(over-molded) 조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이드 블럭(1002,1004) 사이에는 다수의 전기 커넥터 세트가 있다. 여기에 이용된 바와 같이 컨덕터는(1020,1022,1024) 하나의 컨덕터 수직쌍을 이룬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 개의 전기 컨덕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함에도 불구하고, 트윈액스 케이블 컨덕터의 수직,수평 배열을 형성하는 3개의 수직으로 쌓여진 전기 컨덕터에는 3개의 수평 세트가 있다. 예를 들어, 4쌍의 컨덕터 대신에 8쌍의 컨덕터가 자리잡아도 된다. 또한, 3개의 컨덕터 스택 대신 어플리케이션에 의존하는 2개, 4개 혹은 5개의 컨덕터 스택이 있을 수도 있다.
각각의 전기 커넥터(1020,1022,1024)는 케이블 하우징(1006,1008)에 의해 유지되고, 다른 전기 커넥터들은 그에 따른 케이블 하우징(1008-1014)에 의해 유지된다.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하우징(1006)은 수평방향의 핀들(1006',1006'',1006''')을 가이드 블럭(1002)의 이에 상응하는 구멍들(1002',1002'',1002''')에 결합시킴으로써 가이드 블럭(1002)과 딱 맞게 결합한다. 하우징들(1006,1008)은 각각에 맞는 리세스(1007,1009,1011,1013,1015,1017)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케이블 하우징은 보스(boss)와 홀(hole)을 포함하는데 예를 들어, 케이블 하우징(1008)에는 케이블 하우징(1006)과 결합하기 위한 보스(1023)와 홀(1025)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커넥터와 같은 다른 형태들이 배열될 수 있다 하더라도 상기 전기 커넥터(1000)는 오른쪽으로 구부러진(즉 90°) 전기 커넥터이다.
상기 전기 커넥터(1000)는 모든 구리선 컨덕터(1020,1022,1024)와 모든 결합된 케이블 하우징들(1006-1012), 가이드 블럭들(1002,1004)를 포함하는 중앙 트윈액스 혹은 동축부(1001)를 포함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어셈블리(assembly)(1001)에 정면 사각형 표면(1026)과 저면 사각형 표면(1028)이 결집해 있다. 상기 컨덕터(1020,1022,1024)의 반대 단부들은 각각 트윈액스 컨덕터 (1020,1024)의 외부 자켓(jacket)(128)을 드러내는 표면의(1026,1028) 뒤쪽으로 약간 연장되어 있다. 중앙 컨덕터(120,122)는 트윈액스 컨덕터(1020,1024)의 외부 자켓(128)과 유전체(124) 뒤쪽으로 약간 연장되어 있다.
직사각형의 인터포저(1030)는 정면부(1030')와 후면부(1030'')를 가진다. 상기 인터포저(1030)(즉, 표면(1030'))는 어셈블리(assembly)(1001)의 정면부(1026)와 결합한다. 두번째 직사각형 인터포저(1032)는 정면부(032')와 후면부(1032'')를 가지며,이(즉,표면 1032')는 어셈블리(1001)의 바닥면(1028)과 결합한다. 상기 구리선 컨덕터(120,122)는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인터포저(1030,1032)와 연관된다.
스프링 접촉체(1034,1036)는 각각 마일라 리테이너(Mylar retainers)(1038,1040)에 의해 유지된다. 상기 마일라 리테이너(1038,1040)은 탄성 있는 플라스틱을 포함한 적합한 물질로 만들어진다. 스프링 접촉체(1034,1036)는 전략적으로(strategically) 위치하고, 각각 인터포저 케이블 하우징(1030,1032)과 인터포저 슬라이드(1042,1044) 사이로 연장된다. 인터포저(1030)의 전면부(1030')는 전면부(1026)에 압입스터드(press fit studs)나 초음파 용접 혹은 에폭시로 단단하게 장착되어 있다. 반대된 핀(1009,1009')의 쌍은 표면(1026)과 가이드블럭(1002,1004)으부터 연장되어 각각, 표면(1030')으로부터 내부로 연장된 깊숙한 구멍(미도시됨)으로 끼워진다. 상기 핀들(1009,1009')은 인터포저(1030)를 케이블 하우징(1006-1014)과 함께 정렬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핀들(미도시됨)은 인터포저(1032)를 케이블 하우징(1006-1014)과 함께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게끔 가이드 블럭(1002,1004)의 표면(1026)으로부터 연장된다.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스프링 접촉체(1034,1036)는 접지 접촉 스프링 접촉체와 신호 전송 스프링 접촉체를 포함한다. 가이드 핀 한 쌍(1046,1048)은 전기 커넥터(1000)를 거기에 고정시키기 위해 백패널 위에 놓여진다. 가이드 핀들(1046,1048)은 각각 구멍(1050,1035,1048,1033)을 통과해 연장되고 레칭 메카니즘(latching mechanisms)과 함께 결합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가이드 소켓(socket) 몸체(1002)는 가이드 핀(1046)을 받기 위해, 가이드 블록(1002)로부터 연장된다. 가이드 블럭(1004)은 가이드 핀(1046)을 받기 위해 유사한 가이드 소켓 몸체(미도시됨)를 가진다. 상기 가이드 블럭(1002,1004)은 각각 끼워넣어진 삽입물(1027,1029)을 가지고 이는 제각기, 가이드 소켓 몸체(1003)의 오른각 방향과 인터포저(1030) 안에 함께 배열된 상응하는 구멍(1061,1063), 인터포저 슬라이드(1042) 안의 구멍(1080,1082)에 위치한다. 끼워넣어진 죄임쇠(fasteners)는 끼워넣어진 삽입물(1027,1029)안으로 넣기 위해, 전기 커넥터(1000)를 죄는 도터카드로부터 연장되어 진다.
도 11로 돌아와서, 다수의 날인된 구멍을 포함하는 마일러 시트(Myler sheet)(1038)를 더욱 명확하게 볼 수 있다. 날인된 구멍들은 인터포저슬라이더(1042,1044)와 인터포저(1030,1032) 내부의 구멍안에 스프링 접촉체를 자리잡게 하고 유지하기 위한 명확한 패턴을 가지고 있다. 신호 전송 스프링 접촉체에 이용되는 구멍은 오차가 적어야 되며, 스프링 접촉체를 안전하게 유지해야 하지만, 스프링 접촉체를 지나치게 압박하지 않아야 하며, 그로 인해 외부 직경이 크게 변하지 않아야 한다.
날인된 구멍들(1070,1072,1074,1076)은 인터포저(1030) 안의 유지 가지(retaining tines)(1090,1092,1094,1096)을 받기 위해 수직으로 정렬되어 있다. 위 구멍들(1404,1406)과 유지 가지(1090-1096)는 인터포저 슬라이드(1042)를 인터포저(1030)와 일직선이 되도록 유지시킨다. 유지 가지들(1090-1096)은 인터포저 슬라이드(1042)가 인터포저(1030)의 표면(1030'')내의 구멍(1095,1097)안에 장착된 스프링(1091,1093)에 의해 확장된 위치에까지 바이어스되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진다. 상기 유지 가지(1090-1096)는 표면(1092) 아래의 쑥 들어간 위치까지 흘러 들어갈 것이다. 상기 스프링 접촉체(1034)는 인터포저(1030)와 인터포저 슬라이드(1042)와 관련이 있는 마일라 시트(Mylar sheet)의 배열을 유지한다. 상기 인터포저(1030)는 안내 컨덕터(leads of conductor)(1020)을 받아들이기 위한 상위층의 구멍들(1110), 중앙 안내 컨덕터(1022)를 받아들이기 위한 중앙부의 구멍들(1112), 안내 컨덕터(1024)를 받아들이기 위한 저면부의 구멍들(1114)을 포함한다. 각각의 인터포저는 여러개의 접지 구멍들을 가지고 있는데, 예를 들어, 각 컨덕터들(1020,1022,1024)의 외부 전도층(128)과 접촉하기 위해 위치한 스프링 접촉체 안에 4개의 접지 구멍들이 있다. 예를 들어, 컨덕터(1020)와 관련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포저(1030)는 구멍들(1120,1122,1124,1126)을 가진다. 위 마일라 시트는 상응하는 구멍들(1130,1132,1134,1136)을 가진다. 각각의 인터포저(1030,1032)는 각 컨덕터들(1020,1022,1024)의 외부와 꼭 맞는 다수의 움푹한 모양을 포함한다.도 11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컨덕터는 직선 형태의 중앙 부분과 라운드된(rounded) 바깥쪽 부분을 가진다. 스프링 접촉체는 상기 컨덕터의 외부 자켓(128)과 연결되고, 인접한 트윈액스 케이블 간에 전기적 차폐와 접지 경로를 제공할 구멍들(1130,1132,1134,1136) 안에 위치한다. 상기 리세스(recess)(1150)는 직선 부분(1170,1172)에 의해 연결되어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진 벽(1160,1162)으로 구성된다. 직선 부분(1170,1172)은 수평으로 확장된 것 처럼 도시된다. 상기 리세스(1150)는 트윈액스 케이블의 외부 자켓(128)을 받기 위한 형태를 가진다.
