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9780A - 패널형 스프링 장착 운동화 - Google Patents

패널형 스프링 장착 운동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9780A
KR20030059780A KR1020030040555A KR20030040555A KR20030059780A KR 20030059780 A KR20030059780 A KR 20030059780A KR 1020030040555 A KR1020030040555 A KR 1020030040555A KR 20030040555 A KR20030040555 A KR 20030040555A KR 20030059780 A KR20030059780 A KR 20030059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pring
elasticity
sole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0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국
Original Assignee
박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국 filed Critical 박영국
Priority to KR1020030040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9780A/ko
Publication of KR20030059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978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5Elasticated plates sandwiched between two interlocking components, e.g. thrusto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18Attachable overshoes for sport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9/00Attachments for footwea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화의 밑면에 장탈이 가능한 타원형 패널형 스프링을 부착함으로써 패널형 스프링을 제거할 경우에는 일반 운동화와 같은 도보 이동이 가능하고, 장착하였을 경우에는 스프링의 반작용에 의해 도보 또는 구보시 발바닥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거나, 하늘로 도약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놀이 및 스포츠용으로 이용이 가능한 패널형 스프링 장착 운동화의 구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패널형 스프링 장착 운동화{Running Shoes Adhered To Panel Type Spring}
본 발명은 운동화의 밑면에 장탈이 가능한 타원형태의 패널형 스프링을 부착하여 발바닥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거나, 패널형 스프링을 이용하여 지면과접촉하는 면을 충분히 보장함으로써 하늘로 튀어 오를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면서도 넘어질 위험을 최소화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과거 어린이의 경우 약 1m 길이의 철봉끝단 외면에 나선형 스프링을 장착하고 철봉상부에는 손잡이를, 하단 부에 위치하는 스프링에는 발판을 부착한 일명 "스카이 콩콩"이라는 놀이기구를 이용하여 하늘로 도약하는 놀이를 즐길 수 있었으며, 최근에는 패널형 스프링의 끝을 약간 굽혀서 지면과 접촉하게 하고 그 반대편에는 발바닥 지지대 및 발목 지지대를 장착한 유사한 운동기구가 개발되었으나, 이들 기구는 극히 제한된 면이 지면과 접촉함으로써 운용자가 몸의 기준을 잡고 안정된 상태에서 서있기에 어려움이 있는 등 운용 안정성, 운동 지속성 유지의 어려움 및 부상의 위험성도 내포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두 겹의 패널형 스프링을 타원형으로 구성하여 일면은 운동화의 밑면에 장착하고, 반대편 일면을 지면과 접하게 함으로써 운용시 스프링의 반발력을 보장하면서도 지면과의 접촉면을 확대하여 안정된 상태에서 운동 및 놀이를 즐길 수 있게 하였다. 이와같이 타원형태의 패널형 스프링의 구성은 발바닥의 뒷 부분부터 앞부분(발가락)으로 무게중심의 위치가 바뀌게 되는 걸음걸이와 유사하게 발발력의 방향을 지면과 수직으로 유지하면서 무게중심 및 의 변경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이동시 진행방향의 좌우 측면으로 넘어질 위험성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동 발명은 운동화와 패널형 스프링의 장탈이 가능하여 장착하였을 경우에는 본래의 목적으로 이용이 가능하고, 장탈 스위치를 이용하여 탈착하였을 경우에는 일반 운동화의 기능을 유지함으로써 롤러브레이드 이용 시와 같이 일반 운동화를추가로 가지고 다니는 불편함을 해소하였다.
놀이기구로서의 본 발명은 스프링과 지면의 접촉면을 충분히 보장함으로써 어린이들이 하늘로 뛰어 오르고 싶다는 욕망을 해소시키면서도 몸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어 부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뛰어 오르는 놀이를 통해 관절부위에 위치하고 있는 성장점을 적당히 자극함으로써 건강한 신체발달을 유도할 수 있다.
