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0483A - 유압 분리식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유압 분리식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0483A
KR20030060483A KR1020020001204A KR20020001204A KR20030060483A KR 20030060483 A KR20030060483 A KR 20030060483A KR 1020020001204 A KR1020020001204 A KR 1020020001204A KR 20020001204 A KR20020001204 A KR 20020001204A KR 20030060483 A KR20030060483 A KR 20030060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hydraulic
unit
rod cylinder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1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석순
Original Assignee
임석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석순 filed Critical 임석순
Priority to KR1020020001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0483A/ko
Publication of KR20030060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048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 B60P1/641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a container or similar
    • B60P1/6445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a container or similar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shifted only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1ISO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33Lift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 분리식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트레일러에 실려지는 컨테이너 몸체(10)를 트레일러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컨테이너 몸체(10)의 전면부(11)와 후면부(12)에 각각 설치되는 유압 분리 유닛을 가지며, 유압 분리 유닛은, 전면부(11) 및/또는 후면부(12)에 각각 설치되어 지면 방향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출몰되는 수평로드(21)를 가지는 수평로드실린더유닛(20)과; 수평로드실린더유닛(20)에 대하여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지면 방향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출몰되는 수평가이드(31)를 가지는 수평가이드유닛(30)과; 수평로드(21)와 수평가이드(31)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지면 방향으로 출몰되는 수직로드(41)를 가지는 한쌍의 수직로드실린더유닛(40)과; 컨테이너 몸체(10)에 설치되어 수평로드실린더유닛(20)과 수직로드실린더유닛(30)을 각각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압 분리식 컨테이너{Oil separate type container}
본 발명은 크레인이나 지게차 없이 트레일러에서 분리 가능한 유압 분리식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를 종전에 화물을 장거리 운송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컨테이너를 개조하여 조립식 주택, 창고, 사무실등으로 그 사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는 공장에서 제작된 후 트레일러에 실려 특정의 장소까지 운반되고, 이후 크레인이나 지게차에 의하여 트레일러로부터 분리되어 지면에 내려지게 된다.
그런데, 컨테이너는 상당히 무거우므로, 컨테이너를 들어 올리기 위하여 크레인이나 지게차가 필수적으로 동원되어야 하였다. 그러나, 컨테이너가 설치될 장소가 좁거나 외진 위치일 경우에, 크레인이나 지게차가 쉽게 접근할 수 없어 컨테이너를 내려 놓기가 상당히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크레인이나 지게차 없이도 트레일러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유압 분리식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분리식 컨테이너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유압 분리식 컨테이너에 있어서, 유압 분리 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분리식 컨테이너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10 ... 컨테이너 몸체 11, 111 ... 전면부
12, 112 ... 후면부 20 ... 수평로드실린더유닛
21 ... 수평로드 22 ... 유압실린더
23 ... 수평브라켓 30 ... 수평가이드유닛
31 ... 수평가이드 33 ... 제2수평브라켓
40, 140 ... 수직로드실린더유닛 41, 141 ... 수직로드
42 ... 유압실린더 43 ... 수직브라켓
50, 150 ... 구동수단 51, 151 ... 오일저장부
52, 152 ... 조작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압 분리식 컨테이너의 제1실시예는, 트레일러에 실려지는 컨테이너 몸체(10)를 트레일러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컨테이너 몸체(10)의 전면부(11)와 후면부(12)에 각각 설치되는유압 분리 유닛을 가지며,
상기 유압 분리 유닛은, 상기 전면부(11) 및/또는 후면부(12)에 각각 설치되어 지면 방향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출몰되는 수평로드(21)를 가지는 수평로드실린더유닛(20)과; 상기 수평로드실린더유닛(20)에 대하여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지면 방향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출몰되는 수평가이드(31)를 가지는 수평가이드유닛(30)과; 상기 수평로드(21)와 상기 수평가이드(31)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지면 방향으로 출몰되는 수직로드(41)를 가지는 한쌍의 수직로드실린더유닛(40)과; 상기 컨테이너 몸체(10)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로드실린더유닛(20)과 수직로드실린더유닛(30)을 각각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압 분리식 컨테이너의 제2실시예는, 트레일러에 실려지는 컨테이너 몸체(110)를 트레일러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컨테이너 몸체(110)의 전면부(111)와 후면부(112)에 각각 설치되는 유압 분리 유닛을 가지며, 상기 유압 분리 유닛은,
상기 전면부(111) 및/또는 후면부(112)의 양 가장자리측에 결합되어 지면 방향으로 출몰되는 수직로드(141)를 가지는 한쌍의 수직로드실린더유닛(140)과; 상기 컨테이너 몸체(110)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로드실린더유닛(14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압 분리식 컨테이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분리식 컨테이너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유압 분리식 컨테이너에 있어서, 유압 분리 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압 분리식 컨테이너의 제1실시예는, 트레일러에 설려지는 컨테이너 몸체(10)와, 컨테이너 몸체(10)의 전면부(11) 및/또는 후면부(12)에 각각 설치되는 유압 분리 유닛을 가진다.