크게 확대된 인터포저(1032)를 도시한 도 12로 돌아가자. 인터포저(1030,1032)는 반대 방향의 구멍을 제외하곤 같은데, 이 구멍들은 각각 인터포저(1032)를 통과해 가이드 블럭(1002,1004)안으로 들어가 확장된 가이드 핀(1046,1048)으로 이용된다.
이 구멍들(1048,1050)은 인터포저 슬라이드(1044)의 중앙라인 경도와 관련하여 상쇄되고, 구멍(1033,1035)와 함께 일렬로 배열된다. 반대로 인터포저(1030) 내의 상기 구멍들(1066,1068) 그 구멍들이 인터포저 슬라이 더(1048)내에 있듯 중앙라인 위에 위치한다.
각각의 중앙 컨덕터(120,122)는 그것과 관련된 여러개의 스프링 접촉체를 가진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컨덕터(120,122)와 함께 정렬된 두 개의 구멍(1260,1262)이 있다. 또한, 중앙 안내 컨덕터(120,122)와 접촉되고, 구멍(1260,1262)에 하나의 단부를 가지는 두 개의 중앙 스프링 접촉체(미도시됨)가 있다. 절연체(124)의 전면부는 리세스(recess)(1150) 내의 바닥에 닿을 수 있다. (can bottom out) 위 리세스(1150)에 관하여, 구멍(1280-1284)내에는 인스톨된(installed) 4개의 스프링 접촉체(1250, 1252, 1254,1256)가 있다. 구멍(1280-1284)은 눈에 보이지 않는 구멍들이며 이는 리세스(1150) 주위를 교차한다. 하나의 접지 접촉체, 가급적이면 스프링 접촉체(미도시됨)가 각각의 구멍(1250-1256)에 인스톨되고, 이 스프링 접촉체는 중앙 컨덕터의 전기 전도성 외부 자켓(128)과 함께 접지 접촉체처럼 사용된다. 4개의 접지 접촉체는 훌륭한 차폐를 제공한다. 첨가된 구멍들과 스프링 접촉체는 혼신(cross-talk) 감쇄를 강화하는 역할을 더한다.
구멍(1250)은 신호 전송 스프링 접촉체 사이의 중앙에 위치함을 알아야만 한다.
구멍(1254)은 구멍(1260)과 가까운 리세스(1150)의 중앙과 관련하여 상쇄된다. 이에 반해, 인접하는 리세스(1152)와 구멍(1270)은 반대 방향에 대해 상쇄된다. 훌륭한 전기적 차폐는 각각의 트윈액스 케이블에 대해 360°범위에 대해 규정하는 것 없이 이루어진 다. 훌륭한 전기적 차폐는 각각의 트윈액스 케이블의 360°범위에 대해 규정되는 바 없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인접하게 수직으로 배열된 리세스들은 스프링 접촉체에 대한 상쇄 구멍들을 가지고 있다. 구멍들을오프셋팅(offsetting)함으로서, 높은 비율의 원주들이 차폐된다.
도 13A, B, C 그리고 인터포저 슬라이드(1042)와 관련하여, 각각의 가지들(tine)(1090,1092,1094,1096)을 받아들이는 수직으로 배열된 4개의 구멍(1370,1372,1374,1376)들이 있음을 알아야 한다. 가급적이면, 상기 인터포저는 인터포저(1030)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스프링 로드(spring lodaded) 될 것이다. 이것은, 쉬핑(shipping) 하거나 어셈블리(assembly)하는 동안에 손상되거나, 제거되는 것으로부터 스프링 접촉체를 보호한다. 위의 설명은 가장 좌측 세트의 구멍들과 그 구멍 패턴이 반복될 경우에 한해서만 적용된다. 가장 위쪽의 컨덕터(1020)는 인터포저(1042) 내에 그에 상응하는 구멍들을 가진다.
접지 스프링 접촉체를 받기 위한 구멍(1330)은 마일라 쉬트 내의 구멍(1130)과 인터포저(1030) 내의 구멍(1120)과 함께 정렬된다.
구멍(1332)은 마일라 쉬트 내의 구멍(1132)과 인터포저 내의 구멍(1122)과 함께 정렬된다.
구멍(1334)은 마일라 쉬트 내의 구멍(1134)과 인터포저(1130) 내의 구멍(1124)와 함께 정렬된다.
구멍(1336)은 마일라 쉬트 내의 구멍(1136)과 인터포저(1130) 내의 구멍 (1126)과 함께 정렬된다.
유사하게, 구멍(1380)은 마일라 쉬트(1038) 내의 구멍(1080)과 인터포저(1030) 내의 구멍(1110)과 함께 정렬된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포저(1032)는 퍼즈 버튼(fuzz button)이 상기 표면(1042'') 아래쪽에 있거나 표면(1042'')위 최대 0.020 떨어져 있는 확장부에 도시되고 그럼으로 해서 전기 컨덕터(1000)가 움직이는 동안 보호된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포저(1032)의 표면(1032'')과 인터포저 슬라이드의 표면(1042) 사이에 틈이 있다. 스프링 접촉체는 인터포저(1030)와 표면(1042) 사이에 있으며, 도터카드(20)와 접촉하고 있다. 이와 대비하여, 인터포저(1032)와 인터포저 슬라이드(1044)는 백패널(22)과 접촉하고 있다.
가이드가 있는 상기 백패널 인쇄 회로 기판에는 다수의 전도성 패드(1390)가 있다. 위 패드는 두 개의 신호 전송 컨덕터(1392,1394)를 가지는데 이는 신호 전송 스프링 접촉체와 외부 접지 부분(1396)(도 14 참조)과 접촉하기 위함이다. 상기 패드(1390)는 도금된 구멍을 통과하지 않아도 된다. 위 패드(1390)는 표면에 장착되거나 보이지 않게 바이어스(vias) 되기도 한다. (The pads(1390) can be surface mount or can have blind vias.) 도금된(plated) 구멍을 통과하는 것을 피함으로서, 구멍들과 결합한 커패시티브의 영향은 줄이고, 속도는 증가시킬 수 있다.
중앙 컨덕터로부터 드러난 길이와, 신호 전송 스프링 접촉체의 길이에 대해 차폐하는 것은 인접한 트윈액스 케이블 사이의 혼신을 방지하는데 있어 중요하다.
앞서 언급한 커넥터는 접지면에 연결된 4개의 스프링 접촉체를 이용한 이러한 차폐를 통해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프링 접촉체는 360°보다 적은 범위의 차폐를 제공하지만, 시험결과 이러한 정도의 차폐는 데이터 전송률 10Gb/sec 혹은 그 이상의 전송률을 제공하는데 흡족할 만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더욱이, 마일라 쉬트(1038)는 원주를 둘러싼 스프링 접촉체를 외부 직경의두드러진 감쇄 없이 압축함으로써 신호 전송 접촉체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스프링 접촉체의 직경은 피씨 보드 안으로 압축될 때 크게 변하지 않는다. 또한 편리하게도 피씨 보드로부터 멀리 떨어진 방향의 스프링 접촉체에 의해 쓰이는 힘은 상대적으로 작아서, 간단한 레칭 메카니즘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모양을 바꿈으로써 컨덕팅 구성요소의 강도(剛度)와 수(number), 접촉 저항, 접촉력, 압축률이 특정 어플리케이션 과 만나기 위해 넓은 범위에서 선택되어질 수 있다. 접촉면(1390)에 대한 스프링 접촉체(1039,1036)의 전체에 걸친 누적된 접촉력은 탄성있는 구조물과 스프링의 압축률로 인해 낮다.
모출원의 인터커넥션 시스템이 기존의 기술에 비해 가지는 많은 장점들에 대해 기술하는 동안 그 시스템의 실질적인 적용에 있어 많은 결점들이 발견되었다. 즉, 그와 같은 인터커넥션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선 많은 수의 정밀한 구성요소가 필요하며, 그에 따라 생산 비용은 증가하고, 생산량은 줄어들게 된다. 더욱이, 보호되지 않는(unprotected) 스프링 접촉체를 가지고 그와 같은 인터커넥션 시스템을 어셈블링 하는 것은, 스프링 접촉체의 부서지기 쉬운 성징을 고려할 때 매우 어려우므로, 이 또한 생산 비용의 증가와 생산량의 감소를 야기한다.
