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0216A - 음극선관용 유리제품 성형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 유리제품 성형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0216A
KR20030060216A KR1020020000768A KR20020000768A KR20030060216A KR 20030060216 A KR20030060216 A KR 20030060216A KR 1020020000768 A KR1020020000768 A KR 1020020000768A KR 20020000768 A KR20020000768 A KR 20020000768A KR 20030060216 A KR20030060216 A KR 20030060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station
lower mold
glass product
uppe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0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장수
김준범
변현희
배재정
이군희
김남훈
Original Assignee
삼성코닝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코닝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코닝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0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0216A/ko
Publication of KR20030060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021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4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specially adapted for cathode ray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패널 및 펀넬 등과 같은 유리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음극선관용 유리제품 성형장치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유리제품 성형장치는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으로 구성되는 금형세트를 구비하며, 금형세트의 하부금형은 이동장치의 폐루프성형라인을 따라 이동한다. 곱로딩스테이션에서 하부금형에 유리곱을 로딩하고, 프레싱스테이션에서 하부금형에 상부금형을 폐쇄한 후, 프레스에 의하여 상부금형을 가압하여 유리곱을 유리제품으로 성형한다. 쿨링스테이션에서는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의 폐쇄상태에서 유리제품을 냉각하고, 몰드오프닝스테이션에서 상부금형을 개방한 후, 하부금형으로부터 유리제품을 취출한다. 몰드오프닝스테이션에서 개방되는 상부금형은 귀환장치의 선형귀환라인을 따라 프레싱스테이션으로 귀환되어 하부금형을 폐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스성형되어 있는 유리제품을 금형세트의 폐쇄상태에서 쿨링스테이션으로 이동시켜 냉각시킴으로써, 드웰시간의 연장에 의하여 유리제품의 정밀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면서도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유리제품에 대한 냉각정도의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크기가 다른 여러 기종의 유리제품을 병행하여 제조할 수 있어 운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패널 및 펀넬의 기종 변경에 따른 유연생산시스템으로의 전환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고, 작업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극선관용 유리제품 성형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OLDING GLASS PRODUCTS OF CATHODE RAY TUBE}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패널(Panel) 및 펀넬(Funnel) 등과 같은 유리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음극선관용 유리제품 성형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고 있는 바와 같이, 컬러텔레비전이나 컴퓨터 모니터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음극선관용 유리벌브(Glass bulb)는 기본적으로 세 가지의 구성요소, 즉 화상이 투시되는 패널과, 이 패널의 후면에 접합되어 있는 원추형의 펀넬과, 펀넬의 꼭지점에 접합되어 있는 관형상의 네크(Neck)로 이루어진다. 패널, 펀넬 및 네크는 모두 유리로 제조되며, 특히 패널과 펀넬은 유리곱(Glass gob)이라 불리는 용융유리 덩어리를 원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프레스성형에 의하여 제조하고 있다.
일반적인 음극선관용 유리제품의 프레스성형방법을 살펴보면, 유리용해로 (Melting furnace)의 피더(Feeder)로부터 금형세트(Mold set)에 일정한 양의 유리곱을 로딩하는 곱로딩스테이션(Gob loading station)과, 금형세트의 가압에 의하여 유리곱을 유리제품으로 성형하는 프레싱스테이션(Pressing station)과, 금형세트에 성형되어 있는 유리제품을 냉각하는 쿨링스테이션(Cooling station)과, 금형세트로부터 유리제품을 취출하는 테이크아웃스테이션(Takeout station)을 순차적으로 거쳐 실시한다. 쿨링스테이션은 유리제품의 적절한 냉각을 위하여 여러 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한편, 음극선관용 패널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세트는 하부금형(Bottom mold)과, 하부금형의 상부에 조합되어 패널의 스커트부(Skirt portion)와 시일에지(Seal edge)를 성형하는 쉘(Shell)이라 부르고 있는 중간금형(Middle mold)과, 하부금형에 로딩되어 있는 유리곱을 가압하여 성형하는 상부금형(Upper mold)으로 구성되어있다. 음극선관용 펀넬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세트는 하부금형과, 펀넬의 스커트를 성형하는 링(Ring)이라 부르고 있는 중간금형과, 상부금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금형세트의 상부금형은 프레싱스테이션에 배치되어 있는 프레스의 램(Ram)에 설치되어 있고 램의 가동에 의하여 승강운동되면서 유리곱을 가압하여 성형한다. 그리고 펀넬 성형용 금형세트의 링은 상부금형에 조립되어 있다.
종래기술의 일례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992-10156호의 음극선관 패널 성형장치는, 프레스테이블(Press table)의 상면에 다수의 하부금형이 설치되어 있고, 유리곱의 프레싱스테이션에는 하부금형에 로딩되어 있는 유리곱을 가압하여 성형하기 위한 상부금형이 프레스의 램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프레스테이블은 인덱싱(Indexing)에 의하여 하부금형을 곱로딩스테이션, 프레싱스테이션, 쿨링스테이션과 테이크아웃스테이션으로 진행시킨다. 이 기술은 곱로딩스테이션에서 중간금형이 조합되어 있는 하부금형에 유리곱을 로딩시킨 후, 프레스의 램을 가동시켜 하부금형에 로딩되어 있는 유리곱을 상부금형에 의하여 가압함으로써 패널을 성형한다. 그리고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분리시킨 후, 쿨링스테이션에서는 하부금형에 성형되어 있는 패널을 강제통풍식 에어포머(Air former)의 블로잉(Blowing)에 의하여 냉각시키고, 테이크아웃스테이션에서는 하부금형에 성형되어 있는 유리제품을 취출한다.