유압 분리 유닛은, 전면부(11) 및/또는 후면부(12)에 각각 설치되어 지면 방향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출몰되는 수평로드(21)를 가지는 수평로드실린더유닛(20)과, 수평로드실린더유닛(20)에 대하여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지면 방향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출몰되는 수평가이드(31)를 가지는 수평가이드유닛(30)을 가진다. 또, 수평로드(21)와 수평가이드(31)의 단부에는 지면 방향으로 출몰되는 수직로드(41)를 가지는 한쌍의 수직로드실린더유닛(40)이 설치되고, 컨테이너 몸체(10)의 소정부에는 수평로드실린더유닛(20)과 수직로드실린더유닛(30)을 각각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50)이 설치된다.
수평로드실린더유닛(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11) 및/또는 후면부(12)에 용접이나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제1수평브라켓(23)과, 그 제1수평브라켓(23) 내부에 설치되며 제1수평브라켓(23)의 양단으로 수평로드(21)가 출몰되는 한쌍의 유압실린더(22)를 가진다.
수평가이드유닛(30)은 제1수평브라켓(23)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제2수평브라켓(33)과, 제2수평브라켓(33)의 양단에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가이드(31)를 가진다. 수평가이드(31)는 제2수평브라켓(33)에 대하여
수직로드실린더유닛(40)은, 수평로드(21)와 수평가이드(31)의 단부에 설치되는 수직브라켓(43)과, 수직브라켓(43) 내부에 설치되며 수직브라켓(43)의 하단으로 수직로드(41)가 출몰되는 유압실린더(42)를 가진다.
그리고, 구동수단(50)은, 컨테이너 몸체(10)의 소정부에 설치되어 수평로드실린더유닛의 유압실린더(22)나 수직로드실린더유닛의 유압실린더(42)로 공급되는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저장부(51)와, 오일저장부(51)의 오일을 유압실린더들(22)(42)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구동장치(미도시)와, 구동장치를 조작하는 조작기(52)로 구성된다. 오일저장부(51)는 파이프를 통하여 유압실린더(22)(42)로 오일을 공급하거나, 또는 유압실린더(22)(42)로부터 빠져나온 오일이 저장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유압 분리식 컨테이너의 동작을 설명한다.
유압 분리식 컨테이너가 트레일러에 실려져 소정의 장소에 도착하면 구동수단(50)을 조작하여 유압 분리 유닛을 구동시킨다.
먼저, 구동수단(50)의 조작기(52)를 조작하면, 구동장치에 의하여 오일저장부(51)로부터 오일이 수평로드실린더유닛(20)의 유압실린더(22)로 유입된다. 그러면, 유압실린더(22)로부터 수평로드(21)가 돌출되면서 수직로드실린더유닛(40)을 컨테이너 몸체(10)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수직로드실린더유닛(40)의 하방에는 수평가이드(31)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수평가이드(31) 역시 제2수평브라켓(33)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된다.