위의 사항을 고려하여, 그러한 결점들을 제거하기 위해 위에서 설명한 인터커넥션 시스템에 대한 자세한 연구에 착수하였다. 상기 출원인은 위 스프링 접촉체와 관련하여 "탑 햇"(top hats)을 사용하였는데 그 결과는 인터커넥션 시스템이 이전의 인터커넥션 시스템에 비해 간략해질 수 있고, 실질적으로 필요한 구성요소의 수를 감소할 수 있음에 따라, 생산 비용의 절감과 생산량의 증가를 낳을 수 있다는사실을 증명하였다. 더욱이, 스프링 접촉체와 관련하여 탑 햇을 이용한 개선된 인터커넥션 시스템의 어셈블링은 그 자체를 간단히 하여 역시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량을 늘일 수 있게 된다.
탑 햇은 PCB 위의 패드와 스프링 접촉체를 접촉시키는 단단한 금속 실린더(Cylinder)이다. 실린더의 단부(one end)에는 실린더 축에 직각인 플랜에서 뻗어나온 숄더가 있다. 그러한 탑 햇은 스프링 접촉체 안에 들어갈 수 있는 크기로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탑 햇은 뉴저지(New Jersey), 피스카타웨이(Piscataway)에 위치한 테크니컬 와이어 프로덕츠, 인크.(Technical Wire Products, Inc.)에서 만들어지는데 이 회사는 그들의 퍼즈 버튼(Fuzz ButtonsTM)을 이용한다. 탑 햇 실린더의 폐쇄 단부는 결합 접촉과 함께 좋은 전기 접촉체를 만들기 쉽게 하기 위해 평평하거나, 반구상이거나, 원뿔형 혹은 톱니모양을 포함하거나 점과 같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이다. 다음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단지 설명에의 목적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4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실시예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14의 커넥터(2000)와 도 10의 커넥터(1000)을 비교해보면 곧, 도 14의 커넥터(2000)가 확연히 적은 수의 구성요소들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의 감쇄는 커넥터의 어셈블리(assembly)를 간단히 하는 방면 생산 비용을 줄인다.
도 14와 관련하여, 구성요소(2001)는 도 10의 구성요소(1001)와 하나만을 제외하곤 근본적으로 일치한다. 즉, 트윈액스 케이블 부분(2020,2022,2024)에는 각각의 외부 컨덕터로서 중앙 컨덕터가 같은 플랜 안에 있다. 그것에 대해, 그들 각각의 외부 컨덕터의 플랜의 범위를 넘어서 중앙 컨덕처를 연장할 필요가 없음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도 10의 트윈액스 케이블 부분(1020,1022,1024)의 노출된 중앙 컨덕터가 굽어지거나 흠이 나는 등의 취약성이 있던 부분을 강화하는 반면, 트윈액스 케이블 부분(2020,2022,2024)의 공정 과정을 간단히 하고 비용을 절감시킨다.
도 14로 돌아가 살펴보면, 구성요소(2036,2034)는 단지, 도 10에서의 스프링 접촉체(1036,1034)가 아니라 오히려, 스프링 접촉체와 그와 일치하는 탑 햇을 구성한다. 자세한 사항은 후술될 것이다. 인터포저(2042,2044)들은 인터포저(2044)의 경우에 가이드 핀(2048,2046)을 이용하여 각각의 인터포저들을 자리잡게 하는 가이드 구멍(apertures)(2048,2050,2080)을 포함한다. 인터포저(2042)에 대한 가이드 핀은 도시되지 않았다. 뒤에 설명되겠지만, 구성요소들(2036,2034)은 원 피스(one-piece) 반고형 스프링 접촉체로 구성되어 있다.
도 15는 부분적으로 어셈블된 커넥터의 도면이다. 종단부(end pieces)(2100)는 스페이서(spacer)(2110)의 끝 부분에 위치한다. 도 15에 묘사된 커넥터에는 스페이서(2110)가 도 14에서보다 훨씬 많은 수의 트윈액스 케이블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스페이서(2110)가 동일하기 때문에 같은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커넥터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또한 다양한 사이즈의 커넥터의 어셈블리를 간단히 하는 방면 제조 및 생산 비용을 줄인다. 더욱이, 각각의 스페이서에 상세한 수의 트윈액스 케이블의 부분이 나타나 있지만, 본 발명이 거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양한 사이즈의 커넥터는 작은 수의 별개의(different) 동일한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쉽게 제작될 수 있다. 여러개의 가이드 구멍(2150)이 각 종단부(2100)에 보인다. 뒤에 기술되는 것과 같이, 세 개의 구멍(2150) 중 두 개 만이 커넥터 구조물 안에서 이용된다.
도 16은 스페이서(2110)와 그와 일치하는 트윈액스 케이블 부분의 다른 도면이다. 이 도면에 명확히 묘사되진 않았으나, 스페이서(2110)는 적은 핀과 그와 결합하는 구멍들을 가짐에 따라 함께 정렬되고 닫히는 것이 가능토록 한다. 다른 배열과 조임 기술 또한 사용되어질 수 있다.
도 18은 도 14에서의 커넥터의 하나의 인터포저(2300)의 일부분에 대한 도면이다. 인터포저(2300)는 도 11에서 묘사된 일치하는 가이드(2210)와 결합하는 한쌍의 구멍(2305)을 포함한다. 상기 인터포저(2300)는 4개의 구멍이 위치하여 이것이 도 17에 묘사된 커넥터의 구멍(2220)에 대응된다. 이것은 한쌍의 인터포저(2300)가 나사나 핀을 이용하여 도 17에 도시된 커넥터에 부착되도록 하는데, 예를 들면, 인터포저(2300)의 구멍을 통과해 도 17에 묘사된 커넥터의 구멍(2220)으로 삽입되는 형식이다.
각각의 트윈액스 케이블 부분에 대한 구멍들(2310,2320,2330,2340)의 패턴이 도 18에 묘사되어 있다. 구멍(2310)과 구멍(2330)이 스프링 접촉체를 거기에 포함한 제각각의 탑 햇을 포함하여 이것이 각각의 트윈액스 케이블 부분의 차폐 컨덕터에 연결되는 한편, 구멍(2320)과 구멍(2340)은 스프링 접촉체를 포함한 제각각의 탑 햇을 포함하여, 그것이 각각의 트윈액스 케이블 부분의 중앙 컨덕터에 연결될 것이다. 스프링 접촉체를 포함하고 각각의 트윈액스 케이블 부분의 차폐 컨덕터에 연결될 탑 햇의 숫자는 본 실시예에서처럼 두 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9와 관련하여 네개의 탑 햇(2410,2420,2430,2440)(세개가 도시됨)은 각각 인터포저(2300) 내의 구멍들(2310,2320,2330,2340)에 끼워 넣어졌다. 유사한 형식의 탑 햇은 인터포저(2300) 내의 남아있는 각각의 구멍에 삽입될 것이다. 후술된 바와 같이 구멍들은 상기 인터포저(2300)와 관련된 수직 움직임에 대해 충분히 크게 만들어진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접촉체(2510,2520,2530,2540)는 각각에 대응하는 탑 햇(2410,2420,2430,2440)에 제각각 삽입된다. 이러한 스프링 접촉체는 탑 햇에 의해 유지될 만큼 충분히 탄성이 있으나, 여전히 탑 햇에 관하여 움직일 수 있다. 스프링 접촉체(2510,2520,2530,2540)의 상당한 부분이 인터포저(2300) 내 그들 각각의 중심부(core) 안에 배치되므로, 도 10의 커넥터의 밖으로 돌출된 스프링 접촉체(1034,1036)에 비해 손상될 겨우가 적다
도 21은 대응하는 탑 햇(2410,2420,2430,2440)과 스프링 접촉체(2510,2520,2530,2540)이 함께 배열된 단일 트윈액스 케이블 부분(2600)을 도시한다. 보여지는 바와 같이, 스프링 접촉체(2530,2510)가 단일 트윈액스 케이블 부분(2600)의 외부 차폐 컨덕터에 연결되는 한편, 스프링 접촉체(2520,2540)는 단일 트읜액스 케이블 부분(2600)의 내부 컨덕터에 연결된다.
도 21A는 단일 트윈액스 케이블 부분(2600)과 그에 대응하는 스프링 접촉체(2520,2530,2540) 그리고 그에 대응하는 탑 햇(2420,2430,2440)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21A에서 탑 햇(2420,2430,2440)이 뾰족한 단부를 가지고 있는 것이 보여진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반구상, 원뿔형의 단부는 탑햇에 대해 충분한 전기 접촉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제조 비용이 절감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도 22는 인쇄 회로 기판(2600) 다음에 배열되고, 제자리에 위치한 각각의 트윈액스 케이블 부분과 스프링 접촉체 그리고 탑 햇과 함께 인터포저(2300)를 도시한다. 도 23은 오버-몰딩 혹은 캡슐에 쌓인 형태의 도 22의 배열을 보여주나 인터포저는 나타나 있지 않다. 반면, 도 24는 제자리의 인터포저(2300), 인쇄 회로 기판(2600)에 부착된 커넥터와 함께 도 23의 배열을 도시한다.