그런데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992-10156호의 음극선관용 패널 성형장치에 있어서는, 하부금형에 성형되어 있는 유리제품을 쿨링스테이션에서 에어포머의 강제통풍에 의하여 냉각시키면서 유리제품의 형상과 치수를 유지시키기 때문에 유리제품의 성형에 많은 어려움이 수반되고 있다. 즉, 에어포머의 유량, 유속, 공기의 회절 및 산란 등은 공기통로에서의 관마찰이나 유량조절판 등 여러 가지 요소들에 의해서 매우 심한 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에 냉각조건을 정확하게 제어하기 매우 어려우며, 온도, 습도 등의 작업조건에 의한 냉각정도의 재현성을 확보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에어포머로부터의 공기가 유리제품에 집중적으로 블로잉되면서 유리제품의 국부적인 과냉 또는 미냉을 발생시켜 치수와 형상의 불량을 유발시키고 심한 경우 유리제품의 결함을 발생시켜 파손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개방(Open)되어 있는 금형세트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유리제품에 피트(Pit) 등의 불량을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대형평면패널의 성형에 있어서는 국부적인 과냉과 비틀림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의 유량을 감소시켜야만 하나, 냉각시간의 증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수반되고 있다. 또한, 에어포머로부터 분출되는 3,500m3/hr 정도의 막대한 양의 공기는 에어포머의 주위에서 기류를 형성하면서 1,200 내지 3,000Hz 정도의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음원이 되고 있으며, 118dB 정도의 실측 소음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소음은 작업환경의 저해는 물론이고, 작업자의 난청을 유발시키는 여러 가지 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음극선관용 유리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곱로딩스테이션, 프레싱스테이션, 쿨링스테이션과 테이크아웃스테이션에서 프레스테이블의 정지시간과 인덱싱시간을 단축시키고 있다. 프레싱스테이션에서 프레스테이블의 정지시간과 인덱싱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은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이 폐쇄(Close)되어 상부금형과 유리제품이 접촉하는 드웰시간(Dwell time)의 단축을 의미한다. 이러한 드웰시간의 단축에 의하여 유리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유리제품이 충분히 경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강제통풍에 의한 냉각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유리제품의 품질을 보장할 수 없는 한계를 수반하고 있다. 그리고 음극선관용 패널과 펀넬의 크기는 예를 들어 15∼32인치로 여러 기종이 제조되고 있다. 그러나 프레스의 램과 일체로 작동하는 상부금형의 구조에 의하여 단일기종의 금형세트만을 채용하여 단일기종의 패널 또는 펀넬만을 제조할 수밖에 없었다. 뿐만 아니라, 패널 또는 펀넬의 기종을 변경할 경우에는 금형세트 전체를 교환해야 하므로, 성형장치의 운전성이 크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유연생산시스템(Flexible manufacturing system)으로의 전환에 많은 지장을 받고 있다.
종래기술의 다른 예로 미국 특허 제5,498,274호의 유리제품 성형장치에는 다수의 폐루프성형라인(Closed loop molding line)을 따라 다수의 암금형(Female press mold)을 금형이동시스템(Mold transfering system)에 의하여 이동시키고, 하나의 곱공급스테이지(Gob feeding stage)로부터 암금형에 유리곱을 공급시키며, 폐루프성형라인에 구성되어 있는 두개의 프레스성형스테이지(Press forming stage)에서 암금형의 유리곱을 프레스성형수단에 의하여 가압하여 성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암금형에 성형되어 있는 유리제품은 공기성형스테이지(Air forming stage)에서 공기의 블로잉에 의하여 냉각하여 성형하고, 쿨링스테이지 (Cooling stage)에서는 암금형에 성형되어 있는 유리제품을 자연적으로 냉각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5,498,274호의 유리제품 성형장치는 프레스성형스테이지의 하류에서 성형라인의 배치 및 설계가 비교적 자유롭기 때문에 배치 및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유리제품의 성형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유리제품의 품질을 위하여 프레스성형스테이지에서 암금형에 성형되어 있는 유리제품과 프레스성형수단이 접촉하는 드웰시간의 확보에 따라 수반되는 병목현상(Bottleneck)에 의한 생산성의 저하를 해결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공기성형스테이지에서의 강제통풍에 의하여 수반되는 여러 가지 문제를 여전히 내포하고 있다. 또한, 여러 기종의 패널 또는 펀넬을 병행하여 제조할 수 없기 때문에 유연생산시스템으로의 전환에 상당히 곤란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스성형되어 있는 유리제품을 금형세트의 폐쇄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쿨링스테이션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음극선관용 유리제품 성형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드웰시간의 연장에 의하여 유리제품의 정밀도를 크게 증대시킬 수 있으면서도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음극선관용 유리제품 성형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리제품에 대한 냉각정도의 재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음극선관용 유리제품 성형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크기가 다른 여러 기종의 유리제품을 병행하여 제조할 수 있어 운전성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패널 및 펀넬의 기종 변경에 따른 유연생산시스템으로의 전환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음극선관용 유리제품 성형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리제품의 강제통풍식 냉각을 배제하여 작업환경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음극선관용 유리제품 성형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음극선관용 유리제품을 성형하는 것으로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금형세트와; 금형세트의 하부금형을 곱로딩스테이션, 프레싱스테이션, 하나 이상의 쿨링스테이션, 몰드오프닝스테이션과 테이크아웃스테이션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프레싱스테이션에서 금형세트의 하부금형에 상부금형을 폐쇄시키고, 몰드오프닝스테이션에서 금형세트의 하부금형으로부터 상부금형을 개방시켜 프레싱스테이션으로 귀환시키는 귀환수단을 포함하고, 프레싱스테이션에서 성형되는 유리제품을 금형세트의 폐쇄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쿨링스테이션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음극선관용 유리제품 