다음, 조작기(52)를 더욱 조작하면, 오일저장부(51)로부터 오일이 수직로드실린더유닛(40)의 유압실린더(42)로 유입된다. 그러면, 유압실린더(42)로부터 수직로드(41)가 돌출되면서 수직로드(41)의 단부(41a)가 지면에 닿게 된다. 이후, 오일이 유압실린더(42)로 더 공급되면, 수직로드실린더유닛(40)이 들어올려지고, 결국 컨테이너 몸체(10)가 트레일러의 상부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 상태에서, 트레일러가 빠져나가면, 컨테이너 몸체(10)는 수직로드실린더유닛(40)과 수평로드실린더유닛(20)에 의하여 지면에서 승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조작기(52)를 조작하여, 수직로드실린더유닛(40)의 유압실린더(42)로부터 오일이 오일저장부(51)로 빠져나가게 하면, 수직로드(41)가 서서히 유입실린더(42)로 몰입되면서 컨테이너 몸체(10)가 지면으로 내려오게 된다.
이후, 조작기(52)를 조작하여, 수평로드실린더유닛(20)의 유압실린더(22)로부터 오일이 오일저장부(51)로 빠져나가게 하면, 수평로드(41)가 서서히 유압실린더(22)로 몰입되면서, 수직로드실린더유닛(40)은 초기 상태로 귀환하게 된다.
이 과정을 통하여, 크레인이나 지게차를 사용하지 않고 컨테이너 몸체(10)를 트레일러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유압 분리식 컨테이너의 제2실시예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분리식 컨테이너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압 분리식 컨테이너의 제2실시예는, 트레일러에 설려지는 컨테이너 몸체(110)와, 컨테이너 몸체(110)의 전면부(111) 및/또는 후면부(112)에 각각 설치되는 유압 분리 유닛을 가진다.
유압 분리 유닛은, 전면부(111) 및/또는 후면부(112)의 양 가장자리측에 설치되어 지면 방향으로 출몰되는 수직로드(141)를 가지는 한쌍의 수직로드실린더유닛(140)과, 컨테이너 몸체(110)의 소정부에 설치되어 수직로드실린더유닛(14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150)을 포함한다. 이때, 수직로드실린더유닛(140)은, 전면부(111) 및/또는 후면부(112)에 용접이나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수직브라켓과, 수직브라켓 내부에 설치되며 수직브라켓의 하단으로 수직로드(41)가 출몰되는 유압실린더를 가진다. 여기에서 유압실린더는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것이므로 도면 부호를 병기하지 아니하였다. 그리고, 구동수단(150)은, 컨테이너 몸체(110)의 소정부에 설치되어 수직로드실린더유닛의 유압실린더(42)로 공급되는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저장부(151)와, 오일저장부(151)의 오일을 유압실린더들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구동장치(미도시)와, 구동장치를 조작하는 조작기(152)로 구성된다. 오일저장부(151)는 파이프를 통하여 유압실린더로 오일을 공급하거나, 또는 유압실린더로부터 빠져나온 오일이 저장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유압 분리식 컨테이너의 동작은 실질적으로 제1실시예에서의 수직로드실린더유닛의 동작과 거의 유사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압 분리식 컨테이너는, 크레인이나 지게차가 없이도 트레일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특정 장소 여부에 관계없이 설치를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트레일러에 실려지는 컨테이너 몸체(10)를 트레일러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컨테이너 몸체(10)의 전면부(11)와 후면부(12)에 각각 설치되는 유압 분리 유닛을 가지며, 상기 유압 분리 유닛은,
    상기 전면부(11) 및/또는 후면부(12)에 각각 설치되어 지면 방향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출몰되는 수평로드(21)를 가지는 수평로드실린더유닛(20)과;
    상기 수평로드실린더유닛(20)에 대하여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지면 방향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출몰되는 수평가이드(31)를 가지는 수평가이드유닛(30)과;
    상기 수평로드(21)와 상기 수평가이드(31)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지면 방향으로 출몰되는 수직로드(41)를 가지는 한쌍의 수직로드실린더유닛(40)과;
    상기 컨테이너 몸체(10)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로드실린더유닛(20)과 수직로드실린더유닛(30)을 각각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유압 분리식 컨테이너.