다음은 도 14-24까지를 참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처음에, 도 15의 스페이서(2110)와 같은 스페이서들과 도 14의 트윈액스 케이블 부분(2020,2022,2024)와 같은 부분들은 적합한 크기의 커넥터부가 어셈블 되기 전까진 함께 묶여 있었다. 스페이서들(2110)이 동일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만약 그것들이 7 개의 다른 크기의 트윈액스 케이블 부분을 받아들이기 위해 디자인 된다면 오직 트윈액스 케이블과 같은 7개의 다른 사이즈만 제조하면 어떤 적합한 사이즈의 커넥터든 어셈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럼으로 해서, 다양한 사이즈의 커넥터를 어셈블하는데 필요한 다른 구성요소들의 수를 최소화 하여 생산 정도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단부(2100)는 그 후 각각의 스페이서 어셈블리에 장착되고, 그 결과로 생기는 어셈블리는 일반적으로 오버-몰딩하거나 적합한 캡슐(encapsulant)로 캡슐에 쌓여져 함께 합쳐진다. 다른 방법으로 나사,핀,리벳이나접착 테이프 등이 종단부와 스페이서 어셈블리를 묶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어셈블리 이후 결과로 생기는 구조물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난다.
다음의 어셈블리 과정은 도 18에 도시된 인터포저(2300)와 같은 두개의 인터포저를 취하고, 도 19에 도시된 인터포저(2300)와 탑 햇(2410,2420,2430,2440) 같은 두개의 인터포저 안의 적합한 구멍안에 적합한 크기의 탑 햇을 끼워넣는 것이다. 그런 다음, 도 20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각각의 인터포저 안의 각 탑 햇 안에 스프링 접촉체를 배치한다. 탑 햇의 숄더가 인터포저 안의 구멍보다 크고, 스프링 접촉체의 탄성이 그것들이 캅 햇으로부터 떨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도 20에 도시된 결과로 생긴 구조물은 비교적 안정적이며, 특히 상기 인터포저가 수평상태를 유지한다면 구성요소들의 손실에 대한 염려 없이 이동되어질 수 있다. 탑 햇이 각각의 구멍에 삽입되어지기 전에 앞서 스프링 접촉체가 각각의 탑 햇 안에 삽입될 것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과로 생긴 하나의 인터포저 구조물은 그 후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물의 각 단부에 가이드(2210)와 그에 대응하는 구멍(2305)을 이용하여 정렬의 목적으로 결합한다. 스프링 접촉체의 탄성은 각각의 트윈액스 케이블 부분의 내부 컨덕터와 외부 차폐를 가지는 좋은 전기 접촉체를 만드는 것을 쉽게 한다.
더욱이, 스프링 접촉체의 탄성은 탑 햇이 각각의 인터포저의 구멍 뒤 바깥쪽으로 확장하는 것을 쉽게 하고, 함께 결합할 인쇄회로기판과 좋은 전기 접촉체를 만들 수 있게 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포저는 그 후 나사, 리벳, 핀 혹은 접착 테이프 등의 적당한 고정시키는 도구를 이용하여 구조물에 부착된다. 그런 다음, 그 결과로 생긴 구조물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을 목적으로 가이드 핀과 구멍들(2150)을 이용해 결합하는 인쇄 회로 그핀에 부착된다. 가이드 핀들은 그 자신이 레칭의 목적으로 이용되거나 다른 적합한 커넥터 레칭 도구로 사용되거나 그것과 결합하는 인쇄 회로 기판에 부착하기 위해 사용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스프링 접촉체의 탄성은 인쇄 회로 기판 상의 그와 결합하는 접촉체 점쪽으로 각각의 탑 햇이 향하도록 하는 것을 도와주는데, 이는 그들 사이에 좋은 전기 커넥션을 만드는 것을 쉽게 한다.
더욱이,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완성된 커넥터 어셈블리는 탑 햇의 적은 부분만을 제외하곤 밖으로 드러난 스프링 접촉체가 없기 때문에 상기 완성된 커넥터 어셈블리는 상대적으로 울퉁불퉁하고 손상 없이 핸들링(handling)에 견딜 수 있다.
이러한 인터커넥션 시스템이 백플랜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서 가지는 장점에 대해 이미 기술된 반면, 그들 사이에 고밀도의 전기 인터커넥션을 필요로 하는 인쇄 회로 기판에서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이 인터커넥션 시스템이 또한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더욱이, 탑 햇 사이에 배열된 것과 같은 스프링 접촉체가 실시예에 보여지는 한편, 본 발명은 제자리에 있는 스프링 접촉체/탑 햇 배열의 원-피스 반고형의 스프링 접촉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는 "원-피스 반고형의 전기 접촉체"의 명칭을 가지고 여기에 공동으로 출원하고 공동 양수인을 가지는 미국 특허 출원에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위에서 설명한 모든 목적들을 만족시킴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업자라면 앞의 명세서 내용을 읽은 후에는 여기서 넓게 밝히고 있는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 및 그에 상당하는 대체물, 그리고 다른 다양한 측면들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에 관해 인정되는 보호는 첨부한 청구범위 및 그 상당한 것들에 내포되고 있는 정의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바이다.

Claims (30)

  1. 다수의 스페이서가 두 단부를 가지고 일렬로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도록 정렬되며, 각 스페이서가 상기 스페이서에 배치된 케이블 부분이 다른 다수의 스페이서들과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정렬된 그루브를 최소한 하나 이상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스페이서들의 그루브들 내에 각각 배치되고, 각 케이블 부분이 제1과 제2단부를 가지고, 최소한 하나의 중앙 컨덕터와 외부 전도성 차폐를 가지며, 상기 다수의 케이블 부분의 모든 제1단부들 중 제1평면위로 드러나도록 배열되고, 상기 다수의 케이블 부분의 모든 제2단부들 중 제2평면위로 드러나도록 배열된 스페이서들의 그루브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케이블 부분들과;
    상기 스페이서들의 단부에 근접하게 배치되도록 각각 정렬된 단부의 조각들의 쌍과;
    상기 제1, 제2 평면에 근접하도록 각각 정렬되고, 상기 다수의 케이블 부분의 중앙 컨덕터를 위한 구멍을 가지고, 상기 다수의 케이블 부분의 외부 전도성 차폐를 위해 최소한 하나의 구멍을 가지는 제1과 제2 인터포저와;
    각 전기 전도성 접촉체가 제1과 제2 단부를 가지고, 상기 제1과 제2 인터포저의 구멍들 중 하나에 적절히 배치되도록 정렬되고, 상기 다수의 전기 전도성 접촉체의 제1 단부가 다수의 케이블 부분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하고, 상기 다수의 전기 전도성 접 촉체의 제2 단부가 상기 인터포저의 평면 넘어 각 인터포저의 구멍을 통해 확장되는 다수의 전기 전도성 접촉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커넥션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전기 전도성 접촉체가 탑 햇 내에 배치된 스프링 접촉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접촉체의 노출된 단부가 상기 각 전기 전도성 접촉체의 제1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탑 햇의 폐쇄 단부가 상기 전기 전도성 접촉체의 제2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커넥션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각각의 탑 햇이 그 축에 수직이 되는 평면의 숄더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커넥션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각 전기 전도성 접촉체가 제1과 제2 단부를 가지는 원-피스 반고형 스프링 접촉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접촉체의 제1 단부가 상기 각 전기 전도성 접촉체의 제1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접촉체의 제2 단부가 상기 전기 전도성 접촉체의 제2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커넥션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각각의 스프링 접촉체가 그 축에 수직이 되는 평면의 숄더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커넥션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케이블 부분이 두개의 중앙 컨덕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커넥션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인터포저가 상기 케이블 부분의 외부 전도성 접지 차폐를 위한 두개의 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커넥션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 이상의 중앙 컨덕터와, 상기 케이블 부분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의 외부 전도성 접지 차폐에 대한 노출된 단부가 하나의 평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커넥션 시스템.