성형장치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금형세트에 의하여 유리곱을 음극선관용 유리제품으로 성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하부금형에 유리곱을 로딩하는 단계와; 하부금형에 상부금형을 폐쇄하는 단계와; 상부금형을 가압하여 하부금형에 로딩되어 있는 유리곱을 유리제품으로 성형하는 단계와;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의 폐쇄상태에서 유리제품을 냉각하는 단계와; 하부금형으로부터 상부금형을 개방하는 단계와; 하부금형으로부터 유리제품을 취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음극선관용 유리제품 성형방법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제품 성형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제품 성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제품 성형장치에서 금형세트, 이동장치와 귀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제품 성형장치에서 금형세트, 이동장치와 클램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제품 성형장치에서 금형세트, 이동장치, 클램프, 귀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제품 성형장치에서 금형세트의 상부금형과 중간금형이 귀환장치에 의하여 귀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제품의 예로 음극선관용 패널을 성형하는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제품의 예로 음극선관용 펀넬을 성형하는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제품 성형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유리제품2: 유리곱
10: 금형세트12: 하부금형
14: 상부금형16: 중간금형
20: 이동장치22: 폐루프성형라인
24: 제1 리니어모터가이드26: 서포트플레이트
30: 베이스프레임40: 푸시플레이트
50: 가이드바54: 로케이터바
60: 클램프64: 조
66: 모터70: 귀환장치
72: 선형귀환라인74: 제2 리니어모터가이드
76: 업다운액츄에이터78: 리프팅플레이트
80: 제1 그리퍼82: 제2 그리퍼
90: 프레스94: 램
100: 로봇108: 진공흡착패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유리제품 성형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음극선관용 패널 및 펀넬을 프레스성형에 의하여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리제품 성형장치는 복수의 금형세트(10)를 구비하며, 금형세트(10)는 하부금형(12)과 이 하부금형(12)에 대하여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도록 서로 대응하는 관계로 제공되는 상부금형(14)과 중간금형(16)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금형(14)은 유리제품(1)의 성형을 위하여 하부금형(12)에 로딩되어 있는 유리곱(2)을 가압하며, 중간금형(16)은 하부금형(12)의 상면에 정합되어 유리제품(1)의 성형을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도 7a 내지 도 7e에는 음극선관용 유리제품의 예로 패널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세트(10)가 도시되어 있다. 도 8a 내지 도 8e에는 음극선관용 유리제품의 다른 예로 펀넬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세트(1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금형(12), 상부금형(14)과 중간금형(16)이 1세트로 구성되어 있는 금형세트(10)는 여러 크기의 음극선관용 패널과 펀넬을 본 발명의 유리제품 성형장치에서 병행하여 제조할 수 있도록 크기가 다른 기종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도 7a 내지 도 7e와 도 8a 내지 도 8e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리제품 성형장치는 하부금형(12)과 상부금형(14)이 폐쇄되어 있는 금형세트(10) 또는 상부금형(14)이 개방되어 있는 하부금형(12)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장치(20)를 구비하고, 이동장치(20)는 폐루프성형라인(22)을 이루고 있다. 이동장치(20)의 폐루프성형라인(22)은 모서리에 라운드를 갖는 정사각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폐루프성형라인(22)은 직사각형, 장방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이동장치(20)의 폐루프성형라인(22)에는 유리제품(1)의 성형에 소요되는 유리곱(2)을 금형세트(10)의 하부금형(12)에 로딩하는 곱로딩스테이션(S1)과, 하부금형(12)에 로딩되어 있는 유리곱(2)을 자연냉각에 의하여 성형에 적합한 상태로 유리곱(2)의 온도와 형상을 컨디셔닝하는 컨디셔닝스테이션(Conditioning station: S2)과, 하부금형(12)의 유리곱(2)을 상부금형(14)에 의하여 가압하여 유리제품(1)으로 성형하는 프레싱스테이션(S3)과, 성형되어 있는 유리제품(1)을 냉각하는 복수의 쿨링스테이션(S4; S4-1∼S4-7)과, 하부금형(12)으로부터 상부금형(14)을 탈거하는 몰드오프닝스테이션(Mold opening station: S5)과, 하부금형(12)으로부터 유리제품(1)을 취출하기 위한 테이크아웃스테이션(S6)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곱로딩스테이션(S1)과 테이크아웃스테이션(S6) 사이에는 유리곱(2)의 로딩을 위하여 개방되어 있는 하부금형(12)을 대기시키면서 하부금형(12)의 점검을 실시할 수 있는 스텐바이스테이션(Standby station: S7)이 마련되어 있다. 컨디션닝스테이션(S2)에서 하부금형(12)에 로딩되어 있는 유리곱(2)을 대기중에 노출시키면 1,000℃ 정도로 로딩되는 유리곱(2)의 온도를 자연냉각에 의하여 850∼920℃ 정도로 낮출 수 있고, 덩어리 형태로 로딩되는 유리곱(2)이 자중에 의하여 하부금형(12)에서퍼지게 된다. 따라서, 하부금형(12)의 유리곱(2)을 상부금형(14)에 의하여 가압할 때 유리곱(2)과 상부금형(14)의 온도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유리곱(2)이 퍼지면서 유리곱(2)의 로딩시 발생되는 절단자국(Shear mark) 등이 자연적으로 완화된다. 도 7a와 도 8a에는 퍼진 상태의 유리곱(2a)이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7b와 도 8b에는 퍼진 상태의 유리곱(2a)이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2에는 곱로딩스테이션(S1), 컨디셔닝스테이션(S2), 프레싱스테이션(S3), 몰드오프닝스테이션(S5), 테이크아웃스테이션(S6)과 스텐바이스테이션(S7) 각각이 1개소에 마련되어 있고, 쿨링스테이션(S4; S4-1∼S4-7)이 7개소에 마련되어 13개소의 스테이션들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스테이션들의 숫자는 3, 9, 11, 12, 15, 22개소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3개소의 스테이션들을 3세트의 금형세트(10)에 의하여 구성할 경우, 유리곱(2)의 자연냉각에 의한 온도와 형상의 컨디셔닝은 배제하고 유리곱(2)의 로딩, 하부금형(12)으로부터 상부금형(14)의 탈거와 유리제품(1)의 취출은 1개소의 곱로딩/몰드오프닝/테이크아웃스테이션에서 실시하며, 유리제품(1)의 프레싱과 냉각은 각각 1개소의 프레싱스테이션과 쿨링스테이션에서 실시할 수 있다. 쿨링스테이션(S4)의 숫자는 유리제품(1)의 크기, 예를 들어 15∼32인치 패널 또는 펀넬의 기종에 따라 적절한 냉각을 위하여 변경할 수 있다.