운동기구로서의 본 발명은 3가지 기능을 제공 할 수 있다. 첫째는 판넬형 스프링을 타원형으로 구성하여 이동시 발바닥의 무게중심과 유사한 무게중심의 변화를 유도함으로써 안정된 자세에서 근육운동을 할 수 있으며, 두번째는 스프링의 반발력으로 도보 또는 구보시 발바닥 및 무릎 관절로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이다. 또 다른 한가지는 이동시 발바닥의 충격을 용천혈 부근의 일면에만 전달함으로써 용천혈을 자극 및 지압함으로써 강장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동 발명은 어린이의 놀이기구 및 전 연령대의 건강유지에 적절한 운동기구가 될 수 있으며, 특히 관절에 무리가 예상되는 과체중 및 중 장년층의 걷기 및 달리기 운동 기구로서 효과가 있을 것이다.
제 1도는 패널형 스프링 부착 운동화의 측면 및 후면도.
제 2도는 운동화 밑창과 패널형 스프링의 결합부위를 예시한 구성도.
제 3도는 패널형 스프링 하부의 구성을 예시한 전면 및 측면도 .
제 4도는 상 하부 패널형 스프링 구성 및 결합을 예시한 측면도.
(용어설명)
1: 운동화 2: 장착 스위치 3: 장탈고리 4: 패널형 스프링
5: 완충 고무판 6: 나선형 스프링 7: 스프링 결합용 원형 고리
8: 장착스위치 고정용 홈 9 : 밀어 넣기 홈 10 : 스프링 결합용 볼트
11 : 스프링 결합용 너트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제 1도는 패널형 스프링 장탈형 운동화의 측면 및 후면도로서
우측 그림과 같이 장착 스위치(2)를 누른 상태에서 운동화(1) 밑창의 밀어 넣기 홈(9)에 타원형 패널형 스프링(2) 상부에 부착된 장탈고리(3)를 끼우고 밀어넣어 결합시킴으로써 구성은 완료된다. 탈착 시에는 장착 스위치(2)를 누른 상태로장탈고리를 운동화 뒷면 쪽으로 밀어서 빼내면 완료되어 신속한 장탈이 가능하다. 패널형 스프링을 신속, 정확하게 장탈 하기 위해서는 장탈고리 측면에 구멍(8)을 천공함으로써 패널형 스프링을 결합할 경우에는 장착 스위치의 철봉이 측면의 장착 스위치 고정용 홈(8)과 결합되며, 탈착 시에는 홈(8)에서 이격되어 장탈고리(3)를 후면으로 빼낼 수 있다.
제 2도는 운동화(1) 밑창과 패널형 스프링의 결합부위를 예시한 구성도로서
운동화(1) 밑창에는 신발 하부에 부착되는 패널형 스프링(2)의 하중과 충격력을 견디면서 신속한 장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뒷굽부터 중간부위까지 알루미늄 샤시와 같이 밀어 넣기 홈(9)을 구성하는 고강도 폴리에틸렌 합성체로 형성하며, 밑창의 전면 및 폴리에틸렌 합성체 외부에는 고무 밑창을 덧붙임하여 평시 운동화로 이용할 경우 마찰력을 보장하면서 폴리에틸렌 합성체와의 충격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한다. 또한 운동화(1) 밑창 측면에는 나선형 스프링(6)을 포함하는 적당한 지름(약 5mm)의 철봉으로 장착 스위치(2)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운동화(1) 밑창 뒷면의 밀어 넣기 홈(9)에 장탈고리(3)를 끼우고 밀어 넣거나 빼냄으로써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며, 결합을 확실하게 보장하기 위해 장착 스위치(2)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제 3도는 완충 고무판이 장착된 하부 패널형 스프링 구성을 예시한 전면 및 측면도로서 패널형 스프링(4)은 자중을 최소화하면서 사람의 체중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패널형 스프링(4)은 낚시대와 같이 가벼우면서도 탄성 및 강도가 강한 탄소섬유를 이용할 수 있으며, 수요에 따라 알루미늄강 등의 판넬형 강철 스프링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운동시 탄성을 강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하 판넬 사이에 나선형 스프링(6)을 부착할 수 있으나, 이 나선형 스프링의 장착 유무는 사용자의 체중 또는 원하는 반발력에 의해 결정된다. 