  9. 두 단부를 가지고 일렬로 서로 근접하게 다수의 스페이서들을 배치하는 것과;
    각각의 스페이서가 상기 스페이서에 배치된 케이블 부분이 다른 다수의 스페이서들과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그루브를 최소한 하나 이상 포함하도록 정렬하는 것 과; 상기 다수의 스페이서의 그루브 내에 다수의 케이블 부분을 배치하고, 각 케이블 부분이 제1과 제2 단부를 가지고 최소한 하나 이상의 중앙 컨덕터와 외부 전도성 쉴드를 가지도록 하는 것과;
    상기 다수의 스페이서의 그루브들을 상기 다수의 케이블 부분의 제1 단부들 중 제1 평면위로, 또 상기 다수의 케이블 부분의 제2 단부들 중 제2 평면위로 정렬시키는 것과;
    상기 다수의 스페이서 배열의 단부에 근접하게 각 단부의 조각들의 쌍을 배치시키는 것과;
    각 제1과 제2 인터포저를 상기 제1과 제1 평면에 근접하게 배치시키고, 각각의 인터포저가 상기 케이블 부분의 중앙 컨덕터를 위한 구멍, 상기 다수의 케이블 부분의 외부 전도성 차폐를 위해 최소한 하나이상의 구멍을 가지도록 하는 것과;
    각 전기 전도성 접촉체가 상기 제1,제2 인터포저의 구멍중 하나 안에 제1,제2 단부를 가지는 다수의 전기 전도성 접촉체를 배치시키는 것과;
    상기 다수의 전기 전도성 접촉체의 제1 단부가 케이블 부분들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만들고, 상기 다수의 전기 전도성 접촉체의 제2 단부가 상기 인터포저의 평면 넘어 각 인터포저의 구멍을 통해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커넥션 시스템의 제조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전기 전도성 접촉체가 탑 햇 내에 배치된 스프링 접촉체를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접촉체의 노출된 단부가 상기 각 전기 전도성 접촉체의 제1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탑 햇의 폐쇄 단부가 상기 전기 전도성 접촉체의 제2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각각의 탑 햇을 그 축에 수직이 되는 평면의 숄더 부와 함께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각 전기 전도성 접촉체가 제1과 제2 단부를 가지는 원-피스 반고형 스프링 접촉체를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접촉체의 제1 단부가 상기 각 전기 전도성 접촉체의 제1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접촉체의 제2 단부가 상기 전기 전도성 접촉체의 제2 단부를 포함하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각각의 스프링 접촉체를 그 축에 수직이 되는 평면의 숄더 부와 함께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각각의 케이블 부분을 두개의 중앙 컨덕터와 함께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각각의 인터포저가 상기 케이블 부분의 외부 전도성 접지 차폐를 위한 두개의 구멍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6. 다수의 스페이서가 서로 일렬로 근접하여 정렬되는 것과;
    다수의 케이블 부분이 최소한 하나의 중앙 컨덕터와 외부 전도성 차폐를 가지고, 각 케이블 부분이 상기 다수의 스페이서들 중 최소한 하나 이상 내에 배치되고, 모든 다수의 케이블 부분이 제1 평면 위로 노출된 하나의 단부와 제2 평면위로 노출된 두번째 단부를 가지는 다수의 케이블 부분과;
    인터포저 쌍은 그안에 배치되는 구멍들을 가지고, 상기 인터포저의 쌍이 상기 스페이서의 표면에 배치되는 인터포저의 쌍과;
    상기 인터포저 쌍의 구멍 내에 배치되어서, 하나의 단부는 상기 케이블 부분과 전기적 접촉을 이루고, 다른 단부는 인터포저 내 각각의 구멍을 통해 확장되는 전기 전도성 접촉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커넥션 시스템
  17. 제 16항에 있어서, 각 전기 전도성 접촉체가 탑 햇 내에 배치되는 스프링 접촉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접촉체의 노출된 단부가 상기 전기 전도성 접촉체의 제1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탑 햇의 폐쇄 단부가 상기 전기 전도성 접촉체의 제2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커넥션 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각각의 탑 햇이 그 축에 수직이 되는 평면의 숄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커넥션 시스템.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전기 전도성 접촉체가 제1,제2 단부를 가지는 원-피스 반고형의 스프링 접촉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접촉체의 제1 단부가 상기 전기 전도성 접촉체의 제1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접촉체의 제 2 단부가 상기 전기 전도성 접촉체의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커넥션 시스템.
  20. 제 19항에 있어서, 각각의 스프링 접촉체가 그 축에 수직이 되는 평면에 숄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커넥션 시스템.
  21. 제 16항에 있어서, 각각의 케이블 부분이 두개의 중앙 컨덕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커넥션 시스템.
  22. 제 16항에 있어서, 각각의 인터포저가 상기 다수의 케이블 부분의 외부 전도성 차폐에 대해 두개의 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커넥션 시스템.
  23. 제 16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중앙 컨덕터에서 노출된 각 단부와 각 케이블 부분의 상기 제2 단부의 제1단부의 외부 전도성 차폐가 한 평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커넥션 시스템.
  24. 다수의 스페이서를 서로 일렬로 근접하게 정렬하는 것과;
    다수의 케이블 부분중 각 한 부분을 상기 다수의 스페이서 중 최소한 하나 이상 내에 배치하고, 각 상기 다수의 케이블 부분이 최소한 하나의 중앙 컨덕터와 외부 전도성 차폐를 가지고, 모든 상기 케이블 부분이 제1 평면위로 노출된 하나의 단부와 제2 평면위로 노출된 두번째 단부를 가지도록 하는 것과;
    인터포저의 쌍을 상기 스페이서의 표면에 각각 배치하고, 상기 인터포저 쌍이 그안에 배치되는 구멍들을 가지게 하는 것과;
    상기 인터포저 쌍의 구멍 내에 배치되어서, 하나의 단부는 상기 케이블 부분과 전기적 접촉을 이루고, 다른 단부는 인터포저 내 각각의 구멍을 통해 확장되는 전기 전도성 접촉체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커넥션 시스템의 제조 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각 전기 전도성 접촉체가 탑 햇 내에 스프링 접촉체를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접촉체의 노출된 단부가 상기 각 전기 전도성 접촉체의 제1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탑 햇의 폐쇄 단부가 상기 전기 전도성 접촉체의 제2 단부를 포함하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각각의 탑 햇을 그 축에 수직이 되는 평면의 숄더부와 함께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27.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전기 전도성 접촉체가 제1,제2 단부를 가지는 원-피스 반고형의 스프링 접촉체를 포함하도록 하고, 상기 스프링 접촉체의 제1 단부가 상기 전기 전도성 접촉체의 제1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접촉체의 제2 단부가 상기 전기 전도성 접촉체의 제 2 단부를 포함하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28. 제 26항에 있어서, 각각의 스프링 접촉체를 그 축에 수직이 되는 평면의 숄더부와 함께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29. 제 26항에 있어서, 각각의 케이블 부분의 두개의 중앙 컨덕터와 함께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30. 제 26항에 있어서, 각각의 인터포저를 상기 다수의 케이블 부분의 외부 전도성 차폐에 대한 두개의 구멍과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KR10-2003-0000706A 2002-01-07 2003-01-07 인터커넥션 시스템 KR200300607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036,796 2002-01-07
US10/036,796 US6843657B2 (en) 2001-01-12 2002-01-07 High speed, high density interconnect system for differential and single-ended transmission applications
US10/234,859 US6910897B2 (en) 2001-01-12 2002-09-05 Interconnection system
US10/234,859 2002-09-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0796A true KR20030060796A (ko) 2003-07-16

Family

ID=26713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0706A KR20030060796A (ko) 2002-01-07 2003-01-07 인터커넥션 시스템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2) US6910897B2 (ko)
JP (1) JP2003217712A (ko)
KR (1) KR20030060796A (ko)
CN (1) CN100350677C (ko)
BE (1) BE1015272A3 (ko)
CA (1) CA2415979A1 (ko)
DE (1) DE10260287A1 (ko)
FI (1) FI20030006A (ko)
FR (1) FR2834587B1 (ko)
GB (1) GB2383904B (ko)
HK (1) HK1054819A1 (ko)
HU (1) HUP0204558A2 (ko)
MX (1) MXPA03000109A (ko)
NL (1) NL1022316C2 (ko)
NO (1) NO20030048L (ko)
SE (1) SE525544C2 (ko)
TW (1) TWI24623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741B1 (ko) * 2002-07-24 2011-02-07 윈체스터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상호접속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9202B2 (en) * 2001-01-12 2005-12-27 Litton Systems, Inc. High-speed electrical connector
CA2464834A1 (en) 2004-04-19 2005-10-19 Nordx/Cdt Inc. Connector
US7195518B2 (en) * 2005-05-02 2007-03-2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enhanced jack interface
US8103469B1 (en) * 2005-12-07 2012-01-24 Altera Corporation Transceiver link bit error rate prediction
US7498523B2 (en) * 2006-02-06 2009-03-03 Efficere Inc. Direct wire attach
JP4824079B2 (ja) * 2006-02-24 2011-11-24 富士通株式会社 プリント基板ユニット
US7518226B2 (en) * 2007-02-06 2009-04-14 Stats Chippac Ltd. Integrated circuit packaging system with interposer
US7419404B1 (en) * 2007-03-23 2008-09-02 Intel Corporation High speed signal backplane interface
US7473137B2 (en) * 2007-03-30 2009-01-06 Intel Corporation Right-angle coaxial connector
US8115107B2 (en) * 2007-08-22 2012-02-14 Treadyne, Inc.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shielded cables to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ies
WO2009032144A2 (en) 2007-08-28 2009-03-12 General Dynamics Advanced Information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connecting circuit boards