도 1, 도 3, 도 5, 도 7d와 도 8d를 참조하면, 이동장치(20)는 하부금형(12)과 상부금형(14)이 폐쇄되어 있는 금형세트(10) 또는 상부금형(14)이 개방되어 있는 하부금형(12)을 이동시키는 제1 리니어모터가이드(Linear motor guide: 24)를구비한다. 제1 리니어모터가이드(24)는 베이스프레임(30)의 상부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제1 포스트(32)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으며 폐루프성형라인(22)을 형성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24a)과, 가이드레일(24a)을 따라 슬라이딩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금형세트(10)의 하부금형(12)이 탑재되어 있는 캐리지 (Carriage; 24b)와, 캐리지(24b)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고 가이드레일(24a)을 따라 캐리지(24b)를 슬라이딩운동시키는 리니어모터(24c)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금형세트(10)의 하부금형(12)은 캐리지(24b)의 상면에 서포트플레이트(Support plate: 26)에 지지되어 탑재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장치(20)는 벨트컨베이어, 체인컨베이어에 의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벨트컨베이어와 체인컨베이어의 구성과 작동은 잘 알려진 것이므로 그 구성과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도 5, 도 7b, 도 7d, 도 8b와 도 8d를 참조하면, 금형세트(10)의 상부금형(14)과 중간금형(16)은 하부금형(12)과 정합될 수 있도록 푸시플레이트(Push plate: 40)에 장착되어 있다. 푸시플레이트(40)는 후술하는 귀환장치(70)에 의하여 하부금형(12)에 대하여 승강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푸시플레이트(40)의 좌우측단과 근접하는 위치에는 2개의 가이드구멍(42)이 형성되어 있고 모서리에는 4개의 로케이터구멍(Locator hole: 4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푸시플레이트(40)의 상면 좌우측단에는 2개의 로킹홈(46)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하면 좌우측단에는 4개의 홀딩홈(4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푸시플레이트(40)의 하면에는 금형세트 (10)의 상부금형(14)이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푸시플레이트(40)의 가이드구멍 (42)에는 중간금형(16)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바(Guide bar: 50)가 관통되어 있고, 가이드바(50)의 상단에는 푸시플레이트(40)의 가이드구멍(42)으로부터 가이드바(50)의 이탈을 구속하는 스토퍼(Stopper: 5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서포트플레이트(26)의 상면에는 푸시플레이트(40)의 로케이터구멍(44)에 맞춤되어 금형세트(10)의 하부금형(12)에 대한 상부금형(14)과 중간금형(16)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위치결정수단으로 로케이터바(Locator bar: 54)가 장착되어 있다. 로케이터바(54)가 푸시플레이트(40)의 로케이터구멍(44)에 맞춤되어 푸시플레이트(40)의 승강동작을 안내하는 것에 의하여 금형세트(10)의 하부금형(12), 상부금형(14)과 중간금형(16)을 정확하게 정렬시켜 정합시킬 수 있다. 금형세트(10)의 하부금형(12), 상부금형(14)와 중간금형(16)은 클램프(Clamp: 60)의 클램핑에 의하여 견고하게 폐쇄된다. 클램프(60)는 서포트플레이트(26)의 좌우에 장착되어 있는 고정블록(62)과, 푸시플레이트(40)의 로킹홈(46)에 로킹 또는 언로킹될 수 있도록 고정블록(62)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조(Jaw: 64)와, 조(64)를 회전운동시키는 모터(66)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도 3,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리제품 성형장치는 몰드오프닝스테이션(S5)에서 금형세트(10)의 하부금형(12)으로부터 상부금형(14)과 중간금형(16)을 탈거하여 프레싱스테이션(S3)으로 귀환시키는 귀환장치(70)를 구비하며, 귀환장치(70)는 프레싱스테이션(S3)과 몰드오프닝스테이션(S5)을 연결하는 선형귀환라인(72)을 이루고 있다. 귀환장치(70)의 제2 리니어모터가이드(74)는 프레싱스테이션(S3)과 몰드오프닝스테이션(S5)의 상방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다. 제2 리니어모터가이드(74)는 베이스프레임(30)의 상부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제2 포스트(34)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으며 선형귀환라인(72)을 형성하는 한쌍의 선형 가이드레일(74a)과, 가이드레일(74a)을 따라 슬라이딩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캐리지(74b)와, 캐리지(74b)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고 가이드레일(74a)을 따라 캐리지(74b)를 슬라이딩운동시키는 리니어모터(74c)로 구성되어 있다. 