패널형 스프링의 넓이는 운동화(1) 뒷굽의 넓이와 유사하게 함으로써 걸음걸이 시 좌, 우측발의 패널형 스프링(4)이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면서 지면과의 접촉면을 넓혀 줄 수 있다. 이와같은 패널형 스프링은 신발 넓이만큼 지면에 접촉하여 걸을 때 발바닥 무게중심의 이동방향과 동일하게 접촉면(지면)과 직각을 유지하면서 진행방향으로 반탄력을 발생하는 장점이 있다. 즉 나선형 스프링을 사용할 경우 지면과 직각 방향의 반탄력과 스프링의 휨 현상에 의해 좌 우측으로 반탄력이 발행함으로써 신발 밑에 부착하였을 경우 좌 우측방향으로 힘이 발행하여 넘어질 위험성이 커짐에 반해 패널형 스프링은 무게중심으로 진행방향으로만 반탄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몸의 안전성을 유지하면서도 반탄력을 전 후 및 위(하늘방향)로 이동하는 힘으로 이용할 수 있다. 패널형 스프링 하단에는 완충 고무판(5)을 붙여서 지면과 접촉시 소음 및 충격을 완화시켜 준다.
제 4도는 상 하부 패널형 스프링 구성 및 결합을 예시한 구성도로서
운동화(1) 하부에 장착하여 반탄력을 발생하는 스프링(4)은 상부 및 하부의 2중 구조 패널으로써 양 끝단에는 암수의 스프링 결합용 원형고리(7)가 성형되어있으며, 스프링 결합용 볼트(10)를 원형고리(6)에 넣고 스프링 결합용 너트(11)로 조임으로써 결합을 완료하게 되다. 이 타원형 패널형 스프링은 어린이용과 같이 가벼운 체중의 경우에는 연결고리가 없이 하나의 패널형 스프링으로 타원형의 일체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구성된 패널형 스프링 상단에는 장탈고리(3)가, 하단에는 완충용 고무(5) 부착되고, 사용자의 체중 또는 원하는 반발력에 따라 나선형 스프링(6)을 장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패널형 스프링(4)은 패널의 두께와 휘어지는 각도 그리고 나선형 스프링(6)를 조절함으로써 반탄력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어 초보자와 어린이는 반탄(도약)력이 약한 스프링을, 성인 및 유경험자는 반탄(도약)력이 강한 스프링으로 교환 장착함으로써 다양한 욕구를 충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패널형 스프링의 넓이, 두께, 휨 각도 등을 조절함으로써 이동시의 안전성을 보장하면서 반탄력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운용시 효과 및 장점은 다음과 같이 6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패널형 스프링의 장탈이 가능하여 운동화를 착용한 상태에서 그 기능을
일반 및 도약용으로 신속한 변경이 가능하다.
2. 타원형 패널 스프링이 지면과 접촉함으로써 반탄력을 지면과 수직상태
에서 발바닥의 무게중심 이동과 동일한 방향으로 발생시킴으로써
이동시 안정성을 증대하여 부상 위험성이 감소된다.
3. 패널형 스프링의 두께, 휘 각도의 조절로 반탄(도약)력의 강약을 조절
할 수 있어 어린이, 초보자들의 안전 욕구, 유경험자들의 도약 욕구
등 다양한 욕구를 충족할 수 있다.
4. 도약 놀이를 통해 어린이의 관절 및 성장점을 적당히 자극함으로써
건강한 신체(신장) 발육을 유도할 수 있다.