US20090181558A1 (en) * 2008-01-10 2009-07-1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ion for a dual-density printed circuit board
US7766665B2 (en) * 2008-01-31 2010-08-03 Ivus Industries, Inc. Printed circuit board direct connection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7572148B1 (en) 2008-02-07 2009-08-1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upler for interconnecting electrical connectors
US7806729B2 (en) * 2008-02-12 2010-10-0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High-speed backplane connector
TWI403231B (zh) * 2008-03-11 2013-07-21 Delta Electronics Inc 表面黏著型電路板件模組及其製法
FR2929482B1 (fr) * 2008-04-01 2013-07-05 Thales Sa Calculateur a l'agencement simplifie, destine a l'aeronautique
JP2010033836A (ja) * 2008-07-28 2010-02-12 Fujitsu Ltd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用伝送配線
US9536815B2 (en) 2009-05-28 2017-01-03 Hsio Technologies, Llc Semiconductor socket with direct selective metalization
WO2011139619A1 (en) 2010-04-26 2011-11-10 Hsio Technologies, Llc Semiconductor device package adapter
US9276336B2 (en) 2009-05-28 2016-03-01 Hsio Technologies, Llc Metalized pad to electrical contact interface
US8955215B2 (en) 2009-05-28 2015-02-17 Hsio Technologies, Llc High performance surface mount electrical interconnect
US9196980B2 (en) 2009-06-02 2015-11-24 Hsio Technologies, Llc High performance surface mount electrical interconnect with external biased normal force loading
US9276339B2 (en) 2009-06-02 2016-03-01 Hsio Technologies, Llc Electrical interconnect IC device socket
WO2010141266A1 (en) 2009-06-02 2010-12-09 Hsio Technologies, Llc Compliant printed circuit peripheral lead semiconductor package
WO2013036565A1 (en) 2011-09-08 2013-03-14 Hsio Technologies, Llc Direct metalization of electrical circuit structures
US8525346B2 (en) 2009-06-02 2013-09-03 Hsio Technologies, Llc Compliant conductive nano-particle electrical interconnect
US9232654B2 (en) 2009-06-02 2016-01-05 Hsio Technologies, Llc High performance electrical circuit structure
US8970031B2 (en) 2009-06-16 2015-03-03 Hsio Technologies, Llc Semiconductor die terminal
WO2010141295A1 (en) 2009-06-02 2010-12-09 Hsio Technologies, Llc Compliant printed flexible circuit
US9699906B2 (en) 2009-06-02 2017-07-04 Hsio Technologies, Llc Hybrid printed circuit assembly with low density main core and embedded high density circuit regions
US9613841B2 (en) 2009-06-02 2017-04-04 Hsio Technologies, Llc Area array semiconductor device package interconnect structure with optional package-to-package or flexible circuit to package connection
WO2010141316A1 (en) 2009-06-02 2010-12-09 Hsio Technologies, Llc Compliant printed circuit wafer probe diagnostic tool
US8618649B2 (en) 2009-06-02 2013-12-31 Hsio Technologies, Llc Compliant printed circuit semiconductor package
US9320133B2 (en) 2009-06-02 2016-04-19 Hsio Technologies, Llc Electrical interconnect IC device socket
WO2010141318A1 (en) 2009-06-02 2010-12-09 Hsio Technologies, Llc Compliant printed circuit peripheral lead semiconductor test socket
WO2010141303A1 (en) * 2009-06-02 2010-12-09 Hsio Technologies, Llc Resilient conductive electrical interconnect
US9093767B2 (en) 2009-06-02 2015-07-28 Hsio Technologies, Llc High performance surface mount electrical interconnect
US8988093B2 (en) 2009-06-02 2015-03-24 Hsio Technologies, Llc Bumped semiconductor wafer or die level electrical interconnect
US8610265B2 (en) 2009-06-02 2013-12-17 Hsio Technologies, Llc Compliant core peripheral lead semiconductor test socket
US8987886B2 (en) 2009-06-02 2015-03-24 Hsio Technologies, Llc Copper pillar full metal via electrical circuit structure
US9277654B2 (en) 2009-06-02 2016-03-01 Hsio Technologies, Llc Composite polymer-metal electrical contacts
WO2010141297A1 (en) 2009-06-02 2010-12-09 Hsio Technologies, Llc Compliant printed circuit wafer level semiconductor package
US9184527B2 (en) 2009-06-02 2015-11-10 Hsio Technologies, Llc Electrical connector insulator housing
WO2010141311A1 (en) 2009-06-02 2010-12-09 Hsio Technologies, Llc Compliant printed circuit area array semiconductor device package
US8928344B2 (en) 2009-06-02 2015-01-06 Hsio Technologies, Llc Compliant printed circuit socket diagnostic tool
US9318862B2 (en) 2009-06-02 2016-04-19 Hsio Technologies, Llc Method of making an electronic interconnect
US9930775B2 (en) 2009-06-02 2018-03-27 Hsio Technologies, Llc Copper pillar full metal via electrical circuit structure
US8803539B2 (en) 2009-06-03 2014-08-12 Hsio Technologies, Llc Compliant wafer level probe assembly
WO2010147782A1 (en) 2009-06-16 2010-12-23 Hsio Technologies, Llc Simulated wirebond semiconductor package
US9320144B2 (en) 2009-06-17 2016-04-19 Hsio Technologies, Llc Method of forming a semiconductor socket
US8984748B2 (en) 2009-06-29 2015-03-24 Hsio Technologies, Llc Singulated semiconductor device separable electrical interconnect
US8981809B2 (en) 2009-06-29 2015-03-17 Hsio Technologies, Llc Compliant printed circuit semiconductor tester interface
TWI391058B (zh) * 2009-08-18 2013-03-21 Pegatron Corp 主機板及應用其的可攜式電子裝置
US9350093B2 (en) 2010-06-03 2016-05-24 Hsio Technologies, Llc Selective metalization of electrical connector or socket housing
US8758067B2 (en) 2010-06-03 2014-06-24 Hsio Technologies, Llc Selective metalization of electrical connector or socket housing
US9689897B2 (en) 2010-06-03 2017-06-27 Hsio Technologies, Llc Performance enhanced semiconductor socket
US10159154B2 (en) 2010-06-03 2018-12-18 Hsio Technologies, Llc Fusion bonded liquid crystal polymer circuit structure
CN102340087A (zh) * 2010-07-28 2012-02-0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源转接卡
US8687350B2 (en) * 2011-05-11 2014-04-01 Ez-Tech Corp Motherboard and case with hidden internal connectors
JP5817674B2 (ja) * 2011-09-16 2015-11-18 日立金属株式会社 ノンドレイン差動信号伝送用ケーブル及びそのグランド接続構造
DE102012203303A1 (de) * 2012-03-02 2013-09-05 Robert Bosch Gmbh Steckverbindung
US9761520B2 (en) 2012-07-10 2017-09-12 Hsio Technologies, Llc Method of making a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electrodeposited terminals
KR101751452B1 (ko) * 2012-09-19 2017-06-2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이더넷에서의 고차 다중 입력 다중 출력
US9312607B2 (en) * 2013-02-12 2016-04-12 Raytheon Company Load spreading interposer
US20140273551A1 (en) * 2013-03-14 2014-09-18 Molex Incorporated Cable module connector assembly suitable for use in blind-mate applications
US10506722B2 (en) 2013-07-11 2019-12-10 Hsio Technologies, Llc Fusion bonded liquid crystal polymer electrical circuit structure
US10667410B2 (en) 2013-07-11 2020-05-26 Hsio Technologies, Llc Method of making a fusion bonded circuit structure
US9414131B2 (en) * 2014-06-10 2016-08-09 Lenovo Enterprise Solutions (Singapore) Pte. Ltd. High speed circuit board to circuit board connector via mating in an orthogonal direction to the axis of the pins
CN107535044B (zh) 2014-11-21 2019-12-10 安费诺公司 用于高速、高密度电连接器的配套背板
DE102014226888B4 (de) * 2014-12-22 2024-05-08 Leoni Kabel Gmbh Koppelvorrichtung zur kontaktfreien Übertragung von Datensignalen sowie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Datensignalen
US9755335B2 (en) 2015-03-18 2017-09-05 Hsio Technologies, Llc Low profile electrical interconnect with fusion bonded contact retention and solder wick reduction
US10201074B2 (en) 2016-03-08 2019-02-05 Amphenol Corporation Backplane footprint for high speed,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s