제2 리니어모터가이드(74)의 캐리지(74b)는 리니어모터(74c) 대신에 서보모터(Servo motor)와 벨트전동장치 또는 체인전동장치에 의하여 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귀환장치(70)의 제2 리니어모터가이드(74)는 서보모터, 볼스크루 (Ball screw)와, 볼스크루의 회전에 의하여 나사운동되면서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운동하는 슬라이드(Slide)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6, 도 7b와 도 8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귀환장치(70)의 캐리지 (74b)의 하면 중앙에는 업다운액츄에이터(Up/down actuator: 76)가 장착되어 있으며, 업다운액츄에이터(76)의 작동에 의하여 리프팅플레이트(Lifting plate: 78)가 승강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업다운액츄에이터(76)는 유압실린더나 로드레스실린더(Rodless cylinder)에 의하여 구성할 수 있다. 리프팅플레이트(78)의 하부에는 푸시플레이트(40)의 좌우측단을 홀딩할 수 있는 홀딩수단으로 한쌍의 제1 및 제2 그리퍼(Gripper: 80, 82)가 각각 장착되어 있고, 제1 및 제2 그리퍼(80, 82)는 리니어모터(84)의 작동에 의하여 서로에 대하여 근접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도 1, 도 2, 도 7c와 도 8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음극선관용 유리제품 성형장치는 금형세트(10)의 하부금형(12)에 로딩되어 있는 유리곱(2)을 상부금형(14)에 의하여 가압하여 성형할 수 있도록 푸시플레이트(40)를 작동시키는 프레스(90)를 구비한다. 프레스(90)는 프레싱스테이션(S3)에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오버헤드프레임(Overhead frame: 92)을 가지며, 오버헤드프레임(92)은 베이스프레임(30)의 상면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제3 포스트(36)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스(90)의 오버헤드프레임(92)에는 승강운동에 의하여 푸시플레이트(40)를 가압하는 램(94)이 구성되어 있다. 프레스(90)의 램(94)은 제2 리니어모터가이드(74)의 한쌍의 가이드레일(74a)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프레스(90)의 램(94)과 제2 리니어모터(74)의 가이드레일(74a)은 간섭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컨디셔닝스테이션(S2)과 프레싱스테이션(S3) 사이에 금형세트(10)의 하부금형(12)에 상부금형(14)과 중간금형(16)을 정합시켜 금형세트 (10)를 폐쇄시킬 수 있는 몰드클로싱스테이션(Mold closing station)을 마련하거나 컨디셔닝스테이션(S2) 대신에 몰드클로싱스테이션을 마련할 수도 있다.
도 1, 도 2, 도 7e와 도 8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리제품 성형장치는 테이크아웃스테이션(S6)에 설치되어 금형세트(10)의 하부금형(12)에 성형되어 있는 유리제품(1)을 취출하는 테이크아웃수단으로 로봇(100)을 구비한다. 로봇(100)은 베이스프레임(30)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칼럼(102)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는 스윙아암(Swing arm: 104)과, 스윙아암(104)의 선단에 승강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업다운로드(Up and down rod: 106)와, 업다운로드(106)의 하단에 유리제품(1)을 흡착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진공흡착패드(108)로 구성되어 있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유리제품 성형장치에 의한 유리제품의 성형방법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곱로딩스테이션(S1), 컨디셔닝스테이션(S2), 테이크아웃스테이션(S6)과 스텐바이스테이션(S7)에서는 금형세트(10)의 하부금형(12)으로부터 상부금형(14)과 중간금형(16)이 분리되어 금형세트(10)의 하부금형(12)이 개방되어 있다. 도 7a와 8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곱로딩스테이션(S1)에서는 잘 알려진 유리곱로딩수단(3)으로 유리용해로의 피더로부터 개방되어 있는 하부금형(12)에 일정한 양의 유리곱(2)을 로딩한다(S200). 금형세트(10)의 하부금형(12)에 유리곱(2)을 로딩한 후에는, 이동장치(20)의 작동에 의하여 곱로딩스테이션 (S1), 컨디셔닝스테이션(S2), 프레싱스테이션(S3), 쿨링스테이션(S4; S4-1∼S4-7), 몰드오프닝스테이션(S5), 테이크아웃스테이션(S6), 스텐바이스테이션(S7) 각각에 위치되어 있는 금형세트(10)의 하부금형(12) 또는 하부금형(12)에 상부금형(14)과 중간금형(16)이 폐쇄되어 있는 금형세트(10)를 하류의 스테이션으로 각각 이동시킨다. 제1 리니어모터가이드(24)의 리니어모터(24c)가 작동되면, 리니어모터(24c)의 작동에 의하여 캐리지(24b)가 가이드레일(24a)을 따라 슬라이딩운동되면서 각각의 스테이션(S1∼S7)들로 하부금형(12) 또는 금형세트(10)를 이동시킨다. 컨디셔닝스테이션(S2)에서는 금형세트(10)의 하부금형(12)에 로딩되어 있는 유리곱(2)을 자연냉각시킴으로써, 하류의 프레싱스테이션(S3)에서 성형하기 적합한 상태로 유리곱 (2)의 온도와 형상에 대한 컨디셔닝을 수행한다(S202).