5. 관절이 약한 성인의 경우 도보, 구보 등 이동시 관절에 전해지는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6. 이용시 발바닥 중앙의 용천혈을 자극하여 지압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패널형 스프링을 타원 형태로 구성하여 걸을 때 발바닥의 무게중심의 이동
    방향과 유사한 반탄력의 이동이 가능하고, 넓은 패널의 폭을 이용하여
    반탄력의 방향을 지면과 직각을 유지하면서 발바닥 무게중심의 변화와 동일
    하게 유지할 수 있어 신발에 장착시 반탄력을 이용하여 안전한 도약운동이
    가능한 타원형의 패널형 스프링
  2. 청구항 1 내부에 나선형 스프링을 부착 유무, 패널 스프링의 넓이, 두께, 휨
    각도, 재질의 탄성 등을 조절하여 반탄력의 강약 조절이 가능하고, 윗부분에
    장착고리(3)가 부착되어 운동화 밑창에 장탈이 가능한 패널형 스프링
  3. 청구항 1의 장탈고리(3)와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운동화(1) 밑창에
    밀어넣기 홈(9)과 장탈 스위치(2)를 구성하고 있는 패널형 스프링 탈부착
    가능 운동화
KR1020030040555A 2003-06-23 2003-06-23 패널형 스프링 장착 운동화 KR200300597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555A KR20030059780A (ko) 2003-06-23 2003-06-23 패널형 스프링 장착 운동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555A KR20030059780A (ko) 2003-06-23 2003-06-23 패널형 스프링 장착 운동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9780A true KR20030059780A (ko) 2003-07-10

Family

ID=32226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0555A KR20030059780A (ko) 2003-06-23 2003-06-23 패널형 스프링 장착 운동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978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646B1 (ko) * 2005-03-07 2007-02-06 강판규 신발 조립체 및 신발 조립체에 착용 가능한 점핑장치
KR101282145B1 (ko) * 2005-07-30 2013-07-04 김용선 점프신발
ES2440089A1 (es) * 2013-12-31 2014-01-27 Marc BOSSER VIDAL Accesorio biónico para calzado
WO2015101694A1 (es) * 2013-12-31 2015-07-09 Marc Bosser Vidal Accesorio biónico para calzad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646B1 (ko) * 2005-03-07 2007-02-06 강판규 신발 조립체 및 신발 조립체에 착용 가능한 점핑장치
KR101282145B1 (ko) * 2005-07-30 2013-07-04 김용선 점프신발
ES2440089A1 (es) * 2013-12-31 2014-01-27 Marc BOSSER VIDAL Accesorio biónico para calzado
WO2015101694A1 (es) * 2013-12-31 2015-07-09 Marc Bosser Vidal Accesorio biónico para calzad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0324B1 (en) Convertible therapeutic sandals
US8397404B2 (en) Health shoes
EP1964485B1 (en) Proprioceptive/kinesthetic footwear
US7954502B2 (en) Mobility assistance apparatus
KR101189471B1 (ko) 고유 수용성 및 운동 감각성 부츠
JPH07298903A (ja) 靴の底
EP0523060A1 (en) Improved stilts
KR101469628B1 (ko) 보행 보조기
KR20030059780A (ko) 패널형 스프링 장착 운동화
US9107476B2 (en) Adjustable spring device for walking and running
KR200476129Y1 (ko) 신발 보행충격 완충보조기구
JP2012210399A (ja) 足のバランス装置
JP2016140765A (ja) 足部平衡装置
AU2009336566A1 (en) Perfect gait shoe
KR101770503B1 (ko) 탄력 운동 슈즈
CN101342025B (zh) 一种带减震缓冲装置的鞋
JP3122597U (ja) 脚運動器具
KR101323368B1 (ko) 건강 증진용 신발
KR102656858B1 (ko) 건강보조 신발
CN213994129U (zh) 一种下肢康复训练外骨骼踝关节机构
US20120115687A1 (en) Adjustable spring device for walking and running
JP2007097768A (ja) 歩行訓練装具及び歩行訓練方法
JP4982700B2 (ja) 身体機能向上具
KR20230124362A (ko) 종아리 근육 단련기
KR200298750Y1 (ko) 점핑보행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