US10187972B2 (en) 2016-03-08 2019-01-22 Amphenol Corporation Backplane footprint for high speed,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s
US10156162B2 (en) 2016-05-03 2018-12-18 Cummins Inc. Camshaft with low lift dwell profile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DE102016211256A1 (de) * 2016-06-23 2017-12-28 Zf Friedrichshafen Ag Kontaktsystem, Leiterplattenanordnung und Steckeranordnung
US10631409B2 (en) 2016-08-08 2020-04-21 Baker Hughes, A Ge Company, Llc Electrical assemblies for downhole use
DE102016217285A1 (de) * 2016-09-12 2018-03-15 Carl Zeiss Smt Gmbh Vorrichtung zur übertragung von elektrischen signalen sowie lithographieanlage
TWI830739B (zh) * 2018-06-11 2024-02-01 美商安芬諾股份有限公司 包含用於高速且高密度之電連接器的連接器佔位面積之印刷電路板和互連系統以及其製造方法
US10938139B2 (en) 2018-08-21 2021-03-02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tractable contacts
CN109980470B (zh) * 2019-04-19 2024-02-13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十三研究所 Smp转sma转接头对位插拔结构及插拔方法
EP3973597A4 (en) 2019-05-20 2023-06-28 Amphenol Corporation High density, high speed electrical connector
DE102019117473A1 (de) 2019-06-28 2020-12-31 Tesat-Spacecom Gmbh & Co. Kg Schaltungsanordnung bestehend aus zwei miteinander verbundenen Hochfrequenzkomponenten
EP4097800A4 (en) 2020-01-27 2024-02-14 Amphenol Corp ELECTRICAL CONNECTOR WITH QUICK MOUNTING INTERFACE
CN115298912A (zh) 2020-01-27 2022-11-04 安费诺有限公司 具有高速安装接口的电连接器
CN115021172B (zh) * 2022-05-07 2023-10-27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常州供电分公司 一种防误接线的交叉互联箱及交叉互联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35244A (en) 1959-06-12 1962-05-15 Aveni Anthony Flexible pin extension adapter plug
US3208028A (en) 1963-04-30 1965-09-21 Ind Electronic Hardware Corp Multilayer circuitry with interrupted lines
FR1400111A (fr) * 1963-07-09 1965-05-21 Amp Inc Boîtier en deux parties pour connecteurs électriques
US3432801A (en) 1966-10-31 1969-03-11 Dynamics Corp America Patchboard programming system
US3564343A (en) 1968-09-24 1971-02-16 Reliance Electric Co Computer programming apparatus
US3636239A (en) * 1970-11-13 1972-01-18 Uniform Tubes Inc Angular rf connector
US3761842A (en) 1972-06-01 1973-09-25 Bell Telephone Labor Inc Twisted pair flat conductor cable with means to equalize impedance and propagation velocity
US3825874A (en) * 1973-07-05 1974-07-23 Itt Electrical connector
US4017770A (en) 1974-11-22 1977-04-12 Applicazione Elettrotelefoniche Spa Connecting device for telecommunication circuits
US4008941A (en) 1976-03-04 1977-02-22 Amp Incorporated Printed circuit board housing system
US4157612A (en) 1977-12-27 1979-06-12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Method for improving the transmission properties of a connectorized flat cable interconnection assembly
US4148543A (en) 1978-04-28 1979-04-10 General Dynamics Corporation Suppressor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US4175821A (en) 1978-05-15 1979-11-27 Teradyne, Inc. Electrical connector
US4211466A (en) 1978-11-21 1980-07-08 Amp Incorporated Crimped electrical connections for conductors on thin substrates
US4206963A (en) 1979-04-20 1980-06-10 Amp Incorporated Connector filtered adapter assembly
US4265549A (en) 1979-05-21 1981-05-05 Centronics Data Computer Corp. Flat flexible printed circuit cable for a print head
US4331370A (en) 1980-04-28 1982-05-25 Amp Incorporated Connection system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4338717A (en) 1980-09-02 1982-07-13 Augat Inc. Method for fabricating a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socket
US4382653A (en) 1980-12-04 1983-05-10 Avco Corporation Connector
US4397516A (en) 1981-05-26 1983-08-09 The Bendix Corporation Cable termination apparatus
US4596432A (en) 1981-11-20 1986-06-24 Amp Incorporated Shielded ribbon coax cable assembly
US4457574A (en) 1982-02-05 1984-07-03 Automation Industries, Inc. Electromagnetically shielded connector
US4477022A (en) 1982-02-23 1984-10-16 Amp Incorporated Polarizing and latch arrangemen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5007843A (en) 1983-05-31 1991-04-16 Trw Inc. High-density contact area electrical connectors
US4571014A (en) 1984-05-02 1986-02-18 At&T Bell Laboratories High frequency modular connector
US4820170A (en) 1984-12-20 1989-04-11 Amp Incorporated Layered elastomeric connector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US4705332A (en) 1985-08-05 1987-11-10 Criton Technologies High density, controlled impedance connectors
US4686607A (en) 1986-01-08 1987-08-11 Teradyne, Inc. Daughter board/backplane assembly
US4689721A (en) 1986-01-10 1987-08-25 Trw Inc. Dual printed circuit board module
US4697858A (en) 1986-02-07 1987-10-06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Active bus backplane
US4941831A (en) 1986-05-12 1990-07-1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 Coaxial cable termination system
US4988306A (en) 1989-05-16 1991-01-29 Labinal Components And Systems, Inc. Low-loss electrical interconnects
US4836791A (en) 1987-11-16 1989-06-06 Amp Incorporated High density coax connector
US4755765A (en) 1987-01-16 1988-07-05 Teradyne, Inc. Differential input selector
US5334962A (en) 1987-09-18 1994-08-02 Q-Dot Inc. High-speed data supply pathway systems
US4806107A (en) 1987-10-16 1989-02-21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High frequency connector
US4867707A (en) 1987-10-19 1989-09-19 W. L. Gore & Associates, Inc. Coaxial shield integrated contact connector assembly
US4816791A (en) 1987-11-27 1989-03-28 General Electric Company Stripline to stripline coaxial transition
US4871321A (en) 1988-03-22 1989-10-03 Teradyne, Inc. Electrical connector
US4861272A (en) 1988-03-31 1989-08-2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Impedance controlled connector interface
US4846727A (en) 1988-04-11 1989-07-11 Amp Incorporated Reference conductor for improving signal integrity in electrical connectors
FR2631169B1 (fr) 1988-05-04 1990-07-13 Cit Alcatel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signaux numeriques a tres hauts debits
US4891616A (en) 1988-06-01 1990-01-02 Honeywell Inc. Parallel planar signal transmission system
USRE33611E (en) 1988-07-01 1991-06-11 Molex Incorporated Environmentally sealed grounding backshell with strain relief
US4946392A (en) 1988-08-09 1990-08-07 Amp Incorporated Coaxial connector in a housing block
US4975084A (en) 1988-10-17 1990-12-04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system
NL8802678A (nl) 1988-11-01 1990-06-01 Du Pont Nederland Contactelement en contactelementsamenstel van elektrisch geleidend materiaal, in het bijzonder voor oppervlaktemontagetechniek.
US4898539A (en) 1989-02-22 1990-02-06 Amp Incorporated Surface mount HDI contact
JP2736107B2 (ja) 1989-03-14 1998-04-02 株式会社東芝 信号配線基板
US4924918A (en) 1989-03-17 1990-05-15 Lin Ming Fang Machine for manufacturing button connector and method therefor
FR2647971B1 (fr) 1989-06-01 1991-09-20 Itt Composants Instr Ensemble de connexion pour cartes a circuits imprimes
US5127837A (en) 1989-06-09 1992-07-07 Labinal Components And Systems, Inc. Electrical connectors and IC chip tester embodying same
US4900258A (en) 1989-06-12 1990-02-13 Amp Incorporated Multi-port coaxial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DE69018000T2 (de) 1989-10-10 1995-09-28 Whitaker Corp Rückwandsteckverbinder mit angepasster Impedanz.