  2. 트레일러에 실려지는 컨테이너 몸체(110)를 트레일러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컨테이너 몸체(110)의 전면부(111)와 후면부(112)에 각각 설치되는 유압 분리 유닛을 가지며, 상기 유압 분리 유닛은,
    상기 전면부(111) 및/또는 후면부(112)의 양 가장자리측에 결합되어 지면 방향으로 출몰되는 수직로드(141)를 가지는 한쌍의 수직로드실린더유닛(140)과;
    상기 컨테이너 몸체(110)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로드실린더유닛(14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분리식 컨테이너.
KR1020020001204A 2002-01-09 2002-01-09 유압 분리식 컨테이너 KR200300604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204A KR20030060483A (ko) 2002-01-09 2002-01-09 유압 분리식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204A KR20030060483A (ko) 2002-01-09 2002-01-09 유압 분리식 컨테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0483A true KR20030060483A (ko) 2003-07-16

Family

ID=32217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1204A KR20030060483A (ko) 2002-01-09 2002-01-09 유압 분리식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0483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365Y1 (ko) * 1985-03-20 1988-04-09 고려물상 주식회사 콘테이너에 장착한 유압식 승강 고정장치
JPH0354616A (ja) * 1989-03-31 1991-03-08 Graphtec Corp 電磁誘導タブレット
JPH04142281A (ja) * 1990-09-26 1992-05-15 Fujii Shoten:Kk 床昇隆装置付コンテナ・ストッカー
KR960004171U (ko) * 1994-07-18 1996-02-14 정헌석 폐전주 자동파쇄기의 철근 회수장치
JPH09193992A (ja) * 1996-01-17 1997-07-29 N Ii C Logistics Kk 昇降装置付きコンテナ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365Y1 (ko) * 1985-03-20 1988-04-09 고려물상 주식회사 콘테이너에 장착한 유압식 승강 고정장치
JPH0354616A (ja) * 1989-03-31 1991-03-08 Graphtec Corp 電磁誘導タブレット
JPH04142281A (ja) * 1990-09-26 1992-05-15 Fujii Shoten:Kk 床昇隆装置付コンテナ・ストッカー
KR960004171U (ko) * 1994-07-18 1996-02-14 정헌석 폐전주 자동파쇄기의 철근 회수장치
JPH09193992A (ja) * 1996-01-17 1997-07-29 N Ii C Logistics Kk 昇降装置付きコンテ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69353A1 (en) Mobile work appliance with a supporting structure
US9663013B2 (en) Trailer and frame thereof
US2956699A (en) Transportation container
CN101484378A (zh) 集装箱举升装置
KR20180001351U (ko) 이동형 마스트를 이용한 포크 위치 미세조정이 가능한 지게차
KR20030060483A (ko) 유압 분리식 컨테이너
KR200414485Y1 (ko) 크레인 차량
KR100749520B1 (ko) 크레인 차량
KR20170008082A (ko) 차량용 표지판 승강장치
KR910008200B1 (ko) 트럭기중기의 가로방향이동장치
KR101085546B1 (ko)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
JPH03121940A (ja) 荷箱着脱式運搬車
CN220596960U (zh) 一种利用叉车吊装吨袋的装车装置
KR200157373Y1 (ko) 트럭의 적재물 승하차장치
KR101363369B1 (ko) 베이스블록이 구비된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
CN215154187U (zh) 稳定连接型升降尾板
CN205256467U (zh) 一种车厢
KR20050108330A (ko) 굴진기용 운반대차 및 운반대차의 직선이동방법
JPH0971396A (ja) トレーラ用台車
IE66386B1 (en) Hydraulic ram assemblies
CN211595019U (zh) 升降式加油机
CN112208432B (zh) 一种组装式舞台搬运装置
CN113213382B (zh) 一种电动叉车蓄电池侧面移出系统
CN215048486U (zh) 一种移动式工程施工作业升降车
CN210364335U (zh) 一种便携式动力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