다음으로, 프레싱스테이션(S3)에서는 귀환장치(70)의 작동에 의하여 금형세트(10)의 하부금형(12)에 상부금형(14)과 중간금형(16)을 정합시키면, 금형세트(10)의 하부금형(12)이 상부금형(14)과 중간금형(16)에 의하여 폐쇄된다(S204). 도 7b와 도 8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레싱스테이션(S3)에서 귀환장치(70)의 업다운액츄에이터(76)가 작동되어 리프팅플레이트(78)를 하강시키면, 제1 및 제2 그리퍼(80, 82)에 홀딩되어 있는 푸시플레이트(40)의 로케이터구멍(44)에 로케이터바(54)가 맞춤되어 푸시플레이트(40)의 하강동작을 정확하게 안내한다. 푸시플레이트(40)와 함께 하강하는 중간금형(16)의 하면은 하부금형(12)의 상면에 접촉되어 정합되고, 상부금형(14)은 하부금형(12)에 맞춤되어 정합된다. 귀환장치(70)의 업다운액츄에이터(76)를 정지시키고, 리니어모터(84)의 작동에 의하여 제1 및 제2 그리퍼(80, 82)를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면, 푸시플레이트(40)의 홀딩홈(48)으로부터 제1 및 제2 그리퍼(80, 82)가 분리되어 제1 및 제2 그리퍼(80, 82)에 의한 푸시플레이트(40)의 홀딩이 해제된다. 그리고 업다운액츄에이터(76)의 작동에 의하여 리프팅플레이트(78)를 초기위치로 상승시켜 복귀시킨다. 한편, 제2 리니어모터가이드(74)의 리니어모터(74c)가 작동되면, 리니어모터(74c)의 작동에 의하여 캐리지(74b)가 가이드레일(74a)을 따라 슬라이딩운동되면서 프레싱스테이션(S3)으로부터 몰드오프닝스테이션(S5)으로 이동된다.
도 7c와 도 8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금형세트(10)의 하부금형(12)이 상부금형(14)과 중간금형(16)에 의하여 폐쇄된 후, 프레스(90)의 램(94)을 작동시켜 하강시키면, 램(94)이 푸시플레이트(40)를 가압하며, 푸시플레이트(40)의 가이드구멍(42)은 가이드바(50)를 따라 안내되면서 하강함과 동시에 로케이터구멍(44)은 로케이터바(54)를 따라 안내되면서 하강한다. 하강하는 푸시플레이트(40)에 의하여 상부금형(14)은 유리곱(2)을 가압하여 유리제품(1)으로 프레스성형한다 (S206).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금형세트(10)가 다른 크기의 유리제품(1)을 프레스성형할 수 있도록 크기가 다른 기종으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프레스(90)의 램(94)에 의하여 부여되는 압력과 변위에 의하여 유리곱(2)을 가압하는 상부금형(14)의 가압력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유리제품 성형장치에 의해서는 크기가 다른 여러 기종의 패널과 펀넬을 병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유리제품(1)의 성형이 완료되면, 프레스(90)의 램(94)은 초기위치로 상승시켜 복귀시킨다. 클램프(60)의 모터(66)가 작동되어 조(64)를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회전시키면, 조(64)가 푸시플레이트(40)의 로킹홈(46)에 맞물려 푸시플레이트(40)를 클램핑함으로써, 금형세트(10)의 하부금형(12), 상부금형(14)과 중간금형 (16)을 견고하게 고정시킨다(S208). 도 7d와 도 8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동장치(20)의 작동에 의하여 유리제품(1)이 성형되어 있는 금형세트(10)의 하부금형(12), 상부금형(14)과 중간금형(16)을 폐쇄상태에서 쿨링스테이션(S4)으로 이동시켜 유리제품(1)을 냉각한다(S210). 곱로딩스테이션(S1)에 후속하는 금형세트(10)의 하부금형(12)에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동작으로 유리곱(2)을 로딩시킨다. 일반적으로 곱로딩스테이션(S1)에서 유리용해로의 피더로부터 공급되는 유리곱(2)의 온도는 1,000℃ 정도이며, 성형된 유리제품(1)의 온도는 하부금형(12)과 상부금형(14)의 접촉에 의한 냉각에 의하여 600℃ 정도로 된다. 쿨링스테이션(S4)으로 이동되는 금형세트(10)의 하부금형(12), 상부금형(14)과 중간금형(16)은 공랭 및 수냉에 의하여 냉각되며, 금형세트(10)의 냉각에 의하여 유리제품(1)의 냉각이자연적으로 이루어진다. 금형세트(10)의 하부금형(12)은 하부금형(12)의 하면에 냉각용 공기를 블로잉하여 냉각한다. 금형세트(10)의 상부금형(14)과 중간금형(16)에는 워터재킷(Water jacket)을 형성하고, 이 워터재킷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냉각한다. 금형세트(10)의 공랭 및 수냉에 관련한 구성 및 기술은 잘 알려진 것이므로 그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프레싱스테이션(S3) 이후의 쿨링스테이션(S4)에서도 유리제품(1)과 상부금형(14)이 접촉하는 드웰시간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므로, 유리제품(1)의 정밀도를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싱스테이션(S3)에서 드웰시간의 유지를 위한 병목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각각의 스테이션(S1∼S7)들에서 소요되는 정지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유리제품(1)의 냉각이 폐쇄상태의 금형세트(10)에 의하여 복수의 쿨링스테이션(S4)에서 실시되므로, 온도, 습도 등의 작업조건에 구애받음이 없이 유리제품(1)에 대한 냉각정도의 재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기존의 강제통풍식 에어포머에서 발생되는 유리제품(1)의 국부적인 과냉, 미냉, 피트 등과 불량을 효과적으로 방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음원의 원천적인 배제로 작업환경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한편, 이동장치(20)의 작동에 의하여 쿨링스테이션(S4)을 경유한 금형세트 (10)가 몰드오프닝스테이션(S5)에 도달한 후에, 클램프(60)의 모터(66)가 작동되어 조(64)를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회전시키면, 푸시플레이트(40)의 클램핑상태가 해제되어 금형세트(10)의 하부금형(12)으로부터 상부금형(14)과 중간금형(16)을 개방시킬 수 있는 클램핑해제상태가 된다(S212).