US5119886A (en) 1989-10-25 1992-06-09 The Texas A&M University System Heat transfer cylinder
GB8928777D0 (en) 1989-12-20 1990-02-28 Amp Holland Sheilded backplane connector
US5197893A (en) 1990-03-14 1993-03-30 Burndy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5114355A (en) 1990-05-04 1992-05-19 Amp Incorporated Right angle impedance matched electrical connector
US5055069A (en) 1990-06-08 1991-10-0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nnectors with ground structure
US5175928A (en) 1990-06-11 1993-01-05 Amp Incorporated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JP2739608B2 (ja) 1990-11-15 1998-04-15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信号伝送用マルチコンタクト型コネクタ
US5169343A (en) 1990-11-29 1992-12-0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ax connector module
US5163834A (en) 1990-12-17 1992-11-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igh density connector
US5046960A (en) 1990-12-20 1991-09-10 Amp Incorporated High density connector system
SE466126B (sv) 1990-12-21 1991-12-16 Vemako Ab Flerpoligt skaermat kontaktdon med gemensam jord
US5083238A (en) 1991-02-04 1992-01-21 Motorola, Inc. High frequency electronic assembly
US5199906A (en) * 1991-02-11 1993-04-06 Trusty Industrial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5118300A (en) 1991-05-23 1992-06-02 Amp Incorporated Active electrical connector
US5122064A (en) 1991-05-23 1992-06-16 Amp Incorporated Solderless surface-mount electrical connector
US5122065A (en) 1991-08-12 1992-06-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Input output connector with coaxial shielding and strain relief
US5158471A (en) 1991-12-11 1992-10-27 Amp Incorporated Power connector with current distribution
FR2685555B1 (fr) 1991-12-23 1994-03-25 Souriau Cie Connecteur electrique destine a recevoir un support plat.
FR2687508B1 (fr) 1992-02-13 1994-11-04 Souriau & Cie Ensemble de connexion entre une carte mere et une carte fille.
NL9200272A (nl) * 1992-02-14 1993-09-01 Du Pont Nederland Coax-connectormodule voor montage op een plaat met gedrukte bedrading.
US5186647A (en) 1992-02-24 1993-02-16 At&T Bell Laboratories High 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GB9205088D0 (en) 1992-03-09 1992-04-22 Amp Holland Shielded back plane connector
GB9205087D0 (en) 1992-03-09 1992-04-22 Amp Holland Sheilded back plane connector
US5167531A (en) 1992-03-18 1992-12-01 Amp Incorporated Stacked electrical connector with diecast housing and drawn shells
US5299956B1 (en) 1992-03-23 1995-10-24 Superior Modular Prod Inc Low cross talk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5277590A (en) * 1992-04-01 1994-01-11 Kings Electronics Co., Inc. Swiveling angled cable connector
US5215473A (en) 1992-05-05 1993-06-01 Molex Incorporated High speed guarded cavity backplane connector
US5380216A (en) 1992-05-11 1995-01-10 The Whitaker Corporation Cable backpanel interconnection
US5226835A (en) 1992-08-06 1993-07-13 At&T Bell Laboratories Patch plug for cross-connect equipment
US5432484A (en) 1992-08-20 1995-07-11 Hubbell Incorporated Connector for communication systems with cancelled crosstalk
US5414393A (en) 1992-08-20 1995-05-09 Hubbell Incorporated Telecommunication connector with feedback
US5282754A (en) 1992-09-03 1994-02-01 Northern Telecom Limited Multi-terminal electrical connectors
US5249974A (en) 1992-09-15 1993-10-05 Pan-International Industrial Corp. Multi-contact connector
US5269694A (en) 1992-10-23 1993-12-14 Molex Incorporated Surface mount electrical connector
US5295867A (en) 1992-12-23 1994-03-22 Itt Corporation Edge connector shield
DE69405435T2 (de) 1993-03-16 1998-01-22 Hewlett Packard Co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die Herstellung von elektrisch zusammengeschalteten Schaltungen
US5395249A (en) 1993-06-01 1995-03-07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Solder-free backplane connector
NL9300971A (nl) 1993-06-04 1995-01-02 Framatome Connectors Belgium Connectorsamenstel voor printkaarten.
US5401912A (en) 1993-06-07 1995-03-28 St Microwave Corp., Arizona Operations Microwave surface mount package
US5340334A (en) 1993-07-19 1994-08-23 The Whitaker Corporation Filtered electrical connector
US5387114A (en) 1993-07-22 1995-02-07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means for altering circuit characteristics
US5404117A (en) 1993-10-01 1995-04-04 Hewlett-Packard Company Connector for strip-type transmission line to coaxial cable
US5470244A (en) 1993-10-05 1995-11-28 Thomas & Bett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educed cross-talk
JPH07106110A (ja) 1993-10-06 1995-04-21 Yasunori Takahashi ボンド磁石製造用粉末組成物、磁気異方性永久磁石及び磁気異方性永久磁石の製造法
US5399105A (en) 1994-04-29 1995-03-21 The Whitaker Corporation Conductive shroud for electrical connectors
US5936850A (en) * 1995-03-03 1999-08-10 Canon Kabushiki Kaisha Circuit board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and liquid crystal device including the connection structure
US5552752A (en) * 1995-06-02 1996-09-03 Hughes Aircraft Company Microwave vertical interconnect through circuit with compressible conductor
US5834335A (en) * 1995-09-28 1998-11-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Non-metallurgical connection between an integrated circuit and a circuit board or another integrated circuit
US5718592A (en) * 1995-11-16 1998-02-17 The Whitaker Corporation Surface mountabl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ey
US5823795A (en) * 1996-10-30 1998-10-20 Hewlett-Packard Company Connector between a daughterboard and a motherboard for high-speed single-ended electrical signals
US5981870A (en) * 1997-05-15 1999-11-09 Chrysler Corporation Flexible circuit board interconnect with strain relief
DE19746637C1 (de) * 1997-10-22 1999-02-11 Siemens Ag HF-Koaxial-Winkelsteckverbinderteil sowie Verfahren zum automatischen Zusammenbau
JPH11167971A (ja) * 1997-12-05 1999-06-22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機器
US6231391B1 (en) * 1999-08-12 2001-05-15 Robinson Nugent, Inc. Connector apparatus
ATE526706T1 (de) * 1998-08-12 2011-10-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 Verbindervorrichtung
GB9822694D0 (en) * 1998-10-19 1998-12-09 Channell Commercial Europ Limi Electrical connector
DE19945310C2 (de) * 1999-09-22 2001-11-08 Itt Mfg Enterprises Inc Steckverbinder
US6280201B1 (en) * 2000-01-21 2001-08-28 Hewlett-Packard Company Laminated 90-degree connector
US6380485B1 (en) * 2000-08-08 2002-04-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hanced wire termination for twinax wires
US6273753B1 (en) * 2000-10-19 2001-08-1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Twinax coaxial flat cable connector assembly
US6979202B2 (en) * 2001-01-12 2005-12-27 Litton Systems, Inc. High-speed electrical connector
US6843657B2 (en) * 2001-01-12 2005-01-18 Litton Systems Inc. High speed, high density interconnect system for differential and single-ended transmission applications
US6659779B1 (en) * 2002-09-09 2003-12-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ctronic assembly having a removable power supp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741B1 (ko) * 2002-07-24 2011-02-07 윈체스터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상호접속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402173A (en) 2004-02-01
US20050245105A1 (en) 2005-11-03
SE525544C2 (sv) 2005-03-08
MXPA03000109A (es) 2004-07-16
NL1022316A1 (nl) 2003-07-09
DE10260287A1 (de) 2003-08-07
CN100350677C (zh) 2007-11-21
HU0204558D0 (en) 2003-02-28
US6910897B2 (en) 2005-06-28
GB2383904B (en) 2005-03-09
FR2834587B1 (fr) 2004-12-10
NO20030048L (no) 2003-07-08
SE0203852L (sv) 2003-07-08
SE0203852D0 (sv) 2002-12-23
JP2003217712A (ja) 2003-07-31
US20030073328A1 (en) 2003-04-17
CN1438735A (zh) 2003-08-27
HUP0204558A2 (hu) 2003-09-29
GB0300313D0 (en) 2003-02-05
FR2834587A1 (fr) 2003-07-11
GB2383904A (en) 2003-07-09
HK1054819A1 (zh) 2003-12-12
TWI246231B (en) 2005-12-21
BE1015272A3 (fr) 2004-12-07
CA2415979A1 (en) 2003-07-07
FI20030006A (fi) 2003-07-08
NL1022316C2 (nl) 2003-09-17
FI20030006A0 (fi) 2003-01-02
US7019984B2 (en) 2006-03-28
NO20030048D0 (no) 200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60796A (ko) 인터커넥션 시스템
US7056128B2 (en) High speed, high density interconnect system for differential and single-ended transmission systems
US11011874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11742601B2 (en) High density, high speed electrical connector
CN109863650A (zh) 可配置为高性能的连接器
JP2005522848A (ja) プリント回路基板に取り付けられたコンタクト・ピンを有するシールドされたケーブル端子
US9748697B2 (en) Pluggable connector and interconnection system configured for resonance control
US9666990B1 (en) Plug connector having resonance control
US7816932B2 (en) Test system with high frequency interposer
CN109565122A (zh) 直接附连连接器
JP4387943B2 (ja) 相互接続システム
US20230378695A1 (en) High speed electrical connector with high manufacturing tolerance
US20230132094A1 (en) High speed electrical connector
GB2402561A (en) High speed, high density interconnect system for differential and single-ended transmission applications
JPH09283247A (ja) Icソケット
WO2013151608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electrically conductive 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