도 1,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몰드오프닝스테이션(S5)에서 귀환장치(70)의 작동에 의하여 금형세트(10)의 하부금형(12)으로부터 상부금형(14)과 중간금형(16)을 분리시켜 개방시키고(S214), 개방되는 상부금형(14)과 중간금형(16)은 몰드오프닝스테이션(S5)으로부터 프레싱스테이션(S3)으로 귀환시킨다(S216). 귀환장치(70)의 업다운액츄에이터(76)를 작동시켜 제1 및 제2 그리퍼(80, 82)가 푸시플레이트 (40)의 하방에 위치되도록 리프팅플레이트(78)를 하강시키고, 리니어모터(84)의 작동에 의하여 제1 및 제2 그리퍼(80, 82)를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면, 제1 및 제2 그리퍼(80, 82)가 푸시플레이트(40)의 홀딩홈(48)에 맞춤되어 푸시플레이트 (40)를 홀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업다운액츄에이터(76)의 작동에 의하여 리프팅플레이트(78)를 상승시키면, 리프팅플레이트(78)와 함께 상승되는 제1 및 제2 그리퍼(80, 82)가 푸시플레이트(40)의 홀딩홈(48)에 맞춤되면서 푸시플레이트(40)를 홀딩하여 상승시킨다. 푸시플레이트(40)의 상승에 의하여 금형세트(10)의 하부금형 (12)으로부터 상부금형(14)과 중간금형(16)이 분리되어 하부금형(12)이 개방된다. 귀환장치(70)의 업다운액츄에이터(76)를 정지시키고, 제2 리니어모터가이드(74)의 리니어모터(74c)를 작동시키면, 리니어모터(74c)의 작동에 의하여 캐리지(74b)가 가이드레일(74a)을 따라 슬라이딩운동되어 몰드오프닝스테이션(S5)으로부터 프레싱스테이션(S3)으로 상부금형(14)과 중간금형(16)을 이동시킨다.
도 7e와 도 8e를 참조하면, 이동장치(20)의 작동에 의하여 개방되어 있는 금형세트(10)의 하부금형(12)이 몰드오프닝스테이션(S5)으로부터 테이크아웃스테이션 (S6)에 도달되면, 테이크아웃스테이션(S6)에서는 하부금형(12)에 성형되어 있는 유리제품(1)을 로봇(100)의 진공흡착패드(108)에 의하여 흡착하여 취출한다(S218). 마지막으로, 유리제품(1)의 취출이 완료된 하부금형(12)은 이동장치(20)의 작동에 의하여 스탠바이스테이션(S7)에 대기시킨 후(S220), 곱로딩스테이션(S1)으로 다시 이동시킨다.
이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유리제품 성형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프레스성형되어 있는 유리제품을 금형세트의 폐쇄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쿨링스테이션으로 이동시켜 냉각시킴으로써, 드웰시간의 연장에 의하여 유리제품의 정밀도를 크게 증대시킬 수 있으면서도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유리제품에 대한 냉각정도의 재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크기가 다른 여러 기종의 유리제품을 병행하여 제조할 수 있어 운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패널 및 펀넬의 기종 변경에 따른 유연생산시스템으로의 전환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에 실시되었던 유리제품의 강제통풍식 냉각을 배제하여 작업환경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음극선관용 유리제품을 성형하는 것으로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금형세트와;
    상기 금형세트의 하부금형을 곱로딩스테이션, 프레싱스테이션, 하나 이상의 쿨링스테이션, 몰드오프닝스테이션과 테이크아웃스테이션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프레싱스테이션에서 상기 금형세트의 하부금형에 상기 상부금형을 폐쇄시키고, 상기 몰드오프닝스테이션에서 상기 금형세트의 하부금형으로부터 상기 상부금형을 개방시켜 상기 프레싱스테이션으로 귀환시키는 귀환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싱스테이션에서 성형되는 상기 유리제품을 상기 금형세트의 폐쇄상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쿨링스테이션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음극선관용 유리제품 성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세트의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은 서로 다른 크기의 음극선관용 유리제품을 병행하여 성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음극선관용 유리제품 성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세트는 하부금형에 정합될 수 있는 중간금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금형은 상기 상부금형과 같이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음극선관용 유리제품 성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세트의 상부금형은 푸시플레이트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중간금형은 상기 푸시플레이트를 관통하는 가이드바에 의하여 승강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음극선관용 유리제품 성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곱로딩스테이션, 프레싱스테이션, 하나 이상의 쿨링스테이션, 몰드오프닝스테이션과 테이크아웃스테이션이 구성되어 있는 폐루프성형라인을 이루고 있는 음극선관용 유리제품 성형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금형세트의 하부금형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폐루프를 이루는 한쌍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한쌍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금형세트의 하부금형을 탑재할 수 있는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캐리지를 슬라이딩운동시키는 리니어모터로 구성되어 있는 음극선관용 유리제품 성형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곱로딩스테이션과 프레싱스테이션 사이에는 상기 금형세트의 하부금형에 로딩되어 있는 상기 유리곱을 자연냉각시키는 컨디셔닝스테이션이 더 구성되어 있는 음극선관용 유리제품 성형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귀환수단은 상기 프레싱스테이션과 몰드오프닝스테이션을 연결하는 선형귀환라인을 이루고 있는 음극선관용 유리제품 성형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귀환수단은,
    상기 금형세트의 상부금형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싱스테이션과 몰드오프닝스테이션의 상방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한쌍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캐리지를 슬라이딩운동시키는 리니어모터와;
    상기 캐리지의 하면 중앙에 장착되어 있는 업다운액츄에이터와;
    상기 업다운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하여 승강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잇는 리프팅플레이트와;
    상기 리프팅플레이트의 하부에 상기 금형세트의 상부금형을 홀딩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홀딩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음극선관용 유리제품 성형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수단은,
    상기 리프팅플레이트의 좌우측에 상기 금형세트의 상부금형이 고정되어 있는푸시플레이트의 좌우측을 홀딩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한쌍의 제1 및 제2 그리퍼와;
    상기 제1 및 제2 그리퍼가 상기 푸시플레이트의 좌우측을 홀딩할 수 있도록 상기 상기 제1 및 제2 그리퍼를 서로에 대하여 근접시키거나 이격시키는 리니어모터로 구성되어 있는 음극선관용 유리제품 성형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세트의 하부금형에 대하여 상기 상부금형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음극선관용 유리제품 성형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세트의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을 클램핑하는 클램핑수단을 더 포함하는 음극선관용 유리제품 성형장치.
  13. 음극선관용 유리제품을 성형하는 것으로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금형세트와;
    상기 금형세트의 하부금형을 폐루프성형라인을 따라 이동시키며, 상기 폐루프성형라인에는 곱로딩스테이션, 프레싱스테이션, 하나 이상의 쿨링스테이션, 몰드오프닝스테이션과 테이크아웃스테이션이 구성되어 있는 이동수단과;
    상기 프레싱스테이션과 몰드오프닝스테이션의 상방을 가로지르는 선형귀환라인을 따라 상기 금형세트의 상부금형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프레싱스테이션에서 상기 금형세트의 하부금형에 상기 상부금형을 폐쇄시키고, 상기 몰드오프닝스테이션에서 상기 금형세트의 하부금형으로부터 상기 상부금형을 개방시켜 상기 프레싱스테이션으로 귀환시키는 귀환수단과;
    상기 금형세트의 상부금형을 가압하여 상기 하부금형에 로딩되어 있는 유리곱을 성형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싱스테이션에 설치되어 있는 프레스로 이루어지는 음극선관용 유리제품 성형장치.
  14.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금형세트에 의하여 유리곱을 음극선관용 유리제품으로 성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에 유리곱을 로딩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금형에 상기 상부금형을 폐쇄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금형을 가압하여 상기 하부금형에 로딩되어 있는 상기 유리곱을 상기 유리제품으로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의 폐쇄상태에서 상기 유리제품을 냉각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금형으로부터 상기 상부금형을 개방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금형으로부터 상기 유리제품을 취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음극선관용 유리제품 성형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에 로딩되어 있는 상기 유리곱을 자연냉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극선관용 유리제품 성형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을 개방하는 단계에서 개방되는 상기 상부금형은 귀환수단에 의하여 상기 상부금형을 폐쇄하는 단계로 귀환되어 상기 하부금형을 폐쇄하는 음극선관용 유리제품 성형방법.
KR1020020000768A 2002-01-07 2002-01-07 음극선관용 유리제품 성형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602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0768A KR20030060216A (ko) 2002-01-07 2002-01-07 음극선관용 유리제품 성형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0768A KR20030060216A (ko) 2002-01-07 2002-01-07 음극선관용 유리제품 성형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0216A true KR20030060216A (ko) 2003-07-16

Family

ID=32217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0768A KR20030060216A (ko) 2002-01-07 2002-01-07 음극선관용 유리제품 성형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02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1480B1 (ko) * 2004-11-17 2006-10-09 김진동 유리의 곡면화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1480B1 (ko) * 2004-11-17 2006-10-09 김진동 유리의 곡면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9836B1 (ko) 글라스용기의제조방법및제조장치
US108996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oling moulds for a machine used to form hollow glass items
KR20030060216A (ko) 음극선관용 유리제품 성형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45538A (ko) 음극선관용 유리제품 성형장치
JP4729322B2 (ja) プレス成型方法及びプレス成型装置
JP5961292B2 (ja) ネック型アッセンブリー
CN214521549U (zh) 提拉机构及多工位成型机
JPH08183623A (ja) ガラス容器の製造装置
TWI746870B (zh) 吹製成形用模具單元及吹製成形裝置
US3799722A (en) Multiple injection blow molding machine
US3615336A (en) Glass forming apparatus with article support
JP3267719B2 (ja) 取出装置
JP3527931B2 (ja) 延伸ブロー成形用複合金型装置
JP2017140742A (ja) ブロー成形装置
TWM607908U (zh) 改良之圓盤式冷熱壓成型系統
JP2000313056A (ja) ブロー成形法およびその装置
US3659998A (en) Blow-molding machines
CN113665075B (zh) 一种模塑制品的预压及快速冷却的工艺方法
CN220447137U (zh) 一种自动吹瓶机
CN112573801A (zh) 瓶状凸底玻璃制品生产方法
CN219055295U (zh) 一种挤出吹塑的多工位冷却成型设备
JP2763250B2 (ja) ガラス圧縮成形機
JP2003048725A (ja) ガラス素子成形用金型およびガラス素子成形装置
JP3333564B2 (ja) ガラス製品の成型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1010828A (ja) ガラス光学素子の成形装置および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